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895B1 - 환자용 대소변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환자용 대소변 처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99895B1 KR101499895B1 KR1020130064337A KR20130064337A KR101499895B1 KR 101499895 B1 KR101499895 B1 KR 101499895B1 KR 1020130064337 A KR1020130064337 A KR 1020130064337A KR 20130064337 A KR20130064337 A KR 20130064337A KR 101499895 B1 KR101499895 B1 KR 1014998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ow path
- feces
- patient
- wearer
- storage means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title 1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3925 fat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8237 rins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899 penis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436 anu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504 cigaret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781 deodor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45 desinfe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1985 Decubitus ul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289 Dement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210 Pressure Ul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81 drying op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1—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having venting or deodorant means, e.g. filters ; having antiseptic means, e.g. bacterial barri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용 대소변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대소변을 저장하기 위한 대소변저장수단에 상층부와 하층부를 분리하는 분리막과, 상기 분리막의 제1단에 구비되어 움직이는 제1밸브와, 상기 분리막의 제2단에 구비되는 제2밸브를 포함하고, 이들의 배치로 착용구와 대소변저장수단을 연결하는 제1유로 및 대소변저장수단과 배출펌프를 연결하는 제2유로 사이의 경로를 설정하는 방식에 의해, 하나의 배출펌프를 이용하여 대소변 및 세정수의 흡입, 건조 등의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는 발명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용 대소변 처리장치의 경량화가 가능하고, 소모 전력의 감소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 내의 대소변의 수위관리와 세정수의 보충시점을 관리하기 위해 보호자나 간병인이 병실에 항시 상주하지 않아도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단말기(스마트폰 등)에 신호를 알리는 기능을 부가하여 원거리에서도 관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용 대소변 처리장치의 경량화가 가능하고, 소모 전력의 감소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 내의 대소변의 수위관리와 세정수의 보충시점을 관리하기 위해 보호자나 간병인이 병실에 항시 상주하지 않아도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단말기(스마트폰 등)에 신호를 알리는 기능을 부가하여 원거리에서도 관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대소변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중환자나 치매환자, 휠체어를 이용해야 하는 등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이 착용하고 대소변을 보는 경우 자동으로 대소변의 처리 및 환자의 세정 작용을 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소변 처리 장치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이 화장실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착용만 한 상태에서 대소변을 보면 자동으로 이 대소변의 처리를 하기 위한 장치이다.
종래의 대소변 처리 장치 중 특허등록 제496439호에 기재된 예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대소변 처리 장치는 환자가 착용하는 위생대(10)와 위생대에 대소변을 보는 경우 이 대소변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기(60)로 이루어지며, 처리기(60)는 배설물 수거수단(20)의 수거통(21)과 배기펌프(24), 세척수단(30)의 세척수조(33)와 세척수펌프(34), 건조수단(40)의 송풍기(43)를 하나의 케이스에 장착하여 된 것이다.
처리기의 배설물 수거수단(20)은 밀폐된 상태로 수거되는 환자의 대소변을 저장하기 위한 수거통(21)과 이 수거통(21) 내부의 공기를 강제흡입하여 외부로 배기하기 위한 배기펌프(24)로 구성되며, 그 수거통(21)은 배출관(22)으로 상기 위생대의 배출구(14)와 연결되고, 또한 배기펌프(24)와는 배기관(23)으로 연결된다.
상기 배기펌프(24)가 작동되면, 수거통(21) 내부가 배기되면서 그 내부 압력이 떨어지게 되고, 이 압력에 의해 위생대(10)의 회수부(11)에 수용된 대소변은 배출관(22)을 통해 수거통(21) 쪽으로 강제 흡입 이송된다. 수거통(21) 내부로 이송된 대소변은 중력에 의해 자연 낙하되고 공기만이 배기펌프(24)에 의해 외부로 배기된다. 따라서 강제 흡입 이송된 대소변은 수거통(21)에 저장된다.
