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2245B1 - 카테터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카테터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2245B1
KR101622245B1 KR1020150082899A KR20150082899A KR101622245B1 KR 101622245 B1 KR101622245 B1 KR 101622245B1 KR 1020150082899 A KR1020150082899 A KR 1020150082899A KR 20150082899 A KR20150082899 A KR 20150082899A KR 101622245 B1 KR101622245 B1 KR 101622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lid
guide portion
open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원현
이강성
민정식
Original Assignee
(주)상아프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아프론테크 filed Critical (주)상아프론테크
Priority to KR1020150082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2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4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fixed on the skin having a cover for covering the hol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8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having a mainly rigid support 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카테터를 피부 표면 상에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 표면에 접촉하며, 개구부가 형성된 몸체; 및 몸체를 덮도록 형성되는 덮개; 를 포함하며, 덮개를 닫았을 때, 카테터를 개구부로 가이드 하도록 형성되며, 내주면에 카테터를 고정하는 고정 수단이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카테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테터 고정장치{Apparatus for fixing catheter}
본 발명은 카테터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환자의 수술하는 부위 또는 중환자의 기도 등에 차는 분비물을 저진공 압력을 이용하여 강제로 흡인 배출하는 카테터에 있어서, 카테터의 유동이나 이동을 방지함과 아울러 카테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카테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테터는 환자의 수술하는 부위 또는 중환자의 기도 등에 차는 분비물을 저진공 압력을 이용하여 강제로 흡인 배출하는 것이다. 도 1은 통상의 카테터로 사용되고 있는 음압 배액장치인 헤모박(Hemo-vac)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 헤모박의 경우 카테터(1)의 일측에 배액용기(2)가 결속되어 있는 동시에 그 중간부분에 스토퍼(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액용기(2)의 일측에는 고정걸이(4)가 장착되어 배액용기(2)를 침상 등의 적당한 위치에 걸어둘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카테터(1)의 타측에 투관침(Trocar)(5)이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투관침(5)을 이용하여 카테터(1)를 수술 환자의 환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카테터(1)를 피부와 실로 봉합하여 카테터(1)가 환부에서 빠지지 않도록 한 후 수축된 배액용기(2)가 팽창하는 힘에 의해 환부에 고인 혈액이나 체액 등과 같은 분비물을 카테터(1)를 통해 배액용기(2)로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즉, 외과계통의 수술 후에는 조직 내에 혈액이나 삼출액과 인체의 체액이 고이게 되고, 이렇게 고이는 혈액이나 삼출물은 상처의 치유를 방해하여 합병증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의사는 수술 후 혈액이나 삼출물이 조직 내에 고이지 않게 하기 위하여 시중에서 흔히 '헤모박' 또는 '바로박'이라고 불리는 카테터를 사용함으로써 혈액이나 삼출액이 조직 내에 고이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카테터는 환자의 환부 내에 카테터의 끝부분을 보유시킴과 동시에 플라스틱 배액용기의 팽창으로 인해 생성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혈액이나 체액 등의 분비물을 흡입하는데 이용된다. 카테터를 통해 추출된 혈액이나 체액 등과 같은 분비물은 샘플링 검사를 통해 환자의 수술 부위에 대한 예후(豫後) 상태를 의료진이 실시간으로 점검할 수 있는 매개체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많은 양의 표본 물질을 채취해야 하는 경우 그 시술 또는 침습 과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카테터가 환자의 체액 배출 부위에 장기간 단단하게 고정될 필요가 있다. 만약 카테터가 환자의 체액 배출 부위에 단단하게 고정되지 않을 경우 상기 표본 물질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치명적인 감염 또는 상해를 입힐 수 있다.
