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490B1 - 통행도어를 포함하는 철도선로용 안전펜스 - Google Patents

통행도어를 포함하는 철도선로용 안전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490B1
KR101707490B1 KR1020160135120A KR20160135120A KR101707490B1 KR 101707490 B1 KR101707490 B1 KR 101707490B1 KR 1020160135120 A KR1020160135120 A KR 1020160135120A KR 20160135120 A KR20160135120 A KR 20160135120A KR 101707490 B1 KR101707490 B1 KR 101707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fence
horizontal
passage
door
guid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덕룡
박성현
이석준
Original Assignee
대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서현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서현기술단 filed Critical 대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35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4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7/00Cattle guards connected to the permanent wa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행도어를 포함하는 철도선로용 안전펜스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안전펜스에 의해 구획된 작업공간으로 들어가거나 나가고자 하는 경우, 개방되면서 작업자에게 통행로를 제공하는 통행도어를 포함하는 철도선로용 안전펜스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철도선로를 구성하는 레일에 조립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자유단에 조립된 수직부; 상기 수직부에 설치된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에 조립되어 수직부를 상호 연결하는 강봉;으로 이루어진 철도선로용 안전펜스에 있어서, 상기 철도선로용 안전펜스는 통행로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된 구조로 시공된 제1안전펜스부와 제2안전펜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안전펜스부에는 2개의 이상의 수평레일과, 상기 수평레일에 지지된 채로 수평레일의 안내를 받아 제2안전펜스부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는 통행도어가 설치되되, 상기 각각의 수평레일은, 상향 경사진 구조를 갖도록 기울어진 제1영역; 및 하향 경사진 구조를 갖도록 기울어진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통행도어에는 각각의 수평레일에 결합된 채로 수평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블록이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 블록은 제1,2영역의 기울기에 대응하여 회전하면서 자세가 조절될 수 있도록 통행도어에 축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도어를 포함하는 철도선로용 안전펜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통행도어를 포함하는 철도선로용 안전펜스{Railway safety barrier fence having door}
본 발명은 철도선로용 안전펜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차의 주행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그리고 기타 외력에도 견고함이 유지되도록 철도선로에 직접 고정되게 설치되어 작업자에게 보다 안전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안전펜스의 내외부로 작업자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통행도어를 포함하는 철도선로용 안전펜스에 관한 것이다.
철도선로는 열차의 무거운 하중으로 인하여 하자가 발생되기 쉬우므로 빈번한 유지 보수 작업이 요구된다.
그러나, 철도선로의 유지 보수를 위하여 열차의 운행을 중단시킬 수는 없으므로, 열차가 정상 운행되는 와중에 유지 보수 작업이 진행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작업자들은 항상 위험에 노출된다.
특히 복선전철화 공사구간에서 두 개의 나란한 철도선로 사이에서 작업해야 하는 작업자는 상행선과 하행선 양측에서 운행되는 열차에 모두 추돌될 우려가 있어서 큰 위험에 노출된다.
실제로 복선전철화 공사구간에서 작업자가 열차에 치여 숨지는 사고가 때때로 발생되고 있으며, 발생되는 사고의 대부분은 열차의 속도와 중량으로 인하여 치명적인 결과로 귀결된다.
또한, 철도 운행선 인접공사구간에서 열차가 운행하고 있는 선로에 작업자가 무단침입하거나 중장비가 공사작업구간을 벗어나 전차선을 접촉하거나 열차와 충돌하는 사고가 때때로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철도선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도 1의 사진 (a) 내지 (c)에 나타난 바와 같은 안전펜스가 이용되거나 또는 도 1의 사진 (d)에 나타난 PVC 재질의 안전펜스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도 1의 사진 (a) 내지 (c)에 나타난 안전펜스는 작업이 실시되는 전 구간에 걸쳐 수많은 수직 기둥을 박는 작업이 요구되므로 안전펜스의 설치에 막대한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 1의 (d)에 나타난 PVC 재질의 안전펜스는 사람의 출입을 막기 위한 표지판에 불과하며 견고하게 설치되는 구조물이 아니므로, 열차의 주행으로 발생되는 강한 바람이나 진동에 쉽게 넘어지게 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용도로서는 부적합한 문제가 있다.
