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238B1 - 일회용 장갑 착용기 - Google Patents

일회용 장갑 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238B1
KR101610238B1 KR1020140156023A KR20140156023A KR101610238B1 KR 101610238 B1 KR101610238 B1 KR 101610238B1 KR 1020140156023 A KR1020140156023 A KR 1020140156023A KR 20140156023 A KR20140156023 A KR 20140156023A KR 101610238 B1 KR101610238 B1 KR 101610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pair
main body
disposabl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6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봉근
한예림
곽수빈
김효정
김소담
서민지
윤영주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56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2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4Appliances for making gloves; Measuring devices for glove-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장갑 착용기는 내부 수용부가 구비되며 일측이 개구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평행한 상태를 이루며 일단이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고정되어, 일회용 장갑 다수 개가 서로 접합된 상태로 걸리도록 하는 장갑걸이부와, 상기 한 쌍의 장갑걸이부의 타측부에 근접하여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장갑 규제용 로드 및 상기 장갑걸이부에 평행한 상태를 이루며 일단이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고정되어, 일회용 장갑의 손가락 끼움부 사이로 위치되도록 하는 보조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일회용 장갑 착용기{ONE-TIME VINYL GLOVES WEARING DEVICE}
본 발명은 일회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손 사용이 불편한 사람도 일회용 장갑을 쉽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 일회용 장갑 착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상황에서 필요에 따라 위생용으로 일회용 장갑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장애인이나 노인들이 있는 요양원이나 병원시설 등에서는 검진 시나 또는 인지발달을 위한 물건 등을 다룰 때 손을 씻지 않으면서도 감염 등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회용 장갑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런데, 일부 손이 불편한 환자나 노인들은 한쪽 손이나 양쪽 손에 장갑을 착용하기가 힘든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양손의 사용이 불편한 환자나 노인들도 쉽게 착용이 가능한 일회용 장갑 착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하면, 내부 수용부가 구비되며 일측이 개구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평행한 상태를 이루며 일단이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고정되어, 일회용 장갑 다수 개가 서로 접합된 상태로 걸리도록 하는 장갑걸이부와, 상기 한 쌍의 장갑걸이부의 타측에 근접하여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장갑 규제용 로드 및 상기 장갑걸이부에 평행한 상태를 이루며 일단이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고정되어, 일회용 장갑의 손가락 끼움부 사이로 위치되도록 하는 보조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장갑 착용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한 쌍의 장갑 규제용 로드의 하측으로 한 쌍의 보조 장갑 규제용 로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장갑 규제용 로드는 상기 장갑 규제용 로드로부터 상기 본체부 내측 방향으로 소정 평행 이격된 위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 상측으로 손삽입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손삽입부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장갑 규제용 로드와 상기 보조 장갑 규제용 로드로 인하여 소정 각도를 이루며 배치되는 일회용 장갑에 손을 끼우기 유리하도록 기 설정된 경사각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장갑 착용기에 의하여, 보조가이드에 의하여 일회용 장갑의 이동이 원활하여 짐은 물론 착용되는 장갑이 설치 각도를 줌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인들이 보다 쉽게 장갑 착용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장갑 착용기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 는 상기 도 1 에서 상부 덮개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장갑 착용기를 도시한 평면도; 및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일회용 장갑 착용기를 측방향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장갑 착용기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는 상기 도 1 에서 상부 덮개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장갑 착용기는 내부 수용부가 구비되며 일측이 개구된 부위를 지니는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일단부가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 일측에 고정된 한 쌍의 장갑걸이부(120)와, 상기 한 쌍의 장갑걸이부(120)의 타단부에 근접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장갑 규제용 로드(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에는 상부 덮개(170)가 배치되며, 상기 상부 덮개(170)는 본체부(110)의 상부를 폐쇄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부 덮개(170)에는 손 삽입부(180)가 구비된다. 상기 손 삽입부(180)는 전체적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손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며,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손을 임시 거치함과 동시에 다치지 않도록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인 고무나 메모리폼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장갑걸이부(120)는 각각 일단이 상기 본체부(1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부(110)의 개방된 측면 측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장갑걸이부(120)에 다수의 일회용 장갑(210)들이 걸리게 되는데, 일회용 장갑(210)의 상부에 관통공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관통공들을 통해서 장갑걸이부(120)들이 삽입되어 일회용 장갑들이 거치된 형태를 이룬다.
