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794Y1 - 식사도구 - Google Patents

식사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794Y1
KR200492794Y1 KR2020200000918U KR20200000918U KR200492794Y1 KR 200492794 Y1 KR200492794 Y1 KR 200492794Y1 KR 2020200000918 U KR2020200000918 U KR 2020200000918U KR 20200000918 U KR20200000918 U KR 20200000918U KR 200492794 Y1 KR200492794 Y1 KR 2004927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groove
rod
handle
locking block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9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인
Original Assignee
이지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인 filed Critical 이지인
Priority to KR20202000009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7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7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7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2Forks; Forks with ejectors; Combined forks and spoons; Salad servers
    • A47G21/023Forks; Forks with e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8Stabilizing containers or article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손잡이부 외측까지 돌출되는 막대부; 및 음식물과 접촉되는 부분으로 상기 손잡이부와 분리 및 조립 가능하며, 내부에는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막대부는 상기 수용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막대부의 단부가 상기 수용홈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식사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사도구{TABLEWARE}
본 고안은 식사도구에 관한 것이다.
나이프를 비롯하여 숟가락, 포크, 국자 등과 같은 식사도구는 사용자의 손이 파지되는 파지부와 음식물이 수용되거나 음식물을 커팅하거나 또는 음식물을 찌르거나 하는 등의 기능을 하는 기능부로 이루어져, 다양한 형상 및 디자인으로 소비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기능부는 음식물을 담거나 절단하거나 하는 등의 기능 수행을 위해 두께가 얇아야 하지만, 사용자의 손이 파지되는 파지부는 파지감을 향상시키고 안정성 및 시각적인 미감을 위해 두께가 두껍게 성형되어야 하는 것으로 파지부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상품성을 높이 평가받게 되고 제조자 입장에서는 가격 또한 높이 받을 수 있게 된다.
이처럼, 기능부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얇게 제작하고, 파지부는 파지감을 향상시키도록 각각 제작한 뒤, 기능부와 파지부를 결합 고정함으로써 식사도구를 제작할 수 있다.
종래의 기능부와 파지부를 고정함에 있어,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사용하거나, 기능부의 단부를 파지부에 끼워 고정하는 방식으로 제작한다.
볼트를 사용하여 기능부와 파지부를 고정하는 방식은 심미감을 떨어트리고, 사용자가 볼트가 체결된 부분을 파지할 경우 이물감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능부의 단부를 파지부에 끼워 고정하는 방식은, 하나의 부품의 단부가 삽입된 다른 부품에서 분리되기 쉬워서, 고정력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9764호(2000.10.30.)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체결구조가 내부에 위치되어 심미감을 유지하는 동시에 결합력을 높인 식사도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결합력이 높은 식사도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손잡이부 외측까지 돌출되는 막대부; 및 음식물과 접촉되는 부분으로 상기 손잡이부와 분리 및 조립 가능하며, 내부에는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막대부는 상기 수용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막대부의 단부가 상기 수용홈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식사도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막대부가 상기 수용홈으로 삽입 또는 분리가 용이하도록, 상기 막대부의 단부에는 소정 각도의 경사면이 형성되는 식사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홈으로 삽입되는 상기 막대부는, 상기 막대부의 폭이 상기 수용홈의 폭과 대응되는 지점에서부터, 상기 막대부의 단부가 상기 몸체부의 상기 수용홈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고정되는 식사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체결구조가 내부에 위치되어 심미감을 유지하는 동시에 결합력을 높인 식사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결합력이 높은 식사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사도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사도구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사도구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사도구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사도구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사도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식사도구(1)는 젓가락, 수저, 포크, 기타 조리용기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젓가락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식사도구(1)는 손잡이부(10), 몸체부(20), 막대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10)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다. 손잡이부(10)의 내부에는 홈이 형성되어 내부공간(10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공간(100)은 손잡이부(10)가 몸체부(20)와 체결되는 부분부터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10)의 내부공간(100)은 손잡이부(10) 전체 길이의 80%이상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10)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손잡이부(10)는 체결돌기(11) 및 막대고정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돌기(11)는 손잡이부(10)의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되, 손잡이부(10)가 몸체부(20)와 체결되는 방향 측의 단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돌기(11)는 내부공간(100) 입구부분의 둘레 외측에서 돌출되되, 손잡이부(10)의 테두리보다 작은 직경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돌기(11)는 몸체부(20)의 수용홈(200) 입구부분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일 수 있다. 손잡이부(10)와 몸체부(20)가 조립될 때, 체결돌기(11)의 몸체부(20)의 수용홈(200) 입구부에 삽입되어, 체결돌기(11)의 외측면이 몸체부(20)의 내측벽과 접촉될 수 있다.