카테터를 고정하는 종래의 방법은 예를 들어, 인체 외부로 노출된 카테터의 일 부분을 피부봉합 방식을 통하여 인체에 고정하며, 그 부분을 드레싱으로 덮어주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는 카테터를 단단하게 고정할 수가 없어서 환자가 움직이거나 드레싱을 교환할 때 카테터가 인체의 외부로 밀려나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른 종래의 방법은 카테터가 인체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반창고 등의 피부 접착 수단을 사용하여 피부에 고정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는 예를 들어, 시술 또는 침습 시 상기 카테터를 고정시키기 위해 반창고를 피부 접촉 부분에 적절하도록 절단하는 단계를 일일이 거쳐야 하고, 상기 절단된 반창고를 피부에 부착하여 카테터를 고정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상기 반창고를 차후 제거하는 것 자체에 의해 환자의 피부에 부착된 카테터가 의도하지 않게 움직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과정에서 피부 질환 등과 같은 부작용이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카테터가 신체의 내압으로 인해 조금씩 이탈되어도 관찰이 어렵기 때문에 피부와 카테터의 고정 상태를 확인하기 어렵다.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 중증 환자의 경우 카테터의 이탈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환자의 의지에 상관없이 잡아 빼는 행위로 인해 환자의 피부 내부 또는 외부에 치명적인 상해를 입힐 수 있으며, 2차 감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환자의 피부와 카테터를 실로 매듭짓는 피부봉합 방식 또는 피부 접착 수단을 취하지 않으면서 환부에 고인 혈액이나 체액 등과 같은 분비물을 카테터를 통해 인출이 가능하며, 피부와 카테터 사이의 고정 상태가 확인 가능한 카테터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카테터를 피부 표면 상에 고정하는 장치로서, 피부 표면에 접촉하며, 개구부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몸체를 덮도록 형성되는 덮개 및 상기 덮개를 닫았을 때 상기 카테터를 상기 개구부로 가이드 하도록 형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카테터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는 상기 개구부를 덮는 제 1 덮개 및 상기 가이드부를 덮는 제 2 덮개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카테터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 및 상기 덮개에는 각각 반원의 단면을 형성하고 상하 방향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몸체 홈 및 덮개 홈이 형성되어 상기 덮개를 닫았을 때, 원형의 단면을 갖는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부는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며, 내주면의 길이 방향이 각각 상기 개구부 중심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부는 각각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되어 직경이 다른 복수의 카테터를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가이드부 단면의 중심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돌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돌출 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의 내주면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형성되어, 상기 카테터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가이드부 단면의 중심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돌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돌출 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의 내주면 길이 방향을 따라 점점 변하게 형성되어, 상기 카테터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덮개 및 상기 제 2 덮개는 상기 힌지가 형성된 반대편 측에 각각 제 1 걸림 턱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에는 상기 덮개를 닫았을 때 상기 제 1 걸림 턱의 대응하는 제 1 걸림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걸림 턱이 상기 제 1 걸림 홈에 탈착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삭제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덮개는 일측에 상기 제 1 덮개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덮개는 상기 가이드부 입구 측에 형성된 제 2 걸림 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제 2 걸림 턱에 대응하는 제 2 걸림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걸림 턱이 상기 제 2 걸림 홈에 탈착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덮개는 상기 개구부를 볼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는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결합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덮개에는 상기 결합 홀에 끼워지는 결합 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개구면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와 상기 피부 표면 사이를 접착하도록 접착면이 형성된 거즈;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이드부 내부에 돌출 부재를 형성하여 카테터를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였으며, 덮개를 제 1 덮개 및 제 2 덮개로 분리하여 형성함으로써 제 1 덮개만 개방하여 수술 부위의 드레싱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였으며, 복수의 가이드부를 형성하여 동시에 2개의 카테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직경이 다른 카테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통상의 의료용 흡인기로 사용되고 있는 음압 배액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카테터 고정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카테터 고정장치의 일 실시예을 도시하고 있는 상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카테터 고정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카테터 고정장치의 제 1 덮개 및 제 2 