이때, 상기 각 일회용 장갑(210)들은 서로에 대하여 접합된 상태로 장갑걸이부(120)에 매달리게 된다. 즉, 소정 접합부(220)를 구비하되, 상기 각 접합부(220)에서 인접된 장갑(210)들 상호간에 접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접합부(220)는 소정 외력을 가하면 쉽게 분리될 정도의 접합력을 가진다.
상기 장갑 규제용 로드(130)는 힌지(140)를 중심으로 본체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별도로 설치된 스프링(190)에 의해서 일방향으로 편향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장갑(210)들이 서로 접합된 상태로 본체부(110)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190)의 편향력은 장갑 규제용 로드(130)를 도면에 도시된 V 자의 형태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장갑 규제용 로드(13)는 외력에 의해서 스프링(190)의 탄성력에 반하는 방향으로 벌어지게 되며, 장갑 규제용 로드(130)가 벌어짐으로써 일회용 장갑(210)에 감싸인 손을 상기 본체부(110)의 측면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동시에 다음의 일회용 장갑(210)이 배출되는 것을 규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프링(190)은 도시되지 않은 다른 링크를 통해서 상기 장갑 규제용 로드(130)에 탄성력을 전달하고 상기 장갑 규제용 로드(130)의 회전을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설치된다.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별도의 스토퍼가 구비되어 로드(130)가 내측으로 더 회전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장갑 착용기는 상기 장갑걸이부(120) 하측으로 평행하게 장갑 하부로 사용자 각각의 손가락이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손가락 끼움부 사이에 위치되어 일회용 장갑의 이동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보조가이드부(350)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가이드부(350)는 장갑의 하측 가이드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보다 정확하게 장갑들이 서로 엉키지 않으면서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장갑 착용기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수의 일회용 장갑(210)들은 서로에 대하여 접합부(220)에서 접합된 상태로 장갑걸이부(120)에 걸려있게 되며, 일회용 장갑(210)들 중 하나가 상기 삽입부(180)의 하부에 배치되면, 상기 삽입부(180)의 하부에 배치된 일회용 장갑(210)은 상부가 벌어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삽입부(180)를 통해서 손을 삽입시킨 후, 상기 본체부(110)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서 손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장갑 규제용 로드(130)가 벌어지면서 일회용 장갑(210)을 낀 채로 손을 외부로 빼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합부(220)를 통해서 접합되어 있는 다음의 일회용 장갑(210)은 상기 삽입부(180)의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로 끌려오게 되며, 상기 장갑 규제용 로드(130)는 스프링(190)의 탄성에 의해서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원위치로 복귀되는 상기 장갑 규제용 로드(130)는 다음의 일회용 장갑(210)이 손을 감싼 일회용 장갑(210)에 접합된 상태로 외부로 함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서 접합부(220)가 분리되게 된다.
결국, 다음의 일회용 장갑(210)은 자동적으로 상기 삽입부(180)에 배치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장갑 착용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일회용 장갑 착용기를 측방향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장갑 착용기 또한 본체부(110)를 구비하되, 상기 본체부(110)에 상기 한 쌍의 장갑걸이부(120)의 타단부에 근접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장갑 규제용 로드(130)를 구비한다.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장갑 규제용 로드(130)는 힌지(140)를 중심으로 본체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190)에 의해서 일방향으로 편향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장갑(210)들이 서로 접합된 상태로 본체부(110)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장갑 착용기는 한 쌍의 보조 장갑 규제용 로드(3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보조 장갑 규제용 로드(330)도 힌지(340)를 중심으로 본체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별도로 구비되는 스프링(390)에 의해서 일방향으로 편향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장갑(210)들이 서로 접합된 상태로 상기 본체부(110)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장갑 규제용 로드(330)는 상기 장갑 규제용 로드(130)보다 상기 본체부(110)의 하부와 폐쇄된 내측으로 각각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장갑 착용기는 상기 장갑 규제용 로드(130)와 보조 장갑 규제용 로드(330)의 위치로 인하여 삽입부(180) 하측에 위치되는 장갑이 소정 경사진 각도(θ)를 이루며 배치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서,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인들이 손을 수직하게 넣지 않고서 보다 편한 각도로 장갑 착용을 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삽입부(180)는 상기 장갑의 경사 각도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경사각도로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보다 편한 장갑 착용 환경을 제공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10: 본체부 120: 장갑걸이부
130: 장갑 규제용 로드 140: 힌지
150: 삽입 공간 330: 보조 장갑 규제용 로드
340: 힌지 350: 보조가이드부

Claims (4)

