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0460B1 - 가스밥솥용 클래드 솥 - Google Patents

가스밥솥용 클래드 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0460B1
KR101180460B1 KR1020090042771A KR20090042771A KR101180460B1 KR 101180460 B1 KR101180460 B1 KR 101180460B1 KR 1020090042771 A KR1020090042771 A KR 1020090042771A KR 20090042771 A KR20090042771 A KR 20090042771A KR 101180460 B1 KR101180460 B1 KR 101180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container
handle
lid
cooking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2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3510A (ko
Inventor
정양원
Original Assignee
정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양원 filed Critical 정양원
Priority to KR1020090042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0460B1/ko
Publication of KR20100123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밥솥용 클래드 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내부에 상측이 개구된 음식물 수용부가 형성된 취반용기(10)와, 상기 취반용기(10)의 상측 개부를 덮는 뚜껑(20)을 포함하는 가스밥솥용 솥에 있어서, 상기 취반용기(10)는 클래드 강판을 원소재로 성형되어 가장 안쪽에 스텐레스층(110)이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취반용기(10)의 외주면 양측에는 한 쌍의 손잡이 브라켓(30)이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 브라켓(30)에는 고리 손잡이(40)가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 브라켓(30)의 하단부에는 상하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연장된 지지편(32a,32b)이 구비되어, 상기 취반용기(10)를 다층으로 적층시 상측 취반용기(10)의 손잡이 브라켓(30)의 지지편(32a,32b)이 하측 취반용기(10)의 상단부에 면상 접촉된 상태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스밥솥, 클래드 강판, 손잡이 브라켓, 고리 손잡이

Description

가스밥솥용 클래드 솥{Rice cooker utilizing clad steel}
본 발명은 가스밥솥용 클래드 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스텐레스를 주성분으로 한 클래드 강판에 의해 취반용기를 제작함으로써, 중금속 중독요소에서 완전 탈피할 수 있으며, 복층으로 클래드 솥을 적층 보관시에 보다 안정화를 기할 수 있는 등의 효율을 기대할 수 있도록 된 가스밥솥용 클래드 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스밥솥은 가스화력으로 솥을 가열하여 밥짓기를 행하는 장치로서, 내부에 솥이 안치되는 연소실이 구비되고, 연소실의 전방에는 도어가 회동 개폐식으로 장착되며, 연소실의 바닥에는 솥을 가열하기 위한 버너, 점화수단 등이 구비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한편, 가스밥솥 전용으로 사용되는 솥은 상측이 개구되며 내부에는 취사를 위한 음식물을 담도록 된 취반용기와, 이 취반용기의 상측 개구부를 닫는 뚜껑과, 취반용기의 양측에 구비된 고리 손잡이 등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의 가스밥솥 의 도어를 열어서 연소실 입구를 개방하고, 취반용기에 음식물이 담긴 솥을 버너의 상부 위치에 배치되도록 투입한 다음, 버너를 점화시켜 솥을 가열함으로써 밥짓기를 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가스밥솥용 솥은 대부분 알루미늄을 주소재로 하여 제작됨으로써, 비교적 높은 열전도율을 갖지만, 이러한 알루미늄 솥을 수차례 사용하다 보면 반복적으로 솥이 달구어 졌다가 식었다 하는 과정에서 중금속 성분이 다량 노출되고, 이러한 중금속 성분이 취사한 밥에 섞여서 사람이 밥과 함께 중금속을 섭취하기 때문에, 건강상 해로울 수 있으며, 중독성도 유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람에게 어느 정도의 철분이 필요하기는 하지만, 종래의 알루미늄 솥은 취사 과정에서 밥에 다량의 중금속 성분이 묻어나게 되고, 이처럼 밥에 묻어나온 중금속 성분을 과하게 섭취함으로 인하여 건강에 해로울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중독성도 생길 수 있는 것이다. 특히, 가스밥솥은 학교 급식과 같이 단체 급식을 필요로 하는 장소에서 많이 이용되는데, 상기와 같이 밥에 많은 중금속 성분이 묻어나오면 많은 사람이 다량의 중금속을 섭취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여러모로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취사 도중에 취반용기에서 밥물이 끊어 넘쳐 연소실로 떨어지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취사중에 가스불이 밥물에 의해 꺼지는 등의 위험 요소를 상시 가지고 있다.
