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228B1 - 카테터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카테터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228B1
KR102241228B1 KR1020190045253A KR20190045253A KR102241228B1 KR 102241228 B1 KR102241228 B1 KR 102241228B1 KR 1020190045253 A KR1020190045253 A KR 1020190045253A KR 20190045253 A KR20190045253 A KR 20190045253A KR 102241228 B1 KR102241228 B1 KR 102241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fixing
coupling
groove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2501A (ko
Inventor
강영혁
원용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진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진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진하이텍
Priority to KR1020190045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228B1/ko
Publication of KR20200122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12Plasters use for use with needles, tubes or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4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fixed on the skin having a cover for covering the hol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53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straps, bands or the like secured by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6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using pads, patches, tap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6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using pads, patches, tapes or the like
    • A61M2025/0273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using pads, patches, tapes or the like having slits to place the pad around a catheter puncturing si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신체에 삽입된 카테터를 용이하게 고정하고, 카테터가 삽입된 신체 부위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카테터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환자의 신체에 밀착되는 판 형상으로 내측 중심부에는 카테터가 삽입되는 중심공이 형성된 접착판; 상기 중심공을 감싸도록 접착판의 상부로 돌출되며,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카테터가 안착되어 지지되게 안착홈이 형성된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와 대향되는 내측 테두리 부위에는 환자의 신체로 삽입되는 카테터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홀더부재가 구비된 고정바디; 상기 고정바디의 상부로 양단이 힌지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방향으로 회동되는 반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일단에는 상기 안착홈과 대응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결합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안착홈에 지지되는 카테터를 감싸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탈착 결합되는 결합바디; 상기 결합부재와 대향되는 결합바디의 내경에 일단이 힌지로 연결되고, 회전이 이루어지는 타단이 상기 홀더부재에 고정된 카테터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카테터 고정장치{CATHETER FIXING APPARATUS}
본 발명은 카테터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환자의 신체에 삽입된 카테터를 신체의 일부에 견고하게 고정 시킬 수 있도록 하고, 카테터가 삽입된 신체의 손상 부위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카테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테터란, 관 모양기구를 이루는 의료기구의 일반적 명칭 중 하나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카테터는 체강(늑망강, 복막강 등)이나 각종 기관 내의 저류물 배출, 세정용 관류액의 흡입 등에 사용되는 것이며, 체내에 삽입하여 저류물을 배출하는 용도 이외에도, 환자의 신체 내로 각종 약물이나 조영제를 주입시키는데 사용되기도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카테터는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재질, 크기,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환자의 신체 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반창고를 이용하여 환자의 신체에 부착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반창고를 이용하여 환자의 신체에 카테터를 고정 시키는 방법은, 카테터의 설치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하기 어려워 카테터가 유동 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으며, 카테터가 유동을 이루는 경우에는 환자가 고통을 느끼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문헌(1)에서와 같이, 환자의 신체에 삽입된 카테터를 감싸 고정 시킬 수 있는 밴드형태의 카테터 고정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문헌(1)과 같은 종래의 카테터 고정장치는 외부 충격에 의해 손쉽게 손상되거나, 카테터의 고정부위가 환자의 신체에서 쉽게 떨어질 수 있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엇다.
