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8074A - 복강경 수술용 복벽 견인장치 - Google Patents

복강경 수술용 복벽 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8074A
KR20180068074A KR1020160169662A KR20160169662A KR20180068074A KR 20180068074 A KR20180068074 A KR 20180068074A KR 1020160169662 A KR1020160169662 A KR 1020160169662A KR 20160169662 A KR20160169662 A KR 20160169662A KR 20180068074 A KR20180068074 A KR 20180068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abdominal wall
air
air bag
abdo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수
김남수
하용수
조형선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69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8074A/ko
Publication of KR20180068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0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81Abdominal wall lif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9/00Dilators with or without means for introducing media, e.g. remedies
    • A61M29/02Dilators made of swellable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복강경 수술용 복벽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강경 수술용 복벽 견인장치는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제1 튜브, 양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제1 튜브와 수평방향으로 제1 튜브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2 튜브, 제1 튜브의 일단 외주연에 위치하는 공기주머니, 양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일단이 공기주머니에 연결되어 있는 제3 튜브, 그리고 제3 튜브의 다른 일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 장치로부터 주입되는 공기를 제3 튜브 및 공기주머니로 전달하는 공기주입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강경 수술용 복벽 견인장치{ABDOMINAL WALL RETRACTOR FOR LAPAROSCOPIC SURGERY}
본 발명은 복강경 수술용 복벽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강경 수술은 환자의 배에 몇 개의 절개창을 내어 수술을 진행하는 방법으로 복수개의 절개창 중 하나의 절개창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주입하여 복강을 부풀린 후 다른 절개창을 통해 복강경 및 수술도구들을 삽입하여 수술한다. 구체적으로, 베레스 니들(veress needle)을 통해 복강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하여 복강을 부풀려 복강에서 복강경의 시야를 확보하고 수술도구들의 조작 공간을 확보한다. 이로 인해, 복강경, 베레스 니들 및 수술도구를 삽입할 수 있는 최소 3개 이상의 수술 절개창이 필요하며 이 경우 환자의 회복 기간이 길고 수술 후에 흉터가 남을 가능성이 크다.
또한, 복강에 가스를 주입하는 경우 주입된 가스가 환자의 체내에 흡수되어 산증(acidosis)이 일어날 수 있으며, 복압이 상승하여 복막이 손상될 수 있고, 노약자에게는 저혈압과 저산소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가스 색전증(air embolism)으로 복압이 상승하는 경우 각종 신경과 혈관이 눌려 심혈관계 허탈이 일어나 환자가 사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복강경 수술시 가스를 주입하여 복강을 부풀리는 방법에는 많은 부작용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해결하려는 과제는 복강경 수술 시 복강에 공기주머니를 삽입한 후 공기를 주입하여 복벽을 들어올리며 공기주머니를 관통하는 튜브를 이용하여 복강으로 복강경을 안내하는 복벽 견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제1 튜브, 양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제1 튜브와 수평방향으로 제1 튜브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2 튜브, 제1 튜브의 일단 외주연에 위치하는 공기주머니, 양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일단이 공기주머니에 연결되어 있는 제3 튜브, 그리고 제3 튜브의 다른 일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 장치로부터 주입되는 공기를 제3 튜브 및 공기주머니로 전달하는 공기주입구를 포함하는 복강경 수술용 복벽 견인장치를 제안한다.
여기서, 제3 튜브는 제1 튜브를 관통하며, 제3 튜브의 일단을 포함하는 제1 영역은 제1 튜브와 수평방향으로 제1 튜브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3 튜브의 다른 일단을 포함하는 제2 영역은 제1 튜브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3 튜브는 제1 튜브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공기주머니는 공기주입구 및 제3 튜브를 통해 전달되는 공기에 의해 확장되며, 외력에 의해 수축될 수 있다.
