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8588B1 - 완충 장치 - Google Patents

완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8588B1
KR101708588B1 KR1020157026068A KR20157026068A KR101708588B1 KR 101708588 B1 KR101708588 B1 KR 101708588B1 KR 1020157026068 A KR1020157026068 A KR 1020157026068A KR 20157026068 A KR20157026068 A KR 20157026068A KR 101708588 B1 KR101708588 B1 KR 101708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compression
passage
free piston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6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3276A (ko
Inventor
다카시 데라오카
다츠야 마사무라
Original Assignee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23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3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F16F9/516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resulting in the damping effects during contraction being different from the damping effects during extension, i.e. responsiv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 F16F9/5165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resulting in the damping effects during contraction being different from the damping effects during extension, i.e. responsiv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by use of spherical valve elements or like free-moving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6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both gas and liquid
    • F16F9/061Mono-tubula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 F16F9/16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 F16F9/18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 F16F9/185Bitubular units
    • F16F9/187Bitubular units with uni-directional flow of damping fluid through th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F16F9/512Means responsive to load action, i.e. static load on the damper or dynamic fluid pressure changes in the damper, e.g. due to changes in velocity
    • F16F9/5126Piston, or piston-like val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완충 장치(D1)는, 리저버(R)로부터 압축측실(R2)에의 흐름만이 허용되는 흡입 통로(3)와, 압축측실(R2)로부터 신장측실(R1)에의 흐름만이 허용되는 정류 통로(4)와, 신장측실(R1)로부터 리저버(R)에의 흐름만이 허용되는 가변 감쇠 밸브(V)를 구비한다. 압력실(14)을 형성하는 하우징으로서의 보텀 부재(11) 내를 미끄럼 이동하는 프리 피스톤(5)을 사이에 두고, 압축측실(R2)과 연통하는 압축측 압력실로서의 대실(16)과, 신장측실(R1)과 연통하는 신장측 압력실로서의 외주실(17)을 설치한다. 프리 피스톤(5)의 압축측 수압 면적(A1)을 신장측 수압 면적(B1)보다 크게 했으므로, 피스톤(2)이 하강하는 수축 작동 시에, 신장측실(R1)과 압축측실(R2)이 등압으로 되는 유니 플로우형의 완충 장치이어도, 프리 피스톤(5)이 하강하므로, 고주파 입력 시의 감쇠력을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완충 장치{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완충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완충 장치는, 실린더와, 피스톤과, 피스톤 로드와, 신장측실과, 압축측실과, 중간통과, 외통과, 흡입 통로와, 정류 통로와, 감쇠력 가변 밸브를 구비한다. 피스톤은,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피스톤 로드는, 실린더 내에 삽입되어 피스톤에 연결된다. 신장측실과 압축측실은, 피스톤에 의해 구획된다. 중간통은, 실린더의 외주를 덮어 실린더와의 사이에 배출 통로를 형성한다. 외통은, 중간통의 외주를 덮어 중간통과의 사이에 리저버를 형성한다. 흡입 통로는, 리저버로부터 압축측실을 향하는 작동유의 흐름만을 허용한다. 정류 통로는, 피스톤에 설치되어 압축측실로부터 신장측실을 향하는 작동유의 흐름만을 허용한다. 감쇠력 가변 밸브는, 배출 통로와 리저버의 사이에 설치된다.
완충 장치는, 신장할 때도, 수축할 때도, 정류 통로와 흡입 통로의 작용에 의해 실린더 내로부터 배출 통로를 통해서 작동유를 리저버에 유출시킨다. 이 작동유의 흐름에 대하여 감쇠력 가변 밸브에 있어서 부여되는 저항을 조절함으로써, 완충 장치가 발생하는 감쇠력이 조절 가능하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22136 참조).
이와 같이 완충 장치는, 감쇠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차체의 진동에 최적의 감쇠력을 발생하여, 차량에서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감쇠력 가변 밸브를 실린더 외부에 갖는 완충 장치는, 스트로크 길이를 확보하면서, 피스톤 내에 감쇠력 가변 밸브를 갖는 완충 장치에 비하여 차량에의 탑재성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감쇠력 가변 밸브를 갖는 완충 장치에서 감쇠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솔레노이드가 이용된다. 감쇠력 가변 밸브의 밸브 개방압을 컨트롤하는 파일럿 밸브에 솔레노이드가 부여하는 추력을 조절함으로써, 감쇠력 가변 밸브가 작동유의 흐름에 부여하는 저항이 조절된다.
차량의 진동 억제에 최적의 감쇠력을 완충 장치에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라고 칭해지는 전자 제어 장치가, 각종 센서로 검지한 차량의 차체의 진동 정보로부터 최적의 감쇠력을 구하고, 솔레노이드를 구동하는 드라이버에게 제어 명령을 보낸다.
완충 장치가 감쇠력을 조정해서 제진 가능한 차체의 진동 주파수는, 현재는, 감쇠력 가변 밸브의 응답성과 ECU의 연산 처리 속도에 따라 수 Hz 정도의 상한으로 제한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한 이상의 주파수의 진동을 억제하는 것이 어렵다.
그러나, 차량에서의 승차감을 좌우하는 차체 진동의 주파수는, 제진 가능한 주파수대보다도 고주파수이다. 종래의 완충 장치에서는 이러한 고주파수의 진동을 억제할 수 없으므로, 차량에서의 승차감의 가일층의 향상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차량에서의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완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따르면, 완충 장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당해 실린더 내를 신장측실과 압축측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리저버와, 상기 리저버로부터 상기 압축측실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흡입 통로와, 상기 압축측실로부터 상기 신장측실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정류 통로와, 상기 신장측실로부터 상기 리저버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 함과 함께 당해 액체의 흐름에 부여하는 저항을 변경 가능한 감쇠력 조정부를 구비한 완충 장치이며, 압력실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압력실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압력실 내에 상기 신장측실에 연통되는 신장측 압력실과 상기 압축측실에 연통되는 압축측 압력실을 형성하는 프리 피스톤을 구비하고, 상기 프리 피스톤을 미끄럼 이동 방향의 한쪽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프리 피스톤에 상기 압축측실 유래의 압력이 작용함과 함께, 상기 프리 피스톤은 미끄럼 이동 방향의 다른 쪽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프리 피스톤에 상기 신장측실 유래의 압력이 작용하고, 상기 프리 피스톤의 상기 압축측실 유래 압력이 작용하는 압축측 수압 면적이, 상기 프리 피스톤의 상기 신장측실 유래 압력이 작용하는 신장측 수압 면적보다도 크다.
도 1은, 실시 형태에서의 완충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서의 완충 장치의 감쇠 특성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완충 장치에서의 하나의 구체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완충 장치에서의 다른 구체예의 보텀 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완충 장치의 보텀 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완충 장치에서의 하나의 구체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액압 쿠션 기구를 구비한 완충 장치의 일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8은, 액압 쿠션 기구를 구비한 실시 형태의 완충 장치에서의 구체적인 보텀 부재의 일례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액압 쿠션 기구를 구비한 다른 실시 형태의 완충 장치에서의 구체적인 보텀 부재의 일례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액압 쿠션 기구의 변형예를 구비한 다른 실시 형태의 완충 장치에서의 구체적인 보텀 부재의 일례의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액압 쿠션 기구의 다른 변형예를 구비한 다른 실시 형태의 완충 장치에서의 구체적인 보텀 부재의 일례의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액압 쿠션 기구의 별도의 변형예를 구비한 다른 실시 형태의 완충 장치에서의 구체적인 보텀 부재의 일례의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액압 쿠션 기구의 또한 별도의 변형예를 구비한 다른 실시 형태의 완충 장치에서의 구체적인 보텀 부재의 일례의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쿠션 부재를 구비한 실시 형태의 완충 장치에서의 구체적인 보텀 부재의 일례의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쿠션 부재의 변형예를 구비한 실시 형태의 완충 장치에서의 구체적인 보텀 부재의 일례의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액압 쿠션 기구의 다른 변형예를 구비한 실시 형태의 완충 장치에서의 구체적인 보텀 부재의 일례의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압축측 제1 통로 및 압축측 제2 통로를 구비한 실시 형태의 완충 장치의 보텀 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18은, 압축측 제1 통로 및 압축측 제2 통로를 구비한 실시 형태의 완충 장치의 감쇠 특성도이다.
도 19는, 압축측 제1 통로 및 압축측 제2 통로의 변형예를 구비한 실시 형태의 완충 장치에서의 구체적인 보텀 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20은, 압축측 제1 통로 및 압축측 제2 통로의 다른 변형예를 구비한 실시 형태의 완충 장치에서의 구체적인 보텀 부재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완충 장치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감쇠 특성도 이외의 각 도면에서의 상방을 「위」, 하방을 「아래」라고 설명한다.
완충 장치(D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1)와, 피스톤(2)과, 리저버(R)와, 흡입 통로(3)와, 정류 통로(4)와, 감쇠력 가변 밸브(V)와, 보텀 부재(11)와, 프리 피스톤(5)을 구비하고 있다.
피스톤(2)은, 실린더(1)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실린더(1) 내를 신장측실(R1)과 압축측실(R2)로 구획한다. 흡입 통로(3)는, 리저버(R)로부터 압축측실(R2)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한다. 정류 통로(4)는, 압축측실(R2)로부터 신장측실(R1)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한다. 감쇠력 가변 밸브(V)는, 신장측실(R1)로부터 리저버(R)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함과 함께 액체의 흐름에 부여하는 저항을 변경 가능한 감쇠력 조정부이다. 보텀 부재(11)는, 압력실(14)을 형성하는 하우징이다.
프리 피스톤(5)은, 압력실(14)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압력실(14) 내에 신장측실(R1)에 연통되는 신장측 압력실로서의 외주실(17)과 압축측실(R2)에 연통되는 압축측 압력실로서의 대실(16)을 형성한다. 프리 피스톤(5)에는, 프리 피스톤(5)을 미끄럼 이동 방향의 한쪽인 하방으로 가압하는 압축측실 유래의 압력과, 프리 피스톤(5)을 미끄럼 이동 방향의 다른 쪽인 상방으로 가압하는 신장측실 유래의 압력이 작용한다.
완충 장치(D1)는, 실린더(1) 내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된 피스톤 로드(21)를 구비하고 있다. 피스톤 로드(21)의 일단부(21a)는, 피스톤(2)에 연결되고, 타단부인 상단부는, 실린더(1)의 상단부를 밀봉하는 환상의 로드 가이드(8)에 의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완충 장치(D1)는, 중간통(9)과, 외통(10)을 구비한다. 중간통(9)은, 실린더(1)의 외주를 덮어 실린더(1)와의 사이에 신장측실(R1)과 리저버(R)를 연통하는 배출 통로(7)를 형성한다.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외통(10)은, 중간통(9)의 외주를 덮어 중간통(9)과의 사이에 리저버(R)를 형성한다. 감쇠력 가변 밸브(V)는, 배출 통로(7)와 리저버(R)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1) 및 중간통(9)의 하단부는, 하우징으로서의 보텀 부재(11)에 의해 밀봉된다. 보텀 부재(11)에는, 압력실(14)과 흡입 통로(3)가 설치되어 있다.
신장측실(R1), 압축측실(R2) 및 압력실(14) 내에는 작동유 등의 액체가 충만되어 있고, 리저버(R) 내에는, 액체와 함께 기체가 충전되어 있다. 액체에는, 작동유 이외에, 예를 들어 물, 수용액과 같은 액체를 사용해도 된다.
이어서, 완충 장치(D1)의 각 부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피스톤(2)은, 실린더(1) 내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된 피스톤 로드(21)의 하단부인 일단부(21a)에 연결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21)와, 이것을 축 지지하는 로드 가이드(8)의 사이는, 시일 부재(12)에 의해 시일되어 있고, 실린더(1) 내는 액밀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로드 가이드(8)는, 실린더(1), 중간통(9) 및 외통(10)에 끼워 맞추도록 외경이 단계적으로 크게 되어 있다. 실린더(1), 중간통(9) 및 외통(10)의 상단부 개구는, 로드 가이드(8)에 의해 폐쇄된다.
실린더(1)의 하단부에는, 보텀 부재(11)가 끼워 맞추어져 있다. 보텀 부재(11)는, 소경부(11a)와, 중경부(11b)와, 대경부(11c)와, 통부(11d)와, 복수의 절결(11e)을 구비한다. 소경부(11a)는, 실린더(1) 내에 끼워 맞춰진다. 중경부(11b)는, 소경부(11a)보다도 외경이 크게 중간통(9) 내에 끼워 맞춰진다. 대경부(11c)는, 중경부(11b)의 하단부측에 설치되어 중경부(11b)보다도 큰 외경을 갖는다. 통부(11d)는, 대경부(11c)의 하단부측에 설치된다. 복수의 절결(11e)은, 통부(11d)에 설치된다.
외통(10) 내에, 보텀 부재(11), 실린더(1), 중간통(9), 로드 가이드(8) 및 시일 부재(12)를 수용하고, 외통(10)의 상단부를 코오킹하면, 외통(10)의 코오킹부(10a)와 외통(10)의 저부(10b)로, 보텀 부재(11), 실린더(1), 중간통(9), 로드 가이드(8) 및 시일 부재(12)가 끼워 넣어져서, 이들이 외통(10)에 고정된다. 외통(10)의 개구단부를 코오킹하는 것 대신에, 개구단부에 나사 장착되는 캡을 설치하고, 캡과 저부(10b)가, 보텀 부재(11), 실린더(1), 중간통(9), 로드 가이드(8) 및 시일 부재(12)를 끼워 넣어도 된다.
보텀 부재(11)에 설치된 흡입 통로(3)는, 리저버(R)와 압축측실(R2)을 연통하는 통로(3a)와, 통로(3a)에 설치된 체크 밸브(3b)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통로(3a)는, 한쪽이 보텀 부재(11)의 소경부(11a)의 상단부에서 개구되고, 다른 쪽이 대경부(11c)의 하단부에서 개구되어 있다. 대경부(11c)의 하단부에서 개구된 통로(3a)는, 절결(11e)을 통해서 리저버(R)와 연통한다. 체크 밸브(3b)는, 액체가 리저버(R)로부터 압축측실(R2)을 향해서 흐르는 경우에만 밸브 개방한다. 흡입 통로(3)는, 리저버(R)로부터 압축측실(R2)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고, 역방향에의 흐름을 저지하여, 일방 통행으로 설정된다.
피스톤(2)에는, 압축측실(R2)로부터 신장측실(R1)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정류 통로(4)가 설치되어 있다. 정류 통로(4)는, 압축측실(R2)을 신장측실(R1)에 연통하는 통로(4a)와, 통로(4a)에 설치된 체크 밸브(4b)를 구비하고 있다. 체크 밸브(4b)는, 액체가 압축측실(R2)로부터 신장측실(R1)을 향해서 흐르는 경우에만 밸브 개방한다. 정류 통로(4)는, 압축측실(R2)로부터 신장측실(R1)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고, 역방향에의 흐름을 저지하여, 일방 통행으로 설정된다.
