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250Y1 - 조리용구 - Google Patents

조리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250Y1
KR200241250Y1 KR2019990001083U KR19990001083U KR200241250Y1 KR 200241250 Y1 KR200241250 Y1 KR 200241250Y1 KR 2019990001083 U KR2019990001083 U KR 2019990001083U KR 19990001083 U KR19990001083 U KR 19990001083U KR 200241250 Y1 KR200241250 Y1 KR 2002412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ntainer
hook
support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10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6204U (ko
Inventor
양성원
Original Assignee
양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성원 filed Critical 양성원
Priority to KR20199900010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250Y1/ko
Publication of KR200000162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2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2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250Y1/ko

Links

Landscapes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용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손잡이(20)의 일단에 형성된 지지단(22)과 고정단(24)이 용기(10)의 내,외측면에 밀착되어 융착되고, 손잡이(20)의 타단에는 걸이구(36B)와 걸이공(36A) 그리고 안착홈(34)과 걸림환턱(32)을 구비한 손잡이부(30)가 결합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20)의 지지단(22)과 고정단(24)이 용기(10)에 융착되어 견고하게 결합됨으로써 용기(10)에 담기는 음식물의 무게에 의해 용기(10)와 손잡이(20)의 결합부위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손잡이부(30)에 형성된 걸림환턱(32)과 안착홈(34)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게 되며, 상기 손잡이부(30)의 상단에 형성된 걸이공(36A)을 이용하여 못(40) 등에 걸어 보관할 수 있고, 걸이구(36B)의 지지돌부(36C)가 단부(50)에 밀착됨으로써 조리용구가 유동되지 않게 되어 단부(50)로부터 조리용구가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조리용구{COOKING ARTICLE}
본 고안은 조리용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국이나 찌개 등의 음식물을 퍼담는 조리용구의 용기와 손잡이 연결부위가 음식물의 무게에 의해 휘어지거나 절단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손잡이부를 잡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고, 보관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는 조리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의 음식물 중에서 국이나 찌게 등의 음식물은 국자와 같은 조리용구를 이용하여 퍼담게 되는데, 이와 같은 조리용구는 도 1a,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이 담겨질 수 있도록 형성된 용기(A)와, 상기 용기(A)의 외측면에 일단이 리벳(C)으로 결합되는 손잡이(B)와, 이 손잡이(B)의 타단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끝단부에는 대형 솥과 같은 용기의 선단부에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부(D)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의한 조리용구는 상기 용기(A)의 크기가 커질수록 많은 량의 음식물을 퍼담을 수 있었으나, 상기 용기(A)에 담겨지는 음식물의 무게에 의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A)와 손잡이(B)의 연결부위가 쉽게 변형되거나 간격(T)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사용자가 손잡이부(D)를 잡았을 때 습기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손잡이부(D)로부터 미끄러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손잡이부(D)의 끝단부에는 단순하게 걸이구(D-1)만 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조리용구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기 걸이구(D-1)가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된 단부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즉, 상기 용기(A)의 외측면에 손잡이(B)의 일단이 밀착된 상태에서 단순히 리벳(C)으로만 결합되어 있었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시 연질의 금속재로 형성된 리벳(C)이 변형됨으로써 상기 손잡이(B)의 일단과 용기(A)의 외측면 사이에 간격(T)이 발생하여 덜거덕 거리는 소음이 발생하고 있었고, 간격(T)이 발생됨으로써 그 연결부위가 쉽게 휘어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하고 있었던 것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B)의 타단에 결합된 손잡이부(D)에는 별도의 미끄럼방지 수단이 제공되지 않음으로써, 조리용구의 사용시 사용자의 손가락이 손잡이부(D) 하방으로 미끄러지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상기 손잡이부(D)의 상부 끝단에 상기 걸이구(D-1)에 