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347B1 - 복강경 수술용 커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강경 수술장치 - Google Patents

복강경 수술용 커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강경 수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347B1
KR102258347B1 KR1020190098154A KR20190098154A KR102258347B1 KR 102258347 B1 KR102258347 B1 KR 102258347B1 KR 1020190098154 A KR1020190098154 A KR 1020190098154A KR 20190098154 A KR20190098154 A KR 20190098154A KR 102258347 B1 KR102258347 B1 KR 102258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aparoscopic surgery
coupled
cover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9242A (ko
Inventor
한세혁
Original Assignee
한세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세혁 filed Critical 한세혁
Priority to KR1020190098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347B1/ko
Publication of KR20210019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17/3423Access ports, e.g. toroid shape introducers for instruments or h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4Insufflating needles, e.g. Veress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98Valves therefor, e.g. flapper valves, slide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3/00Insufflators for therapeutic or disinfectant purposes, i.e. devices for blowing a gas, powder or vapour into the body
    • A61M13/003Blowing gases other than for carrying powders, e.g. for inflating, dilating or rin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2017/3419Sealing means between cannula and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2017/3437Cannulas with means for removing or absorbing fluid, e.g. wicks or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17/3439Cannula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cannula, e.g. expandable
    • A61B2017/3441Cannula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cannula, e.g. expandable with distal sea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2017/3443Cannula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length of a cannula

Abstract

본 발명은 복부(Abdomen) 내부로 가스가 주입되기 위한 연결부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된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도록 상기 커버부와 상기 연결부 각각에 결합된 밀폐부를 포함하는 복강경 수술용 커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강경 수술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강경 수술용 커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강경 수술장치{Cover Apparatus for Laparoscopic Surgery and Laparoscopic Surger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강경 수술시 이용되는 복강경 수술용 커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강경 수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강경 수술은 복부에 작은 절개창을 여러 개 내고, 절개창을 통해 내부 조직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내시경 및 조직을 천공하는데 이용되는 트로카(Trocar) 등과 같은 각종 수술기구를 복강 내에 넣고 시행하는 수술로 정의된다. 복강경 수술은 전통적인 개복 수술과 비교하여 절개창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수술 상처가 미용적으로 보기 좋고, 창상으로 인한 통증이 훨씬 작다. 또한, 빠른 회복 속도를 보이므로 개복 수술에 비하여 재원기간이 짧고, 일상생활로 빠르게 복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복강경 수술에 있어서 환자의 복부 내부에 시야를 확보함과 아울러 환자의 환부에 수술기구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의료진은 복부 내부에 가스를 주입하여 복부를 팽창시키는 가스 주입 작업을 선행적으로 수행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00)는 가스 주입 작업에 이용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종래 기술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00)는 연결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10)는 복부(130) 내부로 상기 가스가 주입되도록 상기 복부(130)의 내부 및 상기 복부(130)의 외부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연결부(110)는 상기 복부(130)에 삽입되어 상기 복부(130)의 내부와 상기 복부(130)의 외부를 연결하는 트로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10)에는 주입공(120)이 형성된다. 상기 주입공(120)을 통해 상기 복부(130) 내부로 상기 가스가 주입될 수 있다. 상기 주입공(120)은 상기 연결부(110)를 관통하여 형성된 홀(Holl)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00)는 다양한 수술환경에 따라 가스 주입 작업이 수행된 시점부터 복강경 수술이 시작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되기도 한다. 이 경우, 종래 기술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00)는 상기 주입공(120)을 통해 상기 가스가 상기 복부(130)의 외부로 유출되도록 구현된다. 도 1에 도시된 진한 화살표는 가스의 개략적인 유동 방향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00)는 복부(130)에 다시 상기 가스를 주입하여야 하므로 가스 주입 작업에 대한 번거로움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가스 주입 작업으로 인해 전체적인 수술시간을 증대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가스가 복부 외부로 유출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복강경 수술용 커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강경 수술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는 복부(Abdomen)에 삽입되어 인체 내부로 가스가 주입되도록 안내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도록 상기 커버부와 상기 연결부 각각에 결합된 밀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용 커버장치는 복부(Abdomen) 내부로 가스가 주입되기 위한 연결부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된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도록 상기 커버부와 상기 연결부 각각에 결합된 밀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스가 복부 외부로 유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도록 구현됨으로써, 복강경 수술에 걸리는 전체적인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가 복부에 삽입된 일례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의 커버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용 커버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에 있어서 연결부가 밀폐부에 결합됨에 따라 삽입공의 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에 있어서 밀폐부가 삽입공의 크기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연결부를 가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의 연결부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의 연결부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에 있어서 제거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에 있어서 체크밸브를 설명하기 위해 도 5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에 있어서 걸림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에 있어서 걸림부가 걸림위치와 걸림 해제위치 간에 이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 및 복강경 수술용 커버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용 커버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에 포함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복강경 