한편, 특허문헌1에는 철도선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레일에 조립되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견고한 구조를 가지면서 신속한 착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철도선로용 안전펜스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상기 특허문헌1에 따른 철도선로용 안전펜스를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음을 발견하게 되었다.
특허문헌1에 따른 안전펜스는 작업자가 작업구역 밖으로 나가거나 들어가기 위한 별도의 통행로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작업자의 이동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작업구역의 밖으로 나가거나 들어가고자 할 경우, 작업자는 안전펜스를 구성하는 파이프 사이를 불안정한 자세로 비집고 들어가는 방식으로 안전펜스를 통과해야만 하므로, 작업자가 안전펜스를 구성하는 구조물에 걸려 넘어지면서 또 다른 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있다.
물론, 특허문헌1에 따른 철도선로용 안전펜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특정 구간에 빈공간으로 남겨둔 채로 안전펜스를 시공하게 되면, 해당 구간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통행이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작업중인 작업자가 의도하지 않게 해당 구간을 통해 안전구역 밖으로 이탈하면서 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작업자의 통행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특정 공간을 빈공간으로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등록특허공보 제1590961호(2016.02.03.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펜스에 의해 구획된 작업공간으로 들어가거나 나가고자 하는 경우, 개방되면서 작업자에게 통행로를 제공하는 통행도어를 포함하는 철도선로용 안전펜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의도하지 않은 개방이나 열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통행도어를 포함하는 철도선로용 안전펜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철도선로를 구성하는 레일에 고정되게 조립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레일의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자유단에 수직한 구조로 조립된 수직부; 상기 수직부에 설치된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에 조립되어 이웃한 수직부를 상호 연결하는 강봉;으로 이루어진 철도선로용 안전펜스에 있어서, 상기 철도선로용 안전펜스는 통행로로서 사용될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된 구조로 시공된 제1안전펜스부와 제2안전펜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안전펜스부에는 2개의 이상의 수평레일과, 상기 수평레일에 지지된 채로 수평레일의 안내를 받아 제2안전펜스부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통행로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통행도어가 설치되되, 상기 각각의 수평레일은, 상기 통행도어가 중력에 의해 닫힘방향을 이동할 수 있도록 상향 경사진 구조를 갖도록 기울어진 제1영역; 및 상기 통행도어가 중력에 의해 열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향 경사진 구조를 갖도록 기울어진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통행도어에는 각각의 수평레일에 결합된 채로 수평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블록이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 블록은 제1,2영역의 기울기에 대응하여 회전하면서 자세가 조절될 수 있도록 통행도어에 축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도어를 포함하는 철도선로용 안전펜스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통행도어를 포함하는 철도선로용 안전펜스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평레일의 외주면에는 가이드 블록과 간섭되면서 가이드 블록의 이동이 멈추어지도록 유도하는 다수의 걸림돌기가 수평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삭제
한편 상기 통행도어를 포함하는 철도선로용 안전펜스에 있어서, 상기 통행도어에 설치된 제1록킹유닛; 및 상기 통행도어가 통행로를 완전히 폐쇄하도록 닫힌 경우, 상기 제1록킹유닛과 마주하면서 자력에 의해 결속되도록 제2안전펜스부에 설치된 제2록킹유닛;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전펜스를 지나 작업구역으로 들어가거나 작업구역으로부터 나가고자 하는 경우, 통행로의 개방을 통해 작업자가 쉽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행도어가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임의로 열리거나 닫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한 사용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 철도 선로 보수작업 광경을 나타내는 사진과 PVC 안전펜스를 나타내는 사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선로용 안전펜스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선로용 안전펜스의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선로용 안전펜스의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선로용 안전펜스의 배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레일에 걸림돌기가 더 형성된 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레일의 또 다른 구조를 보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선로용 