일방향(하방)으로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조리용구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대형 솥과 같은 용기의 선단부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걸이구(D-1)는 그 끝단이 둥글거나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상기 걸이구(D-1)가 선단부에 걸렸을 때 좌,우측으로 유동되어 소음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조리용구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조리용구의 용기와 손잡이 연결부위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손잡이부를 잡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단부나 못 등에 보관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고, 보관시 유동이 발생되지 않는 조리용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된 용기와, 일단이 상기 용기에 결합된 손잡이와, 이 손잡이의 타단에 결합된 손잡이부로 이루어진 조리용구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용기의 외측면에 점 용접되도록 하방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단, 상기 지지단의 중앙부에 하부가 개구되도록 절개되고 상기 용기의 선단부가 삽입되도록 절곡되며 상기 용기의 내측면에 점 용접되도록 형성된 고정단을 구비한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의 타단에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하단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리도록 걸림환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환턱의 상부측 외주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안착되도록 안착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걸이부가 형성된 손잡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이때, 상기 걸이부는 못이 삽입되도록 천공된 걸이공과, 조리용기의 단부에 걸리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부가 일측이 개구되도록 만곡지게 연장 형성되고 끝단부에는 양측으로 확장된 지지돌부가 형성된 걸이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은 종래기술에 의한 조리용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1b는 도 1a에 도시된 조리용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리용구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손잡이부의 사용상도.
도 5a, 5b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구의 사용상태 단면도 및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 12 : 선단부
20 : 손잡이 22 : 지지단
24 : 고정단 30 : 손잡이부
32 : 걸림환턱 34 : 안착홈
36 : 걸이부 36A : 걸이공
36B : 걸이구 36C : 지지돌부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리용구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손잡이부의 사용상도이고, 도 5a, 5b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구의 사용상태 단면도로, 5a는 조리용구가 못 등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5b는 조리용구가 걸이구에 의해 대형 솥과 같은 용기의 단부 등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 미설명 부호 '40'은 조리용구가 걸리는 못이고, '50'은 대형 솥과 같은 조리용기의 단부이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구의 손잡이(20)는 일단이 상기 용기(10)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점 용접되도록 하방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단(22)과, 상기 지지단(22)의 중앙부에 하부가 개구되도록 절개되고 상기 용기(10)의 선단부(12)가 삽입되도록 절곡되며 상기 용기(1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점 용접되도록 형성된 고정단(24)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지지단(22)과 고정단(24) 사이로 용기(10)의 선단부(12)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단(22)의 일면은 상기 용기(10)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점 용접되는 것이고, 상기 고정단(24)은 용기(1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점 용접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단(22)의 절곡각도는 사용자가 손잡이(20)을 잡았을 때, 용기(10)의 상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절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손잡이부(30)는 상기 손잡이(20)의 타단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그 하단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려 미끄러지지 않도록 걸림환턱(32)이 돌출 형성되고, 하단 외주면 즉, 상기 걸림환턱(32)의 상부측 외주면 상,하부에는 사용자의 엄지손가락과 중지 및 약지 또는 검지와 중지손가락이 안정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3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30)의 상단부에는 걸이부(36)가 형성되는데, 이 걸이부(36)는 손잡이부(30)의 상단에 천공된 걸이공(36A)과, 상기 손잡이부(30)의 상단부가 일측이 개구되도록 만곡지게 연장 형성되고 끝단부에는 양측으로 확장된 지지돌부(36C)가 형성된 걸이구(36B)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이공(36A)은 못(40)과 같은 돌출된 돌기에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고, 상기 지지돌부(36C)는 손잡이부(30)의 상부 끝단이 만곡지게 연장된 걸이구(36B)의 끝단부에 양측이 확장되어 형성된 것이다. 