수술시 복부(200)의 절개창의 삽입되어 가스가 인체 내부로 주입되기 위한 연결통로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스는 환자의 복부(200) 내부에 시야가 확보됨과 아울러 환자의 환부에 수술기구(300)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상기 복부(200)를 팽창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가스는 Ar 등과 같이 인체에 무해한 비활성 가스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트로카(Trocar), 및 내시경 등과 같은 수술기구(300)가 인체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상기 복부(200)에 삽입되어 인체 내부로 가스가 주입되도록 안내하는 연결부(4), 상기 연결부(4)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2), 및 상기 커버부(2)와 상기 연결부(4)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도록 상기 커버부(2)와 상기 연결부(4) 각각에 결합된 밀폐부(3)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상기 밀폐부(3)를 통해 상기 커버부(2)와 상기 연결부(4)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다양한 수술환경에 따라 상기 복부(200)에 상기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 주입 작업이 수행된 시점부터 복강경 수술이 시작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되더라도, 상기 가스가 인체 외부로 유출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상기 가스가 유출됨에 따라 인체 내부에 다시 상기 가스를 주입하는 일련의 과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복강경 수술에 걸리는 전체적인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상기 밀폐부(3)를 통해 전체적인 수술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환자의 환부가 수술실의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환자의 2차 감염 등의 의료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진한 화살표는 상기 가스의 개략적인 유동방향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커버부(2), 상기 밀폐부(3), 및 상기 연결부(4)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커버부(2)는 상기 연결부(4)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된 것이다. 상기 커버부(2)는 상기 연결부(4)의 상부에 배치되어 가스가 상기 복부(20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2)는 상기 연결부(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2)는 상기 밀폐부(3)를 통해 상기 연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2)는 상기 밀폐부(3)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2)는 전체적으로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2)는 실리콘, PVC(Polyvinyl Chloride) 수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수지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2)는 3cm 이상 5cm 이하의 직경(Diameter)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비교적 작은 크기의 커버부(2)를 통해 상기 가스가 상기 복부(200)의 외부로 유출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커버부(2)는 커버본체(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21)는 상기 연결부(4)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21)는 상기 밀폐부(3)를 통해 상기 연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21)는 상기 커버본체(21)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21)는 상기 커버부(2)의 본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커버부(2)는 삽입공(2a), 및 인입공(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공(2a)은 상기 연결부(4)가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결부(4)가 상기 삽입공(2a)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커버부(2)와 상기 연결부(4)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밀폐부(3)는 상기 커버부(2)와 상기 연결부(4)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삽입공(2a)은 상기 커버본체(2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공(2a)은 상기 커버본체(21)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공(2a)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입공(2b)은 상기 수술기구(300)가 상기 복부(200)로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술기구(300)는 내시경, 집게, 가위, 메스, 및 트로카(Trocar) 등 수술에 사용되는 모든 기구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인입공(2b)은 상기 수술기구(300)가 삽입되기 위한 홀(Holl)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입공(2b)은 상기 커버본체(2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입공(2b)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입공(2b)은 상기 삽입공(2a)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인입공(2b)은 상기 삽입공(2a)에 대해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은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가 상기 복부(2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복부(200)에서 상기 커버부(2)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은 전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의 높이가 높아지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도 5에서는 상기 커버본체(21)에 하나의 인입공(2b)이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커버본체(21)에는 2개 이상의 인입공(2b)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밀폐부(3)는 상기 커버부(2)와 상기 연결부(4) 사이의 틈새를 밀폐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밀폐부(3)는 상기 커버부(2)와 상기 연결부(4)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밀폐부(3)는 상기 커버부(2)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2)의 내면은 상기 삽입공(2a)을 향하는 상기 커버부(2)의 면(面)일 수 있다. 상기 밀폐부(3)는 전체적으로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밀폐부(3)는 탄성(彈性)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4)가 상기 삽입공(2a)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삽입공(2a)의 크기를 증대시킴과 아울러 상기 삽입공(2a)의 크기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4)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밀폐부(3)가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어 크기가 변경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상기 연결부(4)의 크기가 소정 범위 내에서 변경되더라도 상기 밀폐부(3)를 통해 다양한 크기를 갖는 연결부(4)가 상기 삽입공(2a)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상기 삽입공(2a)에 삽입된 상기 연결부(4)를 상기 삽입공(2a)의 크기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커버부(2)와 상기 연결부(4) 사이에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삽입공(2a)의 크기는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삽입공(2a)의 직경(Diameter)일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은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과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 각각에 대해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과 반대방향일 수 있다. 상기 밀폐부(3)는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밀폐부(3)에는 제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한홈은 상기 연결부(4)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한홈은 상기 밀폐부(3)의 내면(3a)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폐부(3)의 내면(3a)은 상기 삽입공(2a)을 향하는 상기 밀폐부(3)의 면(面)일 수 있다. 