이에 따라, 문헌(2)에서와 같이, 밴드형태를 이루는 카테터 고정장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카테터 고정장치 등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러한 카테터 고정장치는 카테터를 고정장치에 결합하는 경우, 카테터가 과다하게 꺽인 상태를 이룰 수 있어 카테터의 관내 흐름을 용이하게 유지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문헌(1), 문헌(2)와 같은 종래의 카테터 고정장치는 환자의 신체에 카테터를 고정 시킬 수 있는 목적은 이를 수 있으나, 환자의 신체에 삽관되는 카테터가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를 이루도록 사용됨으로써, 카테터가 삽입된 환자의 신체 부위로 외부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744407(2017.05.31) (2)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511303(2015.04.0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자의 신체 내로 삽입되는 카테터를 환자의 신체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둘째, 환자의 신체에 삽입된 카테터가 외부 충격에 의하여 흔들리거나 유동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카테터와 고정장치의 결속력을 높임으로써, 환자의 신체에 삽입된 카테터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카테터가 삽입된 환자의 신체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카테터가 삽입된 신체 부위로 각종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카테터 고정장치를 통한 카테터의 고정과 유지를 용이하게 이루도록 함으로써, 환자가 느낄 수 있는 고통을 낮추어 환자의 심리적 불안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환자의 신체에 밀착되는 판 형상으로 내측 중심부에는 카테터가 삽입되는 중심공이 형성된 접착판; 상기 중심공을 감싸도록 접착판의 상부로 돌출되며,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카테터가 안착되어 지지되게 안착홈이 형성된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와 대향되는 내측 테두리 부위에는 환자의 신체로 삽입되는 카테터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홀더부재가 구비된 고정바디; 상기 고정바디의 상부로 양단이 힌지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방향으로 회동되는 반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일단에는 상기 안착홈과 대응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결합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안착홈에 지지되는 카테터를 감싸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탈착 결합되는 결합바디; 상기 결합부재와 대향되는 결합바디의 내경에 일단이 힌지로 연결되고, 회전이 이루어지는 타단이 상기 홀더부재에 고정된 카테터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고정바디의 내경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의 단부에 연결되는 반원 형의 고리 형상으로, 내측 중심부에는 카테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안착공이 형성된 고정그립과, 상기 고정그립의 단부에 마주보게 연결되어 카테터가 삽입되는 환자의 신체 부위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지지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부재와 인접한 고정바디의 내경에는 상기 고정구가 홀더부재를 감싸도록 결합 될 시, 고정구의 결합을 지지하는 고정돌기가 구비되어 구성될 n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는 상기 힌지에 회동되게 연결되는 바 형상으로, 길이 방향의 하단에는 카테터가 삽입되는 연결홈이 형성된 연결바와, 상기 힌지와 대향되게 연결바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하단에는 상기 연결홈과 연통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홀더부재에 고정된 카테터의 절곡 부위를 감싸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의 양측 테두리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의 양측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결합홈에 착탈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바디의 상부로는 상기 고정바디, 결합바디, 고정구 간 결합시, 상기 고정부재와 결합부재의 결합 부위, 상기 홀더부재와 고정구의 결합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커버가 더 결합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수커버는 상기 결합바디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바디의 상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원통형의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박스 형상으로 일단에 상기 카테터가 삽입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와 결합부재의 결합 부위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2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와 인접한 고정바디의 상면에는 카테터가 안착되는 상면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와 인접한 결합바디의 하면에는 상기 상면홈에 안착된 카테터의 상면을 감싸는 하면홈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환자의 신체 내로 삽입되는 카테터를 환자의 신체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둘째, 환자의 신체에 삽입된 카테터가 외부 충격에 의하여 흔들리거나 유동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카테터와 고정장치의 결속력을 높임으로써, 환자의 신체에 삽입된 카테터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넷째, 카테터가 삽입된 환자의 신체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카테터가 삽입된 신체 부위로 각종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카테터 고정장치를 통한 카테터의 고정과 유지를 용이하게 이루도록 함으로써, 환자가 느낄 수 있는 고통을 낮추어 환자의 심리적 불안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 