덮개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카테터 고정장치의 제 1 덮개만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카테터 고정장치의 제 2 덮개만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카테터 고정장치의 돌출 부재가 지그재그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9c는 본 발명에 의한 카테터 고정장치 돌출 부재의 변형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카테터 고정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또한, 이하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몸체에 형성된 개구부 방향을 “상측 방향”이라 정의하고, 가이드부가 형성된 방향을 “하측 방향”이라고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카테터(1)는 중공의 원통 형태로서 신체 내로 약품 용액을 주입하거나 신체로부터 배출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에서 카테터(1)는 수액의 주입이나, 체액 순환 또는 배출을 위하여 신체에 삽입되어 내재하는 튜브 카테터, 기관지 튜브, 중심장 정맥 카테터 및 흡입 카테터 등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카테터 고정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카테터 고정장치의 일 실시예을 도시하고 있는 상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카테터 고정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몸체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몸체(20)의 상측 방향에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개구부(20a)가 형성되어 있다. 몸체(20)의 저면은 피부 표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몸체(20)는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하측 방향에는 반원의 단면을 갖으며, 외측에서 내측에 형성된 개구부(20a)까지 카테터(1)를 가이드 하는 몸체 홈(30a)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20)에는 몸체 홈(30a)을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2개의 몸체 홈(30a)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 홈(30a)을 복수 개로 형성하는 이유는 쓰이는 용도에 따라 카테터(1)의 직경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카테터(1)를 좀 더 잘 고정하며, 카테터(1)의 직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몸체 홈(30a) 중 적합한 직경을 갖는 몸체 홈(30a)에 카테터(1)를 고정하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카테터 고정장치(1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개구부(20a)의 중앙에 시술부위가 위치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2개의 몸체 홈(30a)이 사선 방향으로 각각 개구부(20a)의 중앙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카테터(1)는 보통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갖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카테터(1)가 개구부(20a) 내에서 꺽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2개의 몸체 홈(30a)의 내주면 길이 방향은 곡선이 아닌 직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몸체 홈(30a)의 내주면 길이 방향이 직선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각각 개구부(20a) 중앙을 향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몸체(20) 하측의 양단부 측에서 개구부(20a) 중앙으로 사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2개의 몸체 홈(30a)에 카테터(1)를 각각 고정하였을 때, 2개의 카테터(1) 연장선의 교점이 개구부(20a)의 중심에서 형성될 수 있다.
덮개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카테터 고정장치의 제 1 덮개 및 제 2 덮개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카테터 고정장치의 제 1 덮개만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카테터 고정장치의 제 2 덮개만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덮개(40, 50)는 몸체(20) 상측 방향에 형성된 개구부(20a)를 덮는 제 1 덮개(40) 및 몸체(20) 하측 방향에 형성되며 2개의 몸체 홈(30a)을 덮는 제 2 덮개(50)로 형성될 수 있다. 덮개를 제 1 덮개(40) 및 제 2 덮개(50)로 분리하여 형성하는 것은, 보통 카테터 고정장치(100)를 사용시 드레싱을 위하여 수술 부위를 자주 확인해야 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와 반대로, 카테터(1)가 고정된 부분은 통상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없으며, 덮개를 자주 개폐할 경우에 카테터(1)가 이탈될 수 있기 때문에 처음 고정된 상태 그대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카테터(1)의 고정 부분과 드레싱 및 관찰이 필요한 부분을 서로 분리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개폐도 각각 독립적으로 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제 1 덮개(40)는 몸체(20)에 형성된 개구부(20a)와 대응하여 개방된 상태로 형성할 수 있지만, 외부와의 접촉에 따른 2차 감염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개방된 상태로 형성하지 않고,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판부재(46)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덮개(40)를 개방한 상태에서 드레싱을 할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제 1 덮개(40)를 닫은 상태에서 수술 부위를 관찰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카테터(1)가 신체의 내압으로 인해 조금씩 이탈되어도 이를 조기에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덮개(50)는 몸체(20)의 하측을 덮도록 형성되며, 몸체(20)에 형성된 2개의 몸체 홈(30a)에 대응하여, 2개의 반원의 단면을 갖는 덮개 홈(30b)이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덮개 홈(30b) 내주면의 길이 방향은 몸체 홈(30a)의 방향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2개의 덮개 홈(30b)은 2개의 몸체 홈(30a)과 동일하다. 몸체 홈(30a) 위에 덮개 홈(30b)이 위치하여 후술하는 가이드부(30)를 형성하게 된다.