상기 제한홈은 상기 연결부(4)가 상기 밀폐부(3)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밀폐부(3)의 내면(3a)으로부터 소정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연결부(4)는 상기 복부(200)에 삽입되어 인체 내부로 가스가 주입되도록 안내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4)는 상기 복부(200) 내부로 가스가 주입되도록 상기 복부(200)의 내부 및 상기 복부(200)의 외부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는 상기 복부(200) 내부로 수술기구(300)가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4)는 절개된 장기 조직 등과 같은 적출물을 인체 외부로 꺼내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는 전체적으로 운드 리트랙터(Wound Retractor)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는 상기 커버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는 상기 밀폐부(3)를 통해 상기 커버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는 상기 커버부(2)에 대해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는 상기 커버부(2)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연결부(4)는 전체적으로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는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연결부(4)는 연결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본체는 상기 삽입공(2a)에 삽입된 것이다. 상기 연결본체는 상기 연결부(4)의 본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연결본체는 상기 연결부(4)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연결본체는 복강경 수술시, 상기 복부(20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연결부(4)는 주입공(4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입공(4a)은 상기 가스가 상기 복부(200) 내부로 주입되도록 통과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주입공(4a)은 상기 수술기구(300)가 상기 복부(200)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방향 및 상기 수술기구(300)가 상기 복부(200) 내부로 삽입 해제되는 삽입 해제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수술기구(300)를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삽입방향은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해당함과 아울러, 상기 삽입 해제방향은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주입공(4a)은 상기 커버부(2)가 상기 연결부(4)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공(2a)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주입공(4a)은 상기 삽입공(2a)에 대해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삽입공(2a)은 상기 주입공(4a)과 상기 인입공(2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입공(2b)에 삽입된 상기 수술기구(300)는 상기 삽입공(2a)과 상기 주입공(4a)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복부(20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주입공(4a)은 상기 연결본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공(4a)은 상기 연결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공(4a)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연결부(4)는 결합부재(41), 제1지지부재(42), 및 통로부재(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41)는 상기 연결부(4)가 상기 삽입공(2a)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밀폐부(3)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재(41)는 상기 밀폐부(3)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커버부(2)와 상기 연결부(4)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41)는 전체적으로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41)는 상기 연결부(4)가 상기 복부(200)에 삽입된 경우 상기 복부(20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41)는 수술시 상기 연결부(4)가 상기 복부(200)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41)는 상기 연결본체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외측방향은 상기 삽입공(2a)에서 상기 커버본체(21)를 향하는 방향에 해당함과 아울러 상기 삽입공(2a)의 직경이 증가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4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시 상기 복부(20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연결부(4)가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41)는 상기 제1지지부재(4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41)는 상기 제1지지부재(42)에 대해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41)는 상기 통로부재(4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41)는 상기 통로부재(4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부재(41)는 상기 통로부재(43)에 비해 더 큰 강도(Strength)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결합부재(41)는 상기 통로부재(43)를 접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상기 통로부재(43)에 비해 더 큰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두께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길이일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41)는 상기 통로부재(43)에 비해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41)는 상기 제1지지부재(42) 쪽으로 접힘에 따라 크기가 증가되도록 상기 통로부재(43)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결합부재(4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접힘에 따라 상기 두께가 증가하도록 상기 통로부재(43)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상기 결합부재(41)가 상기 밀폐부(3)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삽입공(2a)의 크기를 증가시킴과 아울러 상기 삽입공(2a)의 크기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상기 삽입공(2a)에 삽입된 상기 결합부재(41)를 가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밀폐부(3)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크기가 변경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상기 결합부재(41)의 크기가 증가하더라도 상기 밀폐부(3)를 통해 다양한 크기를 갖는 연결부(4)가 상기 삽입공(2a)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상기 삽입공(2a)에 삽입된 상기 결합부재(41)를 상기 삽입공(2a)의 크기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커버부(2)와 상기 연결부(4) 사이에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수술시 발생될 수 있는 충격, 진동 등에 의해 상기 커버부(2)가 상기 연결부(4)로부터 분리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삽입공(2a)의 크기가 증가하는 방향은 상기 외측방향과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삽입공(2a)의 크기가 감소하는 방향은 상기 외측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인 내측방향과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42)는 상기 결합부재(4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것이다. 