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336B1 - 차량용 리클라이너 - Google Patents

차량용 리클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336B1
KR101706336B1 KR1020150142229A KR20150142229A KR101706336B1 KR 101706336 B1 KR101706336 B1 KR 101706336B1 KR 1020150142229 A KR1020150142229 A KR 1020150142229A KR 20150142229 A KR20150142229 A KR 20150142229A KR 101706336 B1 KR101706336 B1 KR 101706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elastic
cam
space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
Priority to KR1020150142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3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60N2/2251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g. sun and planet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60N2/225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60N2/225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with ratch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60N2/235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internal paw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리클라이너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리클라이너는: 레버와 연결된 회전축이 결합되고, 내치차가 구비되는 어퍼기어와, 어퍼기어와 결합되고, 중심에서 외측 반경 방향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공간부를 갖도록 다수의 설치블록이 형성되는 홀더와, 회전축이 삽입되어 함께 회전하고, 가압돌기를 형성하는 캠부재와, 공간부에 구비되어 가압돌기가 접촉면에 접촉되고, 내치차에 치합되는 외치차가 형성되는 록기어와, 록기어가 설치되지 않은 다른 공간부에 구비되어 외치차를 내치차에 치합시키도록 캠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리클라이너{RECLI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리클라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록기어를 작동하는 캠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홀더에 서로 마주보게 한 쌍 배치함으로써, 캠부재를 원주방향으로 항상 균등한 회전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리클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리클라이너는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시트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시켜 주는데 사용되는 장치이다.
차량에는 운전자나 탑승자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시트가 구비되어 있고, 이 시트 내부에는 레버작동에 의한 시트 고정베이스가 전후방으로 작동되어 시트를 전, 후방으로 당기거나 밀어 자량의 폭을 조절한 상태로 앉을 수 있다.
또한, 시트 고정베이스 일측 후방에는 등받이가 좌우로 회동 가능하도록 되는 리클라이너가 구성되어 있고, 이 리클라이너를 이용해 운전자나 탑승자의 체형이나 취향에 따라 시트의 각도를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되도록 한다.
기존의 차량용 리클라이너는 레버를 회전하여 회전축을 회전시키고, 회전축에 결합된 캠을 작동하여 내측이 캠의 외주면에 접하고 외측이 어퍼기어(또는 섹터 기어)의 내치차에 치합되는 록기어를 회전축 중심방향으로 이동시켜 어퍼기어의 내치차와 걸림을 해제함으로써 시트를 회전하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시트 각도 조절이 이루어진 후 레버를 놓아주면, 스프링에 의해 캠이 반전하면서 록기어가 반경 외측방향으로 벌려지면서 어퍼기어의 내치차에 치합되어 록킹 상태를 유지한다.
기존의 차량용 리클라이너에서 스프링은 1개 구비되어 캠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것으로서, 1개의 스프링의 외측 단부가 캠의 중심을 기준으로 둘레 1개 부위에만 걸려져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캠의 원주방향으로 편심력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캠에 의해 작동하는 록기어에 영향을 미치므로 리클라이너가 정교하게 작동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72185호(발명의 명칭: 차량용 리클라이너)에 제시된 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록기어를 작동하는 캠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홀더에 서로 마주보게 한 쌍 배치함으로써, 캠부재의 원주방향으로 항상 균등한 회전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리클라이너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캠부재와 록기어를 구속부를 이용하여 서로 구속하므로 안정적인 걸린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차량용 리클라이너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리클라이너는, 레버와 연결된 회전축이 결합되고, 내치차가 구비되는 어퍼기어; 상기 어퍼기어와 결합되고, 중심에서 외측 반경 방향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공간부를 갖도록 다수의 설치블록이 형성되는 홀더;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어 함께 회전하고, 가압돌기를 형성하는 캠부재; 상기 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돌기가 접촉면에 접촉되고, 상기 내치차에 치합되는 외치차가 형성되는 록기어; 및 상기 록기어가 설치되지 않은 다른 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외치차를 상기 내치차에 치합시키도록 상기 캠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간부는, 상기 록기어가 각각 설치되도록 마주보게 한 쌍 형성되는 제1공간부; 및 상기 탄성부가 각각 설치되도록 마주보게 한 쌍 설치되는 제2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공간부의 너비는 상기 제2공간부의 너비에 비해 넓게 형성되고, 상기 제1공간부와 상기 제2공간부는 2개씩 구비되고, 상호 직각방향 