아울러, 취반용기의 양측에 주방 작업자가 손으로 잡게 되는 고리 손잡이가 있는데, 이러한 종래에는 취사중에 취반용기의 열이 고리 손잡이에 그대로 전달되 어, 주방 작업자가 취반용기 취급시 화상을 입는 것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으며, 취반용기를 닫는 뚜껑으로부터 뚜껑 손잡이로 다량의 열이 전달되어 뚜껑 손잡이를 뜨거워서 잡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어서, 여러모로 불편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텐레스를 주성분으로 한 클래드 강판에 의해 취반용기를 제작함으로써, 중금속 중독요소에서 완전 탈피할 수 있는 위생적인 가스밥솥용 클래드 솥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취반용기에서 끊어 넘친 물이 뚜껑의 상부 면에 고이도록 하여 취반용기에서 넘친 물이 연소실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가스밥솥용 클래드 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취반용기에서 고리 손잡이에 열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켜 주방 작업자가 취반용기 취급시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성 확보가 가능하며, 취반시 뚜껑에서 뚜껑 손잡이로 다량의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격을 유지하여 뜨겁지 않으면서도 뚜껑과 뚜껑 손잡이의 결합 구조는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설계된 가스밥솥용 클래드 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러 개의 솥을 보관 및 적재를 하더라도 뚜껑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가스밥솥용 클래드 솥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취반용기의 바닥을 가스화력의 열집중를 피하여 열이 고르게 분산되는 형상을 취함으로써 종전에 바닥에 누룽지가 많이 눌던 과잉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열전도가 우수하여 자연히 밥맛도 좋아지며, 세척력에 있어 서도 알루미늄 주물 솥보다 우수하고 외관도 미려하며, 외관표면 밀도도 조밀하여 세정 건조도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져 위생적인 가스밥솥용 클래드 솥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상측이 개구된 음식물 수용부가 형성된 취반용기(10)와, 상기 취반용기(10)의 상측 개부를 덮는 뚜껑(20)을 포함하는 가스밥솥용 솥에 있어서, 상기 취반용기(10)는 클래드 강판을 원소재로 성형되어 가장 안쪽에 스텐레스층(110)이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취반용기(10)의 외주면 양측에는 한 쌍의 손잡이 브라켓(30)이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 브라켓(30)에는 고리 손잡이(40)가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 브라켓(30)의 하단부에는 상하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연장된 지지편(32a,32b)이 구비되어, 상기 취반용기(10)를 다층으로 적층시 상측 취반용기(10)의 손잡이 브라켓(30)의 지지편(32a,32b)이 하측 취반용기(10)의 상단부에 면상 접촉된 상태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밥솥용 클래드 솥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주요부인 취반용기를 클래드 소재로 제작함으로써, 식사하면서 밥과 함께 중금속을 섭취하는 경우가 방지되기 때문에, 건강을 해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데, 구체적으로, 골다공증, 알츠하이머병, 성장발육저하, 파 킨슨병, 납중독 등의 중금속 중독요소에서 완전 탈피할 수 있는 위생적이고 안전한 가스밥솥용 클래드 솥이다.
또한, 본 발명은 취반용기의 외주면 양측 위치에 한 쌍의 손잡이 브라켓이 부착되어, 취반용기를 다층으로 적층시 상측 취반용기의 양측 손잡이 브라켓 하단부가 하측 취반용기의 상단부 양측 위치에 지지되어, 복수층으로 적층된 취반용기가 외력에 의해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등의 현상을 방지하므로, 안정된 적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취사 도중에 복수층으로 쌓아놓은 취반용기에 취사자가 팔을 얹어놓거나 몸을 기대고 쉬는 경우가 있는데, 이처럼 취사자가 쌓아놓은 취반용기에 팔을 얹어놓는 등의 힘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취반용기의 양측 위치에 구비된 한 쌍의 손잡이 브라켓에 의해 상하측 취반용기가 일측으로 눌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적층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취사자가 적층된 취반용기에 기대어 휴식을 취하는 것과 같은 외력에 의해 복수층의 적층된 취반용기가 무너져 내리는 등의 문제가 생기지 않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 브라켓 하단에는 좌우 한 쌍의 지지편이 더 구비되어, 취반용기를 다층으로 적층시 상측 취반용기의 손잡이 브라켓의 지지편이 하측 취반용기의 상단부에 면상 접촉되므로, 하측에 적재된 취반용기의 상단부에 눌리는 자국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손잡이 브라켓의 하단에서 대칭으로 외측 절곡되어 취반용기의 상단부와 손잡이 브라켓의 지지편이 서로 마주 접촉되면서 생기는 손상자국를 방지할 수 있는 면상구조로 되어 있어서, 취반용기에 내용물(음식물)이 들어있어도 눌림 자국이 찍히지 안는 평면으로 마주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취사후에 취반용기를 복수층으로 적재하여 보관 또는 건조시 상측 취반용기의 손잡이 브라켓이 하측 취반용기의 상단부를 눌러서 손상 자국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취반용기를 복수층으로 적재한 경우, 한 쌍의 손잡이 브라켓으로 인하여 상측 취반용기와 하측 취반용기 사이에 소정의 틈새가 생기므로, 한꺼번에 고압 스팀 살균이 가능하다. 