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328Y1 - 장갑 착용장치 - Google Patents

장갑 착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328Y1
KR200294328Y1 KR2020020024157U KR20020024157U KR200294328Y1 KR 200294328 Y1 KR200294328 Y1 KR 200294328Y1 KR 2020020024157 U KR2020020024157 U KR 2020020024157U KR 20020024157 U KR20020024157 U KR 20020024157U KR 200294328 Y1 KR200294328 Y1 KR 2002943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vinyl
hand
guide hol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41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청주
Original Assignee
황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청주 filed Critical 황청주
Priority to KR20200200241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3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3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328Y1/ko

Links

Landscapes

  • Glo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회용 비닐장갑을 타인의 도움 없이도 간단하게 한 손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갑 착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르면, 상면에는 손을 집어넣을 수 있도록 안내구멍(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비닐장갑(1)이 착용된 후 손을 빼낼 수 있도록 상기 안내구멍(11)과 연결되는 절결부(12)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몸체(10)와; 상기 안내구멍(11) 내로 손을 삽입할 때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비닐장갑(1)을 하나씩 파지하여 벌려주는 제1 및 제2 파지부재(21, 22)를 구비하고 있으며, 수평 축선을 각 대응축의 공통 축선으로 하여 서로 연동하는 한 쌍의 사변형 링크기구(23)를 포함하는 장갑 개방유닛(20)과; 상기 비닐장갑(1)이 서로 겹쳐져 매달려 있는 매달림 핀(31), 상기 매달림 핀(31)에 매달려 있는 비닐장갑(1)을 상기 장갑 개방유닛(20)을 향하여 가압하고 있는 가압부재(32) 및 인장 스프링(33)을 포함하는 장갑 매달림 유닛(30)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착용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장갑 착용장치{Device for putting on gloves}
본 고안은 일회용 비닐장갑을 타인의 도움 없이도 간단하게 한 손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갑 착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비닐장갑은 음식물이나 약품을 만지게 되는 식당이나 각종 실험실 등에서 오염을 피하거나 위생상의 이유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일회용 비닐장갑을 착용하기 위해서, 착용자는 양쪽 손을 이용하여 우선 한쪽 손에 비닐장갑을 착용한 다음, 나머지 한쪽 손에 비닐장갑을 착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착용과정에서 이미 비닐장갑을 양손으로 만지게 되고, 양손에 비닐장갑을 착용하는 과정도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본 고안의 목적은, 비닐장갑을 착용함에 있어서 장갑의 입구를 자동적으로 벌려주어 착용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착용시 양쪽 손을 사용하여 비닐장갑을 잡아줄 필요가 없는 장갑 착용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갑 착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상기 장갑 착용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라서, 상면에는 손을 집어넣을 수 있도록 안내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비닐장갑이 착용된 후 손을 빼낼 수 있도록 상기 안내구멍과 연결되는 절결부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안내구멍 내로 손을 삽입할 때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비닐장갑을 하나씩 파지하여 벌려주는 제1 및 제2 파지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수평 축선을 각 대응축의 공통 축선으로 하여 서로 연동하는 한 쌍의 사변형 링크기구를 포함하는 장갑 개방유닛과, 상기 비닐장갑이 서로 겹쳐져 매달려 있는 매달림 핀, 상기 매달림 핀에 매달려 있는 비닐장갑을 상기 장갑 개방유닛을 향하여 가압하고 있는 가압부재 및 인장 스프링을 포함하는 장갑 매달림 유닛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착용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장갑 착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갑 착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5는 상기 장갑 착용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갑 착용장치의 몸체(10) 상면에는 손을 집어넣을 수 있도록 안내구멍(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0) 전면에는 비닐장갑이 착용된 후 손을 빼낼 수 있도록 상기 안내구멍(11)과 연결되는 절결부(12)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을 상기 몸체(10) 상면의 안내구멍(11)으로 집어넣은 다음 상기 몸체(10) 전면의 절결부(12)를 통하여 손을 빼내는 것만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간단하게 비닐장갑을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안내구멍(11)의 하부 일측에는 여러 장의 비닐제의 장갑(1)이 서로 포개져 매달려 있다. 상기 비닐장갑(1)은 2겹의 비닐을 겹쳐 만드는데, 손목 끝부분은 길이가 서로 다르게 만들어지고 길이가 긴 쪽에 나란히 2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매달림 핀(31)에 매달리게 된다.
사용자의 손은 안내구멍(11)의 위쪽으로부터 삽입되며, 상기 몸체(10)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장갑 개방유닛(20)에 의해서 상기 비닐장갑(1)이 자동적으로 개구되어 삽입된 손에 착용된다.
상기 장갑 개방유닛(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기구에 의해 요동하는 제1 및 제2 파지부재(21, 22)를 가지고 있으며,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을 삽입할 때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비닐장갑(1)을 개구시킨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장갑 개방유닛(20)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장갑 개방유닛(20)은, 비닐장갑(1)을 하나씩 파지하여 벌려주는 제1 및 제2 파지부재(21, 22)를 구비하고 있으며, 수평 축선을 각 대응축의 공통 축선으로 하여 서로 연동하는 한 쌍의 사변형 링크기구(23; 도 2에는 한 조의 링크기구만이도시되어 있지만, 뒤쪽에 동일한 형태의 다른 한 조의 링크기구가 마련된다)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링크기구(23) 중 아래쪽의 링크부재, 즉 고정부재(24)는 상기 몸체(10)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부(13a)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24)에 대향하는 위쪽의 링크부재는 이동부재(25)이며, 상기 고정부재(24) 및 이동부재(25)는 상하방향으로 뻗어 있는 좌우측 링크부재(26, 27)를 통하여 대략 사변형을 이루며 연결되어 있다.