고정장치의 다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 고정장치의 또 다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 고정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 고정장치에 카테터가 결합 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 고정장치의 고정바디와 결합바디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 고정장치의 홀더부재와 고정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커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 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환자의 신체에 밀착되는 판 형상으로 내측 중심부에는 카테터(1)가 삽입되는 중심공(10a)이 형성된 접착판(10); 상기 중심공(11)을 감싸도록 접착판(10)의 상부로 돌출되며,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카테터(1)가 안착되어 지지되게 안착홈(21a)이 형성된 고정부재(21)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21)와 대향되는 내측 테두리 부위에는 환자의 신체로 삽입되는 카테터(1)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홀더부재(22)가 구비된 고정바디(20); 상기 고정바디(20)의 상부로 양단이 힌지(h)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재(21)의 방향으로 회동되는 반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일단에는 상기 안착홈(21a)과 대응되는 고정홈(31a)이 형성된 결합부재(31)가 구비되어 상기 안착홈(21a)에 지지되는 카테터(1)를 감싸도록 상기 고정부재(21)에 탈착 결합되는 결합바디(30); 상기 결합부재(31)와 대향되는 결합바디(30)의 내경에 일단이 힌지(h)로 연결되고, 회전이 이루어지는 타단이 상기 홀더부재(22)에 고정된 카테터(1)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고정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착판(10)은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환자의 신체에 밀착될 수 있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접착판(10)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한 후, 하부로 접착력을 갖는 접착밴드, 접착테이프, 접착제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부착되거나 도포되게 구성되어 카테터를 고정시키고자 하는 환자의 신체 부위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며, 상기 접착판(10)을 접착력을 갖는 접착밴드, 접착테이프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접착판(10)은 내측 중심부에 도 1에서와 같이, 중심공(10a)을 형성하여 환자의 신체에 삽입되는 카테터(1)가 접착판(10)의 중심공(10a)을 관통하며 환자의 신체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바디(20)는 도시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접착판(10)의 중심공(10a)을 감싸는 형상을 이루도록 접착판(10)의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바디(20)는 도 3에서와 같이, 외측 테두리 부위로 안착홈(21a)이 형성된 고정부재(21)가 구비되어 환자의 신체로 삽입하고자 하는 카테터(1)를 도시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안착홈(21a)의 상부로 거치시키며, 접착판(10)의 중심공(10a)을 관통하도록 안내한다.
이러한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1, 도 3, 도 5에서와 같이, 환자의 신체로 삽입하고자 하는 카테터(1)의 하부를 상기 고정부재(21)에 형성된 안착홈(21a)의 상부에 거치시켜 카테터(1)가 환자의 신체와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바디(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1)와 대향되는 내측 테두리 부위로 상기 고정부재(21)를 통하여 안내되는 카테터(1)를 환자의 신체로 삽입될 수 있게 고정시키는 홀더부재(22)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홀더부재(22)는 도 3, 도 4,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1)의 안착홈(21a)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카테터(1)가 환자의 신체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카테터(1)의 절곡된 부위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상기 홀더부재(22)는 상기 고정바디(20)의 내경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고정바(22a)와, 상기 고정바(22a)의 단부에 연결되는 반원 형의 고리 형상으로, 내측 중심부에는 카테터(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안착공(22b-1)이 형성된 고정그립(22b)과, 상기 고정그립(22b)의 단부에 마주보게 연결되어 카테터(1)가 삽입되는 환자의 신체 부위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지지바(22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바(22a)는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홀더부재(22)가 접착판(10)의 중심공(10a)에 위치될 수 있도록 고정바디(20)의 내경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중심공(10a)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그립(22b)은 상기 고정바(22a)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중심공(10a)의 중심 부위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도 1에서와 같이, 반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하고, 내측 중심부에는 카테터(1)가 삽입될 수 있는 안착공(22b-1)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안착공(22b-1)으로 카테터(1)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안착공(22b-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카테터(1)가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삽입되는 환자의 신체 부위로 용이하게 절곡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바(22c)는 