즉, 고압 스팀 살균시에 상하측 취반용기 사이에 생긴 틈새로 고압의 스팀이 통과될 수 있으므로, 복수층으로 적재된 취반용기를 한꺼번에 고압 스팀 살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뚜껑의 상면에 뚜껑 손잡이의 양단부 저면에 구비된 엠보가 접합된 구조를 취하여, 취사시 뚜껑에서 뚜껑 손잡이로 열이 전달되는 것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뚜껑 손잡이가 뚜껑 위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취사시 뚜껑 손잡이가 뜨겁지 않으므로, 취사 후 취급이나 기타 작업이 보다 편리한 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래드 솥은 취반용기에서 끊어 넘친 밥물이 취반용기의 물넘침 방지턱의 내측에 고이도록 하면서 수막이 생기게 함으로써, 뚜껑의 중량 증가로 수막현상을 이용한 압력솥의 원리로 밥을 지을 수 있으며, 취사 도중에 취반용기에서 밥물이 끊어 넘쳐 연소실로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므로, 가스불이 밥물에 의해 꺼지는 등의 위험 요소를 배제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주요부인 뚜껑은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환형의 보강 비드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구조를 취하여, 뚜껑에 외력이 가해지거나 보관시 뚜껑의 상부에 다른 솥을 적재하더라도 뚜껑 자체의 보강 비드(주름)에 의해 중량물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주요부인 취반용기의 바닥은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단면 형태로 구성되어, 취반용기의 바닥이 가스화력의 열집중을 피하는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열이 골고루 분산되면서 종래에 취반용기 바닥에 누룽지가 많이 눌어서 생기는 추가비용를 줄일 수 있고 열전도가 우수하여 자연히 밥맛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주소재가 클래스 소재이므로, 알루미늄 가스 주물솥에 비하여 주방의 축축한 습기, 취사스팀에 대해 보다 우수한 내구성이 있으며 이것 역시 위생의 기본임이 분명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취반용기의 다양한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손잡이 브라켓과 취반용기의 결합된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도 1의 A 방향 측면도, 도 5는 도 1의 A-A선 종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취반용기를 적층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취반용기에 뚜껑을 덮은 상태로 복수층으로 클래드 솥을 적층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내부에 상측이 개구된 음식물 수용부가 형성된 취반용기(10)와, 이 취반용 기(10)의 상측 개부를 덮는 뚜껑(20)을 포함하는 가스밥솥용 클래드 솥으로서, 취반용기(10)는 클래드 강판을 원소재로 하여 다층 구조로 성형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반용기(10)의 다층 구조는 내측부에서 외측부로 순차적으로 스텐레스층(110), 알루미늄층(120) 및 스텐레스층(130)으로 구성되거나 스텐레스층(110)과 알루미늄층(120)의 이층 구조로 되거나 스텐레스층(110), 알루미늄층(120), 철판층(140) 및 스텐레스층(13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 취반용기(10)가 내측부에서 외측부로 순차적으로 스텐레스층(110), 알루미늄층(120) 및 최외곽 스텐레스층(130)의 삼층 구조로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서 취반용기(10)의 최외곽부층을 자성체로 구성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취반용기(10)의 외주면 양측에는 한 쌍의 손잡이 브라켓(30)이 구비되고, 손잡이 브라켓(30)에는 고리 손잡이(40)가 결합되며, 손잡이 브라켓(30)의 하단부에는 상하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연장된 지지편(32a,32b)이 구비되어, 취반용기(10)를 다층으로 적층시 상측 취반용기(10)의 손잡이 브라켓(30)의 지지편(32a,32b)이 하측 취반용기(10)의 상단부에 면상으로 접촉되므로, 하측에 적재된 취반용기(10)의 상단부에 눌리는 자국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브라켓(30) 하단에 대칭으로 외측 절곡되어 솥 말단부와 손잡이 브라켓(30)이 지지편(32a,32b)이 서로 마주 접촉되면서 생기는 손상자국을 방지할 수 있는 면상 구조로 되어있고, 이와 맞닿는 취반용기(10)의 상단부는 내용물이 들어있어도 눌림자국이 찍히지 않는 평면으로 마주하게 함으로써, 가스밥솥의 취사 후 클래드 솥의 보관 또는 건조시 여러 층으로 쌓을 수 있는 구조이므로, 주방의 협소함를 해소하고 건조시 공간의 유해 먼지로부터 회피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취반용기(10)의 외측면에 리벳(4)을 매개로 손잡이 브라켓(30)이 고정되며, 손잡이 브라켓(30)은 리벳(4)과 마주하는 면에 접시형 리벳 결합부(34)가 구비되어, 리벳(4)의 일단부가 손잡이 브라켓(30)의 리벳 결합부(34)에 결합되는 한편, 리벳(4)의 타단부(헤드부)는 취반용기(10)에 구비된 리벳공(13)에 걸려진 형태로 결합된다. 즉, 손잡이 브라켓(30)이 리벳(4)에 의해 취반용기(10)의 외부 양측 위치에 고정된 구조이다.
