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820B1 - 완충 장치 - Google Patents

완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820B1
KR101710820B1 KR1020157026067A KR20157026067A KR101710820B1 KR 101710820 B1 KR101710820 B1 KR 101710820B1 KR 1020157026067 A KR1020157026067 A KR 1020157026067A KR 20157026067 A KR20157026067 A KR 20157026067A KR 101710820 B1 KR101710820 B1 KR 101710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compression
valve
passag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6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1137A (ko
Inventor
다카시 데라오카
다츠야 마사무라
Original Assignee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21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6Characteristics of dampers, e.g. mechanical dampers
    • B60G17/08Characteristics of fluid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F16F9/512Means responsive to load action, i.e. static load on the damper or dynamic fluid pressure changes in the damper, e.g. due to changes in velocity
    • F16F9/5126Piston, or piston-like valv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 B60G13/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of fluid type
    • B60G13/0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of fluid type hydraul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 F16F9/16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 F16F9/18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 F16F9/185Bitubular units
    • F16F9/187Bitubular units with uni-directional flow of damping fluid through th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F16F9/516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resulting in the damping effects during contraction being different from the damping effects during extension, i.e. responsiv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 F16F9/5165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resulting in the damping effects during contraction being different from the damping effects during extension, i.e. responsiv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by use of spherical valve elements or like free-moving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20Type of damper
    • B60G2202/24Fluid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10Damping action or damper
    • B60G2500/11Damping valves
    • B60G2500/114Damping valves pressure regulat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18Automatic control means
    • B60G2600/182Active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2/00Special physical effects, e.g. nature of damping effects
    • F16F2222/12Fluid da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8/00Functional characteristics, e.g. variability, frequency-dependence
    • F16F2228/06Stiffness
    • F16F2228/066Variable stiff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완충 장치는, 리저버(R)로부터 압축측실(R2)에의 흐름만이 허용되는 흡입 통로(3)와, 압축측실(R2)로부터 신장측실(R1)에의 흐름만이 허용되는 정류 통로(4)와, 신장측실(R1)로부터 리저버(R)에의 흐름만이 허용되는 가변 감쇠 밸브(V)를 구비한다. 하우징으로서의 보텀 부재(11)에, 프리 피스톤(5)을 끼워서, 대실(16)과, 소실(15) 및 외주실(17)을 설치한다. 소실(15)이나 외주실(17)을 신장측실(R1)에 연통한다. 대실(16)을 제1 밸브(Va) 및 제2 밸브(Vb)를 통하여 압축측실(R2)에 연통한다. 피스톤(2)이 하강하는 수축 작동 시에, 신장측실(R1)과 압축측실(R2)이 등압이 되는 유니 플로우형의 완충 장치이어도, 수압 면적의 차가 있으므로, 프리 피스톤(5)을 하강시킬 수 있다. 신축 속도가 고속 영역에 달해도, 제1 밸브(Va) 및 제2 밸브(Vb)가 개방되어 감쇠력이 저감된다.

Description

완충 장치{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완충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완충 장치는, 실린더와, 피스톤과, 피스톤 로드와, 신장측실과, 압축측실과, 중간통과, 외통과, 흡입 통로와, 정류 통로와, 감쇠력 가변 밸브를 구비한다. 피스톤은,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피스톤 로드는, 실린더 내에 삽입되어 피스톤에 연결된다. 신장측실과 압축측실은, 피스톤에 의해 구획된다. 중간통은, 실린더의 외주를 덮어 실린더와의 사이에 배출 통로를 형성한다. 외통은, 중간통의 외주를 덮어 중간통과의 사이에 리저버를 형성한다. 흡입 통로는, 리저버로부터 압축측실을 향하는 작동유의 흐름만을 허용한다. 정류 통로는, 피스톤에 설치되어 압축측실로부터 신장측실을 향하는 작동유의 흐름만을 허용한다. 감쇠력 가변 밸브는, 배출 통로와 리저버의 사이에 설치된다.
완충 장치는, 신장할 때도, 수축할 때도, 정류 통로와 흡입 통로의 작용에 의해 실린더 내로부터 배출 통로를 통해서 작동유를 리저버에 유출시킨다. 이 작동유의 흐름에 대하여 감쇠력 가변 밸브에 있어서 부여되는 저항을 조절함으로써, 완충 장치가 발생하는 감쇠력이 조절 가능하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22136 참조).
이와 같이 완충 장치는, 감쇠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차체의 진동에 최적의 감쇠력을 발생하여, 차량에서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감쇠력 가변 밸브를 실린더 외부에 갖는 완충 장치는, 스트로크 길이를 확보하면서, 피스톤 내에 감쇠력 가변 밸브를 갖는 완충 장치에 비하여 차량에의 탑재성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감쇠력 가변 밸브를 갖는 완충 장치의 감쇠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솔레노이드가 이용된다. 감쇠력 가변 밸브의 밸브 개방압을 컨트롤하는 파일럿 밸브에 솔레노이드가 부여하는 추력을 조절함으로써, 감쇠력 가변 밸브가 작동유의 흐름에 부여하는 저항이 조절된다.
차량의 진동 억제에 최적의 감쇠력을 완충 장치에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라고 칭해지는 전자 제어 장치가, 각종 센서로 검지한 차량의 차체의 진동 정보로부터 최적의 감쇠력을 구하고, 솔레노이드를 구동하는 드라이버에게 제어 명령을 보낸다.
완충 장치가 감쇠력을 조정해서 제진 가능한 차체의 진동 주파수는, 현재는, 감쇠력 가변 밸브의 응답성과 ECU의 연산 처리 속도에 따라 수 Hz 정도의 상한으로 제한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한 이상의 주파수의 진동을 억제하는 것이 어렵다.
그러나, 차량에서의 승차감을 좌우하는 차체 진동의 주파수는, 제진 가능한 주파수대보다도 고주파수이다. 종래의 완충 장치에서는 이러한 고주파수의 진동을 억제할 수 없으므로, 차량에서의 승차감의 향상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고주파 진동 입력 시이며 완충 장치의 신축 속도가 빠른 경우에 충분한 진동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면, 차량에서의 승차감을 보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주파 입력 시에 차량에서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신축 속도가 빨라도 진동 억제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완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따르면, 완충 장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당해 실린더 내를 신장측실과 압축측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리저버와, 상기 리저버로부터 상기 압축측실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흡입 통로와, 상기 압축측실로부터 상기 신장측실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정류 통로와, 상기 신장측실로부터 상기 리저버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 함과 함께 당해 액체의 흐름에 부여하는 저항을 변경 가능한 감쇠력 조정부를 구비한 완충 장치이며, 소단면적부와 대단면적부를 갖는 압력실을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압력실의 소단면적부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소피스톤부와 상기 압력실의 대단면적부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대피스톤부를 구비하여, 상기 소단면적부 내에 상기 소피스톤부로 소실(小室)을 구획하고, 상기 대단면적부 내이며 상기 소피스톤부의 외주에 외주실을 구획하고, 상기 대단면적부 내에 상기 대피스톤부로 대실(大室)을 구획하는 프리 피스톤과, 상기 프리 피스톤을 상기 압력실에 대하여 중립 위치로 위치 결정함과 동시에 당해 프리 피스톤의 중립 위치로부터의 변위를 억제하는 가압력을 발생하는 스프링 요소와, 상기 소실 또는 상기 외주실의 한쪽을 상기 신장측실에 연통하는 신장측 통로와, 상기 대실과 상기 압축측실을 연통하는 압축측 제1 통로 및 압축측 제2 통로와, 상기 압축측 제1 통로에 설치되어 상기 대실로부터 상기 압축측실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면서 당해 흐름에 저항을 부여하는 제1 밸브와, 상기 압축측 제2 통로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측실로부터 상기 대실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면서 당해 흐름에 저항을 부여하는 제2 밸브를 구비한다.
도 1은, 실시 형태에서의 완충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서의 완충 장치의 감쇠 특성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완충 장치에서의 구체적인 보텀 부재의 일례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완충 장치에서의 구체적인 보텀 부재의 다른 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완충 장치에서의 구체적인 보텀 부재의 또 다른 예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완충 장치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감쇠 특성도 이외의 각 도면에서의 상방을 「위」, 하방을 「아래」라고 설명한다.
완충 장치(D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1)와, 피스톤(2)과, 리저버(R)와, 흡입 통로(3)와, 정류 통로(4)와, 감쇠력 가변 밸브(V)와, 보텀 부재(11)와, 프리 피스톤(5)과, 스프링 요소(6)와, 신장측 통로(20)와, 압축측 제1 통로(19a)와, 압축측 제2 통로(19b)와, 제1 밸브(Va)와, 제2 밸브(Vb)를 구비하고 있다.
피스톤(2)은, 실린더(1)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실린더(1) 내를 신장측실(R1)과 압축측실(R2)로 구획한다. 흡입 통로(3)는, 리저버(R)로부터 압축측실(R2)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한다. 정류 통로(4)는, 압축측실(R2)로부터 신장측실(R1)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한다. 감쇠력 가변 밸브(V)는, 신장측실(R1)로부터 리저버(R)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함과 함께 액체의 흐름에 부여하는 저항을 변경 가능한 감쇠력 조정부이다. 보텀 부재(11)는, 소단면적부(14a)와 대단면적부(14b)를 갖는 압력실(14)을 구비한 하우징이다. 프리 피스톤(5)은, 압력실(14)의 소단면적부(14a)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소피스톤부(5b)와 압력실(14)의 대단면적부(14b)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대피스톤부(5c)를 구비한다. 프리 피스톤(5)은, 소단면적부(14a) 내에 소피스톤부(5b)로 소실(15)을 구획하고, 대단면적부(14b) 내이며 소피스톤부(5b)의 외주에 외주실(17)을 구획하고, 대단면적부(14b) 내에 대피스톤부(5c)로 대실(16)을 구획한다.