상기 걸이구(36B)는 손잡이부(30)의 상단 저면부 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손잡이(20)의 타단에 손잡이부(30)를 결합시킨다. 이때,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손잡이부(30)를 금속재로 형성된 손잡이(20)에 결합시키는 기술은 공지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부(30)가 손잡이(20)의 타단에 결합되면, 상기 용기(10)의 선단부(12)가 손잡이(20)의 지지단(22)과 고정단(24) 사이로 끼워지도록 상호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단(24)은 지지단(22)의 중앙부가 하부측이 개구되도록 절개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단(22)의 상면과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절곡됨으로써 상기 지지단(22)과 고정단(24) 사이로 상기 용기(10)의 선단부(12)가 끼워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20)의 지지단(22)과 고정단(24) 사이로 용기(10)의 선단부(12)가 끼워지면 상기 지지단(22)의 일면은 상기 용기(10)의 외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고정단(24)의 일면은 용기(1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지지단(22)과 고정단(24) 사이로 용기(10)의 선단부(12)가 끼워진상태에서 상기 지지단(22)과 고정단(24)을 상기 용기(10)의 내,외측에 점 용접하여 결합한다. 이때, 상기 지지단(2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글게 말린 상기 선단부(12)에 의해 용접될 때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으나, 상기 선단부(12)를 둥글게 말지 않고 단순하게 형성하여 상기 지지단(22)이 변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20)의 지지단(22)과 고정단(24)이 용기(10)에 점 용접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손잡이(20)와 용기(10)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20)의 지지단(22)과 고정단(24)이 각각 용기(10)의 내,외측면에 밀착되어 용접됨으로써 상기 용기(10)에 음식물이 담겨지더라도 그 무게는 상기 지지단(20)과 고정단(24)에 의해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도면중에서 결합부위를 확대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20)의 일단에 형성된 지지단(22)과 고정단(24)이 상기 용기(10)의 내,외측면에 견고하게 융착되어 용기(10)의 상,하부를 지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용기(10)에 음식물이 담겨지더라도 상기 용기(10)와 손잡이(20)의 결합부위가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게 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손잡이부(30)와 손잡이(20)가 결합되고, 손잡이(20)와 용기(10)가 결합된 조리용구를 사용할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부(30)를 취부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은 손잡이부(30)의 하단부에 돌출 형성된 걸림환턱(32)에 걸리게 되어 더 이상 하방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3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싸쥐게 되면,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은 상기 손잡이부(30)의 외주면 상부에 형성된 안착홈(34)에 삽입되어 안착되고, 검지손가락과 중지손가락 또는 중지와 약지손가락은 손잡이부(30)의 저부에 형성된 안착홈(34)에 안착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게 되고 보다 안정된 상태로 조리용구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이 완료된 조리용구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못(40) 등에 걸어 보관할 수 있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솥과 같은 용기의 단부(50)에 걸어 잠시 보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구(36B)를 단부(50)에 걸게 되면, 상기 걸이구(36B)의 끝단 양측으로 확장되어 형성된 지지돌부(36C)가 상기 단부(50)의 일측면에 밀착됨으로써 단부(50)에 걸린 걸이구(36B)의 유동 즉, 조리용구의 유동을 억제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기 용기(10)와 손잡이(20)를 융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용기(10)와 손잡이(2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손잡이부(30)에 걸림환턱(32)과 안착홈(34)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30)의 끝단에 걸이공(36A)과 지지돌부(36C)을 구비한 걸이구(36B)가 형성됨으로써 조리용구를 단부(50)나 못(40) 등에 선택하여 보관할 수 있고, 대형 솥과 같은 용기의 단부(50)에 보관할 경우에는 상기 지지돌부(36C)가 조리용구의 유동을 억제하게 되어 조리용구가 단부(5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나 첨부된 