위치에서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부 및 상기 제2공간부의 너비는 상기 홀더의 중심부위에서 외곽부위까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치블록은 부채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설치블록의 상기 록기어가 접촉되는 안내면의 길이(L1)는 상기 탄성부가 설치되는 설치면의 길이(L2)에 비해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2공간부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제1고정부재; 상기 제2공간부 중 다른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제2고정부재; 상기 제1고정부재의 중심부위에 일측이 장착되고, 타측이 상기 캠부재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제2고정부재의 중심부위에 일측이 장착되고, 타측이 상기 캠부재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 및 상기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2탄성부재를 상기 캠부재에 구속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2탄성부재는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에 삽입되면서 걸려지는 걸림장착부; 및 상기 걸림장착부에 원형으로 감기는 코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부는 상기 홀더의 반경 중심방향 권취 간격(a)이 상기 홀더의 반경 외측방향 권취간격(b)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속부는, 상기 제1,제2탄성부재의 외측 단부 각각에 굴곡지게 형성되는 구속돌부; 및 상기 구속돌부에 걸리도록 상기 캠부의 둘레 외측으로 한 쌍 돌출 형성되는 캠회전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캠회전돌부는 상기 구속돌부를 걸어주도록 상기 캠부재의 둘레에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구속돌부와 상기 캠회전돌부 각각은 상기 록기어 록킹시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의 연결선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반전시켜 대칭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캠부재의 회전력을 상기 록기어에 전달하여 상기 외치차를 상기 내치차에서 이격시켜 록킹 해제하는 록킹해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록킹해제부는, 상기 캠부재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캠부재를 커버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작동돌부; 및 상기 작동돌부가 삽입되어 상기 록기어를 이동하도록 상기 록기어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작동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어퍼기어의 저면과 상기 캠부재와 상기 록기어 상면 사이에는 공간을 채우는 스페이서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스페이서부재는 상기 회전축이 끼워지는 중심구멍을 기준으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클라이너는, 록기어를 반경방향으로 작동하는 캠부재에 탄성력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홀더에 서로 마주보게 한 쌍 배치함으로써, 캠부재의 원주방향으로 항상 균등한 회전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캠부재와 록기어를 구속부를 이용하여 서로 구속하므로 안정적인 걸린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클라이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클라이너의 다른 방향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클라이너의 탄성부 측 조립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클라이너의 캡부재의 작동돌부 측 조립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에 캠부재, 록기어 및 탄성부가 안착된 상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클라이너의 록킹 전,후 상태를 같이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클라이너의 록킹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클라이너의 록킹 해제 중간 과정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클라이너의 록킹 해제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클라이너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클라이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클라이너의 다른 방향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클라이너의 탄성부 측 조립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클라이너의 캡부재의 작동돌부 측 조립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에 캠부재, 록기어 및 탄성부가 안착된 상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클라이너의 록킹 전,후 상태를 같이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클라이너의 록킹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클라이너의 록킹 해제 중간 과정 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클라이너의 록킹 해제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클라이너는, 어퍼기어(100), 홀더(200), 캡부재(300), 록기어(400), 탄성부(500) 및 록킹해제부(600)를 포함한다.
어퍼기어(100)는 차량용 시트의 등받이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레버(미도시)와 연결된 회전축(2)이 결합되고, 내주면에 내치차(110)가 형성된다.
내치차(110)는 어퍼기어(100)의 원형의 내주 테두리에 연속되게 형성된다.
어퍼기어(100)는 후술하는 캠부재(300), 록기어(400) 등을 수용하는 수용부(120)를 갖는다. 수용부(120)는 원형홈으로 형성된다.
홀더(200)는 어퍼기어(100)와 결합되고, 중심에서 외측 반경 방향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공간부(220)를 갖도록 다수의 설치블록(210)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홀더(200)의 중심부에는 회전축(2)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다.