처리기(60)의 세척수단(30)은 물을 저장하는 세척수 탱크(33)와 이 세척수 탱크(33)로부터 물을 펌핑하는 세척수 펌프(34)로 구성되고, 이 세척수 펌프(34)는 세척수관(32)으로 위생대의 노즐(15)과 연결된다.
상기 세척수 펌프(34)가 작동되면, 세척수 탱크(33)에 저장된 물이 세척수관(32)으로 강제 이송되어 위생대(10)의 노즐(15)을 통해 그 회수부(11) 내부로 분사된다. 따라서 회수부(11) 내부는 물론, 거기에 노출되어 있는 환자의 신체부위도 위생적으로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세척수는 전술한 배설물 수거수단의 수거통으로 자연 수거되어진다.
처리기(60)의 건조수단(40)은 외부의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토출하도록 작동되는 송풍기(43)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온풍을 위한 히터도 포함할 수 있다. 이 건조수단은 전술한 세척수단의 세척수관에 분기접속된 송풍관(42)을 통해 위생대의 노줄(15)과 연결된다.
즉, 송풍기(43)가 작동되면, 외부의 공기가 송풍관(42)으로 강제 이송되어 위생대의 노즐을 통해 회수부(11) 내부로 분사된다. 따라서 회수부(11)내의 세척후에 그 회수부 내벽을 물론, 거기에 노출된 환자의 신체부위도 공기에 의한 건조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대소변 처리 장치의 경우 대소변을 수거통으로 흡입하기 위한 배기펌프와 건조공기를 위생대로 보내기 위한 송풍기, 이렇게 2개의 펌프가 필요했기 때문에 소음이 많이 발생하고, 그 크기를 줄이기가 어려웠으며 전력소모도 많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수거통으로부터 외부로 직접 배설되는 냄새에 대한 방지책도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의 대소변 처리장치는 휴대용 전원으로는 구동이 어렵고, 그 부피도 커서 실내에서만 사용이 가능하였고, 고가의 부품의 중복사용으로 인해 제품가가 상승하는 문제도 있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펌프를 이용하여 대소변의 흡입 및 건조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장치의 크기 및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대소변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환자에게 착용되며, 상기 환자의 대소변을 받기 위한 착용구; 상층부와 하층부를 분리하는 분리막과, 상기 분리막의 제1단에 구비되어 움직이는 제1밸브와, 상기 분리막의 제2단에 구비되는 제2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구로 배설된 환자의 대소변을 저장하기 위한 대소변저장수단; 상기 착용구와 상기 저장통을 연결하여 상기 착용구로 배설된 환자의 대소변이 상기 저장통으로 저장되도록 하는 제1유로; 앞의 공기를 흡입하여 뒤로 배출하는 배출펌프; 상기 대소변저장수단과 배출펌프를 연결하는 제2유로; 및 상기 펌프 및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제1모드에서 상기 제1밸브와 상기 대소변저장수단의 하층부와 상기 제1유로가 연결되고, 상기 대소변저장수단의 상층부와 상기 제1유로는 연결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제2밸브와 상기 대소변저장수단의 하층부와 상기 제2유로가 연결되고, 상기 대소변저장수단의 상층부와 상기 제2유로는 연결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착용구로 배설된 환자의 대소변이 상기 대소변저장수단의 하층부로 유도되도록 제어하고,
제2모드에서 상기 제1밸브와 상기 대소변저장수단의 상층부와 상기 제1유로가 연결되고, 상기 대소변저장수단의 하층부와 상기 제1유로는 연결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제2밸브와 상기 대소변저장수단의 상층부와 상기 제2유로가 연결되고, 상기 대소변저장수단의 하층부와 상기 제2유로는 연결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대소변저장수단의 하층부가 상기 분리막, 상기 제1밸브 및 상기 제2밸브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 제1유로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환자의 대소변이 저장된 상기 대소변저장수단의 하층부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제2유로로 유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대소변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대소변 처리장치는 상기 배출펌프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상기 착용구로 전달하는 제3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유로에는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유로에는 레귤레이터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레귤레이터는 상기 배출펌프를 거치지 않고 제3유로와 연결되는 제4유로와 연결됨에 의해 상기 배출펌프로 인한 적정흡입력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대소변처리장치는 세정수분사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모드에서 상기 세정수분사수단으로부터의 세정수가 상기 착용구를 통하여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착용구에는 상기 대소변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대소변이 감지되는 경우 바로 상기 세정수가 분사되지 않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세정수가 분사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고,
상기 착용구를 이용하여 남자 사용자가 소변을 보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초기 소정 시간 동안 다른 시간동안 보다 흡입력이 강하게 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으며,