안전펜스의 사시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선로용 안전펜스의 측면도를,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선로용 안전펜스의 평면도를,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선로용 안전펜스의 배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선로용 안전펜스는 고정부(100), 수평부(200), 수직부(300), 거치부(400), 강봉(500), 통행도어(60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100)는 철도선로를 구성하는 레일(R)에 고정된 구조로 조립되어 수평부(200)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상기 레일(R)의 하단부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구조를 갖도록 배치되는 2개의 고정판(110)과, 상기 수평부(200)로부터 연장되어 2개의 고정판(110)을 관통한 전산볼트(201)에 체결되어 고정판(110)을 레일(R)에 고정시키는 너트(120)와, 상기 너트(120)와 고정판(11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코일스프링(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부(200)는 레일(R)에 고정되게 조립된 고정부(100)로부터 레일(R)의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설치되는 부분으로,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거나, 2개의 부재가 상호 조립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부(200)는 제1연장부재(210)와, 제2연장부재(2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연장부재(210)는 중공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판(110)을 관통하는 전산볼트(201)가 일측단부에 형성되어 고정부(100)와 조립되는 구조를 갖고, 타측단은 지면으로부터 점차적으로 멀어지는 구조를 갖도록 계단형의 구조로 굽어진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제2연장부재(220)는 일측단이 제1연장부재(210)의 내부로 삽입된 채로 볼트체결에 의해 제1연장부재(210)에 결속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부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진 구조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연장부재(210)와 제2연장부재(220)로 구성된 수평부(200)는 레일(R)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부(100)에 일측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이 레일(R)의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팔보와 같은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수직부(300)는 수평부(200)의 자유단으로부터 수직한 구조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강봉(500)의 지지를 위한 구조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하단부가 수평부(200)의 자유단에 힌지결합되어 힌지축(31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이처럼 힌지축(310)을 매개로 수평부(200)와 결합된 수직부(300)가 수직 또는 그에 근접한 자세를 갖도록 세워졌을 때, 수직부(300)는 수평부(200)와 수직부(300)를 결속하는 스토퍼(320)에 의해 회전이 구속되어 세워진 자세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320)는 수직부(300)가 요구되는 자세를 갖도록 세워졌을 때, 일측단이 수평부(200)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측단이 수직부(300)에 결합되어 고정되어 수평부(200)와 수직부(300)를 특정한 자세로 결속하여 고정함으로써 수직부(300)의 회전을 억제하게 된다.
상기 거치부(400)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는 강봉(500)을 지지하도록 수직부(300)에 설치되는 것으로, 거치대(410)와 고정대(420)로 구성된다.
상기 거치대(410)는 수직부(300)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강봉(500)이 삽입 및 거치될 수 있도록 상단이 개방된 U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대(420)는 거치대(410)의 상단에 일측단이 힌지결합되고, 거치대(410)에 강봉(500)이 거치된 상태에서 거치대(410)의 상단을 폐쇄하도록 회전된 후, 고정볼트(430)에 의해 거치대(410)에 결속되어 강봉(50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거치부(400)는 각각의 수직부(300)에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도 3에는 각각의 수직부(300)에 2개의 거치부(400)가 설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강봉(500)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상기 거치부(400)에 설치되며, 이러한 강봉(500)에 의해 여러 수직부(300)가 상호 연결되면서 레일(R)을 따라 연장되는 안전펜스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고정부(100), 수평부(200), 수직부(300), 거치부(400), 강봉(500)은 특허문헌1에도 개시되어 있으며, 특허문헌1의 고정부, 수평부, 수직부, 거치부, 강봉을 그대로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펜스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고정부(100), 수평부(200), 수직부(300), 거치부(400), 강봉(50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철도선로용 안전펜스는 제1안전펜스부(11)와 제2안전펜스부(12)를 포함하며, 상기 제1안전펜스부(11)와 제2안전펜스부(12)는 통행로로서 사용될 통행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된 구조로 시공된다.
