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681B1 - 일회용장갑 착용기 - Google Patents

일회용장갑 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681B1
KR101705681B1 KR1020160156495A KR20160156495A KR101705681B1 KR 101705681 B1 KR101705681 B1 KR 101705681B1 KR 1020160156495 A KR1020160156495 A KR 1020160156495A KR 20160156495 A KR20160156495 A KR 20160156495A KR 101705681 B1 KR101705681 B1 KR 101705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able glove
disposable
finger
glove
gl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6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윤섭
한동기
Original Assignee
(주)경동금속주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동금속주방 filed Critical (주)경동금속주방
Priority to KR1020160156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90Devices for domestic use for assisting in putting-on or pulling-off clothing, e.g. stockings or trousers
    • A47G25/904Devices for domestic use for assisting in putting-on or pulling-off clothing, e.g. stockings or trousers for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4Donning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52Dispos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장갑을 보다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일회용장갑 착용기에 관한 기술로서,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정면은 개구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후방측 상단에서 상기 정면측을 향해 좌우 평행하게 배치되어 일회용장갑을 끼워 보관하는 일회용장갑 걸이봉; 상기 일회용장갑 걸이봉의 자유단과 인접하여 상기 바디의 정면측 상부에서 상기 일회용장갑 걸이봉의 상단과 접촉되는 제1누름체; 상기 바디의 하방면에 설치되며, 상기 일회용장갑 걸이봉에 끼워진 상기 일회용장갑의 핑거홈에 끼워져 상기 일회용장갑의 착용시 작용하는 하방힘을 받아주는 핑거서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회용장갑 착용기{disposable glove put on device}
본 발명은 일회용장갑을 보다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일회용장갑 착용기에 관한 기술이다.
얇은 비닐로 이루어져 주방이나 식당 등에서는 일회용 장갑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저렴하게 제공되므로 일시적으로 사용하고 버리게 된다. 그러나 얇은 비닐로 이루어진 일회용장갑은 물티슈처럼 작은 포장용기에 넣어져 하나씩 뽑아쓸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일회용장갑을 뽑아서 입구를 열어 손에 끼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손이 더러운 경우 장갑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고, 얇은 일회성장갑을 손에 착용하기가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쪽 손은 비교적 쉽게 일회용장갑을 낄 수 있으나, 나머지 다른 한손에 일회용장갑을 끼는 것은 더욱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0238호의 "일회용 장갑 착용기"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일회용 장갑 착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일회용 장갑 착용기는 내부 수용부가 구비되며 일측이 개구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평행한 상태를 이루며 일단이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고정되어, 일회용 장갑 다수개가 서로 접합된 상태로 걸리도록 하는 장갑걸이부와, 상기 한 쌍의 장갑걸이부의 타측부에 근접하여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장갑 규제용로드와, 상기 장갑걸이부에 평행한 상태를 이루며, 일단이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고정되어 일회용 장갑이 손가락 끼움부 사이로 위치되도록 하는 보조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종래기술의 경우 장갑 규제용로드는 회전동작되면서 일회용장갑이 장갑걸이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장갑걸이부의 타측단부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일회용장갑을 잡아 위치 고정시켜 주지는 못한다.
따라서 조금의 바람만 불어도 일회용장갑이 내부로 밀려들어가게 되기 때문에 곧바로 손을 끼울 수 없고 가장 앞쪽에 있는 일회용장갑을 당긴 후 입구를 벌려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얇은 일회용 장갑을 쉽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가장 앞쪽에 위치되는 일회용장갑의 입구는 어느 정도 벌어져 있어야 하고, 동시에 바람 등에 의해 가장 앞쪽의 일회용장갑이 내측으로 밀려들어가서는 안된다.