상기 착용구를 이용하여 여자 사용자가 소변을 보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세정수의 분사가 소정 간격으로 간헐적으로 분사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대소변저장수단에는 상기 대소변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세정수분사수단에는 상기 세정수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환자용 대소변 처리장치는 상기 대소변의 수위가 소정 수위 이상이 되거나, 상기 세정수의 수위가 소정 수위 이하가 되는 경우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등록 단말기로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용구에는 냄새를 감지하기 위한 냄새 센서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냄새 센서에 의한 냄새 감지가 되지 않을 때까지 상기 제2모드에 의한 순환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환자용 대소변 처리장치는 소형으로 제작되어 휠체어에 탑재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환자용 대소변 처리장치는 자동차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구동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흡입펌프를 이용하여 대소변의 흡입 및 건조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크기 및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렇게 대소변 처리장치의 소형화 및 전력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대소변 처리장치는 휠체어 등에 장착하여 이동하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자동차의 DC 전원(시가라이터의 전원 등)을 이용하여 사용도 가능해지는 등, 대소변 처리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환자들이 좀 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를 위해 분사된 공기를 배출할 때 본 발명의 장치 내에서 순환되게 하여 최대한 대소변의 냄새를 없앤 상태에서 배출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대소변 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대소변 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착용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대소변저장수단의 제1모드 및 제2모드에서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대소변 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착용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대소변저장수단의 제1모드 및 제2모드에서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대소변 처리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본 발명의 대소변 처리장치는 크게 착용구(500), 대소변저장수단(100), 배출펌프(200), 제어수단(300), 입력수단(600), 통신수단(700) 및 세정수분사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설명에서는 배출펌프 및 솔레노이드 밸브 등 각종 전자밸브 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 등 실제 제품으로 생산시 필요한 구성요소가 더 포함되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는 기존의 대소변 처리장치의 것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착용구(500)는 환자의 대소변을 직접적으로 받게 되는 부분이며, 환자가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착용구(500)는 환자의 대소변 등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1유로(310), 건조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제3유로(330), 세정수를 분사하기 위한 제5유로(350) 등과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착용구(500)는 종래의 환자용 대소변 처리 장치의 착용구와 동일한 형태를 나타낼 수 있으며, 그 형상에 제한은 없다. 따라서, 여기서는 착용구의 구체적인 형상, 각종 노즐이나 유로의 위치 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착용구의 일 예를 도 3 및 도 4에 도시하였다.
착용구는 기저귀와 같은 형상으로 환자의 항문과 음경 주위를 잘 밀폐하여 용변에 의한 대소변을 수용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착용했을 때 성기가 있는 전면에는 소변인식에 필요한 수분과 염분센서를 한 줄 또는 두 줄로 배치하고, 대변인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항문 가까운 위치에 열십자 형태로 광센서, 냄새 센서, 열센서 등을 장착하여 대소변의 대소변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용구(500)는 환자에게 착용시킬 때 회수부가 밀폐될 수 있도록 탄력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환자와 접하는 경계면에는 이물의 분산시 차단할 수 있도록 둘레턱이 형성되며, 환자의 피부와 접촉에 따른 촉감과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리콘, 항균 비닐류 등과 같은 부드러운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침상과 인체 사이에서 엉덩이부위를 받쳐주는 부위는 작은 원기둥 모양의 돌기를 두어 통풍을 돕도록 하여 욕창으로 인한 피부의 손상을 예방토록 하고, 환자가 때로는 움직임이 과하여 착용구가 인체에서 벗어날 가능성을 대비하여 상, 하 벨트걸이를 두어 고정하는 기능을 부가할 수도 있다. .
