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1404B1 -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비침투형 침 - Google Patents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비침투형 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1404B1
KR101721404B1 KR1020160142014A KR20160142014A KR101721404B1 KR 101721404 B1 KR101721404 B1 KR 101721404B1 KR 1020160142014 A KR1020160142014 A KR 1020160142014A KR 20160142014 A KR20160142014 A KR 20160142014A KR 101721404 B1 KR101721404 B1 KR 101721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needle
acupuncture
piston
g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민
이의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60142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14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48Monitoring or testing the effects of treatment, e.g. of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57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Suction c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38Driving mean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A61H2201/1246Driving mean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by piston-cylinder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비침투형 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침에 의한 치료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실험의 대조군으로 제공하는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비침투형 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스톤 및 실린더를 통해 환부에 진공압을 이용한 부항시술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환자의 눈속임을 위하여 피스톤 및 실린더를 통해 진공압을 형성하여 환부에 침을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피스톤에 형성된 걸쇠와 이에 대응하는 실린더의 홈을 통해 환부에 동일한 진공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비침투형 침{NON-PENETRATING ACUPUNCTURE WITH PISTON AND CYLINDER}
본 발명은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비침투형 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침에 의한 치료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실험의 대조군으로 제공하는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비침투형 침에 관한 것이다.
한방 침에 의한 치료 효과를 규명하는 방법들 중에서 환자의 경혈 상에 침과 동일/유사한 자극, 즉 플라세보(placebo) 자극을 주는 거짓 침 세트를 구비하여 이를 대조군으로 하고, 진짜 침 세트를 실험군으로 하여 양자의 치료 효과를 비교하는 블라인드 테스트가 널리 행해지고 있다.
즉, 환자만을 시각적으로 차단하여 한방 침에 의한 치료 효과를 규명하는 싱글 블라인드 테스트(single blind test)가 가장 널리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싱글 블라인드 테스트를 실시함에 있어서, 종래 한방 침 장치들은 진짜 침을 거짓 침과 구별 짓는데 기구적으로 한계가 존재하였기 때문에 진짜 침인지 여부가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려운 한방 진짜 침/거짓 침 세트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661398호(등록일자 2016. 09.23)
본 발명은 한방용 침 구조에 있어서, 침에 의한 치료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실험의 대조군으로 활용되는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비침투형 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비침투형 침은 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부면에 침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침 삽입구와 연통된 침 유도관이 형성되어 있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와 상기 침 유도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실린더의 내측면과 상기 침 유도관의 외측면에 미끄럼 접촉하는 개스킷, 일단부가 상기 개스킷과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실린더의 상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타단부와 결합되어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피스톤; 및 끝이 뭉툭하여 피부에 자입되지 않는 침체를 포함하고, 상기 침 삽입구를 통해 상기 침 유도관으로 삽입되어 상기 침 유도관에 의하여 지지되는 침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비침투형 침에서 상기 지지대는, 일단부에서 상기 실린더의 내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복수의 걸쇠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는, 상기 걸쇠에 대응하여 상기 실린더의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비침투형 침에서 상기 피스톤에 상측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상기 걸쇠가 상기 실린더의 내측면을 따라 올라가서 상기 결합구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비침투형 침에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침 