상기 제1지지부재(42)는 상기 결합부재(41)에 대해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42)는 상기 연결부(4)가 상기 복부(200)에 삽입된 경우, 상기 복부(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42)는 수술시 상기 연결부(4)가 상기 복부(200)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42)는 상기 연결본체로부터 상기 외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4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시 상기 복부(200)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연결부(4)가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42)는 상기 통로부재(4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42)는 상기 통로부재(4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42)는 상기 통로부재(43)에 비해 더 큰 강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지지부재(42)는 상기 통로부재(43)를 접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상기 통로부재(43)에 비해 더 큰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41)는 상기 통로부재(43)에 비해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로부재(43)는 상기 결합부재(41)와 상기 제1지지부재(42) 각각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통로부재(43)는 상기 결합부재(41)와 상기 제1지지부재(4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통로부재(43)는 가스와 상기 수술기구(300)가 통과하거나 상기 가스가 통과하기 위한 통로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로부재(43), 상기 결합부재(41), 및 상기 제1지지부재(42)는 모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통로부재(43)는 수술시 상기 복부(20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통로부재(43)의 상기 내측방향에는 상기 주입공(4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상기 결합부재(41)가 상기 제1지지부재(42) 쪽으로 접힘에 따라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통로부재(43)의 길이가 감소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41)가 상기 통로부재(43)에 감겨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상기 결합부재(41)와 상기 제1지지부재(42) 사이의 이격거리가 변경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연결부(4)가 다양한 크기를 갖는 복부(200)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상기 연결부(4)에 대한 사용상의 범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임과 아울러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과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 각각에 대해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상기 연결부(4)가 이른바 3단 구조로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부(4)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연결부(4)는 상기 결합부재(41), 상기 제1지지부재(42), 및 제2지지부재(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41)는 상기 연결부(4)가 상기 삽입공(2a)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밀폐부(3)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재(41)는 상기 밀폐부(3)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연결부(4)와 상기 커버부(2)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41)는 전체적으로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41)는 나사 결합을 이용하여 상기 밀폐부(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부재(41)의 외면에는 복수개의 나사산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밀폐부(3)의 내면(3a)에는 복수개의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상기 커버부(2)를 회전시키는 작업만으로 상기 커버부(2)를 상기 연결부(4)로부터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결합 내지 분리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밀폐부(3)의 내면(3a)에 복수개의 나사산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결합부재(41)의 외면에 복수개의 나사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부재(41)는 상기 제1지지부재(42)와 상기 제2지지부재(44)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41)는 상기 제1지지부재(42)와 상기 제2지지부재(44) 각각으로부터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41)는 상기 연결부(4)의 외측통로부재(46)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측통로부재(46)는 상기 수술기구(300)와 상기 가스가 통과하기 위한 통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외측통로부재(46)는 전체적으로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41)는 상기 외측통로부재(46)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부재(41)는 상기 외측통로부재(46)에 비해 더 큰 강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결합부재(41)는 상기 외측통로부재(46)를 접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상기 외측통로부재(46)에 비해 더 큰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41)는 상기 외측통로부재(46)에 비해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제1지지부재(42)는 상기 결합부재(4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것이다. 상기 제1지지부재(42)는 상기 결합부재(41)와 상기 제2지지부재(44) 각각으로부터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42)는 상기 연결부(4)가 상기 복부(200)에 삽입된 경우, 상기 복부(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42)는 수술시 상기 연결부(4)가 상기 복부(200)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42)는 상기 연결본체로부터 상기 외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4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시 상기 복부(200)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연결부(4)가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42)는 상기 연결부(4)의 내측통로부재(4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측통로부재(45)는 상기 수술기구(300)와 상기 가스가 통과하기 위한 통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내측통로부재(45)는 전체적으로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42)는 상기 내측통로부재(45)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42)는 상기 내측통로부재(45)에 비해 더 큰 강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지지부재(42)는 상기 내측통로부재(45)를 접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상기 내측통로부재(45)에 비해 더 큰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42)는 상기 통로부재(43)에 비해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제2지지부재(44)는 상기 결합부재(41)와 상기 제1지지부재(42) 사이에 배치된 것이다. 상기 제2지지부재(44)는 상기 결합부재(41)에 대해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 쪽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1지지부재(42)에 대해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44)는 상기 연결부(4)가 상기 복부(200)에 삽입된 경우, 상기 복부(20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44)는 수술시 상기 연결부(4)가 상기 복부(200)의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44)는 상기 연결본체로부터 상기 외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44)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시 상기 복부(200)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연결부(4)가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44)는 상기 내측통로부재(45)와 상기 외측통로부재(46)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측통로부재(46)는 상기 내측통로부재(45)에 대해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44), 상기 내측통로부재(45), 및 상기 외측통로부재(46)는 모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44)는 상기 내측통로부재(45)와 상기 외측통로부재(46) 각각에 비해 더 큰 강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44)는 상기 내측통로부재(45)와 상기 외측통로부재(46) 각각에 비해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상기 결합부재(41)가 상기 밀폐부(3)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삽입공(2a)의 크기를 증가시킴과 아울러 상기 삽입공(2a)의 크기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상기 삽입공(2a)에 삽입된 상기 결합부재(41)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소정 범위 내에서 상기 결합부재(41)의 크기가 증가하더라도 상기 밀폐부(3)를 통해 다양한 크기를 갖는 연결부(4)가 상기 