KR20190090238A - 일회용 장갑 착탈 장치 - Google Patents

일회용 장갑 착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0238A
KR20190090238A KR1020180008857A KR20180008857A KR20190090238A KR 20190090238 A KR20190090238 A KR 20190090238A KR 1020180008857 A KR1020180008857 A KR 1020180008857A KR 20180008857 A KR20180008857 A KR 20180008857A KR 20190090238 A KR20190090238 A KR 20190090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disposable
wearing
hand
gl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8195B1 (ko
Inventor
강은채
양정우
박진희
김영준
이영수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08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195B1/ko
Publication of KR20190090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42/00Surgical gloves; Finger-stall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Devices for handling or treatment thereof
    • A61B42/50Devices for putting-on or remov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90Devices for domestic use for assisting in putting-on or pulling-off clothing, e.g. stockings or trousers
    • A47G25/904Devices for domestic use for assisting in putting-on or pulling-off clothing, e.g. stockings or trousers for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42/00Surgical gloves; Finger-stall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Devices for handling or treatment thereof
    • A61B42/10Surgical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4Donning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52Dispos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장갑 착탈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회용 장갑을 착용하기 위한 손을 삽입할 수 있는 제1손투입구 및 일회용 장갑이 착용된 손을 삽입할 수 있는 제2손투입구가 전면에 위치된 케이싱 본체부, 상기 케이싱 본체부 내에 위치되며 일회용 장갑의 입구를 벌려 사용자의 손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장갑 착용부, 상기 케이싱 본체부 내에 위치되며 다수의 일회용 장갑이 적층되어 위치될 수 있는 장갑 카트리지부, 상기 장갑 카트리지부에 적층된 일회용 장갑 중 하나를 잡아 상기 장갑 착용부로 이송시키는 장갑 이송부, 상기 장갑 착용부와 상기 장갑 이송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제어부, 상기 제2손투입구의 안쪽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며 단부 측에 착용된 일회용 장갑의 입구에 걸릴 수 있는 고리가 위치된 장갑 분리부를 포함하여 수술용 장갑 등의 일회용 장갑을 사용자가 쉽게 착용하고 벗을 수 있어 일회용 장갑을 사용하는 데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일회용 장갑을 착용하고 벗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장갑 착탈 장치{PUT ON DISPOSABLE GLOVES APPARATUS}
본 발명은 일회용 장갑 착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수술용 장갑등과 같이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일회용 장갑을 용이하게 착용하고 벗을 수 있도록 한 일회용 장갑 착탈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장갑은 위생을 필요로 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라텍스와 같은 고무재질로 제조되거나 비닐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제조되고 있다.
일회용 장갑은 라텍스와 같은 고무재질로 제조되는 수술용 장갑, 조리용 등으로 이용되는 합성수지 장갑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회용 장갑은 위생을 필요로 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표면에 이물질 등이 묻지 않도록 착용하는 것이 필요하나 착용하기 위해 입구 측을 벌리는 중에 표면에 이물질 등이 묻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수술용 장갑은 라텍스와 같은 고무재질로 제조되어 혼자 착용하기 어렵고, 착용하거나 벗을 때 보조인력의 도움이 필요한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수술용 장갑의 경우 감염에 대한 주의가 각별하게 요구되므로, 착용 시와 벗을 때 수술용 장갑이 감염되는 경우 큰 의료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 선행기술로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1-0005243호 '탈착이 용이한 고무장갑과 탈착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1-0005243호 '탈착이 용이한 고무장갑과 탈착장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튜브와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주방 또는 산업용 고무 장갑의 착용 또는 탈거 시 진공력을 이용하여 고무장갑의 둘레 방향으로 팽창시켜 손 내부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다.
그러나,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1-0005243호 '탈착이 용이한 고무장갑과 탈착장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튜브 내에 주방 또는 산업용 고무장갑을 넣고 진공력을 이용하여 주방 또는 산업용 고무장갑을 둘레방향으로 팽창시키는 것으로 실제적으로 손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주방 또는 산업용 고무장갑을 팽창시키는 데 있어 한계가 있어 실제 적용에서 원활하게 착용 및 이탈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1-0005243호 '탈착이 용이한 고무장갑과 탈착장치'는 주방 또는 산업용 고무장갑을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튜브 내에 정위치시켜야 하는 거치 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므로 실제 착용 시 착용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지 못하고, 특히 감염에 대한 주의가 각별하게 요구되는 수술용 장갑의 경우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특허문헌 :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1-0005243호 '탈착이 용이한 고무장갑과 탈착장치'(2011.05.26.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술용 장갑 등의 일회용 장갑을 사용자가 쉽게 착용하고 벗을 수 있도록 한 일회용 장갑 착탈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술용 장갑 등의 일회용 장갑을 표면에 감염이 발생되지 않도록 위생적으로 사용자가 착용하고 벗을 수 있도록 한 일회용 장갑 착탈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장갑 착탈 장치의 일 실시예는 일회용 장갑을 착용하기 위한 손을 삽입할 수 있는 제1손투입구 및 일회용 장갑이 착용된 손을 삽입할 수 있는 제2손투입구가 전면에 위치된 케이싱 본체부, 상기 케이싱 본체부 내에 위치되며 일회용 장갑의 입구를 벌려 사용자의 손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장갑 착용부, 상기 케이싱 본체부 내에 위치되며 다수의 일회용 장갑이 적층되어 위치될 수 있는 장갑 카트리지부, 상기 장갑 카트리지부에 적층된 일회용 장갑 중 하나를 잡아 상기 장갑 착용부로 이송시키는 장갑 이송부, 상기 장갑 착용부와 상기 장갑 이송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제어부, 상기 제2손투입구의 안쪽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며 단부 측에 착용된 일회용 장갑의 입구에 걸릴 수 있는 고리가 위치된 장갑 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장갑 카트리지부는 내부에 상부로 