이러한 고리 손잡이(40)의 안쪽에 접시형 리벳(4) 채용으로 수세시 돌출 형상, 즉 리벳(4)의 헤드(4a) 자국)이 없고 솥을 다층으로 중첩하여 놓아도 위쪽의 솥 외부표면이 긁히거나 찍힘이 없는 형상이므로, 수세가 편리하고 외관이 깨끗하고(미려하고) 위생적이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적층된 상하부 취반용기(10)가 끼이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적층된 취반용기(10)를 꺼내기도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하부 취반용기(10) 사이에 틈새가 생기므로, 고압 스팀 살균시 취반용기(10) 사이에 생긴 틈새로 스팀이 통과되기 때문에, 고압 스팀 살균 작업도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리벳(4)과 리벳공(13) 사이는 오링에 의해 밀봉된다. 본 발명에서는 취반용기(10)의 리벳공(13) 주변은 리벳(4)의 헤드(4a)가 형합되는 단면 형태의 헤드 안착부가 형성되어, 이러한 취반용기의 헤드 안착부 내측 위치의 리벳공(13)과 리벳(4)의 헤드(4a) 근방 사이를 오링에 의해 밀봉한 구조를 취하고 있다.
또한, 손잡이 브라켓(30)은 지지편(32a,32b)의 상측 위치 양단에 취반용기(10)의 외주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한 쌍의 절곡편(36)이 더 구비되며, 이러한 절곡편(36)의 하측에는 결합공(38)이 구비되어, 디귿자형의 고리 손잡이(40)에 구비된 한 쌍의 걸이부(42)가 손잡이 브라켓(30)의 결합공(38)에 끼워져서, 이러한 결합공(38)을 중심으로 고리 손잡이(40)가 상하 회동될 수 있게 된다. 손잡이 브라켓(30)의 절곡편(36)은 취반용기(10) 취급시 날카롭게 부딪히는 부분이 없도록 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지지력을 보다 강화시키는 기능도 한다.
이때, 고리 손잡이(40)는 상측에서 볼 때 디귿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디귿자형 고리 손잡이(40)의 양단부에는 일측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의 경사 연장부(44)가 구비되며, 한 쌍의 경사 연장부(44)에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걸이부(42)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고리 손잡이(40)의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걸이부(42)가 손잡이 브라켓(30)의 결합공(38)에 끼워져 회동 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고리 손잡이(40)를 구성하는 한 쌍의 경사 연장부(44)는 고리 손잡이(40)가 취반용기(10)의 외주면 위치에서 하측으로 완전히 회동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복수개의 취반용기(10)를 적층하였을 때, 고리 손잡이(40)가 취반용기(10) 외측으로 튀어나오지 않게 되므로, 취사층에 고리 손잡이(40)에 사람이 걸려서 넘어지거나 하는 경우 등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2에는 고리 손 잡이(40)가 취반용기(10)의 외주면 위치에서 완전히 하향 회동되어 취반용기(10)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취반용기(10)의 상단 둘레부에는 뚜껑 안치부(12)가 형성되고, 뚜껑 안치부(12)는 취사시 넘치는 밥물이 고이지 않도록 취반용기(10)의 중심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구성되며, 뚜껑(20)의 외곽 둘레부에는 취반용기(10)에서의 밥물의 넘침을 이차적으로 방지하도록 절곡홈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취반용기(10)의 뚜껑 안치부(12)에는 상향으로 연장된 밥물 넘침 방지턱(16)이 구비되어, 취반용기(10)에서 넘치는 밥물이 밥물 넘침 방지턱(16)에 걸려서 넘치는 현상이 방지됨과 동시에 밥물 넘침 방지턱(16)과 뚜껑(20) 외곽 둘레부 근방 사이에 수막이 형성될 수 있다. 취반용기(10)의 밥물 넘침 방지턱(16)에는 증기 방출홀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취반용기(10)를 구성하는 3중 클래드 강판의 트리밍(커딩)부는 외측 2개층(알루미늄과 스텐레스)를 바깥쪽 3층 전단부 알루미늄의 노출을 막기 위해 바깥쪽 이음마감 처리한다.