도 1,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그립(22b)의 단부에 마주보게 연결되어 상기 고정그립(22b)이 환자의 신체 부위에 용이하게 밀착된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21)의 안착홈(21a)에 안착된 카테터(1)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그립(22b)의 안착공(22b-1)에 삽입된 상태에서 환자의 신체 부위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21)와 고정그립(22b)의 구성을 통하여 환자의 신체로 삽입되는 카테터(1)의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바(22c)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고정그립(22b)의 위치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함으로써, 환자의 신체로 삽입된 카테터(1)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카테터(1)의 유동에 따른 환자의 고통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바디(30)는 상기 고정바디(20)의 상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반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결합바디(30)는 도 1,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바디(20)에 양단부가 힌지(h)로 연결되게 구성되어 도 3, 도 6,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바디(20)의 고정부재(21) 방향으로 회동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바디(30)의 일단으로 상기 안착홈(21a)과 대응되는 고정홈(31a)이 형성된 결합부재(31)가 구비되어,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고정바디(20)의 상부에서 고정부재(21)의 방향으로 결합바디(30)가 회동을 이루는 경우, 상기 결합부재(31)의 고정홈(31a)이 고정부재(21)의 안착홈(21a)에 안착되는 카테터(1)의 상부를 덮어 카테터(1)가 유동되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도 1, 도 2, 도 6,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결합바디(30)가 고정바디(20)의 고정부재(21) 방향으로 회동을 이룬 후, 상기 고정부재(21)의 안착홈(21a)을 덮도록 결합바디(30)에 구비된 결합부재(31)가 고정부재(21)와 밀착되는 결합을 이룸으로써, 고정부재(21)의 안착홈(21a)에 안착되는 카테터(1)의 상부를 결합부재(31)의 고정홈(31a)으로 감싸, 카테터(1)의 고정을 더욱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1)의 양측 테두리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결합홈(21b)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재(31)의 양측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결합홈(21b)에 착탈 결합되는 결합돌기(31b)가 구비되어 구성됨으로써,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1)의 외측부를 감싸도록 결합부재(31)가 결합을 이룰 시, 상기 결합부재(31)의 결합돌기(31b)가 고정부재(21)의 결합홈(21b)에 삽입되어 고정부재(21)와 결합부재(31) 간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구(40)는 상기 결합부재(31)와 대향되는 결합바디(30)의 내경에 일단이 힌지(h)로 연결 구성되어 상기 홀더부재(22)에 고정된 카테터(1)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고정구(40)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도시한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홀더부재(22)의 고정그립(22b)을 덮을 수 있도록 회동시킴으로써, 카테터(1)가 삽입된 환자의 신체 부위로 오염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구(40)는 상기 힌지(h)에 회동되게 연결되는 바 형상으로, 길이 방향의 하단에는 카테터가 삽입되는 연결홈(41a)이 형성된 연결바(41)와, 상기 힌지(h)와 대향되게 연결바(41)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하단에는 상기 연결홈(41a)과 연통되는 고정홈(42a)이 형성되어 상기 홀더부재(22)에 고정된 카테터(10)의 절곡 부위를 감싸는 덮개(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힌지(h)를 중심으로 도 7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연결바(41)를 회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재(21)와 고정그립(22b)의 사이에 위치된 카테터(1)의 상부를 연결바(41)의 연결홈(41a)이 감싸도록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연결바(41)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덮개(42)의 고정홈(42a)이 상기 홀더부재(22)의 고정그립(22b) 상단을 감싸도록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환자의 신체에 카테터(1)를 삽입하는 경우에도 카테터(1)가 삽입된 환자의 신체 부위로 오염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홀더부재(22)와 인접한 고정바디(20)의 내경에는 상기 고정구(40)가 홀더부재(22)를 감싸도록 결합 될 시, 고정구(40)의 결합을 지지하는 고정돌기(23)가 구비되어 구성됨으로써,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부재(22)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고정구(40)의 길이 방향 양측을 상기 고정돌기(23)가 견고하게 지지하여 고정구(40)의 위치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바디(20)의 고정부재(21)를 통하여 홀더부재(22)의 고정그립(22b)으로 안내되는 카테터(1)의 고정을 더욱 용이하게 이루도록 하기 위하여,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1)와 인접한 고정바디(20)의 상면에는 카테터(1)가 안착되는 상면홈(20a)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재(31)와 인접한 결합바디(30)의 하면에는 상기 상면홈(20a)에 안착된 카테터(1)의 상면을 감싸는 하면홈(31c)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상기 고정부재(21)의 안착홈(21a)에 안착된 카테터(1)가 상기 상면홈(20a)과 하면홈(31c)의 밀착 부위로 안내되어 상기 홀딩부재(20)의 고정그립(22b)으로 안내됨으로써, 환자의 신체 부위로 삽입되는 카테터(1)가 