실린더(1)의 상단부 근방에는, 신장측실(R1)에 면하는 관통 구멍(1a)이 설치되어 있고, 신장측실(R1)은, 관통 구멍(1a)을 통해서 실린더(1)와 중간통(9)의 사이에 형성된 환상 간극에 연통하고 있다. 실린더(1)와 중간통(9)의 사이의 환상 간극은, 신장측실(R1)과 리저버(R)를 연통하는 배출 통로(7)를 형성하고 있다. 감쇠력 가변 밸브(V)는, 외통(10)과 중간통(9)에 건너질러 고정되는 밸브 블록(13)에 설치되어 있다. 감쇠력 가변 밸브(V)는, 유로(13a)와, 밸브 부재(13b)와, 파일럿 통로(13c)와, 가압 장치(13d)를 구비하고 있다. 유로(13a)는, 중간통(9) 내의 배출 통로(7)를 리저버(R)에 접속한다. 밸브 부재(13b)는, 유로(13a)의 도중에 설치된다. 파일럿 통로(13c)는, 밸브 부재(13b)보다 상류측인 신장측실(R1)의 압력을 밸브 부재(13b)에 밸브 개방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작용시킨다. 가압 장치(13d)는, 밸브 부재(13b)를 밸브 폐쇄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발생함과 함께 가압력을 가변으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가압 장치(13d)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밸브 부재(13b)를 밸브 폐쇄 방향으로 가압하는 압력을 제어하고 있고, 외부로부터 솔레노이드에 공급하는 전류 공급량에 따라서 이 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가압 장치(13d)는, 솔레노이드 등의 액추에이터로 밸브 부재(13b)를 직접 가압하는 것이어도 된다. 가압 장치(13d)는, 공급되는 전류량이나 전압량에 따라서 가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형식이어도 된다. 액체가 자기 점성 유체로 되는 경우에는, 감쇠력 가변 밸브(V)로 바꾸어, 배출 통로(7)와 리저버(R)를 연통하는 유로에 자계를 작용시키는 감쇠력 조정부, 예를 들어 코일 등이 사용되어도 된다. 이 경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량에 따라 자계의 크기를 조정해서 유로를 통과하는 자기 점성 유체의 흐름에 부여하는 저항을 변화시킨다. 유체를 전기 점성 유체로 할 경우에는, 감쇠력 조정부는, 배출 통로(7)와 리저버(R)를 연통하는 유로에 전계를 작용시켜도 된다. 이 경우, 외부로부터 부여되는 전압에 따라 전계의 크기를 조정하여, 유로를 흐르는 전기 점성 유체에 부여하는 저항을 변화시킨다.
완충 장치(D1)가 수축 작동할 때에는, 피스톤(2)이 아랫쪽으로 이동해서 압축측실(R2)이 압축되고, 압축측실(R2) 내의 액체가 정류 통로(4)를 통해 신장측실(R1)로 이동한다. 수축 작동 시에는, 피스톤 로드(21)가 실린더(1) 내에 침입하기 때문에 실린더(1) 내에서 피스톤 로드의 침입 체적에 상당하는 양의 액체가 과잉으로 되고, 과잉의 액체가 실린더(1)로부터 압출되어 배출 통로(7)를 통해 리저버(R)에 배출된다. 완충 장치(D1)는, 배출 통로(7)를 통과해서 리저버(R)로 이동하는 액체의 흐름에 감쇠력 가변 밸브(V)로 저항을 부여함으로써, 실린더(1) 내의 압력을 상승시켜서 압축측 감쇠력을 발생한다.
한편, 완충 장치(D1)가 신장 작동할 때에는, 피스톤(2)이 상방으로 이동해서 신장측실(R1)이 압축되고, 신장측실(R1) 내의 액체가 배출 통로(7)를 통해 리저버(R)로 이동한다. 신장 작동 시에는, 피스톤(2)이 상방으로 이동해서 압축측실(R2)의 용적이 확대되는데, 확대에 상당하는 액체가 흡입 통로(3)를 통해 리저버(R)로부터 공급된다. 완충 장치(D1)는, 신장측실(R1)로부터 배출되고, 배출 통로(7)를 통과해서 리저버(R)로 이동하는 액체의 흐름에 감쇠력 가변 밸브(V)로 저항을 부여함으로써 신장측실(R1) 내의 압력을 상승시켜서 신장측 감쇠력을 발생한다.
이와 같이, 완충 장치(D1)는, 신축 작동을 나타내면, 반드시 실린더(1) 내로부터 배출 통로(7)를 통해 액체를 리저버(R)에 배출한다. 완충 장치(D1)는, 액체가 압축측실(R2), 신장측실(R1), 리저버(R)를 순서대로 일방 통행으로 순환하는 유니 플로우형의 완충 장치이며, 신축 압축 양측의 감쇠력을 단일의 감쇠력 가변 밸브(V)에 의해 발생한다. 피스톤 로드(21)의 단면적을 피스톤(2)의 단면적의 2분의 1로 설정해 둠으로써, 피스톤(2)의 진폭이 동일하면, 실린더(1) 내로부터 배출되는 작동 유량을 신축 압축 양측에서 동등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신축 압축 양측에서 감쇠력 가변 밸브(V)가 흐름에 부여하는 저항을 동일하게 해 두면, 신장측과 압축측의 감쇠력을 동등하게 할 수 있다.
압력실(14)은, 보텀 부재(11)에 설치한 중공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압력실(14)은, 상하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단면적이 하방측과 상방측에서 상이하고, 단면적이 작은 하방측의 소단면적부(14a)와, 소단면적부(14a)보다 단면적이 큰 상방측의 대단면적부(14b)와, 소단면적부(14a)와 대단면적부(14b)의 도중에 설치된 단차부(14c)를 구비하고 있다.
압력실(14) 내에는, 프리 피스톤(5)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프리 피스톤(5)은, 단차 형상이며, 소피스톤부(5a)와, 대피스톤부(5b)와, 단차부(5c)를 구비한다. 소피스톤부(5a)는, 압력실(14)의 소단면적부(14a)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대피스톤부(5b)는, 소피스톤부(5a)의 상방에 설치되어 압력실(14)의 대단면적부(14b)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단차부(5c)는, 소피스톤부(5a)와 대피스톤부(5b)의 사이에 설치된다. 프리 피스톤(5)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압력실(14)에서의 소단면적부(14a)와 대단면적부(14b)는, 프리 피스톤(5)의 미끄럼 이동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면 좋다.
프리 피스톤(5)은, 소피스톤부(5a)를 소단면적부(14a)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함으로써, 소단면적부(14a) 내이며 소피스톤부(5a)의 하방에 소실(15)을 구획한다. 프리 피스톤(5)은, 대피스톤부(5b)를 대단면적부(14b)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함으로써 대단면적부(14b) 내이며 대피스톤부(5b)의 상방에 대실(16)을 구획한다. 프리 피스톤(5)은, 대단면적부(14b) 내의 단차부(5c)와 단차부(14c)의 사이이며 소피스톤부(5a)의 외주에 외주실(17)을 구획하고 있다. 프리 피스톤(5)의 대피스톤부(5b)의 외주에는 대단면적부(14b)의 내주에 미끄럼 접촉하는 시일링(5d)이 장착되어 있다. 이로 인해, 대실(16)과 외주실(17)은 프리 피스톤(5)의 외주를 통해서 연통하는 경우는 없다. 외주실(17)과 소실(15)의 연통을 방지하기 위해서, 소피스톤부(5a)의 외주에 시일링을 설치해도 된다.
소실(15)은, 보텀 부재(11)에 설치된 통로(18) 및 절결(11e)을 통해서 리저버(R)에 연통하고 있으므로, 소실(15)에는 리저버(R)에서 유래되는 압력이 작용하고 있다. 대실(16)은, 보텀 부재(11)의 소경부(11a)의 상단부에서 개구되어 대단면적부(14b)의 상단부에서 개구하는 압축측 통로(19)를 통해서 압축측실(R2)에 연통하고 있다. 대실(16)에는 압축측실(R2)에서 유래되는 압력이 작용하고 있고, 대실(16)은, 압축측실(R2)에 연통하는 압축측 압력실로서 기능하고 있다.
외주실(17)은, 보텀 부재(11)에 설치되어 도중에 오리피스를 구비한 신장측 통로(20)와, 신장측 통로(20)에 대향하는 실린더(1)의 하단부 근방에 설치된 관통 구멍(1b)을 통해서 배출 통로(7)에 접속되어 있다. 배출 통로(7)는, 신장측실(R1)에 통하고 있으므로, 배출 통로(7)에 연통하는 외주실(17)은, 신장측실(R1)에 연통한다. 이로 인해, 외주실(17)에는, 신장측실(R1)에서 유래되는 압력이 작용하고, 외주실(17)은, 신장측 압력실로서 기능하고 있다. 외주실(17)은, 완충 장치(D1)를 유니 플로우 구조로 하기 위해서 설치한 감쇠력 가변 밸브(V)에 액체를 유도하는 배출 통로(7)를 이용해서 신장측실(R1)에 연통한다. 이로 인해, 보텀 부재(11)에 압력실(14)을 설치해도, 외주실(17)과 신장측실(R1)을 연통하는 다른 통로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완충 장치(D1)의 비용 경감 및 경량화의 면에서 유리하다.
대실(16) 내의 압력, 즉, 압축측실(R2)로부터 도입되는 압력(압축측실 유래의 압력)이, 프리 피스톤(5)의 대피스톤부(5b)의 수평 표면(압축측 수압 면적(A1))에 작용하고 있고, 소실(15) 및 외주실(17)을 압축하는 방향인 하방으로 프리 피스톤(5)을 가압하고 있다. 또한, 수평 표면은, 도 1의 상하 방향에 수직한 면이다. 압축측 수압 면적(A1)은, 수평 방향으로 대피스톤부(5b)를 잘라서 얻어지는 단면의 외측 테두리로 둘러싸이는 면적이다.
한편, 외주실(17) 내의 압력, 즉, 신장측실(R1)로부터 도입되는 압력(신장측실 유래의 압력)이, 외주실(17)을 구획하는 프리 피스톤(5)의 수평 표면(신장측 수압 면적(B1))에 작용하고 있고, 또한 소실(15) 내의 압력, 즉, 리저버(R)의 압력이, 프리 피스톤(5)의 소피스톤부(5a)의 수평 표면(수압 면적(C1))에 작용하고 있고, 대실(16)을 압축하는 방향인 상방으로 프리 피스톤(5)을 가압하고 있다. 또한, 수평 표면은, 도 1의 상하 방향에 수직한 면이다. 신장측 수압 면적(B1)은, 수평 방향으로 대피스톤부(5b)를 잘라서 얻어지는 단면의 외측 테두리와, 수평 방향으로 소피스톤부(5a)를 잘라서 얻어지는 단면의 외측 테두리로 둘러싸이는 면적이다. 수압 면적(C1)은, 수평 방향으로 소피스톤부(5a)를 잘라서 얻어지는 단면의 외측 테두리로 둘러싸이는 면적이다.
이와 같이, 프리 피스톤(5)을 미끄럼 이동 방향의 한쪽(도 1에서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프리 피스톤(5)에 압축측실 유래의 압력을 작용시킴과 함께, 프리 피스톤(5)을 미끄럼 이동 방향의 다른 쪽(도 1에서 상방)으로 가압하도록 프리 피스톤(5)에 신장측실 유래의 압력을 작용시키고 있다. 프리 피스톤(5)의 압축측실 유래 압력이 작용하는 압축측 수압 면적(A1)은, 프리 피스톤(5)의 신장측실 유래 압력이 작용하는 신장측 수압 면적(B1)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프리 피스톤(5)을 미끄럼 이동 방향의 다른 쪽에 압박하도록 신장측실 유래 압력이 작용하는 신장측 수압 면적(B1) 이외의 수압 면적(C1), 즉, 소실(15)에 면하는 면에는, 리저버(R)에서 유래된 압력을 작용시키고 있다.
프리 피스톤(5)을 형성하는 재료의 비중이 액체의 비중보다 무거운 경우에는, 프리 피스톤(5)의 소피스톤부(5a)와 대피스톤부(5b)를 중공으로 함으로써 완충 장치(D1)의 경량화를 도모해도 된다.
완충 장치(D1)는, 압력실(14)이 프리 피스톤(5)에 의해 신장측 압력실로서의 외주실(17)과 압축측 압력실로서의 대실(16)로 구획되어 있고, 프리 피스톤(5)이 이동하면 대실(16)과 외주실(17)의 용적이 변화한다.
완충 장치(D1)가 신장 작동할 경우, 피스톤(2)이 상방으로 이동하므로, 압축되는 신장측실(R1)로부터는 액체가 감쇠력 가변 밸브(V)를 통해서 리저버(R)에 배출되고, 확대되는 압축측실(R2)에는 흡입 통로(3)를 통해서 리저버(R)로부터 액체가 공급된다. 신장측실(R1) 내의 압력은 상승하고, 압축측실(R2) 내의 압력은 리저버(R) 내와 거의 동등해진다.
대실(16)은, 압축측 통로(19)를 통해서 압축측실(R2)과 연통하고 있으므로, 압축측실(R2) 내의 압력이 전반하여, 대실(16) 내의 압력은 압축측실(R2)에서 유래된 압력이 되므로, 리저버(R) 내와 거의 동등한 압력으로 된다. 소실(15)도 리저버(R)에 연통하고 있으므로 소실(15) 내도 리저버(R) 내와 거의 동등한 압력으로 된다. 한편, 외주실(17)은, 신장측실(R1)에 연통하고 있으므로, 외주실(17) 내에는, 신장측실(R1)에서 유래된 압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완충 장치(D1)가 신장 작동할 경우, 프리 피스톤(5)의 압축측 수압 면적(A1)과 다른 수압 면적(C1)에는 리저버(R)의 압력에 거의 동등한 압력이 작용하고, 신장측 수압 면적(B1)에는 리저버(R)의 압력보다도 높은 신장측실(R1)에서 유래되는 압력이 작용하므로, 프리 피스톤(5)은, 상방측으로 밀려 이동한다. 프리 피스톤(5)이 이동하면, 프리 피스톤(5)의 이동량에 따라서 외주실(17)에 액체가 유입하고, 대실(16)로부터 압축측실(R2)에 액체가 배출된다. 이 경우, 압력실(14)이 외관상의 유로로서 기능하고, 액체는 신장측실(R1)로부터 압축측실(R2)에 감쇠력 가변 밸브(V)를 우회해서 이동한다. 외주실(17)과 신장측실(R1)은 오리피스를 구비한 신장측 통로(20)를 통해서 연통하고 있으므로, 프리 피스톤(5)의 급준한 변위가 억제된다.
한편, 완충 장치(D1)가 수축 작동할 경우, 피스톤(2)이 하방으로 이동하므로, 정류 통로(4)에 의해, 압축되는 압축측실(R2)과 확대되는 신장측실(R1)이 연통 상태에 놓이고, 실린더(1) 내로부터 액체가 감쇠력 가변 밸브(V)를 통해서 리저버(R)에 배출된다. 따라서, 신장측실(R1) 내 및 압축측실(R2) 내의 압력은, 거의 동등하게 함께 상승하게 된다.