삽입공(2a)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상기 삽입공(2a)에 삽입된 상기 결합부재(41)를 상기 삽입공(2a)의 크기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커버부(2)와 상기 연결부(4) 사이에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수술시 발생될 수 있는 충격, 진동 등에 의해 상기 커버부(2)가 상기 연결부(4)로부터 분리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상기 제2지지부재(44)가 상기 제1지지부재(42) 쪽으로 접힘에 따라 상기 내측통로부재(45)의 길이가 감소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44)가 상기 내측통로부재(45)에 감겨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상기 제2지지부재(44)와 상기 제1지지부재(42) 사이의 이격거리가 변경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연결부(4)가 다양한 크기를 갖는 상기 복부(200)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상기 연결부(4)에 대한 사용상의 범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이른바 3단 구조에서, 상기 결합부재(41)와 상기 제2지지부재(44) 각각에 대한 개별적인 접힘 가공이 가능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결합부재(41)의 크기와 상기 내측통로부재(45)의 길이 각각을 조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소위 2단 구조로 구현된 실시예는 상기 결합부재(41)의 크기와 상기 통로부재(43)의 길이가 서로 종속적으로 변경되도록 구현되므로, 상기 결합부재(41)가 소정 범위 이상으로 크기가 증가될 경우, 상기 삽입공(2a)이 상기 연결부(4)를 수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소위 2단 구조로 구현된 실시예와 대비하여 볼 때, 상기 연결부(4)에 대한 사용상의 범용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가스주입부, 및 가스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주입부는 상기 복부(200) 내부에 상기 가스를 주입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스주입부는 상기 커버부(2)에 상기 가스를 주입시킴으로써, 상기 복부(200) 내부에 상기 가스를 주입시킬 수 있다. 상기 가스주입부는 상기 커버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스주입부는 상기 커버부(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스주입부는 전체적으로 호스(hose)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가스배출부는 상기 복부(200) 내부로부터 상기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스배출부는 상기 가스주입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스배출부는 상기 커버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스배출부는 상기 커버부(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스배출부는 전체적으로 호스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제거부(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거부(5)는 상기 수술기구(300)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거부(5)는 상기 수술기구(300)가 닦임에 따라 상기 수술기구(300)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이물질이란 수분, 피, 절개된 장기 조직 등과 같은 물질일 수 있다. 의료진은 상기 수술기구(300)를 상기 제거부(5)에 접촉시킴으로써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상기 제거부(5)를 포함함으로써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거부(5)는 전체적으로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거부(5)는 거즈, 천, 면 등과 같은 흡수력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거부(5)는 상기 연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거부(5)는 상기 연결부(4)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의 내면은 상기 주입공(4a)을 향하는 상기 연결부(4)의 면(面)일 수 있다. 상기 제거부(5)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부착수단(미도시)을 통해 상기 연결부(4)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지지부(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6)는 상기 제거부(5)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이물질 제거 작업 도중 상기 수술기구(300)가 상기 제거부(5)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제거부(5)를 가압하더라도, 상기 지지부(6)가 상기 제거부(5)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상기 지지부(6)를 통해 이물질 제거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부(6)는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제거부(5)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6)는 상기 연결부(4)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6)는 상기 연결부(4)의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상기 지지부(6)가 상기 연결부(4)의 상기 결합부재(41)에 형성된 것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이로부터 상기 지지부(6)가 상기 연결부(4)의 다른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도출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상기 지지부(6)는 상술한 이른바 3단 구조에서 상기 제2지지부재(44)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6)는 상기 연결부(4)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거부(5)를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거부(5)는 상기 수술기구(300)가 상기 인입공(2b)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술기구(300)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의료진이 상기 수술기구(300)를 상기 인입공(2b)으로부터 삽입 해제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연결부(4)에 형성된 상기 제거부(5)를 통해 이물질 제거 작업이 수행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이물질 제거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의료진이 상기 수술기구(300)를 상기 인입공(2b)에 삽입한 상태에서 이물질 제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상기 수술기구(300)를 상기 인입공(2b)으로부터 삽입 해제시키는 등의 일련의 과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종래 기술과 대비하여 볼 때, 전체적인 수술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이물질 제거 작업 이후, 수술 진행을 위해 상기 수술기구(300)가 다시 상기 인입공(2b)에 삽입될 필요가 없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의료진이 상기 수술기구(300)를 환자의 환부에 계속 위치시켜 수술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수술에 대한 안정성과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상기 수술기구(300)가 상기 인입공(2b)에 계속하여 삽입된 채로 수술이 진행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상기 수술기구(300)가 상기 커버부(2)의 외부 환경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세균 등이 상기 수술기구(300)에 감염됨에 따라 환자의 환부에 접촉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환자의 2차 감염 등의 의료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지지부(6)는 제거지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거지지면은 상기 제거부(5)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거지지면은 상기 제거부(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6)가 상기 결합부재(41)에 형성된 경우, 상기 제거지지면은 상기 제거부(5)를 향하는 상기 결합부재(41)의 면(面)일 수 있다. 상기 제거지지면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거지지면은 상기 결합부재(41)가 상기 제1지지부재(42) 쪽으로 접힘에 따라 크기가 증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지지부(6)와 상기 제거부(5)에 대한 여러가지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거부(5)는 제거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거면은 상기 수술기구(300)가 접촉되는 것이다. 상기 제거면은 상기 수술기구(300)가 접촉되는 상기 제거부(5)의 일면일 수 있다. 