가이드부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몸체(20)의 하측 방향에 형성된 2개의 몸체 홈(30a) 및 그 위에 덮어지는 제 2 덮개(50)에 형성된 2 개의 덮개 홈(30b)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원의 단면을 갖는 몸체 홈(30a) 및 덮개 홈(30b)은 제 2 덮개(50)가 덮어졌을 때, 완전한 원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구부(20a)의 중심 방향을 향하여 가이드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30)는 카테터 고정장치(100)의 외측에서 카테터(1)가 삽입하여 개구부(20a)까지 수평 방향으로 카테터(1)가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관통 홀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가이드부(30)는 카테터(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며, 개구부(20a)까지 관통되어 있으므로 카테터(1)가 가이드부(30) 입구에서 삽입되어 가이드부(30)를 통과하여 개구부(20a)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카테터(1) 단부에 형성된 투관침을 이용하여 수술 부위에 수직으로 삽입하여 수액의 주입이나, 체액 순환 또는 배출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가이드부(30)는 카테터(1)가 수술 부위로 향하도록 경로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카테터(1)가 가이드부(30) 내부에서 흔들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돌출 부재(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는 본 발명에 의한 카테터 고정장치의 돌출 부재가 지그재그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9c는 본 발명에 의한 카테터 고정장치 돌출 부재의 변형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A-A 를 단면으로 하는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가이드부(30)를 카테터(1)가 삽입하여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카테터(1)가 돌출 부재(32)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8 내지 9c를 참조하면, 돌출 부재(32)는 몸체 홈(30a) 및 덮개 홈(30b)에 형성될 수 있으며, 원통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몸체 홈(30a) 및 덮개 홈(30b)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가이드부(30) 단면의 중심 방향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 홈(30a) 및 덮개 홈(30b)에 형성된 돌출 부재(32)는 제 2 덮개(50)를 덮었을 때, 서로 상하 방향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되, 카테터(1) 내부에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막거나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원통형으로 형성된 돌출 부재(32)는 가이드부(30)의 내주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지그재그로 형성될 수 있다. 지그재그로 형성된다는 것은 돌출 부재(32)가 내주면 길이 방향을 따라 몸체 홈(30a)에서 가이드부(30)단면의 중심 방향을 향하여 형성되고, 이웃하는 돌출 부재(32)는 덮개 홈(30b)에서 가이드부(30)단면의 중심 방향을 향하여 형성되는 것이 계속 반복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카테터(1)를 돌출 부재(32)가 번갈아 가면서 누르면서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9a 내지 9c를 참조하면, 원통형으로 형성된 돌출 부재(32)는 가이드부(30)의 내주면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b는 제 2 덮개(50)에 형성된 돌출 부재(32)가 점점 변하게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돌출 부재(32)의 길이를 L1, L2, L3, L4로 표시하였으며, 돌출 부재(32)의 길이를 일렬로 점점 변하게 형성함으로써 카테터(1)를 카테터 고정장치(100)에 고정시키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돌출 부재(32)를 점점 크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점점 작게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가이드부(3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한 개만 사용될 수 있으므로, 카페터 고정장치(200)는 복수 개가 아닌 일측에 형성된 하나의 가이드부(30)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30)의 개수만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된다.
몸체 및 덮개의 결합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몸체(20)의 일측부에는 제 1 덮개(40) 및 제 2 덮개(50)가 힌지로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힌지는 힌지 베어링(34a)과 힌지 축(34b)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몸체(20)의 일측부에는 힌지 베어링(34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덮개(40) 및 제 2 덮개(50)에는 힌지축(34b)이 형성될 수 있다. 힌지 베어링(34a)을 몸체(20)의 일측에 수평 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1 덮개(40) 및 제 2 덮개(50)에도 각각 같은 방향으로 힌지축(34b)을 형성하여 제 1 덮개(40) 및 제 2 덮개(50)가 열리는 방향을 동일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카테터 고정장치(100)를 사용시 드레싱을 위하여 수술 부위를 자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덮개(40)는 제 2 덮개(50)에 비하여 사용과정에서 빈번하게 열고 닫을 수 있기 때문에, 제 1 덮개(40)를 몸체(20)에 고정하는 것과 제 2 덮개(50)를 몸체(20)에 고정하는 것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1 덮개(40)에는 힌지축(34b)이 형성된 반대편 측에 제 1 걸림 턱(4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20)에는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1 걸림 홈(22)이 형성되어 제 1 덮개(40)를 닫았을 때, 제 1 걸림 턱(42) 및 제 1 걸림 홈(22)이 끼움 결합이 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1 걸림 턱(42)의 외측면에는 제 1 걸림 턱(42)을 외측으로 잡아당길 수 있는 손잡이(4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손잡이(44)를 수직한 방향으로 당겼을 때 제 1 걸림 턱(42)이 외측으로 당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걸림 턱(42)을 외측으로 잡아당겼을 때에는 제 1 걸림 홈(22)에서 제 1 걸림 턱(42)이 이탈하여 제 1 덮개(40)를 개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 1 걸림 턱(42)은 적당한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덮개(50)는 