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8063A - 신속 조절식 연속 결합 리클라이너 - Google Patents

신속 조절식 연속 결합 리클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8063A
KR20150008063A KR1020147028188A KR20147028188A KR20150008063A KR 20150008063 A KR20150008063 A KR 20150008063A KR 1020147028188 A KR1020147028188 A KR 1020147028188A KR 20147028188 A KR20147028188 A KR 20147028188A KR 20150008063 A KR20150008063 A KR 20150008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ear plate
detent
cam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8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뮤엘 제임스 매트
Original Assignee
마그나 시팅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그나 시팅 인크. filed Critical 마그나 시팅 인크.
Publication of KR20150008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80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60N2/225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e.g. one gear without sun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60N2/225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60N2/235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internal pa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60N2/235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internal pawls
    • B60N2/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internal pawls linearly mov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디스크 리클라이너는 고정판과 가동판 사이에 배치되는 기어판을 포함한다. 기어판과 고정판은 기어판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멈춤쇠에 의해 작동적으로 결합된다. 가동판의 내향 톱니가 기어판의 외향 톱니와 맞물림 결합되도록 편심 요소가 기어판과 가동판 사이에서 작동적으로 결합된다. 멈춤쇠가 기어판으로부터 해제되면, 가동판이 기어판과 함께 고정판에 대해 회전하여 시트 등받이를 절첩 위치로 선회시킨다. 멈춤쇠가 기어판과 결합되면, 편심 요소의 회전으로 인해 내향 톱니와 외향 톱니 사이의 결합 지점이 변위되고 기어판과 고정판에 대한 가동판의 요동 회전 이동이 초래되어 복수의 눕힘 착석 위치 사이에서 시트 등받이를 선회시킨다.

Description

신속 조절식 연속 결합 리클라이너{QUICK ADJUST CONTINUOUSLY ENGAGED RECLINER}
본 출원은 "신속 조절식 연속 결합 리클라이너"를 발명의 명칭으로 하여 2012년 4월 12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623,197호의 우선권 및 일체의 편익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시트 쿠션에 대한 시트 등받이의 선회식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 시트 조립체용 디스크 리클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시트 등받이를 진입 용이 위치 또는 편평 절첩 위치로 신속히 조절하기 위해 해제 특징부를 구비한 연속 디스크 리클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는 시트 쿠션과, 차량 바닥보다 높이 승객을 지지하기 위한 시트 등받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시트 조립체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시트 조립체는 승객의 편안함을 위해 시트 조립체의 활주식 전후방향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시트 트랙 조립체에 의해 일반적으로 차량 바닥에 장착된다. 또한, 시트 등받이는 시트 쿠션에 대한 시트 등받이의 선회식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리클라이너 조립체에 의해 시트 쿠션에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잘 알려진 일 유형의 리클라이너 조립체는 시트 쿠션에 시트 등받이를 작동적으로 결합시키는 한 쌍의 연속 디스크 리클라이너를 포함한다. 통상적인 종래 기술의 연속 디스크 리클라이너는 시트 쿠션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시트 등받이에 고정되고 고정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판을 포함한다. 고정판은 복수의 외향 톱니를 갖는 외측 프로파일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가동판은 복수의 내향 톱니를 갖는 내측 프로파일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외향 톱니의 개수는 내향 톱니의 개수보다 적어도 하나가 적다. 구동 메커니즘이 가동판과 고정판 사이에 배치되어 가동판이 고정판에 대해 회전하도록 강제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구동 메커니즘은 편심 요소를 한정하는 캠과 한 쌍의 웨지를 포함한다. 편심 요소는 내향 톱니와 외향 톱니의 일부를 결합 지점에서 함께 가압하는 편심을 가동판과 고정판 사이에서 생성한다. 캠이 제1 방향으로 회전되면, 웨지가 제1 방향으로 구동되어 편심의 방향을 변위시키고, 이로써 내향 톱니와 외향 톱니의 결합 지점을 변위시킨다. 결합 지점의 변위는 제1 방향으로 가동판의 요동 회전 이동으로서 발현되고, 이로써 시트 등받이를 후방으로 기울이거나 눕힌다. 캠이 제2 방향으로 회전되면, 웨지가 제2 방향으로 구동되어 편심의 방향을 변위시키고, 이로써 내향 톱니와 외향 톱니의 결합 지점을 변위시킨다. 결합 지점의 변위는 제2 방향으로 가동판의 요동 회전 이동으로서 발현되고, 이로써 시트 등받이를 전방으로 기울인다. 시트 등받이는 결합 지점에서 내향 톱니와 외향 톱니 사이의 마찰에 의해 그리고 구동 메커니즘과 고정판 및 가동판 사이의 마찰로 인해 소기의 착석 위치에 유지된다.
