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500B1 - 일회용 장갑 착용기 - Google Patents

일회용 장갑 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500B1
KR102082500B1 KR1020190002238A KR20190002238A KR102082500B1 KR 102082500 B1 KR102082500 B1 KR 102082500B1 KR 1020190002238 A KR1020190002238 A KR 1020190002238A KR 20190002238 A KR20190002238 A KR 20190002238A KR 102082500 B1 KR102082500 B1 KR 102082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able
glove
gloves
hand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원
Original Assignee
박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원 filed Critical 박지원
Priority to KR1020190002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5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4Appliances for making gloves; Measuring devices for glove-mak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41D19/0068Two-dimensional gloves, i.e. obtained by superposition of two sheets of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4Donning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52Dispos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장갑 착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기에 진공 펌프를 장착하여 장갑을 팽창시키도록 작동되고, 이후에 손에 착용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간편함은 물론, 장갑 착용과정에서 장갑과 손의 접촉을 최대한 차단함으로써 장갑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하는 일회용 장갑 착용기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일회용 장갑을 전체적으로 부풀어지도록 하기 때문에 일회용 장갑의 종류에 무관하게 장갑의 착용을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회용 장갑의 착용과정에서 오염된 손이 장갑의 외피와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일회용 장갑의 오염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장갑 착용기{Disposable glove wearing device}
본 발명은 일회용 장갑 착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기에 진공 펌프를 장착하여 일회용 장갑을 팽창시키도록 작동되고, 이후에 손에 착용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간편함은 물론, 일회용 장갑 착용과정에서 장갑과 손의 접촉을 최대한 차단함으로써 일회용 장갑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하는 일회용 장갑 착용기를 제공한다.
비닐 또는 실리콘 등을 재질로 하며 탄력성이 있고 저렴한 일회용 장갑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일회용 장갑은 생활용품에서부터 시술, 처치, 수술용 장갑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1회 사용 후 폐기하도록 의도되어 제작된 것이기 때문에, 대체로 일회용 장갑의 구성은 간단하다.
다만, 일반적으로 일회용 장갑을 다량 포장하여 배포하여야 하기 때문에 포장 공간을 최소화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비닐장갑의 경우 두께가 얇음은 물론 외피가 서로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시에 손의 착용공간을 마련하기 위하여 밀착된 비닐 일회용 장갑의 양면을 일일이 이격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이 과정에서 오염된 손으로 비닐 일회용 장갑의 여러 부분을 접촉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따라서 비닐 일회용 장갑을 위생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술, 처치, 수술용 실리콘 일회용 장갑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장갑의 착용과정에서 오염된 손의 접촉으로 인하여 전이 오염이 될 가능성이 충분히 존재하는 바, 이 또한, 개선책을 필요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610238호에서는 "일회용 장갑 착용기"를 개시하고 있는데, 동 선행기술은 내부 수용부가 구비되며 일측이 개구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평행한 상태를 이루며 일단이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고정되어, 일회용 장갑 다수 개가 서로 접합된 상태로 걸리도록 하는 장갑걸이부와, 상기 한 쌍의 장갑걸이부의 타측부에 근접하여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장갑 규제용 로드 및 상기 장갑걸이부에 평행한 상태를 이루며 일단이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고정되어, 일회용 장갑의 손가락 끼움부 사이로 위치되도록 하는 보조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위 선행기술은 일회용 장갑에 접합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접합부가 이웃하는 일회용 장갑에 접합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접합부가 개재된 상태로 일회용 장갑이 순차적으로 정렬되어 있으면 어느 하나의 일회용 장갑에 견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접합부에 의하여 일회용 장갑의 손 삽입부가 벌어지게 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통상적인 일회용 장갑에는 이러한 접합부가 부착되어 생산되지 않으며, 따라서, 위 장치를 사용하기 위하여 일회용 장갑에 별도의 접합부가 일일이 마련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아울러 접합부를 이용하여 장갑의 손 삽입부를 벌리는 경우에도, 접합부가 손이 들어가는 도입부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도입부를 벌어지게 할 수 있을지언정 손가락 삽입부까지 벌어지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여겨지는 바, 여전히 착용상의 불편함이 존재한다.