대실(16)은, 압축측 통로(19)를 통해서 압축측실(R2)과 연통하고 있으므로, 압축측실(R2) 내의 압력이 전반하여, 대실(16) 내의 압력은 압축측실(R2)에서 유래된 압력으로 된다. 압축측실(R2)은 신장측실(R1)과 연통 상태에 놓이므로, 대실(16) 내의 압력은 신장측실(R1) 내와 거의 동등한 압력으로 된다. 외주실(17)도 신장측 통로(20)를 통해서 신장측실(R1)과 연통하고 있으므로, 외주실(17) 내에는, 신장측실(R1)에서 유래된 압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완충 장치(D1)가 수축 작동할 경우, 프리 피스톤(5)의 압축측 수압 면적(A1)과 신장측 수압 면적(B1)에는 신장측실(R1)의 압력에 거의 동등한 압력이 작용하고, 다른 수압 면적(C1)에는 리저버(R)의 압력이 작용하므로, 프리 피스톤(5)은, 하방측으로 밀려 이동한다. 프리 피스톤(5)이 이동하면, 외주실(17)로부터 배출 통로(7)에 액체가 배출되지만 대실(16)에 압축측실(R2)로부터 액체가 유입하고, 소실(15)로부터 액체가 리저버(R)에 배출된다. 이 경우, 대실(16)의 용적 확대량에서 외주실(17)의 용적 감소량을 뺀 양의 액체가 실린더(1) 내로부터 리저버(R)로 이동하게 된다. 즉, 압력실(14)이 외관상의 유로로서 기능하고, 소실(15)로부터 배출된 액체가 실린더(1) 내로부터 리저버(R)에 감쇠력 가변 밸브(V)를 우회해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프리 피스톤(5)을 미끄럼 이동 방향의 한쪽(도 1에서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프리 피스톤(5)에 압축측실 유래의 압력을 작용시킴과 함께, 프리 피스톤(5)을 미끄럼 이동 방향의 다른 쪽(도 1에서 상방)으로 가압하도록 프리 피스톤(5)에 신장측실 유래의 압력을 작용시키고 있다. 프리 피스톤(5)의 압축측실 유래 압력이 작용하는 압축측 수압 면적(A1)을 프리 피스톤(5)의 신장측실 유래 압력이 작용하는 신장측 수압 면적(B1)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유니 플로우형으로 설정되어 수축 작동 시에는 신장측실(R1)과 압축측실(R2)이 구조상 등압으로 되는 완충 장치에 있어도 프리 피스톤(5)을 작동시켜서 압력실(14)을 외관상의 유로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여기서, 완충 장치(D1)에 입력되는 진동의 진폭이 큰 경우와 작은 경우를 생각해보자. 진폭이 큰 경우, 피스톤(2)의 진폭이 크고, 압력실(14) 내에 드나드는 액체 유량이 많으므로, 프리 피스톤(5)의 진폭도 커진다. 프리 피스톤(5)이 보텀 부재(11)의 중공부의 정상부 또는 저부에 접촉하는 스트로크 엔드에 달하면, 그 이상의 프리 피스톤(5)의 동일 방향으로 이동을 할 수 없게 된다. 그러면, 외관상의 통로로서 기능하는 압력실(14)을 통한 신장측실(R1)과 압축측실(R2)의 액체의 수수가 없어지고, 그것에 대응하여, 감쇠력 가변 밸브(V)를 통과하는 유량이 많아진다. 이로 인해, 완충 장치(D1)가 발생하는 감쇠력은 높은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진폭이 작은 경우, 피스톤(2)의 진폭이 작고, 압력실(14) 내에 드나드는 액체 유량도 작기 때문에 프리 피스톤(5)의 진폭도 작아지므로, 프리 피스톤(5)은, 압력실(14)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즉, 완충 장치(D1)가 작은 진폭으로 신축할 경우, 완충 장치(D1)가 신장 행정이든 수축 행정이든, 프리 피스톤(5)의 압력실(14) 내에서의 이동은 방해할 수 없다. 이로 인해, 감쇠력 가변 밸브(V)를 통과하는 유량에 대하여 외관상의 유로를 통과하는 유량의 비율이 많아지므로, 완충 장치(D1)가 발생하는 감쇠력은 저감되어 낮아진다. 완충 장치(D1)의 진폭이 작아지는 상황의 대부분은, 고주파 진동 입력 시이므로, 완충 장치(D1)의 감쇠 특성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이된다. 도 2 중의 각 실선은, 감쇠력 조정부로서의 감쇠력 가변 밸브(V)로 완충 장치(D1)의 신장측 및 압축측의 감쇠력을 소프트, 미디엄, 하드로 한 경우에 대해서 감쇠 특성을 나타낸다. 파선은, 소프트, 미디엄, 하드의 감쇠 특성으로 설정되는 상황에 있어서, 완충 장치(D1)에 고주파 진동이 입력되어, 감쇠력이 저감된 경우의 감쇠력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완충 장치(D1)에 있어서는, 감쇠력의 변화를 신축 시의 진폭에 의존시킬 수 있으며, 소진폭의 진동에 대해서는 감쇠력 저감 효과를 발휘하고, 대진폭의 진동에 대해서는 높은 감쇠력을 발생할 수 있다. 차량의 스프링 상부재(차체)와 스프링 하부재(차륜)의 사이에 개재 장착되는 완충 장치(D1)의 경우, 고주파 진동이 입력되는 경우에 진폭이 작아지고, 저주파 진동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진폭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스프링 상부재의 공진 주파수대에 있는 저주파 진동의 입력에 대하여, 완충 장치(D1)는, 높은 감쇠력을 발생함으로써 차체(스프링 상부재)의 자세를 안정시켜서, 차량 선회 시에 탑승자에게 불안을 느끼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차륜(스프링 하부재)의 공진 주파수대에 있는 고주파 진동이 입력되면, 완충 장치(D1)는, 낮은 감쇠력을 발생시켜서, 차륜측(스프링 하부재측)의 진동이 차체측(스프링 상부재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차량에서의 승차감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완충 장치(D1)는, 감쇠력 가변 밸브(V)가 액체의 흐름에 부여하는 저항을 조정함으로써, 감쇠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이 완충 장치(D1)에 있어서는, 감쇠력 가변 밸브(V)에 의한 감쇠력 조정을 행하면서도, 고주파수의 진동에 대해서는, 감쇠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완충 장치(D1)는, 비교적 낮은 주파수대의 진동에 대해서는, 감쇠력 조정부로서의 감쇠력 가변 밸브(V)의 컨트롤에 의해 감쇠력을 조정함으로써 차체 진동을 제진할 수 있다. 또한, 완충 장치(D1)는, 감쇠력 가변 밸브(V)의 컨트롤에 의해서는 억제할 수 없는 고주파 진동에 대해서는 기계적으로 저감쇠력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차륜측으로부터의 진동을 절연해서 차체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차량에서의 승차감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완충 장치(D1)에서는, 외주실(17)을 신장측실(R1)에 연통하는 신장측 통로(20)에 오리피스를 설치하고 있다. 이것 대신에, 또는, 이에 더하여, 통로(18) 및 압축측 통로(19)의 한쪽 또는 양쪽에 오리피스를 설치해도 되고, 모든 통로(18, 19, 20)에 오리피스를 설치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한, 통로(18, 19, 20)에 설치하는 것은, 오리피스가 아니라 쵸오크 밸브이어도 된다.
또한, 소실(15)을 리저버(R)에 연통한 구성 대신에, 소실(15)을 완충 장치(D1)의 외부에 연통해서 대기 개방하도록 해도 된다. 그러한 구성이어도, 완충 장치(D1)가 신장 작동할 경우에는, 프리 피스톤(5)이 상방측으로 밀려 이동하고, 프리 피스톤(5)의 이동량에 따라서 외주실(17)에 액체가 유입되어, 대실(16)로부터 압축측실(R2)에 액체가 배출된다. 압력실(14)이 외관상의 유로로서 기능하여, 액체가 감쇠력 가변 밸브(V)를 우회해서 신장측실(R1)로부터 압축측실(R2)로 이동한다. 또한, 완충 장치(D1)가 수축 작동할 경우에는, 프리 피스톤(5)이 하방측으로 밀려 이동하고, 외주실(17)과 대실(16)의 합계 용적이 확대됨과 함께, 감쇠력 가변 밸브(V)를 통과하는 액체량이 감소한다. 따라서, 완충 장치(D1)는, 소실(15)을 리저버(R)에 연통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고주파 진동에 대하여 감쇠력을 저감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소실(15)을 대기 개방한 경우, 소실(15)을 리저버(R)에 연통시키지 않더라도 좋으므로, 압력실(14)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피스톤 로드(21)에 고정하거나, 피스톤 로드(21) 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소실(15)을 리저버(R)에 연통할 경우에는, 압력실(14)을 완전히 완충 장치(D1) 내에 수용함과 함께, 소실(15)로부터 외주실(17) 또는 대실(16)에의 기체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프리 피스톤(5)의 외주 단면 형상과 압력실(14)의 내벽 단면 형상은, 원형 이외의 형상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보텀 부재(11)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보텀 부재(11)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부재(22)와, 덮개 부재(23)를 구비한다. 케이스 부재(22)는, 프리 피스톤(5)이 삽입되는 중공부(22a)를 구비하였다. 덮개 부재(23)는, 케이스 부재(22)의 중공부(22a)를 폐쇄한다.
케이스 부재(22)는, 원기둥 형상이며, 외주에 3개의 단차부를 구비하여, 상방으로 향할수록 단계적으로 줄어드는 외경을 갖는다. 케이스 부재(22)의 아래로부터 두번째의 단차부의 외주에는 중간통(9)이 끼워 맞춰져 있고, 밑에서부터 세번째의 단차부는 중간통(9)과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중간통(9) 내에 위치하고 있다. 케이스 부재(22)의 최하단의 외경은, 중간통(9)의 내경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중간통(9)이 끼워 맞춰지는 케이스 부재(22)의 아래로부터 두번째의 단차부의 외주에는 시일링(24)이 장착되어 있고, 케이스 부재(22)의 외주를 통해서 배출 통로(7)와 리저버(R)가 연통해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케이스 부재(22)의 최하단의 외주는, 통 형상으로 되어 있고, 내외를 연통하는 복수의 절결(22b)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 부재(22)는, 상단부에 개구하는 중공부(22a)를 구비하고 있다. 중공부(22a)의 개구부는, 덮개 부재(23)에 의해 폐쇄되고, 케이스 부재(22)의 내부에 압력실(25)을 형성하고 있다. 중공부(22a)는, 개구부측에 형성된 대단면적부(25b)와, 대단면적부(25b)의 하방에 형성되어 대단면적부(25b)보다도 소직경인 소단면적부(25a)를 갖고 있다. 소단면적부(25a)와 대단면적부(25b)의 사이에는, 단차부(25c)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22)는, 관통 구멍(22c)과, 통로(22d)와, 통로(22e)를 구비한다. 관통 구멍(22c)은, 케이스 부재(22)의 아래로부터 세번째의 단차부의 외주에서 개구되어 단차부(25c)에 통한다. 통로(22d)는, 케이스 부재(22)의 하단부로부터 중공부(22a)의 저면에 통한다. 통로(22e)는, 케이스 부재(2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덮개 부재(23)는, 원판 형상이며, 중앙에 상하 방향을 따라서 설치한 원판 형상의 볼트 삽입 관통 구멍(23a)과, 외주에 있어서, 하방에 연장 설치된 통 형상의 소켓(23b)과, 상하 방향을 따라서 설치된 포트(23c)를 구비한다. 케이스 부재(22)의 선단에 덮개 부재(23)의 소켓(23b)이 끼워 맞춰짐으로써, 중공부(22a)가 폐쇄되어, 케이스 부재(22)의 내부에 압력실(25)이 형성된다.
볼트 삽입 관통 구멍(23a)에는, 선단에 나사부(26a)를 구비한 볼트(26)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볼트(26)의 축부(26b)의 외주에는, 덮개 부재(23)의 상면에 적재된 디스크 형상의 체크 밸브(27)가 장착된다. 체크 밸브(27)는, 볼트(26)와, 나사부(26a)에 나사 장착되는 너트(28)에 의해, 덮개 부재(23)에 고정되고, 덮개 부재(23)에 형성된 포트(23c)를 개폐한다. 볼트(26)에는, 축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통로(26c)가 설치되어 있고, 통로(26c)에 의해 압력실(25)은 압축측실(R2)에 연통한다.
케이스 부재(22)의 중공부(22a) 내에는, 프리 피스톤(5)이 수용된다. 압력실(25) 내는, 프리 피스톤(5)이 삽입됨으로써, 소실(15), 대실(16) 및 외주실(17)로 구획된다. 소실(15)은, 케이스 부재(22)에 설치된 통로(22d)를 통해서 리저버(R)에 연통한다. 대실(16)은, 볼트(26)에 설치된 통로(26c)를 통해서 압축측실(R2)에 연통한다. 외주실(17)은, 관통 구멍(22c)을 통해서 배출 통로(7)에 연통한다. 단차부(25c)에 개구하는 관통 구멍(22c)은, 프리 피스톤(5)이 단차부(25c)에 완전히 밀착될 때까지는 외주실(17)과 배출 통로(7)의 연통을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22)에 덮개 부재(23)를 끼워 맞춰서 일체화하면, 포트(23c)는, 통로(22e)를 통해서 리저버(R)에 연통한다. 포트(23c)를 개폐하는 체크 밸브(27)는, 완충 장치(D1)의 신장 작동 시에 압축측실(R2) 내의 압력이 감압되면 외주측이 휘어서 밸브 개방되고, 포트(23c) 및 통로(22e)를 통해서 리저버(R)와 압축측실(R2)을 연통한다. 체크 밸브(27)는, 포트(23c) 및 통로(22e)와 함께 흡입 통로(3)를 구성한다.
도 3에 도시된 완충 장치(D1)에서는, 보텀 부재(11)에 끼워 맞추는 실린더(1)의 하단부는, 덮개 부재(23)의 소켓(23b)의 상단부에 접촉하고 있다. 이로 인해, 외통(10)의 코오킹부(10a)와 외통(10)의 저부(10b)가, 케이스 부재(22), 덮개 부재(23) 및 실린더(1)를 끼워 넣으면, 축력에 의해 케이스 부재(22)와 덮개 부재(23)는 서로 가압되므로, 양자는 분리되지 않고 일체화된다. 밸브 블록(13)이 고정되는 외통(10)과 중간통(9) 중, 중간통(9)은, 로드 가이드(8)와 보텀 부재(11)로 상하로부터 끼워넣지 않아, 로드 가이드(8) 및 보텀 부재(11)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된다. 중간통(9)의 상하 방향 이동을 허용함으로써, 밸브 블록(13)의 설치 위치에 어느 정도의 오차가 발생해도 완충 장치(D1)를 조립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완충 장치(D1)에서는, 신장측실(R1)과 배출 통로(7)는, 로드 가이드(8)에 설치된 절결(8a)을 통해서 연통하고 있다. 이것 대신에, 양자를 연통하는 구멍을 실린더(1)에 설치해도 된다.
덮개 부재(23)와 케이스 부재(22)가 끼워 맞춰지는 부위에 시일링(29)을 장착해 두면, 덮개 부재(23)와 케이스 부재(22)의 사이가 시일되어, 배출 통로(7)와 대실(16)이 직접 연통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텀 부재(11)를 구성함으로써, 보텀 부재(11)를 구성하는 각 부재는, 완충 장치(D1)에 무리없이 내장된다.