그리고 종래기술에서는 보조가이드부를 마련하여 일회용 장갑을 착용시 하방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받쳐주도록 일회용 장갑의 손가락 끼움부에 보조가이드부가 위치되게 한다. 하지만 보조가이드부는 장갑걸이부와 평행하게 일단 지지보 형태로 들뜬 상태로 있기 때문에 보조가이드부는 휘어지기도 하고 장기간 사용시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0238호
따라서 본 발명은 간편하게 일회용장갑을 착용할 수 있는 일회용장갑 착용기를 제공하되, 특히 항상 일회용장갑을 착용하기 용이하도록 가장 앞쪽의 일회용장갑의 입구부가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일회용장갑 착용시 하방으로 작용하는 힘을 받아주는 핑거서포트를 제공하되 바디의 하방면에 핑거서포트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장갑 착용기를 제시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일회용장갑 착용기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정면은 개구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후방측 상단에서 상기 정면측을 향해 좌우 평행하게 배치되어 일회용장갑을 끼워 보관하는 일회용장갑 걸이봉; 상기 일회용장갑 걸이봉의 자유단과 인접하여 상기 바디의 정면측 상부에서 상기 일회용장갑 걸이봉의 상단과 접촉되는 제1누름체; 상기 바디의 하방면에 설치되며, 상기 일회용장갑 걸이봉에 끼워진 상기 일회용장갑의 핑거홈에 끼워져 상기 일회용장갑의 착용시 작용하는 하방힘을 받아주는 핑거서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일회용장갑 착용기는, 상기 제1누름체와 이격거리를 두고 상기 제1누름체보다 후방측에 마련되어 상기 일회용장갑 걸이봉의 상단과 접촉되는 제2누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핑거서포트는, 뾰족한 산 모양의 받침부가 연속으로 두 개 이상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받침부의 꼭지부는 둥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일회용장갑 걸이봉은 ㄷ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측 수평봉에 일회용장갑이 끼워지고, 하부측 수평봉은 일회용장갑의 핑거홈을 받쳐주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장갑 착용기는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일회용장갑의 가장 앞쪽에 위치하는 일회용장갑의 입구부가 착용이 용이하도록 열려 있기 때문에 사용상 편리함이 크고, 바람에 의해서도 입구부가 닫히지 않기 때문에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핑거서포트가 바디의 하방면에 장착되기 때문에 아무리 큰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핑거서포트가 파손되지 않으며, 따라서 일회용장갑 착용시 일회용장갑이 찢어지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일회용 장갑 착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장갑 착용기의 정면측 사시도.
도 3은 일회용장갑 착용기의 배면측 사시도.
도 4는 커버가 오픈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제1누름체와 제2누름체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핑거서포트의 사시도.
도 7은 또 다른 형태의 일회용장갑 걸이봉의 사시도.
도 8은 일회용장갑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장갑 착용기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고자 하며,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하나의 실시 가능한 예를 설명하는 것임을 지적해 둔다.
즉, 제시되는 바람직한 실시예 자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가 해석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장갑 착용기의 정면측 사시도이며, 도 3은 일회용장갑 착용기의 배면측 사시도이며, 도 4는 커버가 오픈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제1누름체와 제2누름체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6은 핑거서포트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또 다른 형태의 일회용장갑 걸이봉의 사시도이고, 도 8은 일회용장갑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장갑 착용기는 얇은 비닐로 제작되어 한번 쓰고 버릴 수 있는 일회용장갑을 보다 쉽게 착용할 수 있고 위생적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비닐로 제작된 일회용장갑(10)은 이웃하는 일회용장갑(10)끼리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어느 정도 이상의 힘으로 당기면 연결이 해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일회용장갑(10)의 상단 입구부(11) 근처 좌우에 개구되는 끼움홀(1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공되는 일회용장갑(10)을 쉽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회용장갑 착용기는 주요한 구성요소로서, 바디(100), 일회용장갑 걸이봉(200), 제1누름체(300), 핑거서포트(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디(100)는 전체적인 외관을 이루는 요소로서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정면은 개구되어 있고, 상부도 개구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디(100)의 상부측에 탈부착 혹은 개폐될 수 있는 커버(110)가 마련되며, 커버(110)의 전방측은 개구되어 손을 집어 넣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바디(100)의 후방면에는 본 일회용장갑 착용기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고정브라켓(120)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바디(100)의 좌우측면에는 손잡이(130)가 마련되어 이동시 파지가 용이하도록 한다.