일반적으로 처음에 카테터(1)를 수술 부위에 고정시킬 때 또는 카테터(1)를 교체할 때에만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카테터(1)를 고정시키는 것과 관련이 없는 제 1 덮개(40)에 비하여 강한 고정이 필요하며, 제 1 덮개(40)에 비하여 열고 닫는 횟수가 현저히 적기 때문에 고정 장치를 더 포함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제 2 덮개(50)도 제 1 덮개(40)와 마찬가지로 힌지축(34b)이 형성된 반대편 측에 제 1 걸림 턱(42)이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20)에는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1 걸림 홈(22)이 형성되어 제 1 덮개(40)를 닫았을 때, 제 1 걸림 턱(42) 및 제 1 걸림 홈(22)이 끼움 결합이 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2 덮개(50)는 더 강하게 카테터(1)를 고정하기 위하여 하측 방향에 제 2 걸림 턱(52)이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20)의 하측 방향에는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2 걸림 홈(24)이 형성되어 제 2 걸림 턱(52) 및 제 2 걸림 홈(24)이 끼움 결합이 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걸림 턱(42) 및 제 2 걸림 턱(52)을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좌우 방향으로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도 고정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20)에 형성된 2개의 몸체 홈(30a) 사이에는 결합 홀(26a)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덮개(50)를 닫았을 때 결합 홀(26a)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 2 덮개(50)에는 결합 홀(26a)에 대응하는 위치에 원형의 단면을 갖는 결합 핀(26b)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결합 홀(26a) 및 결합 핀(26b)을 형성함에 따라 몸체(20)의 모서리 측 이외에도 내부에서 고정하여 카테터(1)를 카테터 고정장치(100)에 좀 더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카테터 고정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몸체(20)의 밑면에는 몸체(20)에 형성된 개구부(20a)에 대응하는 개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와 피부 표면 사이를 접착하도록 형성된 거즈(60)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몸체(20)는 거즈(60)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며, 거즈(60)의 밑면에는 의료용 접착제가 형성되어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거즈(60)의 윗면에는 몸체의 밑면에 대응하는 부분에만 접착제에 의하여 거즈(60) 및 몸체(20)를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거즈(60)의 밑면에는 릴리스 라이너(release liner)가 덮혀지고, 릴리스 라이너를 제거한 뒤 거즈(60)를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1: 카테터 2: 배액 용기
3: 스토퍼 4: 고정 걸이
20: 몸체 20a: 개구부
22: 제 1 걸림홈 24: 제 2 걸림홈
26a: 결합 홀 26b: 결합 핀
30: 가이드부 30a: 몸체 홈
30b: 덮개 홈 32: 돌출 부재
34a: 힌지 베어링 34b: 힌지축
40: 제 1 덮개 42: 제 1 걸림턱
46: 판부재 50: 제 2 덮개
52: 제 2 걸림턱 60: 거즈
100: 카테터 고정장치

Claims (14)

  1. 카테터를 피부 표면 상에 고정하는 장치로서,
    피부 표면에 접촉하며, 개구부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몸체를 덮도록 형성되는 덮개 및
    상기 덮개를 닫았을 때 상기 카테터를 상기 개구부로 가이드 하도록 형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카테터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개구부를 덮는 제 1 덮개 및
    상기 가이드부를 덮는 제 2 덮개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카테터 고정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및 상기 제 2 덮개에는
    각각 반원의 단면을 형성하고 상하 방향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몸체 홈 및 덮개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덮개를 닫았을 때, 원형의 단면을 갖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며, 내주면의 길이 방향이 각각 상기 개구부 중심을 향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각각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되어 직경이 다른 복수의 카테터를 고정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가이드부 단면의 중심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돌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돌출 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의 내주면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형성되어, 상기 카테터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가이드부 단면의 중심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돌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돌출 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의 내주면 길이 방향을 따라 점점 변하게 형성되어, 상기 카테터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장치.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덮개 및 상기 제 2 덮개는
    상기 힌지가 형성된 반대편 측에 각각 제 1 걸림 턱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에는 상기 덮개를 닫았을 때 상기 제 1 걸림 턱의 대응하는 제 1 걸림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걸림 턱이 상기 제 1 걸림 홈에 탈착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덮개는
    일측에 상기 제 1 덮개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덮개는
    상기 가이드부 입구 측에 형성된 제 2 걸림 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제 2 걸림 턱에 대응하는 제 2 걸림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걸림 턱이 상기 제 2 걸림 홈에 탈착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덮개는
    상기 개구부를 볼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결합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덮개에는 상기 결합 홀에 끼워지는 결합 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장치.