위쪽의 이동부재(25)에는, 도 2에서 볼 때 왼쪽 아랫방향으로 약간 기울어지도록 뻗어 있는 제1 파지부재(21)가 설치되고, 우측 링크부재(27)끼리는 측면판(27a)에 의하여 연결되어 함께 움직인다. 그에 따라 도 2에 나타나 있는 링크기구와 이 링크기구의 뒤쪽에 있어 도시되지 못한 또 하나의 동일한 형태의 링크기구는 함께 연동된다.
상기 측면판(27a)의 대략 중앙에는, 왼쪽을 향하여 뻗어있는 제2 파지부재(22)가 설치된다. 상기 제2 파지부재(22)는 판 스프링으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만곡 가능한 소재로 만들어진다. 또한, 상기 제2 파지부재(22)의 좌측 선단에는 고무 혹은 연성 합성수지 등으로 만들어지는 탄성 설편(22a)이 부착된다.
설명되지 않은 부호 28a, 28b, 28c, 28d는, 링크기구의 선회축이다. 좌측 링크부재(26)의 선회축(28a, 28b)은 양쪽 링크기구(23)마다 독립하여 이루어지고, 우측 링크부재(27)의 선회축(28c, 28d)은 기다란 하나의 축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링크기구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위쪽의 상기 이동부재(25)와 상기 우측 링크부재(27) 사이에는, 이동부재(25)와 우측 링크부재(27)가 이루는 각도를 넓히도록 가압하는 스프링(29)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29)은, 비틀림 스프링으로서, 스프링의 권회부에 우측 링크부재(27)의 위쪽 선회축(28c)을 삽입 관통시키고, 이 권회부의 양끝에서 돌출하는 단부(29a, 29b) 중 도 2에서 볼 때 왼쪽으로 돌출하는 단부(29a)는 상기 이동부재(25)의 하면에 맞닿게 하고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단부(29b)는 상기 우측 링크부재(27)의 측면판(27a) 내면에 맞닿게 한다.
상기 좌측 링크부재(26)의 아래쪽 선회축(28b)이 삽입되어 있는 축구멍(26a)은 상기 좌측 링크부재의 길이방향으로 기다랗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재(25)는 상기 축구멍(26a)에 의해 제한되는 길이 내에서 단독으로 상하 요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 파지부재(21)의 윗면에는, 안내구멍(11)으로 손을 집어넣으면서 제1 파지부재(21)를 내리누를 수 있도록 지지부재(21a)가 부착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장갑 개방유닛(2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함에 의해 비닐장갑(1)을 자동적으로 개구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몸체의 안내구멍(11)으로부터 절결부(12)로의 방향은 상기 링크기구의 이동부재(25)의 이동방향과 직교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된 바와 같이 장갑 개방유닛(20)에 의해 비닐장갑(1)이 하나씩 파지될 수 있도록 상기 장갑 개방유닛(20)으로 비닐장갑(1)을 공급하기 위해서 장갑 매달림 유닛(30)이 상기 몸체(10) 내에 설치된다.
상기 장갑 매달림 유닛(30)은, 상기 비닐장갑(1)이 서로 겹쳐져 매달려 있는 매달림 핀(31)과, 상기 매달림 핀(31)에 매달려 있는 비닐장갑(1)을 상기 장갑 개방유닛(20)을 향하여 가압하고 있는 가압부재(32) 및 인장 스프링(33)을 포함한다.
상기 매달림 핀(31)은 상기 이동부재(25)의 이동방향과 일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매달림 핀(31)의 일단은 상기 몸체(10)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부(13b)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타단은 수평으로 뻗어 있다.
상기 가압부재(32)는 기다란 상기 인장 스프링(33)에 의해서 상기 장갑 개방유닛(20)을 향한 가압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약간 두꺼운 가압 패드(32a)를 통하여 비닐장갑(1)을 가압하고 있다.
상기 장갑 개방유닛(20)의 제1 파지부재(21)의 선단은 상기 매달림 핀(31)이 고정 장착된 베이스부(13b) 근처에서 대기하게 된다.
상기 매달림 핀(31) 바로 위에는 톱니를 갖춘 비닐장갑 절단부재(34)가 설치되어 있으며, 따라서 비닐장갑(1)에 손을 삽입한 다음에 약간 강하게 내리누르거나, 상기 몸체의 절결부(12) 방향으로 손을 빼내게 되면 비닐장갑의 손목부분이 파열되면서 상기 매달림 핀(31)으로부터 비닐장갑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갑 착용장치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장갑 착용장치의 장갑 개방유닛(20)의 대기 상태를 나타내고, 도 3 내지 도 5는 사용자의 손이 삽입됨에 따라 순차적으로 비닐장갑(1)이 개구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의 안내구멍(11)에 사용자가 손을 삽입하면 손끝이 제1 파지부재(21)에 부착된 지지부재(21a)에 맞닿게 되고, 계속해서 손을 삽입하면서 지지부재(21a)를 밀어 내리면, 지지부재는 제1 파지부재(21)와 함께 하강된다. 상기 제1 파지부재(21)는 상기 장갑 개방유닛(20)의 이동부재(25)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부재(25)가 회동된다.
이 때, 링크기구(23)의 링크동작은 이루어지지 않으며, 대신에 상기 링크기구의 이동부재(25) 및 좌측 링크부재(26)만이 좌측 링크부재(26)의 축구멍(26a)이 허용하는 만큼 회동 및 하강된다. 상기 이동부재(25)는 선회축(28c) 또는 선회축(28d), 혹은 양쪽 모두의 선회축(28c, 28d)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제1 파지부재(21)의 선단은 크게 원을 그리며 회동된다.
상기 링크기구(23)의 좌측 링크부재(26)의 상단은 이동부재(25)보다 약간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측 링크부재(26)의 상단이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좌측 링크부재(26)는 축구멍(26a)의 거리만큼 하강되기 전에는 기울어질 수 없게 된다.
상기 제1 파지부재(21)가 크게 원을 그리며 회동됨에 따라서 그 선단이 비닐장갑(1)을 개구시킬 수 있도록 걸린다. 그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을 더욱 삽입하면 제1 파지부재(21)와 제2 파지부재(22)의 선단이 점진적으로 근접되어 비닐장갑(1)을 파지하게 된다.
동시에, 축구멍(26a) 내에서의 좌측 링크부재(26)의 하강이 종료되고, 링크기구(23)의 링크운동이 개시된다. 상기 좌우측 링크부재(26, 27)는 시계방향으로 기울어져 제1 및 제2 파지부재(21, 22)가 비닐장갑(1)의 일측을 파지한 상태로 도 5에서와 같이 오른쪽으로 이동되어 비닐장갑(1)이 개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가 안내구멍(11) 내로 손을 삽입하여 지지부재(21a)를 가압함에 의해 비닐장갑(1)을 개구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개구된 비닐장갑(1) 내로 손을 완전히 삽입한 다음에 몸체 일측에 형성된 절결부(12)를 통하여 손을 빼내면 비닐장갑의 착용이 완료된다.
도 5의 상태로부터 손을 빼내면 링크기구(23)는 스프링(29)의 복귀력에 의해서 도 2의 대기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상 설명한 장갑 착용장치는 별도의 구동력을 마련할 필요 없이 사용자가 지지부재를 내리누르는 힘, 즉 기계적인 힘만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되고 설명되었지만, 모터와 같은 별도의 구동장치를 장착하여 버튼을 누르거나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삽입됨을 감지하면 이 모터가 구동되어 링크기구를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비닐장갑을 착용함에 있어서 장갑의 입구를 자동적으로 벌려주어 착용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착용시 양쪽 손을 사용하여 비닐장갑을 잡아줄 필요가 없는 장갑 착용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4)