삽입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비침투형 침은 상기 실린더의 하부에 기밀성 있게 소정의 길이로 결합된 접촉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비침투형 침에서 상기 침체의 끝은 편평하거나 또는 둥근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스톤 및 실린더를 통해 환부에 진공압을 이용한 부항시술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눈속임을 위하여 피스톤 및 실린더를 통해 진공압을 형성하여 환부에 침을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피스톤에 형성된 걸쇠와 이에 대응하는 실린더의 홈을 통해 환부에 동일한 진공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비침투형 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침체의 말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비침투형 침의 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통상의 기술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비침투형 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비침투형 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비침투형 침(1)은 실린더(10), 피스톤(11) 및 침구(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린더(10)는 원기둥 형상을 이루며,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의 적어도 일부는 폐쇄되어 있다. 즉, 실린더(10)의 상부 전체가 커버(21)로 덮여있고, 상기 커버(21)에 침 삽입구(22) 및 후술하는 지지대(33)가 관통하는 복수의 지지대 삽입구(2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10)의 내부에는 상기 침 삽입구(22)와 연통된 침 유도관(24)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침 유도관(24)은 상기 실린더(10)의 높이와 동일한 길이만큼 침 삽입구(22)로부터 실린더(10)의 하부까지 뻗어있다. 즉, 상기 침 유도관(24)은 상기 실린더(10)의 내부에서 상, 하부는 개방되어 있지만 닫힌 외측면을 구비하고 있는 원통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침 삽입구(22)는 후술하는 침구(12)가 삽입되는 구멍이다. 사용자는 환부에 침을 시술하는 경우, 상기 침구(12)를 침 삽입구(22)로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침구(12)를 침 삽입구(22)로 삽입하게 되면, 상기 침구(12)의 침체(41)는 침 삽입구(22)를 타고 침 유도관(24)으로 들어간다. 침 유도관(24)으로 들어간 침구(12)는 상기 침 유도관(24)에 의하여 환부에 수직 배치되고, 이 때 침구(12) 전체가 침 유도관(24)으로 삽입되진 않으며, 침구 헤드(42)는 침 삽입구(22) 밖으로 돌출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상기 침구 헤드(42)를 눌러서 환부에 수직으로 침을 놓을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침(1)에서 침구(12)는 침체(41)의 말단이 뭉툭하여 실제로 피부에 자입될 수 없다. 즉,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침체(41)의 말단은 상기 침체(41)가 실제로 피부에 자입되지 않도록 편평하거나 또는 둥근 형태일 수 있다. 물론, 침체(41) 말단의 형태가 상기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부에 자입되지 않는 형태라면 그 어떠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침구 헤드(42)를 누르는 경우, 침에 의한 자극은 있지만 실제로 피부 내부로 침이 들어가지는 않으므로 침에 의한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상기 침 유도관(24)은 본 발명에 따른 비침투형 침(1)이 환부를 정확하게 자극할 수 있도록 침구(12)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실린더(10)의 하부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진 접촉부재(25)가 기밀성 있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25)는 하측이 외향으로 둥글게 볼록 튀어나오도록 하고 하부가 둥근 형상을 하여, 피부와 잘 밀착되어 기밀이 잘 유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고무재, 실리콘재, 우레탄재 또는 합성수지재 등이 포함된 재질로 접촉부재(25)의 아랫면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재료로 구성된 원환형의 끼움 부재인 캡(미도시)을 접촉부재(25)의 하측부분에 끼워 피부와 밀착이 잘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실린더(10)는 지지대 삽입구(23)와 결합구(26)를 더 포함하고 있는데, 지지대 삽입구(23)에 대한 내용은 후술하는 지지대(33)와 함께, 결합구(26)에 대한 내용은 후술하는 걸쇠(32)와 함께 각각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피스톤(11)은 개스킷(gasket, 30), 복수의 개스킷 하판(31), 복수의 지지대(33) 및 손잡이(34)를 포함할 수 있다.
개스킷(30)은 패킹(packing)으로서 실린더(10)와 침 유도관(24)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환 형상으로 구성된다.
개스킷(30)은 실린더(10)의 내부공간을 구분하고 있으며, 구분된 두 내부 공간사이로 공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침 유도관(24)의 외측면과 실린더(10)의 내측면에 밀착 접촉하되, 미끄러져서 침 유도관(24)의 외측면, 실린더(10)의 내측면을 따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개스킷 하판(31)은 각각의 지지대(33)와 하나씩 연결되어 개스킷(30)이 실린더(10) 내부에 균등한 힘으로 압력을 부가할 수 있도록 개스킷(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복수의 지지대(33)는 피스톤(11)의 몸체를 구성하며, 각각의 지지대(33)에 대응하여 실린더(10)의 상부면에 형성된 지지대 삽입구(23)에 삽입되어 상, 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지지대(33)는 일단부에 연결된 개스킷(30), 상기 개스킷(30)의 균형을 유지하고 고정하는 개스킷 하판(31) 및 타단부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외력을 부가하는 부분인 손잡이(34)를 지지할 수 있다.