아울러 시술, 처치, 수술용 실리콘 장갑과 같이 손과의 마찰력이 심한 경우에는 이와 같은 접합부를 이용한 손 도입부 이격만으로 한계가 존재하며, 착용과정에서 착용기의 장갑걸이부에 과도한 힘이 걸려 파손될 가능성도 충분히 존재한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610238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70568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일회용 장갑을 손목 및 손바닥 부위부터 손가락 부위까지 전체적으로 부풀어지도록 하기 때문에 일회용 장갑의 종류에 무관하게 일회용 장갑의 손가락 부위까지 일회용 장갑의 착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 장갑 착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회용 장갑의 착용과정에서 손이 일회용 장갑의 외피와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일회용 장갑의 오염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 장갑 착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손이 삽입되어 일회용 장갑이 장착되는 공간인 함체형상인 챔버; 상기 챔버의 외부 일측에 마련되며, 외부의 진공펌프와 연결되기 위한 진공펌프 연결관; 상기 챔버의 외부 타측에 마련되며, 손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삽입홀; 상기 챔버의 내부 일측에 마련되어 일회용 장갑을 로딩하기 위한 일회용 장갑 로딩부; 및 상기 일회용 장갑의 상하면에 밀착되어 상하면을 이격시키는 흡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장갑 착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흡착부는 상기 챔버 내부에 구성되는 이동수단에 지지되며, 상기 일회용 장갑이 로딩되면 삽입홀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일회용 장갑이 장착되고 나면 다시 로딩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하 두 개의 흡착구로 구성되어, 상기 각 흡착구가 일회용 장갑의 손 주입부 상하면에 각각 밀착되어 상하면을 이격함으로써 손이 주입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고, 외부의 진공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손 주입부 상하면에 공압에 의한 흡입력이 작용되도록 흡착홀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착구는 그 중앙부위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 중 장갑과 접촉하는 면의 대향면에 연결되는 연질의 흡기관을 통하여 석션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일회용 장갑의 손 주입부 상하면에 밀착되며,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홀로부터 챔버 내부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중공의 파이프 형태를 이루고, 상기 흡착부에 의하여 상기 손 주입부의 상하면이 이격되면 그 내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실링패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흡착부에 의하여 손 주입부의 상하면이 이격되고, 상하면이 이격된 손 주입부의 내면에 실링패드가 밀착되면 챔버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하여 일회용 장갑이 전체적으로 부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갑 로딩부는, 복수의 일회용 장갑이 거치되는 장갑 거치부; 상기 장갑 거치부의 하부에 마련되는 탄성수단; 및 상기 복수의 일회용 장갑 중 최상부에 위치한 일회용 장갑을 흡착부에 피딩하기 위한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일회용 장갑을 전체적으로 부풀어지도록 하기 때문에 일회용 장갑의 종류에 무관하게 일회용 장갑의 착용을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회용 장갑의 착용과정에서 오염된 손이 일회용 장갑의 외피와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일회용 장갑의 오염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일회용 장갑을 팽창시켜서 착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일회용 장갑에 대해서도 단일의 착용기로써 착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진공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일회용 장갑의 팽창 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따라서 다양한 손 크기의 착용자에 대한 공통적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장갑 착용기 중 일회용 장갑을 로딩하기 전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장갑 착용기 중 일회용 장갑이 흡착부에 로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장갑 착용기 중 일회용 장갑이 흡착부에 로딩되어 손 주입부가 이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장갑 착용기 중 일회용 장갑이 챔버내 진공상태로 인하여 손이 주입될 수 있을 정도로 완전히 부풀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장갑 착용기 중 일회용 장갑에 손을 주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장갑 착용기 중 일회용 장갑이 착용된 손을 삽입홀로부터 인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장갑 착용기 중 흡착부가 일회용 장갑을 다시 로딩하기 위하여 일회용 장갑 로딩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은 일회용 장갑을 로딩하여 착용하기까지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회용 장갑 착용기(100)는 손이 삽입되어 일회용 장갑(121)이 장착되는 공간인 함체형상인 챔버(110); 상기 챔버(110)의 외부 일측에 마련되며, 외부의 진공펌프(180)와 연결되기 위한 진공펌프 연결관(181); 상기 챔버(110)의 외부 타측에 마련되며, 손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삽입홀(170); 상기 챔버(110)의 내부 일측에 마련되어 일회용 장갑(121)을 로딩하기 위한 일회용 장갑 로딩부(120); 및 상기 일회용 장갑의 상하면에 밀착되어 상하면을 이격시키는 흡착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흡착부(150)는 상기 챔버(110) 내부에 구성되는 이동수단에 지지되며, 상기 일회용 장갑(121)이 로딩되면 삽입홀(170)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일회용 장갑(121)이 장착되고 나면 다시 로딩부(120)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하 두 개의 흡착구(151, 152)로 구성되어, 상기 각 흡착구(151, 152)가 일회용 장갑(121)의 손 주입부 상하면에 각각 밀착되어 상하면을 이격함으로써 손이 주입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고, 외부의 진공펌프(180)와 연결되어 상기 손 주입부 상하면에 공압에 의한 흡입력이 작용되도록 흡착홀(미도시)이 마련된다. 상기 각 흡착구(151, 152)는 외부의 또 다른 진공 펌프(190)과 연결되기 위한 진공펌프 연결관(191)을 구비한다.
