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8606A -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 Google Patents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8606A
KR20230018606A KR1020210100360A KR20210100360A KR20230018606A KR 20230018606 A KR20230018606 A KR 20230018606A KR 1020210100360 A KR1020210100360 A KR 1020210100360A KR 20210100360 A KR20210100360 A KR 20210100360A KR 20230018606 A KR20230018606 A KR 20230018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oking vessel
cooking
flange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병태
Original Assignee
배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병태 filed Critical 배병태
Priority to KR1020210100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8606A/ko
Publication of KR20230018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6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1Saucepan, frying-pan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2Bowl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10Devices for gripping or lifting hot cooking utensils, e.g. pincers, separate pot handles, fabric or like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는, 손잡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조리용기의 상부 둘레에 형성되는 플랜지부에 착탈 가능하게 걸림하여 운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조리용기는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음식물에 의한 손잡이의 오염시 손잡이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없어 위생적인 사용이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조리용기의 보관시 손잡이에 의한 부피의 확장으로 공간 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은 음식물의 조리에 따라 고온으로 가열된 조리용기의 플랜지부에 걸림부를 착탈 방식으로 걸림하고 손잡이부를 편리하게 파지하여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고, 손잡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구조를 간소화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소형화 및 경량화에 기여함으로써 원가 절감을 통해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DETACHABLE HANDLE FOR COOKING VESSELS}
본 발명은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의 조리에 따라 고온으로 가열된 조리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여 운반할 수 있는 조리용기용 탈부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버너나 가스렌지 등의 가열기구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할 때 냄비, 프라이팬 등의 조리용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조리용기에는 사용자가 가열된 조리용기를 쉽게 들 수 있고, 또한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그 일측 또는 양측에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손잡이는 조리용기에 고정된 채로 부착되어 있으므로, 가열기구를 이용하여 조리용기를 고온으로 장시간 가열하게 되면, 그 고온의 열이 손잡이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뜨거운 손잡이를 그대로 잡을 경우 자칫하면 손에 화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통상 행주나 두꺼운 장갑 등을 이용하여 조리용기를 들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이 경우 조리용기를 잡는 것이 불안정하여 조리용기를 떨어뜨리는 일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조리용기는 그 손잡이가 외부로 길게 돌출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보관시 불필요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세척시 그 손잡이에 이물질이 낄 수 있어 위생상 불결한 점이 있다.
한편, 찌개류를 조리하기 위한 조리용기, 예컨대 뚝배기와 같은 용기는 손잡이가 없기 때문에, 음식점 등에서는 이러한 용기를 운반하기 위해서 별도의 집게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집게는 그 용기의 둘레부에 단순하게 걸쳐서 비스듬한 형태로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조리된 음식물이 수용된 용기에 집게를 올바르게 고정시키지 않는 경우 그 용기를 바로 놓칠 수가 있고, 이 때 뜨거운 음식물이 사방으로 튀어 화상을 초래할위험성이 있다. 더욱이, 음식점 등에서 그 집게를 이용하여 조리용기를 자주 운반하다 보면, 집게를 잡고 있는 손의 악력이 저하되어 용기를 자주 떨어뜨리게 될 뿐만 아니라, 장시간 사용시에 사용자에게 무리한 힘이 전달되어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최근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 조리용기용 손잡이를 조리용기와 별도로 제작하여 필요할 때에만 조리용기에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착탈식 손잡이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는 조리용기를 파지하기 위한 작동부의 구조가 복잡하여 사출 성형시 불량품이 많아지는 등 원가 상승의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는 작동부의 고장시 분해 또는 재조립이 쉽지 않아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KR 특허등록공보 제10-1248661호(등록일자 2013년03월22일) KR 특허등록공보 제10-1130244호(등록일자 2012년03월19일)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음식물의 조리에 따라 고온으로 가열된 조리용기의 플랜지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여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고, 조리용기의 운반 시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으며, 손잡이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소형화 및 경량화할 수 있는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손잡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조리용기의 상부 둘레에 형성되는 플랜지부에 착탈 가능하게 걸림하여 운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하부지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의 상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상부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지지부와 상부지지부 사이에는 조리용기의 플랜지부가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지지부는 플랜지부의 하면 방향을 향해 일정각도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되, 상기 하부지지부의 내측에는 플랜지부의 하단부가 걸림될 수 있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지부는 플랜지부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수평하게 형성되되, 상기 상부지지부의 하면에 자성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상기 하부지지부는 손잡이부의 하부 일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지부는 하부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손잡이부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지지부와 상부지지부는 플랜지부의 원둘레에 대응되도록 일정한 원호를 형성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부는 둘레에 하부 방향으로 일정한 곡률로 연장되는 보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는 각종 걸이구로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표면에 걸이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는, 손잡이부와 걸림부 사이에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조리용기의 운반 시 고온의 열기가 손잡이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물의 조리에 따라 고온으로 가열된 조리용기의 플랜지부에 걸림부를 착탈 가능하게 걸림하고 손잡이부를 편리하게 파지하여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고, 손잡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구조를 간소화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소형화 및 경량화에 기여함으로써 원가 절감을 통해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상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하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부(10)와, 조리용기(1)에 착탈 가능하게 걸림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걸림부(20)와, 그리고 손잡이부(10)와 걸림부(20)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연결부(3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는 조리용기(1)의 상부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부(2)에 걸림부(20)를 착탈 가능하게 걸림하여 조리용기(1)를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것이다.