한편, 상기 제1안전펜스부(11)와 제2안전펜스부(12)는 통행로를 사이에 두고 이웃하게 시공된 두 안전펜스를 구분하여 통행로와 통행도어(600)의 설치구조를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구분하여 기재할 것일 뿐, 제1,2안전펜스부(11,12) 각각은 앞서 설명된 고정부(100), 수평부(200), 수직부(300), 거치부(400), 강봉(500)으로 구성되어 철도 레일(R)에 고정되게 조립되고, 레일(R)의 측면에 작업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펜스를 구성하는 점은 동일하며, 하나의 안전펜스에 여러 통행로가 형성되는 경우, 하나의 안전펜스에는 여러개의 제1안전펜스부(11)와 제2안전펜스부(12)가 포함된다.
상기 통행도어(600)는 제1안전펜스부(11)에 설치되되, 제2안전펜스부(12)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통행로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통행도어(600)의 설치를 위하여 제1안전펜스부(11)에는 2개 이상의 수평레일(610)이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통행도어(600)의 위쪽과 아래쪽을 지지할 수 있도록 2개의 수평레일(610)이 수직부(300)의 상단과 하단에 분산된 구조로 설치된다.
한편, 상기 수평레일(610)은 제1안전펜스부(11)를 구성하는 다수의 수직부(300) 중 통행로에 가장 근접한 두 수직부(300)에 양단이 결속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한편, 수평레일(610)과 수직부(300)의 결속을 위하여 해당 수직부(30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레일 클램프(611)가 설치되며, 상기 레일 클램프(611)는 수직부(300)를 감싸는 링구조로써 볼트 체결에 의해 수직부(300)에 고정되는 몸체부(611a)와, 상기 몸체부(611a)의 외측면에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어 수평레일(610)과 결합되면서 수평레일(610)을 지지하는 지지부(611b)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수평레일(610)에 통행도어(600)가 지지된 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통행도어(600)에는 수평레일(610)에 결합된 채로 수평레일(610) 따라 이동하면서 통행도어(600)의 이동을 지지하는 가이드 블록(620)이 설치된다.
또한, 통행도어(600)에는 작업자가 통행도어(600)를 열거나 닫기 위한 손잡이(630)가 더 구비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레일에 걸림돌기가 더 형성된 구조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수평레일(610)을 따라 이동하면서 통행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통행도어(600)는 열차의 주행이나 작업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저절로 열리거나 닫히지 않고 작업자가 조작한 경우에만 열리고 닫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평레일(610)에는 가이드 블록(620)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다수의 걸림돌기(610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걸림돌기(610a)는 수평레일(610)의 외주면으로부터 융기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돌기로써, 수평레일(61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분산된 구조로 형성되며, 가이드 블록(620)이 수평레일(610)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이드 블록(620)과 간섭되면서 가이드 블록(620)의 이동을 일시적으로 저지하도록 구성된다.