막대고정부(12)는 내부공간(100)으로 삽입되는 막대부(30)와 고정되어, 막대부(30)를 고정할 수 있다.
막대고정부(12)는 손잡이부(10)의 내부공간(100)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막대고정부(12)는 손잡이부(10)의 전체 길이의 80%이상의 길이에 형성될 수 있다. 막대고정부(12)에는 막대부(30)가 접착제 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는, 막대고정부(12)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막대부(30)가 막대고정부(12)에 나사 결합되는 형태로 체결될 수 있다.
몸체부(20)는 손잡이부(10)와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며, 음식물과 접촉되는 부분이다. 예컨데, 몸체부(20)는 손잡이부(10)를 제외한 숟가락, 젓가락, 포크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식사도구(1)가 젓가락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몸체부(20)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 등 음식물이나 액체가 스며들지 않는 단단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부(20)의 내부에는 홈 형상의 수용홈(20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홈(200)은 몸체부(20)가 손잡이부(10)와 체결되는 부분부터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20)는 손잡이부(10)와 체결되는 부분부터 음식을 집는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음식을 집기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수용홈(200)은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0) 측을 상부인 것으로 하고, 몸체부(20) 측을 하부인 것으로 한다.
막대부(30)는 손잡이부(10)와 몸체부(20)를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막대부(30)의 일 측(상측)이 손잡이부(10)의 내부공간(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막대부(30)의 타 측(하측)이 몸체부(20)의 수용홈(200)에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다.
막대부(30)는 손잡이부(10)의 내부에 고정되어, 손잡이부(10)의 외측까지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막대부(30)는 손잡이부(10)의 내부공간(100)에 삽입되어 막대고정부(12)에 고정되며, 내부공간(100) 외측까지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부(10)와 몸체부(20)가 체결될 때, 막대부(30)에서 내부공간(100)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은 몸체부(20)의 수용홈(200)에 삽입될 수 있다.
막대부(30)는 철심과 같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막대부(30)는 막대고정부(12)에 나사산에 의한 체결 또는 용접 등에 의해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막대고정부(12)는 손잡이부(10) 전체 길이의 80% 이상 깊이의 내부에 형성되고, 이러한 막대고정부(12)에 막대부(30)가 고정됨으로써, 막대부(30)가 내부공간(100)으로 삽입될 때, 막대부(30)가 손잡이부(10)의 전체 길이의 80% 이상까지 삽입될 수 있다. 손잡이부(10)가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경우, 단단한 금속 재료인 막대부(30)가 손잡이부(10)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손잡이부(10)의 강도를 높여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막대부(30)는 수용홈(200)으로 삽입되어, 막대부(30)의 단부가 수용홈(200)의 내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막대부(30)의 폭이 수용홈(200)의 폭과 대응되는 지점에서부터, 막대부(30)의 단부가 몸체부(20)의 수용홈(200)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막대부(30)의 두께에 따라, 막대부(30)가 수용홈(200)으로 삽입되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처럼, 막대부(30)가 수용홈(200)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됨으로써, 별도의 체결 부재 없이, 손잡이부(10)와 몸체부(20)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막대부(30)가 수용홈(200)에 수용홈(200) 전체 길이의 50%이상 깊이에 삽입됨으로써 고정력이 증가할 수 있다.