상기 제거면은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거면은 상기 제거지지면에 대해 경사지도록 배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상기 제거면이 상기 제거지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실시예와 대비하여 볼 때, 상기 제거면의 크기를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상기 제거부(5)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제거용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제거부(5)의 사용주기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거면은 상기 수술기구(300)가 삽입된 상기 주입공(4a)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상기 제거면이 상기 제거지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실시예와 대비하여 볼 때, 의료진에게 이물질 제거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의료진은 상기 수술기구(300)를 상기 삽입 해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수술기구(300)를 상기 제거면에 접촉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제거면이 상기 주입공(4a)을 향하도록 배치된 실시예는 의료진이 상기 수술기구(300)를 상기 삽입 해제방향으로만 이동시키더라도 이물질 제거 작업이 수행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거부(5)는 약품처리부재, 및 건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품처리부재는 상기 수술기구(300)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약품처리부재는 식염수, 수분 등과 같은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상기 제거부(5)가 상기 약품처리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이물질 제거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소정의 수분을 함유하는 약품처리부재는 상기 건조부재에 비해 이물질을 더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약품처리부재는 상기 연결부(4)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약품처리부재는 상기 부착부를 통해 상기 지지부(6)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건조부재는 상기 약품처리부재에 비해 건조한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약품처리부재가 제1수분량을 함유하는 경우, 상기 건조부재는 상기 제1수분량에 비해 낮은 제2수분량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상기 제거부(5)가 상기 건조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이물질 제거 작업에 대한 완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건조부재는 상기 수술기구(300)가 상기 약품처리부재에 접촉됨에 따라 묻은 수분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건조부재는 상기 약품처리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건조부재는 상기 약품처리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건조부재는 상기 연결부(4)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건조부재는 상기 부착부를 통해 상기 연결부(4)의 내면(3a)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의료진이 상기 약품처리부재와 상기 건조부재 각각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상기 제거부(5)에 대한 사용상의 범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건조부재 및 상기 약품처리부재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의료진이 수술 도중 크기 차이를 통해 상기 건조부재와 상기 약품처리부재를 식별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상기 건조부재와 상기 약품처리부재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건조부재 및 상기 약품처리부재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서로 다른 색체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건조부재는 상기 약품처리부재에 비해 더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상기 약품처리부재가 상기 건조부재에 비해 더 큰 제거면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상기 약품처리부재가 상기 건조부재에 비해 더 큰 사용용량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건조부재는 상기 약품처리부재에 비해 더 큰 크기로 형성되거나 상기 약품처리부재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배출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링은 상기 복부(200) 내부에 삽입된 상기 연결부(4)를 인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의료진은 수술이 완료된 후 상기 배출링을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연결부(4)를 상기 복부(20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배출링에는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링은 상기 연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출링은 통로부재들(45, 46)에 비해 강도가 높은 지지부재들(42, 44), 또는 결합부재(41)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상기 수술기구(300)가 상기 인입공(2b)으로부터 삽입 해제될 필요없이 상기 제거부(5)를 통해 이물질 제거작업이 수행되도록 구현됨과 더불어 상기 가스가 상기 커버부(2)의 외부로 유출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부(2)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커버부(2)는 체크밸브(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22)는 상기 인입공(2b)이 개방되는 개방상태(OC)와 상기 인입공(2b)이 폐쇄되는 폐쇄상태(CC) 간에 전환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인입공(2b)은 상기 수술기구(300)가 상기 삽입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개방상태(OC)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인입공(2b)은 상기 수술기구(300)가 상기 삽입 해제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폐쇄상태(CC)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22)는 상기 커버본체(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22)는 상기 커버본체(2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체크밸브(22)는 상기 인입공(2b)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22)는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탄성력(彈性力)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22)는 기준부재(221), 및 이동부재(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부재(221)는 상기 커버부(2)에 형성된 것이다. 상기 기준부재(221)는 상기 인입공(2b)을 향하는 상기 커버부(2)의 면(面)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준부재(221)에는 상기 이동부재(222)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준부재(221)는 전체적으로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222)는 상기 기준부재(221)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이동부재(222)는 상기 기준부재(221)에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222)는 상기 기준부재(22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부재(222)는 상기 기준부재(221)에 복수개 결합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2개의 이동부재(222)가 상기 기준부재(221)에 결합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체크밸브(22)는 1개의 이동부재(222) 또는 3개 이상의 이동부재(22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체크밸브(22)의 동작에 관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체크밸브(2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폐쇄상태(CC)에서 상기 가스가 상기 커버부(2)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222)가 상기 인입공(2b)을 폐쇄하고 있기 때문이다. 