도 4에 도시한 완충 장치(D1)에서는, 덮개 부재(23)는, 케이스 부재(22)의 통 형상의 선단부의 내주에 압입되는 환상 홈(23d)을 구비한다. 이 환상 홈(23d)에는, 덮개 부재(23)에 형성되는 포트(23c)가 개구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22)의 선단부의 내주에 환상 홈(23d)의 내주측의 벽이 간극없이 압입된다. 따라서, 대실(16)과 흡입 통로(3)의 연통이 저지되어, 안정된 감쇠력 저감 효과가 발생한다. 시일링(29)은, 덮개 부재(23)의 소켓(23b)측에 장착되고, 케이스 부재(22)의 선단 외주에 밀착해도 된다. 이것 대신에, 시일링(29)은, 케이스 부재(22)의 통 형상의 선단부의 외주에 장착되고, 소켓(23b)의 내주에 밀착해도 된다.
도 5에 도시한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완충 장치(D2)에 의하면, 외주실(17)을 리저버(R)에 연통하고, 신장측 통로(30)를 통해서 소실(15)을 신장측실(R1)에 연통하도록 해도 된다. 도 5에 도시한 완충 장치(D2)는, 완충 장치(D1)에 대하여, 소실(15)을 신장측 압력실로서 기능시키기 위해서, 오리피스를 구비한 신장측 통로(30)를 통해서 소실(15)을 신장측실(R1)에 연통하고, 그 대신에 외주실(17)을 리저버(R)에 연통하는 점만이 상이하다. 그 밖에는 완충 장치(D1)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이한 부분 이외의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완충 장치(D2)에서는, 보텀 부재(11) 내에 설치된 소실(15)이 신장측 통로(30), 실린더(1)에 설치된 관통 구멍(1b) 및 배출 통로(7)를 통해서 신장측실(R1)에 연통된다. 외주실(17)은, 통로(31)를 통해서 리저버(R)에 연통되어 있다. 대실(16)은, 완충 장치(D1)와 마찬가지로, 압축측 통로(19)를 통해서 압축측실(R2)에 연통한다.
이 경우도, 프리 피스톤(5)을 미끄럼 이동 방향의 한쪽(도 5에서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프리 피스톤(5)에 압축측실 유래의 압력을 작용시킴과 함께, 프리 피스톤(5)을 미끄럼 이동 방향의 다른 쪽(도 5에서 상방)으로 가압하도록 프리 피스톤(5)에 신장측실 유래의 압력을 작용시키고 있다. 프리 피스톤(5)의 압축측실 유래 압력이 작용하는 압축측 수압 면적(A2)은, 프리 피스톤(5)의 신장측실 유래 압력이 작용하는 신장측 수압 면적(B2)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프리 피스톤(5)을 미끄럼 이동 방향의 다른 쪽으로 압박하도록 신장측실 유래 압력이 작용하는 신장측 수압 면적(B2) 이외의 면적인 다른 수압 면적(C2), 즉, 프리 피스톤(5)의 외주실(17)에 면하는 면에는, 리저버(R)에서 유래된 압력을 작용한다. 따라서, 완충 장치(D2)에서는, 소실(15)이 신장측 압력실로서 기능하고, 대실(16)이 압축측 압력실로서 기능하고 있다.
완충 장치(D2)에서는, 압력실(14)이 프리 피스톤(5)에 의해 신장측 압력실로서의 소실(15)과, 압축측 압력실로서의 대실(16)로 구획되어 있다. 프리 피스톤(5)이 이동하면 소실(15)과 대실(16)의 용적이 변화한다.
완충 장치(D2)가 신장 작동할 경우, 피스톤(2)이 상방으로 이동하므로, 압축되는 신장측실(R1)로부터는 액체가 감쇠력 가변 밸브(V)를 통해서 리저버(R)에 배출되고, 확대되는 압축측실(R2)에는 흡입 통로(3)를 통해서 리저버(R)로부터 액체가 공급된다. 따라서, 신장측실(R1) 내의 압력은 상승하고, 압축측실(R2) 내의 압력은 리저버(R) 내와 거의 동등해진다.
대실(16)은, 압축측 통로(19)를 통해서 압축측실(R2)에 연통되어 있으므로, 압축측실(R2) 내의 압력이 전반하고, 대실(16) 내의 압력은 압축측실(R2)에서 유래된 압력이 되므로, 리저버(R) 내와 거의 동등한 압력으로 된다. 외주실(17)도 리저버(R)에 연통되어 있으므로 외주실(17) 내의 압력도 리저버(R) 내와 거의 동등한 압력으로 된다. 한편, 소실(15)은, 신장측실(R1)에 연통되어 있으므로, 소실(15) 내에는, 신장측실(R1)에서 유래된 압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완충 장치(D2)가 신장 작동할 경우, 프리 피스톤(5)의 압축측 수압 면적(A2)과 다른 수압 면적(C2)에는 리저버(R)의 압력에 거의 동등한 압력이 작용하고, 신장측 수압 면적(B2)에는 리저버(R)의 압력보다도 높은 신장측실(R1)에서 유래되는 압력이 작용한다. 이로 인해, 이 경우, 프리 피스톤(5)은, 상방측으로 밀려 이동한다. 프리 피스톤(5)이 상방으로 이동하면, 프리 피스톤(5)의 이동량에 따라서 소실(15)에 액체가 유입되고, 대실(16)로부터 압축측실(R2)에 액체가 배출된다. 이와 같이, 압력실(14)은 외관상의 유로로서 기능하여, 액체가 신장측실(R1)로부터 압축측실(R2)에 감쇠력 가변 밸브(V)를 우회해서 이동한다. 소실(15)과 신장측실(R1)은 오리피스를 구비한 신장측 통로(30)를 통해서 연통되어 있으므로, 프리 피스톤(5)의 급준한 변위가 억제된다.
한편, 완충 장치(D2)가 수축 작동할 경우, 피스톤(2)이 하방으로 이동하므로, 정류 통로(4)에 의해, 압축되는 압축측실(R2)과 확대되는 신장측실(R1)이 연통 상태가 되어, 실린더(1) 내로부터 액체가 감쇠력 가변 밸브(V)를 통해서 리저버(R)에 배출된다. 따라서, 신장측실(R1) 내 및 압축측실(R2) 내의 압력은, 거의 동등하게 함께 상승한다.
대실(16)은, 압축측 통로(19)를 통해서 압축측실(R2)에 연통되어 있으므로, 압축측실(R2) 내의 압력이 전반하고, 대실(16) 내의 압력은 압축측실(R2)에서 유래된 압력으로 된다. 이 때, 압축측실(R2)은 신장측실(R1)과 연통 상태에 있으므로, 대실(16) 내의 압력은, 신장측실(R1) 내와 거의 동등한 압력으로 된다. 한편, 소실(15)은 신장측 통로(30)를 통해서 신장측실(R1)에 연통하고 있으므로, 소실(15) 내에는, 신장측실(R1)에서 유래된 압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완충 장치(D2)가 수축 작동할 경우, 프리 피스톤(5)의 압축측 수압 면적(A2)과 신장측 수압 면적(B2)에는 신장측실(R1)의 압력에 거의 동등한 압력이 작용하고, 다른 수압 면적(C2)에는 리저버(R)의 압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이 경우, 프리 피스톤(5)은, 하방측으로 밀려 이동한다. 프리 피스톤(5)이 하방으로 이동하면, 소실(15)로부터 배출 통로(7)에 액체가 배출되는 한편, 대실(16)에 압축측실(R2)로부터 액체가 유입되고, 외주실(17)로부터 액체가 리저버(R)에 배출된다. 따라서, 이 경우, 대실(16)의 용적 확대량에서 소실(15)의 용적 감소량을 뺀 양의 액체, 즉, 외주실(17)의 용적 감소량에 상당하는 양의 액체가 리저버(R)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압력실(14)은 외관상의 유로로서 기능하여, 액체가 실린더(1) 내로부터 리저버(R)에 감쇠력 가변 밸브(V)를 우회하여 이동한다.
완충 장치(D2)에 있어서도, 프리 피스톤(5)을 미끄럼 이동 방향의 한쪽(도 5에서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프리 피스톤(5)에 압축측실 유래의 압력을 작용시킴과 함께, 프리 피스톤(5)을 미끄럼 이동 방향의 다른 쪽(도 5에서 상방)으로 가압하도록 프리 피스톤(5)에 신장측실 유래의 압력을 작용시키고 있다. 프리 피스톤(5)의 압축측실 유래 압력이 작용하는 압축측 수압 면적(A2)은, 프리 피스톤(5)의 신장측실 유래 압력이 작용하는 신장측 수압 면적(B2)보다도 크게 설정된다. 따라서, 유니 플로우형으로 설정되어 수축 작동 시에는 신장측실(R1)과 압축측실(R2)이 구조상 등압으로 되는 완충 장치임에도 불구하고, 프리 피스톤(5)을 작동시켜서 압력실(14)을 외관상의 유로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완충 장치(D2)에 있어서도, 감쇠력의 변화를 완충 장치(D2)의 신축 시에 있어서의 진폭 크기에 의존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완충 장치(D2)에 있어서도, 완충 장치(D1)와 마찬가지로, 차량의 차체(스프링 상부재)의 공진 주파수대에 있는 저주파 진동의 입력에 대해서는 높은 감쇠력을 발생한다. 따라서, 차체(스프링 상부재)의 자세를 안정시켜서, 차량 선회 시에 탑승자에게 불안을 느끼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차륜(스프링 하부재)의 공진 주파수대에 있는 고주파 진동이 입력되면, 완충 장치(D2)는, 낮은 감쇠력을 발생시켜서 차륜측(스프링 하부재측)의 진동이 차체측(스프링 상부재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에서의 승차감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완충 장치(D2)는, 감쇠력 가변 밸브(V)가 액체의 흐름에 부여하는 저항을 조정함으로써, 감쇠력을 조절할 수 있다. 완충 장치(D2)에 있어서도, 감쇠력 가변 밸브(V)에 의한 감쇠력 조정을 행하면서, 고주파수의 진동에 대해서는, 감쇠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완충 장치(D2)에 의하면, 비교적 낮은 주파수대의 진동에 대해서는, 감쇠력 가변 밸브(V)의 컨트롤에 의해 감쇠력 조정함으로써 차체 진동을 제진할 수 있다. 또한, 감쇠력 가변 밸브(V)의 컨트롤에 의해서는 억제할 수 없는 고주파 진동에 대해서는 기계적으로 저감쇠력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차륜측으로부터의 진동을 절연하여 차체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차량에서의 승차감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완충 장치(D2)에서는, 소실(15)을 신장측실(R1)에 연통하는 신장측 통로(30)에 오리피스를 설치하고 있다. 이것 대신에, 또는, 이것 외에, 압축측 통로(19) 및 통로(31)의 한쪽 또는 양쪽에 오리피스를 설치해도 된다. 또한, 모든 통로(19, 30, 31)에 오리피스를 설치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한, 통로(19, 30, 31)에, 오리피스가 아니고 교축 밸브가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외주실(17)을 리저버(R)에 연통하는 구성 대신에, 외주실(17)을 완충 장치(D2)의 외부에 연통하여 대기 개방하도록 해도 된다. 그렇게 해도, 완충 장치(D2)가 신장 작동할 경우, 프리 피스톤(5)이 상방측으로 밀려 이동하고, 프리 피스톤(5)의 이동량에 따라서 소실(15)에 액체가 유입되고, 대실(16)로부터 압축측실(R2)에 액체가 배출된다. 이와 같이, 압력실(14)이 외관상의 유로로서 기능하여, 액체가 감쇠력 가변 밸브(V)를 우회하여 신장측실(R1)로부터 압축측실(R2)로 이동한다. 완충 장치(D2)가 수축 작동할 경우에는, 프리 피스톤(5)이 하방측으로 밀려 이동하고, 외주실(17)과 대실(16)의 합계 용적이 확대됨과 함께, 감쇠력 가변 밸브(V)를 통과하는 액체량이 감소한다. 완충 장치(D2)는, 외주실(17)을 리저버(R)에 연통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고주파 진동에 대하여 감쇠력을 저감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외주실(17)이 대기 개방되거나 기체실인 경우, 외주실(17)을 리저버(R)에 연통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압력실(14)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피스톤 로드(21)에 고정하거나, 피스톤 로드(21) 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외주실(17)이 리저버(R)에 연통할 경우, 압력실(14)을 완전히 완충 장치(D2) 내에 수용함과 함께, 외주실(17)로부터 소실(15) 또는 대실(16)에의 기체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완충 장치(D2)에 대해서, 보텀 부재(11)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했지만, 보텀 부재(11)는,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리 피스톤(5)이 삽입되는 중공부(32a)를 구비한 케이스 부재(32)와, 케이스 부재(32)의 중공부(32a)를 폐쇄하는 덮개 부재(33)를 구비해도 된다.
도 6에 있어서, 케이스 부재(32)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이며, 내주에 단차부(32b)를 구비한 중공부(32a)와, 외주에 설치된 환상 홈(32c)과, 환상 홈(32c)으로부터 중공부(32a)에 통하는 신장측 통로(34b)와, 저부로부터 단차부(32b)에 빠져서 중공부(32a)에 통하는 통과 구멍(35)과, 하단부 외주에 설치된 나사부(32d)를 구비한다. 중공부(32a)는, 덮개 부재(33)에 의해 폐쇄되어 압력실(36)을 형성한다. 중공부(32a)의 단차부(32b)보다 저부측은 작은 직경을 갖고 압력실(36)에서의 소단면적부(36a)를 형성하고 있다. 단차부(32b)보다 상방의 기단부측은 소단면적부(36a)보다도 큰 직경을 갖는 대단면적부(36b)를 형성하고 있다. 신장측 통로(34)는 소단면적부(36a)에 연통하고 있고, 통과 구멍(35)은 대단면적부(36b)에 연통하고 있다. 신장측 통로(34)는, 프리 피스톤(5)이 소실(15)을 최대한으로 압축해도 폐쇄되지 않도록, 중공부(32a)의 저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세로 구멍(34a)과, 세로 구멍(34a)과 환상 홈(32c)을 연통해서 오리피스로서 기능하는 가로 구멍(34b)을 구비하고 있다.
덮개 부재(33)는, 정상이 있는 통 형상으로 되어 있고, 포트(33c)와, 볼트 삽입 관통 구멍(33d)과, 나사부(33e)와, 3개의 단차부(33f, 33g, 33h)와, 관통 구멍(33i)을 구비한다. 포트(33c)는, 통부(33a)의 하단부로부터 정상부(33b)의 상단부에 빠진다. 볼트 삽입 관통 구멍(33d)은, 정상부(33b)의 중앙에 상하 방향을 따라서 설치된다. 나사부(33e)는, 통부(33a)의 내주에 설치된다. 3개의 단차부(33f, 33g, 33h)는, 통부(33a)의 외주에 설치된다. 관통 구멍(33i)은, 통부(33a)의 상방으로부터 첫번째의 단차부(33f)와 두번째의 단차부(33g)의 사이에 개구되어 내부에 통한다. 통부(33a)의 하단부에는 절결(33j)이 설치되어 있고, 통부(33a)의 내외가 연통되어 있다.