바디(100)의 후방측 상단으로부터 정면측을 향해 길게 연장되는 일회용장갑 걸이봉(200)이 마련되는데, 일회용장갑 걸이봉(200)은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도록 좌우 하나씩이 서로 평행하도록 수평하게 배치된다.
일회용장갑 걸이봉(200)은 대략 일회용장갑(10)에 형성되는 끼움홀(12)의 간격 정도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스텐레스봉과 같이 원형 단면의 소직경의 봉상체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회용장갑 걸이봉(200)의 일단은 바디(100)의 후방측 상단에서 고정되도록 하며, 타단은 개구된 바디(100)의 정면으로 연장되되 자유단의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일회용장갑 걸이봉(200)의 일단을 고정하는 것은 다양한 방식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 쌍을 이루어 평행하게 설치되는 일회용장갑 걸이봉(200)에 적당량의 일회용장갑(10)을 끼워서 보관하도록 하며, 일회용장갑(10)은 일회용장갑 걸이봉(200)에 의해 매달린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일회용장갑 걸이봉(200)의 자유단과 인접하여 제1누름체(300)가 마련되는데, 제1누름체(300)는 바디(100)의 정면측 상부에서 일회용장갑 걸이봉(200)의 상단과 접촉되어 일회용장갑 걸이봉(200)의 자유단을 가볍게 누르는 상태로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누름체(300)는 바디(100) 상면에 부착되는 브라켓(310)과 브라켓의 상단에 연결되는 롤러(320)로 이루어지며, 롤러(320)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롤러(320)의 외면은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져 미끌림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누름체(300)는 일회용장갑(10)의 입구부(11)를 통해 손을 끼워 넣은 후 바디(100)의 정면측 개구부를 통해 손을 이동시키면 손에 일회용장갑(10)이 착용된 채 손이 빠져 나오게 되며, 그 다음 일회용장갑(10)은 제1누름체(300)에 걸리게 된다. 즉, 제1누름체(300)는 일회용장갑 걸이봉(200)에 매달린 일회용장갑(10)이 일회용장갑 걸이봉(200)으로부터 무단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가장 앞쪽에 자리하는 일회용장갑(10)을 잡아주어 일회용장갑(10)의 입구부(11)가 개구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바람의 영향 등에 의해 일회용장갑(10)이 내부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회용장갑 착용기에는 제2누름체(4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2누름체(400)는 제1누름체(300)와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설치되는데, 제1누름체(300)보다 후방측에 마련되며, 일회용장갑 걸이봉(200)의 상단과 접촉되도록 한다. 제2누름체(400)는 제1누름체(300)와 동일한 브라켓(410)과 롤러(420)로 구성된다.
제1누름체(300)와 제2누름체(400)가 이격거리를 두고 일회용장갑 걸이봉(200)과 접촉을 이루고 있게 되면, 가장 앞쪽에 위치하는 일회용장갑(10)의 입구부(11)는 보다 확실하게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두 겹으로 이루어지는 일회용장갑(10)은 설명의 편의상 입구부(11)를 제1입구부(11a)와 제2입구부(11b)라 칭하도록 한다. 제1입구부(11a)와 제2입구부(11b)가 벌어지면서 손을 집어넣을 수 있는 입구부(11)가 형성된다. 서로 연결되어 일회용장갑 걸이봉(200)에 매달린 일회용장갑(10) 뭉치 중에서 가장 앞쪽의 일회용장갑은 그 제1입구부(11a)는 제1누름체(3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제2입구부(11b)는 제2누름체(400)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제1입구부(11a)와 제2입구부(11b)는 서로 벌어져 충분한 입구부(11)를 형성시키게 된다.
일회용장갑 걸이봉(200)에 걸린 일회용장갑(10)을 착용할 때에는 일회용장갑의 입구부(11)를 통해 손을 집어넣게 되는데, 얇은 비닐로 이루어진 일회용장갑(10)이기 때문에 피부에 붙어서 손가락이 잘 들어가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일회용장갑(10)의 입구부(11)를 통해 손을 집어 넣을 때 어느 정도 하방으로 힘을 주어야 하며, 이때 일회용장갑 걸이봉(200)에 매달린 일회용장갑(10)이 찢어질 가능성이 높다.