스프링 요소(6)는, 프리 피스톤(5)을 압력실(14)에 대하여 중립 위치에 위치 결정함과 동시에 프리 피스톤(5)의 중립 위치로부터의 변위를 억제하는 가압력을 발생한다. 신장측 통로(20)는, 소실(15)과 외주실(17) 중 한쪽, 즉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외주실(17)을, 신장측실(R1)에 연통한다. 압축측 제1 통로(19a) 및 압축측 제2 통로(19b)는, 대실(16)과 압축측실(R2)을 연통한다. 제1 밸브(Va)는, 압축측 제1 통로(19a)에 설치되어 대실(16)로부터 압축측실(R2)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면서 액체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한다. 제2 밸브(Vb)는, 압축측 제2 통로(19b)에 설치되어 압축측실(R2)로부터 대실(16)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면서 액체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한다.
완충 장치(D1)는, 실린더(1) 내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된 피스톤 로드(21)를 구비하고 있다. 피스톤 로드(21)의 일단부(21a)는, 피스톤(2)에 연결되고, 타단부인 상단부는, 실린더(1)의 상단부를 밀봉하는 환상의 로드 가이드(8)에 의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완충 장치(D1)는, 중간통(9)과, 외통(10)을 구비한다. 중간통(9)은, 실린더(1)의 외주를 덮어 실린더(1)와의 사이에 신장측실(R1)과 리저버(R)를 연통하는 배출 통로(7)를 형성한다.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외통(10)은, 중간통(9)의 외주를 덮어 중간통(9)과의 사이에 리저버(R)를 형성한다. 감쇠력 가변 밸브(V)는, 배출 통로(7)와 리저버(R)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1) 및 중간통(9)의 하단부는, 보텀 부재(11)에 의해 밀봉된다. 보텀 부재(11)에는, 압력실(14)과 흡입 통로(3)가 설치되어 있다.
신장측실(R1), 압축측실(R2) 및 압력실(14) 내에는 작동유 등의 액체가 충만되어 있고, 리저버(R) 내에는, 액체와 함께 기체가 충전되어 있다. 액체에는, 작동유 이외에, 예를 들어 물, 수용액과 같은 액체를 사용해도 된다.
이어서, 완충 장치(D1)의 각 부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피스톤(2)은, 실린더(1) 내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된 피스톤 로드(21)의 하단부인 일단부(21a)에 연결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21)와, 이것을 축 지지하는 로드 가이드(8)의 사이는, 시일 부재(12)에 의해 시일되어 있고, 실린더(1) 내는 액밀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로드 가이드(8)는, 실린더(1), 중간통(9) 및 외통(10)에 끼워 맞추도록 외경이 단계적으로 크게 되어 있다. 실린더(1), 중간통(9) 및 외통(10)의 상단부 개구는, 로드 가이드(8)에 의해 폐색된다.
실린더(1)의 하단부에는, 보텀 부재(11)가 끼워 맞추어져 있다. 보텀 부재(11)는, 소경부(11a)와, 중경부(11b)와, 대경부(11c)와, 통부(11d)와, 복수의 절결(11e)을 구비한다. 소경부(11a)는, 실린더(1) 내에 끼워 맞춰진다. 중경부(11b)는, 소경부(11a)보다도 외경이 크게 중간통(9) 내에 끼워 맞춰진다. 대경부(11c)는, 중경부(11b)의 하단부측에 설치되어 중경부(11b)보다도 큰 외경을 갖는다. 통부(11d)는, 대경부(11c)의 하단부측에 설치된다. 복수의 절결(11e)은, 통부(11d)에 설치된다.
외통(10) 내에, 보텀 부재(11), 실린더(1), 중간통(9), 로드 가이드(8) 및 시일 부재(12)를 수용하고, 외통(10)의 상단부를 코오킹하면, 외통(10)의 코오킹부(10a)와 외통(10)의 저부(10b)로, 보텀 부재(11), 실린더(1), 중간통(9), 로드 가이드(8) 및 시일 부재(12)가 끼워 넣어져서, 이들이 외통(10)에 고정된다. 외통(10)의 개구단부를 코오킹하는 것 대신에, 개구단부에 나사 장착되는 캡을 설치하고, 캡과 저부(10b)가, 보텀 부재(11), 실린더(1), 중간통(9), 로드 가이드(8) 및 시일 부재(12)를 끼워 넣어도 된다.
보텀 부재(11)에 설치된 흡입 통로(3)는, 리저버(R)와 압축측실(R2)을 연통하는 통로(3a)와, 통로(3a)에 설치된 체크 밸브(3b)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통로(3a)는, 한쪽이 보텀 부재(11)의 소경부(11a)의 상단부에서 개구되고, 다른 쪽이 대경부(11c)의 하단부에서 개구되어 있다. 대경부(11c)의 하단부에서 개구된 통로(3a)는, 절결(11e)을 통해서 리저버(R)와 연통한다. 체크 밸브(3b)는, 액체가 리저버(R)로부터 압축측실(R2)을 향해서 흐르는 경우에만 밸브 개방한다. 흡입 통로(3)는, 리저버(R)로부터 압축측실(R2)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고, 역방향에의 흐름을 저지하여, 일방 통행으로 설정된다.
피스톤(2)에는, 압축측실(R2)로부터 신장측실(R1)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정류 통로(4)가 설치되어 있다. 정류 통로(4)는, 압축측실(R2)을 신장측실(R1)에 연통하는 통로(4a)와, 통로(4a)에 설치된 체크 밸브(4b)를 구비하고 있다. 체크 밸브(4b)는, 액체가 압축측실(R2)로부터 신장측실(R1)을 향해서 흐르는 경우에만 밸브 개방한다. 정류 통로(4)는, 압축측실(R2)로부터 신장측실(R1)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고, 역방향에의 흐름을 저지하여, 일방 통행으로 설정된다.
실린더(1)의 상단부 근방에는, 신장측실(R1)에 면하는 관통 구멍(1a)이 설치되어 있고, 신장측실(R1)은, 관통 구멍(1a)을 통해서 실린더(1)와 중간통(9)의 사이에 형성된 환상 간극에 연통하고 있다. 실린더(1)와 중간통(9)의 사이의 환상 간극은, 신장측실(R1)과 리저버(R)를 연통하는 배출 통로(7)를 형성하고 있다. 감쇠력 가변 밸브(V)는, 외통(10)과 중간통(9)에 놓아져서 고정되는 밸브 블록(13)에 설치되어 있다. 감쇠력 가변 밸브(V)는, 유로(13a)와, 밸브 부재(13b)와, 파일럿 통로(13c)와, 가압 장치(13d)를 구비하고 있다. 유로(13a)는, 중간통(9) 내의 배출 통로(7)를 리저버(R)에 접속한다. 밸브 부재(13b)는, 유로(13a)의 도중에 설치된다. 파일럿 통로(13c)는, 밸브 부재(13b)보다 상류측인 신장측실(R1)의 압력을 밸브 부재(13b)에 밸브 개방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작용시킨다. 가압 장치(13d)는, 밸브 부재(13b)를 밸브 폐쇄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발생함과 함께 가압력을 가변으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가압 장치(13d)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밸브 부재(13b)를 밸브 폐쇄 방향으로 가압하는 압력을 제어하고 있고, 외부로부터 솔레노이드에 공급하는 전류 공급량에 따라서 이 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가압 장치(13d)는, 솔레노이드 등의 액추에이터로 밸브 부재(13b)를 직접 가압하는 것이어도 된다. 가압 장치(13d)는, 공급되는 전류량이나 전압량에 따라서 가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형식이어도 된다. 액체가 자기 점성 유체로 되는 경우에는, 감쇠력 가변 밸브(V)로 바꾸어, 배출 통로(7)와 리저버(R)를 연통하는 유로에 자계를 작용시킬 수 있는 감쇠력 조정부, 예를 들어 코일 등이 사용되어도 된다. 이 경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량에 따라 자계의 크기를 조정해서 유로를 통과하는 자기 점성 유체의 흐름에 부여하는 저항을 변화시킨다. 유체를 전기 점성 유체로 할 경우에는, 감쇠력 조정부는, 배출 통로(7)와 리저버(R)를 연통하는 유로에 전계를 작용시켜도 된다. 이 경우, 외부로부터 부여되는 전압에 따라 전계의 크기를 조정하여, 유로를 흐르는 전기 점성 유체에 부여하는 저항을 변화시킨다.
완충 장치(D1)가 수축 작동할 때에는, 피스톤(2)이 아랫쪽으로 이동해서 압축측실(R2)이 압축되고, 압축측실(R2) 내의 액체가 정류 통로(4)를 통해 신장측실(R1)로 이동한다. 수축 작동 시에는, 피스톤 로드(21)가 실린더(1) 내에 침입하므로, 실린더(1) 내에서 피스톤 로드의 침입 체적에 상당하는 양의 액체가 과잉으로 되어, 과잉의 액체가 실린더(1)로부터 압출되어 배출 통로(7)를 통해 리저버(R)에 배출된다. 완충 장치(D1)는, 배출 통로(7)를 통과해서 리저버(R)로 이동하는 액체의 흐름에 감쇠력 가변 밸브(V)로 저항을 부여함으로써, 실린더(1) 내의 압력을 상승시켜서 압축측 감쇠력을 발생한다.
한편, 완충 장치(D1)가 신장 작동할 때에는, 피스톤(2)이 상방으로 이동해서 신장측실(R1)이 압축되고, 신장측실(R1) 내의 액체가 배출 통로(7)를 통해 리저버(R)로 이동한다. 신장 작동 시에는, 피스톤(2)이 상방으로 이동해서 압축측실(R2)의 용적이 확대되는데, 확대에 상당하는 액체가 흡입 통로(3)를 통해 리저버(R)로부터 공급된다. 완충 장치(D1)는, 신장측실(R1)로부터 배출되고, 배출 통로(7)를 통과해서 리저버(R)로 이동하는 액체의 흐름에 감쇠력 가변 밸브(V)로 저항을 부여함으로써 신장측실(R1) 내의 압력을 상승시켜서 신장측 감쇠력을 발생한다.