  1. 내부 수용부가 구비되며 일측이 개구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평행한 상태를 이루며 일단이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고정되어, 일회용 장갑 다수 개가 서로 접합된 상태로 걸리도록 하는 장갑걸이부;
    상기 한 쌍의 장갑걸이부의 타측부에 근접하여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장갑 규제용 로드; 및
    상기 장갑걸이부에 평행한 상태를 이루며 일단이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고정되어, 일회용 장갑의 손가락 끼움부 사이로 위치되도록 하는 보조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일회용 장갑 착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한 쌍의 장갑 규제용 로드의 하측으로 한 쌍의 보조 장갑 규제용 로드가 더 구비되는,
    일회용 장갑 착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보조 장갑 규제용 로드는,
    상기 한 쌍의 장갑 규제용 로드로부터 상기 본체부 내측 방향으로 소정 평행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일회용 장갑 착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상측으로 손삽입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손삽입부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장갑 규제용 로드와 상기 한 쌍의 보조 장갑 규제용 로드로 인하여 소정 각도를 이루며 배치되는 일회용 장갑에 손을 끼우기 유리하도록 기 설정된 경사각을 이루며 형성되는,
    일회용 장갑 착용기.
KR1020140156023A 2014-11-11 2014-11-11 일회용 장갑 착용기 KR101610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023A KR101610238B1 (ko) 2014-11-11 2014-11-11 일회용 장갑 착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023A KR101610238B1 (ko) 2014-11-11 2014-11-11 일회용 장갑 착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0238B1 true KR101610238B1 (ko) 2016-04-08

Family

ID=55908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6023A KR101610238B1 (ko) 2014-11-11 2014-11-11 일회용 장갑 착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2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681B1 (ko) 2016-11-23 2017-02-10 (주)경동금속주방 일회용장갑 착용기
KR102082500B1 (ko) 2019-01-08 2020-02-27 박지원 일회용 장갑 착용기
KR20230167544A (ko) 2022-06-02 2023-12-1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세균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갑 착용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328Y1 (ko) 2002-08-13 2002-11-04 황청주 장갑 착용장치
KR200395793Y1 (ko) 2005-07-04 2005-09-13 김종보 우산자동포장기 및 우산자동포장기용 비닐포장지
KR101120116B1 (ko) 2009-09-16 2012-02-22 지석경 위생장갑 착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328Y1 (ko) 2002-08-13 2002-11-04 황청주 장갑 착용장치
KR200395793Y1 (ko) 2005-07-04 2005-09-13 김종보 우산자동포장기 및 우산자동포장기용 비닐포장지
KR101120116B1 (ko) 2009-09-16 2012-02-22 지석경 위생장갑 착용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681B1 (ko) 2016-11-23 2017-02-10 (주)경동금속주방 일회용장갑 착용기
KR102082500B1 (ko) 2019-01-08 2020-02-27 박지원 일회용 장갑 착용기
KR20230167544A (ko) 2022-06-02 2023-12-1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세균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갑 착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74750A1 (en) Wearable Animal Inform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1612199B2 (en) Touch protector
KR101610238B1 (ko) 일회용 장갑 착용기
JP2022061527A (ja) 立体マスク保管ケース
WO2006126971A1 (en) An ophthalmic device
US20170013898A1 (en) Restraint Mitten
KR101789278B1 (ko) 안약 투약기
WO2015085601A1 (zh) 一种摆位器
US20210387795A1 (en) Reusable Mask Storage and Donning & Doffing Device
JP4492950B2 (ja) 医療チューブ固定装置及び医療チューブ保護用手袋
JP5828411B2 (ja) 孫の手
JP6887159B2 (ja) 作業用衣服
JP2016180201A (ja) 手袋取り外し器具
US20180116497A1 (en) Infant Eye Opening Apparatus
JP6245624B1 (ja) インナーバイトリング
JP2012180628A (ja) 手袋
US10886962B2 (en) Electronic device case
WO2008108611A1 (es) Dispositivo para biberones que evita el extravío del tapón y mejora las condiciones higiénicas de dispensado del líquido
CN214049308U (zh) 一种眼科用便携式辅助滴液装置
US20180133109A1 (en) Toothbrush head storage unit with pill dispenser
JP3228931U (ja) ミトン
CN208492332U (zh) 一种动脉穿刺体位辅助装置
KR101873172B1 (ko) 손가락 도포 장치
CN213553869U (zh) 一种医疗护理用的头戴式呕吐袋
CN211510651U (zh) 一种无接触式口罩安全收纳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