흔들리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하여,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합바디(30)의 상부로는 상기 고정바디(20), 결합바디(30), 고정구(40) 간 결합시, 상기 고정부재(21)와 결합부재(31)의 결합 부위, 상기 홀더부재(22)와 고정구(40)의 결합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커버(50)가 더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방수커버(50)는 상기 결합바디(3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바디(30)의 상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원통형의 제1커버(51)와, 상기 제1커버(51)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박스 형상으로 일단에 상기 카테터(1)가 삽입되는 결합공(52a)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21)와 결합부재(31)의 결합 부위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2커버(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수커버(50)는 도시한 도 8에서와 같이, 본 발명인 카테터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신체로 카테터(1)를 삽입하는 경우, 상기 방수커버(50)가 상기 결합바디(30)의 상부를 감싸도록 결합함으로써, 상기 고정구(40)를 통하여 오염물질이 환자의 신체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경우에도 방수커버(50)의 구성을 통하여 외부 오염물질의 차단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카테터 10: 접착판
10a: 중심공 20: 고정바디
20a: 상면홈 21: 고정부재
21a: 안착홈 21b: 결합홈
22: 홀더부재 22a: 고정바
22b: 고정그립 22b-1: 안착공
22c: 지지바 23: 고정돌기
30: 결합바디 30a: 하면홈
31: 결합부재 31a: 고정홈
31b: 결합돌기 40: 고정구
41: 연결바 41a: 연결홈
42: 덮개 42a: 고정홈
50: 방수커버 51: 제1커버
52: 제2커버 52a: 결합공
h: 힌지

Claims (8)

  1. 환자의 신체에 밀착되는 판 형상으로 내측 중심부에는 카테터(1)가 삽입되는 중심공(10a)이 형성된 접착판(10);
    상기 중심공(10a)을 감싸도록 접착판(10)의 상부로 돌출되며,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카테터(1)가 안착되어 지지되게 안착홈(21a)이 형성된 고정부재(21)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21)와 대향되는 내측 테두리 부위에는 환자의 신체로 삽입되는 카테터(1)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홀더부재(22)가 구비된 고정바디(20);
    상기 고정바디(20)의 상부로 양단이 힌지(h)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재(21)의 방향으로 회동되는 반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일단에는 상기 안착홈(21a)과 대응되는 고정홈(31a)이 형성된 결합부재(31)가 구비되어 상기 안착홈(21a)에 지지되는 카테터(1)를 감싸도록 상기 고정부재(21)에 탈착 결합되는 결합바디(30);
    상기 결합부재(31)와 대향되는 결합바디(30)의 내경에 일단이 힌지(h)로 연결되고, 회전이 이루어지는 타단이 상기 홀더부재(22)에 고정된 카테터(1)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고정구(40);를 포함하되,
    상기 홀더부재(22)와 인접한 고정바디(20)의 내경에는
    상기 고정구(40)가 홀더부재(22)를 감싸도록 결합 될 시, 고정구(40)의 결합을 지지하는 고정돌기(2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22)는
    상기 고정바디(20)의 내경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고정바(22a)와,
    상기 고정바(22a)의 단부에 연결되는 반원 형의 고리 형상으로, 내측 중심부에는 카테터(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안착공(22b-1)이 형성된 고정그립(22b)과,
    상기 고정그립(22b)의 단부에 마주보게 연결되어 카테터(1)가 삽입되는 환자의 신체 부위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지지바(22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40)는
    상기 힌지(h)에 회동되게 연결되는 바 형상으로, 길이 방향의 하단에는 카테터가 삽입되는 연결홈(41a)이 형성된 연결바(41)와,
    상기 힌지(h)와 대향되게 연결바(41)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하단에는 상기 연결홈(41a)과 연통되는 고정홈(42a)이 형성되어 상기 홀더부재(22)에 고정된 카테터(10)의 절곡 부위를 감싸는 덮개(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1)의 양측 테두리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결합홈(21b)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31)의 양측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결합홈(21b)에 착탈 결합되는 결합돌기(31b)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바디(30)의 상부로는
    상기 고정바디(20), 결합바디(30), 고정구(40) 간 결합시,
    상기 고정부재(21)와 결합부재(31)의 결합 부위, 상기 홀더부재(22)와 고정구(40)의 결합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커버(50)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커버(50)는
    상기 결합바디(3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바디(30)의 상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원통형의 제1커버(51)와,
    상기 제1커버(51)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박스 형상으로 일단에 상기 카테터(1)가 삽입되는 결합공(52a)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21)와 결합부재(31)의 결합 부위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2커버(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1)와 인접한 고정바디(20)의 상면에는 카테터(1)가 안착되는 상면홈(20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31)와 인접한 결합바디(30)의 하면에는 상기 상면홈(20a)에 안착된 카테터(1)의 상면을 감싸는 하면홈(31c)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장치.