손잡이(34)는 사용자의 악력을 통해 손쉽게 압력을 부가하여 실린더(10)에 공기를 손쉽게 흡입 또는 배출할 수 있도록 판의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판의 형상은 원의 형상일 수 있으나, 상기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편하게 쥘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피스톤(11)은 복수의 걸쇠(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걸쇠(32)는 각 지지대(33)의 일단부에서 실린더(10)의 내측면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걸쇠(32)는 일정한 탄성 재질을 가지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걸쇠(32)는 지지대(33)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예각을 이루면서 돌출되어 있는데, 수축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10)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손잡이(34)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힘을 받아서 상기 지지대(33)가 위로 움직이는 경우, 상기 걸쇠(32)도 지지대(33)를 따라 위로 움직이면서 일정한 순간에 실린더(10)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구(26)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결합구(26)는 걸쇠(32)의 개수만큼 실린더(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구(26)에 걸쇠(32)가 끼워지면, 상기 결합구(26)에 끼워진 걸쇠(32)를 다시 해제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결합구(26)를 통해 실린더(10)의 측면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쇠(32)의 상단을 실린더(10)의 내부로 밀어 넣을 수 있다. 해제된 걸쇠(32)는 다시 수축된 상태로 실린더(10)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비침투형 침은 개스킷(30) 상면의 실린더(10) 내부에 복수의 지지대(33) 및 침 유도관(24)을 감싼 나선형 모양의 스프링(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미도시)은, 개스킷(30)이 실린더(10)의 내측면을 타고 올라오는 경우에 수축한다. 이 때, 걸쇠(32)가 결합구(26)에 끼워지는 경우 상기 스프링(미도시)의 탄성력으로 상기 걸쇠(32)와 결합구(26)는 보다 더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다.
걸쇠(32)의 상단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구부러진 갈고리 형상으로 되어 걸쇠(32)가 결합구(26)에서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실시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비침투형 침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비침투형 침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비침투형 침의 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침투형 침을 환부로 가져간다. 이 때, 사용자는 손잡이(34)를 아래로 눌러서 개스킷(30) 하면의 실린더(10) 내부의 공기를 모두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10)의 하부에 연결된 접촉부재(25)를 환부에 접촉시키고, 실린더(10)를 가볍게 누른 채 손잡이(34)를 상측으로 잡아당길 수 있다. 그렇게 되면 도 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개스킷(30)이 실린더(10)의 내측면과 침 유도관(24)의 외측면을 타고 올라가면서 개스킷(30) 하면의 실린더(10) 내부는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을 형성하므로 환부의 피부가 실린더(10)의 내부로 빨려 들어가게 된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지대(33)를 상측으로 움직여서 상기 지지대(33)의 일단부에 형성된 걸쇠(32)를 실린더(10)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구(26)에 끼울 수 있다. 걸쇠(32)가 결합구(26)에 끼워지면, 피스톤(11)은 고정되고, 이에 따라 개스킷(30) 하면의 실린더(10) 내부는 일정한 음압(陰壓;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으로 유지되므로, 부항에 의한 치료를 지속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피스톤(11) 및 실린더(10)에 의한 부항치료와 별개로 침에 의한 치료 효능을 규명하기 위한 실험의 대조군으로서 거짓 침도 함께 제공해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침 삽입구(22)와 상기 침 삽입구(22)에 대응하여 형성된 손잡이(34)의 구멍(35)에 침구(12)를 삽입하여 침 유도관(24)으로 침구(12)를 집어넣을 수 있다. 침 유도관(24)으로 들어간 침구(12)는 상기 침 유도관(24)에 의하여 환부에 수직 배치되고, 이 때 침구(12) 전체가 침 유도관(24)으로 삽입되진 않으며, 침구 헤드(42)는 침 삽입구(22) 밖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침 삽입구(22) 밖으로 나와 있는 침구 헤드(42)를 눌러서 침으로 환부를 자극할 수 있다. 다만, 침체(41)가 피부 내부로 들어갈 수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침에 의하면, 부항에 의한 치료효과를 제공해주면서 상기 부항 치료와 별개로 침에 의한 치료 효능을 규명하기 위한 실험의 대조군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즉, 진짜 침에 의한 실험의 대조군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비침투형 침을 이용한 거짓 시술을 실시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침구(12)의 침체(41)를 시야에서 가리고 있는 실린더(10)가 환부에 계속해서 고정 부착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환자에게 거짓 침을 시술할 경우, 상기 침이 진짜인지 거짓인지 구별이 어렵도록 하여 환자의 눈을 속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한편, 이상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침 35 : 구멍
10 : 실린더 41 : 침체
11 : 피스톤 42 : 침구 헤드
12 : 침구
21 : 커버
22 : 침 삽입구
23 : 지지대 삽입구
24 : 침 유도관
25 : 접촉부재
26 : 결합구
30 : 개스킷
31 : 개스킷 하판
32 : 걸쇠
33 : 지지대
34 : 손잡이

Claims (6)

  1. 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부면에 침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침 삽입구와 연통된 침 유도관이 형성되어 있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와 상기 침 유도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실린더의 내측면과 상기 침 유도관의 외측면에 미끄럼 접촉하는 개스킷, 일단부가 상기 개스킷과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실린더의 상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타단부와 결합되어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피스톤; 및
    끝이 뭉툭하여 피부에 자입되지 않는 침체를 포함하고, 상기 침 삽입구를 통해 상기 침 유도관으로 삽입되어 상기 침 유도관에 의하여 지지되는 침구;를 포함하는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비침투형 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일단부에서 상기 실린더의 내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복수의 걸쇠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는,
    상기 걸쇠에 대응하여 상기 실린더의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비침투형 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에 상측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상기 걸쇠가 상기 실린더의 내측면을 따라 올라가서 상기 결합구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비침투형 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침 삽입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비침투형 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은,
    상기 실린더의 하부에 기밀성 있게 소정의 길이로 결합된 접촉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비침투형 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체의 끝은 편평하거나 또는 둥근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비침투형 침.