덮개 부재(33)의 통부(33a)에서의 상방으로부터 첫번째의 단차부(33f)는, 실린더(1)의 하단부에 접촉하고 있고, 단차부(33f)보다 상방측의 통부(33a)의 외주에 실린더(1)가 끼워 맞춰져 있다. 상방으로부터 두번째의 단차부(33g)와 세번째의 단차부(33h)의 사이의 통부(33a)의 외주에는 중간통(9)이 끼워 맞춰져 있다. 상방으로부터 첫번째의 단차부(33f)와 두번째의 단차부의 사이의 통부(33a)의 외주와 중간통(9)의 사이에는 배출 통로(7)를 형성하는 환상 간극이 설치되어 있다. 중간통(9)이 끼워 맞춰지는 통부(33a)의 외주에는 시일링(37)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배출 통로(7)와 리저버(R)가 덮개 부재(33)와 중간통(9)의 사이의 간극을 통해서 연통하는 것이 방지된다. 덮개 부재(33)의 통부(33a) 내에 케이스 부재(32)를 삽입하여 나사부(32d)를 나사부(33e)에 나사 장착하면, 덮개 부재(33)에 케이스 부재(32)가 고정됨과 함께 중공부(32a)가 폐쇄되어 압력실(36)이 형성된다.
볼트 삽입 관통 구멍(33d)에는, 선단에 나사부(38a)를 구비한 볼트(38)가 삽입 관통된다. 볼트(38)의 축부(38b)의 외주에는, 디스크 형상의 체크 밸브(39)가 장착된다. 체크 밸브(39)는, 볼트(38)와 나사부(38a)에 나사 장착되는 너트(40)에 의해, 덮개 부재(33)에 고정되고, 포트(33c)를 개폐한다. 볼트(38)에는, 압력실(36)과 압축측실(R2)을 연통하는 통로(38c)가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성형된다.
케이스 부재(32)의 중공부(32a) 내에는, 프리 피스톤(5)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압력실(36) 내는 프리 피스톤(5)에 의해, 소실(15), 대실(16) 및 외주실(17)로 구획된다. 소실(15)은, 신장측 통로(34), 관통 구멍(33i) 및 배출 통로(7)를 통해서 신장측실(R1)에 연통한다. 대실(16)은, 볼트(38)에 설치된 통로(38c)를 통해서 압축측실(R2)에 연통한다. 외주실(17)은, 통과 구멍(35) 및 절결(33j)을 통해서 리저버(R)에 연통한다. 단차부(32b)에 개구하는 통과 구멍(35)은, 프리 피스톤(5)이 단차부(32b)에 완전히 밀착될 때까지는 외주실(17)과 리저버(R)의 연통이 끊어지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덮개 부재(33)에 설치된 포트(33c)는, 절결(33j)을 통해서 리저버(R)에 연통한다. 포트(33c)를 개폐하는 체크 밸브(39)는, 완충 장치(D2)의 신장 작동 시에 압축측실(R2) 내의 압력이 감압되면 외주측이 휘어서 밸브 개방되고, 포트(33c)를 통해서 리저버(R)와 압축측실(R2)을 연통한다. 체크 밸브(39)는, 포트(33c)와 함께 흡입 통로(3)를 구성한다.
실린더(1)의 하단부는, 덮개 부재(33)의 단차부(33f)의 상단부에 접촉하고 있다. 이로 인해, 외통(10)의 코오킹부(10a)와 저부(10b)에 의해, 보텀 부재(11) 및 실린더(1)를 끼워 넣으면, 이들을 외통(10)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중간통(9)에는, 완충 장치(D2)에 있어서도 상술한 완충 장치(D1)와 마찬가지로, 로드 가이드(8)와 보텀 부재(11)로 상하로부터 끼우지 않고, 로드 가이드(8) 및 보텀 부재(11)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설치된다.
도 6에 도시된 완충 장치(D2)에 있어서, 보텀 부재(11)를 구성하는 각 부재는, 완충 장치(D2)에 무리없이 내장된다. 완충 장치(D2)에 있어서는, 하방에 배치되는 소실(15)과, 소실(15)의 하단부보다도 상방측에 배치되는 배출 통로(7)를 연통할 필요가 있고, 또한 신장측 통로(34)가 프리 피스톤(5)에 의해 폐쇄되지 않도록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신장측 통로(34), 환상 홈(32c) 및 관통 구멍(33i)에 의해 복잡한 통로를 형성해야 한다. 이것 대신에, 완충 장치(D1)와 같이 소실(15)보다도 상방측에 배치되는 외주실(17)을 배출 통로(7)에 연통하는 구성을 채용하면, 통로 형상은 간소화할 수 있다.
완충 장치(D1, D2)에 있어서, 압력실(14, 25, 36)은, 프리 피스톤(5)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 대신에, 프리 피스톤(5)이 상하 방향이 아니고, 가로 방향이나 비스듬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압력실(14, 25, 36)을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프리 피스톤(5)은, 완충 장치(D1, D2)에 입력되는 상하 방향의 진동 영향을 받기 어려워진다. 압력실(14, 25, 36)을 프리 피스톤(5)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한 경우, 프리 피스톤(5)의 스트로크량을 확보하기 쉬워, 대형의 프리 피스톤(5)을 채용할 수도 있다.
완충 장치(D1, D2)에서는, 프리 피스톤(5)이 압력실(14, 25, 36)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프리 피스톤(5)이 스트로크 엔드까지 변위되면 보텀 부재(11)에 충돌하여 타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액압 쿠션 기구(L)가, 프리 피스톤(5)과 보텀 부재(11)가 급격하게 충돌하는 것을 방지해도 된다.
액압 쿠션 기구(L)는, 완충 장치(D1)에 설치될 경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리 피스톤(5)의 변위에 따라서 유로 면적(유로 단면적)이 변화하는 가변 스로틀 밸브이면 되며, 신장측 통로(20)에 설치되어도 된다. 액압 쿠션 기구(L)로서 기능하는 가변 스로틀 밸브는, 프리 피스톤(5)이 중립 위치로부터 변위된 만큼 유로 면적을 감소시켜도 된다. 가변 스로틀 밸브는, 유로 면적에 하한을 설정해서 유로 면적을 하한 이하에 감소시켜도 된다. 가변 스로틀 밸브가 유로 면적을 감소시키기 시작하는 프리 피스톤(5)의 변위량인 소정량을 프리 피스톤(5)이 스트로크 엔드에 도달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소정량을 0으로 설정하여, 가변 스로틀 밸브는, 프리 피스톤(5)이 중립 위치로부터 조금이라도 변위되면 즉시 유로 면적을 감소시켜도 된다. 가변 스로틀 밸브가 유로 면적을 감소시키기 시작하는 프리 피스톤(5)의 변위량은, 프리 피스톤(5)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상이한 설정이 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액압 쿠션 기구(L)로서의 가변 스로틀 밸브가 설치된다. 완충 장치(D1)가 신축 작동하여, 프리 피스톤(5)이 중립 위치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소정량 이상 변위되면, 가변 스로틀 밸브의 유로 면적이 감소하므로, 외주실(17) 내로부터 액체가 배출되기 어려워져, 프리 피스톤(5)의 이동 속도가 감속된다. 이 결과, 프리 피스톤(5)과 보텀 부재(11)가 급격하게 충돌하는 것이 저지되어, 양자가 접촉할 때의 타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가변 스로틀 밸브로 이루어지는 액압 쿠션 기구(L)는, 완충 장치(D1)에 있어서, 통로(18)나 압축측 통로(19)의 도중에 설치되어도 된다. 가변 스로틀 밸브로 이루어지는 액압 쿠션 기구(L)는, 완충 장치(D2)에 있어서, 신장측 통로(30), 압축측 통로(19) 및 통로(31) 중 임의의 통로의 도중에 설치되어도 된다.
액압 쿠션 기구(L)를 완충 장치(D1)에 설치한 예를 도 8에 도시하였다. 액압 쿠션 기구(L)는, 환상 홈(5e)과, 구멍(5f)과, 오리피스 통로(22f)를 구비한다. 환상 홈(5e)은, 프리 피스톤(5)의 대피스톤부(5b)의 외주에 설치된다. 구멍(5f)은, 단차부(5c)에 개구되어 환상 홈(5e)에 통한다. 오리피스 통로(22f)는, 케이스 부재(22)에 설치되어 배출 통로(7)와 대단면적부(25b)를 연통한다. 환상 홈(5e)과 오리피스 통로(22f)의 개구는, 프리 피스톤(5)이 압력실(25) 내에서 중립 위치에 있을 때, 대향하는 위치에 있다. 프리 피스톤(5)이 중립 위치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변위되어 중립 위치로부터 소정량 이상 변위되면, 환상 홈(5e)과 오리피스 통로(22f)의 오버랩 면적이 감소한다. 환상 홈(5e)이 오리피스 통로(22f)에 대향하지 않게 되면, 오리피스 통로(22f)는 대피스톤부(5b)에 의해 폐쇄된다. 이와 같이, 액압 쿠션 기구(L)는, 프리 피스톤(5)의 변위에 따라 오리피스 통로(22f)의 유로 면적을 변화시키고 있다. 프리 피스톤(5)과 케이스 부재(22)로 액압 쿠션 기구(L)로서의 가변 스로틀 밸브를 구성하고 있다. 프리 피스톤(5)이 중립 위치로부터 소정량 이상 변위되면, 오리피스 통로(22f)가 폐쇄되어 관통 구멍(22c)만이 유효해지고, 외주실(17)과 배출 통로(7)가 연통하는 통로의 유로 면적이 감소하여, 프리 피스톤(5)의 스트로크 엔드측에의 이동 속도가 감속된다. 이 결과, 프리 피스톤(5)과 보텀 부재(11)가 급격하게 충돌하는 것이 저지되어, 양자가 접촉할 때의 타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액압 쿠션 기구(L)를 프리 피스톤(5)과 케이스 부재(22)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부품 개수를 늘리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 가변 스로틀 밸브를 신장측 통로에 설치할 수 있다.
액압 쿠션 기구(L1)를 완충 장치(D2)에 설치한 예를 도 9에 도시하였다. 액압 쿠션 기구(L1)는, 신장측 통로(34)와는 별도로 케이스 부재(32)에 형성되고, 오리피스 통로(50)와, 환상 홈(5g)과, 구멍(5h)을 구비한다. 오리피스 통로(50)는, 배출 통로(7)와 소단면적부(36a)를 연통한다. 환상 홈(5g)은, 프리 피스톤(5)의 소피스톤부(5b)의 외주에 형성된다. 구멍(5h)은, 소피스톤부(5b)에 형성되어 소실(15)과 환상 홈(5g)을 연통한다. 환상 홈(5g)과 오리피스 통로(50)의 개구는, 프리 피스톤(5)이 압력실(36) 내에서 중립 위치에 있을 때, 대향하는 위치에 있다. 프리 피스톤(5)이 중립 위치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변위되어 중립 위치로부터 소정량 이상 변위되면, 환상 홈(5g)과 오리피스 통로(50)의 오버랩 면적이 감소한다. 환상 홈(5g)이 오리피스 통로(50)에 대향하지 않게 되면 오리피스 통로(50)는 소피스톤부(5a)에 의해 폐쇄된다. 이와 같이, 액압 쿠션 기구(L1)는, 프리 피스톤(5)의 변위에 따라 오리피스 통로(50)의 유로 면적을 변화시키고 있다. 프리 피스톤(5)과 케이스 부재(32)로 액압 쿠션 기구(L1)로서의 가변 스로틀 밸브를 구성하고 있다. 프리 피스톤(5)이 중립 위치로부터 소정량 이상 변위되면, 오리피스 통로(50)가 폐쇄되어 신장측 통로(34)만이 유효해지고, 소실(15)과 배출 통로(7)가 연통하는 통로의 유로 면적이 감소하여, 프리 피스톤(5)의 스트로크 엔드측에의 이동 속도가 감속된다. 이 결과, 프리 피스톤(5)과 보텀 부재(11)가 급격하게 충돌하는 것이 저지되어, 양자가 접촉할 때의 타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액압 쿠션 기구(L, L1)를 설치할 때, 프리 피스톤(5)의 중립 위치는 임의의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오리피스 통로(22f, 50)를 폐쇄하기 시작하는 프리 피스톤(5)의 중립 위치로부터의 변위량도 마찬가지로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충 장치(D2)에 신장측 통로 제한 수단과 압축측 통로 제한 수단으로 구성하는 액압 쿠션 기구(L2)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대실(16)은, 볼트(53)에 설치된 통로(53a)를 통해서 압축측실(R2)에 연통되어 있고, 이 통로(53a)가 압축측 통로로서 기능하고 있다. 소실(15)은, 압력실(36)의 하단부에서 개구하는 세로 구멍(54)과, 세로 구멍(54)과 연통하는 가로 구멍(55)과, 케이스 부재(32)의 외주에 설치된 환상 홈(32c)을 통해서 신장측실(R1)에 연통된다. 이 경우, 가로 구멍(55)에는 오리피스가 설치되지 않는다. 프리 피스톤(5)의 상단부에는 막대 형상의 압축측 플런저(51)가 설치되고, 하단부에는 막대 형상의 신장측 플런저(52)가 설치된다. 압축측 플런저(51) 및 신장측 플런저(52)는, 선단을 향해서 단면적이 감소하는 원뿔대 형상이어도 좋다.
프리 피스톤(5)이 중립 위치로부터 대실(16)을 압축하는 방향인 상측 방향으로 변위되면, 압축측 플런저(51)가 통로(53a) 내에 침입하여, 압축측 통로인 통로(53a)에서의 유로 면적을 감소시킨다. 한편, 프리 피스톤(5)이 중립 위치로부터 소실(15)을 압축하는 방향인 하측 방향으로 변위되면, 신장측 플런저(52)가 세로 구멍(54) 내에 침입하여, 신장측 통로에서의 유로 면적을 감소시킨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압축측 통로 제한 수단(51)은 압축측 플런저(51)에 의해 구성되고, 신장측 통로 제한 수단은 신장측 플런저(52)에 의해 구성된다.
압축측 통로의 유로 면적이 감소하면 액체의 통과에 대한 저항이 커지므로, 프리 피스톤(5)의 이동 속도는 저하된다. 신장측 통로의 유로 면적이 감소하면 액체의 통과에 대한 저항이 커지므로, 프리 피스톤(5)의 이동 속도는 저하된다. 압축측 플런저(51)가 통로(53a) 내에 침입하기 시작하는 프리 피스톤(5)의 제1 위치는, 통로(53a) 또는 압축측 플런저(51)의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신장측 플런저(52)가 세로 구멍(54) 내에 침입하기 시작하는 프리 피스톤(5)의 제2 위치는, 신장측 플런저(52)의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프리 피스톤(5)의 중립 위치부터 제1 위치까지의 거리는, 프리 피스톤(5)의 중립 위치부터 제2 위치까지의 거리와 상이해도 된다. 이와 같이, 액압 쿠션 기구(L3)를 구비한 완충 장치(D2)에 있어서도, 프리 피스톤(5)이 중립 위치로부터 소정량 이상 변위되면, 프리 피스톤(5)의 이동 속도가 감속된다. 이 결과, 프리 피스톤(5)과 하우징인 보텀 부재(11)가 급격하게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프리 피스톤(5)과 보텀 부재(11)의 충돌에 의한 타음이 저감되어 차량 탑승자에게 위화감이나 불안감을 주지 않는다. 또한, 프리 피스톤(5)이 급정지되지 않으므로, 감쇠력 저감 효과가 급격하게 소실되어 완충 장치(D2)가 발생하는 감쇠력이 급변하는 사태도 발생하지 않는다. 압축측 통로 제한 수단과 신장측 통로 제한 수단은, 어느 한쪽에서 액압 쿠션 기구(L2)를 구성할 수도 있다. 액압 쿠션 기구(L2)는, 상술한 액압 쿠션 기구(L1)와 병용할 수도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측 플런저(51)가 통로(53a)의 개구단부를 완전히 폐쇄하도록 설정되는 경우에는, 볼트(53)의 측방으로부터 통로(53a)에 연통하는 오리피스 구멍(53b)을 설치해도 된다.