손잡이부(1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서, 손잡이부(10)는 일정한 두께 및 면적을 갖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손잡이부(10)는 사용자가 설정된 특정 방향에서 파지하지 않고 다양한 방향에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손잡이부(10)는 둘레에 보강부(12)가 일체로 형성된다. 보강부(12)는 손잡이부(10)의 둘레에 하부 방향으로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보강부(12)는 조리용기(1)의 운반 시 손잡이부(10)를 보강하여 쉬운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손잡이부(1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조리용기(1)의 무게에 의해 휨 변형될 수 있는데, 보강부(12)는 조리용기(1)의 무게에 대응 가능함으로써 손잡이부(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손잡이부(10)는 표면에 걸이공(14)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는 걸이공(14)을 통해 각종 걸이구에 걸어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걸림부(20)는 조리용기(1)의 상부 둘레에 형성되는 플랜지부(2)에 착탈 가능하게 걸림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서, 걸림부(20)는 플랜지부(2)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하부지지부(22)와, 플랜지부(2)의 상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부지지부(24)로 구성된다.
하부지지부(22)는 손잡이부(10)의 하부 일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고, 상부지지부(24)는 하부지지부(22) 사이에 배치되도록 손잡이부(1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걸림부(20)는 하부지지부(22)와 상부지지부(24) 사이에 조리용기(1)의 플랜지부(2)가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는 걸림공간(26)이 형성되고, 하부지지부(22)는 내측에 플랜지부(2)의 하단부(2a)가 걸림될 수 있는 걸림홈(23)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걸림부(20)는 조리용기(1)의 운반 시 하부지지부(22)와 상부지지부(24)의 걸림공간(26) 내로 조리용기(1)의 플랜지부(2)가 삽입된 후, 플랜지부(2)의 하단부(2a)가 걸림홈(23)에 걸림됨으로써 조리용기(1)의 플랜지부(2)는 걸림부(20)에 임의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걸림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걸림부(20)는 상부지지부(24)의 하면에 자성체(28)가 설치되며, 이에 따라 철 또는 스테인리스로 형성되는 조리용기(1)의 플랜지부(2)를 걸림공간(28) 내에서 자성체(28)의 자력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하부지지부(22)와 상부지지부(24)는 플랜지부(2)의 원둘레에 대응되도록 일정한 원호를 형성하여 배치된다. 이에 따라, 조리용기(1)의 운반 시 걸림부(20)를 플랜지부(2)에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플랜지부(2)와 걸림부(20) 간에 발생되는 유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지지부(22)는 플랜지부(2)의 하면 방향을 향해 일정각도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부지지부(24)는 플랜지부(2)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수평하게 형성된다. 이때, 하부지지부(22)는 조리용기(1)의 플랜지부(2) 두께에 따라 일정각도로 변형되고 복원될 수 있도록 일정한 탄성이 부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걸림부(20)는 조리용기(1)의 운반 시 하부지지부(22)의 구조에 의해 다양한 두께의 플랜지부(2)에 대응할 수 있고, 하부지지부(22)와 상부지지부(24)에 의한 플랜지부(2)의 밀착구조에 의해 조리용기(1)의 전체적인 흔들림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연결부(30)는 손잡이부(10)와 걸림부(20) 사이에 연결부(30)가 형성된다. 즉, 연결부(30)를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손잡이부(10)와 걸림부(20)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조리용기(1)의 운반 시 고온의 열기가 손잡이부(1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에 의한 조리용기의 운반 과정을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버너나 가스렌지 등의 가열기구에 의해 음식물의 조리가 완료되면, 고온으로 가열된 조리용기(1)를 운반하기 위하여 조리용기(1)의 플랜지부(2)를 걸림부(20)의 걸림공간(26) 내로 삽입시키게 된다. 이때, 조리용기(1)의 플랜지부(2)는 걸림부(20)의 걸림공간(26) 내로 삽입된 후, 플랜지부(2)의 하단부(2a)가 걸림홈(23)에 걸림됨에 따라 플랜지부(2)는 걸림부(20)로터 임의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걸림될 수 있고, 걸림부(20)는 걸림공간(26) 내에서 자성체(28)에 의해 플랜지부(2)를 견고하게 고정하면서도 하부지지부(22)와 상부지지부(24)는 플랜지부(2)의 원둘레에 대응하는 일정한 원호를 갖도록 형성되어 플랜지부(2)에 밀착됨으로써 플랜지부(2)와 걸림부(20) 간에 발생되는 유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걸림부(20)는 하부지지부(22)와 상부지지부(24) 사이의 걸림공간(26)에 플랜지부(2)를 끼워 걸림할 때, 하부지지부(22)가 조리용기(1)의 플랜지부(2) 두께에 따라 일정각도로 변형되고 복원될 수 있도록 일정한 탄성이 부여됨으로써, 다양한 두께의 플랜지부(2)에 대응할 수 있고, 하부지지부(22), 상부지지부(24), 자성체(28)에 의해 플랜지부(2)의 견고한 밀착구조를 제공하여 조리용기(1)의 전체적인 흔들림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손잡이부(1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조리용기(1)의 운반 시 손잡이부(10)를 설정된 특정 방향에서 파지하지 않고 다양한 방향에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게 되고, 보강부(12)는 손잡이부(10)의 둘레에 하부 방향으로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보강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조리용기(1)의 무게에 의한 손잡이부(10)의 쉬운 휨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연결부(30)는 손잡이부(10)와 걸림부(20) 사이에 일정길이로 형성됨으로써 조리용기(1)의 운반 시 고온의 열기가 손잡이부(1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는 사용 후, 손잡이부(10)에 형성된 걸이공(14)에 의해 각종 걸이구에 걸어 보관 가능함으로써 분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는, 음식물의 조리에 따라 고온으로 가열된 조리용기(1)의 플랜지부(2)에 걸림부(20)를 착탈 가능하게 걸림하고 손잡이부(10)를 편리하게 파지하여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고, 손잡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구조를 간소화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소형화 및 경량화에 기여함으로써 원가 절감을 통해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손잡이부