즉, 각각의 걸림돌기(610a)는 수평레일(610)의 외주면으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되어 가이드 블록(620)과 접촉하면서 가이드 블록(620)의 이동을 저지하되, 작업자가 통행도어(600)를 강제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가이드 블록(620)이 걸림돌기(610a)를 타고 넘어갈 수 있을 정도의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걸림돌기(610a)를 포함하는 수평레일(610)에 의하면, 통행도어(600)를 열고 닫을 때 통행도어(600)를 단계적으로 열고 닫을 수 있으며, 통행도어(600)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저절로 열리거나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레일의 또 다른 구조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통행도어(600)가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저절로 열기거나 닫히지 않도록 하되, 통행도어(600)의 열림동작 그리고 닫힘동작시 통행도어(600)가 일정범위를 넘어서면 통행도어(600)가 중력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하면서 해당 동작을 완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평레일(610)은 상향 경사진 구조를 갖도록 기울어진 제1영역(611)과, 하향 경사진 구조를 갖도록 기울어진 제2영역(612)과, 상기 제1영역(611)과 제2영역(612)을 부드러운 곡선 구조로 연결하는 제3영역(6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2,3영역(611,612,613) 중, 제2영역(612)이 통행로에 가장 근접하고, 제3영역(613)이 제2영역(612) 다음으로 통행로에 근접하며, 상기 제1영역(611)이 통행로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결국, 제1,2,3영역(611,612,613)으로 이루어진 수평레일(610)은 중앙부가 상방향으로 올라간 형태로 굽어진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수평레일(610)에 결합된 채로 수평레일(610)을 따라 이동하면서 통행도어(600)의 이동을 지지하는 가이드 블록(620)은 그 위치에 따라 제1,2,3영역(611,612,613)의 기울기에 대응하여 회전하면서 자세가 조절될 수 있도록 통행도어(600)에 축(621)을 매개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축(621)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수평레일(610)과 직교하는 형태를 갖도록 통행도어(600)에 설치되며, 가이드 블록(620)과 결합되어 가이드 블록(620)을 회전 가능한 구조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수평레일(610)과 가이드 블록(620)의 구조에 의하면, 가이드 블록(620)이 제1영역(611) 상에 위치하는 경우, 제1영역(611)의 기울기 및 중력으로 인해 가이드 블록(620)은 열림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통행도어(600)를 닫힘방향으로 강제로 이동시키지 않는 한 열림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통행로의 폐쇄를 위해 작업자가 통행도어(600)를 닫힘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가이드 블록(620)은 제1영역(611)을 타고 올라가 제3영역(613)을 지난 뒤, 제2영역(612)으로 진입하게 되며, 제2영역(612)에 진입한 후에는 작업자가 더 이상 통행도어(600)를 닫힘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더라도 제2영역(612)의 기울기 및 중력에 의해 가이드 블록(620)이 닫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처럼 제1,2,3영역(611,612,613)을 포함하는 수평레일(610)과 회전식 가이드 블록(620)이 적용된 경우, 통행도어(600)의 닫힘상태 및 열림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행도어(600)를 열거나 닫는 조작의 편의성 또한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통행도어(600)가 보다 안정적으로 닫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1록킹유닛(710)과 제2록킹유닛(72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록킹유닛(710)은 통행도어(600)의 측면 중, 제2안전펜스부(12)와 마주하는 측면에 설치된다.