막대부(30)는 경사면(31)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31)은 막대부(30)의 단부에서 소정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사면(31)은 막대부(30)의 내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31)은 막대부(30)가 수용홈(200)으로의 삽입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막대부(30)가 수용홈(200)에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막대부(30)를 수용홈(200)에서 분리할 때, 경사면(31)이 수용홈(200)과 이격 형성됨으로써, 보다 막대부(30)를 수용홈(20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즉, 경사면(31)을 통해 막대부(30)를 수용홈(200)에 용이하게 삽입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사도구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사도구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사도구(1)는 손잡이부(10), 몸체부(20), 막대부(30) 및 걸림블록(4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식사도구(1)는 걸림블록(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블록(40)은 내부공간(100) 외측에 위치된 막대부(3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걸림블록(40)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블록(40)은 막대부(30)에 고정되도록 걸림블록(40)과 막대부(3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블록(40) 내부로 막대부(30)가 관통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걸림블록(40)과 막대부(30)가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블록(40)이 연결된 막대부(30)가 수용홈(20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걸림블록(40)은 수용홈(200)에 삽입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블록(40)의 직경은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수용홈(200)의 직경 중 어느 한 지점의 직경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손잡이부(10)의 체결돌기(11)가 몸체부(20)의 입구에 삽입이 완료되는 위치에 따라, 걸림블록(40)이 수용홈(200) 내부로 삽입이 중지되는 지점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면, 손잡이부(10)의 내부공간(100)에는 막대부(30)가 고정된 상태이고, 막대부(30)의 단부에는 걸림블록(40)이 고정된 상태에서, 손잡이부(10)와 몸체부(20)가 체결될 수 있다.
즉, 손잡이부(10)와 몸체부(20)가 체결되면, 내부공간(100)에 위치하는 막대부(30)와 막대부(30)에 고정된 걸림블록(40)이 몸체부(20)의 수용홈(200)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걸림블록(40)의 직경(폭)과 수용홈(200)의 직경(폭) 차에 의해, 걸림블록(40)이 몸체부(20) 내부로의 삽입이 중지되며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막대부(30)에 의해 손잡이부(10)에 고정된 걸림블록(40)이 수용홈(200)으로 삽입되고, 걸림블록(40)의 직경이 수용홈(200)의 직경과 대응되거나 직경보다 커지는 지점에서 걸림블록(40)의 하부 양 측 꼭지점이 몸체부(20)의 내측벽에 밀착되어, 걸림블록(40)이 수용홈(200)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끼워지며 삽입이 중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손잡이부(10)와 몸체부(20)가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20)의 수용홈(200) 입구에 손잡이부(10)의 체결돌기(11)가 삽입될 수 있다. 수용홈(200)의 입구 직경과 손잡이부(10)의 체결돌기(11) 직경이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됨으로써, 몸체부(20)가 손잡이부(10)에 체결될 때, 흔들리지 않고 고정되도록 체결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걸림블록(40)은 원추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걸림블록(40)의 경우, 걸림블록(40)의 하부와 상부 모두 몸체부(20)의 내측벽에 밀착되며 수용홈(200)에 끼워지도록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블록(40)과 몸체부(20)의 밀착된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보다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사도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사도구(1)는 서로 크기가 다른 복수의 걸림블록(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10)는 내부공간(100), 막대고정부(12) 및 삽입홈(13)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사도구(1)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걸림블록(40)은 크기가 다른 제1 걸림블록(41) 및 제2 걸림블록(4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걸림블록(41)보다 제2 걸림블록(42)의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10)에는 내부공간(100) 외측에 몸체부(20)의 소정 길이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3)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20)의 상부가 삽입홈(13)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13)의 하부와 몸체부(20)의 상부는 대응되는 폭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삽입홈(13)의 하부와 몸체부(20)의 상부는 대응되는 포물선 형태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먼저, 도 7의 경우, 제1 걸림블록(41)이 막대부(30)에 고정된 상태에서, 손잡이부(10)와 몸체부(20)가 체결될 때, 제1 걸림블록(41)의 직경과 수용홈(200)의 직경이 대응되는 위치까지 제1 걸림블록(41)이 수용홈(200)으로 삽입되고, 이에 따라 몸체부(20)의 상부가 삽입홈(13)으로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부(20)의 전체 길이가 L1일 때, 제1 걸림블록(41)이 수용홈(200)이 삽입 고정되는 위치에 따라, 몸체부(20)가 삽입홈(13)에 삽입되어, 음식을 집는 집게 부분의 길이는 L2가 된다.