상기 이동수단은 예를 들어 레일 등과 같은 것으로서, 공지의 수단에 의하여 구현이 가능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두개의 흡착구(151, 152)는 도면상으로는 공간에 단순 배치된 것으로 표현되었으나, 실제로는 레일 등과 같은 이동수단과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도면의 단순화를 위하여 이와 같은 이동수단을 생략하고 흡착부만 표시한 것이다. 상기 이동수단은 흡착부(150)를 로딩부(120)로부터 삽입홀(170) 인근까지 이동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일회용 장갑(121)의 이송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흡착부(150)의 각 흡착구(151, 152)는 특별히 형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장갑과 접촉할 수 있는 판 형태로 구현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또한, 상기 흡착구(151, 152)는 그 중앙부위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 중 장갑과 접촉하는 면의 대향면에 연결되는 흡기관을 통하여 석션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일회용 장갑(121)의 손 주입부 상하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홀 중 일회용 장갑(121) 방향으로 위치하는 관통홀은 일회용 장갑(121)을 석션 작용에 의하여 밀착시키기 위한 것이고, 그 대향 방향에 존재하는 관통홀은 여기에 흡기관이 연결되고, 상기 흡기관은 외부 펌프와 연결되어 흡기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흡기분위기가 구성됨으로써 일회용 장갑(121)의 손목 부위에 접촉한 두개의 흡착구(151, 152)는 일회용 장갑(121)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하여 일회용 장갑(121)의 손목 부위를 이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하 이동수단은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삽입홀(170) 중 챔버(110) 내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실링패드(160)가 더 구성되는데, 손이 관통할 수 있도록 중공의 파이프 형태를 이루고, 상기 흡착부(150)에 의하여 상기 손 주입부의 상하면이 이격되면, 상기 일회용 장갑(121)이 상기 실링패드(160)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공기가 삽입홀(170)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며, 따라서 챔버(110) 내부의 진공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실링패드(160)는 삽입홀(170)이 원통형인 경우 이에 대응되게 원통형 관체의 형태가 된다. 실링패드(160)의 외경은 일회용 장갑(121)의 손 주입부 직경과 대체로 유사하되, 손 주입구 직경이 약간은 커야 한다. 그래야 실링패드(160)가 손 주입부의 내면에 단단히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흡착부(150)에 의하여 손 주입부의 상하면이 이격되고, 상하면이 이격된 손 주입부의 내면에 실링패드(160)가 밀착되면 챔버(110)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하여 일회용 장갑(121)이 전체적으로 부풀게 된다. 이로써, 일회용 장갑(121)의 내부(손목, 손바닥, 손가락 부위)가 팽창되어 손을 삽입하기 위한 완전한 공간이 형성된다.
이 때, 손을 삽입홀(170)을 통해 일회용 장갑(121)에 끼우고, 챔버(110) 내부의 진공을 해제한 후 일회용 장갑(121)이 장착된 손을 삽입홀(170)을 통해 꺼내면 된다.
여기서, 진공펌프(180)의 용량에 의해 진공에 이르는 시간이 변화될 수 있으므로 함체 형상의 챔버(110)의 크기와 일회용 장갑(121)의 착용시간을 고려하여 진공펌프(180)의 용량을 결정하는 것이 좋다.