본 발명의 경우, 주요부인 취반용기(10)를 클래드 강판을 원소재로 높은 열전도율을 갖은 알루미늄 특성과 높은 강도특성을 갖는 스텐레스로 구성한다. 이러한 취반용기(10)는 클래드 강판을 딥드로잉(DEEP DRAWING) 방식 또는 헤라시보리 등으로 가공하여 제작한다. 이러한 클래드 소재의 취반용기(10)는 제품의 내구성과 내측면의 부식과 산화 그리고 중금속 용출이 없는 스텐레스를 채용함으로써, 알루미늄과 납 중독을 막을 수 있는 위생적인 업소용 가스밥솥용 클래드 솥이라 할 수 있는데, 삼층 구조의 전면가열 취사로 보온력과 신속한 취사로 에너지절약과 이산 화탄소 저감으로 인하여, 종전의 스텐레스의 단점인 열전도가 떨어지는 문제를 스텐레스와 스텐레서 사이의 알루미늄판에 의해 보완할 수 있게 된다. 즉, 취반용기(10)를 삼층 구조의 클래드 소재로 성형함으로 인하여 중금속 중독을 방지하면서도 취사시 열효율이 떨어지지 않는 구조라 하겠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취반용기(10)를 클래드 강판 소재로 제작함으로써, 자체의 중량이 종래보다 현저히(약 32% 정도) 가벼우므로, 취급이 편하다.
또한, 뚜껑(20)의 손잡이 안착부(24) 내에 설치된 뚜껑 손잡이(50)의 양단부측 저면에 요철 형태로 하향된 포오밍 가공을 하여 엠보(52)를 형성하고, 이러한 하향 돌출된 엠보(52)만을 뚜껑(20)의 상면에 맞접합함으로써, 뚜껑(20)에서 뚜껑 손잡이(50)로의 열전도 면적을 최소화하고 뚜껑 손잡이(50)와 뚜껑(20)은 최소의 틈새를 두어 열전도를 피한 구조를 취하였다.
뚜껑 손잡이(50)의 둘레부는 밴딩처리(절곡처리) 함으로써 날카로움을 회피함으로써, 뚜껑 손잡이(50) 파지시에 보다 안전하다.
그리고, 뚜껑 손잡이(50)가 뚜껑(20)의 상부면과 이격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취사시 뚜껑(20)에서 뚜껑 손잡이(50)로 열이 전달되어 뚜껑 손잡이(50)가 뜨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뚜껑 손잡이(50)와 뚜껑(20)의 이격 부위에는 단열과 이물질 쌓임을 막기 위해 실리콘-러버시트를 추가할 수도 있다.
한편, 뚜껑(20)은 하측으로 오목한 역돔형상으로 구성되어, 취반용기(10)를 뚜껑(20)으로 닫은 상태의 클래드 솥을 여러층으로 안정적으로 적층 보관할 수 있 게 된다. 즉, 종래에는 여러 개의 밥솥을 건조 보관시 복층으로 쌓을 수 없는 구조이어서 협소한 주방 취사장에서는 이물질이 튀거나 방치되어 장소의 협소함이 많이 불편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뚜껑(20)이 역돔형상으로 구성되어, 동일형상의 클래드 솥을 복층으로 쌓아두도록 할 수 있으며, 뚜껑(20)에는 복수개의 절곡된 형태의 환형 보강비드(28)가 더 구비되므로, 뚜껑(20)에 외력이 가해지거나 보관시 뚜껑(20)의 상부에 다른 솥을 적재하더라도 뚜껑(20)의 모양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받침보강 효과가 있으며, 이는 복층보관시 유리한 장점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뚜껑(20)의 손잡이 안착부(24)는 기준평면보다 함몰되어 있으며, 뚜껑(20)의 둘레부 처리는 라운딩(절곡) 처리하여 절곡홈부(22)를 구비함으로써, 적절한 강도를 보장하면서도 취사시 밥물이 넘치는 현상을 2차적으로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취반용기(10)의 바닥(10c) 중앙에는 온도센서 밀착부(10d)를 구비하되, 이러한 온도센서 밀착부(10d)는 취반용기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포밍함으로써, 취반용기(10)의 온도센서 밀착부를 보호할 수 있다. 즉, 취반용기(10)의 온도센서 밀착부(10c)가 찍힘 현상이나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현상 등을 방지하여 취반용기(10)의 온도센서 밀착부(10c)를 보호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수명이 연장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취반용기(10)의 바닥(10c)이 뚜껑(20)의 상측면보다 라운드가 상대적으로 크게 되어 있어서 뚜껑(20)의 전면에 바치는 힘을 전체면에 분산시켜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취반용기(10)의 바닥(10c)은 가스화력의 열집중를 피하도록 중심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상향 경사진 형태로 구성되어, 가스화력이 어느 한 부분에 국부적으로 편중되지 않고 취반용기(10)의 바닥(10c)면 전체에 골고루 분산될 수 있으므로, 종전에 바닥에 누룽지가 많이 눌던 추가 비용를 줄일 수 있고 열전도가 우수하여 자연히 밥맛이 좋아지게 된다.
