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528U - 손잡이의 파지가 용이한 위생컵 - Google Patents

손잡이의 파지가 용이한 위생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528U
KR20140004528U KR2020130000595U KR20130000595U KR20140004528U KR 20140004528 U KR20140004528 U KR 20140004528U KR 2020130000595 U KR2020130000595 U KR 2020130000595U KR 20130000595 U KR20130000595 U KR 20130000595U KR 20140004528 U KR20140004528 U KR 201400045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andle
cup body
support groov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5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호
이진미
Original Assignee
박선호
이진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호, 이진미 filed Critical 박선호
Priority to KR20201300005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4528U/ko
Publication of KR201400045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52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잡이의 파지가 용이한 위생컵에 관한 것으로, 음료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컵몸체(10)와; 상기 컵몸체 일측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고리형의 손잡이(20)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20)는, 상기 컵몸체(10) 상단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다가 하측으로 만곡되어 'ㄱ'자 형을 형성하며, 검지 및 중지가 수용되어 걸리는 걸림부(22)와; 상기 걸림부(22)의 끝단과 이어지며, 상기 컵몸체(10) 측으로 'ㄷ'자 형으로 요입되게 절곡되며, 손잡이 외측을 지지하는 약지가 수용되는 지지홈부(24)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컵의 손잡이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으며, 컵을 거꾸로 걸 수 있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손잡이의 파지가 용이한 위생컵{EASY GRIPPING CUP}
본 고안은 손잡이의 파지가 용이한 위생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컵의 손잡이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에 약지를 지지하는 지지홈을 절곡하여 형성하고, 컵이 거꾸로 걸리도록 손잡이의 하단에 고리를 걸 수 있는 걸이부를 절곡하여 형성한 손잡이의 파지가 용이한 위생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에는 검지 및 중지 등을 걸어 파지한 상태에서 컵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된다. 컵을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손잡이의 상단부 외면에 엄지를 위치시키고, 손잡이의 내측으로는 검지 및 중지를 걸어 파지한다. 이때, 컵이 하중에 의해 기울어지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손가락에 큰 힘이 들어가기도 한다. 따라서, 컵의 무게와 개개인의 손가락 힘에 따라 컵을 파지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컵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약지 또는 중지로 손잡이의 외측을 지지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약지 또는 중지에 컵의 하중에 의한 압박이 가해져 통증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약지 또는 중지의 통증을 방지하고 보다 안정적으로 컵을 파지하고자,손잡이 하단부 하면에 약지 또는 중지를 받쳐 지지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는 약지 또는 중지가 컵의 외면에 닿게 되므로 컵의 온도가 손가락으로 그대로 전달되어, 온도에 따라 고통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컵은 세척 후 보관을 위해 걸이구에 걸었을 경우 컵몸체가 수평이 되게 걸리거나, 무거운 바닥면이 하측으로 향하고 개구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져 걸린다. 이때, 컵몸체 내부 공간에 물이 남게 되어 세균이 번식할 수 있고, 컵몸체의 개구부를 통해 먼지 등의 이물질이 들어갈 수 있어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컵들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2-0092153호에서와 같이 컵에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고 있으나, 대부분 컵의 일측에 고리형으로 형성된 일반적인 손잡이 구조를 채택하고 있어 상기한 손잡이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컵몸체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의 외측을 지지하는 약지가 수용되기 위한 지지홈부가 손잡이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손잡이의 파지가 용이한 위생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손잡이의 외측을 지지하는 약지가 컵몸체에 접촉하지 않도록, 지지홈부가 컵몸체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손잡이의 파지가 용이한 위생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컵의 개구부가 아래를 향해 걸릴 수 있도록, 컵을 걸어 보관하는 선반의 걸이구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이부가 컵몸체의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손잡이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손잡이의 파지가 용이한 위생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손잡이의 파지가 용이한 위생컵은, 음료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컵몸체와; 상기 컵몸체 일측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고리형의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컵몸체 상단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다가 하측으로 만곡되어 'ㄱ'자 형을 형성하며, 검지 및 중지가 수용되어 걸리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끝단과 이어지며, 상기 컵몸체 측으로 'ㄷ'자 형으로 요입되게 절곡되며, 손잡이 외측을 지지하는 약지가 수용되는 지지홈부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지지홈부의 끝단과 이어지며, 상기 지지홈부의 끝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된 후 상기 컵몸체 측으로 다시 절곡되면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컵몸체와 연결되며, 컵을 걸어 보관하는 선반의 걸이구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이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홈부는, 상기 컵몸체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손잡이의 파지가 용이한 위생컵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서는, 컵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의 외측을 지지하는 약지가 수용되기 위한 지지홈부가 손잡이에 절곡되어 형성되며, 약지가 손잡이의 외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의 외측에서 컵몸체측으로 요입되도록 절곡된다.