다수의 일회용 장갑이 적층되는 바닥판부재가 위치되고, 상기 바닥판부재는 장갑 인출용 승하강부에 의해 승하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장갑 이송부는 하부면에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위치되어 흡입력으로 하부면에 상기 장갑 카트리지부 내 적층된 일회용 장갑을 흡착하는 장갑 흡입부재, 상기 장갑 흡입부재를 상, 하 이동시키는 장갑 이송용 승하강기기, 상기 장갑 흡입부재와 상기 장갑 이송용 승하강기기를 상기 장갑 카트리지부에서 상기 장갑 착용부까지 이동시키는 제1장갑 직선 이동용 액추에이터 및 상기 장갑 착용부재를 일회용 장갑의 안착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제2장갑 직선 이동용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장갑 착용부는 상부면에 일회용 장갑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일회용 장갑이 안착되는 제1장갑 안착홈부가 위치되는 장갑 안착 몸체부, 하부면에 상기 제1장갑 안착홈부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장갑 안착홈부가 위치되어 상기 장갑 안착 몸체부 상에 안착된 일회용 장갑을 덮는 장갑 덮개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갑 안착 몸체부는 장갑 착용용 제1승하강부에 의해 승하강되고, 상기 장갑 덮개 몸체부는 장갑 착용용 제2승하강부에 의해 승하강되며, 상기 제1장갑 안착홈부는 일회용 장갑의 입구 측을 향하는 상기 장갑 안착 몸체부의 일단부 측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장갑 안착홈부는 일회용 장갑의 입구 측을 향하는 상기 장갑 안착 몸체부의 일단부 측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장갑 안착홈부와 상기 제2장갑 안착홈부에는 각각 다수의 제1장갑 흡입구와 다수의 제2장갑 흡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장갑 착용부는 상기 제1장갑 흡입구와 상기 제2장갑 흡입구로 진공호스로 연결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 발생기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갑 안착 몸체부는 제1안착 몸체부재, 상기 제1안착 몸체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안착 몸체부재 및 상기 제2안착 몸체부재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장갑 덮개 몸체부는 제1덮개 몸체부재, 상기 제1덮개 몸체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덮개 몸체부재 및 상기 제2덮개 몸체부재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장갑 착용부는 상기 장갑 안착 몸체부와 상기 장갑 덮개 몸체부의 사이에서 일회용 장갑의 입구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에어 분사기기는 일회용 장갑의 입구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노즐 및 상기 에어 노즐을 승하강시키는 노즐 승하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노즐은 상기 노즐 승하강부에 의해 승하강되는 노즐본체 및 상기 노즐본체에 전, 후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어 일회용 장갑의 입구 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이동노즐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작동 제어부는 상기 케이싱 본체부의 외측에 위치되어 상기 장갑 착용부와 상기 장갑 이송부의 작동을 인가하는 풋스위치부 및 사용자의 손을 상기 제1손투입구 내로 투입하여 상기 장갑 착용부에 의해 벌어진 일회용 장갑 내로 삽입하도록 하는 시점을 알림하는 손투입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장갑 착탈 장치의 다른 실시 예는 일회용 장갑을 착용하기 위한 손을 삽입할 수 있는 제1손투입구가 전면에 위치된 케이싱 본체부, 상기 케이싱 본체부 내에 위치되며 일회용 장갑의 입구를 벌려 사용자의 손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장갑 착용부, 상기 장갑 착용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갑 착용부는 상부면에 일회용 장갑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일회용 장갑이 안착되는 제1장갑 안착홈부가 위치되는 장갑 안착 몸체부, 하부면에 상기 제1장갑 안착홈부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장갑 안착홈부가 위치되어 상기 장갑 안착 몸체부 상에 안착된 일회용 장갑을 덮는 장갑 덮개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갑 안착 몸체부는 장갑 착용용 제1승하강부에 의해 승하강되고, 상기 장갑 덮개 몸체부는 장갑 착용용 제2승하강부에 의해 승하강되며, 상기 제1장갑 안착홈부는 일회용 장갑의 입구 측을 향하는 상기 장갑 안착 몸체부의 일단부 측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장갑 안착홈부는 일회용 장갑의 입구 측을 향하는 상기 장갑 안착 몸체부의 일단부 측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장갑 안착홈부와 상기 제2장갑 안착홈부에는 각각 다수의 제1장갑 흡입구와 다수의 제2장갑 흡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장갑 착용부는 상기 제1장갑 흡입구와 상기 제2장갑 흡입구로 진공호스로 연결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 발생기기; 및 상기 장갑 안착 몸체부와 상기 장갑 덮개 몸체부의 사이에서 일회용 장갑의 입구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기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갑 안착 몸체부는 제1안착 몸체부재, 상기 제1안착 몸체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안착 몸체부재 및 상기 제2안착 몸체부재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장갑 덮개 몸체부는 제1덮개 몸체부재, 상기 제1덮개 몸체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덮개 몸체부재 및 상기 제2덮개 몸체부재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술용 장갑 등의 일회용 장갑을 사용자가 쉽게 착용하고 벗을 수 있어 일회용 장갑을 사용하는 데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일회용 장갑을 착용하고 벗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술용 장갑 등의 일회용 장갑을 표면에 감염이 발생되지 않도록 위생적으로 사용자가 착용하고 벗을 수 있어 감염의 우려 없이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하고, 특히 수술용 장갑을 외부 감염없이 안전하고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어 수술 시 수술용 장갑 착용에 따른 감염 위험을 크게 낮추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술용 장갑을 보조 인력의 도움없이 시술자인 의사 혼자서도 간편하게 착용하고 벗을 수 있도록 하여 인력 소요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절감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장갑 착탈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장갑 착탈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장갑 착탈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장갑 착용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장갑 착탈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장갑 착용부의 작동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장갑 착탈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장갑 분리부의 사용예를 도시한 개략도.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장갑 착탈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장갑 착탈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장갑 착탈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장갑 착용부(2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장갑 착탈 장치의 일실시예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장갑 착탈 장치는 일회용 장갑(10)을 착용하기 위한 손을 삽입할 수 있는 제1손투입구(110) 및 일회용 장갑(10)이 착용된 손을 삽입할 수 있는 제2손투입구(120)가 전면에 위치된 케이싱 본체부(100)를 포함한다.