이와 같이, 완충 장치(D1)는, 신축 작동을 나타내면, 반드시 실린더(1) 내로부터 배출 통로(7)를 통해 액체를 리저버(R)에 배출한다. 완충 장치(D1)는, 액체가 압축측실(R2), 신장측실(R1), 리저버(R)를 순서대로 일방 통행으로 순환하는 유니 플로우형의 완충 장치이며, 신축 압축 양측의 감쇠력을 단일의 감쇠력 가변 밸브(V)에 의해 발생한다. 피스톤 로드(21)의 단면적을 피스톤(2)의 단면적의 2분의 1로 설정해 둠으로써, 피스톤(2)의 진폭이 동일하면, 실린더(1) 내로부터 배출되는 작동 유량을 신축 압축 양측에서 동등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신축 압축 양측에서 감쇠력 가변 밸브(V)가 흐름에 부여하는 저항을 동일하게 해 두면, 신장측과 압축측의 감쇠력을 동등하게 할 수 있다.
압력실(14)은, 보텀 부재(11)에 설치한 중공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압력실(14)은, 상하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적이 하방측과 상방측에서 상이하고, 단면적이 작은 하방측의 소단면적부(14a)와, 단면적이 큰 상방측의 대단면적부(14b)와, 소단면적부(14a)와 대단면적부(14b)의 도중에 설치된 단차부(14c)를 구비하고 있다.
압력실(14) 내에는, 프리 피스톤(5)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프리 피스톤(5)은, 단차 형상이며, 판 형상의 베이스부(5a)와, 통 형상의 소피스톤부(5b)와, 통 형상의 대피스톤부(5c)를 구비한다. 소피스톤부(5b)는, 베이스부(5a)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신하여 압력실(14)의 소단면적부(14a)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대피스톤부(5c)는, 베이스부(5a)의 상단부의 외주로부터 상방으로 상승되어 압력실(14)의 대단면적부(14b)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프리 피스톤(5)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압력실(14)에서의 소단면적부(14a)와 대단면적부(14b)는, 프리 피스톤(5)의 미끄럼 이동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면 된다.
프리 피스톤(5)은, 소피스톤부(5b)를 소단면적부(14a)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함으로써, 소단면적부(14a) 내이며 소피스톤부(5b)의 하방에 소실(15)을 구획한다. 프리 피스톤(5)은, 대피스톤부(5c)를 대단면적부(14b)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함으로써 대단면적부(14b) 내이며 대피스톤부(5c)의 상방에 대실(16)을 구획한다. 프리 피스톤(5)은, 대단면적부(14b) 내의 베이스부(5a)와 단차부(14c)의 사이이며 소피스톤부(5b)의 외주에 외주실(17)을 구획하고 있다. 프리 피스톤(5)의 대피스톤부(5c)의 외주에는 대단면적부(14b)의 내주에 미끄럼 접촉하는 시일링(5d)이 장착되어 있다. 이로 인해, 대실(16)과 외주실(17)은 프리 피스톤(5)의 외주를 통해서 연통하는 경우는 없다. 외주실(17)과 소실(15)의 연통을 방지하기 위해서, 소피스톤부(5b)의 외주에 시일링을 설치해도 된다.
소실(15)은, 보텀 부재(11)에 설치된 통로(18) 및 절결(11e)을 통해서 리저버(R)에 연통하고 있으므로, 소실(15)에는 리저버(R)에서 유래되는 압력이 작용하고 있다. 대실(16)은, 보텀 부재(11)의 소경부(11a)의 상단부에서 개구되어 대단면적부(14b)의 상단부에서 개구되는 압축측 제1 통로(19a) 및 압축측 제2 통로(19b)를 통해서 압축측실(R2)에 연통하고 있다. 압축측 제1 통로(19a)에는, 리프 밸브로 이루어지는 제1 밸브(Va)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밸브(Va)는, 대실(16)의 압력과 압축측실(R2)의 압력의 차압이 밸브 개방압에 달하면 밸브 개방하여 대실(16)로부터 압축측실(R2)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한다. 제1 밸브(Va)는, 압축측실(R2)로부터 대실(16)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에 대해서는 밸브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압축측 제1 통로(19a)에는, 제1 밸브(Va)에 병렬로 오리피스(O1)가 설치되어 있다. 압축측 제2 통로(19b)에는, 리프 밸브로 이루어지는 제2 밸브(Vb)가 설치되어 있다. 제2 밸브(Vb)는, 압축측실(R2)의 압력과 대실(16)의 압력의 차압이 밸브 개방압에 달하면 밸브 개방하여 압축측실(R2)로부터 대실(16)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한다. 제2 밸브(Vb)는, 대실(16)로부터 압축측실(R2)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에 대해서는 밸브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압축측 제2 통로(19b)에는, 제2 밸브(Vb)에 병렬로 오리피스(O2)가 설치되어 있다. 대실(16)에는, 압축측실(R2)에서 유래되는 압력이 작용하고 있고, 대실(16)은, 압축측실(R2)에 연통하는 압축측 압력실로서 기능하고 있다.
외주실(17)은, 보텀 부재(11)에 설치된 신장측 통로(20)와, 신장측 통로(20)에 대향하는 실린더(1)의 하단 근방에 설치된 관통 구멍(1b)을 통해서, 배출 통로(7)에 접속되어 있다. 배출 통로(7)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장측실(R1)에 통하고 있으므로, 외주실(17)은, 신장측실(R1)에 연통한다. 이로 인해, 외주실(17)에는, 신장측실(R1)에서 유래되는 압력이 작용하고, 외주실(17)은, 신장측 압력실로서 기능하고 있다. 외주실(17)은, 완충 장치(D1)를 유니 플로우 구조로 하기 위해서 설치된 감쇠력 가변 밸브(V)에 액체를 유도하는 배출 통로(7)를 이용해서 신장측실(R1)에 연통한다. 이로 인해, 보텀 부재(11)에 압력실(14)을 설치해도, 신장측실(R1)에 외주실(17)을 연통하는 다른 통로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완충 장치(D1)의 비용 경감 및 경량화의 면에서 유리하다.
대실(16) 내의 압력, 즉, 압축측실(R2)로부터 도입되는 압력(압축측실 유래의 압력)이 프리 피스톤(5)의 대피스톤부(5c)의 수평 표면(압축측 수압 면적(A1))에 작용하고 있고, 소실(15) 및 외주실(17)을 압축하는 방향인 하방으로 프리 피스톤(5)을 가압하고 있다. 또한, 수평 표면은, 도 1의 상하 방향에 수직한 면이다. 압축측 수압 면적(A1)은, 수평 방향으로 대피스톤부(5c)를 잘라서 얻어지는 단면의 외측 테두리로 둘러싸이는 면적이다.
한편, 외주실(17) 내의 압력, 즉, 신장측실(R1)로부터 도입되는 압력(신장측실 유래의 압력)이 외주실(17)을 구획하는 프리 피스톤(5)의 수평 표면(신장측 수압 면적(B1))에 작용하고 있고, 또한 소실(15) 내의 압력, 즉, 리저버(R)의 압력이 프리 피스톤(5)의 소피스톤부(5b)의 수평 표면(수압 면적(C1))에 작용하고 있고, 대실(16)을 압축하는 방향인 상방으로 프리 피스톤(5)을 가압하고 있다. 또한, 수평 표면은, 도 1의 상하 방향에 수직한 면이다. 신장측 수압 면적(B1)은, 수평 방향으로 대피스톤부(5c)를 잘라서 얻어지는 단면의 외측 테두리와, 수평 방향으로 소피스톤부(5b)를 잘라서 얻어지는 단면의 외측 테두리로 둘러싸이는 면적이다. 수압 면적(C1)은, 수평 방향으로 소피스톤부(5b)를 잘라서 얻어지는 단면의 외측 테두리로 둘러싸이는 면적이다.
이와 같이, 프리 피스톤(5)을 미끄럼 이동 방향의 한쪽(도 1에서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프리 피스톤(5)에 압축측실 유래의 압력을 작용시킴과 함께, 프리 피스톤(5)을 미끄럼 이동 방향의 다른 쪽(도 1에서 상방)으로 가압하도록 프리 피스톤(5)에 신장측실 유래의 압력을 작용시키고 있다. 프리 피스톤(5)의 압축측실 유래 압력이 작용하는 압축측 수압 면적(A1)은, 프리 피스톤(5)의 신장측실 유래 압력이 작용하는 신장측 수압 면적(B1)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프리 피스톤(5)을 미끄럼 이동 방향의 다른 쪽에 압박하도록 신장측실 유래 압력이 작용하는 신장측 수압 면적(B1) 이외의 수압 면적(C1), 즉, 소실(15)에 면하는 면에는, 리저버(R)에서 유래된 압력을 작용시키고 있다.
프리 피스톤(5)의 압력실(14)에 대한 변위에 대하여 변위를 억제하는 가압력을 작용시키기 위해서, 스프링 요소(6)로서의 코일 스프링인 압축측 스프링(6a) 및 신장측 스프링(6b)이 설치되어 있다. 대실(16) 내에서, 압축측 스프링(6a)은, 대단면적부(14b)의 상부벽과 프리 피스톤(5)의 베이스부(5a)의 사이에 압축 상태로 개재 장착되어 있다. 소실(15) 내에서, 신장측 스프링(6b)은, 소단면적부(14a)의 저벽과 프리 피스톤(5)의 베이스부(5a)의 사이에 압축 상태로 개재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프리 피스톤(5)은, 압축측 스프링(6a) 및 신장측 스프링(6b)에 의해 상하측으로부터 끼움 지지되어, 압력실(14) 내의 소정의 중립 위치로 위치 결정되어 있다. 중립 위치로부터 변위하면 압축측 스프링(6a) 및 신장측 스프링(6b)이 프리 피스톤(5)을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려고 하는 가압력을 발생한다. 중립 위치는, 압력실(14)의 축방향 중앙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프리 피스톤(5)이 스프링 요소(6)에 의해 위치 결정되는 위치이다.