상기 제2록킹유닛(720)은 통행도어(600)가 통행로를 완전히 폐쇄하도록 닫힌 경우, 제1록킹유닛(710)과 마주한 채로 밀착되도록 제2안전펜스부(12)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1록킹유닛(710)과 제2록킹유닛(720)은 서로 마주하여 밀착된 경우, 자력에 의해 결속될 수 있도록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제1안전펜스부 12: 제2안전펜스부
100: 고정부 200: 수평부
300: 수직부 400: 거치부
500: 강봉 600: 통행도어
610: 수평레일 610a: 걸림돌기
611: 제1영역 612: 제2영역
613: 제3영역 620: 가이드 블록
621: 축 710: 제1록킹유닛
720: 제2록킹유닛

Claims (4)

  1. 철도선로를 구성하는 레일에 고정되게 조립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레일의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자유단에 수직한 구조로 조립된 수직부; 상기 수직부에 설치된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에 조립되어 이웃한 수직부를 상호 연결하는 강봉;으로 이루어진 철도선로용 안전펜스에 있어서,
    상기 철도선로용 안전펜스는 통행로로서 사용될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된 구조로 시공된 제1안전펜스부와 제2안전펜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안전펜스부에는 2개의 이상의 수평레일과, 상기 수평레일에 지지된 채로 수평레일의 안내를 받아 제2안전펜스부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통행로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통행도어가 설치되되,
    상기 각각의 수평레일은, 상기 통행도어가 중력에 의해 닫힘방향을 이동할 수 있도록 상향 경사진 구조를 갖도록 기울어진 제1영역; 및 상기 통행도어가 중력에 의해 열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향 경사진 구조를 갖도록 기울어진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통행도어에는 각각의 수평레일에 결합된 채로 수평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블록이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 블록은 제1,2영역의 기울기에 대응하여 회전하면서 자세가 조절될 수 있도록 통행도어에 축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도어를 포함하는 철도선로용 안전펜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평레일의 외주면에는 가이드 블록과 간섭되면서 가이드 블록의 이동이 멈추어지도록 유도하는 다수의 걸림돌기가 수평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도어를 포함하는 철도선로용 안전펜스.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행도어에 설치된 제1록킹유닛; 및
    상기 통행도어가 통행로를 완전히 폐쇄하도록 닫힌 경우, 상기 제1록킹유닛과 마주하면서 자력에 의해 결속되도록 제2안전펜스부에 설치된 제2록킹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도어를 포함하는 철도선로용 안전펜스.
KR1020160135120A 2016-10-18 2016-10-18 통행도어를 포함하는 철도선로용 안전펜스 KR101707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120A KR101707490B1 (ko) 2016-10-18 2016-10-18 통행도어를 포함하는 철도선로용 안전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120A KR101707490B1 (ko) 2016-10-18 2016-10-18 통행도어를 포함하는 철도선로용 안전펜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490B1 true KR101707490B1 (ko) 2017-02-16

Family

ID=58264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120A KR101707490B1 (ko) 2016-10-18 2016-10-18 통행도어를 포함하는 철도선로용 안전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4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7266U (ko) * 2012-06-12 2013-12-20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철도용 근접 방음벽
KR101590961B1 (ko) 2015-04-28 2016-02-03 주식회사 서현기술단 철도 선로용 안전펜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7266U (ko) * 2012-06-12 2013-12-20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철도용 근접 방음벽
KR101590961B1 (ko) 2015-04-28 2016-02-03 주식회사 서현기술단 철도 선로용 안전펜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4995B1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JP6290427B2 (ja) 動滑車によって駆動される多段垂直開閉型スクリーンドア
KR101345027B1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1707490B1 (ko) 통행도어를 포함하는 철도선로용 안전펜스
US9010251B2 (en) Urban transport installation using track ropes
US5337520A (en) Safety device for overhead doors
KR101518136B1 (ko)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
JP2014004962A (ja) ホーム扉装置
JP6789501B2 (ja) ホームドア
JP6785075B2 (ja) 作業床の配置方法
KR102542724B1 (ko) 철도산업용 안전 작업대 설치사다리
RU2333308C1 (ru) Барьер противотаранный
JP2787201B2 (ja) プラットホームスクリーンドア
KR20030042173A (ko) 비상회차장치가 구비된 중앙분리대
KR100838336B1 (ko) 높이조절이 용이한 psd
KR102363087B1 (ko) 구조활동 및 유지관리에 최적화된 익사이팅 모험시설용 주행경로 설치구조
JP3195044U (ja) 安全帯用親綱取付具
JP5124420B2 (ja) 開閉装置
KR200475847Y1 (ko) 철도건널목의 통행안전장치
JP2003293335A (ja) 簡易車両規制装置
KR20230006286A (ko) 개폐식 안전 난간
JP7438841B2 (ja) プラットホーム柵
GB2591340A (en) A cattle guard
KR20160103865A (ko) 철도용 비상 대피로
JP2006240786A (ja) 免震建物用エレベータの乗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