제1손투입구(110)는 사용자의 양 손을 한번에 투입할 수 있도록 한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제2손투입구(120)는 제1손투입구(110)와 이격되게 위치되고 제1손투입구(110)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2손투입구(120)의 안쪽에는 단부 측에 착용된 일회용 장갑(10)의 입구에 걸릴 수 있는 고리가 위치된 장갑 분리부(600)가 위치된다.
장갑 분리부(600)는 제2손투입구(120)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위치되고 제2손투입구(120)의 중심을 향하도록 위치되어 제2손투입구(120)를 통해 삽입되는 손에 착용된 일회용 장갑(10)의 입구에 복수의 각 고리가 걸릴 수 있도록 한다.
케이싱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제2손투입구(120)가 위치된 전면의 후측에 제2손투입구(120)에서 분리된 사용된 일회용 장갑(10)을 수거할 수 있는 장갑 수거함이 위치된다.
장갑 수거함은 도시되진 않았지만 케이싱 본체부(100)의 내부에서 제2손투입구(120)에서 분리된 장갑이 자유 낙하되어 수거될 수 있도록 위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 공지의 구조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케이싱 본체부(100)에서 제1손투입구(110)의 안쪽에는 제1손투입구(110) 내로 삽입된 손에 착용되는 일회용 장갑(10)의 입구를 벌려 일회용 장갑(10) 내로 착용자의 손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장갑 착용부(200)가 위치된다.
장갑 착용부(200)는 일회용 장갑(10)이 상부면에 안착되는 장갑 안착 몸체부(210), 장갑 안착부에 안착된 일회용 장갑(10)을 덮는 장갑 덮개 몸체부(220)를 포함한다.
또한, 케이싱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다수의 일회용 장갑(10)이 적층되어 위치되는 장갑 카트리지부(300)가 위치된다.
장갑 카트리지부(300)는 다수의 일회용 장갑(10)이 낱개로 적층될 수 있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다수의 일회용 장갑(10)은 살균처리되어 제조된 원상태로 장갑 카트리지부(300) 내에 적층되어 보관된다.
장갑 카트리지부(300)의 상부에는 자외선 살균램프가 위치되어 적층된 다수의 일회용 장갑(10) 중 최상층에 위치된 즉, 사용 대기 중인 일회용 장갑(10)의 표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장갑 카트리지부(300)는 내부에 상부로 다수의 일회용 장갑(10)이 적층되는 바닥판부재(310)가 위치되고, 바닥판부재(310)는 장갑 인출용 승하강부(320)에 의해 승하강될 수 있다.
장갑 인출용 승하강부(320)는 공압 실린더, 회전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 이동으로 변환하는 레크와 피니언의 기어구조체, 회전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 이동으로 변환하는 볼스크류 구조의 리니어 엑추에이터 구조 등 공지의 다양한 직선 구조체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장갑 인출용 승하강부(320)는 다수의 일회용 장갑(10)이 적층된 바닥판부재(310)를 승강시켜 적층된 일회용 장갑(10)의 위치가 장갑 이송부(400)에 의해 이송될 수 있는 높이로 위치시키거나, 승강된 바닥판부재(310)를 다시 하강시켜 바닥판부재(310)의 상부 측으로 다수의 일회용 장갑(10)을 다시 적층시켜 채울 수 있도록 한다.
장갑 카트리지부(300)에 위치된 일회용 장갑(10)은 장갑 이송부(400)에 의해 장갑 착용부(200) 즉, 장갑 안착 몸체부(210)의 상부면으로 이송된다.
장갑 착용부(200), 장갑 카트리지부(300), 장갑 이송부(400)는 한쌍의 제1손투입구(110) 안쪽에 각각 위치되어 각 제1손투입구(110)를 통해 투입된 착용자의 양손에 각각 동일한 일회용 장갑(10)이 착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임을 밝혀둔다.
장갑 이송부(400)는 하부면에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위치되어 흡입력으로 하부면에 일회용 장갑(10)을 잡는 장갑 흡입부재(410), 장갑 흡입부재(410)를 상, 하 이동시키는 장갑 이송용 승하강기기(420), 장갑 흡입부재(410)와 장갑 이송용 승하강기기(420)를 장갑 안착 몸체부(210)의 상부까지 이동시키는 제1장갑 직선 이동용 액추에이터(4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장갑 직선 이동용 액추에이터(430)는 케이싱 본체부(100)의 내부에 가로 방향으로 위치되어 장갑 이송용 승하강기기(420)를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제1장갑 직선 이동용 액추에이터(430)를 포함할 수 있다.
장갑 흡입부재(410)는 장갑 이송용 승하강기기(420)에 연결되어 승하강 가능하게 위치되므로 장갑 이송용 승하강기기(420)가 제1장갑 직선 이동용 액추에이터(430)에 의해 직선 이동할 때 장갑 이송용 승하강기기(420)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장갑 이송부(400)는 장갑 안착 몸체부(210)를 직선 이동시키는 제2장갑 직선 이동용 액추에이터(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장갑 직선 이동용 액추에이터(430)와 제2장갑 직선 이동용 액추에이터(440)는 공압 실린더, 회전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 이동으로 변환하는 레크와 피니언의 기어구조체, 회전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 이동으로 변환하는 볼스크류 구조의 리니어 엑추에이터 구조, 소형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직선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주행바퀴를 포함한 주행 구조 등 공지의 다양한 직선 이동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케이싱 본체부(100) 내의 공간은 제한적이므로 제1장갑 직선 이동용 액추에이터(430)로 장갑 흡입부재(410)를 직선 왕복 이동시키고, 제2장갑 직선 이동용 액추에이터(440)로 장갑 안착 몸체부(210)를 직선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장갑 카트리지부(300) 내 일회용 장갑(10)을 효율적으로 장갑 안착 몸체부(210)의 상부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제1장갑 직선 이동용 액추에이터(430)는 장갑 카트리지부(300)의 상부 측과 장갑 안착 몸체부(210)의 상부로 장갑을 안착시키는 기설정된 장갑 안착 위치 사이를 장갑 흡입부재(410)가 직선 왕복 이동하도록 작동하고, 제2장갑 직선 이동용 액추에이터(440)는 일회용 장갑(10)의 착용위치와 장갑 안착 몸체부(210)의 상부로 장갑을 안착시키는 기설정된 장갑 안착 위치 사이를 장갑 안착 몸체부(210)가 직선 왕복 이동하도록 작동한다.