연속 디스크 리클라이너의 한 가지 단점은 시트 쿠션에 중첩되는 진입 용이 위치 또는 편평 절첩 위치까지 큰 시트 등받이 각도에 걸쳐 시트 등받이를 신속히 조절하거나 '털썩 넘어뜨리는(dumping)' 동작을 제공할 수 없다는 것이다. 진입 용이 위치 또는 편평 절첩 위치로 시트 등받이를 선회시키려면 연속 디스크 리클라이너는 전체 조절 범위에 걸쳐 가동되어야 한다. 연속 디스크 리클라이너가 시트 등받이에 대한 매우 우수한 미세 조절을 제공하긴 하지만, 큰 좌석 등받이 각도에 걸쳐 시트 등받이를 이동시키기 위한 가동 시간이 긴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특정한 경우에는, 연속 디스크 리클라이너로부터 시트 등받이를 분리하여 시트 등받이가 진입 용이 위치 또는 편평 절첩 위치로 자유롭게 선회하도록 하기 위해 외부 해제 메커니즘이 마련된다.
따라서, 진입 용이 위치 또는 편평 절첩 위치로 시트 등받이를 신속히 선회시키기 위해 해제 메커니즘을 구비한 연속 디스크 리클라이너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자동차 시트용 디스크 리클라이너는 시트 등받이가 복수의 눕힘 착석 위치와 절첩 위치 사이에서 선회 이동할 수 있도록 시트 등받이와 시트 쿠션을 작동적으로 결합한다. 디스크 리클라이너는 시트 쿠션에 장착되는 고정판과, 시트 등받이에 장착되고 고정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판을 포함한다. 가동판은 복수의 내향 톱니와 제1 내주면을 포함한다. 기어판은 고정판과 가동판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의 외향 톱니와 제2 내주면을 포함한다. 멈춤쇠 세트는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고정판의 양각부에 의해 안내된다. 연장 위치에서, 멈춤쇠는 기어판과 결합되고, 이로써 기어판과 고정판을 함께 결합시켜 고정판에 대한 기어판의 회전 이동을 방지한다. 후퇴 위치에서, 멈춤쇠는 기어판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기어판과 고정판을 분리시켜 고정판에 대한 기어판과 가동판의 회전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캠이 연장 위치에 멈춤쇠를 유지하기 위해 제1 방향으로 편향되고 해제 샤프트가 제2 방향으로 캠을 회전시킨다. 멈춤쇠 해제판이 공동 회전을 위해 캠에 결합된다. 멈춤쇠 해제판은 제2 방향으로 해제 샤프트의 회전에 응하여 연장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멈춤쇠를 이동시켜 시트 등받이가 절첩 위치로 선회 이동되도록 한다. 캠 구동기와 한 쌍의 웨지는 가동판의 제1 내주면과 기어판의 제2 내주면 사이에서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편심 요소를 한정한다. 편심 요소는 가동판의 내향 톱니가 결합 지점에서 기어판의 외향 톱니와 맞물림 결합되도록 한다. 멈춤쇠가 연장 위치에 있을 때,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캠 구동기의 회전은 웨지를 제1 및 제2 방향으로 압박한다. 웨지가 제1 및 제2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가동판과 기어판 사이의 결합 지점이 변위되어 기어판과 고정판에 대한 가동판의 요동 회전 이동을 야기함으로써 복수의 눕힘 착석 위치 사이에서 시트 등받이를 선회식으로 조절한다.
본 발명의 장점은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보다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디스크 리클라이너의 외부 사시도이다.
도 2는 연속 디스크 리클라이너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3은 연속 디스크 리클라이너의 분해 외부 사시도이다.
도 4는 연속 디스크 리클라이너의 제1 부분 분해 외부 사시도이다.