사용자는 컵의 손잡이를 파지할 때에 손잡이 상단부 외면에 엄지를 위치시키고, 손잡이의 내측으로는 검지 및 중지를 걸어 파지한 상태에서, 지지홈부에는 약지를 위치시켜 손잡이의 외측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컵이 기울어지는 반대방향으로 약지가 미는 힘으로 지지하여 컵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지홈부에 위치한 약지는 지지홈부의 측면과 상면 하부를 지지하게 되므로 약지에 부가되는 하중이 분산된다. 즉, 종래에는 약지가 손잡이의 외측면만을 지지하였으나, 본 고안에서는 손잡이의 외측와 하측을 함께 지지하게 됨으로써 약지에 가해지는 압박이 분산되고, 컵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약지가 컵몸체 측으로 요입된 지지홈부의 내측에 수용되므로, 손잡이 내측에 수용된 검지 및 중지와 나란하게 위치된다. 즉, 종래에는 약지가 손잡이의 두께만큼 검지 및 중지보다 외측으로 밀려나 있었던 반면, 본 고안에서는 약지가 컵몸체측으로 들어가게 되므로 손가락의 자세가 편안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지지홈부가 컵몸체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므로, 손잡이의 외측을 지지하는 약지가 컵몸체에 접촉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컵의 온도가 약지의 피부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컵을 걸어 보관하는 선반의 걸이구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이부가 컵몸체의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손잡이에 절곡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세척한 컵을 선반의 걸이구에 걸면 컵몸체의 개구부가 아래를 향하도록 기울어져 걸리므로, 컵몸체 내부 공간의 물이 외부로 빠져나가기 용이하며,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어 보다 위생적으로 건조 및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파지가 용이한 위생컵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파지가 용이한 위생컵의 손잡이 형상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파지가 용이한 위생컵의 손잡이 형상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파지가 용이한 위생컵이 선반의 걸이구에 걸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손잡이의 파지가 용이한 위생컵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파지가 용이한 위생컵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파지가 용이한 위생컵의 손잡이 형상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손잡이의 파지가 용이한 위생컵은, 음료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컵몸체(10)와, 컵몸체 일측에 형성되는 고리형의 손잡이(20) 등으로 구성된다.
컵몸체(10)는 일반적인 컵의 형상으로, 음료 등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 컵몸체(1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고리형의 손잡이(20)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2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수용되기 용이하도록 만곡 형성되며, 상하 양 끝단이 각각 상기 컵몸체(10)의 상단부와 하단부 외측면에 결합된다.
이하, 상기 손잡이(20)의 구체적인 구성과 형상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손잡이(20)는, 검지 및 중지가 수용되는 걸림부(22)와, 약지가 수용되는 지지홈부(24) 및 선반의 걸이구에 걸리는 걸이부(26)가 각각 절곡된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걸림부(22)는 컵몸체(10) 상단의 일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다가 하측으로 만곡 되는 형상으로, 대체적으로 'ㄱ'자 형을 형성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22)에는 검지 및 중지가 수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컵몸체(10)의 외면과 상기 걸림부(22) 사이의 공간(20a)으로 검지 및 중지가 수용되며, 상기 검지 및 중지가 손바닥 측으로 접히면서 상기 걸림부(22)를 감싸쥔다.
상기 걸림부(22)의 하측에는 지지홈부(24)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홈부(24)는 상기 걸림부(22)의 끝단과 이어져 연장되며, 상기 컵몸체(10) 측으로 'ㄷ'자 형으로 요입되게 절곡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부(22)의 끝단에서 상기 컵몸체(10)측으로 수평으로 연장된 후 하측으로 절곡되고, 다시 컵몸체(10)의 반대측으로 수평으로 연장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홈부(24)에는 약지가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홈부(24)는 우측(도 2 참조)으로 개방된 오목한 공간(20b)를 형성하고 있으며, 약지는 손잡이(20)의 외측(도 2에서 우측)의 개방부를 통해 상기 지지홈부(24)의 오목한 공간(20b) 내로 삽입된다. 즉, 약지가 상기 지지홈부(24)를 감싸는 것이 아닌, 손바닥측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등부분으로 손잡이(20)의 외측면(24a)을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홈부(24)는 상기 컵몸체(10)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홈부(24)는 상기 걸림부(22) 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컵몸체(10)에 근접하도록 요입되나, 상기 컵몸체(10)에 완전히 접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22)와 지지홈부(24)는 대체적으로 'ㄹ'자 형을 형성하며, 일체로 이루어진다.