도면에는 조리용구 중에서 국자와 같은 조리용구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고, 조리용 후라이팬, 국수 조리기 또는 건지기와 같은 다양한 조리용구에 적용될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구는 손잡이의 일단에 형성된 지지단과 고정단이 용기의 내,외측면에 밀착되어 융착되고, 손잡이의 타단에는 걸이구와 걸이공 그리고 안착홈과 걸림환턱을 구비한 손잡이부가 결합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의 지지단과 고정단이 용기에 융착되어 견고하게 결합됨으로써 용기에 담기는 음식물의 무게에 의해 용기와 손잡이의 결합부위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된 걸림환턱과 안착홈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게 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에 형성된 걸이공을 이용하여 못 등에 걸어 보관할 수 있고, 걸이구의 지지돌부가 단부에 밀착됨으로써 조리용구가 유동되지 않게 되어 단부로부터 조리용구가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2)

  1. (정정)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된 용기(10)와, 일단이 상기 용기(10)에 결합된 손잡이(20)와, 이 손잡이(20)의 타단에 결합된 손잡이부(30)로 이루어진 조리용구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용기(10)의 외측면에 점 용접되도록 하방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단(22), 상기 지지단(22)의 중앙부에 하부가 개구되도록 절개되고 상기 용기(10)의 선단부(12)가 삽입되도록 절곡되며 상기 용기(10)의 내측면에 점 용접되도록 형성된 고정단(24)을 구비한 손잡이(20); 및
    상기 손잡이(20)의 타단에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하단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리도록 걸림환턱(32)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환턱(32)의 상부측 외주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안착되도록 안착홈(34)이 각각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걸이부(36)가 형성된 손잡이부(3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구.
  2.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36)는 못(40)이 삽입되도록 천공된 걸이공(36A)과, 조리용기의 단부(50)에 걸리도록 상기 손잡이부(30)의 상단부가 일측이 개구되도록 만곡지게 연장 형성되고 끝단부에는 양측으로 확장된 지지돌부(36C)가 형성된 걸이구(36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구.
KR2019990001083U 1999-01-27 1999-01-27 조리용구 KR2002412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083U KR200241250Y1 (ko) 1999-01-27 1999-01-27 조리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083U KR200241250Y1 (ko) 1999-01-27 1999-01-27 조리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204U KR20000016204U (ko) 2000-08-25
KR200241250Y1 true KR200241250Y1 (ko) 2001-09-25

Family

ID=54758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1083U KR200241250Y1 (ko) 1999-01-27 1999-01-27 조리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2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911B1 (ko) * 2018-12-05 2020-04-20 주식회사 델키 주방용 조리기구의 손잡이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911B1 (ko) * 2018-12-05 2020-04-20 주식회사 델키 주방용 조리기구의 손잡이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204U (ko) 200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8790A (en) Utensil rest
EP2976976B1 (en) Cookware including lid having handle with utensil rest
US2262273A (en) Lifter for cans or the like
US6056146A (en) Splatter screen
JP2003503087A (ja) 取り外しできる取っ手を備えている料理用具
KR20100030481A (ko) 조리용기
KR200241250Y1 (ko) 조리용구
WO2007026384A1 (en) Container for cooking foods
KR200457212Y1 (ko) 탈부착의 냄비용 국물배출기
KR101217604B1 (ko)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KR200227852Y1 (ko) 조리용구
KR200288135Y1 (ko) 조리용기용 실리콘 손잡이
JPH11259A (ja) 調理用鍋及び鍋蓋支持具
EP1683455B1 (en) Food handling implement
KR101507285B1 (ko) 프라이팬
US862024A (en) Implement-holder for culinary vessels.
KR20230018606A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US964118A (en) Tipping bucket-handle.
KR102084911B1 (ko) 주방용 조리기구의 손잡이 구조
KR200492794Y1 (ko) 식사도구
CN210842774U (zh) 一种可横向夹持的提碗
JP6846456B2 (ja) 鍋蓋用お玉置き具
KR200188020Y1 (ko) 조리용구
KR200310069Y1 (ko) 미끄럼방지 턱이 있는 뚝배기 받침대
JP6625506B2 (ja) 鍋取っ手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