장갑 안착 위치에서 장갑 흡입부재(410)는 장갑 안착 몸체부(210)의 상부 측에 위치되어 장갑 이송용 승하강기기(420)에 의해 하강되어 흡입된 일회용 장갑(10)을 장갑 안착 몸체부(210)의 상부면에 안착시키게 된다.
즉, 장갑 흡입부재(410)는 장갑 카트리지부(300)의 상부 측에서 하강하여 적층된 일회용 장갑(10) 중 하나를 흡입하여 하부면에 부착한 후 다시 승강하고, 제1장갑 직선 이동용 액추에이터(430)에 의해 장갑 안착 위치로 이동된다.
그리고, 장갑 안착 몸체부(210)는 제2장갑 직선 이동용 액추에이터(440)에 의해 장갑 착용 위치에서 장갑 안착 위치로 이동되어 대기한다.
장갑 흡입부재(410)는 장갑 안착 위치에서 장갑 이송용 승하강부의 작동으로 하강하여 부착된 일회용 장갑(10)을 장갑 안착 몸체부(210) 상에 안착시킨 후 장갑 이송용 승하강부에 의해 승강되고 제1장갑 직선 이동용 액추에이터(430)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원위치인 장갑 카트리지부(300)의 상부 측으로 복귀된다.
한편, 장갑 안착 몸체부(210)는 장갑 착용 위치 즉, 일회용 장갑(10)이 벌어져 일회용 장갑(10) 내로 착용자의 손이 삽입되는 위치에서 장갑 덮개 몸체부(220)의 하부 측에 위치된다.
장갑 안착 몸체부(210)는 장갑 착용용 제1승하강부(230)에 의해 승하강되고, 장갑 덮개 몸체부(220)는 장갑 착용용 제2승하강부(240)에 의해 승하강된다.
제2장갑 직선 이동용 액추에이터(440)는 장갑 착용용 제1승하강부(230)를 장갑 안착 위치와 장갑 착용 위치 사이에서 직선 왕복 이동시키게 되고, 장갑 안착 몸체부(210)는 장갑 착용용 제1승하강부(230)에 연결되어 승하강 가능하게 위치되므로 장갑 착용용 제1승하강부(230)가 제2장갑 직선 이동용 액추에이터(440)에 의해 직선 이동할 때 장갑 착용용 제1승하강기기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일회용 장갑(10)은 착용자의 손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 입구 측이 제1손투입구(110) 측을 향하도록 장갑 안착 몸체부(210) 상에 안착된다.
일회용 장갑(10)은 5개의 손가락이 각각 삽입될 수 있는 5개의 손가락 삽입부가 구비되고 손목의 일부를 감싸는 손목 착용부의 일단부 측에 착용을 위한 개방부가 형성되는 공지의 일회용 장갑(10)으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회용 장갑(10)은 라텍스 등의 고무재질로 제조되는 수술용 장갑일 수도 있고, 비닐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제조되는 조리용 일회용 장갑(10)일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장갑 안착 몸체부(210)의 상부면에는 일회용 장갑(1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일회용 장갑(10)이 안착되는 제1장갑 안착홈부(210a)가 위치되고, 제1장갑 안착홈부(210a)는 일회용 장갑(10)의 입구 측을 향하는 장갑 안착 몸체부(210)의 일단부 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장갑 덮개 몸체부(220)의 하부면에는 제1장갑 안착홈부(210a)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장갑 안착홈부(220a)가 위치되고, 제2장갑 안착홈부(220a)는 제1장갑 안착홈부(210a)와 동일하게 일회용 장갑(10)의 입구 측을 향하는 장갑 안착 몸체부(210)의 일단부 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제1장갑 안착홈부(210a)와 제2장갑 안착홈부(220a)에는 각각 다수의 제1장갑 흡입구와 다수의 제2장갑 흡입구가 구비되고, 다수의 제1장갑 흡입구는 일회용 장갑(10)의 하부면 전체가 제1장갑 안착홈부(210a)에 고르게 밀착되도록 배치되고, 다수의 제2장갑 흡입구는 일회용 장갑(10)의 상부면 전체가 제2장갑 안착홈부(220a)에 고르게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장갑 착용부(200)는 제1장갑 흡입구와 제2장갑 흡입구로 진공호스로 연결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 발생기기(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공 발생기기(250)는 진공호스를 통해 제1장갑 흡입구와 제2장갑 흡입구로 각각 연결되어 제1장갑 흡입부와 제2장갑 흡입구에서 각각 흡입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진공 발생기기(250)는 진공호스를 통해 장갑 흡입부재(410)와 연결되어 장갑 흡입부재(410)의 하부면에 위치된 흡입구에 흡입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한다.
장갑 안착 몸체부(210)는 제1안착 몸체부재(211)와 제1안착 몸체부재(2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안착 몸체부재(212), 제2안착 몸체부재(212)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기기(213)를 포함한다.
제1안착 몸체부재(211)의 상부면에는 제1장갑 안착홈부(210a) 중 일회용 장갑(10)에서 5개의 손가락 삽입부가 위치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일부분이 위치되고, 제2안착 몸체부재(212)의 상부면에는 제1장갑 안착홈부(210a) 중 손목 착용부를 포함하는 나머지 부분이 위치된다.