도 8의 경우에는, 제1 걸림블록(41)보다 큰 제2 걸림블록(42)이 막대부(3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걸림블록(41)과 제2 걸림블록(42)이 동시에 막대부(30)에 고정될 수도 있고, 제2 걸림블록(42)만 막대부(3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걸림블록(41)보다 직경이 큰 제2 걸림블록(42)이 수용홈(200)으로 삽입되면, 제1 걸림블록(41)이 수용홈(200)에 삽입되는 깊이보다 제2 걸림블록(42)이 수용홈(200)에 삽입되는 깊이가 짧아진다. 이에 따라 몸체부(20)가 삽입홈(13)에 삽입되는 깊이도 짧아지게 된다. 따라서, 음식을 집는 집게 부분의 길이는 L3가 도 6의 L2보다 길게된다.
이처럼, 크기가 다른 걸림블록(40)을 막대부(30)에 고정함에 따라, 집게 부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어린이, 어른 모두 사용 가능한 식사도구(1)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분리형 식사도구 10: 손잡이부
100: 내부공간 11: 체결돌기
12: 막대고정부 13: 삽입홈
20: 몸체부 200: 수용홈
30: 막대부 31: 경사면
40: 걸림블록 41: 제1 걸림블록
42: 제2 걸림블록

Claims (3)

  1.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손잡이부 외측까지 돌출되며 일정한 폭으로 일자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단부에 소정 각도로 경사면이 형성되는 막대부; 및
    음식물과 접촉되는 부분으로 상기 손잡이부와 분리 및 조립 가능하며, 내부에는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막대부의 폭은 상기 수용홈 전체 길이의 50% 이상 깊이의 어느 일 지점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의 50% 이상의 깊이의 어느 일 지점에서 상기 막대부의 하측 단부가 상기 수용홈의 내측면이 접촉되어 고정되되,
    상기 수용홈의 상부에서는 상기 막대부와 상기 수용홈의 폭의 차이에 의해, 상기 막대부와 상기 수용홈이 밀착되지 않고 서로 이격되어 상기 수용홈에서 상기 막대부의 분리가 용이한 식사도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으로 삽입되는 상기 막대부는,
    상기 막대부의 폭이 상기 수용홈의 폭과 대응되는 지점에서부터,
    상기 막대부의 단부가 상기 몸체부의 상기 수용홈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고정되는 식사도구.
KR2020200000918U 2020-03-17 2020-03-17 식사도구 KR2004927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918U KR200492794Y1 (ko) 2020-03-17 2020-03-17 식사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918U KR200492794Y1 (ko) 2020-03-17 2020-03-17 식사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794Y1 true KR200492794Y1 (ko) 2020-12-14

Family

ID=73787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918U KR200492794Y1 (ko) 2020-03-17 2020-03-17 식사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794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764Y1 (ko) 2000-08-11 2001-01-15 김명수 장애인용 식사도구
KR200406802Y1 (ko) * 2005-10-26 2006-01-24 전천희 식도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764Y1 (ko) 2000-08-11 2001-01-15 김명수 장애인용 식사도구
KR200406802Y1 (ko) * 2005-10-26 2006-01-24 전천희 식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90325A1 (en) Eating utensil
CN1856267B (zh) 餐具套件
CA2629469A1 (en) Cored-out cutlery
USD455936S1 (en) Set of cutlery
KR200492794Y1 (ko) 식사도구
KR200492422Y1 (ko) 식사도구
USD479103S1 (en) Cutlery
USD455599S1 (en) Pot having an upper cookware rim with dual differently-sized spouts
USD440463S1 (en) Handle for cookware
KR102181150B1 (ko) 파스타면 감김부가 구비된 다기능 젓가락
USD446087S1 (en) Disposable flatware with arcuate handle
US20110061240A1 (en) Utensil attachment to chopsticks
KR200493964Y1 (ko) 조립형 식사도구
USD482930S1 (en) Handle for kitchen utensil
US20090293289A1 (en) Knife having superior functionality and appeal
KR200410172Y1 (ko) 음식용구 손잡이
KR101003774B1 (ko) 휴대용 젓가락
KR200322251Y1 (ko) 일체형 숟가락과 젓가락 겸용 수저
US20020178542A1 (en) Grill implements with removable handle
USD479434S1 (en) Handle for kitchen utensil
KR100763507B1 (ko) 음식용구의 손잡이부 고정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298637B1 (ko) 접이식 식사도구
USD447389S1 (en) Disposable flatware with spiral design
USD495219S1 (en) Salad utensil set
US6684458B1 (en) Handle for ves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