대소변저장수단(100)은 환자의 대소변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대소변저장수단은 도 5 및 도 6을 통하여 보다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 대소변저장수단(100)은 분리막(160)으로 두 영역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분리막의 상부에 분리막과 커버부 사이의 영역인 상층부(140) 및 그 하부에 대소변 집합소의 역할을 하는 하층부(130)로 나누어진다.
분리막의 양단에는 제1밸브(110) 및 제2밸브(120)가 구비된다.
이 제1밸브(110) 및 제2밸브(120)는 솔레노이드 밸브 등과 같이 전자적인 작용에 의해 개폐가 되는 밸브이며, 후술하는 제어수단(300)의 제어를 받아 동작한다.
제1밸브(110) 및 제2밸브(120)는 제어수단(300)의 동작모드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
먼저, 대소변의 흡입 및 세정을 위한 제1모드에서는 제1밸브(110)와 대소변저장수단의 하층부(130)와 제1유로가 연결되고, 대소변저장수단의 상층부(140)와 상기 제1유로(310)는 연결되지 않도록 하고, 제2밸브(120)와 대소변저장수단의 하층부(130)와 제2유로(320)가 연결되고, 대소변저장수단의 상층부(140)와 제2유로(320)는 연결되지 않도록 한다.
즉, 도 5와 같은 상태가 되며, 이 모드에서 배출펌프(200)가 동작하게 되면 환자의 대소변은 착용구(500)에서부터 제1유로(310)를 거쳐 대소변저장수단(100)에 도달하게 되고, 중력에 의해 대소변저장수단의 하층부(130)에 떨어져서 저장되게 된다.
건조를 위한 제2모드에서 제1밸브(110)와 대소변저장수단의 상층부(140)와 제1유로(310)가 연결되고, 대소변저장수단의 하층부(130)와 제1유로(310)는 연결되지 않도록 하고, 제2밸브(120)와 대소변저장수단의 상층부(140)와 제2유로(320)가 연결되고, 대소변저장수단의 하층부(130)와 제2유로(320)는 연결되지 않도록 하여, 제1유로(310)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대소변저장수단의 상층부(140)를 거쳐서 제2유로(320)로 이동되도록 된다.
즉, 도 6과 같은 상태가 되며, 제2모드에서 착용구(500)에 분사된 건조공기는 제1유로(310)를 통하여 이동하면서 제1유로(310)를 건조시킨 후, 대소변이 쌓여있는 하층부(130)를 거치지 않고 바로 제2유로(320)를 거쳐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렇게 제2모드에서는 대소변이 있는 하층부(130)가 제1밸브(110) 및 제2밸브(120)에 의해 폐쇄되므로, 대소변의 악취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어수단(300)은 착용구(500)에 구비된 냄새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제2모드에서 제3유로(330)를 통하여 순환되는 공기에 더 이상 냄새가 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때까지 제2모드에 의한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렇게 제2모드 상태에서 몇차례 순환과정을 거치게 되어, 냄새, 수분 센서 등에 의해 냄새 및 수분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건조과정이 마치게 되는데, 제1유로(310)를 통하여 건조공기를 다시 흡입하는 과정에서 제1유로(310)도 건조가 되므로, 대소변이나 세정수의 습기 등이 제1유로(310) 내에 남아서 부패 등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대소변 처리장치가 구동되지 않는 동안에 제1밸브(110) 및 제2밸브(120)는 제2모드인 도 6과 같은 상태가 유지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저장된 대소변로 인한 악취가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배출펌프(200)는 펌프 앞의 공기를 빨아들여서 뒤로 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에서 배출펌프(200)는 제2유로(320) 및 그와 연결된 부위의 공기를 흡입하여 제3유로(330)로 배출한다.