또한, 장갑 덮개 몸체부(220)는 제1덮개 몸체부재(221)와 제1덮개 몸체부재(2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덮개 몸체부재(222), 제2덮개 몸체부재(222)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기기(223)를 포함한다.
제1회전기기(213)와 제2회전기기(223)는 제2안착 몸체부재(212)와 제2덮개 몸체부재(222)를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일단부 측이 벌이지는 위치로 위치되어 일회용 장갑(10)의 입구를 더 크게 벌릴 수 있게 한다.
제1덮개 몸체부재(221)의 상부면에는 제2장갑 안착홈부(220a) 중 일회용 장갑(10)에서 5개의 손가락 삽입부가 위치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일부분이 위치되고, 제2덮개 몸체부재(222)의 상부면에는 제2장갑 안착홈부(220a) 중 손목 착용부를 포함하는 나머지 부분이 위치된다.
장갑 착용부(200)는 장갑 안착 몸체부(210)와 장갑 덮개 몸체부(220)의 사이에서 일회용 장갑(10)의 입구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기기(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분사기기(260)는 일회용 장갑(10)의 입구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노즐(261), 에어 노즐(261)을 승하강시키는 노즐 승하강부(262)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승하강부(262)는 공압 실린더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회전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 이동으로 변환하는 레크와 피니언의 기어구조체, 회전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 이동으로 변환하는 볼스크류 구조의 리니어 엑추에이터 구조 등 공지의 다양한 직선 구조체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에어 노즐(261)은 노즐 승하강부(262)에 의해 승하강되는 노즐본체(261a), 노즐본체(261a)에 전, 후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어 일회용 장갑(10)의 입구 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이동노즐체(261b)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분사기기(260)는 장갑 안착 몸체부(210)에 안착되고 장갑 안착 몸체부(210)와 장갑 덮개 몸체부(220) 사이에서 벌어지는 일회용 장갑(10)의 입구 측에 에어를 분사하여 일회용 장갑(10)이 팽창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에어 분사기기(260)는 노즐본체(261a)를 노즐 승하강부(262)로 상, 하 이동시켜 제1손투입구(110)를 통해 투입되는 손에 걸리지 않도록 위치될 수 있다.
노즐 본체는 장갑 안착 몸체부(210)와 장갑 덮개 몸체부(220)의 일단부 측과 제1손투입구(110) 사이에 위치되어 승하강되어 장갑 안착 몸체부(210)와 장갑 덮개 몸체부(220)의 사이에 위치되고, 하강되어 제1손투입구(110)에서 투입되는 손에 걸리지 않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에어 분사기기(260)는 이동노즐체(261b)를 장갑 안착 몸체부(210)와 장갑 덮개 몸체부(220) 사이에 위치된 일회용 장갑(10)을 향해 전진시켜 일회용 장갑(10)의 벌어진 입구 내로 단부를 삽입시켜 일회용 장갑(10) 내로 공기를 더 원활하게 분사하여 일회용 장갑(10)을 빠르게 팽창시킬 수 있도록 한다.
장갑 착용부(200)와 장갑 이송부(400)는 작동 제어부(50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고, 작동 제어부(500)는 케이싱 본체부(100)의 외측에 위치되는 풋스위치부(510)를 포함하고, 풋스위치부(510)를 통해 장갑 착용부(200)와 장갑 이송부(400)의 작동을 인가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작동 제어부(500)는 착용자의 손을 제1손투입구(110) 내로 투입하여 일회용 장갑(10) 내로 삽입하도록 하는 시점을 알림하는 손투입 알림부(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투입 알림부(520)는 빛을 발광하여 착용자에게 손의 투입 시점을 알림하는 알림 램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하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음성 알림할 수 있는 스피커부를 포함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풋스위치부(510)는 발로 밟혀 가압되면 작동을 인가하고, 발을 떼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작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공지의 풋스위치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즉, 착용자가 풋스위치를 밟으면 장갑 이송부(400)와 장갑 착용부(200)가 작동되어 제1손투입구(110) 내에서 일회용 장갑(10)의 입구가 벌어지게 되고, 장갑 이송부(400)와 장갑 착용부(200)가 작동되어 일회용 장갑(10)의 입구가 벌어진 상태에서 제1손투입구(110) 내로 착용자의 손을 투입하고, 투입된 손을 입구가 벌어진 일회용 장갑(10) 내로 삽입시킬 수 있게 된다.
일회용 장갑(10) 내로 착용자의 손이 위치된 상태에서 밟았던 풋스위치부(510)에서 발을 떼면 장갑 착용부(200)의 작동이 정지되면서 착용자의 손에 일회용 장갑(10)이 착용되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장갑 착탈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장갑 착용부(200)의 작동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장갑 착용부(200)에 의해 일회용 장갑(10)이 팽창되고 입구가 벌어지면서 내부로 착용자의 손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예를 하기에서 설명한다.
착용자가 풋스위치부(510)를 밟으면 장갑 카트리지부(300) 내 일회용 장갑(10)은 장갑 이송부(400)에 의해 이송되어 장갑 안착 몸체부(210)의 제1장갑 안착홈부(210a) 내에 삽입되어 안착된다.
제1장갑 안착홈부(210a) 내에 일회용 장갑(10)이 안착된 상태로 장갑 안착 몸체부(210)가 장갑 착용 위치에 위치되면 장갑 덮개 몸체부(220)가 하강하여 장갑 안착 몸체부(210) 상에 안착된다.
그리고, 에어 분사기기(260)는 에어 노즐(261)을 장갑 안착 몸체부(210)와 장갑 덮개 몸체부(220) 사이에 위치시킨 후 에어 노즐(261)에서 에어를 분사하여 제1장갑 안착홈부(210a)와 제2장갑 안착홈부(220a) 내에서 일회용 장갑(10)을 팽창시킨다.