  1. 상면에는 손을 집어넣을 수 있도록 안내구멍(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비닐장갑(1)이 착용된 후 손을 빼낼 수 있도록 상기 안내구멍(11)과 연결되는 절결부(12)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몸체(10)와;
    상기 안내구멍(11) 내로 손을 삽입할 때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비닐장갑(1)을 하나씩 파지하여 벌려주는 제1 및 제2 파지부재(21, 22)를 구비하고 있으며, 수평 축선을 각 대응축의 공통 축선으로 하여 서로 연동하는 한 쌍의 사변형 링크기구(23)를 포함하는 장갑 개방유닛(20)과;
    상기 비닐장갑(1)이 서로 겹쳐져 매달려 있는 매달림 핀(31), 상기 매달림 핀(31)에 매달려 있는 비닐장갑(1)을 상기 장갑 개방유닛(20)을 향하여 가압하고 있는 가압부재(32) 및 인장 스프링(33)을 포함하는 장갑 매달림 유닛(30)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착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 개방유닛(20)의 링크기구(23)는, 상기 몸체(10)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부(13a)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고정부재(24)와, 상기 고정부재(24)에 대향하는 위치의 이동부재(25)와, 상기 고정부재(24) 및 이동부재(25)를 사변형을 이루며 연결시키도록 상하방향으로 뻗어 있는 좌우측 링크부재(26, 27)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25)에는 제1 파지부재(21)가 설치되고, 상기 우측 링크부재(27)끼리는 측면판(27a)에 의하여 연결되어 함께 움직이고, 상기측면판(27a)에는 제2 파지부재(2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25)와 상기 우측 링크부재(27) 사이에는 이동부재(25)와 우측 링크부재(27)가 이루는 각도를 넓히도록 가압하는 스프링(29)이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 링크부재(26)의 아래쪽 선회축(28b)이 삽입되어 있는 축구멍(26a)은 상기 좌측 링크부재의 길이방향으로 기다랗게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재(25)는 상기 축구멍(26a)에 의해 제한되는 길이 내에서 상하 요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1 파지부재(21)의 윗면에는 상기 안내구멍(11)으로 손을 집어넣으면서 제1 파지부재(21)를 내리누를 수 있도록 지지부재(21a)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착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 매달림 유닛(30)의 매달림 핀(31)은 상기 이동부재(25)의 이동방향과 일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압부재(32)는 기다란 상기 인장 스프링(33)에 의해서 상기 장갑 개방유닛(20)을 향한 가압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상기 매달림 핀(31) 바로 위에는 톱니를 갖춘 비닐장갑 절단부재(34)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착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23)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착용장치.
KR2020020024157U 2002-08-13 2002-08-13 장갑 착용장치 KR2002943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157U KR200294328Y1 (ko) 2002-08-13 2002-08-13 장갑 착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157U KR200294328Y1 (ko) 2002-08-13 2002-08-13 장갑 착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328Y1 true KR200294328Y1 (ko) 2002-11-04