이러한 배출펌프(200)의 작용에 의해 제1모드에서는 환자의 대소변 및 세정수 등이 대소변저장수단(100)으로 빨려들어오게 되고, 제2모드에서는 착용구(500)에 분사된 건조된 공기가 다시 흡입되고, 다시 그 흡입된 공기가 제3유로(330)를 통하여 착용구(500)에 분사되게 된다.
한편, 대소변저장수단(100)과 배출펌프(200)를 연결하는 제2유로(320) 상에는 레귤레이터(210)(압력조정기)가 구비되며, 일부 공기는 배출펌프(200)를 통하여 배출펌프(200)와 착용구(500)를 연결하는 제3유로(330)를 통하여 착용구(500)로 분사되고, 일부 공기는 배출펌프(200)를 거치지 않고 레귤레이터(210)로부터 직접 제3유로(330)로 연결되는 제4유로(340)를 통하여 제3유로(330)로 배출되도록 하여 배출펌프(200)의 적정흡입력을 유지하게 된다.
이 레귤레이터(210)는 제어수단(30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며, 제어부(300)에 의해 설정된 기준보다 더 흡입력이 강하면, 흡입되는 공기의 일부를 제4유로(340)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제3유로(330) 및 제4유로(340)에는 각각 제1필터(220) 및 제2필터(230)가 구비되어 탈취 등의 작용을 하게 된다.
참고로, 제1유로(310)는 착용구(500)와 대소변저장수단(100)을 연결하는 유로이고, 제2유로(320)는 대소변저장수단(100)과 배출펌프(200)를 연결하는 유로이고, 제3유로(330)는 배출펌프(200)와 착용구(500)를 연결하는 유로이다.
한편, 배출펌프(200)로 인하여 너무 압력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신선한 공기가 일부 흡입되는 효과를 내기 위하여 착용구(500)에는 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구멍인 흡입공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참조).
이 흡입공은 세정수나 환자의 대소변이 새지 않도록, 환자가 착용구(500)를 착용하고 누워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전면부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정수분사수단(400)는 세정수를 저장하고, 제5유로(350)를 통하여 제어수단(300)의 제어에 의해 세정수가 착용구(500)에 분사되도록 한다.
세정수분사수단(400)에는 세정수 외에도 소독제, 탈취제 등도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세정수를 미리 예열하기 위한 예열수단(미도시)도 더 포함될 수 있다.
전원이 인가되면, 세정수분사수단(400)은 미리 세정수와 소독제, 탈취제 등을 미리 정해진 비율로 혼합하고, 예열수단이 있는 예열저장용기에 보관한 후, 제어수단(300)의 제어에 따라 이 세정수 등이 착용구(500)로 분사되도록 한다.
한편, 대소변저장수단(100) 및 세정수분사수단(400)에는 각각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구비된다.
대소변저장수단(100)의 대소변수위센서(150)는 대소변의 수위가 미리 정해진 소정 수위 이상이 되는지, 즉 대소변을 버려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세정수분사수단(400)의 세정수수위센서(450)은 세정수 등이 미리 정해진 소정의 수위 이하가 되는지, 즉 세정수 등을 더 보충해야 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수위센서에 의해 대소변이 가득 차거나 세정수를 보충해야 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장치 외부에 LED나 LCD 등을 이용하여 그 정보가 출력이 되거나 부저 등이 울리도록 할 수도 있지만, 통신수단(700)을 통하여 환자의 보호자 등 사용자의 단말기에 그 정보가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은 장치 내의 대소변의 수위관리와 세정수의 보충시점을 관리하기 위해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단말기(스마트폰 등)에 신호를 알리는 기능을 부가하여, 보호자나 간병인이 병실에 항시 상주하지 않아도 제 때에 대소변을 버리거나 세정수를 교체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은 문자메시지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스마트폰의 특정 앱을 통하여 푸시메시지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메일 주소로 메일 등이 발송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문자메시지나 푸시메시지, 메일 등이 자동으로 발송하는 방법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입력수단(600)은 본 발명의 장치의 동작의 직접적인 명령, 세정시간의 선택이나 세정수의 볼륨(대, 중, 소), 흡입력의 세기(강, 중, 약) 등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입력받거나, 대소변을 비우거나 세정수를 보충하기 위한 정보를 받을 보호자의 연락처 등을 입력받고, 사용자에 대한 각종 정보를 입력받는 등 본 발명의 대소변 처리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입력받는다.