설치블록(210), 공간부(220)는 90도 간격으로 각각 4개 형성된다.
캠부재(300)은 홀더(200)와 어퍼기어(100) 사이에 배치되어 외주면에 가압돌기(310)를 형성하고, 회전축(2)이 삽입되어 함께 회전한다.
가압돌기(310)는 캠부재(300)의 외주면에 180도 간격으로 모두 2개 형성된다.
가압돌기(310)는 후술하는 록기어(400)의 접촉면(420)에 접촉되어 회전을 통해 록기어(400)를 반경 외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록기어(400)는 홀더(200)의 공간부(220)에 구비되어 가압돌기(310)가 접촉면(410)에 접촉되고, 내치차(110)에 치합되는 외치차(410)가 형성된다.
록기어(400)는 2개의 공간부(220)에 180도 간격으로 각각 배치되어 캠부재(300)의 가압돌기(310) 회전에 의해 반경 외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외치차(410)가 내치차(100)에 치합됨으로써, 어퍼기어(100)에 록킹된다.
한편, 가압돌기(310)는 캠부재(300)의 회전에 의해 록기어(400)의 록킹 작동시 접촉면(420)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안착홈부(430)에 삽입되면서 록기어(400)를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캠부재(300)는 홀더(200)에 설치된 탄성부(50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된다.
탄성부(500)는 록기어(400)가 설치되지 않은 다른 공간부(220)에 구비되어 록기어(400) 록킹시 외치차(410)를 내치차(110)에 치합시키도록 캠부재(30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부(500)는 레버의 작동에 의해 회전축(2)을 회전하여 록기어(400)의 록킹을 해제할 때 탄성부(500)는 탄성 수축된다.
공간부(220)는 록기어(400)가 각각 설치되도록 마주보게 한 쌍 형성되는 제1공간부(222)와, 탄성부(500)가 각각 설치되도록 마주보게 한 쌍 설치되는 제2공간부(200)를 포함한다.
제1공간부(222)의 너비는 제2공간부(224)의 너비에 비해 넓게 형성된다.
제1공간부(222)와 제2공간부(224)는 2개씩 구비되고, 상호 직각방향 위치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공간부(222) 및 제2공간부(224)의 너비는 홀더(200)의 중심부위에서 외곽부위까지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제1공간부(222)의 너비는 록기어(400)의 너비와 같거나 약간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제1공간부(222)에서 록기어(400)의 반경방향 이동시 록기어(400)가 좌우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안내되도록 한다.
설치블록(210)은 부채꼴형상으로 형성된다.
설치블록(210)에서 록기어(210)가 접촉되는 안내면(212)의 길이(L1)는 탄성부(500)가 설치되는 설치면(214)의 길이(L2)에 비해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록기어(400)는 록킹 및 록킹 해제를 위해 제1공간부(222)의 반경 외측 또는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어야 하는 반면에, 탄성부(500)는 제2공간부(224)에 반경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상태에 있기 때문이다.
탄성부(500)는 제2공간부(224)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제1고정부재(510)와, 제2공간부(224) 중 다른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제2고정부재(520)와, 제1고정부재(510)의 중심부위에 일측이 장착되고, 타측이 캠부재(300)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530)와, 제2고정부재(530)의 중심부위에 일측이 장착되고, 타측이 캠부재(300)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540)와, 제1탄성부재(510)와 제2탄성부재(520)를 캠부재(300)에 구속하는 구속부(550)를 포함한다.
제1탄성부재(510)와 제2탄성부재(520)는 홀더(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제1고정부재(510)와 제2고정부재(520)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탄성부재(510)와 제2탄성부재(520)의 중심부위에 삽입되면서 걸림 장착된다.
제1탄성부재(530)와 제2탄성부재(540)는 제1고정부재(510)와 제2고정부재(520)에 삽입되면서 걸려지는 걸림장착부(532)와, 걸림장착부(532)에 원형으로 감기는 코일부(534)를 포함한다.