도 5는 캠, 멈춤쇠 해제판 및 멈춤쇠 세트를 예시하는 고정판의 내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캠, 멈춤쇠 해제판 및 연장 위치의 멈춤쇠 세트를 예시하는 기어판의 제1 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해제 샤프트와 한 쌍의 레버 스프링을 예시하는 고정판의 내면의 측면도이다.
도 8은 구동 메커니즘을 예시하는 기어판의 제2 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연속 디스크 리클라이너의 제2 부분 분해 외부 사시도이다.
도 10은 연속 디스크 리클라이너의 단면도이다.
여러 도면에 걸쳐 유사 참조번호가 유사하거나 대응하는 부품을 표시하는 도면을 참조하면, 자동차에 사용하기 위한 시트 조립체(미도시)는 일반적으로 수평한 시트 쿠션(미도시)과 착석자를 지지하기 위한 일반적으로 수직한 시트 등받이(미도시)를 포함한다. 시트 등받이는 직립 착석 위치, 복수의 눕힘 착석 위치 및 시트 쿠션에 중첩되는 진입 용이 위치 또는 편평 절첩 위치 사이에서 오가는 선회 이동을 제공하기 위한 리클라이너 조립체(일부 도시)에 의해 시트 쿠션에 작동적으로 결합된다. 리클라이너 조립체는 상세히 후술하는, 이격되고 동기화된 한 쌍의 연속 디스크 리클라이너를 포함하는데, 도면부호 10으로 도시된 이들 중 하나가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크 리클라이너(10)는 시트 쿠션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고정판(12)과, 시트 등받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고정판(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판(14)을 포함한다. 상세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정판(12)과 가동판(14)은, 가동판(14)에 견고히 고정되고 고정판(12)에 대한 가동판(14)의 요동 회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보유 링(16)에 의해 함께 유지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판(18)은 고정판(12)과 가동판(14) 사이에 개재되고, 가동판(14)과 맞물림 결합된다. 연속 가동 모드에서, 기어판(18)은 고정판(12)에 작동적으로 고정되고, 디스크 리클라이너(10)는 기어판(18)과 고정판(12)에 대한 가동판(14)의 회전에 의해 시트 쿠션에 대한 시트 등받이의 미세 조절을 제공한다. 불연속 가동 모드에서, 기어판(18)은 고정판(12)으로부터 해제되고, 디스크 리클라이너(10)는 고정판(12)에 대한 가동판(14)과 기어판(18)의 공동 회전에 의해 시트 쿠션에 대한 시트 등받이의 선회식 조절을 제공한다. 고정판(12)에 대한 가동판(14)의 회전은 시트 쿠션에 대한 시트 등받이의 선회 이동을 야기한다.
고정판(12)은 원형이고, 축방향으로 관통 연장되는 제1 중앙 보어(20)를 포함한다. 고정판(12)의 외면(22)은 시트 쿠션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도 7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2)의 내면(24)은 일반적으로 컵 형상이고, 고정판(12)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가장자리(25)를 한정한다. 도 7에서 가장 잘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서, 내면(24)은 그로부터 돌출되는 네 개의 양각부(26)를 포함하는데, 상세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해당 양각부는 연속 가동 모드와 불연속 가동 모드 사이에서 디스크 리클라이너(10)를 가동하기 위해 멈춤쇠 세트(28)를 방사상 내향 및 외향으로 안내한다.