스프링 요소(6)는, 프리 피스톤(5)을 중립 위치로 위치 결정함과 동시에, 가압력을 발생할 수 있는 부재, 즉 코일 스프링 이외의 부재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스프링 요소(6)로서 접시 스프링 등의 탄성체를 사용해서 프리 피스톤(5)을 탄성 지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일단부가 프리 피스톤(5)에 연결되는 단일의 스프링 요소(6)를 사용할 경우에는, 대단면적부(14b)의 상부벽 또는 소단면적부(14a)의 저벽에 타단부를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스프링 요소(6)로서 압축측 스프링(6a)과 신장측 스프링(6b)이 사용되고 있고, 프리 피스톤(5)의 베이스부(5a)의 양측에 통 형상의 소피스톤부(5b) 및 대피스톤부(5c)가 설치되었다. 따라서, 압축측 스프링(6a)을 대피스톤부(5c) 내에, 소피스톤부(5b) 내에 신장측 스프링(6b)을 수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압축측 스프링(6a) 및 신장측 스프링(6b)의 신축 스페이스가 확보되어 프리 피스톤(5)의 스트로크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면서 압력실(14)의 전체 길이를 단축화할 수 있다. 완충 장치(D1)의 전체 길이나 스트로크 길이에 제약이 없어, 압력실(14)의 전체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경우에는, 프리 피스톤(5)은, 중실의 원기둥 형상의 소피스톤부(5b)와 대피스톤부(5c)를 일체화한 구조를 가져도 된다.
완충 장치(D1)의 압력실(14)이, 프리 피스톤(5)에 의해 신장측 압력실로서의 외주실(17)과 압축측 압력실로서의 대실(16)로 구획되어 있다. 프리 피스톤(5)이 이동하면 대실(16)과 외주실(17)의 용적이 변화한다.
완충 장치(D1)가 신장 작동할 경우, 피스톤(2)이 상방으로 이동하므로, 압축되는 신장측실(R1)로부터는 액체가 감쇠력 가변 밸브(V)를 통해서 리저버(R)에 배출되고, 확대되는 압축측실(R2)에는 흡입 통로(3)를 통해서 리저버(R)로부터 액체가 공급된다. 신장측실(R1) 내의 압력은 상승하고, 압축측실(R2) 내의 압력은 리저버(R) 내와 거의 동등해진다.
외주실(17)은, 신장측실(R1)에 연통되어 있고, 외주실(17) 내에는, 신장측실(R1)에서 유래된 압력이 작용한다. 소실(15)은, 리저버(R)에 연통하고 있으므로 소실(15) 내도 리저버(R) 내와 거의 동등한 압력으로 된다. 한편, 대실(16)은, 제1 밸브(Va)가 설치된 압축측 제1 통로(19a)를 통해서 압축측실(R2)에 연통하고 있다. 따라서, 외주실(17) 내의 압력 상승에 의해 프리 피스톤(5)이 상방으로 가압되면, 제1 밸브(Va)가 밸브 개방하여 대실(16)과 압축측실(R2)이 연통한다. 이 때, 대실(16) 내의 압력은, 압축측실(R2)의 압력을 기준으로, 제1 밸브(Va)에서의 압력 손실에 대응하는 양만큼 압축측실(R2) 내의 압력보다도 높아진다.
따라서, 완충 장치(D1)가 신장 작동할 경우, 프리 피스톤(5)의 압축측 수압 면적(A1)에는 제1 밸브(Va)의 압력 손실에 대응하는 양만큼 리저버(R)의 압력보다도 높은 압력이 작용하고, 수압 면적(C1)에는 리저버(R)의 압력에 거의 동등한 압력이 작용하고, 신장측 수압 면적(B1)에는 압축되는 신장측실(R1)에서 유래되는 높은 압력이 작용하므로, 프리 피스톤(5)은, 상방측으로 밀려 이동한다. 프리 피스톤(5)이 이동하면, 프리 피스톤(5)의 이동량에 따라서 외주실(17)에 액체가 유입하고, 대실(16)로부터 압축측실(R2)에 액체가 배출된다. 이 경우, 압력실(14)이 외관상의 유로로서 기능하고, 액체는 신장측실(R1)로부터 압축측실(R2)에 감쇠력 가변 밸브(V)를 우회해서 이동한다. 프리 피스톤(5)의 이동 속도가 빨라지면, 그에 따라 제1 밸브(Va)가 압축측 제1 통로(19a)를 크게 개방하므로, 대실(16)과 압축측실(R2)을 오리피스(O1, O2)만으로 연통했을 경우에 비하여, 프리 피스톤(5)의 이동 속도에 대한 대실(16) 내의 압력 상승 정도는 낮아진다.
한편, 완충 장치(D1)가 수축 작동할 경우, 피스톤(2)이 하방으로 이동하므로, 정류 통로(4)에 의해, 압축되는 압축측실(R2)과 확대되는 신장측실(R1)이 연통 상태에 놓이고, 실린더(1) 내로부터 액체가 감쇠력 가변 밸브(V)를 통해 리저버(R)에 배출된다. 따라서, 신장측실(R1) 내 및 압축측실(R2) 내의 압력은, 거의 동등하게 함께 상승하게 된다.
외주실(17)은, 신장측 통로(20)를 통해 신장측실(R1)에 연통되어 있고, 외주실(17) 내에는, 신장측실(R1)에서 유래된 압력이 작용한다. 소실(15)은, 리저버(R)에 연통하고 있으므로 소실(15) 내도 리저버(R) 내와 거의 동등한 압력으로 된다. 한편, 대실(16)은, 제2 밸브(Vb)가 설치된 압축측 제2 통로(19b)를 통해서 압축측실(R2)에 연통하고 있고, 압축측실(R2) 내의 압력 상승에 의해, 제2 밸브(Vb)가 밸브 개방하여 대실(16)과 압축측실(R2)이 연통한다. 이 경우, 대실(16) 내의 압력은, 압축측실(R2)의 압력을 기준으로 제2 밸브(Vb)에서의 압력 손실에 대응하는 양만큼 압축측실(R2) 내의 압력보다도 낮아진다.
따라서, 완충 장치(D1)가 수축 작동할 경우, 프리 피스톤(5)의 압축측 수압 면적(A1)에는 제2 밸브(Vb)의 압력 손실에 대응하는 양만큼 압축측실(R2)의 압력보다도 낮은 압력이 작용하고, 신장측 수압 면적(B1)에는 신장측실(R1)의 압력에 거의 동등한 압력이 작용하고, 수압 면적(C1)에는 리저버(R)의 압력이 작용한다. 압축측 수압 면적(A1)은 신장측 수압 면적(B1)보다도 크다. 완충 장치(D1)의 수축 작동 시에 있어서의 대실(16) 내의 압력과 압축측 수압 면적(A1)을 곱한 값이, 외주실(17)의 압력과 신장측 수압 면적(B1)을 곱한 값보다도 커지도록, 제2 밸브(Vb)의 압력 손실이 설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프리 피스톤(5)은, 하방측으로 밀려 이동한다. 프리 피스톤(5)이 이동하면, 외주실(17)로부터 배출 통로(7)에 액체가 배출되지만 대실(16)에 압축측실(R2)로부터 액체가 유입하고, 소실(15)로부터 액체가 리저버(R)에 배출된다. 이 경우, 대실(16)의 용적 확대량에서 외주실(17)의 용적 감소량을 뺀 양의 액체가 실린더(1) 내로부터 리저버(R)로 이동하게 된다. 즉, 압력실(14)이 외관상의 유로로서 기능하고, 소실(15)로부터 배출된 액체가 실린더(1) 내로부터 리저버(R)에 감쇠력 가변 밸브(V)를 우회해서 이동한다. 프리 피스톤(5)의 이동 속도가 빨라지면, 그에 따라 제2 밸브(Vb)가 압축측 제2 통로(19b)를 크게 개방하므로, 대실(16)과 압축측실(R2)을 오리피스(O1, O2)만으로 연통한 경우에 비하여, 프리 피스톤(5)의 이동 속도에 대한 대실(16) 내의 압력 하강 정도는 작아진다.