코일부(534)는 홀더(200)의 반경 중심방향 권취 간격(a)이 홀더(200)의 반경 외측방향 권취 간격(b)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걸림장착부(532)가 제1탄성부재(510)와 제2탄성부재(520)의 외측 단부에 형성된 구속돌부(552)와 멀리 떨어지게 형성함으로써, 캠부재(200)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구속부(550)는 제1탄성부재(510)와 제2탄성부재(520)의 외측 단부 각각에 굴곡지게 형성되는 구속돌부(552)와, 구속돌부(552)에 걸리도록 캠부재(300)의 둘레 외측으로 한 쌍 돌출 형성되는 캠회전돌부(554)를 포함한다.
캠회전돌부(554)는 구속돌부(552)를 걸어주도록 캠부재(300)의 둘레에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캠회전돌부(554)는 후술하는 한 쌍의 작동돌부(620)와 대략 90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캠회전돌부(554)는 제1,제2탄성부재(530,540)의 구속돌부(552)가 접촉되는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구속돌부(552)가 잘 걸리도록 구성된다.
한 쌍의 구속돌부(552)와 캠회전돌부(554) 각각은 록기어(400) 록킹시 제1고정부재(510)와 제2고정부재(520)의 연결선을 기준으로 연결선의 직각방향으로 반전시켜 대칭되게 형성된다.
캠부재(300)의 회전력을 록기어(400)에 전달하여 외치차(410)를 내치차(110)에서 이격시켜 록킹 해제하는 록킹해제부(600)를 더 포함한다.
록킹해제부(600)는 캠부재(300)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캠부재(300) 커버하는 커버부재(610)와, 커버부재(610)의 일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작동돌부(620)와, 작동돌부(620)가 삽입되어 록기어(400)를 이동하도록 록기어(400)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작동홈부(630)를 포함한다.
커버부재(610)는 캠부재(300)의 형상에 맞춰 일측면을 커버하되, 작동돌부(620)가 형성되는 부위가 조금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가압돌기(310)는 록기어(400)의 중심부위에 위치할 때, 작동돌부(620)는 록기어(400)의 중심부위를 기준으로 약간 좌측부위에 위치한다.
작동홈부(630)는 일측에 구비된 제1지점(640)에서 타측에 구비된 제2지점(650)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록기어(400)의 접촉면(420)은 수평 또는 작동홈부(630)의 경사도에 비해 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작동돌부(620)는 작동홈부(630)의 제1지점(640)에서 제2지점(650)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공간부(222)를 거쳐 록기어(400)를 외측에서 중심 방향으로 이동시켜 록킹 상태를 해제한다.
작동돌부(620)는 작동홈부(630)의 제1지점(640)에 위치하는 경우, 외치차(410)가 내치차(110)에 가장 접근한 록킹 상태에 있고, 작동홈부(630)의 제2지점(650)에 있는 경우, 외치차(410)가 내치차(110)에서 가장 이격된 록킹 해제 상태에 있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작동돌부(620)는 록기어(40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지점(640) 위치할 때의 회전각도(θ1)와, 제2지점(650) 위치할 때의 회전각도(θ2)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작동돌부(620)는 록기어(40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최고의 록킹 상태까지의 회전각도(θ1)와, 록기어(40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최고의 록킹 해제 상태까지의 회전각도(θ2)가 동일하다.
이와 같이, 작동돌부(620)의 이동이 록기어(400)에 좌우 균형을 유지하는 상태로 균등하게 이격되게 함으로써, 록기어(400)의 측면과 설치블록(210)의 안내면(212) 간의 마모를 줄여주어 회전축(2)에 대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작동돌부(620)는 원형 단면을 갖는 봉으로서, 제1지점(640)과 제2지점(650)의 반원부에 밀착 접촉된다.
록기어(400)가 설치블록(210) 사이에서 구속되어 이동하는 상태에서, 록기어(400)의 측면과 설치블록(210)의 안내면(212) 간에 마모가 발생하더라도 작동돌부(620)가 작동홈부(630)에 삽입되어 이중 구속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회전축(2)에 대한 유동을 최대한 방지하는 것이다.