일회용 장갑(10)이 팽창되어 제1장갑 안착홈부(210a)와 제2장갑 안착홈부(220a)에 밀착되면 진공 발생기기(250)가 작동되어 다수의 제1장갑 흡입구와 다수의 제2장갑 흡입구를 통해 일회용 장갑(10)의 하부면과 상부면이 각각 팽창된 상태에서 제1장갑 안착홈부(210a)의 내측면과 제2장갑 안착홈부(220a)에 흡착되게 된다.
그리고, 제1회전기기(213)와 제2회전기기(223)로 제2안착 몸체부재(212)와 제2덮개 몸체부재(222)를 각각 벌어지게 회전시킴으로써 일회용 장갑(10)의 입구를 벌리고 이와 동시에 장갑 착용용 제1승하강부(230)와 장갑 착용용 제2승하강부(240)에 의해 장갑 안착 몸체부(210)는 하강하고 장갑 덮개 몸체부(220)는 승강하면서 일회용 장갑(10)을 최대한 팽창시키게 된다.
에어 노즐(261)은 일회용 장갑(10) 내에 공기를 분사하여 일회용 장갑(10)을 충분히 팽창시킨 후 노즐 승하강부(262)에 의해 하강되어 제1손투입구(110)의 하부 측에 위치된다.
이 때 손투입 알림부(520)가 작동하여 착용자에게 제1손투입구(110)로 손을 투입할 것을 알림하고, 착용자는 제1손투입구(110)를 통해 손을 팽창된 일회용 장갑(10) 내로 삽입하게 된다.
착용자가 손을 팽창된 일회용 장갑(10) 내로 삽입한 후 밟았던 풋스위치부(510)에서 발을 떼면 진공 발생기기(250)의 작동이 정지되면서 팽창된 일회용 장갑(10)은 착용자의 손에 밀착되면서 착용이 완료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장갑 착탈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장갑 분리부(600)의 사용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6을 참고하면 장갑 분리부(600)는 제2손투입구(120)의 안쪽에서 힌지부(610)에 의해 케이싱 본체부(100)의 안쪽으로 회전될 수 있게 위치되고, 케이싱 본체부(100)의 외측 방향으로 케이싱 본체부(100)에 걸려 회전이 제한되도록 위치된다.
제2손투입구(120)는 원형 구멍으로 형성되고, 장갑 분리부(600)는 제2손투입구(120)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위치되고 제2손투입구(120)의 중심을 향하도록 위치되어 투입되는 손에 걸려 안쪽으로 회전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장갑 분리부(600)의 단부에는 케이싱 본체부(100)의 안쪽을 향하도록 굴곡된 고리가 위치된다.
또한, 힌지부(610)에는 장갑 분리부(600)가 원래의 위치 즉, 힌지부(610)에 연결된 일단부 측이 일부가 케이싱 본체부(10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 스프링이 구비된다.
리턴 스프링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힌지축에 장착되어 회전대상을 다시 원위치시키는 공지의 스프링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일회용 장갑(10)이 착용된 손을 제2손투입구(120)로 투입하면 복수의 장갑 분리부(600)는 투입되는 손에 의해 밀려 케이싱 본체부(100)의 안쪽으로 회전되면서 단부 측에 위치한 고리가 자연스럽게 손목 쪽에 위치한 일회용 장갑(10)의 입구에 걸리게 된다.
장갑 분리부(600)의 고리가 일회용 장갑(10)의 입구에 걸린 상태에서 착용자가 손을 제2손투입구(120)에서 빼면 일회용 장갑(10)이 착용자의 손에서 자연스럽게 분리되게 된다.
본 발명은 수술용 장갑 등의 일회용 장갑(10)을 사용자가 쉽게 착용하고 벗을 수 있어 일회용 장갑(10)을 사용하는 데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일회용 장갑(10)을 착용하고 벗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술용 장갑 등의 일회용 장갑(10)을 표면에 감염이 발생되지 않도록 위생적으로 사용자가 착용하고 벗을 수 있어 감염의 우려 없이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하고, 특히 수술용 장갑을 외부 감염없이 안전하고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어 수술 시 수술용 장갑 착용에 따른 감염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술용 장갑을 보조 인력의 도움없이 시술자인 의사 혼자서도 간편하게 착용하고 벗을 수 있도록 하여 인력 소요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절감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 : 일회용 장갑 100 : 케이싱 본체부
110 : 제1손투입구 120 : 제2손투입구
200 : 장갑 착용부 210 : 장갑 안착 몸체부
210a : 제1장갑 안착홈부 211 : 제1안착 몸체부재
212 : 제2안착 몸체부재 213 : 제1회전기기
220 : 장갑 덮개 몸체부 220a : 제2장갑 안착홈부
221 : 제1덮개 몸체부재 222 : 제2덮개 몸체부재
223 : 제2회전기기 230 : 장갑 착용용 제1승하강부
240 : 장갑 착용용 제2승하강부 250 : 진공 발생기기
260 : 에어 분사기기 261 : 에어 노즐
261a : 노즐본체 261b : 이동노즐체
262 : 노즐 승하강부 300 : 장갑 카트리지부
310 : 바닥판부재 320 : 장갑 인출용 승하강부
400 : 장갑 이송부 410 : 장갑 흡입부재
420 : 장갑 이송용 승하강기기
430 : 제1장갑 직선 이동용 액추에이터
440 : 제2장갑 직선 이동용 액추에이터
500 : 작동 제어부 510 : 풋스위치부
520 : 손투입 알림부 600 : 장갑 분리부
610 : 힌지부

Claims (8)

  1. 일회용 장갑을 착용하기 위한 손을 삽입할 수 있는 제1손투입구 및 일회용 장갑이 착용된 손을 삽입할 수 있는 제2손투입구가 전면에 위치된 케이싱 본체부;
    상기 케이싱 본체부 내에 위치되며 일회용 장갑의 입구를 벌려 사용자의 손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장갑 착용부;
    상기 케이싱 본체부 내에 위치되며 다수의 일회용 장갑이 적층되어 위치될 수 있는 장갑 카트리지부;
    상기 장갑 카트리지부에 적층된 일회용 장갑 중 하나를 잡아 상기 장갑 착용부로 이송시키는 장갑 이송부;
    상기 장갑 착용부와 상기 장갑 이송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제어부; 및
    상기 제2손투입구의 안쪽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며 단부 측에 착용된 일회용 장갑의 입구에 걸릴 수 있는 고리가 위치된 장갑 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장갑 착탈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갑 카트리지부는 내부에 상부로 다수의 일회용 장갑이 적층되는 바닥판부재가 위치되고,
    상기 바닥판부재는 장갑 인출용 승하강부에 의해 승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장갑 착탈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갑 이송부는,
    하부면에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위치되어 흡입력으로 하부면에 상기 장갑 카트리지부 내 적층된 일회용 장갑을 흡착하는 장갑 흡입부재;