이와 같이, 프리 피스톤(5)을 미끄럼 이동 방향의 한쪽(도 1에서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프리 피스톤(5)에 압축측실 유래의 압력을 작용시킴과 함께, 프리 피스톤(5)을 미끄럼 이동 방향의 다른 쪽(도 1에서 상방)으로 가압하도록 프리 피스톤(5)에 신장측실 유래의 압력을 작용시키고 있다. 프리 피스톤(5)의 압축측실 유래 압력이 작용하는 압축측 수압 면적(A1)을 프리 피스톤(5)의 신장측실 유래 압력이 작용하는 신장측 수압 면적(B1)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유니 플로우형으로 설정되어 수축 작동 시에는 신장측실(R1)과 압축측실(R2)이 구조상 등압으로 되는 완충 장치에 있어서도 프리 피스톤(5)을 작동시켜서 압력실(14)을 외관상의 유로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여기서, 완충 장치(D1)에 입력되는 진동 주파수가 낮은 경우와 높은 경우에서, 피스톤 속도가 동일하다는 조건 하에서, 입력 주파수가 낮은 경우, 입력되는 진동의 진폭이 커지고, 프리 피스톤(5)의 진폭이 커진다. 이로 인해, 이 경우, 프리 피스톤(5)이 압축측 스프링(6a) 및 압축측 스프링(6b)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 요소(6)가 받는 가압력이 커진다. 완충 장치(D1)가 낮은 진동 주파수로 신축할 경우, 스트로크량이 커지므로, 액체가 실린더(1)로부터 리저버(R)에 배출되는 유량이 많다. 또한, 이 경우, 프리 피스톤(5)의 진폭이 커져서 스프링 요소(6)의 가압력이 커지므로, 프리 피스톤(5)은 그 이상 이동하기 어려워진다. 이로 인해, 외관상의 통로로서 기능하는 압력실(14)을 통해 신장측실(R1)과 압축측실(R2)의 액체의 수수이 적어지고, 그로 인해, 감쇠력 가변 밸브(V)를 통과하는 유량이 많아지므로, 완충 장치(D1)가 발생하는 감쇠력은 높은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비해, 완충 장치(D1)에의 입력 주파수가 높은 경우, 입력되는 진동의 진폭이 작아지고, 피스톤(2)의 진폭도 작다. 이 경우, 실린더(1)로부터 리저버(R)에 배출되는 유량이 적고, 프리 피스톤(5)의 진폭도 작아지므로, 프리 피스톤(5)이 스프링 요소(6)로부터 받는 가압력이 작다. 이로 인해, 완충 장치(D1)가 신장 행정이든 수축 행정이든, 감쇠력 가변 밸브(V)를 통과하는 유량에 대하여 외관상의 통로(압력실(14))를 통과하는 유량의 비율이 저주파 진동시보다도 많아지므로, 완충 장치(D1)가 발생하는 감쇠력은 저감되어 낮아진다.
완충 장치(D1)의 신축 속도가 빨라져서 대실(16)과 압축측실(R2)에서 왕래하는 액체의 유량이 증가해도, 제1 밸브(Va) 및 제2 밸브(Vb)가 그에 따라 압축측 제1 통로(19a) 및 압축측 제2 통로(19b)를 크게 개방한다. 따라서, 대실(16)과 압축측실(R2)를 오리피스만으로 연통한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 비하여, 프리 피스톤(5)이 움직이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없다. 그로 인해, 완충 장치(D1)의 신축 속도가 고속 영역에 달해도 감쇠력 저감 효과가 발휘된다. 구체적으로는, 완충 장치(D1)의 감쇠 특성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 중의 각 실선은, 감쇠력 조정부로서의 감쇠력 가변 밸브(V)로 완충 장치(D1)의 신장측 및 압축측의 감쇠력을 소프트, 미디엄, 하드로 한 경우에 대해서 감쇠 특성을 나타낸다. 파선은, 소프트, 미디엄, 하드의 감쇠 특성으로 설정되는 상황에 있어서, 완충 장치(D1)에 고주파 진동이 입력되어, 감쇠력이 저감된 경우의 감쇠력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완충 장치(D1)에 있어서는, 감쇠력의 변화를 입력 진동 주파수에 의존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차량의 차체(스프링 상부재)의 공진 주파수대에 있는 저주파 진동의 입력에 대하여, 완충 장치(D1)는, 높은 감쇠력을 발생하므로, 차체(스프링 상부재)의 자세를 안정시켜서, 차량 선회 시에 탑승자에게 불안을 느끼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차륜(스프링 하부재)의 공진 주파수대에 있는 고주파 진동이 입력되면, 완충 장치(D1)는, 반드시 낮은 감쇠력을 발생시켜서, 차륜측(스프링 하부재측)의 진동이 차체측(스프링 상부재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차량에서의 승차감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완충 장치(D1)의 신축 속도가 높아져도 고주파 진동 입력에 대하여 감쇠력 저감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므로, 보다 한층 차량에서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완충 장치(D1)는, 감쇠력 가변 밸브(V)가 액체의 흐름에 부여하는 저항을 조정함으로써, 감쇠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이 완충 장치(D1)에 있어서는, 감쇠력 가변 밸브(V)에 의한 감쇠력 조정을 행하면서도, 고주파수의 진동에 대해서는, 감쇠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완충 장치(D1)는, 비교적 낮은 주파수대의 진동에 대해서는, 감쇠력 조정부로서의 감쇠력 가변 밸브(V)의 컨트롤에 의해 감쇠력을 조정함으로써 차체 진동을 제진할 수 있다. 또한, 완충 장치(D1)는, 감쇠력 조정부로서의 감쇠력 가변 밸브(V)의 컨트롤에 의해서는 억제할 수 없는 고주파 진동에 대해서는 기계적으로 저감쇠력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차륜측으로부터의 진동을 절연해서 차체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차량에서의 승차감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완충 장치(D1)의 신축 속도가 빨라져서 대실(16)과 압축측실(R2)에서 왕래하는 액체의 유량이 증가해도, 제1 밸브(Va) 및 제2 밸브(Vb)가 그에 따라 압축측 제1 통로(19a) 및 압축측 제2 통로(19b)를 크게 개방한다. 이로 인해, 완충 장치(D1)의 신축 속도가 고속 영역에 달해도 감쇠력 저감 효과가 발휘된다.
감쇠력을 저감시키는 주파수대는, 프리 피스톤(5)의 압축측 수압 면적(A1), 신장측 수압 면적(B1), 수압 면적(C1)의 면적, 통로(18), 제1 밸브(Va), 제2 밸브(Vb), 신장측 통로(20)의 유로 저항 및 스프링 요소(6)의 스프링 상수(이 경우, 압축측 스프링(6a)과 신장측 스프링(6b)의 합성 스프링 상수)의 설정에 따라,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프리 피스톤(5)은, 스프링 요소(6)에 의해 중립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있고, 스프링 요소(6)의 가압력에 의해 중립 위치로 복귀된다. 이로 인해, 프리 피스톤(5)이 스트로크 엔드로 정지해버려, 완충 장치(D1)가 고주파 진동 입력 시에 감쇠력 저감 효과를 발휘할 수 없게 된다는 사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 대신에, 외주실(17)을 리저버(R)에 연통하고, 신장측 통로를 통해서 소실(15)을 신장측실(R1)에 연통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어도, 프리 피스톤(5)을 미끄럼 이동 방향의 한쪽(도 1에서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프리 피스톤(5)에 압축측실 유래의 압력을 작용시킴과 함께, 프리 피스톤(5)을 미끄럼 이동 방향의 다른 쪽(도 1에서 상방)으로 가압하도록 프리 피스톤(5)에 신장측실 유래의 압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프리 피스톤(5)의 압축측실 유래 압력이 작용하는 압축측 수압 면적(A1)이 프리 피스톤(5)의 신장측실 유래 압력이 작용하는 부위(C1)보다 크므로, 상기 구성과 마찬가지로, 압력실(14)을 외관상의 유로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소실(15)을 리저버(R)에 연통한 구성 대신에, 소실(15)을 완충 장치(D1)의 외부에 연통해서 대기 개방하거나, 소실(15)에 저압의 기체를 봉입하여, 소실(15)을 기체실로서 사용해도 된다. 그러한 구성이어도, 완충 장치(D1)가 신장 작동할 경우에는, 프리 피스톤(5)이 상방측으로 밀려 이동하고, 프리 피스톤(5)의 이동량에 따라서 외주실(17)에 액체가 유입되어, 대실(16)로부터 압축측실(R2)에 액체가 배출된다. 압력실(14)이 외관상의 유로로서 기능하여, 액체가 감쇠력 가변 밸브(V)를 우회해서 신장측실(R1)로부터 압축측실(R2)로 이동한다. 또한, 완충 장치(D1)가 수축 작동할 경우에는, 프리 피스톤(5)이 하방측으로 밀려 이동하고, 외주실(17)과 대실(16)의 합계 용적이 확대됨과 함께, 감쇠력 가변 밸브(V)를 통과하는 액체량이 감소한다. 따라서, 완충 장치(D1)는, 소실(15)을 리저버(R)에 연통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고주파 진동에 대하여 감쇠력을 저감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소실(15) 내를 기체실로 할 경우, 신장측 스프링을 기체 스프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소실(15)을 대기 개방하거나, 또는 기체실로 한 경우, 소실(15)을 리저버(R)에 연통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압력실(14)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피스톤 로드(21)에 고정하거나, 피스톤 로드(21) 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소실(15)을 리저버(R)에 연통할 경우에는, 압력실(14)을 완전히 완충 장치(D1) 내에 수용함과 함께, 소실(15)로부터 외주실(17) 또는 대실(16)에의 기체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소실(15)을 신장측실(R1)에 연통할 경우에는, 외주실(17)을 기체실로 할 수도 있다.
프리 피스톤(5)의 외주 단면 형상과 압력실(14)의 내벽 단면 형상은, 원형 이외의 형상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보텀 부재(11)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보텀 부재(11)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부재(22)와, 덮개 부재(23)와, 밸브 디스크(30)와, 캡(31)을 구비한다. 덮개 부재(23)는, 프리 피스톤(5)이 삽입되는 중공부(22a)를 구비한 케이스 부재(22)와, 케이스 부재(22)의 중공부(22a)를 폐색한다. 밸브 디스크(30)는, 덮개 부재(23)에 연결 로드(26)를 통하여 연결됨과 함께 압축측실 내(R2)에 배치된다. 캡(31)은, 연결 로드(26)의 외주에 장착됨과 함께 밸브 디스크(30)가 끼워 맞춰져서 압축측실(R2) 내에 방(S1)을 구획한다. 밸브 디스크(30)에는, 리프 밸브로 이루어지는 제1 밸브(32)와 제2 밸브(33)가 설치된다.