상기 챔버(110)에는 손이 들어갈 수 있고, 일회용 장갑(121)이 거치될 수 있으며, 흡착부(150)가 작동할 수 있는 정도의 공간을 가지는 함체인 것이 바람직하나, 일회용 장갑(121)을 부풀도록 하기 위하여 진공을 유지하여야 하므로 공간이 너무 크면 진공에 이르기까지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바, 적정한 크기인 것이 좋다.
챔버(110)는 사방이 밀폐되어 있으며, 다만, 진공펌프(180)가 연결되는 진공펌프 연결관(181)과 손 주입을 위한 삽입홀(170)이 형성되어 외부와 소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삽입홀(170)은 손이 들어갈 수 있는 정도의 충분한 크기로 형성된다.
진공펌프(180)는 챔버(110)의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며, 진공을 유지하면 일회용 장갑(121)은 팽창하게 된다. 또한, 진공을 해제하면 일회용 장갑(121)은 다시 수축하게 된다.
챔버(110)의 내부 일측에는 일회용 장갑(121)을 거치하고 이들 일회용 장갑(121) 중 하나 또는 둘을 로딩하는 일회용 장갑 로딩부(120)가 마련된다. 일회용 장갑 로딩부(120)는 복수의 일회용 장갑(121)이 거치되는 일회용 장갑 거치부(123); 상기 일회용 장갑 거치부(123)의 하부에 마련되는 탄성수단(124); 및 상기 복수의 일회용 장갑(121) 중 최상부에 위치한 일회용 장갑(121)을 흡착부(150)에 피딩하기 위한 롤러(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회용 장갑 거치부(123)에는 상하로 적치된 복수의 일회용 장갑(121)이 거치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챔버(110) 내 일측에 한 쌍으로 나란히 마련된다. 상기 일회용 장갑 거치부(123)의 하부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124)이 존재하며, 일회용 장갑(121)의 거치량이 많을수록 하부로 압축되고, 일회용 장갑(121)이 로딩될때마다 조금씩 복원력이 작용한다.
상기 거치된 일회용 장갑(121)의 상부에는 마찰력이 큰 롤러(122)가 마련되어 있으며, 일회용 장갑(121)을 흡착부(150) 방향으로 피딩한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일회용 장갑 착용기 110 : 챔버
120 : 로딩부 121 : 일회용 장갑
122 : 롤러 123 : 거치부
124 : 탄성수단 130 : 로딩부
150 : 흡착부 151, 152 : 흡착구
160 : 실링패드 170 : 삽입홀
180, 190 : 진공펌프 181, 191 : 진공펌프 연결관

Claims (5)

  1. 손이 삽입되어 일회용 장갑이 장착되는 공간인 함체형상인 챔버;
    상기 챔버의 외부 일측에 마련되며, 외부의 진공펌프와 연결되기 위한 진공펌프 연결관;
    상기 챔버의 외부 타측에 마련되며, 손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삽입홀;
    상기 챔버의 내부 일측에 마련되어 일회용 장갑을 로딩하기 위한 일회용 장갑 로딩부; 및
    상기 일회용 장갑의 상하면에 밀착되어 상하면을 이격시키는 흡착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흡착부는 상기 챔버 내부에 구성되는 이동수단에 지지되며, 상기 일회용 장갑이 로딩되면 삽입홀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일회용 장갑이 장착되고 나면 다시 로딩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하 두 개의 흡착구로 구성되어, 상기 각 흡착구가 일회용 장갑의 손 주입부 상하면에 각각 밀착되어 상하면을 이격함으로써 손이 주입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고, 외부의 진공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손 주입부 상하면에 공압에 의한 흡입력이 작용되도록 흡착홀이 마련되고,
    상기 삽입홀로부터 챔버 내부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중공의 파이프 형태를 이루고, 상기 흡착부에 의하여 상기 손 주입부의 상하면이 이격되면 그 내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실링패드;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흡착부에 의하여 손 주입부의 상하면이 이격되고, 상하면이 이격된 손 주입부의 내면에 실링패드가 밀착되면 챔버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하여 일회용 장갑이 전체적으로 부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장갑 착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구는,
    그 중앙부위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 중 장갑과 접촉하는 면의 대향면에 연결되는 연질의 흡기관을 통하여 석션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일회용 장갑의 손 주입부 상하면에 밀착되며,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장갑 착용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 로딩부는,
    복수의 일회용 장갑이 거치되는 장갑 거치부;
    상기 장갑 거치부의 하부에 마련되는 탄성수단; 및
    상기 복수의 일회용 장갑 중 최상부에 위치한 일회용 장갑을 흡착부에 피딩하기 위한 롤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장갑 착용기.