    상기 장갑 흡입부재를 상, 하 이동시키는 장갑 이송용 승하강기기;
    상기 장갑 흡입부재와 상기 장갑 이송용 승하강기기를 상기 장갑 카트리지부에서 상기 장갑 착용부까지 이동시키는 제1장갑 직선 이동용 액추에이터; 및
    상기 장갑 착용부재를 일회용 장갑의 안착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제2장갑 직선 이동용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장갑 착탈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갑 착용부는,
    상부면에 일회용 장갑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일회용 장갑이 안착되는 제1장갑 안착홈부가 위치되는 장갑 안착 몸체부;
    하부면에 상기 제1장갑 안착홈부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장갑 안착홈부가 위치되어 상기 장갑 안착 몸체부 상에 안착된 일회용 장갑을 덮는 장갑 덮개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갑 안착 몸체부는 장갑 착용용 제1승하강부에 의해 승하강되고, 상기 장갑 덮개 몸체부는 장갑 착용용 제2승하강부에 의해 승하강되며,
    상기 제1장갑 안착홈부는 일회용 장갑의 입구 측을 향하는 상기 장갑 안착 몸체부의 일단부 측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장갑 안착홈부는 일회용 장갑의 입구 측을 향하는 상기 장갑 안착 몸체부의 일단부 측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장갑 안착홈부와 상기 제2장갑 안착홈부에는 각각 다수의 제1장갑 흡입구와 다수의 제2장갑 흡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장갑 착용부는 상기 제1장갑 흡입구와 상기 제2장갑 흡입구로 진공호스로 연결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 발생기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갑 안착 몸체부는,
    제1안착 몸체부재;
    상기 제1안착 몸체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안착 몸체부재; 및
    상기 제2안착 몸체부재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장갑 덮개 몸체부는,
    제1덮개 몸체부재;
    상기 제1덮개 몸체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덮개 몸체부재; 및
    상기 제2덮개 몸체부재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장갑 착탈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장갑 착용부는 상기 장갑 안착 몸체부와 상기 장갑 덮개 몸체부의 사이에서 일회용 장갑의 입구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장갑 착탈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에어 분사기기는,
    일회용 장갑의 입구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노즐; 및
    상기 에어 노즐을 승하강시키는 노즐 승하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노즐은,
    상기 노즐 승하강부에 의해 승하강되는 노즐본체; 및
    상기 노즐본체에 전, 후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어 일회용 장갑의 입구 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이동노즐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장갑 착탈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 제어부는,
    상기 케이싱 본체부의 외측에 위치되어 상기 장갑 착용부와 상기 장갑 이송부의 작동을 인가하는 풋스위치부; 및
    사용자의 손을 상기 제1손투입구 내로 투입하여 상기 장갑 착용부에 의해 벌어진 일회용 장갑 내로 삽입하도록 하는 시점을 알림하는 손투입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장갑 착탈 장치.
  8. 일회용 장갑을 착용하기 위한 손을 삽입할 수 있는 제1손투입구가 전면에 위치된 케이싱 본체부, 상기 케이싱 본체부 내에 위치되며 일회용 장갑의 입구를 벌려 사용자의 손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장갑 착용부, 상기 장갑 착용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갑 착용부는,
    상부면에 일회용 장갑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일회용 장갑이 안착되는 제1장갑 안착홈부가 위치되는 장갑 안착 몸체부;
    하부면에 상기 제1장갑 안착홈부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장갑 안착홈부가 위치되어 상기 장갑 안착 몸체부 상에 안착된 일회용 장갑을 덮는 장갑 덮개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갑 안착 몸체부는 장갑 착용용 제1승하강부에 의해 승하강되고, 상기 장갑 덮개 몸체부는 장갑 착용용 제2승하강부에 의해 승하강되며,
    상기 제1장갑 안착홈부는 일회용 장갑의 입구 측을 향하는 상기 장갑 안착 몸체부의 일단부 측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장갑 안착홈부는 일회용 장갑의 입구 측을 향하는 상기 장갑 안착 몸체부의 일단부 측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장갑 안착홈부와 상기 제2장갑 안착홈부에는 각각 다수의 제1장갑 흡입구와 다수의 제2장갑 흡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장갑 착용부는 상기 제1장갑 흡입구와 상기 제2장갑 흡입구로 진공호스로 연결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 발생기기; 및
    상기 장갑 안착 몸체부와 상기 장갑 덮개 몸체부의 사이에서 일회용 장갑의 입구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기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갑 안착 몸체부는,
    제1안착 몸체부재;
    상기 제1안착 몸체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안착 몸체부재; 및
    상기 제2안착 몸체부재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장갑 덮개 몸체부는,
    제1덮개 몸체부재;
    상기 제1덮개 몸체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덮개 몸체부재; 및
    상기 제2덮개 몸체부재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장갑 착탈 장치.