케이스 부재(22)는, 원기둥 형상이며 외주에 3개의 단차부를 구비하여, 상방으로 향할수록 단계적으로 줄어드는 외경을 갖는다. 케이스 부재(22)의 아래로부터 두번째의 단차부의 외주는 중간통(9)에 끼워 맞춰져 있고, 밑에서부터 세번째의 단차부는 중간통(9)과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중간통(9) 내에 위치하고 있다. 케이스 부재(22)의 최하단의 외경은, 중간통(9)의 내경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중간통(9)이 끼워 맞춰지는 케이스 부재(22)의 아래로부터 두번째의 단차부의 외주에는 시일링(24)이 장착되어 있어, 케이스 부재(22)의 외주를 통해서 배출 통로(7)와 리저버(R)가 연통해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케이스 부재(22)의 최하단의 외주는, 통 형상으로 되어 있고, 내외를 연통하는 복수의 절결(22b)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 부재(22)는, 상단부에 개구되는 중공부(22a)를 구비하고 있다. 중공부(22a)의 개구부는, 덮개 부재(23)에 의해 폐색되고, 케이스 부재(22)의 내부에 압력실(25)을 형성하고 있다. 중공부(22a)는, 개구부측에 형성된 대단면적부(25b)와, 대단면적부(25b)의 하방에 형성되어 대단면적부(25b)보다도 소직경인 소단면적부(25a)를 갖고 있다. 소단면적부(25a)와 대단면적부(25b)의 사이에는, 단차부(25c)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22)는, 관통 구멍(22c)과, 통로(22d)와, 통로(22e)를 구비한다. 관통 구멍(22c)은, 케이스 부재(22)의 아래로부터 세번째의 단차부의 외주에서 개구되어 단차부(25c)에 통한다. 통로(22d)는, 케이스 부재(22)의 하단부로부터 중공부(22a)의 저면에 통한다. 통로(22e)는, 케이스 부재(2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덮개 부재(23)는, 중앙에 상하 방향을 따라서 설치한 원판 형상의 볼트 삽입 관통 구멍(23a)과, 외주에 있어서, 하방에 연장 설치된 통 형상의 소켓(23b)과, 상하 방향을 따라서 설치한 포트(23c)를 구비한다. 케이스 부재(22)의 선단에 덮개 부재(23)의 소켓(23b)이 끼워 맞춰짐으로써, 중공부(22a)가 폐색되어, 케이스 부재(22)의 내부에 압력실(25)이 형성된다.
케이스 부재(22)의 중공부(22a) 내에는, 프리 피스톤(5)과 압축측 스프링(6a) 및 신장측 스프링(6b)이 수용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22)의 선단에 덮개 부재(23)의 소켓(23b)를 끼워 맞추면, 압축측 스프링(6a) 및 신장측 스프링(6b)이 압축되어, 프리 피스톤(5)은 압축측 스프링(6a) 및 신장측 스프링(6b)의 가압력에 의해 중립 위치로 위치 결정된다.
압력실(25)은, 프리 피스톤(5)이 삽입됨으로써, 소실(15), 대실(16) 및 외주실(17)로 구획된다. 소실(15)은, 케이스 부재(22)에 설치된 통로(22d)를 통해서 리저버(R)에 연통한다. 외주실(17)은, 관통 구멍(22c)을 통해서 배출 통로(7)에 연통한다. 단차부(25c)에 개구되는 관통 구멍(22c)은, 프리 피스톤(5)이 단차부(25c)에 완전히 밀착될 때까지는 외주실(17)과 배출 통로(7)의 연통을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볼트 삽입 관통 구멍(23a)에는, 연결 로드(26)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연결 로드(26)는, 선단에 나사부(26a)를 갖는 축부(26b)와, 축부(26b)의 기단부에 형성된 헤드부(26c)를 구비한다. 연결 로드(26)의 축부(26b)의 외주에는, 덮개 부재(23)의 상면에 적재된 디스크 형상의 체크 밸브(27)가 장착된다. 체크 밸브(27)는, 연결 로드(26)와, 나사부(26a)에 나사 장착되는 너트(28)에 의해, 덮개 부재(23)에 고정되고, 덮개 부재(23)에 형성된 포트(23c)를 개폐한다. 연결 로드(26)의 내부에는, 헤드부(26c)의 하단부에서 개구되고, 축부(26b)의 측부에 통하는 로드 내 통로(26d)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 로드(26)의 축부(26b)의 외주에는, 체크 밸브(27)보다도 상방에,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캡(31)과, 통 형상의 스페이서(34)와, 제2 밸브(33)와, 밸브 디스크(30)와, 제1 밸브(32)가 순서대로 부착된다. 이들은 너트(28)와, 연결 로드(26)에서의 헤드부(26c)로 끼움 지지되어, 덮개 부재(23)에 고정된다.
캡(31)은,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이며, 저부에 연결 로드(26)의 축부(26b)가 삽입 관통되는 구멍(31a)을 구비하고 있다. 스페이서(34)는, 정상이 있는 통 형상이며, 정상부에는 연결 로드(26)의 축부(26b)가 삽입 관통되는 구멍(34a)이 형성되어 있고, 통부에는 통부 내외를 연통하는 통과 구멍(34b)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 디스크(30)는, 연결 로드(26)의 축부(26b)가 삽입 관통되는 구멍(30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개구되는 제1 포트(30b) 및 제2 포트(30c)가 주연에 형성되어 있다.
밸브 디스크(30)가 스페이서(34)를 사이에 두고 축부(26b)에 부착되면, 밸브 디스크(30)의 외주가 캡(31)의 통부의 내주에 끼워 맞춰지므로, 캡(31) 내에는, 압축측실(R2)로부터 구획되는 방(S1)이 형성된다. 방(S1)은, 제1 포트(30b) 및 제2 포트(30c)를 통해서 압축측실(R2)에 연통한다. 연결 로드(26) 내에 설치된 로드 내 통로(26d)의 일단부는, 스페이서(34)의 통부 내에 위치하는 축부(26b)의 측부에서 개구되어 있고, 타단부는, 대실(16) 내에 위치하는 헤드부(26c)의 하단부에서 개구되어 있다. 스페이서(34)의 통부 내는, 통과 구멍(34b)을 통해서 방(S1)과 연통하고 있으므로, 대실(16)은, 로드 내 통로(26d), 스페이서(34) 내, 통과 구멍(34b), 방(S1), 제1 포트(30b) 및 제2 포트(30c)를 통해서 압축측실(R2)과 연통한다.
밸브 디스크(30)의 압축측실(R2)측의 면에 적층된 제1 밸브(32)는, 환 형상 판을 적층한 적층 리프 밸브이며 제1 포트(30b)의 상단 개구단부를 개폐한다. 제1 밸브(32)는, 제1 포트(30b)를 통해 대실(16)로부터 압축측실(R2)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일방 통행의 통로임과 동시에, 통과 액체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한다.
밸브 디스크(30)의 방(S1)측의 면에 적층된 제2 밸브(33)는, 환 형상판을 적층한 적층 리프 밸브이며 제2 포트(30c)의 하단 개구단부를 개폐한다. 제2 밸브(33)는, 제2 포트(30c)를 통하여 압축측실(R2)로부터 대실(16)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일방 통행의 통로임과 동시에, 통과 액체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한다.
도 3에 도시된 완충 장치(D1)에서는, 압축측 제1 통로는, 제1 포트(30b)와 로드 내 통로(26d)로 형성되어 있고, 압축측 제2 통로는, 제2 포트(30c)와 로드 내 통로(26d)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22)에 덮개 부재(23)를 끼워 맞춰서 일체화하면, 포트(23c)는, 통로(22e)를 통해서 리저버(R)에 연통한다. 포트(23c)를 개폐하는 체크 밸브(27)는, 완충 장치(D1)의 신장 작동 시에 압축측실(R2) 내의 압력이 감압되면 외주측이 휘어서 밸브 개방되고, 포트(23c) 및 통로(22e)를 통해서 리저버(R)와 압축측실(R2)을 연통한다. 체크 밸브(27)는, 포트(23c) 및 통로(22e)와 함께 흡입 통로(3)를 구성한다.
덮개 부재(23)와 케이스 부재(22)를 끼워 맞추는 부위에 시일링(29)을 장착해 두면, 덮개 부재(23)와 케이스 부재(22)의 사이가 시일되어, 배출 통로(7)와 대실(16)이 직접 연통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완충 장치(D1)에 있어서, 보텀 부재(11)를 구성하는 각 부재는, 완충 장치(D1) 내에 무리없이 내장된다.
도 4에 도시한 완충 장치(D1)에서는, 케이스 부재(22)의 통 형상의 선단부의 내주에 압입됨과 함께 포트(23c)가 개구되는 환상 홈(23d)을 덮개 부재(23)에 설치하고 있다. 환상 홈(23d)의 내주측의 벽이 케이스 부재(22)의 선단부의 내주에 간극을 발생하지 않고 압입되면, 대실(16)과 흡입 통로(3)의 연통이 확실하게 저지되어, 안정된 감쇠력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시일링(29)은, 케이스 부재(22)의 통 형상의 선단부의 외주에 장착되고, 소켓(23b)의 내주에 밀착되어 있다. 이것 대신에, 덮개 부재(23)의 소켓(23b)측에 시일링(29)을 장착하여, 케이스 부재(22)의 선단 외주에 시일링(29)이 밀착하도록 해도 된다.
도 3의 완충 장치(D1)에 대하여, 도 5에 도시한 완충 장치(D1)에서는, 밸브 디스크(40)를 케이스 부재(22) 내에 수용하고 있다. 밸브 디스크(40)는, 덮개 부재(23)에 연결 로드(41)에 의해 연결되고, 케이스 부재(22)의 중공부(22a) 내에 수용된다.
연결 로드(41)는, 선단부에 나사부(41a)를 갖는 축부(41b)와, 축부(41b)의 기단부에 형성된 헤드부(41c)와, 축부(41b)의 상단부에서 개구되어 축부(41b)의 측부에 통하는 로드 내 통로(41d)를 구비한다. 연결 로드(41)의 축부(41b)의 외주에는, 덮개 부재(23)의 압축측실(R2)측의 면에 적층되는 체크 밸브(27)가 장착된다. 체크 밸브(27)는, 연결 로드(41)와 나사부(41a)에 나사 장착되는 너트(42)에 의해, 덮개 부재(23)에 고정되고, 포트(23c)를 개폐한다.