기어판(18)은 원형이고, 축방향으로 관통 연장되는 제2 중앙 보어(30)를 포함한다. 기어판(18)의 제1 면(32)은 고정판(12)의 내면(24)에 대면하고, 기어판(18)의 제2 면(34)은 가동판(14)에 대면한다. 도 6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판(18)의 제1 면(32)은 일반적으로 컵 형상이고, 기어판(18) 둘레에 각각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가장자리(35)와 외측 가장자리(36)를 한정한다. 복수의 제1 내향 톱니(37)가 내측 가장자리(35) 둘레에 배치되며, 외측 가장자리(36)는 고정판(12)의 내측 가장자리(25)와 결합되어 고정판(12)에 대한 기어판(18)의 회전을 안내한다. 기어판(18)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가장자리(38)는 그 둘레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외향 톱니(39)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는, 네 개의 멈춤쇠(28)가 존재하며, 각각의 멈춤쇠(28)는 기어판(18)의 제1 내향 톱니(37)와 맞물림 결합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2 외향 톱니(40)를 갖는 외측 가장자리를 포함한다. 멈춤쇠(28)는 캠(42)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며, 캠(42)은 각각의 멈춤쇠(28)의 내측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일련의 로브(44)를 갖는 외측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캠(42)은 로브(44)가 멈춤쇠(28)와 결합되어 연장 위치에 멈춤쇠(28)를 유지하도록 제1 방향(도 6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편향된다. 도 6에 도시된 연장 위치에서, 멈춤쇠(28)의 제2 외향 톱니(40)는 기어판(18)의 제1 내향 톱니(37)와 맞물림 결합된다. 따라서, 멈춤쇠(28)가 연장 위치에 있을 때, 기어판(18)은 고정판(12)에 결합되거나 작동적으로 고정되며, 이로써 고정판(12)에 대한 기어판(18)의 회전 이동이 방지된다. 즉, 기어판(18)이 고정판(12)에 작동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디스크 클라이너(10)는 연속 가동 모드이다.
캠(42)은 또한 해제 샤프트(48)를 수납하기 위한 중앙 개구(46)를 포함한다. 해제 샤프트(48)는 제2 방향(도 6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캠(42)을 회전시켜 연속 가동 모드로부터 불연속 가동 모드로 디스크 리클라이너(10)를 가동하기 위해 마련된다. 해제 샤프트(48)는 고정판(12)의 제1 중앙 보어(20)를 통해 캠(42)의 중앙 개구(46) 내로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방향으로 해제 샤프트(48)의 회전이 제2 방향으로 캠(42)을 회전시키도록 해제 샤프트(48)의 내측 단부(50)가 중앙 개구(46)에 억지끼움된다. 멈춤쇠 해제판(52)이 공동 회전을 위해 캠(42)에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멈춤쇠 해제판(52)은 멈춤쇠 해제판(52)과 캠(42)이 공동 회전하도록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캠(42)의 로브(44) 사이에 배치되는 탭(54)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멈춤쇠 해제판(52)은 각각의 멈춤쇠(28)로부터 기어판(18)의 제1 면(32)을 향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핍(pip)(58)을 수납하기 위한 내측 프로파일(56)을 포함한다. 캠(42)이 제2 방향으로 회전되면, 멈춤쇠 해제판(52)도 제2 방향으로 회전하고 내측 프로파일(56)이 방사상 내향으로 핍(58)을 압박하여, 연장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멈춤쇠(28)를 이동시킨다. 후퇴 위치에서, 멈춤쇠(28)의 제2 외향 톱니(40)는 기어판(18)의 제1 내향 톱니(37)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멈춤쇠(28)가 후퇴 위치에 있을 때, 기어판(18)은 고정판(12)으로부터 분리되거나 해제되고, 이로써 기어판(18)은 고정판(12)에 대해 회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기어판(18)이 고정판(12)으로부터 해제될 때, 디스크 리클라이너(10)는 불연속 가동 모드이다. 제2 방향으로 해제 샤프트(48)를 회전시키기 위해 레버 또는 손잡이 메커니즘이 해제 샤프트(48)의 외측 단부(60)에 부착될 수 있다.
해제 샤프트(48)는 도 1과 도 10에 도시된 것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회전축(62)을 한정한다. 기어판(18), 캠(42) 및 멈춤쇠 해제판(52)이 제1 회전축(62)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고정판(12), 기어판(18), 캠(42) 및 멈춤쇠 해제판(52)은 모두 제1 회전축(62)을 중심으로 한다.
한 쌍의 레버 스프링(64)이 해제 샤프트(48)를 제1 방향으로 편향시키고, 이는 다음으로 캠(42)을 제1 방향으로 편향시키며, 이로써 연장 위치를 향해 멈춤쇠(28)를 압박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스프링(64)은 해제 샤프트(48)의 대향하는 양측에 위치되며, 각각의 레버 스프링(64)은 인접한 양각부들(26) 사이에서 고정판(12)의 내면(24)에 형성되는 포켓(66)에 배치된다. 각각의 레버 스프링(64)은 제1 방향으로 해제 샤프트(48)를 편향시키기 위해 해제 샤프트(48)의 내측 단부(50)의 로브 또는 돌출부(70)와 결합되는 자유단(68)을 포함한다. 십자형 끼움쇠(shim)(72)가 고정판(12)의 내면(24)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멈춤쇠(28)로부터 레버 스프링(64)을 분리시킨다. 십자형 끼움쇠(72)는 각각의 인접한 양각부들(26) 사이에 연장되며, 해제 샤프트(48)가 관통 연장되는 개구(74)를 포함한다.