제어수단(300)은 본 발명의 대소변 처리장치를 구동한다.
대소변 처리장치의 동작은 통상적으로 세정/흡입/건조(탈취)/세척 등의 사이클로 수행되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어느 한 기능만 수행되거나, 반복하여 동작되도록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세정 및 흡입을 위한 제1모드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밸브(110) 및 제2밸브(120)가 제1유로(310)를 통해 흡입된 대소변 등이 대소변저장수단의 하층부(130)로 유도되도록 유로가 형성되도록 한 상태에서 배출펌프(200) 및 세정수분사수단(400) 등을 구동하여 환자에게 세정수가 분사되게 하고, 분사된 세정수 및 환자의 대소변이 대소변저장수단의 하층부(130)로 흡입되게 한다.
제1모드에서 각 구성요소의 동작은 사용자가 입력수단(600)을 통하여 명령을 내렸을 때 구동이 되도록 할 수도 있고, 착용구(500)에 구비된 각종 센서에 의해 대소변이 감지되었을 때 자동으로 제어수단(300)에서 구동을 시키는 방식도 가능하다.
이하의 제어수단(300)에 의한 모든 동작에 대한 설명은 비록 그 설명이 생략되어 있더라도,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서 구동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한편, 제1모드에서 세정수의 분사 동작과 대소변의 흡입동작은 사용자의 성별 등, 주어진 조건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소변이 감지되는 경우 바로 세정수의 분사 및 대소변의 흡입이 되지 않고 3-4초 등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된 후 동작되도록 하여, 민감한 환자의 쾌변을 돕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착용구를 착용한 사용자가 남자인 것으로 등록되어 있고, 각종 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소변을 보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초기 몇 초 동안 다른 시간보다 흡입력이 강하게 되도록 배출펌프(200)를 제어하거나 레귤레이터(210)를 제어하여, 남성의 성기가 대소변을 흡입하는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소변이 착용구(500) 밖으로 새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착용구를 착용한 사용자가 여자인 것으로 등록되어 있고, 각종 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소변을 보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세정수의 분사가 몇초 간격으로 간헐적으로 분사되도록 하여 요실금 장애를 치료할 수 있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환자용 대소변 처리 장치는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대소변 수거 및 건조 등의 동작을 모두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소형화가 가능하고, 적은 전력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환자용 대소변 처리 장치는 휠체어 등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는 등 휴대용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저전력으로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휴대용 배터리를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자동차 시거잭과 연결하여 자동차의 직류전원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100 대소변저장수단 110 제1밸브
120 제2밸브 150 대소변수위센서
130 대소변저장수단의 하층부
140 대소변저장수단의 상층부
160 분리막 200 배출펌프
210 레귤레이터 220 제1필터
230 제2필터 300 제어수단
310 제1유로 320 제2유로
330 제3유로 340 제4유로
350 제5유로 400 세정수분사수단
450 세정수수위센서 500 착용구
600 입력부 700 통신수단
120 제2밸브 150 대소변수위센서
130 대소변저장수단의 하층부
140 대소변저장수단의 상층부
160 분리막 200 배출펌프
210 레귤레이터 220 제1필터
230 제2필터 300 제어수단
310 제1유로 320 제2유로
330 제3유로 340 제4유로
350 제5유로 400 세정수분사수단
450 세정수수위센서 500 착용구
600 입력부 700 통신수단
Claims (13)
- 환자에게 착용되며, 상기 환자의 대소변을 받기 위한 착용구;
상층부와 하층부를 분리하는 분리막과, 상기 분리막의 제1단에 구비되어 움직이는 제1밸브와, 상기 분리막의 제2단에 구비되는 제2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구로 배설된 환자의 대소변을 저장하기 위한 대소변저장수단;
상기 착용구와 상기 대소변저장수단을 연결하여 상기 착용구로 배설된 환자의 대소변이 상기 대소변저장수단으로 저장되도록 하는 제1유로;
앞의 공기를 흡입하여 뒤로 배출하는 배출펌프;
상기 대소변저장수단과 배출펌프를 연결하는 제2유로; 및
상기 펌프 및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제1모드에서 상기 제1밸브와 상기 대소변저장수단의 하층부와 상기 제1유로가 연결되고, 상기 대소변저장수단의 상층부와 상기 제1유로는 연결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제2밸브와 상기 대소변저장수단의 하층부와 상기 제2유로가 연결되고, 상기 대소변저장수단의 상층부와 상기 제2유로는 연결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착용구로 배설된 환자의 대소변이 상기 대소변저장수단의 하층부로 유도되도록 제어하고,