도 12에 도시된 진한 화살표는 상기 가스의 개략적인 유동방향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폐쇄상태(CC)에서, 상기 수술기구(300)는 상기 복부(200)에 삽입되기 위해 상기 인입공(2b)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수술기구(300)는 상기 인입공(2b)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22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부재(222)는 전체적으로 상기 기준부재(221)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222)는 상기 인입공(2b)을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상기 체크밸브(22)는 상기 인입공(2b)을 상기 폐쇄상태(CC)에서 상기 개방상태(OC)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개방상태(OC)에서, 상기 기준부재(221)는 상기 삽입 해제방향으로 탄성력에 의한 복원력을 상기 이동부재(222)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부재(222)는 전체적으로 상기 기준부재(221)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222)는 상기 인입공(2b)의 크기가 증가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체크밸브(22)는 상기 수술기구(300)가 상기 복부(20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인입공(2b)을 개방시키는 반면 상기 개방상태(OC)에서 상기 인입공(2b)의 크기가 증가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상기 수술기구(300)가 상기 인입공(2b)으로부터 삽입 해제될 필요없이 상기 제거부(5)를 통해 이물질 제거작업이 수행되도록 구현됨과 아울러 상기 가스가 상기 개방상태(OC)에서 상기 커버부(2)의 외부로 유출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걸림부(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7)는 상기 커버부(2)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걸림부(7)는 상기 커버부(2)의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7)는 상기 연결부(4)가 갖는 걸림지지면(47)에 지지됨에 따라 상기 커버부(2)가 연결부(4)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걸림지지면(47)은 상기 걸림부(7)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걸림지지면(47)은 상기 걸림부(7)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걸림부(7)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걸림지지면(47)은 상기 연결부(4)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은 상기 걸림지지면(47)이 상기 결합부재(41)에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걸림지지면(47)은 상기 제2지지부재(44)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걸림부(7)는 상기 걸림지지면(47)에 걸리는 걸림위치(HP)와 상기 걸림지지면(47)에 대한 걸림이 해제되는 걸림 해제위치(CP) 간에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걸림위치(HP)에서, 상기 걸림부(7)는 상기 연결부(4)의 이동을 제한시킴으로써 상기 커버부(2)와 상기 연결부(4)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걸림부(7)는 상기 걸림위치(HP)에서 상기 걸림 해제위치(CP) 간에 전한되는 경우 상기 커버부(2)를 기준으로 하여 전체적으로 상기 외측방향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걸림 해제위치(CP)에서, 상기 커버부(2)는 상기 연결부(4)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7)는 전체적으로 갈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7)는 상기 커버부(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걸림부(7)는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걸림부(7)는 고정부재(71), 연결부재(72), 및 걸림부재(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71)는 상기 커버부(2)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71)는 상기 커버본체(21)와 상기 연결부재(72)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72)는 상기 고정부재(71)와 상기 걸림부재(73) 각각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72)는 상기 걸림부재(73)가 상기 걸림위치(HP)와 상기 걸림 해제위치(CP) 간에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고정부재(71)와 상기 걸림부재(73)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72)는 상기 고정부재(71)와 상기 걸림부재(7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73)는 상기 걸림지지면(47)에 지지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걸림부재(73)는 상기 연결부재(7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73)는 상기 고정부재(71)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걸림위치(HP)와 상기 걸림 해제위치(CP) 간에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연결부재(7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73)는 상기 연결부재(72)로부터 상기 내측방향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73), 상기 연결부재(72), 및 상기 고정부재(71)는 모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걸림부(7)에는 제1걸림면(74), 및 제2걸림면(7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면(74)은 상기 걸림지지면(47)에 지지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걸림면(74)은 상기 걸림지지면(47)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걸림지지면(47)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면(74)은 상기 걸림부재(73)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면(74)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면(75)은 상기 제1걸림면(74)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제2걸림면(75)은 상기 고정부재(7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면(75)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면(75)과 상기 제1걸림면(74) 사이의 끼인각(θ)은 서로 예각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상기 제2걸림면(75)과 상기 제1걸림면(74) 사이의 끼인각(θ)이 둔각을 이루는 비교예와 대비하여 볼 때, 상기 걸림위치(HP)에서 상기 걸림부(7)가 상기 걸림지지면(47)에 지지되는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는 상기 커버부(2)가 상기 연결부(4)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걸림면(75)과 상기 제1걸림면(74) 사이의 끼인각(θ)은 직각을 이룰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걸림부(7)는 상기 커버부(2)에 복수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걸림부(7)들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2)가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걸림부(7)들은 상기 커버부(2)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7)들 각각은 대략적으로 서로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도 5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용 커버장치(10)는 상기 복부(200) 내부로 유입된 가스가 상기 복부(20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용 커버장치(10)는 상기 커버부(2), 및 상기 밀폐부(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2), 및 상기 밀폐부(3)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장치(1)를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복강경 수술장치 2 : 커버부
3 : 밀폐부 4 : 연결부
5 : 제거부 6 : 지지부
7 : 걸림부 10 : 복강경 수술용 커버장치
2a : 삽입공 2b : 인입공
21 : 커버본체 22 : 체크밸브
OC : 개방상태 CC : 폐쇄상태
3a : 밀폐부의 내면 4a : 주입공
41 : 결합부재 42 : 제1지지부재
43 : 통로부재 44 : 제2지지부재
45 : 내측통로부재 46 : 외측통로부재
47 : 걸림지지면 71 : 고정부재
72 : 연결부재 73 : 걸림부재
75 : 제1걸림면 76 : 제2걸림면
HP : 걸림위치 CP : 걸림 해제위치
221 : 기준부재 222 : 이동부재

Claims (11)

  1. 복부(Abdomen)에 삽입되어 인체 내부로 가스가 주입되도록 안내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도록 상기 커버부와 상기 연결부 각각에 결합된 밀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가스를 안내하는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며, 상기 관통공에 연통되는 삽입공을 포함하며,