일회용장갑 착용시의 예상되는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핑거서포트(500)가 마련된다.
핑거서포트(500)는 바디(100)의 하방면에 고정 설치되며, 일회용장갑 걸이봉(200)에 끼워진 일회용장갑(10)의 핑거홈(13)에 끼워져 일회용장갑의 착용시 작용하는 하방힘을 받아주게 된다.
여기에서 의미하는 핑거홈(13)이란 일회용장갑(10)의 손가락 삽입부(14) 사이 사이의 V자형 홈을 말한다.
설명의 편의상 일회용장갑(10)의 엄지손가락 삽입부부터 제1손가락삽입부(14a), 제2손가락삽입부(14b), 제3손가락삽입부(14c), 제4손가락삽입부(14d), 제5손가락삽입부(14e)라 칭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1손가락삽입부(14a)와 제2손가락삽입부(14b) 사이의 홈을 제1핑거홈(13a)이라 하며, 제2손가락삽입부(14b)와 제3손가락삽입부(14c) 사이의 홈을 제2핑거홈(13b)이라 하며, 제3손가락삽입부(14c)와 제4손가락삽입부(14d) 사이의 홈을 제3핑거홈(13c)이라 하고, 제4손가락삽입부(14d)와 제5손가락삽입부(14e) 사이의 홈을 제4핑거홈(13d)이라 한다.
핑거서포트(500)는 핑거홈(13)에 끼워져 일회용장갑(10) 착용시 발생하는 하방힘을 받쳐주게 되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핑거서포트(500)는 제2핑거홈(13b)과 제3핑거홈(13c)을 받쳐주도록 한다. 핑거서포트(500)는 모든 핑거홈(130을 받쳐주도록 할 수도 있지만 제2핑거홈(13b)과 제3핑거홈(13c) 정도만을 받쳐주어도 무방하다.
보다 바람직하게 핑거서포트(500)는 뾰족한 산 모양의 받침부(510)를 갖는 형상이 되도록 하며, 받침부(510)는 두 개 이상 연속되면서 돌출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제2핑거홈(13b)과 제3핑거홈(13c)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부가 뾰족한 산 모양의 두 개의 받침부(510)가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받침부(510)의 최상단인 꼭지부(520)는 둥글게 형성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받침부(510)의 꼭지부(520)가 지나치게 뾰족하면 핑거홈(13)이 손상될 수도 있고, 심하게는 사람의 손가락에 상처를 입힐 수 있기 때문에 둥글게 처리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바디(100)의 상단에 정면을 향해 좌우 평행하게 마련되는 일회용장갑 걸이봉(200) 각각을 ㄷ 자 형상으로 만들도록 한다.
ㄷ 자 형상의 일회용장갑 걸이봉(200)에서 상부측 수평봉(210)에 일회용장갑(10)이 끼워지게 되고, 하부측 수평봉(220)은 일회용장갑(10)의 핑거홈(13)을 받쳐주도록 사용하도록 한다.
상부측 수평봉(210)과 하부측 수평봉(220)은 상하 방향으로 동일 수직선상에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좌우 상부측 수평봉(210)간 거리와 좌우 하부측 수평봉(220)간 거리가 동일할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좌우 하부측 수평봉(220)간 거리가 좌우 상부측 수평봉(210)간 거리보다 길이가 짧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디(100) 하방면에는 핑거서포트(500)가 마련되어 핑거홈(13) 중 일부를 받쳐주게 되는데, 또 다른 실시예와 같이 일회용장갑 걸이봉(200)을 ㄷ 자 형상으로 하여 핑거서포트(500)가 받쳐주지 못하는 핑거홈(13)을 하부측 수평봉(220)이 받쳐주게 하면 보다 확실하게 일회용장갑에 작용하는 착용시 하중을 지지해줄 수 있게 된다.