12: 보강부
14: 걸이공
20: 걸림부
22: 하부지지부
23: 걸림홈
24: 상부지지부
26: 걸림공간
28: 자성체
30: 연결부

Claims (7)

  1. 철 또는 스테인리스로 형성되는 조리용기를 운반할 수 있는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에 있어서,
    손잡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조리용기의 상부 둘레에 형성되는 플랜지부에 착탈 가능하게 걸림하여 운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하부지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의 상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상부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지지부와 상부지지부 사이에는 조리용기의 플랜지부가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는 걸림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부는 플랜지부의 하면 방향을 향해 일정각도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되, 상기 하부지지부의 내측에는 플랜지부의 하단부가 걸림될 수 있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지부는 플랜지부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수평하게 형성되되, 상기 상부지지부의 하면에 자성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부는 손잡이부의 하부 일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지부는 하부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손잡이부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지지부와 상부지지부는 플랜지부의 원둘레에 대응되도록 일정한 원호를 형성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둘레에 하부 방향으로 일정한 곡률로 연장되는 보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각종 걸이구로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표면에 걸이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7.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손잡이부와 걸림부 사이에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조리용기의 운반 시 고온의 열기가 손잡이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20210100360A 2021-07-30 2021-07-30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2300186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360A KR20230018606A (ko) 2021-07-30 2021-07-30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360A KR20230018606A (ko) 2021-07-30 2021-07-30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606A true KR20230018606A (ko) 2023-02-07

Family

ID=85221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360A KR20230018606A (ko) 2021-07-30 2021-07-30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860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244B1 (ko) 2011-09-27 2012-03-26 김미라 조리용기용 손잡이
KR101248661B1 (ko) 2012-11-16 2013-04-03 양원준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244B1 (ko) 2011-09-27 2012-03-26 김미라 조리용기용 손잡이
KR101248661B1 (ko) 2012-11-16 2013-04-03 양원준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503087A (ja) 取り外しできる取っ手を備えている料理用具
US8746497B2 (en) Cooking vessel and utensil
JP2004283342A (ja) 調理容器
US10165893B2 (en) Cookware item with spoon receiving recess
US20140076174A1 (en) Slow Cooking Appliance with Lid Latching Arrangement
US7600654B2 (en) Container and cookware apparatus providing rest support for utensils
US5992308A (en) Cooking vessel
KR20230018606A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JP2620041B2 (ja) 煮鍋の蓋
KR101785871B1 (ko) 직화 조리방식을 적용한 프라이팬
US8353423B2 (en) Cookware system for increased safety
WO2013177066A1 (en) Cookware article having utensil supporting means
KR200215679Y1 (ko) 남비의 본체 손잡이 장치
KR200427913Y1 (ko) 조리용기용 다점지지 손잡이 및 이를 갖는 조리용기
KR200227852Y1 (ko) 조리용구
KR200241250Y1 (ko) 조리용구
JP2003190011A (ja) 積重ね加熱調理容器
KR200253260Y1 (ko) 조리용기의 착탈식 손잡이구조
WO2008072863A1 (en) Detachable handles and structure of the vessels
KR200463678Y1 (ko) 냄비 뚜껑과 냄비
KR200288135Y1 (ko) 조리용기용 실리콘 손잡이
KR102489365B1 (ko) 다용도 조리용기용 뚜껑
KR101180460B1 (ko) 가스밥솥용 클래드 솥
KR101544341B1 (ko) 프라이팬용 뒤집개 거치대
JP4209812B2 (ja) 七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