제2모드에서 상기 제1밸브와 상기 대소변저장수단의 상층부와 상기 제1유로가 연결되고, 상기 대소변저장수단의 하층부와 상기 제1유로는 연결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제2밸브와 상기 대소변저장수단의 상층부와 상기 제2유로가 연결되고, 상기 대소변저장수단의 하층부와 상기 제2유로는 연결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대소변저장수단의 하층부가 상기 분리막, 상기 제1밸브 및 상기 제2밸브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 제1유로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환자의 대소변이 저장된 상기 대소변저장수단의 하층부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제2유로로 유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대소변 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소변 처리장치는
상기 배출펌프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상기 착용구로 전달하는 제3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대소변 처리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유로에는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대소변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에는 레귤레이터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레귤레이터는 상기 배출펌프를 거치지 않고 제3유로와 연결되는 제4유로와 연결됨에 의해 상기 배출펌프로 인한 적정흡입력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대소변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소변처리장치는 세정수분사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모드에서 상기 세정수분사수단으로부터의 세정수가 상기 착용구를 통하여 분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대소변 처리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구에는 상기 대소변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대소변이 감지되는 경우 바로 상기 세정수가 분사되지 않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세정수가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대소변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구에는 상기 대소변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착용구를 이용하여 남자 사용자가 소변을 보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초기 소정 시간 동안 다른 시간동안 보다 흡입력이 강하게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대소변 처리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구에는 상기 대소변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착용구를 이용하여 여자 사용자가 소변을 보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세정수의 분사가 소정 간격으로 간헐적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대소변 처리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소변저장수단에는 상기 대소변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세정수분사수단에는 상기 세정수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환자용 대소변 처리장치는 상기 대소변의 수위가 소정 수위 이상이 되거나, 상기 세정수의 수위가 소정 수위 이하가 되는 경우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등록 단말기로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대소변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구는 상기 제1모드에서 상기 착용구 내의 지나친 압력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흡입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대소변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구에는 냄새를 감지하기 위한 냄새 센서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냄새 센서에 의해 냄새 감지가 되지 않을 때까지 상기 제2모드에 의한 순환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대소변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용 대소변 처리장치는 휠체어에 탑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대소변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용 대소변 처리장치는
자동차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구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대소변 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4337A KR101499895B1 (ko) | 2013-06-04 | 2013-06-04 | 환자용 대소변 처리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4337A KR101499895B1 (ko) | 2013-06-04 | 2013-06-04 | 환자용 대소변 처리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42812A KR20140142812A (ko) | 2014-12-15 |
KR101499895B1 true KR101499895B1 (ko) | 2015-03-11 |