한편, 바디(100)의 정면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140)를 마련하여 일회용장갑 착용기의 미사용시에는 도어(140)를 닫아 바디(100) 내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혹은 도어(140)는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일회용장갑 착용 후 개구부를 통해 손을 뺄 때 도어(140)가 강제로 열리도록 하고, 이후 자동적으로 도어(140)가 닫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장갑 착용기는 착용이 쉽지 않은 일회용 장갑을 간단하게 착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일회용장갑 착용시 손에 의한 일회용장갑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인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회용장갑 걸이봉에 적정량의 일회용장갑을 끼워 매달아 두고 가장 앞쪽의 일회용장갑을 당겨서 뽑게 되면, 그 다음의 일회용장갑의 입구부가 제1누름체 및 제2누름체에 의해 입구부가 벌어진 채 고정된다.
일회용장갑을 착용하고자 하는 사람은 입구부가 벌어져 있는 가장 앞쪽의 일회용장갑에 손을 쉽게 집어넣은 후 손가락이 각 손가락삽입부에 끼워지도록 적당한 힘을 하방으로 가하면서 착용하도록 한다. 이때 핑거서포트가 하방힘을 받쳐주게 되므로 안전하게 일회용장갑을 착용할 수 있다.
이후 장갑이 착용된 손을 바디 정면의 개구부를 향해 당기면 연결된 다음 일회용장갑이 같이 이동되며, 제1누름체와 제2누름체에 의해 저항이 발생되면서 두번째 일회용장갑은 입구부가 벌어진 채 고정되고, 가장 앞쪽 일회용장갑과 분리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장갑 착용기는 비닐로 이루어진 일회용장갑을 착용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100 : 바디 110 : 커버
120 : 고정브라켓 130 : 손잡이
140 : 도어
200 : 일회용장갑 걸이봉 210 : 상부측 수평봉
220 : 하부측 수평봉
300 : 제1누름체 310 : 브라켓
320 : 롤러
400 : 제2누름체 410 : 브라켓
420 : 롤러
500 : 핑거서포트
510 : 받침부 520 : 꼭지부
10 : 일회용장갑
11 : 입구부 11a: 제1입구부
11b: 제2입구부 12 : 끼움홀
13 : 핑거홈 13a: 제1핑거홈
13b: 제2핑거홈 13c: 제3핑거홈
13d: 제4핑거홈
14 : 손가락삽입부
14a: 제1손가락삽입부 14b: 제2손가락삽입부
14c: 제3손가락삽입부 14d: 제4손가락삽입부
14e: 제5손가락삽입부

Claims (5)

  1.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정면은 개구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후방측 상단에서 상기 정면측을 향해 좌우 평행하게 배치되어 일회용장갑을 끼워 보관하는 일회용장갑 걸이봉;
    상기 일회용장갑 걸이봉의 자유단과 인접하여 상기 바디의 정면측 상부에서 상기 일회용장갑 걸이봉의 상단과 접촉되는 제1누름체;
    상기 바디의 하방면에 설치되며, 상기 일회용장갑 걸이봉에 끼워진 상기 일회용장갑의 핑거홈에 끼워져 상기 일회용장갑의 착용시 작용하는 하방힘을 받아주는 핑거서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장갑 착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장갑 착용기는,
    상기 제1누름체와 이격거리를 두고 상기 제1누름체보다 후방측에 마련되어 상기 일회용장갑 걸이봉의 상단과 접촉되는 제2누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장갑 착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서포트는,
    뾰족한 산 모양의 받침부가 연속으로 두 개 이상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장갑 착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꼭지부는 둥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장갑 착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장갑 걸이봉은
    ㄷ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측 수평봉에 일회용장갑이 끼워지고, 하부측 수평봉은 일회용장갑의 핑거홈을 받쳐주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장갑 착용기.