가동판(14)은 원형이고, 축방향으로 관통 연장되는 제3 중앙 보어(76)를 포함한다. 가동판(14)의 외면(78)은 시트 등받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가동판(14)의 내면(80)은 기어판(18)의 제2 면(34)에 대면한다. 내면(80)은 일반적으로 컵 형상이고, 가동판(14)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가장자리(82)를 한정한다. 복수의 제2 내향 톱니(84)가 가동판(14)의 내면(80)의 내측 가장자리(82) 둘레에 배치된다. 기어판(18)의 제1 외향 톱니(39)는 가동판(14)의 제2 내향 톱니(84)와 맞물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제1 외향 톱니(39)의 개수는 제2 내향 톱니(84)의 개수보다 적어도 한 개 이상 적다. 제1 외향 톱니(39)와 제2 내향 톱니(84)의 톱니 개수의 차이로 인해 기어판(18)을 중심으로 한 가동판(14)의 요동 회전 이동이 가능해진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86으로 일괄 표기된 구동 메커니즘이 가동판(14)과 기어판(18) 사이에 배치되어 가동판(14)이 기어판(18)에 대해 회전하도록 압박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 메커니즘(86)은 캠 구동기(88), 한 쌍의 웨지(90, 92), 마찰 링(94) 및 웨지 스프링(96)을 포함한다. 캠 구동기(88)는 둘레에 부분적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102)에 의해 축방향으로 분리되는 제1 칼라(98)와 제2 칼라(100)를 포함한다. 캠 구동기(88)의 제1 칼라(98)는 제1 칼라(98)의 외면이 제3 중앙 보어(76)의 내면과 결합되도록 가동판(14)의 제3 중앙 보어(76) 내부에 배치된다. 마찰 링(94)은 기어판(18)의 제2 중앙 보어(30)에 억지끼움된다. 웨지(90, 92)는 거울상 방식으로 배열되고 편심 요소(104)를 한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웨지(90, 92)는 협폭 단부(106)와 광폭 단부(108) 사이에 연장되고 내면(110)과 외면(112)을 포함한다. 각각의 웨지(90, 92)의 내면(110)은 제2 칼라(100)의 외면에 안착되고 각각의 웨지(90, 92)의 외면(112)은 마찰 링(94)의 내면에 안착된다. 캠 구동기(88)는 또한 제1 단부(116)와 제2 단부(118)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칼라(100)에 인접한 구동 세그먼트(114)를 포함한다. 구동 세그먼트(114)는 제2 칼라(100)의 외면과 마찰 링(94)의 내면 사이에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구동 세그먼트(114)는 각각의 웨지(90, 92)의 협폭 단부(106)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된다. 웨지(90, 92)는 구동 메커니즘(86)의 유격을 방지하기 위해 웨지 스프링(96)에 의해 작동된다. 웨지 스프링(96)은 가동판(14)의 내면(80)과 캠 구동기(88)의 플랜지(102) 사이에 배치된다. 웨지 스프링(96)은 웨지(90, 92)의 광폭 단부(108)의 포켓(121)에 배치되어 웨지(90, 92)가 원주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강제하는 두 개의 직각으로 절곡된 레그(120)를 포함한다.
캠 구동기(88)는 또한 제1 및 제2 방향으로 캠 구동기(88)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 샤프트(124)를 수납하기 위한 중앙 개구(122)를 포함한다. 구동 샤프트(124)는 가동판(14)의 제3 중앙 보어(76)를 통해 캠 구동기(88)의 중앙 개구(122) 내로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 샤프트(124)의 외측 프로파일이 캠 구동기(88)의 중앙 개구(122)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 샤프트(124)는 전동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서 구동 샤프트(124)는 수동으로 회전될 수도 있다. 캠(42)으로부터 캠 구동기(88)를 분리하기 위해 원형 디스크 형상 끼움쇠(126)가 기어판(18)의 제1 면(32)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크 형상 끼움쇠(126)는 기어판(18)의 제1 면(32)의 리세스(128)에 안착되고, 디스크 형상 끼움쇠(126)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잠금 고정된다(keyed).