Family

ID=73127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4157U KR200294328Y1 (ko) 2002-08-13 2002-08-13 장갑 착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32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257B1 (ko) 2013-04-30 2015-02-06 신범수 고무장갑 탈피 착용 장치
KR101610238B1 (ko) 2014-11-11 2016-04-0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일회용 장갑 착용기
KR101705681B1 (ko) * 2016-11-23 2017-02-10 (주)경동금속주방 일회용장갑 착용기
KR102038455B1 (ko) * 2018-07-31 2019-10-31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멸균장갑 공급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257B1 (ko) 2013-04-30 2015-02-06 신범수 고무장갑 탈피 착용 장치
KR101610238B1 (ko) 2014-11-11 2016-04-0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일회용 장갑 착용기
KR101705681B1 (ko) * 2016-11-23 2017-02-10 (주)경동금속주방 일회용장갑 착용기
KR102038455B1 (ko) * 2018-07-31 2019-10-31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멸균장갑 공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98053A1 (en) Device for enhancing operation of a game controll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0501551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tting on gloves and gloves
US10966893B2 (en) Exoskeleton apparatus for limb rehabilitation
SE446416B (sv) Bildbetraktningsapparat
JP2660500B2 (ja) ゲーム装置
KR200294328Y1 (ko) 장갑 착용장치
JP7389099B2 (ja) 入力デバイス
JP4175812B2 (ja) 弾球遊技機
USD516218S1 (en) Wrist device
JP4507233B2 (ja) 蠕動式輸液装置
JP3210683U (ja) 靴下着用装置
JP2015091289A (ja) 指用マッサージ装置
TWM569622U (zh) Hand rehabilitation device
USD477376S1 (en) Device with rotatable top for training proper foot placement and movement for batters
JP3012489U (ja) 傘用袋の自動開口装置
JP6185642B1 (ja) コンタクトレンズ装着具
KR20190115667A (ko) 오븐
JP5009559B2 (ja) 手動利器における両把持柄の開閉動機構
WO2002049526A1 (fr) Dispositif de retrait d'un gant
CN214342898U (zh) 一种便于佩戴的隐形眼镜拾取装置
CN211957471U (zh) 一种免接触按压器
KR102369477B1 (ko) 손에 착용 가능한 잡기 보조용 전동집게
JP2948770B2 (ja) ゲーム装置
JP3016654U (ja) 工業用ミシンの折れ針収集箱
CN211897325U (zh) 一种新型压肶骨拖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