취반용기(10)는 크게 측벽(10a)과 바닥(10c)으로 이루어지는데, 측벽(10a)과 바닥(10c)의 이어지는 부분은 만곡부(10b)가 되도록 라운딩 처리되어 있으므로, 밥을 지을 때 밥물이 취반용기(10)에서 넘치는 경우가 있더라도 취반용기(10)의 하단 외곽부를 이루는 만곡부(10b)에 의해 밥물이 차단되어 가스버너쪽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취사중에 가스불이 밥물에 의해 꺼지는 현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를테면 만곡부(10b)는 취사중에 밥물이 넘치더라도 가스버너쪽으로 밥물이 침투하지 않도록 하는 물끊기부 역할을 하는 것이라 하겠다.
또한, 취사시 취반용기(10)에서 밥물이 넘쳐 연소실 내부로는 떨어지지 않는 것이며, 취사시 뚜껑 손잡이(50)는 뚜껑(20)의 판면에 항상 이격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취사열이 뚜껑 손잡이(50)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뚜껑(20)에는 둘레부의 물넘침 방지용 절곡홈부(22)와 역돔 형상의 경사면부, 함몰된 손잡이 안착부(24) 및 보강비드(28)(힘살)로 인하여 견고함을 보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외력에 보다 강하게 견딜 수 있고, 여러 층의 클래드 솥을 적재할 수 있고 모양이 변형됨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주요부인 고리 손잡이(40)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에 의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취반용기(10) 양측의 한 쌍의 손잡이 브라켓(30) 하단부에는 구비된 좌우 한 쌍의 지지편(32a,32b) 중에서 어느 하나의 지지편(32a)의 길이는 다른 지지편(32b)의 길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구성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 손잡이(40)를 들어서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지지편(32a)에 걸쳐 놓으면 고리 손잡이(40)가 들려진 상태로 유지되므로, 취사시 취반용기(10)의 열이 고리 손잡이(4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므로, 취사 완료후 고리 손잡이(40)를 잡아도 뜨겁지 않다.
다시 말해, 평상시에는 고리 손잡이(40)를 하향으로 회동시켜 놓았다가 취사시에는 고리 손잡이(40)를 상향 회동시켜 손잡이 브라켓(30)의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지지편(32a) 위에 걸쳐 놓으면, 고리 손잡이(40)가 취반용기(10)에서 상측으로 들려서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취사를 실시하면 취반용기(10)로부터 고리 손잡이(40)에 전달되는 열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취사 완료 후 고리 손잡이(40)를 잡고 들기가 보다 편리한 효과가 있다. 즉, 취사 완료 후 고리 손잡이(40)를 잡아서 가스밥솥에서 꺼내려고 할 때, 고리 손잡이(40)가 너무 뜨거워서 제대로 잡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하므로, 취사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주요부인 고리 손잡이(40)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고리 손잡이(40)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한 쌍의 걸이부가 구비된 디귿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고리 손잡이(40) 자 체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벌어질 수 있는 탄성재질로 구성되며, 고리 손잡이(40)의 한 쌍의 걸이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손잡이 브라켓(30)의 하단부에 구비된 좌우 지지편(32a,32b)은 고리 손잡이(40)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외측단부에 원호부(132)가 구비되고, 원호부(132)의 중간부에는 상사점(132a)이 구비된다.
따라서, 고리 손잡이(40)를 손잡이 브라켓(30)의 결합공(38)을 중심으로 상향 회동시키면, 고리 손잡이(40)의 양 내측면이 손잡이 브라켓(30)의 좌우 지지편(32a,32b) 외측단부의 원호부(132)를 타고 넘어가면서 벌어지고, 고리 손잡이(40)의 접촉된 양 내측면이 원호부(132)의 중간부 상사점(132a)을 넘어가면, 벌어졌던 고리 손잡이(40)가 다시 원상 복귀되어 손잡이 브라켓(30)의 좌우 지지편(32a,32b) 상면에 걸쳐지고, 이처럼 손잡이 브라켓(30)의 좌우 지지편(32a,32b) 상면에 고리 손잡이(40)가 걸려지면 고리 손잡이(40)가 취반용기(10)의 외주면에서 상측으로 들린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취사를 실시하면 취반용기(10)로부터 고리 손잡이(40)에 전달되는 열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취사 완료 후 고리 손잡이(40)를 잡고 들기가 보다 편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서, 뚜껑 손잡이(50)에 힌지부(60)를 매개로 보조 손잡이(6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러한 보조 손잡이(60)를 잡고 뚜껑(20)을 열 수 있다.