연결 로드(41)의 축부(41b)의 외주에는, 덮개 부재(23)보다도 하방에, 통 형상의 스페이서(43)와, 제1 밸브(44)와, 밸브 디스크(40)와, 제2 밸브(45)와, 구멍이 뚫린 원반 형상의 스프링 지지부(46)가 부착된다. 이들은, 너트(42)와 연결 로드(41)에서의 헤드부(41c)로 끼움 지지되어, 덮개 부재(23)에 고정된다.
스페이서(43)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이며, 저부에 설치된 연결 로드(41)의 축부(41b)가 삽입 관통되는 구멍(43a)과, 통부에 설치된 통부 내외를 연통하는 통과 구멍(43b)을 구비하고 있다. 밸브 디스크(40)는, 중앙에 설치한 연결 로드(41)의 축부(41b)가 삽입 관통되는 구멍(40a)과,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개구되는 제1 포트(40b) 및 제2 포트(40c)를 구비하고 있다.
밸브 디스크(40)는, 스페이서(43)를 통하여 덮개 부재(23)에 적층된다. 축부(41b)에 부착된 밸브 디스크(40)가 중공부(22a) 내에 삽입되면, 밸브 디스크(40)의 외주가 케이스 부재(22)의 중공부(22a)의 내주에 끼워 맞춰지므로, 중공부(22a)는 압력실(25)과 방(S2)으로 구획된다.
밸브 디스크(40)로부터 하방의 압력실(25) 내에는, 프리 피스톤(5)과 압축측 스프링(6a) 및 신장측 스프링(6b)이 수용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22)의 선단부에 덮개 부재(23)의 소켓(23b)을 끼워 맞추면, 압축측 스프링(6a) 및 신장측 스프링(6b)가 압축되어, 프리 피스톤(5)은 압축측 스프링(6a) 및 신장측 스프링(6b)의 가압력에 의해 중립 위치로 위치 결정된다. 압축측 스프링(6a)의 상단부는, 스프링 지지부(46)에 접촉하여 지지되므로, 압축측 스프링(6a)이 제2 밸브(45)에 간섭하는 경우는 없다. 압축측 스프링(6a)을 연결 로드(41)의 헤드부(41c)로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여, 스프링 지지부(46)를 폐지해도 된다.
압력실(25) 내는, 프리 피스톤(5)이 삽입됨으로써, 소실(15), 대실(16) 및 외주실(17)로 구획된다. 소실(15)은, 케이스 부재(22)에 설치된 통로(22d)를 통하여 리저버(R)에 연통한다. 외주실(17)은, 관통 구멍(22c)을 통해서 배출 통로(7)에 연통한다. 단차부(25c)에 개구되는 관통 구멍(22c)은, 프리 피스톤(5)이 단차부(25c)에 완전히 밀착될 때까지는 외주실(17)과 배출 통로(7)의 연통을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방(S2)은, 제1 포트(40b) 및 제2 포트(40c)를 통해서 대실(16)에 연통한다. 연결 로드(41)에 설치된 로드 내 통로(41d)의 일단부는, 스페이서(43)의 통부 내에 위치하는 축부(41b)의 측부에서 개구되어 있고, 타단부는, 압축측실(R2)에 면하는 축부(41b)의 선단에서 개구되어 있다. 스페이서(43)의 통부 내는, 통과 구멍(43b)을 통해서 방(S2)과 연통하고 있으므로, 대실(16)은, 로드 내 통로(41d), 스페이서(43) 내, 통과 구멍(43b), 방(S2), 제1 포트(40b) 및 제2 포트(40c)를 통해서 압축측실(R2)과 연통한다.
밸브 디스크(40)의 대실(16)측의 면에 적층된 제2 밸브(45)는, 환 형상 판을 적층한 적층 리프 밸브이며 제2 포트(40c)의 하단 개구단부를 개폐한다. 제2 밸브(45)는, 제2 포트(40c)를 통하여 압축측실(R2)로부터 대실(16)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일방 통행의 통로임과 동시에, 통과 액체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한다.
밸브 디스크(40)의 압축측실(R2)측의 면에 적층된 제1 밸브(44)는, 환 형상 판을 적층한 적층 리프 밸브이며 제1 포트(40b)의 상단 개구단부를 개폐한다. 제1 밸브(44)는, 제1 포트(40b)를 통하여 대실(16)로부터 압축측실(R2)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일방 통행의 통로임과 동시에, 통과 액체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한다.
도 5에 도시된 완충 장치(D1)에서는, 압축측 제1 통로는, 제1 포트(40b)와 로드 내 통로(41d)로 형성되어 있고, 압축측 제2 통로는, 제2 포트(40c)와 로드 내 통로(41d)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22)에 덮개 부재(23)를 끼워 맞춰서 일체화하면, 포트(23c)는, 통로(22e)를 통해서 리저버(R)에 연통한다. 포트(23c)를 개폐하는 체크 밸브(27)는, 완충 장치(D1)의 신장 작동 시에 압축측실(R2) 내의 압력이 감압되면 외주측이 휘어서 밸브 개방되고, 포트(23c) 및 통로(22e)를 통해서 리저버(R)와 압축측실(R2)을 연통한다. 도 3의 완충 장치(D1)와 마찬가지로, 체크 밸브(27)는, 포트(23c) 및 통로(22e)와 함께 흡입 통로(3)를 구성한다.
도 5에 도시된 완충 장치(D1)에 있어서, 보텀 부재(11)를 구성하는 각 부재는, 완충 장치(D1) 내에 무리없이 내장된다.
도 3에서의 완충 장치(D1)에서는, 압축측실(R2) 내에 밸브 디스크(30), 제1 밸브(32) 및 제2 밸브(33)를 수용하고, 도 5에서의 완충 장치(D1)에서는, 보텀 부재(11) 내에 밸브 디스크(40), 제1 밸브(44) 및 제2 밸브(45)를 수용하고 있다. 따라서, 압축측실(R2) 내에 밸브 디스크(30)를 수용하는 도 3에서의 완충 장치(D1) 쪽이, 보텀 부재(11) 내에 밸브 디스크(40)를 수용하는 도 5에서의 완충 장치(D1)보다도, 밸브 디스크(30)의 외경을 크게 할 수 있고, 제1 밸브(32) 및 제2 밸브(33)의 외경에 대해서도 크게 할 수 있다. 제1 밸브(32) 및 제2 밸브(33)에서의 휨 강성은, 제1 밸브(44) 및 제2 밸브(45)의 휨 강성보다도 낮게 할 수 있으므로, 제1 밸브(32) 및 제2 밸브(33)가 밸브 개방되었을 때의 압력 손실은 제1 밸브(44) 및 제2 밸브(45)의 그것보다도 작아진다. 따라서, 도 3에서의 완충 장치(D1)는, 도 5에서의 완충 장치(D1)보다도, 고주파 진동 입력 시에 있어서의 감쇠력 저감 효과의 저감 폭을 크게 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른 완충 장치(D1)의 압력실(14, 25)은, 프리 피스톤(5)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 대신에, 프리 피스톤(5)이 상하 방향이 아니고, 가로 방향이나 비스듬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압력실(14, 25)을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프리 피스톤(5)은, 완충 장치(D1)에 입력되는 상하 방향의 진동 영향을 받기 어려워진다. 압력실(14, 25)을 프리 피스톤(5)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한 경우, 프리 피스톤(5)의 스트로크량을 확보하기 쉽고, 대형의 프리 피스톤(5)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상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에 나타내는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완충 장치에 의하면, 비교적 낮은 주파수대의 진동에 대해서는, 감쇠력 조정부에 의해 감쇠력 조정함으로써 차체 진동을 제진할 수 있다. 완충 장치는, 감쇠력 조정부에 의해서는 억제할 수 없는 고주파 진동에 대해서는 기계적으로 저감쇠력을 발생할 수 있고, 차륜측으로부터의 진동을 절연해서 차체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차량에서의 승차감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완충 장치의 신축 속도가 높아져서 대실과 압축측실에서 왕래하는 액체의 유량이 증가해도, 제1 밸브 및 제2 밸브가 그것에 따라 압축측 제1 통로 및 압축측 제2 통로를 크게 개방한다. 이로 인해, 완충 장치의 신축 속도가 고속 영역에 달해도 감쇠력 저감 효과가 발휘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상기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적용예의 일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상기 실시 형태의 구체적 구성으로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다.
본원은 2013년 3월 22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3-060603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시킨다.