도 12에 도시한 완충 장치(D2)는, 압축측 통로 제한 수단이 압축측 플런저(51) 대신에, 덮개 부재(33)에 설치한 대실(16)에 면하는 환상 벽(56)과, 프리 피스톤(5)의 상단부에 설치된 환상 돌기(57)를 구비한다. 덮개 부재(33)의 환상 벽(56)으로 둘러싸인 부분에는, 통로(58a)가 설치된 중공 볼트(58)가 나사 장착되어 있다. 중공 볼트(58) 내의 통로(58a)를 통해서 대실(16)과 압축측실(R2)이 연통하고 있다. 중공 볼트(58)에 설치된 통로(58a)가 압축측 통로를 형성하고 있다. 환상 벽(56)에는, 환상 벽(56)의 외주측과 내주측을 연통하는 오리피스 구멍(56a)이 형성되어 있다. 환상 돌기(57)의 내경은, 환상 벽(56)의 외주가 환상 돌기(57) 내에 침입 가능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환상 돌기(57)의 높이는, 환상 돌기(57) 내에 환상 벽(56)이 침입해서 환상 벽(56)의 선단이 프리 피스톤(5)에 접촉해도 오리피스 구멍(56a)이 환상 돌기(57)에 의해 폐쇄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프리 피스톤(5)이 중립 위치로부터 대실(16)을 압축하는 방향인 상측 방향으로 변위되면, 환상 벽(56)이 환상 돌기(57)의 내측에 침입하여, 압축측 통로에서의 유로 면적이 감소된다. 이 경우도, 프리 피스톤(5)이 중립 위치로부터 소정량 이상 변위되면, 액체의 통과에 대한 저항이 커지므로, 프리 피스톤(5)의 이동 속도가 감속된다. 이 결과, 프리 피스톤(5)과 하우징인 보텀 부재(11)가 급격하게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프리 피스톤(5)과 보텀 부재(11)의 충돌에 의한 타음이 저감된다. 환상 벽(56)이 환상 돌기(57) 내에 침입하기 시작하는 프리 피스톤(5)의 위치는, 환상 벽(56) 또는 환상 돌기(57)의 높이를 변경함으로써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완충 장치(D2)는, 액압 쿠션 기구(L3)으로서 기능하고, 압축측 쿠션실(59)과, 신장측 쿠션실(60)을 구비한다. 압축측 쿠션실(59)은, 프리 피스톤(5)이 중립 위치로부터 대실(16)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소정량 이상 변위되면 프리 피스톤(5)에 의해 폐쇄되어 프리 피스톤(5)의 그 이상의 변위를 억제한다. 신장측 쿠션실(60)은, 프리 피스톤(5)이 중립 위치로부터 소실(15)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소정량 이상 변위되면 프리 피스톤(5)에 의해 폐쇄되어 프리 피스톤(5)의 그 이상의 변위를 억제한다.
구체적으로는, 압축측 쿠션실(59)은, 프리 피스톤(5)의 대피스톤부(5c)의 상단부 외주에 설치된 환상 오목부와, 덮개 부재(33)의 대실(16)에 면하는 단부에 설치되어 대실(16)측에 돌출된 환상 볼록부(61)로 형성된다. 신장측 쿠션실(60)은, 프리 피스톤(5)의 소피스톤부(5a)의 하단 외주에 설치된 환상 오목부와, 케이스 부재(32)의 중공부(32a)의 소단면적부(36a)의 하단 내주에 설치된 환상 볼록부(62)로 형성된다.
환상 볼록부(61)의 내경은, 압축측 쿠션실(59)을 형성하는 환상 오목부 내에 침입 가능한 직경으로 설정되고, 환상 볼록부(62)의 내경은, 신장측 쿠션실(60)을 형성하는 환상 오목부 내에 침입 가능한 직경으로 설정되어 있다.
프리 피스톤(5)이 중립 위치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변위되어 소정량 이상 변위되면, 압축측 쿠션실(59)을 형성하는 환상 오목부 내에 환상 볼록부(61)가 침입하여, 압축측 쿠션실(59)이 폐쇄된다. 프리 피스톤(5)이 더욱 상방으로 이동하려고 해도 압축측 쿠션실(59) 내의 압력이 상승하기 때문에 프리 피스톤(5)의 이동은 제한된다. 프리 피스톤(5)이 중립 위치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변위되어 소정량 이상 변위되면, 신장측 쿠션실(60)을 형성하는 환상 오목부 내에 환상 볼록부(62)가 침입하여, 신장측 쿠션실(60)이 폐쇄된다. 프리 피스톤(5)이 더욱 하방으로 이동하려고 해도 신장측 쿠션실(60) 내의 압력이 상승하기 때문에 프리 피스톤(5)의 이동은 제한된다. 압축측 쿠션실(59)을 형성하는 환상 오목부 내에 환상 볼록부(61)가 침입하기 시작하는 프리 피스톤(5)의 제3 위치는, 압축측 쿠션실(59)을 형성하는 환상 오목부의 길이 또는 환상 볼록부(61)의 위치 및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신장측 쿠션실(60)을 형성하는 환상 오목부 내에 환상 볼록부(62)가 침입하기 시작하는 프리 피스톤(5)의 제4 위치는, 신장측 쿠션실(60)을 형성하는 환상 오목부의 길이 또는 환상 볼록부(62)의 위치 및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프리 피스톤(5)의 중립 위치부터 제3 위치까지의 거리는, 프리 피스톤(5)의 중립 위치부터 제4 위치까지의 거리와 상이해도 된다.
도 13에 도시한 완충 장치(D2)에 있어서도, 프리 피스톤(5)이 중립 위치로부터 소정량 이상 변위되면, 프리 피스톤(5)의 이동 속도가 감속된다. 이 결과, 프리 피스톤(5)과 하우징인 보텀 부재(11)가 급격하게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프리 피스톤(5)과 보텀 부재(11)의 충돌에 의한 타음이 저감되어 차량 탑승자에게 위화감이나 불안감을 주지 않는다. 또한, 프리 피스톤(5)이 급정지되지 않으므로, 감쇠력 저감 효과가 급격하게 소실되어 완충 장치(D2)가 발생하는 감쇠력이 급변하는 사태도 발생하지 않는다. 압축측 쿠션실(59)과 압축측 쿠션실(60) 중 어느 한쪽으로 액압 쿠션 기구를 구성할 수도 있다. 액압 쿠션 기구는, 상술한 액압 쿠션 기구(L, L1, L2)와 병용할 수도 있다.
액압 쿠션 기구는, 완충 장치(D1)의 구조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프리 피스톤(5)의 대피스톤부(5b)의 하단 외주에 설치된 환상 오목부와, 압력 실(25, 36)의 대단면적부(25b, 36b)의 하단 내주에 설치된 환상 볼록부에 의해 신장측 쿠션실(60)을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외주실(17) 내에 신장측 쿠션실(60)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신장측 쿠션실(59) 및 압축측 쿠션실(60)은, 상기한 구조 이외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압축측 쿠션(59)은 프리 피스톤(5)이 상방으로 소정량 이상 변위되면 프리 피스톤(5)에 의해 폐쇄되도록 되어 있으면 충분하다. 신장측 쿠션실(60)은 프리 피스톤(5)이 하방으로 소정량 이상 변위되면 프리 피스톤(5)에 의해 폐쇄되도록 되어 충분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액압을 이용한 쿠션 기구로 프리 피스톤(5)과 보텀 부재(11)의 충돌 시의 타음이 저감된다. 그러나, 상기 실시 형태 대신에 또는 상기 실시 형태 외에, 고무 등의 탄성체로 형성한 쿠션 부재가 설치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리 피스톤(5)의 대실측면인 상단부에 압축측 쿠션(65)이 설치되고, 프리 피스톤(5)의 단차부(5c)에 외주실(17)에 면하는 신장측 쿠션(66)이 설치된다. 이들 압축측 쿠션(65) 및 신장측 쿠션(66)이 쿠션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프리 피스톤(5)과 보텀 부재(11)가 직접 충돌하지 않게 되므로 타소리를 경감시킬 수 있다. 신장측 쿠션(66)은, 프리 피스톤(5)의 소피스톤부(5a)의 하단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압축측 쿠션(65) 및 신장측 쿠션(66)은 모두 보텀 부재(11)측에 설치해도 된다. 압축측 쿠션(65) 및 신장측 쿠션(66)은, 프리 피스톤(5) 또는 보텀 부재(11)에 용착, 융착, 접착 등에 의해 고정된다.
쿠션 부재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리 피스톤(5)을 관통하는 고무 부재인 쿠션 고무(67)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프리 피스톤(5)을 상하로 관통하는 보유 지지 구멍(68)이 설치되고, 이 보유 지지 구멍(68)에 쿠션 고무(67)가 삽입 관통되어 고정된다. 쿠션 고무(67)의 보유 지지 구멍(68)에의 고정 방법은, 접착, 융착이나 압입 등과 같은 다양한 고정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쿠션 고무(67)의 대실측단부인 상단부(67a)는, 반구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대실(16)측에 돌출되어 압축측 쿠션을 구성하고, 쿠션 고무(67)의 소실측단부인 하단부(67b)는, 반구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소실(15)측에 돌출되어 신장측 쿠션을 구성하고 있다. 쿠션 고무(67)에 의해 쿠션 부재를 구성한 경우에서도, 프리 피스톤(5)이 스트로크 엔드 근방까지 변위되면, 쿠션 고무(67)의 상단부(67a) 또는 하단부(67b)가 보텀 부재(11)에 충돌하여, 프리 피스톤(5)의 변위는 억제된다. 따라서, 쿠션 고무(67)를 구비한 완충 장치에 있어서도, 프리 피스톤(5)과 보텀 부재(11)의 타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쿠션 고무(67)는, 보유 지지 구멍(68)을 시일하므로, 보유 지지 구멍(68)이 프리 피스톤(5)을 관통하고 있어도 소실(15)과 대실(16)을 연통해버리는 경우가 없다. 이로 인해, 시일 부재를 별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쿠션 부재를 설치하는 데 있어서, 부품 개수가 적고, 조립공수가 걸리지 않으므로, 설치 비용은 저렴하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텀 부재(11)에 신장측 쿠션(69)과 압축측 쿠션(70)으로 이루어지는 쿠션 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신장측 쿠션(69)은, 케이스 부재(22)의 중공부(22a)의 저부의 상면에 적층되어, 소단면적부(25a)의 하단 내주에 끼워 맞춰지고, 프리 피스톤(5)의 소피스톤부(5a)에 대향해서 배치된 환상의 탄성체이다. 압축측 쿠션(70)은, 케이스 부재(22)의 중공부(22a)의 개구단부에 설치된 환상 오목부(25d) 내에 끼워 맞춰지고, 프리 피스톤(5)의 대피스톤부(5b)의 상단부면에 대향해서 배치된 환상의 탄성체이다.
신장측 쿠션(69)과 압축측 쿠션(70)은, 고무 등의 수지나 합성 수지를 환상으로 해서 형성되는 탄성체이어도 되고, 웨이브 와셔이어도 된다. 또한, 신장측 쿠션(69)과 압축측 쿠션(70) 중 어느 한쪽은 웨이브 와셔이며, 다른 쪽은 고무 등의 수지나 합성 수지를 환상으로 해서 형성되는 탄성체이어도 된다. 또한, 신장측 쿠션(69)과 압축측 쿠션(70)의 단면 형상은 임의적이며, 각링이나 O링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프리 피스톤(5)이 신장측 쿠션(69) 및 압축측 쿠션(70)에 충돌하면 프리 피스톤(5)의 이동은 억제된다. 프리 피스톤(5)의 스트로크 엔드측에의 이동에 의해 쿠션 부재가 압축되면 압축량에 따른 반발력을 발생해서 프리 피스톤(5)의 속도가 서서히 줄어든다. 이 결과, 프리 피스톤(5)과 케이스 부재(22) 또는 덮개 부재(23)의 충돌은 방지된다. 따라서, 신장측 쿠션(69) 및 압축측 쿠션(70)을 구비한 완충 장치(D1)에 있어서도, 프리 피스톤(5)과 보텀 부재(11)의 충돌을 억제하여, 양자의 타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감쇠력의 급변을 방지할 수 있어, 차량에서의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각 쿠션 부재는, 완충 장치(D2)에도 적용 가능하다.
완충 장치(D1, D2)에 있어서는, 단일의 압축측 통로(19)를 통해서 대실(16)과 압축측실(R2)이 연통하는데,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압축측 통로를 설치해도 된다. 도 17에 도시한 완충 장치(D1)는, 압축측 제1 통로(71)와, 압축측 제2 통로(72)와, 제1 밸브(Va)와, 제2 밸브(Vb)를 구비한다. 제1 밸브(Va)는, 압축측 제1 통로(71)에 설치되어 대실(16)로부터 압축측실(R2)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면서 흐름에 저항을 부여한다. 제2 밸브(Vb)는, 압축측 제2 통로(72)에 설치되어 압축측실(R2)로부터 대실(16)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면서 흐름에 저항을 부여한다.
제1 밸브(Va)는, 압축측실(R2)로부터 대실(16)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에 대해서는 밸브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제1 밸브(Va)에 병렬로 오리피스(O1)가 설치되어 있다. 제2 밸브(Vb)는, 대실(16)로부터 압축측실(R2)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에 대해서는 밸브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제2 밸브(Vb)에 병렬로 오리피스(O2)가 설치되어 있다. 대실(16)에는, 완충 장치(D1, D2)와 마찬가지로, 압축측실(R2)에서 유래되는 압력이 작용하고 있으며, 대실(16)은, 압축측실(R2)에 연통되는 압축측 압력실로서 기능하고 있다.