또한, 제2 튜브는 내부에 복강경 및 수술 도구를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조비용을 최소화하여 간단한 구조의 복벽 견인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복강경 수술시 가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복강에서 복강경의 시야를 확보하고 복강경 및 기타 수술 도구들을 조작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최소 침습 및 최소 절개가 가능하므로 환자의 통증 및 수술 상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수술 절개창으로 인한 감염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벽 견인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복벽 견인장치의 Y 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벽 견인장치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복벽 견인장치의 Y 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복벽 견인장치를 이용하여 복벽을 견인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6은 도 1의 복벽 견인장치를 통과하는 복강경을 나타낸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의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부분, 성분, 영역, 층 및/또는 섹션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어느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1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복강"은 복막으로 둘러쌓여 있는 복부 내부의 공간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벽 견인장치를 나타낸다.
도 1의 복벽 견인장치는 제1 튜브(10), 제1 튜브(10)의 일단 외주연에 위치하는 공기주머니(20), 제1 튜브(10) 내부에 위치하는 제2 튜브(30), 제1 튜브(10)를 관통하는 형태로 제1 튜브(10)의 내부와 외부에 위치하는 제3 튜브(40), 그리고 제3 튜브(40)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는 공기주입구(50)를 포함한다.
도 1에서 제1 튜브(10)의 직경은 제2 튜브(30) 및 제3 튜브(40)의 직경보다 크고, 제2 튜브(30)의 직경은 제3 튜브(40)의 직경보다 크다. 또한, 제2 튜브(30)의 직경은 복강경 및 수술도구들을 수용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제1 튜브(10)는 제2 튜브(30)와 제3 튜브(40)를 수용한다. 구체적으로, 제1 튜브(10) 내부에는 제1 튜브(10)와 수평방향으로 제2 튜브(30) 및 제3 튜브(40)의 일부 영역이 위치하고, 제1 튜브(100) 일단의 외주연에는 공기주머니(20)가 위치한다. 여기서 제1 튜브(10), 제2 튜브(30), 그리고 제3 튜브(40)의 양단은 개방되어 있다.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튜브(10)의 일단을 제1 개방부(11)로 지칭하고 다른 일단을 제2 개방부(12)로 지칭한다. 또한, 제2 튜브(30)의 일단을 제3 개방부(31)로 지칭하고 다른 일단을 제4 개방부(32)로 지칭한다. 또한, 제3 튜브(40)의 일단을 제5 개방부(41)로 지칭하고 다른 일단은 제6 개방부(42)로 지칭한다.
공기주머니(20)는 제1 튜브(10)의 일단 외주연에 위치하며 원통 형상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개방부(11)와 인접한 외주연을 둘러싸는 타원형의 밀폐된 공간을 포함한다. 즉, 제1 튜브(10) 및 제2 튜브(30)는 공기주머니(20)를 관통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공기주머니(20)는 제3 튜브(40)의 제5 개방부(41)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3 튜브(40)를 통해 밀폐된 공간에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 공기주머니(20)가 확장되며, 외력에 의해 밀폐된 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공기주머니(20)가 수축된다. 여기서, 외력은 사용자가 공기주머니(20)를 가압하거나, 또는 제6 개방부(42)에 연결되어 있는 공기주입구(50)에 주사기를 연결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제6 개방부(42)에 연결되어 있는 공기주입구(50)에 주사기를 연결하여 주사기를 통해 공기주머니(20)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제2 튜브(30)는 제1 튜브(10) 내부에 위치하며 제3 개방부(31) 및 제4 개방부(32)를 통과하는 복강경 및 수술도구를 수용한다.
제3 튜브(40)는 제1 튜브(10)를 관통하며 제5 개방부(41)를 포함하는 제1 영역이 제1 튜브(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6 개방부(42)를 포함하는 제2 영역이 제1 튜브(10)의 외부에 위치한다. 또한, 제5 개방부(41)는 제1 튜브(10)를 관통하여 공기주머니(20)에 연결되거나, 또는 공기주머니(20) 내부에 위치한다.
도 2는 도 1의 복벽 견인장치의 Y 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복벽 견인장치의 A 지점과 B 지점의 Y 방향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에서 보면, A 지점 단면도에는 제1 튜브(10) 내부에 제2 튜브(30)와 제3 튜브(40)가 위치한다. 이때, 제2 튜브(30)와 제3 튜브(40)는 도 2와 같이 이격되거나, 또는 접촉될 수 있다. 또한, B 지점 단면도에는 제1 튜브(10) 내부에 제2 튜브(30)만이 위치한다.