그리고, 보조 손잡이(60)가 지지되는 뚜껑 손잡이(50)는 일측방으로 연장편(54)이 더 구비되어, 보조 손잡이(60)가 힌지부(60a)를 중심으로 눕혀져서 뚜껑 손잡이(50)의 연장편(54) 위에 얹혀진다. 바람직하게, 뚜껑 손잡이(50)에 오목 수 용부(54a)가 구비되어, 보조 손잡이(60)가 힌지부(60a)를 중심으로 뚜껑 손잡이(50) 위에 눕혀졌을 때, 오목 수용부(54a)에 보조 손잡이(60)가 수용되어 뚜껑 손잡이(50) 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보조 손잡이(60)의 중앙부에는 파지 보조부(62)가 더 구비되어, 보조 손잡이(60)가 눕혀진 상태에서 보조 손잡이(60) 중앙부의 파지 보조부(62)를 손으로 잡고 보조 손잡이(60)를 힌지부(60a)를 중심으로 보다 쉽게 상향 회동시켜 잡을 수 있게 된다. 즉, 보조 손잡이(60) 중앙부의 파지 보조부(62)는 보조 손잡이(60)를 보다 손쉽게 잡아서 뚜껑(20)을 열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취반용기(10)는 취사되기 위한 내용물이 직접 접촉되는 가장 안쪽층은 녹이 안슬고 자석에 붙지 않는 스텐레스층(110)으로 구성하고, 가장 바깥쪽층은 자성체층으로 구성함으로써, 유도가열을 이용하여 취사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취반용기(10)의 외표면을 자성체층으로 구성함으로써, 자력을 발생시켜 취반용기(10)의 바닥 부분에 전기 소용돌이 효과에 의해 용기가 급속하게 스스로 발열되도록 하므로, 보다 신속한 취사가 이루어짐은 물론, 취반용기(10) 바닥 부분으로의 균일한 열전달이 이루어져 균일한 취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취반용기(10)는 클래드 소재를 원소재로 하여 딥드로잉이나 헤라 시보리 가공으로 성형되는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반용기(10)는 안쪽면이 알루미늄층(120)이고 바깥면이 스텐레스층(110)이며, 알루미늄층(120)에는 코팅층(150)이 구비된 다층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코 팅층(150)으로 테프론 코팅층이나 세라믹 코팅층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 테프론 코팅층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코팅층(150)은 밥이나 기타 음식물이 알루미늄층(120)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중금속 중독을 방지하면서도 밥이 알루미늄층(120)에 달라 붙지 않도록 하는 등의 기능을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취반용기의 다양한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손잡이 브라켓과 취반용기의 결합된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도 1의 A 방향 측면도
도 5는 도 1의 A-A선 종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취반용기를 적층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취반용기에 뚜껑을 덮은 상태로 복수층으로 클래드 솥을 적층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주요부인 손잡이 브라켓 부분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9는 도 8의 주요부인 고리 손잡이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주요부인 고리 손잡이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단면도

Claims (7)

  1. 내부에 상측이 개구된 음식물 수용부가 형성된 취반용기(10)와, 상기 취반용기(10)의 상측 개부를 덮는 뚜껑(20)을 구비하고, 상기 취반용기(10)는 클래드 강판을 원소재로 성형되어 가장 안쪽에 스텐레스층(110), 알루미늄층(120) 및 스텐레스층(130)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취반용기(10)의 외주면 양측에는 한 쌍의 손잡이 브라켓(30)이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 브라켓(30)에는 고리 손잡이(40)가 결합되는 가스밥솥용 솥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브라켓(30)의 하단부에는 상하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내측과 외측 중 어느 한쪽으로 연장되어 하측 취반용기(10)의 상단부에 손상자국을 방지하도록 면상으로 접촉되어 지지되는 지지편(32a,32b)들이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 브라켓(30)의 하단부에는 구비된 좌우 한 쌍의 지지편(32a,32b) 중에서 어느 하나의 지지편(32a)의 길이는 다른 지지편(32b)의 길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구성되어 고리 손잡이(40)를 들어서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지지편(32a)에 걸쳐 놓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밥솥용 클래드 솥.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반용기(10)의 상단 둘레부에는 뚜껑 안치부(12)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 안치부(12)는 취사시 넘치는 밥물이 고이지 않도록 상기 취반용기(10)의 중심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뚜껑(20)의 외곽 둘레부에는 상기 취반용기(10)에서의 밥물의 넘침을 이차적으로 방지하도록 절곡홈부(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밥솥용 클래드 솥.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안치부(12)에는 상향으로 연장된 밥물 넘침 방지턱(16)이 구비되며, 취사시 상기 취반용기(10)에서 넘치는 밥물이 상기 밥물 넘침 방지턱(16)에 걸려서 넘치는 현상이 방지됨과 동시에 상기 밥물 넘침 방지턱(16)과 상기 뚜껑(20) 외곽 둘레부 사이에 수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밥솥용 클래드 솥.