Claims (5)

  1. 실린더(1)와, 상기 실린더(1)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당해 실린더(1) 내를 신장측실(R1)과 압축측실(R2)로 구획하는 피스톤(2)과, 리저버(R)와, 상기 리저버(R)로부터 상기 압축측실(R2)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흡입 통로(3)와,
    상기 압축측실(R2)로부터 상기 신장측실(R1)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정류 통로(4)와, 상기 신장측실(R1)로부터 상기 리저버(R)를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함과 함께 당해 액체의 흐름에 부여하는 저항을 변경 가능한 감쇠력 조정부를 구비한 완충 장치(D1)에서,
    소단면적부(14a)와 대단면적부(14b)를 갖는 압력실(14)을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압력실(14)의 소단면적부(14a)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소피스톤부(5b)와 상기 압력실(14)의 대단면적부(14b)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대피스톤부(5c)를 구비하여, 상기 소단면적부(14a) 내에 상기 소피스톤부(5b)로 소실(15)을 구획하고, 상기 대단면적부(14b) 내이며 상기 소피스톤부(5b)의 외주에 외주실(17)을 구획하고, 상기 대단면적부(14b) 내에 상기 대피스톤부(5c)로 대실(16)을 구획하는 프리 피스톤(5)과,
    상기 프리 피스톤(5)을 상기 압력실(14)에 대하여 중립 위치에 위치 결정함과 함께 당해 프리 피스톤(5)의 중립 위치로부터의 변위를 억제하는 가압력을 발생하는 스프링 요소(6)와,
    상기 소실(15) 또는 상기 외주실(17)의 한쪽을 상기 신장측실(R1)에 연통하는 신장측 통로(20)와,
    상기 대실(16)과 상기 압축측실(R2)을 연통하는 압축측 제1 통로(19a) 및 압축측 제2 통로(19b)와,
    상기 압축측 제1 통로(19a)에 설치되어 상기 대실(16)로부터 상기 압축측실(R2)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면서 당해 흐름에 저항을 부여하는 제1 밸브(Va, 32, 44)와,
    상기 압축측 제2 통로(19b)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측실(R2)로부터 상기 대실(16)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면서 당해 흐름에 저항을 부여하는 제2 밸브(Vb, 33, 45)를 구비하는, 완충 장치(D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Va, 32, 44) 및 상기 제2 밸브(Vb, 33, 45)는, 리프 밸브인 완충 장치(D1).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연결 로드(26)를 통해 연결됨과 함께 상기 압축측실(R2) 내에 배치되는 밸브 디스크(30)와,
    상기 연결 로드(26)의 외주에 장착됨과 함께 상기 밸브 디스크(30)가 끼워 맞춰져서 상기 압축측실(R2) 내에 방(S1)을 구획하는 캡(31)을 더 구비하고,
    상기 대실(16)은, 상기 연결 로드(26) 내에 형성한 로드 내 통로(26d)를 통해서 상기 방(S1)에 연통하고,
    상기 밸브 디스크(30)에 상기 방(S1)과 상기 압축측실(R2)을 연통하는 제1 포트(30b)와 제2 포트(30c)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포트(30b)와 상기 로드 내 통로(26d)로 상기 압축측 제1 통로(19a)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포트(30c)와 상기 로드 내 통로(26d)로 상기 압축측 제2 통로(19b)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 디스크(30)의 압축측실(R2)측에 상기 제1 포트(30b)를 개폐하는 제1 밸브(32)가 적층되고,
    상기 밸브 디스크(30)의 방(S1)측에 상기 제2 포트(30c)를 개폐하는 제2 밸브(33)가 적층된, 완충 장치(D1).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한 중공부(22a)에 수용되어 당해 중공부(22a)를 상기 대실(16)과 상기 압축측실(R2)에 연통되는 방(S2)으로 구획하는 밸브 디스크(40)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디스크(40)에 상기 방(S2)과 상기 대실(16)을 연통하는 제1 포트(40b)와 제2 포트(40c)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포트(40b)로 상기 압축측 제1 통로(19a)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포트(40c)로 상기 압축측 제2 통로(19b)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 디스크(40)의 방(S2)측에 상기 제1 포트(40b)를 개폐하는 제1 밸브(44)가 적층되고,
    상기 밸브 디스크(40)의 대실(16)측에 상기 제2 포트(40c)를 개폐하는 제2 밸브(45)가 적층된, 완충 장치(D1).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1)의 외측에 설치한 외통(10)과,
    상기 실린더(1)와 상기 외통(10)의 사이에 설치한 중간통(9)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실린더(1)와 상기 중간통(9)의 단부에 끼워 맞춰져서, 상기 중간통(9)과 상기 외통(10)의 사이에서 상기 리저버(R)가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1)와 상기 중간통(9)의 사이의 간극에 의해, 상기 신장측실(R1)을 상기 리저버(R)에 연통하는 배출 통로(7)가 형성되고,
    상기 감쇠력 조정부가, 상기 배출 통로(7)와 상기 리저버(R)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 통로(7)를 통해서, 상기 소실(15) 또는 상기 외주실(17)이, 상기 신장측실(R1)에 연통하는, 완충 장치(D1).
KR1020157026067A 2013-03-22 2014-03-20 완충 장치 KR1017108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60603 2013-03-22
JP2013060603A JP5961129B2 (ja) 2013-03-22 2013-03-22 緩衝装置
PCT/JP2014/057901 WO2014148635A1 (ja) 2013-03-22 2014-03-20 緩衝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137A KR20150121137A (ko) 2015-10-28
KR101710820B1 true KR101710820B1 (ko) 2017-02-27

Family

ID=51580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6067A KR101710820B1 (ko) 2013-03-22 2014-03-20 완충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28030B2 (ko)
EP (1) EP2977641B1 (ko)
JP (1) JP5961129B2 (ko)
KR (1) KR101710820B1 (ko)
CN (1) CN105051403B (ko)
WO (1) WO20141486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51404B (zh) * 2013-03-22 2016-11-02 Kyb株式会社 缓冲装置
JP6243173B2 (ja) * 2013-09-20 2017-12-06 Kyb株式会社 緩衝装置
JP6154741B2 (ja) * 2013-12-20 2017-06-28 Kyb株式会社 緩衝器
JP6339919B2 (ja) * 2014-10-06 2018-06-06 Kyb株式会社 緩衝器
JP6581895B2 (ja) * 2015-12-24 2019-09-25 株式会社ショーワ 圧力緩衝装置
JP6882866B2 (ja) 2016-08-09 2021-06-02 Kyb株式会社 シリンダ装置、及びシリンダ装置の製造方法
JP6817786B2 (ja) * 2016-11-04 2021-01-20 Kyb株式会社 シリンダ装置
US11566680B2 (en) * 2018-03-13 2023-01-31 Kyb Corporation Valve device and shock absorber
US11143260B2 (en) * 2018-12-28 2021-10-12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Damper with single external control valve
US11156261B2 (en) 2018-12-28 2021-10-26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Damper with multiple external control valves
JP7084888B2 (ja) * 2019-03-04 2022-06-15 Kyb株式会社 緩衝器
JP2020143682A (ja) * 2019-03-04 2020-09-10 Kyb株式会社 緩衝器
US11118649B2 (en) 2019-07-01 2021-09-14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Damper with side collector and external control valves
US11248677B2 (en) 2019-07-18 2022-02-15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Pre-assembled piston accumulator insert device
US11635122B2 (en) 2019-07-18 2023-04-25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Intake device for a damper having a side collec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68465B2 (ja) 2010-05-28 2014-04-09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緩衝器
JP5603817B2 (ja) 2011-03-23 2014-10-08 カヤバ工業株式会社 緩衝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38727A (ja) * 1988-03-18 1989-09-22 Toyota Motor Corp ショックアブソーバ
CN100414135C (zh) * 2003-07-24 2008-08-27 巴尔蒂克电子有限责任公司 具有可变阻尼特性的减震器
DE102005010240A1 (de) * 2005-03-05 2006-09-07 Zf Friedrichshafen Ag Selbstpumpender hydropneumatischer Schwingungsdämpfer
JP4919045B2 (ja) * 2007-04-19 2012-04-1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減衰力調整式流体圧緩衝器
KR101131050B1 (ko) * 2007-11-21 2012-03-29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
KR100904150B1 (ko) * 2007-12-05 2009-06-24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
DE102008060515B4 (de) * 2007-12-05 2015-08-06 Mando Corporation Schwingungsdämpfer
JP5308695B2 (ja) 2008-03-17 2013-10-09 カヤバ工業株式会社 減衰弁
US9038791B2 (en) * 2009-01-07 2015-05-26 Fox Factory, Inc. Compression isolator for a suspension damper
JP5503473B2 (ja) * 2010-09-10 2014-05-28 カヤバ工業株式会社 緩衝装置
CN102686903B (zh) * 2009-12-11 2014-09-17 萱场工业株式会社 缓冲装置
US8746423B2 (en) * 2010-03-02 2014-06-10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Shock absorber
JP5639870B2 (ja) * 2010-12-10 2014-12-10 カヤバ工業株式会社 車両用液圧緩衝器
US9533542B2 (en) * 2011-02-16 2017-01-03 Elite Suspension Systems, Llc Externally adjustable shock absorbing and suspens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20150047934A1 (en) * 2013-08-14 2015-02-19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Low pressure high compression damping monotube shock absorber having a baff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68465B2 (ja) 2010-05-28 2014-04-09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緩衝器
JP5603817B2 (ja) 2011-03-23 2014-10-08 カヤバ工業株式会社 緩衝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77641A1 (en) 2016-01-27
US20160059663A1 (en) 2016-03-03
JP2014185687A (ja) 2014-10-02
CN105051403B (zh) 2017-05-10
EP2977641B1 (en) 2018-09-26
CN105051403A (zh) 2015-11-11
EP2977641A4 (en) 2017-01-25
US9428030B2 (en) 2016-08-30
KR20150121137A (ko) 2015-10-28
WO2014148635A1 (ja) 2014-09-25
JP5961129B2 (ja) 201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0820B1 (ko) 완충 장치
KR101708588B1 (ko) 완충 장치
KR101773310B1 (ko) 완충 장치
US9840123B2 (en) Shock absorber
KR101772832B1 (ko) 완충 장치
US9217484B2 (en) Amplitude sensitive hydraulic damper
US20160263960A1 (en) Shock absorber
JP6838372B2 (ja) 減衰力調整機構
JP5681596B2 (ja) 緩衝装置
KR20150028346A (ko) 완충 장치
JP6097108B2 (ja) 緩衝装置
JP4318071B2 (ja) 油圧緩衝器
JP6013956B2 (ja) 緩衝装置
JP5690179B2 (ja) 緩衝装置
JP2014031853A (ja) 緩衝装置
JP6182006B2 (ja) 緩衝装置
JP5822355B2 (ja) 緩衝装置
JP2012207750A (ja) 緩衝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