다시 도 1의 설명으로 돌아가서, 공기주입구(50)는 제3 튜브(40)의 제6 개방부(42)에 연결되며, 외부에서 주입되는 공기를 제3 튜브(40)로 전달한다. 이때, 주입된 공기는 제3 튜브(40)를 통해 공기주머니(20)로 전달된다. 구체적으로, 공기주입구(50)는 주사기를 통해 공급 또는 배출되는 공기의 손실이 없도록 주사기와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한다.
도 1의 복벽 견인장치는 PVC(polyvinyl chloride, 플라스틱류)로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벽 견인장치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복벽 견인장치의 Y 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튜브(10-1) 내부에 제2 튜브(30-1)가 위치하며, 제1 튜브(10-1) 외부에 제3 튜브(40-1)가 위치하는 복벽 견인장치를 나타낸다. 이때, 제3 튜브(40-1)의 일단은 공기주머니(20-1)에 연결되어 있으며,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복벽 견인장치의 Y 방향 단면도는 도 4와 같다.
도 3에서 제3 튜브(40-1)는 제1 튜브(10-1)의 외부에 접촉되어 있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3 튜브(40-1)는 일단이 공기주머니(20-1)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1 튜브(10-1)와 이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복벽 견인장치를 이용하여 복벽을 견인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먼저, 시술자는 환자의 복부에 하나의 절개창을 생성하고 절개창을 통해 복강으로 도 1의 복벽 견인장치를 넣는다(a). 이때, 시술자는 공기주머니(20)가 수축되어 있는 상태로 절개창을 통과시키며, 공기주머니(20)가 복강에 위치할 때까지 복벽 견인장치를 밀어넣는다.
이후, 시술자는 공기주입구(50)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 장치(60)(예를 들어, 주사기)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고 주입된 공기를 제3 튜브(40)를 통해 공기주머니(20)로 전달하여 복강에 위치하는 공기주머니(20)를 부풀린다(b). 이때, 공기주머니(20)는 타원 형상으로 팽창된다.
이후, 시술자는 제1 튜브(10)를 잡아당겨 복강에서 팽창된 공기주머니(20)가 복벽에 걸리게 한 후 복벽을 끌어올려 복벽과 복강 장기들을 이격시키고 복강에 공간을 형성한다(c). 이때, 타원 형상으로 부풀려진 공기주머니(20)를 이용하여 복벽을 견인시킴으로써 복벽과 공기주머니(20)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복벽을 안정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 또한, 복벽과 복강 장기 사이에 넓은 공간을 확보하고 수술이 종료될 때까지 복강의 공간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후, 시술자는 제2 튜브(30)를 통해 복강경(70)을 복강으로 넣어 복강의 장기 상태를 확인하고 수술도구를 복강으로 넣어 수술할 수 있다(d).
도 6은 도 1의 복벽 견인장치를 통과하는 복강경을 나타낸다.
도 6은 도 5의 (d)에서 제1 튜브(10) 내부에 위치하는 제2 튜브(30)를 통과하는 복강경을 나타내며, 복강경은 제4 단부(32)를 통해 삽입되고 제3 단부(31)를 통과하여 복강에 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벽 견인장치는 절개창을 통해 복강에 넣은 공기주머니를 부풀려 복막을 견인시킴으로써 가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복강에서 복강경의 시야 및 수술도구들의 조작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벽 견인장치는 공기주머니를 관통하는 튜브를 복강경 및 수술도구를 삽입하는 캐뉼러로 활용하여 최소 침습 및 최소 절개로 복강경 수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절개창을 통해 복강경 및 수술도구를 복강으로 진입시켜 수술 대상인 복강 장기를 정확히 타겟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벽 견인장치는 제1 튜브와 제1 튜브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2 튜브를 이용하여 복강경과 수술도구들의 복강 진입을 가이드함으로써 복벽의 혈관 및 신경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벽 견인장치는 방광절개술(cystotomy), 신절제술(nephrectomy) 등의 연조직 수술(soft tissue surgery) 및 생체 일부를 절취하여 육안 및 현미경을 통해 조직학적으로 검사하는 생체검사(biopsy)에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로 변형 및 개량한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 : 제1 튜브
20 : 공기주머니
30 : 제2 튜브
40 : 제3 튜브
50 : 공기주입구

Claims (5)

  1.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제1 튜브,
    양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튜브와 수평방향으로 상기 제1 튜브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2 튜브,
    상기 제1 튜브의 일단 외주연에 위치하는 공기주머니,
    양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일단이 상기 공기주머니에 연결되어 있는 제3 튜브, 그리고
    상기 제3 튜브의 다른 일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 장치로부터 주입되는 공기를 상기 제3 튜브 및 상기 공기주머니로 전달하는 공기주입구