KR1020190002238A 2019-01-08 2019-01-08 일회용 장갑 착용기 KR102082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238A KR102082500B1 (ko) 2019-01-08 2019-01-08 일회용 장갑 착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238A KR102082500B1 (ko) 2019-01-08 2019-01-08 일회용 장갑 착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2500B1 true KR102082500B1 (ko) 2020-02-27

Family

ID=69647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238A KR102082500B1 (ko) 2019-01-08 2019-01-08 일회용 장갑 착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5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3918A (zh) * 2021-04-22 2021-08-27 华中科技大学同济医学院附属协和医院 一种无菌手套自动佩戴机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2817A (ja) * 2000-12-29 2002-07-31 Shigeki Sezaki 自動手袋装着機
JP2002224139A (ja) * 2001-02-06 2002-08-13 Misuzu Seiko Kk 手袋の自動装着装置
KR101610238B1 (ko) 2014-11-11 2016-04-0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일회용 장갑 착용기
KR101705681B1 (ko) 2016-11-23 2017-02-10 (주)경동금속주방 일회용장갑 착용기
WO2017205926A1 (en) * 2016-06-01 2017-12-07 Glovematic Pty Limited Glove dispensing cartridge,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thereof
JP2018178346A (ja) * 2017-04-05 2018-11-15 寺本 勝哉 手袋装着装置
KR20190090238A (ko) * 2018-01-24 2019-08-01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일회용 장갑 착탈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2817A (ja) * 2000-12-29 2002-07-31 Shigeki Sezaki 自動手袋装着機
JP2002224139A (ja) * 2001-02-06 2002-08-13 Misuzu Seiko Kk 手袋の自動装着装置
KR101610238B1 (ko) 2014-11-11 2016-04-0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일회용 장갑 착용기
WO2017205926A1 (en) * 2016-06-01 2017-12-07 Glovematic Pty Limited Glove dispensing cartridge,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thereof
KR101705681B1 (ko) 2016-11-23 2017-02-10 (주)경동금속주방 일회용장갑 착용기
JP2018178346A (ja) * 2017-04-05 2018-11-15 寺本 勝哉 手袋装着装置
KR20190090238A (ko) * 2018-01-24 2019-08-01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일회용 장갑 착탈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3918A (zh) * 2021-04-22 2021-08-27 华中科技大学同济医学院附属协和医院 一种无菌手套自动佩戴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5208Y1 (ko) 생리컵
US7137995B2 (en) Breast implant injector and method of use
US7409953B2 (en) Surgical drape having an expandable member
JP2004536671A5 (ko)
CN102210599A (zh) 具有挠性插管的进入组件
WO2003009884A3 (en) Elongated syringe
KR102082500B1 (ko) 일회용 장갑 착용기
JP2006006927A (ja) 注射器の圧縮空気用接続具
TW201636055A (zh) 具有撓性邊緣的乳房護罩
US20190365527A1 (en) Reusable Delivery Apparatus for Delivering a Flexible Prosthesis to a Surgical Pocket
US8858504B2 (en) Haemostatic valve assembly
CN106667421A (zh) 一种流体通道阀门、流体通道切换阀以及内窥镜
KR102038455B1 (ko) 멸균장갑 공급 장치
EP3125830B1 (en) Valve for prosthetic device
KR101721404B1 (ko)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비침투형 침
US11813131B2 (en) Suction de-clogger system and method
US11324612B2 (en) Breathable residual-limb socket system
KR102236197B1 (ko) 감압 속도 조절 부항컵 및 감압 속도 조절 부항 장치
CN205795800U (zh) 医用手套自动佩戴设备
KR102258347B1 (ko) 복강경 수술용 커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강경 수술장치
JPS6113264Y2 (ko)
CN213525637U (zh) 一种实验鼠灌胃固定装置
US2023035542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stoma covering device
CN209075063U (zh) 一种重症高肌张力病人用防感染透气手套
GB2538535A (en) Endoscope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