KR1020190045253A 2019-04-18 2019-04-18 카테터 고정장치 KR102241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253A KR102241228B1 (ko) 2019-04-18 2019-04-18 카테터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253A KR102241228B1 (ko) 2019-04-18 2019-04-18 카테터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501A KR20200122501A (ko) 2020-10-28
KR102241228B1 true KR102241228B1 (ko) 2021-04-16

Family

ID=73018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253A KR102241228B1 (ko) 2019-04-18 2019-04-18 카테터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2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303B1 (ko) * 2020-10-23 2021-02-16 정완기 카테터 고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2183B1 (en) 2000-05-10 2002-11-19 Gudrun Pausch Apparatus for the fixation of a percutaneous flexible line
JP2008518664A (ja) 2004-10-29 2008-06-05 メリット・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カテーテル用自動縫合繋留装置
KR101622245B1 (ko) * 2015-06-11 2016-05-31 (주)상아프론테크 카테터 고정장치
JP2016537180A (ja) * 2013-11-26 2016-12-01 アヴェ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カテーテルコネクタ固定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563U (ja) * 1993-11-12 1995-05-30 川澄化学工業株式会社 カテ−テル固定具
KR101511303B1 (ko) 2014-07-09 2015-04-16 최형찬 카테터 고정장치
KR101744407B1 (ko) 2015-09-12 2017-06-07 김용훈 카테터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2183B1 (en) 2000-05-10 2002-11-19 Gudrun Pausch Apparatus for the fixation of a percutaneous flexible line
JP2008518664A (ja) 2004-10-29 2008-06-05 メリット・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カテーテル用自動縫合繋留装置
JP2016537180A (ja) * 2013-11-26 2016-12-01 アヴェ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カテーテルコネクタ固定具
KR101622245B1 (ko) * 2015-06-11 2016-05-31 (주)상아프론테크 카테터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501A (ko) 202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1406B2 (en) External fecal management device
ES2546383T3 (es) Dispositivo de recogida de esperma
US8597253B2 (en) Huber needle with safety sheath
JP7382661B2 (ja) 外付けカテーテル安定化装置
KR102241228B1 (ko) 카테터 고정장치
KR102251144B1 (ko) 카테터 결합 배열체
FR2755615A1 (fr) Tube transpharyngeal
US20140276658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fixation of a line to a subject
BRPI0719971A2 (pt) Dispositivos de acesso vascular com um septo resistente à ruptura
CN110402121A (zh) 易碎连接方式的牙科用种植体包装容器
KR101812190B1 (ko) 수액세트용 t자형 니들컨넥터를 고정하는 접착밴드
KR101511303B1 (ko) 카테터 고정장치
EP0179089A1 (en) Connection site protector
ES2298433T3 (es) Rodillo de pintura.
ES2428095T3 (es) Dispositivo de administración de varios líquidos de tratamiento médico a un paciente humano o animal
KR20050033598A (ko) 면봉 저장 용기
KR20180111187A (ko) 의료용 고정클립
JPH04227274A (ja) カテーテル・リテーナー
CN103251488A (zh) 尿液收集装置
CN210542805U (zh) 一种一次性使用留置引流导管及其配套使用的固定装置
CN206979817U (zh) 腹膜透析腹透体外管定位保护装置
JPS5810561Y2 (ja) 内視鏡用マウスピ−ス
ES2345122T3 (es) Disposicion de bolsa de recogida que comprende una conexion de tubo flexible.
CN218106396U (zh) 呕吐物承接装置及医疗设备
CN108771583A (zh) 一种用于防止留置针压伤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