    상기 밀폐부는 상기 삽입공을 향하는 커버부의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가 상기 삽입공에 삽입됨에 따라 밀폐부가 압착되는 복강경 수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3cm 이상 5cm 이하의 직경(Diameter)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수술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됨에 따라 밀폐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결합부재 각각에 결합된 통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재 쪽으로 접힘에 따라 크기가 증가되도록 상기 통로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밀폐부는 탄성(彈性)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삽입공의 크기를 증가시킴과 아울러 상기 삽입공의 크기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상기 결합부재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수술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됨에 따라 밀폐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제1지지부재,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된 제2지지부재, 상기 제2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 각각에 결합된 내측통로부재, 및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결합부재 각각에 결합된 외측통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통로부재는 상기 제2지지부재가 상기 제1지지부재 쪽으로 접힘에 따라 길이가 감소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재 쪽으로 접힘에 따라 크기가 증가되도록 상기 외측통로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수술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술기구가 닦임에 따라 상기 수술기구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거부; 및
    상기 제거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수술기구가 상기 복부 내부로 삽입되기 위한 인입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거부는 상기 수술기구가 상기 인입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술기구에 묻은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상기 연결부의 내면에 형성된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수술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수술기구가 삽입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인입공이 개방되는 개방상태와 상기 수술기구가 삽입 해제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인입공이 폐쇄되는 폐쇄상태 간에 전환되기 위한 체크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커버부에 형성된 기준부재, 및 상기 기준부재에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폐쇄상태에서 상기 개방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기준부재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삽입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인입공을 개방시키고,
    상기 개방상태에서, 상기 기준부재는 상기 삽입 해제방향으로 탄성력에 의한 복원력을 상기 이동부재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수술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의 내면에는 상기 연결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수술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 결합된 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걸림부를 지지하는 걸림지지면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지지면에 걸리는 걸림위치와 상기 걸림지지면에 대한 걸림이 해제되는 걸림 해제위치 간에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부에 결합되되, 상기 걸림위치에서 상기 연결부의 이동을 제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수술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지지면에 지지되기 위한 걸림부재, 상기 커버부에 결합된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걸림위치와 상기 걸림 해제위치 간에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걸림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각각에 연결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수술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에는 상기 걸림지지면에 지지되기 위한 제1걸림면, 및 상기 제1걸림면에 연결된 제2걸림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걸림면과 상기 제1걸림면 사이의 끼인각은 서로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수술장치.
  11. 삭제
KR1020190098154A 2019-08-12 2019-08-12 복강경 수술용 커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강경 수술장치 KR102258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154A KR102258347B1 (ko) 2019-08-12 2019-08-12 복강경 수술용 커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강경 수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154A KR102258347B1 (ko) 2019-08-12 2019-08-12 복강경 수술용 커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강경 수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242A KR20210019242A (ko) 2021-02-22
KR102258347B1 true KR102258347B1 (ko) 2021-05-31

Family

ID=74687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154A KR102258347B1 (ko) 2019-08-12 2019-08-12 복강경 수술용 커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강경 수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34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61049A1 (en) * 1997-04-30 2006-07-20 Richard Beane Surgical access port
US20130217973A1 (en) * 2001-10-20 2013-08-22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Wound retrac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301914B1 (ko) * 2011-11-09 2013-08-30 (주)유원메디텍 수술용 싱글포트
KR101866488B1 (ko) * 2016-08-26 2018-07-04 (주)써지코어 복강경 수술용 운드 리트랙터
US20180256283A1 (en) * 2017-03-07 2018-09-13 Carefusion 2200, Inc. Trocar assembly with a cleaning element for use during a laparoscopic procedu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61049A1 (en) * 1997-04-30 2006-07-20 Richard Beane Surgical access port
US20130217973A1 (en) * 2001-10-20 2013-08-22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Wound retrac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301914B1 (ko) * 2011-11-09 2013-08-30 (주)유원메디텍 수술용 싱글포트
KR101866488B1 (ko) * 2016-08-26 2018-07-04 (주)써지코어 복강경 수술용 운드 리트랙터
US20180256283A1 (en) * 2017-03-07 2018-09-13 Carefusion 2200, Inc. Trocar assembly with a cleaning element for use during a laparoscopic proced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242A (ko) 2021-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9474B2 (en) Trocar for laparoscopic surgery
KR100813755B1 (ko) 의료용 처치 용구
US11213319B2 (en) Trocar surgical seal
US5439455A (en) Combination introducer cannula and reducer for use therein
JP2010527710A (ja) カニューレ用シール組立体
JP2007330805A (ja) カニューレ組立体
KR20100112086A (ko) 일회용 시일을 갖는 외과용 접근 장치
KR20100100700A (ko) 체강으로의 접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IE863133L (en) Draining fluid from a body cavity
CN111839617A (zh) 单孔多通道腹腔镜手术装置
KR20150144954A (ko) 트로카
ES2728664T3 (es) Sistema de cirugía por orificios naturales
KR102258347B1 (ko) 복강경 수술용 커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강경 수술장치
KR101384126B1 (ko) 봉합사 삽입키트
JP3334118B2 (ja) トロッカ−
JP2010527640A (ja) 可撓性外部カニューレシース
KR101622245B1 (ko) 카테터 고정장치
WO2012153998A2 (ko) 내시경 수술도구 가이더포트 및 수술도구 가이더포트용 가스배출밸브
KR102267317B1 (ko) 싱글포트 및 싱글포트용 제거장치
RU7011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ксации троакара в оперативном лапароскопическом доступе
KR101714393B1 (ko) 접근 장치
KR20180068074A (ko) 복강경 수술용 복벽 견인장치
KR101393496B1 (ko) 봉합사 삽입키트
CN210170642U (zh) 医用导管固定器
JP3312508B2 (ja) トロッ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