KR1020160156495A 2016-11-23 2016-11-23 일회용장갑 착용기 KR101705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495A KR101705681B1 (ko) 2016-11-23 2016-11-23 일회용장갑 착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495A KR101705681B1 (ko) 2016-11-23 2016-11-23 일회용장갑 착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5681B1 true KR101705681B1 (ko) 2017-02-10

Family

ID=58121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495A KR101705681B1 (ko) 2016-11-23 2016-11-23 일회용장갑 착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68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455B1 (ko) * 2018-07-31 2019-10-31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멸균장갑 공급 장치
KR102082500B1 (ko) 2019-01-08 2020-02-27 박지원 일회용 장갑 착용기
KR102121148B1 (ko) * 2019-04-15 2020-06-0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일회용 비닐 위생복 착용장치
WO2022164665A1 (en) * 2021-01-27 2022-08-04 James Edwin Dally Touchless glove application systems
WO2023283673A1 (en) * 2021-07-15 2023-01-19 Cosmoaesthetics Pty Ltd Disposable glove donning and doffing apparatu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0299A (ja) * 1989-12-20 1991-08-20 Hitachi Ltd 混成集積回路基板
KR200294328Y1 (ko) * 2002-08-13 2002-11-04 황청주 장갑 착용장치
KR20040104475A (ko) * 2002-03-05 2004-12-10 미스즈 세이꼬 가부시끼 가이샤 장갑의 장착 방법 및 장치 및 장갑
KR101120116B1 (ko) * 2009-09-16 2012-02-22 지석경 위생장갑 착용장치
KR101610238B1 (ko) 2014-11-11 2016-04-0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일회용 장갑 착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0299A (ja) * 1989-12-20 1991-08-20 Hitachi Ltd 混成集積回路基板
KR20040104475A (ko) * 2002-03-05 2004-12-10 미스즈 세이꼬 가부시끼 가이샤 장갑의 장착 방법 및 장치 및 장갑
KR200294328Y1 (ko) * 2002-08-13 2002-11-04 황청주 장갑 착용장치
KR101120116B1 (ko) * 2009-09-16 2012-02-22 지석경 위생장갑 착용장치
KR101610238B1 (ko) 2014-11-11 2016-04-0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일회용 장갑 착용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455B1 (ko) * 2018-07-31 2019-10-31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멸균장갑 공급 장치
KR102082500B1 (ko) 2019-01-08 2020-02-27 박지원 일회용 장갑 착용기
KR102121148B1 (ko) * 2019-04-15 2020-06-0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일회용 비닐 위생복 착용장치
WO2022164665A1 (en) * 2021-01-27 2022-08-04 James Edwin Dally Touchless glove application systems
WO2023283673A1 (en) * 2021-07-15 2023-01-19 Cosmoaesthetics Pty Ltd Disposable glove donning and doff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681B1 (ko) 일회용장갑 착용기
US9150322B2 (en) Bag holder
KR101120116B1 (ko) 위생장갑 착용장치
JP2008253801A (ja) ワンタッチ式楊枝容器
US3633801A (en) Carrying device for garment hangers and the like
WO2001010260A1 (en) Apparatus for the removable retention of an item of personal property
CA2980627C (en) Mobile toothbrush holder
US8511508B1 (en) Pocket-engaging case
US11707598B2 (en) Urinary catheter caddy and dispenser
US20120061340A1 (en) Trousers rack
JP2009285129A (ja) ハンガー、及びハンガーが備えた脱落防止具
JP3204865U (ja) 持ちやすく置き場所に困らない杖
JP3140570U (ja) ワンタッチ式オープンハンガー
JP2015080710A (ja) 開閉ハンガー
US20100096402A1 (en) Dispenser for moist towelettes
JP5756214B1 (ja) 特殊靴べら用収納ケース
JP2010131348A (ja) 靴下を脱ぐための補助用具
US2508755A (en) Holder for hand tools
KR102664961B1 (ko) 반창고 절단장치
US2864511A (en) Glove selector
JP6068608B1 (ja) 手摺ユニット
JP3226810U (ja) 非接触把持具
US2563594A (en) faulkinbury
KR20140004528U (ko) 손잡이의 파지가 용이한 위생컵
JP3207531U (ja) ボトル入り錠剤の取り出し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