    를 포함하는 복강경 수술용 복벽 견인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3 튜브는 상기 제1 튜브를 관통하며, 제3 튜브의 일단을 포함하는 제1 영역은 상기 제1 튜브와 수평방향으로 상기 제1 튜브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3 튜브의 다른 일단을 포함하는 제2 영역은 상기 제1 튜브의 외부에 위치하는 복강경 수술용 복벽 견인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제3 튜브는 상기 제1 튜브의 외부에 위치하는 복강경 수술용 복벽 견인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공기주머니는 상기 공기주입구 및 상기 제3 튜브를 통해 전달되는 공기에 의해 확장되며, 외력에 의해 수축되는 복강경 수술용 복벽 견인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제2 튜브는 내부에 복강경 및 수술 도구를 수용하는 복강경 수술용 복벽 견인장치.
KR1020160169662A 2016-12-13 2016-12-13 복강경 수술용 복벽 견인장치 KR201800680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662A KR20180068074A (ko) 2016-12-13 2016-12-13 복강경 수술용 복벽 견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662A KR20180068074A (ko) 2016-12-13 2016-12-13 복강경 수술용 복벽 견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074A true KR20180068074A (ko) 2018-06-21

Family

ID=62806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662A KR20180068074A (ko) 2016-12-13 2016-12-13 복강경 수술용 복벽 견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807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89147A (zh) * 2019-01-18 2019-04-09 山东大学齐鲁医院 一种腔镜下使用的牵引扩开装置
KR20220059008A (ko) * 2020-11-02 2022-05-10 동남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기관 튜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89147A (zh) * 2019-01-18 2019-04-09 山东大学齐鲁医院 一种腔镜下使用的牵引扩开装置
KR20220059008A (ko) * 2020-11-02 2022-05-10 동남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기관 튜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31233B1 (en) Insufflating access system
ES2386097T3 (es) Sistema de acceso expansible radialmente que incluye junta estanca de trócar
US9421032B2 (en) Seal port with blood collector
US20140357945A1 (en) Laparoscopic Trocar with Ventriculoperitoneal Shunt Entry Port
US20110124968A1 (en) Surgical portal and introducer assembly
US200800588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in the introduction of surgical implements into a body
US20120190932A1 (en) Expanding surgical access port
US200800586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in the Introduction of Surgical Implements into a Body
US20130190573A1 (en) Wound protector including flexible and rigid liners
US20160120600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creating an opening through an anatomic wall
JP2013523370A (ja) 医学的処置時に腹壁を持ち上げ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11660114B2 (en) Tissue containment systems and related methods
KR20180068074A (ko) 복강경 수술용 복벽 견인장치
KR102268211B1 (ko) 교환 수술 접근 포트 어셈블리 및 그의 사용 방법
US11529170B2 (en) Expandable surgical access port
US9295489B2 (en) Guide tube system for forming pneumoperitoneum and providing route for accessing body cavity
JP2000060862A (ja) カフ付胸腔鏡挿入用外套管
US20200323556A1 (en) Balloon trocar including a pin
JP4709368B2 (ja) 外套管挿入器具
US11576701B2 (en) Surgical access assembly having a pump
US20210259730A1 (en) Surgical access assembly having a button inflator
WO2023212099A1 (en) Laparoscopic trocar devices and methods for peritoneal access
BR102012021227A2 (pt) Portal de acesso único para videocirurgia
KR20230094323A (ko) 복강경 수술 공간의 기체 유출방지용 슬리브
CN114073570A (zh) 具有选择性硬度的柔性插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