도 3에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파지가 용이한 위생컵의 손잡이 형상을 나타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홈부(24)는, 상기 컵몸체(10)측으로 '
Figure utm00001
' 형으로 요입되게 절곡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부(22)와 지지홈부(24)로 이루어진 손잡이(20)는 하단이 상단보다 컵몸체(10)측으로 근접하도록 요입되는 계단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20)에는, 걸이부(26)가 더 형성된다. 상기 걸이부(26)는 상기 지지홈부(24)의 끝단과 이어져 연장되며, 상기 지지홈부(24)의 요입 방향과 반대로 '
Figure utm00002
'형으로 절곡 되어 고리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홈부(24)의 끝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된 후 상기 컵몸체(10) 측으로 다시 절곡 되면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컵몸체(10)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걸이부(26)는 손잡이(20)의 하부를 구성하며, 상기 컵몸체(10)의 하단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이부(26)에는, 컵을 걸어 보관하는 선반의 걸이구(H)가 삽입된다. 즉, 상기 걸이구(H)에 상기 걸이부(26)를 걸어 컵을 보관할 수 있다.
도 4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파지가 용이한 위생컵이 선반의 걸이구에 걸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부(26)는 컵몸체(10)의 하단부에 위치되므로, 상기 걸이부(26)를 걸이구(H)에 걸었을 때, 컵몸체(10)의 바닥면이 상측을 향하고, 컵몸체(10)의 개구부가 하측을 향하게 기울어진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손잡이의 파지가 용이한 위생컵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자는 컵을 사용하기 위하여 주로 손잡이(20)를 파지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의 손잡이(20)를 파지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손잡이(20)의 걸림부(22)의 내측(20a)으로 검지 및 중지가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22)를 검지 및 중지가 감싸쥐며, 특히 검지는 상기 걸림부(22)의 절곡부 내면(22a)에 걸려 컵을 상측으로 끌어올린다.
그리고, 걸림부(22)에서 수평으로 형성된 상단의 외면(22b)에 엄지가 올려진다. 이때, 상기 걸림부(22)의 절곡부 내면(22a)에 걸린 검지가 받침점이 되어, 받침점 일측의 걸림부(22) 상단을 엄지로 누름으로써 받침점 타측의 컵몸체(10)가 상부로 들어올려 지면서, 컵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 된다.
그리고, 손잡이(20)의 지지홈부(24)에는 약지가 수용된다. 상기 지지홈부(24)는 손잡이(20)의 외측(도 2의 우측)으로부터 컵몸체(10) 측(좌측)으로 'ㄷ'자 형으로 요입되어, 외측(우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외측으로 개방된 개구부를 통해 약지가 상기 지지홈부(24)의 공간(20b)으로 수용된다. 즉, 상기 약지가 구부러진 상태로 그대로 지지홈부(24)로 삽입되면서, 약지의 등부분이 상기 지지홈부(24)의 요입된 외면(24a)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홈부(24)에 수용된 약지는 외측(도 2의 우측)에서 컵몸체(10) 측(도 2의 좌측)으로 밀어줌으로써 컵이 기울어지지 않게 지지한다. 동시에, 상기 지지홈부(24)의 공간(20b)을 이루는 상면(24b)을 약지가 하부에서 받쳐 지지함으로써 컵을 상측으로 끌어올리게 된다.