완충 장치(D1)가 신장 작동할 경우, 외주실(17) 내의 압력 상승에 의해 프리 피스톤(5)이 상방으로 가압되면, 제1 밸브(Va)가 밸브 개방하여 대실(16)과 압축측실(R2)이 연통한다. 이 때, 대실(16) 내의 압력은 압축측실(R2)의 압력을 기준으로, 제1 밸브(Va)에서의 압력 손실에 대응하는 양만큼 압축측실(R2) 내의 압력보다도 높아진다. 따라서, 완충 장치(D1)가 신장 작동할 경우, 프리 피스톤(5)의 대피스톤부(5b)의 상면(압축측 수압 면적(A1))에는 제1 밸브(Va)의 압력 손실에 대응하는 양만큼 리저버(R)의 압력보다도 높은 압력이 작용하고, 소피스톤부(5a)의 하면(수압 면적(C1))에는 리저버(R)의 압력에 거의 동등한 압력이 작용한다. 또한, 이 경우, 단차부(5c)(신장측 수압 면적(B1))에는 신장측실(R1)에서 유래되는 높은 압력이 작용하므로, 프리 피스톤(5)은, 상방측으로 밀려 이동한다. 프리 피스톤(5)이 이동하면, 프리 피스톤(5)의 이동량에 따라서 외주실(17)에 액체가 유입되어, 대실(16)로부터 압축측실(R2)에 액체가 배출된다. 따라서, 압력실(14)이 외관상의 유로로서 기능하고, 액체는 신장측실(R1)로부터 압축측실(R2)에 감쇠력 가변 밸브(V)를 우회하여 이동한다. 프리 피스톤(5)의 이동 속도가 빨라지면, 그에 따라 제1 밸브(Va)가 압축측 제1 통로(71)를 크게 개방하므로, 대실(16)과 압축측실(R2)을 오리피스(O1, O2)만으로 연통한 경우에 비하여 프리 피스톤(5)의 이동 속도에 대한 대실(16) 내의 압력 상승 정도는 낮아진다.
반대로, 완충 장치(D1)가 수축 작동할 경우, 외주실(17)은, 신장측 통로(201)를 통해 신장측실(R1)에 연통되어 있고, 외주실(17) 내에는, 신장측실(R1)에서 유래된 압력이 작용한다. 소실(15)은, 리저버(R)에 연통하고 있으므로 소실(15) 내는 리저버(R) 내와 거의 동등한 압력으로 된다. 한편, 대실(16)은, 제2 밸브(Vb)가 설치된 압축측 제2 통로(72)를 통해서 압축측실(R2)에 연통하고 있고, 압축측실(R2) 내의 압력 상승에 의해, 제2 밸브(Vb)가 밸브 개방되어 대실(16)과 압축측실(R2)이 연통한다. 따라서,이 경우, 대실(16) 내의 압력은, 압축측실(R2)의 압력을 기준으로 제2 밸브(Vb)에서의 압력 손실에 대응하는 양만큼 압축측실(R2) 내의 압력보다도 낮아진다. 따라서, 이 완충 장치(D1)가 수축 작동할 경우, 프리 피스톤(5)의 대피스톤부(5b)의 상면(압축측 수압 면적(A1))에는 제2 밸브(Vb)의 압력 손실에 대응하는 양만큼 압축측실(R2)의 압력보다도 낮은 압력이 작용한다. 또한, 이 경우, 단차부(5c)(신장측 수압 면적(B1))에는 신장측실(R1)의 압력에 거의 동등한 압력이 작용하고, 소피스톤부(5a)의 하면(수압 면적(C1))에는 리저버(R)의 압력이 작용한다. 대피스톤부(5b)의 상면의 면적(압축측 수압 면적(A1))이 단차부(5c)의 면적(신장측 수압 면적(B1))보다도 크다. 완충 장치(D1)의 수축 작동 시에 있어서의 대실(16) 내의 압력과 압축측 수압 면적(A1)을 곱한 값이, 외주실(17)의 압력과 신장측 수압 면적(B1)을 곱한 값보다도 커지도록, 제2 밸브(Vb)의 압력 손실이 설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프리 피스톤(5)은, 하방측으로 밀려 이동한다. 프리 피스톤(5)이 이동하면, 외주실(17)로부터 배출 통로(7)에 액체가 배출되는 한편, 대실(16)에 압축측실(R2)로부터 액체가 유입되고, 소실(15)로부터 액체가 리저버(R)에 배출된다. 이 경우, 대실(16)의 용적 확대량에서 외주실(17)의 용적 감소량을 뺀 양의 액체가 실린더(1) 내로부터 리저버(R)로 이동하게 된다. 즉, 압력실(14)이 외관상의 유로로서 기능하여, 소실(15)로부터 배출된 액체가 실린더(1) 내로부터 리저버(R)에 감쇠력 가변 밸브(V)를 우회하여 이동한다. 프리 피스톤(5)의 이동 속도가 빨라지면, 그에 따라 제2 밸브(Vb)가 압축측 제2 통로(72)를 크게 개방하므로, 대실(16)과 압축측실(R2)을 오리피스(O2, O2)만으로 연통한 경우에 비하여 프리 피스톤(5)의 이동 속도에 대한 대실(16) 내의 압력 하강 정도는 작아진다.
완충 장치(D1)의 신축 속도가 빨라져서 대실(16)과 압축측실(R2)에서 왕래하는 액체의 유량이 증가해도, 제1 밸브(Va) 및 제2 밸브(Vb)가 그에 따라 압축측 제1 통로(71) 및 압축측 제2 통로(72)를 크게 개방한다. 따라서, 대실(16)과 압축측실(R2)을 오리피스만으로 연통한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 비하여 프리 피스톤(5)이 움직이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없다. 그로 인해, 완충 장치(D1)의 신축 속도가 고속 영역에 달해도 감쇠력 저감의 효과가 발휘된다. 구체적으로는, 완충 장치(D1)의 감쇠 특성은, 도 18에 도시하였다. 도 18 중 각 실선은, 감쇠력 조정부로서의 감쇠력 가변 밸브(V)로 완충 장치(D1)의 신장측 및 압축측의 감쇠력을 소프트, 미디엄, 하드로 한 경우에 대해서 감쇠 특성을 나타낸다. 파선은, 소프트, 미디엄, 하드의 감쇠 특성에 설정되는 상황에 있어서, 완충 장치(D1)에 고주파 진동이 입력되어, 감쇠력이 저감된 경우의 감쇠력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도 17에 도시한 완충 장치(D1)에서는, 신축 속도가 빨라져서 대실(16)과 압축측실(R2)에서 왕래하는 액체의 유량이 증가해도, 제1 밸브(Va) 및 제2 밸브(Vb)가 그에 따라 압축측 제1 통로(71) 및 압축측 제2 통로(72)를 크게 개방한다. 이로 인해, 완충 장치(D1)의 신축 속도가 고속 영역에 달해도 감쇠력 저감 효과가 발휘된다.
도 17에 도시한 완충 장치(D1)에서는, 보텀 부재(11)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했지만, 보텀 부재(11)는,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부재(22)와, 덮개 부재(23)와, 밸브 디스크(74)와, 캡(75)을 구비한다. 케이스 부재(22)는, 프리 피스톤(5)이 삽입되는 중공부(22a)를 구비한다. 덮개 부재(23)는, 케이스 부재(22)의 중공부(22a)를 폐쇄한다. 밸브 디스크(74)는, 덮개 부재(23)에 연결 로드(73)을 통해 연결됨과 함께 압축측실 내(R2)에 배치된다. 캡(75)은, 연결 로드(73)의 외주에 장착됨과 함께 밸브 디스크(74)가 끼워 맞춰져서 압축측실(R2) 내에 방(S1)을 구획한다. 밸브 디스크(74)에는, 리프 밸브로 이루어지는 제1 밸브(76)와 제2 밸브(77)가 설치된다.
덮개 부재(23)의 볼트 삽입 관통 구멍(23a)에는, 연결 로드(73)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연결 로드(73)는, 선단에 나사부(73a)를 갖는 축부(73b)와, 축부(73b)의 기단부에 형성된 헤드부(73c)를 구비한다. 연결 로드(73)의 축부(73b)의 외주에는, 덮개 부재(23)의 상면에 적재된 디스크 형상의 체크 밸브(27)가 장착된다. 체크 밸브(27)는, 연결 로드(73)와, 나사부(73a)에 나사 장착되는 너트(78)에 의해, 덮개 부재(23)에 고정되고, 덮개 부재(23)에 형성된 포트(23c)를 개폐한다. 연결 로드(73)의 내부에는, 헤드부(73c)의 하단부에서 개구되고, 축부(73b)의 측부에 통하는 로드 내 통로(73d)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 로드(73)의 축부(73b)의 외주에는, 체크 밸브(27)보다도 상방에,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캡(75)과, 통 형상의 스페이서(79)와, 제2 밸브(77)와, 밸브 디스크(74)와, 제1 밸브(76)가 순서대로 부착된다. 이들은 너트(78)와, 연결 로드(73)에서의 헤드부(73c)로 끼움 지지되어, 덮개 부재(23)에 고정된다.
캡(75)은,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이며, 저부에 연결 로드(73)의 축부(73b)가 삽입 관통되는 구멍(75a)을 구비하고 있다. 스페이서(79)는, 정상이 있는 통 형상이며, 정상부에는 연결 로드(73)의 축부(73b)가 삽입 관통되는 구멍(79a)이 형성되어 있고, 통부에는 통부 내외를 연통하는 통과 구멍(79b)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 디스크(74)는, 연결 로드(73)의 축부(73b)가 삽입 관통되는 구멍(74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개구하는 제1 포트(74b) 및 제2 포트(74c)가 주연에 형성되어 있다.
밸브 디스크(74)가 스페이서(79)를 사이에 두고 축부(73b)에 부착되면, 밸브 디스크(74)의 외주가 캡(75)의 통부의 내주에 끼워 맞춰지므로, 캡(75) 내에는, 압축측실(R2)로부터 구획되는 방(S1)이 형성된다. 방(S1)은, 제1 포트(74b) 및 제2 포트(74c)를 통해서 압축측실(R2)에 연통한다. 연결 로드(73) 내에 설치된 로드 내 통로(73d)의 일단부는, 스페이서(79)의 통부 내에 위치하는 축부(73b)의 측부에서 개구되어 있고, 타단부는, 대실(16) 내에 위치하는 헤드부(73c)의 하단부에서 개구되어 있다. 스페이서(79)의 통부 내는, 통과 구멍(79b)을 통해서 방(S1)과 연통하고 있으므로, 대실(16)은, 로드 내 통로(73d), 스페이서(79) 내, 통과 구멍(79b), 방(S1), 제1 포트(74b) 및 제2 포트(74c)를 통해서 압축측실(R2)와 연통한다.
밸브 디스크(74)의 압축측실(R2)측의 면에 적층된 제1 밸브(76)는, 환 형상 판을 적층한 적층 리프 밸브이며 제1 포트(74b)의 상단부 개구단부를 개폐한다. 제1 밸브(76)는, 제1 포트(74b)를 통해 대실(16)로부터 압축측실(R2)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일방 통행의 통로임과 함께 통과 액체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한다.
밸브 디스크(74)의 방(S1)측의 면에 적층된 제2 밸브(77)는, 환 형상 판을 적층한 적층 리프 밸브이며 제2 포트(74c)의 하단부 개구단부를 개폐한다. 제2 밸브(77)는, 제2 포트(74c)를 통해 압축측실(R2)로부터 대실(16)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일방 통행의 통로임과 함께 통과 액체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한다. 도 19에 도시한 완충 장치(D1)에서는, 압축측 제1 통로는, 제1 포트(74b)와 로드 내 통로(73d)로 형성되어 있고, 압축측 제2 통로는, 제2 포트(74c)와 로드 내 통로(73d)로 형성되어 있다. 도 19에 도시한 완충 장치(D1)에 있어서, 보텀 부재(11)를 구성하는 각 부재는, 완충 장치(D1) 내에 무리없이 내장된다.
도 19의 완충 장치(D1)에 대하여, 도 20에 도시한 완충 장치(D1)에서는, 밸브 디스크(80)를 케이스 부재(22) 내에 수용하고 있다. 밸브 디스크(80)는, 덮개 부재(23)에 연결 로드(81)에 의해 연결되고, 케이스 부재(22)의 중공부(22a) 내에 수용된다.
연결 로드(81)는, 선단에 나사부(81a)를 갖는 축부(81b)와, 축부(81b)의 기단부에 형성된 헤드부(81c)와, 축부(81b)의 상단부에서 개구되어 축부(81b)의 측부에 통하는 로드 내 통로(81d)를 구비한다. 연결 로드(81)의 축(81b)의 외주에는, 덮개 부재(23)의 압축측실(R2)측의 면에 적층되는 체크 밸브(27)가 장착된다. 체크 밸브(27)는, 연결 로드(81)와 나사부(81a)에 나사 장착되는 너트(82)에 의해, 덮개 부재(23)에 고정되고, 포트(23c)를 개폐한다.
연결 로드(81)의 축부(81b)의 외주에는, 덮개 부재(23)보다도 하방에, 통 형상의 스페이서(83)와, 제1 밸브(85)와, 밸브 디스크(80)와, 제2 밸브(84)가 부착된다. 이들은, 너트(82)와 연결 로드(81)에서의 헤드부(81c)로 끼움 지지되어, 덮개 부재(23)에 고정된다.
스페이서(83)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이며, 저부에 설치된 연결 로드(81)의 축부(81b)가 삽입 관통되는 구멍(83a)과, 통부에 설치된 통부 내외를 연통하는 통과 구멍(83b)을 구비하고 있다. 밸브 디스크(80)는, 중앙에 설치한 연결 로드(81)의 축부(81b)가 삽입 관통되는 구멍(80a)과,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개구하는 제1 포트(80c) 및 제2 포트(80b)를 구비하고 있다.
밸브 디스크(80)는, 스페이서(83)를 통해 덮개 부재(23)에 적층된다. 축부(81b)에 부착된 밸브 디스크(80)가 중공부(22a) 내에 삽입되면, 밸브 디스크(80)의 외주가 케이스 부재(22)의 중공부(22a)의 내주에 끼워 맞춰지므로, 중공부(22a)는 압력실(25)과 방(S2)으로 구획된다.
압력실(25) 내는, 프리 피스톤(5)이 삽입됨으로써, 소실(15), 대실(16) 및 외주실(17)로 구획된다. 소실(15)은, 케이스 부재(22)에 설치된 통로(22d)를 통하여 리저버(R)에 연통한다. 외주실(17)은, 관통 구멍(22c)을 통해서 배출 통로(7)에 연통한다. 단차부(25c)에 개구하는 관통 구멍(22c)은, 프리 피스톤(5)이 단차부(25c)에 완전히 밀착될 때까지는 외주실(17)과 배출 통로(7)의 연통을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방(S2)은, 제1 포트(80c) 및 제2 포트(80b)를 통해서 대실(16)에 연통한다. 연결 로드(81)에 설치된 로드 내 통로(81d)의 일단부는, 스페이서(83)의 통부 내에 위치하는 축부(81b)의 측부에서 개구되어 있고, 타단부는, 압축측실(R2)에 면하는 축부(81b)의 선단에서 개구되어 있다. 스페이서(83)의 통부 내는, 통과 구멍(83b)을 통해서 방(S2)과 연통하고 있으므로, 대실(16)은, 로드 내 통로(81d), 스페이서(83) 내, 통과 구멍(83b), 방(S2), 제1 포트(80c) 및 제2 포트(80b)를 통해서 압축측실(R2)과 연통한다.