  14. 제 1항, 제 3항 내지 제 7항, 제 9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개구면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와 상기 피부 표면 사이를 접착하도록 접착면이 형성된 거즈;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장치.
KR1020150082899A 2015-06-11 2015-06-11 카테터 고정장치 KR101622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899A KR101622245B1 (ko) 2015-06-11 2015-06-11 카테터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899A KR101622245B1 (ko) 2015-06-11 2015-06-11 카테터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2245B1 true KR101622245B1 (ko) 2016-05-31

Family

ID=56099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899A KR101622245B1 (ko) 2015-06-11 2015-06-11 카테터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22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171B1 (ko) 2016-07-13 2017-10-2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도유지 및 삽관 가이드장치
KR20190016314A (ko) * 2017-08-08 2019-02-18 신미현 수액세트의 약액공급부 고정 홀더
KR20200122501A (ko) * 2019-04-18 2020-10-28 주식회사 유진하이텍 카테터 고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7636A (ja) 1998-11-28 2000-06-13 Smiths Ind Plc カテ―テル保持具および組立体
JP2006520628A (ja) * 2003-03-19 2006-09-14 フランシス ナバーロ 患者の身体へのカテーテルの固定用装置
KR101459313B1 (ko) * 2014-07-09 2014-11-10 최형찬 의료용 흡인기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7636A (ja) 1998-11-28 2000-06-13 Smiths Ind Plc カテ―テル保持具および組立体
JP2006520628A (ja) * 2003-03-19 2006-09-14 フランシス ナバーロ 患者の身体へのカテーテルの固定用装置
KR101459313B1 (ko) * 2014-07-09 2014-11-10 최형찬 의료용 흡인기 고정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171B1 (ko) 2016-07-13 2017-10-2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도유지 및 삽관 가이드장치
KR20190016314A (ko) * 2017-08-08 2019-02-18 신미현 수액세트의 약액공급부 고정 홀더
KR101960908B1 (ko) 2017-08-08 2019-03-22 신미현 수액세트의 약액공급부 고정 홀더
KR20200122501A (ko) * 2019-04-18 2020-10-28 주식회사 유진하이텍 카테터 고정장치
KR102241228B1 (ko) * 2019-04-18 2021-04-16 주식회사 유진하이텍 카테터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10065B1 (en) Mechanical barrier in wound healing
KR20180014814A (ko) 임플란트 배치 및 제거 시스템들
US4341212A (en) Serous fluid drain kit
NO880300L (no) Fikseringssystem for aa feste katetre, kanyler eller lignende til hudoverflaten og fremgangsmaate for den sterile befestigelse derav.
KR101612718B1 (ko) 트로카
KR101622245B1 (ko) 카테터 고정장치
AU2019414202B2 (en) Medicine administering device and medicine administering system
CN104039285A (zh) 用于闭合刺开的血管的闭合装置
KR101103372B1 (ko) 수직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카테터 고정 장치
KR101459313B1 (ko) 의료용 흡인기 고정장치
CA2656090C (en) Needle cover with site preparation tip
US10456152B2 (en) Catheter with a collection chamber
KR20170032720A (ko) 의료용 흡인기 고정장치
US11918793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use in treatment of plantar fasciitis and fat grafting
US20210267805A1 (en) Wound dressing module, device, and system
RU251433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ункции артериовенозной фистулы
CN220404620U (zh) 一种胸腔引流管
RU2653685C1 (ru) Способ дренирования флегмон предплечья
KR20230161184A (ko) 흉강 삽입용 카테터
KR20180012651A (ko) 일회용 사혈 기구
KR200353612Y1 (ko) 일회용 흉관 튜브 소독 패드
CN202777413U (zh) 串烧式一次性负压引流护创材料
JP2900419B2 (ja) 消化管カニューレ
Drewett Removal of central venous access devices
RU2524300C1 (ru) Шприц-троакар и набор для дренирования плевральной полости и ликвидации пневмо- и гемопневмоторакс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