상기 지지홈부(24)에 수용된 약지는 상기 걸림부(22)를 감싸쥔 검지 및 중지와 상하로 나란하게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지지홈부(24)가 상기 컵몸체(10) 측으로 요입되어 있으므로, 약지가 상기 컵몸체(10) 측으로 근접하게 수용되면서 상기 검지 및 중지와 나란하게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검지, 중지 및 약지가 손바닥측으로 편안하게 구부러진 상태로 손잡이를 파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손잡이를 파지할 수 있으며 손가락의 피로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걸림부(22)에 검지 및 중지가 수용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상기 컵몸체(10)의 크기 및 상기 걸림부(22)의 길이에 따라 상기 걸림부(22)에는 검지만 수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동시에, 상기 지지홈부(24)에 중지가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컵몸체(10)에 따라 상기 걸림부(22)의 길이를 조절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사용 후 세척된 컵을 선반의 걸이구(H)에 걸어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잡이(20)의 걸이부(26)를 걸이구(H)에 건다. 상기 걸이부(26)는 상기 지지홈부(24)의 하부, 즉 컵몸체(10)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걸이부(26)를 걸이구(H)에 걸었을 때, 컵의 상단으로 무게가 집중되게 된다. 따라서, 컵몸체(10)의 바닥면이 상측을 향하고, 개구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지게 된다. 그러면, 자연히 컵몸체(10) 내부에 있던 물이 내벽을 타고 흘러내려 상기 컵몸체(10)의 외부로 빠지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30 : 컵몸체
20, 40 : 손잡이
22, 42: 걸림부
24, 44 : 지지홈부
26 : 걸이부
H : 걸이구

Claims (3)

  1. 음료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컵몸체(10)와;
    상기 컵몸체 일측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고리형의 손잡이(20)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20)는,
    상기 컵몸체(10) 상단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다가 하측으로 만곡되어 'ㄱ'자 형을 형성하며, 검지 및 중지가 수용되어 걸리는 걸림부(22)와;
    상기 걸림부(22)의 끝단과 이어지며, 상기 컵몸체(10) 측으로 'ㄷ'자 형으로 요입되게 절곡되며, 손잡이 외측을 지지하는 약지가 수용되는 지지홈부(24)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의 파지가 용이한 위생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0)에는,
    상기 지지홈부(24)의 끝단과 이어지며, 상기 지지홈부(24)의 끝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된 후 상기 컵몸체(10) 측으로 다시 절곡되면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컵몸체(10)와 연결되며, 컵을 걸어 보관하는 선반의 걸이구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이부(26)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의 파지가 용이한 위생컵.
  3.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홈부(24)는,
    상기 컵몸체(10)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의 파지가 용이한 위생컵.
KR2020130000595U 2013-01-23 2013-01-23 손잡이의 파지가 용이한 위생컵 KR2014000452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595U KR20140004528U (ko) 2013-01-23 2013-01-23 손잡이의 파지가 용이한 위생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595U KR20140004528U (ko) 2013-01-23 2013-01-23 손잡이의 파지가 용이한 위생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528U true KR20140004528U (ko) 2014-07-31

Family

ID=52445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595U KR20140004528U (ko) 2013-01-23 2013-01-23 손잡이의 파지가 용이한 위생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452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0220A (zh) * 2019-10-11 2020-01-14 浙江工业大学 一种双耳结构的自滤水牙刷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0220A (zh) * 2019-10-11 2020-01-14 浙江工业大学 一种双耳结构的自滤水牙刷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88641B1 (en) Holding assembly
CN105266601B (zh) 包括具有带器具靠置架的手柄的盖子的厨具
KR101705681B1 (ko) 일회용장갑 착용기
GB2484367A (en) A mop and bucket arrangement
KR101667162B1 (ko) 운반용 손잡이
KR20140004528U (ko) 손잡이의 파지가 용이한 위생컵
US20190208940A1 (en) Elevated utensil
KR200465367Y1 (ko) 조리용 냄비
KR101231979B1 (ko) 음식용기용 집게
JP5512605B2 (ja) 洋式トイレの便蓋の開閉用支え
JP4776101B2 (ja) 把持具及び用具
US6792936B2 (en) Barbecue grill shelf with opposed tool hangers
JP2019092628A (ja) 食品用トング
KR200470810Y1 (ko) 배식용 위생 집게
CN209932511U (zh) 一种夹碗器
KR200427590Y1 (ko) 미끄럼 방지 스테인리스 국자
KR20130122873A (ko) 파지가 용이한 식사도구
JP2010131261A (ja) 食器持ち上げ用補助器具
KR200227852Y1 (ko) 조리용구
JP3066332U (ja) カップの断熱把持具
JP3490928B2 (ja) 手 桶
KR200432417Y1 (ko) 휘어진 손잡이부가 있는 젓가락
KR200241250Y1 (ko) 조리용구
KR200453207Y1 (ko) 다용도 주방용 집게
JP3206908U (ja) ト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