KR1020180008857A 2018-01-24 2018-01-24 일회용 장갑 착탈 장치 KR102078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857A KR102078195B1 (ko) 2018-01-24 2018-01-24 일회용 장갑 착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857A KR102078195B1 (ko) 2018-01-24 2018-01-24 일회용 장갑 착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238A true KR20190090238A (ko) 2019-08-01
KR102078195B1 KR102078195B1 (ko) 2020-02-17

Family

ID=67615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857A KR102078195B1 (ko) 2018-01-24 2018-01-24 일회용 장갑 착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19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500B1 (ko) * 2019-01-08 2020-02-27 박지원 일회용 장갑 착용기
CN111285104A (zh) * 2020-04-02 2020-06-16 解涛 一种无间断医用塑胶手套取用设备的工作方法
WO2021152570A1 (en) * 2020-02-02 2021-08-05 Avshalom Shlomo Matan Shalom Apparatus for putting a glove on a palm hand
IT202000007933A1 (it) * 2020-04-15 2021-10-15 Paolo Tribioli Sistema automatico di tipo meccanico e/o pneumatico e/o elettro-meccanico e/o elettronico e/o informatico e relativo procedimento di supporto per indossare guanti sterili o non sterili e successivamente per togliere i guanti usati.
CN114145849A (zh) * 2021-11-30 2022-03-08 南京润京乳胶制品有限公司 一种无间断医用乳胶手套取用设备及取用方法
KR20220029091A (ko) * 2020-09-01 2022-03-08 특허법인(유한) 해담 장갑 탈착장치
WO2022112604A1 (en) * 2020-11-30 2022-06-02 Precaglove Aps A system for handling of disposable gloves and an apparatus for donning of disposable glov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3A (ja) * 1996-06-14 1998-01-06 Shigemitsu Yonezawa 手袋離脱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02224139A (ja) * 2001-02-06 2002-08-13 Misuzu Seiko Kk 手袋の自動装着装置
US20030094468A1 (en) * 2000-05-25 2003-05-22 Dan Sinai Glove donning system
KR20090044037A (ko) * 2007-10-31 2009-05-07 김재성 장갑 탈착기
KR20110005243A (ko) 2008-04-14 2011-01-17 쎄코 툴스 에이비 회전 절삭 기계가공용 공구
WO2017106680A2 (en) * 2015-12-17 2017-06-22 Glove First, Llc Glove donning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3A (ja) * 1996-06-14 1998-01-06 Shigemitsu Yonezawa 手袋離脱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20030094468A1 (en) * 2000-05-25 2003-05-22 Dan Sinai Glove donning system
JP2002224139A (ja) * 2001-02-06 2002-08-13 Misuzu Seiko Kk 手袋の自動装着装置
KR20090044037A (ko) * 2007-10-31 2009-05-07 김재성 장갑 탈착기
KR20110005243A (ko) 2008-04-14 2011-01-17 쎄코 툴스 에이비 회전 절삭 기계가공용 공구
WO2017106680A2 (en) * 2015-12-17 2017-06-22 Glove First, Llc Glove donning system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500B1 (ko) * 2019-01-08 2020-02-27 박지원 일회용 장갑 착용기
WO2021152570A1 (en) * 2020-02-02 2021-08-05 Avshalom Shlomo Matan Shalom Apparatus for putting a glove on a palm hand
CN111285104A (zh) * 2020-04-02 2020-06-16 解涛 一种无间断医用塑胶手套取用设备的工作方法
CN111285104B (zh) * 2020-04-02 2021-05-21 解涛 一种无间断医用塑胶手套取用设备的工作方法
IT202000007933A1 (it) * 2020-04-15 2021-10-15 Paolo Tribioli Sistema automatico di tipo meccanico e/o pneumatico e/o elettro-meccanico e/o elettronico e/o informatico e relativo procedimento di supporto per indossare guanti sterili o non sterili e successivamente per togliere i guanti usati.
KR20220029091A (ko) * 2020-09-01 2022-03-08 특허법인(유한) 해담 장갑 탈착장치
WO2022112604A1 (en) * 2020-11-30 2022-06-02 Precaglove Aps A system for handling of disposable gloves and an apparatus for donning of disposable glove
CN114145849A (zh) * 2021-11-30 2022-03-08 南京润京乳胶制品有限公司 一种无间断医用乳胶手套取用设备及取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195B1 (ko) 2020-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90238A (ko) 일회용 장갑 착탈 장치
KR102055988B1 (ko) 무균 장갑들을 손에 끼워주는 자동 장치
WO2002070040A1 (en) Skin cleaning apparatus for the removal of puss or tallow by suction
CN104586516A (zh) 神经外科防积血冲洗式手术装置
JP2021106900A (ja) 感染性因子の拡散を回避するための、ならびに、医療用アスピレーターの電気的安全および吸引性能を改善するための、構成体および方法
CN110844408B (zh) 一种自密封式化疗用品垃圾存储装置
CN104739511B (zh) 普外科创伤手术医疗装置
US20170196645A1 (en) Protective cover coating device
JP2017143967A (ja) 生体洗浄器、生体洗浄方法
JP2021020030A (ja) 手袋装着装置
CN105771016A (zh) 产科产后清洁护理装置
CN215055734U (zh) 采样仓
CN213249419U (zh) 一种心内科用止血装置
CN203988204U (zh) 一次性注射套扎治疗器
CN210250074U (zh) 一种外科手术麻醉架装置
CN208582649U (zh) 一种用于吸痰患者的护理车
CN207400892U (zh) Picc穿刺手臂车
CN211356476U (zh) 一种专用于急诊科吸痰护理推车
JP4315353B2 (ja) 安全鍼
CN212213623U (zh) 一套能够自消毒的粪便收集装置、粪便收集袋及便盆
CN114652066B (zh) 一种传感数字化安全手杖
KR102576138B1 (ko) 의료용 콘돔 자동 공급장치
CN215363070U (zh) 一种呼吸内科护理用废弃物分类回收装置
CN213009999U (zh) 一种用于医疗废弃物收集箱的防倾倒装置
CN213642447U (zh) 医用吸引器导管固定放置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