KR1020160142014A 2016-10-28 2016-10-28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비침투형 침 KR101721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014A KR101721404B1 (ko) 2016-10-28 2016-10-28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비침투형 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014A KR101721404B1 (ko) 2016-10-28 2016-10-28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비침투형 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1404B1 true KR101721404B1 (ko) 2017-03-31

Family

ID=58501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014A KR101721404B1 (ko) 2016-10-28 2016-10-28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비침투형 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14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1770A (zh) * 2018-12-21 2019-03-08 许艮玲 一种医用多功能拔罐器
CN117679309A (zh) * 2024-02-04 2024-03-12 山东科睿诺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针灸骨缝的自动针灸设备及其针灸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2140Y1 (ko) * 2002-01-08 2002-04-13 우 찬 한 경혈 맛사지 기구
CN201131891Y (zh) * 2008-01-05 2008-10-15 李广涛 针灸拔罐器
CN201625230U (zh) * 2010-03-16 2010-11-10 魏婧婧 带灸刺装置的拔罐
KR101031597B1 (ko) * 2009-06-30 2011-04-27 한국 한의학 연구원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
KR101661398B1 (ko) 2014-09-05 2016-09-2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한방 침과 이를 이용한 한방 침 세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2140Y1 (ko) * 2002-01-08 2002-04-13 우 찬 한 경혈 맛사지 기구
CN201131891Y (zh) * 2008-01-05 2008-10-15 李广涛 针灸拔罐器
KR101031597B1 (ko) * 2009-06-30 2011-04-27 한국 한의학 연구원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
CN201625230U (zh) * 2010-03-16 2010-11-10 魏婧婧 带灸刺装置的拔罐
KR101661398B1 (ko) 2014-09-05 2016-09-2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한방 침과 이를 이용한 한방 침 세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1770A (zh) * 2018-12-21 2019-03-08 许艮玲 一种医用多功能拔罐器
CN117679309A (zh) * 2024-02-04 2024-03-12 山东科睿诺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针灸骨缝的自动针灸设备及其针灸方法
CN117679309B (zh) * 2024-02-04 2024-05-07 山东科睿诺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针灸骨缝的自动针灸设备及其针灸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9474B2 (en) Trocar for laparoscopic surgery
KR101721404B1 (ko)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비침투형 침
US20100228206A1 (en) Wound cover connecting device
JPH02239872A (ja) 注射器の針の保護キャップ
US10034971B2 (en) Tube securing device
JP5915875B2 (ja) 精子受けが着脱自在な精子採取器
CN111329562A (zh) 一种甲状腺穿刺用组合装置
US10610670B2 (en) Catheter fixture
KR200450951Y1 (ko) 부항기기
KR101721403B1 (ko)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침
KR20140000145U (ko) 마사지 부항컵
KR101721400B1 (ko) 약물 용기를 포함하는 침 구조
CN106390243A (zh) 一种注射深度可调的针头隐藏式注射器
KR101471275B1 (ko) 마이크로니들치료기
KR101213215B1 (ko) 카테터용 어댑터
KR200484648Y1 (ko) 의료용 튜브 고정 어셈블리
KR101731021B1 (ko) 스프링을 구비한 패치형 샴침
EP2173243B1 (en) Probe electrode pad and probe electrode pad storage box
US8177808B2 (en) Vein holder
US10493256B2 (en) Port for a catheter
KR102299981B1 (ko)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튜브연결을 위한 고정구
KR102082500B1 (ko) 일회용 장갑 착용기
KR100583348B1 (ko) 약물과 색상이 각각 코팅되어 자기성을 갖는 침이 삽입된침관세트
EP1566145A1 (en) Improved plug for test tubes for taking blood samples
KR101142027B1 (ko) 공기밸브가 구비된 부항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