Family
ID=52460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64337A KR101499895B1 (ko) | 2013-06-04 | 2013-06-04 | 환자용 대소변 처리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99895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9190B1 (ko) | 2016-06-15 | 2017-02-22 | 배승렬 | 대소변 처리 봉투 조립장치 |
KR20200143179A (ko) * | 2019-06-14 | 2020-12-23 | 주식회사 우리소프트 | 석션 기능에 의해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소변 배출 욕구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상시착용형 스마트 소변 처리 장치 및 그 이용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254661B1 (en) | 2015-02-03 | 2020-04-01 | Curaco, Inc. | Excreta disposal apparatus provided with rotary nozzle |
KR200485598Y1 (ko) * | 2016-10-17 | 2018-01-31 | (주)신경금속 | 대소변 처리장치의 세척기 |
KR102589237B1 (ko) * | 2018-06-21 | 2023-10-16 | 전대연 | 중증환자용 또는 와상환자용 스마트침대시스템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55513A (ja) * | 2004-08-23 | 2006-03-02 | Junten Engineering:Kk | 排泄物処理装置 |
KR20100036663A (ko) * | 2008-09-30 | 2010-04-08 | 계순호 | 거동불편 환자용 자동 대소변 처리장치 |
KR100977612B1 (ko) * | 2010-04-08 | 2010-08-23 | 주식회사 큐라코 | 자동 배설물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KR20130028282A (ko) * | 2011-09-09 | 2013-03-19 | 주식회사 엔젤윙즈 | 자동 배변 처리장치 |
-
2013
- 2013-06-04 KR KR1020130064337A patent/KR10149989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55513A (ja) * | 2004-08-23 | 2006-03-02 | Junten Engineering:Kk | 排泄物処理装置 |
KR20100036663A (ko) * | 2008-09-30 | 2010-04-08 | 계순호 | 거동불편 환자용 자동 대소변 처리장치 |
KR100977612B1 (ko) * | 2010-04-08 | 2010-08-23 | 주식회사 큐라코 | 자동 배설물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KR20130028282A (ko) * | 2011-09-09 | 2013-03-19 | 주식회사 엔젤윙즈 | 자동 배변 처리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9190B1 (ko) | 2016-06-15 | 2017-02-22 | 배승렬 | 대소변 처리 봉투 조립장치 |
KR20200143179A (ko) * | 2019-06-14 | 2020-12-23 | 주식회사 우리소프트 | 석션 기능에 의해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소변 배출 욕구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상시착용형 스마트 소변 처리 장치 및 그 이용 방법 |
KR102259715B1 (ko) * | 2019-06-14 | 2021-06-02 | 주식회사 우리소프트 | 석션 기능에 의해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소변 배출 욕구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상시착용형 스마트 소변 처리 장치 및 그 이용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42812A (ko) | 2014-1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15717B1 (ko) |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 |
KR101499895B1 (ko) | 환자용 대소변 처리 장치 | |
TWI558389B (zh) | Waste disposal device and method thereof | |
JP4065002B2 (ja) | 自動排便処理装置 | |
TW201904533A (zh) | 排泄物吸引裝置以及排泄物判定方法 | |
KR101299185B1 (ko) | 자동 배변 처리장치 | |
JP2016523170A (ja) | 自動排便処理装置 | |
KR101093444B1 (ko) |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 |
JP4643523B2 (ja) | 自動排便処理装置 | |
KR100955105B1 (ko) | 환자용 침대 겸용 배변장치 | |
JP2009142384A (ja) | 排泄物処理装置 | |
JP4116652B2 (ja) | 自動排便処理装置 | |
KR101072842B1 (ko) | 거동불편 환자용 자동 대소변 처리장치 | |
KR100795149B1 (ko) |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 |
KR100829525B1 (ko) | 자동 배변 처리장치 | |
KR100829524B1 (ko) | 자동 배변 처리장치 | |
JP2002165821A (ja) | 排泄物処理装置 | |
JPH1156892A (ja) | 排泄物処理装置 | |
JP2007301013A (ja) | 自動排泄物処理装置 | |
KR20190092186A (ko) | 자동 대소변 채집장치 | |
JP4476052B2 (ja) | 排泄物処理システムおよびオムツ | |
KR101018887B1 (ko) | 환자용 침대 겸용 배변장치 | |
JP2007301012A (ja) | 排泄物処理用の身体装着具 | |
JP2002153498A (ja) | 排泄物処理装置 | |
JP4167278B2 (ja) | 自動排便処理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