록기어(400)의 접촉면(420)에는 록기어(400)의 외치차(410)가 어퍼기어(100)의 내치차(110)에 맞물리는 록킹 작동시, 가압돌기(310)의 굴곡면(320)이 안착되는 안착홈부(430)가 형성되어 안정적인 록킹 상태가 유지되도록 해준다.
한편, 어퍼기어(100)와 홀더(200)를 동시에 감싸는 하우징(800)이 구비된다.
어퍼기어(100)의 저면과 캠부재(300)와 록기어(400) 상면 사이에는 스페이서부재(700)가 구비된다.
스페이서부재(700)는 어퍼기어(100)의 저면과 캠부재(300)와 록기어(400) 상면 사이의 빈공간을 채우면서 안정적으로 캠부재(300)의 회전과 록기어(400)의 직진이동을 도와준다.
스페이서부재(700)는 회전축(2)이 끼워지는 중심구멍을 기준으로 다수의 관통공(710)이 형성된다.
관통공(710)은 중심구멍을 기준으로 4개 형성되되, 록기어(400)의 작동홈부(630)의 경사방향과 대응하는 경사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부재(700)의 관통공(710)은 작동홈부(630)에 비해 더 큰 간격을 가지면서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작동홈부(630)는 관통공(710)의 중심부위에 배치되는 상태로 형성하도록 한다. 관통공(710)을 형성하는 이유는 스페이서부재(700)의 무게를 줄일 뿐만 아니라,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는 록기어(400)의 작동돌부(620)와 작동홈부(630)의 이동범위를 포괄함으로써, 작동돌부(620)와 작동홈부(630) 간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함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클라이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를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회전축(2)이 제1탄성부재(530)와 제2탄성부재(540)의 탄성력을 받아 왼쪽으로 회전하고 있어 캠부재(300)의 가압돌기(310)가 접촉면(420)의 안착홈부(430)를 밀어줌으로써 록기어(400)는 중심에서 외측 반경방향으로 이동하여 외치차(410)가 어퍼기어(100)의 내치차(110)에 치합되어 록킹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써, 회전축(2)에 연결된 등받이 회전축 역시 회전이 방지되어 시트에 대한 등받이 각도의 고정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제1탄성부재(530)와 제2탄성부재(540)는 걸림장착부(532)에 지지된 코일부(534)의 탄성력을 받는 각각의 구속돌부(552)에 의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캠회전돌부(55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록기어(400)의 외치차(410)가 어퍼기어(100)의 내치차(110)에 치합되어 견고한 록킹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사용자가 시트의 등받이 각도를 조절하고자 한다면, 레버를 통해 회전축(2)을 회전하면, 이에 결합된 캠부재(300)가 회전하면서 함께 고정된 커버부재(610)의 작동돌부(6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작동홈부(630)의 제1지점(640)으로부터 제2지점(650)까지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향 경사진 작동홈부(630)의 내측면을 가압하게 된다. 가압돌기(310)는 회전축(2)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접촉면(420)과의 수직 방향 거리가 점차 낮아져서 록기어(400)의 하강에 따른 걸림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작동돌부(620)가 점차적으로 회전하면서 작동홈부(630)를 통해 원주방향 가압력이 수직방향 가압력으로 전환되어 록기어(400)를 외측 방향에서 중심방향으로 당겨줌으로써 외치차(410)를 어퍼기어(100)의 내치차(110)로부터 점차적으로 이격시키면서 록킹 상태가 해제된다.
이때, 제1탄성부재(530)와 제2탄성부재(540)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캡회돌부(55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이에 걸려진 각각의 구속돌부(552) 역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걸림장착부(532)에 지지된 코일부(534)가 탄성적으로 압축된다.
한편, 록기어(400)의 원상 복귀 상태를 상세하게 살펴 본다.
사용자가 시트의 각도를 조절한 후 레버를 놓아주면, 제1탄성부재(530)와 제2탄성부재(540)의 압축되었던 코일부(534)가 탄성력을 회복하면서 구속돌부(552)가 캠회전돌부(55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캠부재(300)의 가압돌기(310)가 록기어(400)의 접촉면(420)에 접촉되는 상태로 상측으로 밀어주고, 록기어(400)가 중심방향에서 외측 반경방향으로 가압 이동된다.