밸브 디스크(80)의 대실(16)측의 면에 적층된 제2 밸브(84)는, 환 형상 판을 적층한 적층 리프 밸브이며 제2 포트(80b)의 하단 개구단부를 개폐한다. 제2 밸브(84)는, 제2 포트(80b)를 통해 압축측실(R2)로부터 대실(16)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일방 통행의 통로임과 함께 통과 액체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한다.
밸브 디스크(80)의 압축측실(R2)측의 면에 적층된 제1 밸브(85)는, 환 형상 판을 적층한 적층 리프 밸브이며 제1 포트(80c)의 상단 개구단부를 개폐한다. 제1 밸브(85)는, 제1 포트(80c)를 통해 대실(16)로부터 압축측실(R2)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일방 통행의 통로임과 함께 통과 액체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한다.
도 20에 도시된 완충 장치(D1)에서는, 압축측 제1 통로는, 제1 포트(80c)와 로드 내 통로(81d)로 형성되어 있고, 압축측 제2 통로는, 제2 포트(80b)와 로드 내 통로(81d)로 형성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된 완충 장치(D1)에 있어서, 보텀 부재(11)를 구성하는 각 부재는, 완충 장치(D1) 내에 무리없이 내장된다.
도 19에서의 완충 장치(D1)에서는, 압축측실(R2) 내에 밸브 디스크(74), 제1 밸브(76) 및 제2 밸브(77)를 수용하고, 도 20에서의 완충 장치(D1)에서는, 보텀 부재(11) 내에 밸브 디스크(80), 제1 밸브(85) 및 제2 밸브(84)를 수용하고 있다. 따라서, 압축측실(R2) 내에 밸브 디스크(74)를 수용하는 도 19에서의 완충 장치(D1) 쪽이, 보텀 부재(11) 내에 밸브 디스크(80)를 수용하는 도 20에서의 완충 장치(D1)보다도, 밸브 디스크(74)의 외경을 크게 할 수 있고, 제1 밸브(76) 및 제2 밸브(77)의 외경에 대해서도 크게 할 수 있다. 제1 밸브(76) 및 제2 밸브(77)에서의 휨 강성은, 제1 밸브(85) 및 제2 밸브(84)의 휨 강성보다도 낮게 할 수 있으므로, 제1 밸브(76) 및 제2 밸브(77)가 밸브 개방되었을 때의 압력 손실은 제1 밸브(85) 및 제2 밸브(84)의 그것보다도 작아진다. 따라서, 도 19에서의 완충 장치(D1)는, 도 20에서의 완충 장치(D1)보다도, 고주파 진동 입력 시에 있어서의 감쇠력 저감 효과의 저감 폭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상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에 나타내는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완충 장치에 의하면, 비교적 낮은 주파수대의 진동에 대해서는, 감쇠력 조정부로서의 감쇠력 조정부에 의해 감쇠력 조정함으로써 차체 진동을 제진할 수 있다. 감쇠력 조정부에 의해서는 억제할 수 없는 고주파 진동에 대해서는 기계적으로 저감쇠력을 발생할 수 있고, 차륜측으로부터의 진동을 절연해서 차체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차량에서의 승차감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상기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적용예의 일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상기 실시 형태의 구체적 구성으로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다.
본원은 2013년 3월 22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3-060604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시킨다.

Claims (9)

  1. 완충 장치(D1)이며,
    실린더(1)와,
    상기 실린더(1)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당해 실린더(1) 내를 신장측실(R1)과 압축측실(R2)로 구획하는 피스톤(2)과,
    리저버(R)와,
    상기 리저버(R)로부터 상기 압축측실(R2)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흡입 통로와,
    상기 압축측실(R2)로부터 상기 신장측실(R1)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정류 통로(4)와,
    상기 신장측실(R1)로부터 상기 리저버(R)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함과 함께 당해 액체의 흐름에 부여하는 저항을 변경 가능한 감쇠력 조정부와,
    압력실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압력실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압력실 내에 상기 신장측실(R1)에 연통되는 신장측 압력실과 상기 압축측실(R2)에 연통되는 압축측 압력실을 형성하는 프리 피스톤(5)을 구비하고,
    상기 프리 피스톤(5)을 미끄럼 이동 방향의 한쪽으로 가압하도록 당해 프리 피스톤(5)에 상기 압축측실(R2) 유래의 압력이 작용함과 함께, 상기 프리 피스톤(5)을 미끄럼 이동 방향의 다른 쪽으로 가압하도록 당해 프리 피스톤(5)에 상기 신장측실(R1) 유래의 압력이 작용하고,
    상기 프리 피스톤(5)의 상기 압축측실(R2) 유래 압력이 작용하는 압축측 수압 면적이, 상기 프리 피스톤(5)의 상기 신장측실(R1) 유래 압력이 작용하는 신장측 수압 면적보다도 큰, 완충 장치(D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실은, 내벽의 단면으로 구획한 면적이 작은 소단면적부와 내벽의 단면으로 구획한 면적이 소단면적부보다도 큰 대단면적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리 피스톤(5)은, 상기 압력실의 소단면적부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소피스톤부(5a)와, 상기 압력실의 대단면적부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대피스톤부(5b)를 구비하고,
    상기 프리 피스톤(5)은, 상기 소단면적부 내에 상기 소피스톤부(5a)로 소실을 구획하고, 상기 대단면적부 내이며 상기 소피스톤부(5a)의 외주에 외주실(17)을 구획하고, 상기 대단면적부 내에 상기 대피스톤부(5b)로 대실(16)을 구획하고,
    상기 소실과 외주실(17) 중 한쪽은, 상기 신장측 압력실이며, 다른 쪽은 상기 리저버(R)에 연통하고,
    상기 대실(16)은, 상기 압축측 압력실인, 완충 장치(D1).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측 압력실과 상기 압축측실(R2)을 연통하는 압축측 제1 통로(71) 및 압축측 제2 통로(72)와,
    상기 압축측 제1 통로(71)에 상기 압축측 압력실로부터 상기 압축측실(R2)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면서 당해 흐름에 저항을 부여하는 제1 밸브와,
    상기 압축측 제2 통로(72)에 상기 압축측실(R2)로부터 상기 압축측 압력실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면서 당해 흐름에 저항을 부여하는 제2 밸브를 구비하는, 완충 장치(D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연결 로드를 통해 연결됨과 함께 상기 압축측실(R2) 내에 배치되는 밸브 디스크(74)와,
    상기 연결 로드의 외주에 장착됨과 함께 상기 밸브 디스크(74)가 끼워 맞춰져서 상기 압축측실(R2) 내에 방을 구획하는 캡(75)을 구비하고,
    상기 압축측 압력실은, 연결 로드 내에 형성한 로드 내 통로를 통해 상기 방에 연통하고,
    상기 밸브 디스크(74)에 상기 방과 상기 압축측실(R2)을 연통하는 제1 포트와 제2 포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포트와 상기 로드 내 통로로 상기 압축측 제1 통로(71)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포트와 상기 로드 내 통로로 상기 압축측 제2 통로(72)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 디스크(74)의 압축측실(R2)측에 상기 제1 포트를 개폐하는 리프 밸브를 적층하여 제1 밸브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 디스크(74)의 방측에 상기 제2 포트를 개폐하는 리프 밸브를 적층하여 제2 밸브가 형성되는, 완충 장치(D1).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한 중공부에 수용되어 당해 중공부를 상기 압력실과 상기 압축측실(R2)에 연통되는 공간부로 구획하는 밸브 디스크(74)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디스크(74)에 상기 공간부와 상기 압축측 압력실을 연통하는 제1 포트와 제2 포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포트로 상기 압축측 제1 통로(71)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포트로 상기 압축측 제2 통로(72)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 디스크(74)의 공간부측에 상기 제1 포트를 개폐하는 리프 밸브를 적층하여 상기 제1 밸브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 디스크(74)의 상기 압축측 압력실측에 상기 제2 포트를 개폐하는 리프 밸브를 적층하여 상기 제2 밸브가 형성되는, 완충 장치(D1).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피스톤(5)과 상기 하우징의 충돌을 방지하는 쿠션 부재를 구비하는, 완충 장치(D1).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피스톤(5)의 하우징에의 충돌을 억제하는 액압 쿠션 기구를 구비하는, 완충 장치(D1).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1)의 외측에 설치한 외통(10)과,
    상기 실린더(1)와 상기 외통(10)의 사이에 설치한 중간통(9)을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1)와 상기 중간통(9)의 단부에 상기 하우징이 끼워 맞춰지고,
    상기 중간통(9)과 상기 외통(10)의 사이에 의해 상기 리저버(R)가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1)와 상기 중간통(9)의 사이의 간극에 의해 상기 신장측실(R1)을 상기 리저버(R)에 연통하는 배출 통로(7)가 형성되고,
    상기 감쇠력 조정부는, 상기 배출 통로(7)와 상기 리저버(R)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 통로(7)를 통해 상기 신장측 압력실은, 상기 신장측실(R1)에 연통하는, 완충 장치(D1).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프리 피스톤(5)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중공부를 구비한 케이스 부재와,
    상기 케이스 부재의 상기 중공부를 폐쇄해서 상기 압력실을 형성하는 덮개 부재를 구비하는, 완충 장치(D1).
KR1020157026068A 2013-03-22 2014-03-20 완충 장치 KR1017085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60604A JP5961130B2 (ja) 2013-03-22 2013-03-22 緩衝装置
JPJP-P-2013-060604 2013-03-22
PCT/JP2014/057916 WO2014148637A1 (ja) 2013-03-22 2014-03-20 緩衝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276A KR20150123276A (ko) 2015-11-03
KR101708588B1 true KR101708588B1 (ko) 2017-02-20

Family

ID=51580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6068A KR101708588B1 (ko) 2013-03-22 2014-03-20 완충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70505B2 (ko)
EP (1) EP2977642B1 (ko)
JP (1) JP5961130B2 (ko)
KR (1) KR101708588B1 (ko)
CN (1) CN105074266B (ko)
WO (1) WO20141486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8266B1 (ko) * 2013-03-22 2017-04-18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완충 장치
JP6069527B2 (ja) * 2014-01-09 2017-02-01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車体用振動減衰装置
JP6581895B2 (ja) * 2015-12-24 2019-09-25 株式会社ショーワ 圧力緩衝装置
JP6709099B2 (ja) * 2016-04-06 2020-06-10 Kyb株式会社 緩衝器
CN106246792B (zh) * 2016-09-28 2018-07-06 山东文捷智能动力有限公司 可自动调节的车辆用减震装置及减震方法
CN106352005B (zh) * 2016-11-25 2018-02-27 中航飞机起落架有限责任公司 一种油气分离式缓冲器及其排气方法
JP6701242B2 (ja) * 2018-02-21 2020-05-27 Kyb株式会社 バルブおよび緩衝器
US11156261B2 (en) 2018-12-28 2021-10-26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Damper with multiple external control valves
US11143260B2 (en) 2018-12-28 2021-10-12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Damper with single external control valve
US11118649B2 (en) * 2019-07-01 2021-09-14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Damper with side collector and external control valves
US11248677B2 (en) * 2019-07-18 2022-02-15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Pre-assembled piston accumulator insert device
US11635122B2 (en) * 2019-07-18 2023-04-25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Intake device for a damper having a side collector
DE102019131319A1 (de) * 2019-11-20 2021-05-20 Thyssenkrupp Ag Schwingungsdämpfer und Kraftfahrzeug mit einem solchen Schwingungsdämpfer
CN111891248B (zh) * 2020-06-19 2021-10-29 浙江大学 一种多足步行机器人及其控制方法与结构改进的足端机构
EP3951209A1 (en) * 2020-08-04 2022-02-09 Öhlins Racing AB Valve arrangement for providing improved damping force characteristics at higher stroke speeds in a shock absorber
US11434971B2 (en) * 2020-08-31 2022-09-06 DRiV Automotive Inc. Damper assembly including valve connectors having one-way valves
CN113009336B (zh) * 2021-02-25 2024-02-09 长春汽车工业高等专科学校 一种具有弹性缓冲机构的新能源汽车电机动力检测装置
US11930875B2 (en) * 2021-07-12 2024-03-19 John Hooman Kasraei Impact reduction system for personal protective devices
CN114738350B (zh) * 2022-06-10 2022-08-09 迪非液压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自适应缓冲的高压大流量液压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7371A (ja) 2010-05-28 2011-12-08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緩衝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5340A (ja) * 1981-10-15 1983-04-19 Kayaba Ind Co Ltd 油圧緩衝器
JPH01238727A (ja) * 1988-03-18 1989-09-22 Toyota Motor Corp ショックアブソーバ
US5163538A (en) * 1991-09-03 1992-11-17 General Motors Company Low level damping valve and method for a semi-active hydraulic damper
US6978871B2 (en) * 2003-09-17 2005-12-27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Adjustable damper with control valve, mounted in an external collar
DE102005010240A1 (de) * 2005-03-05 2006-09-07 Zf Friedrichshafen Ag Selbstpumpender hydropneumatischer Schwingungsdämpfer
DE102007023716A1 (de) * 2006-11-02 2008-05-08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Proportionalregelventil
KR100894798B1 (ko) * 2007-12-05 2009-04-22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
DE102008060515B4 (de) * 2007-12-05 2015-08-06 Mando Corporation Schwingungsdämpfer
JP5308695B2 (ja) 2008-03-17 2013-10-09 カヤバ工業株式会社 減衰弁
JP5809801B2 (ja) * 2010-12-28 2015-11-1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緩衝器
WO2011111773A1 (ja) 2010-03-10 2011-09-15 カヤバ工業株式会社 減衰弁
JP5456618B2 (ja) * 2010-06-21 2014-04-02 株式会社ショーワ 油圧緩衝器
WO2012102125A1 (ja) * 2011-01-26 2012-08-02 カヤバ工業株式会社 車両用緩衝器
JP5603817B2 (ja) * 2011-03-23 2014-10-08 カヤバ工業株式会社 緩衝装置
JP5812650B2 (ja) * 2011-03-31 2015-11-17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減衰力調整式緩衝器
JP2012247371A (ja) * 2011-05-30 2012-12-13 Toshiba Corp 電波発射源可視化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288612B1 (ko) * 2011-07-21 2013-07-22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밸브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7371A (ja) 2010-05-28 2011-12-08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緩衝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77642A1 (en) 2016-01-27
EP2977642B1 (en) 2018-10-10
US9970505B2 (en) 2018-05-15
CN105074266A (zh) 2015-11-18
CN105074266B (zh) 2016-12-21
US20160281815A1 (en) 2016-09-29
EP2977642A4 (en) 2017-01-25
JP5961130B2 (ja) 2016-08-02
KR20150123276A (ko) 2015-11-03
JP2014185688A (ja) 2014-10-02
WO2014148637A1 (ja) 2014-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8588B1 (ko) 완충 장치
KR101728266B1 (ko) 완충 장치
KR101773310B1 (ko) 완충 장치
KR101710820B1 (ko) 완충 장치
KR101772832B1 (ko) 완충 장치
KR101806755B1 (ko) 완충 장치
KR20160060709A (ko) 완충 장치
JP5981800B2 (ja) 緩衝装置
KR20150028346A (ko) 완충 장치
JP6097108B2 (ja) 緩衝装置
JP6013956B2 (ja) 緩衝装置
JP6069061B2 (ja) 緩衝装置
JP6182006B2 (ja) 緩衝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