  7. 제 1 항, 5항 및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의 중앙부에는 기준평면보다 함몰된 손잡이 안착부(24)가 구비되고, 상기 취반용기(10)의 바닥(10c)은 상기 뚜껑(20)의 상측면보다 라운드가 상대적으로 크게 구성되어 상기 뚜껑(20)의 전면에 바치는 힘을 전체면에 분산받침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취반용기(10)의 바닥(10c)은 가스화력의 열집중를 피하도록 중심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상향 경사진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밥솥용 클래드 솥.
KR1020090042771A 2009-05-15 2009-05-15 가스밥솥용 클래드 솥 KR101180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771A KR101180460B1 (ko) 2009-05-15 2009-05-15 가스밥솥용 클래드 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771A KR101180460B1 (ko) 2009-05-15 2009-05-15 가스밥솥용 클래드 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510A KR20100123510A (ko) 2010-11-24
KR101180460B1 true KR101180460B1 (ko) 2012-09-07

Family

ID=43408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771A KR101180460B1 (ko) 2009-05-15 2009-05-15 가스밥솥용 클래드 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04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5834A (ko) * 2013-10-21 2015-04-29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863Y1 (ko) * 2002-05-30 2002-09-05 김성덕 끓어 넘침이 방지되는 조리용기
KR100648305B1 (ko) * 2005-12-20 2006-11-23 웅진쿠첸 주식회사 전기압력밥솥용 내솥
JP2008284027A (ja) * 2007-05-15 2008-11-27 Zojirushi Corp スタッキング構造を有する電気調理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863Y1 (ko) * 2002-05-30 2002-09-05 김성덕 끓어 넘침이 방지되는 조리용기
KR100648305B1 (ko) * 2005-12-20 2006-11-23 웅진쿠첸 주식회사 전기압력밥솥용 내솥
JP2008284027A (ja) * 2007-05-15 2008-11-27 Zojirushi Corp スタッキング構造を有する電気調理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5834A (ko) * 2013-10-21 2015-04-29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 제조방법
KR102068750B1 (ko) * 2013-10-21 2020-01-21 쿠쿠전자 주식회사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510A (ko) 201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6849B1 (en) Cooking system with reversible multi-function top
US5503062A (en) Wire support and inner rack for thin aluminum roasting pan
KR101404429B1 (ko) 포개질 수 있는 조리기구 집합
TW446550B (en) Cookware handle assembly
US7617948B2 (en) Cookware with multiple component lid
CA2804660C (en) Quick attaching chafing dish handle configured for safe chafing dish placement and removal and for nesting chafing dish storage
JPH06138A (ja) 金属製器具
KR100940491B1 (ko) 단체급식 자동취반기용 전용솥
EP0022830A1 (en) Insulated dish and lid for microwave cooking
US9675197B2 (en) Steam cooker
KR101180460B1 (ko) 가스밥솥용 클래드 솥
JP2011168311A (ja) 電子レンジ用容器
JP3160440U (ja) 電磁調理器用土鍋
KR102655243B1 (ko) 적층식 조리기구 세트
KR200215679Y1 (ko) 남비의 본체 손잡이 장치
JP3926599B2 (ja) 電磁調理器用食器
CN209629493U (zh) 一种可支撑锅盖的功能锅
KR101166531B1 (ko) 연료 절약형 조리용기
JP4209812B2 (ja) 七輪
WO1999047035A1 (en) Stored heat cooker
TWM340785U (en) A cooking pot with thermal roasting and isothermal functions
JP3068909U (ja) 電気こたつ
KR200374251Y1 (ko) 주방용 도기용기 절연 손잡이
KR20220130332A (ko) 금속받침판을 갖는 가열용기용 나무받침대
KR200319811Y1 (ko) 조리용기용 탈착식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