연이어, 가압돌기(310)의 굴곡면(320)이 접촉면(420)의 안착홈부(430)에 안착하는 순간 록기어(400)는 가장 외측으로 벌려지는 상태에 있게 되고, 외치차(410)가 어퍼기어(100)의 내치차(110)에 치합되고, 차량용 시트의 등받이 각도는 록킹된다.
이때, 작동돌부(620)는 작동홈부(630)을 따라 이동하면서 록기어(400)를 이중 구속시키는 상태로 있게 된다.
이로써, 제1탄성부재(530)와 제2탄성부재(540)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돌부(620)가 작동홈부(630)를 거쳐 가하는 전달력과, 가압돌기(310)가 접촉면(420)에 접촉되면서 제공하는 전달력을 통해 록기어(400)는 설치블록(210) 사이 제1공간부(222)을 통해 안정적이고 균등한 이동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탄성부재(530)과 제2탄성부재(540)에 의해 균등한 회전력이 캠부재(300)에 가해짐으로써, 안정적인 록킹 상태 및 록킹 해제 상태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 회전축 100 : 어퍼기어
110 : 내치차 120 : 수용부
130 : 끼움공 200 : 홀더
210 : 설치블록 212 : 안내면
214 : 설치면 220 : 공간부
222 : 제1공간부 224 : 제2공간부
300 : 캠부재 310 : 가압돌기
320 : 굴곡면 400 : 록기어
410 : 외치차 420 : 접촉면
430 : 안착홈부 500 : 탄성부
510 : 제1고정부재 520 : 제2고정부재
530 : 제1탄성부재 540 : 제2탄성부재
532 : 걸림장착부 534 : 코일부
550 : 구속부 552 : 구속돌부
554 : 캠회전돌부 600 : 록킹해제부
610 : 커버부재 620 : 작동돌부
630 : 작동홈부 640 : 제1지점
650 : 제2지점 700 : 스페이서부재
710 : 관통공

Claims (11)

  1. 레버와 연결된 회전축이 결합되고, 내치차가 구비되는 어퍼기어;
    상기 어퍼기어와 결합되고, 중심에서 외측 반경 방향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공간부를 갖도록 다수의 설치블록이 형성되는 홀더;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어 함께 회전하고, 가압돌기를 형성하는 캠부재;
    상기 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돌기가 접촉면에 접촉되고, 상기 내치차에 치합되는 외치차가 형성되는 록기어; 및
    상기 록기어가 설치되지 않은 다른 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외치차를 상기 내치차에 치합시키도록 상기 캠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 를 포함하고,
    상기 캠부재의 회전력을 상기 록기어에 전달하여 상기 외치차를 상기 내치차에서 이격시켜 록킹 해제하는 록킹해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록킹해제부는,
    상기 캠부재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캠부재를 커버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작동돌부; 및
    상기 작동돌부가 삽입되어 상기 록기어를 이동하도록 상기 록기어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작동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어퍼기어의 저면과 상기 캠부재와 상기 록기어 상면 사이에는 공간을 채우는 스페이서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스페이서부재는 상기 회전축이 끼워지는 중심구멍을 기준으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중심구멍을 기준으로 4개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스페이서부재의 원주방향으로 동일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작동홈부의 경사방향과 대응하는 경사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작동홈부는 상기 관통공의 중심부위에 배치되는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클라이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록기어가 각각 설치되도록 마주보게 한 쌍 형성되는 제1공간부; 및
    상기 탄성부가 각각 설치되도록 마주보게 한 쌍 설치되는 제2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클라이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부의 너비는 상기 제2공간부의 너비에 비해 넓게 형성되고,
    상기 제1공간부와 상기 제2공간부는 2개씩 구비되고, 상호 직각방향 위치에서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부 및 상기 제2공간부의 너비는 상기 홀더의 중심부위에서 외곽부위까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클라이너.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블록은 부채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설치블록의 상기 록기어가 접촉되는 안내면의 길이(L1)는 상기 탄성부가 설치되는 설치면의 길이(L2)에 비해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클라이너.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2공간부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제1고정부재;
    상기 제2공간부 중 다른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제2고정부재;
    상기 제1고정부재의 중심부위에 일측이 장착되고, 타측이 상기 캠부재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제2고정부재의 중심부위에 일측이 장착되고, 타측이 상기 캠부재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 및
    상기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2탄성부재를 상기 캠부재에 구속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클라이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2탄성부재는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에 삽입되면서 걸려지는 걸림장착부; 및 상기 걸림장착부에 원형으로 감기는 코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부는 상기 홀더의 반경 중심방향 권취 간격(a)이 상기 홀더의 반경 외측방향 권취 간격(b)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클라이너.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제1,제2탄성부재의 외측 단부 각각에 굴곡지게 형성되는 구속돌부; 및
    상기 구속돌부에 걸리도록 상기 캠부의 둘레 외측으로 한 쌍 돌출 형성되는 캠회전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클라이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캠회전돌부는 상기 구속돌부를 걸어주도록 상기 캠부재의 둘레에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클라이너.
  9. 제 7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구속돌부와 상기 캠회전돌부 각각은 상기 록기어 록킹시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의 연결선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반전시켜 대칭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클라이너.
  10. 삭제
  11. 삭제
KR1020150142229A 2015-10-12 2015-10-12 차량용 리클라이너 KR101706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229A KR101706336B1 (ko) 2015-10-12 2015-10-12 차량용 리클라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229A KR101706336B1 (ko) 2015-10-12 2015-10-12 차량용 리클라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6336B1 true KR101706336B1 (ko) 2017-02-16

Family

ID=58264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229A KR101706336B1 (ko) 2015-10-12 2015-10-12 차량용 리클라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3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59398B2 (en) * 2018-05-09 2021-07-13 Martur Italy S.R.L. Discontinuous recliner for a vehicle sea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50050A (ja) * 2004-05-12 2005-12-22 Imasen Electric Ind Co Ltd 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20120118489A (ko) * 2010-01-29 2012-10-26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클라이너 메카니즘
KR101417079B1 (ko) * 2007-06-15 2014-07-09 주식회사다스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의 유격방지구조
KR101453077B1 (ko) * 2013-04-19 2014-10-23 주식회사 대한 차량용 직진 리클라이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50050A (ja) * 2004-05-12 2005-12-22 Imasen Electric Ind Co Ltd 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1417079B1 (ko) * 2007-06-15 2014-07-09 주식회사다스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의 유격방지구조
KR20120118489A (ko) * 2010-01-29 2012-10-26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클라이너 메카니즘
KR101453077B1 (ko) * 2013-04-19 2014-10-23 주식회사 대한 차량용 직진 리클라이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59398B2 (en) * 2018-05-09 2021-07-13 Martur Italy S.R.L. Discontinuous recliner for a vehicle sea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2260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20140044331A (ko) 내부 판 스프링을 구비한 디스크 리클라이너
US9903453B2 (en) Reclining device
KR100840404B1 (ko) 차량 좌석용 힌지 기구 및 그 힌지 기구를 구비한 좌석
JP5701644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4940293B2 (ja) 車両座席用取り付け具
JP4955368B2 (ja) 車両座席用取り付け具
US9573493B2 (en) Seat reclining device
JP2008543387A (ja) メモリ付きディスク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3633890B2 (ja) 背当て部の傾斜調節のための係止金具
KR20150008063A (ko) 신속 조절식 연속 결합 리클라이너
JP4355340B2 (ja) 車両座席用取り付け具
KR20140058605A (ko) 연속적으로 맞물린 리클라이너의 신속 조정
US8926018B2 (en) Reclining apparatus
JP2007136172A5 (ko)
KR101793440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JP5961759B2 (ja) 調節可能な車両シート
US20180213936A1 (en) Reclining device
KR101799760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706336B1 (ko) 차량용 리클라이너
KR101453077B1 (ko) 차량용 직진 리클라이너
KR101999118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972336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295332B1 (ko) 차량용 리클라이너
US10549657B2 (en) Adjust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