구동 샤프트(124)는, 도 2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것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회전축(130)을 한정한다. 가동판(14)과 캠 구동기(88)는 제2 회전축(130)을 중심으로 하며 이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편심 요소(104)가 가동판(14)과 기어판(18) 사이에 삽입됨으로 인해, 도 10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회전축(62)이 제2 회전축(130)으로부터 오프셋되도록 편심(E)이 창출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E)으로 인해 가동판(14)의 제2 내향 톱니(84)의 일부는 편심(E)에 의해 한정되는 방향으로 결합 지점에서 기어판(18)의 제1 외향 톱니(39)의 일부와 결합된다.
작동시, 연속 작동 모드로 디스크 리클라이너(10) 및 복수의 눕힘 착석 위치 중 한 위치에 있는 시트 등받이에서 시작하여, 착석자는 구동 샤프트(124)를 제1 방향으로 가동하여 시트 등받이를 눕힐 수 있다. 제1 방향으로 구동 샤프트(124)를 가동하면 캠 구동기(88)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1 방향으로 캠 구동기(88)를 회전시키면 구동 세그먼트(114)의 제1 단부(116)가 웨지(90)의 협폭 단부(106)와 결합되어 제1 방향으로 웨지(90)를 구동하거나 가압하게 된다. 제1 방향으로 웨지(90)를 구동하면 웨지 스프링(96)이 일 웨지(90)로부터 타 웨지(92)로 운동을 전달하기 때문에 타 웨지(92)도 제1 방향으로 구동된다. 웨지(90, 92)가 제1 방향으로 구동되기 때문에, 편심(E)의 방향이 변위되어 가동판(14)의 제2 내향 톱니(84)와 기어판(18)의 제1 외향 톱니(39) 사이의 결합 지점을 변위시킨다. 결합 지점의 변위는 제1 방향으로의 가동판(14)의 요동 회전 이동으로서 발현되어 시트 등받이를 눕힌다.
이와 유사하게, 제2 방향으로 구동 샤프트(124)를 가동하면 캠 구동기(88)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2 방향으로 캠 구동기(88)를 회전시키면 구동 세그먼트(114)의 제2 단부(118)가 웨지(92)의 협폭 단부(106)와 결합되어 제2 방향으로 웨지(92)를 구동하거나 가압하게 된다. 제2 방향으로 웨지(92)를 구동하면 웨지 스프링(96)이 일 웨지(92)로부터 타 웨지(90)로 운동을 전달하기 때문에, 타 웨지(90)도 제2 방향으로 구동된다. 웨지(90, 92)가 제2 방향으로 구동되기 때문에, 편심(E)의 방향이 변위되어 가동판(14)의 제2 내향 톱니(84)와 기어판(18)의 제1 외향 톱니(39) 사이의 결합 지점을 변위시킨다. 결합 지점의 변위는 제2 방향으로의 가동판(14)의 요동 회전 이동으로서 발현되어 시트 등받이를 전방으로 기울인다. 즉, 시트 등받이를 일으킨다.
대안으로서, 복수의 눕힘 착석 위치 중 한 위치에 있는 시트 등받이와 연속 가동 모드인 디스크 리클라이너(10)에서 시작하여, 시트 조립체 옆에 서있는 사용자는 시트 등받이를 진입 용이 위치 또는 편평 절첩 위치로 신속히 선회시키기 위해 제2 방향으로 해제 샤프트(48)를 가동하여 디스크 리클라이너(10)를 불연속 모드로 가동할 수 있다. 제2 방향으로 해제 샤프트(48)를 회전시키면 캠(42)과 멈춤쇠 해제판(52)이 동시에 제2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캠(42)과 멈춤쇠 해제판(52)이 제2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멈춤쇠 해제판(52)의 내측 프로파일(56)이 각각의 멈춤쇠(28)의 핍(58)과 결합되어 연장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멈춤쇠(28)를 방사상 내향으로 이동시킨다. 후퇴 위치에서는, 멈춤쇠(28)의 제2 외향 톱니(40)가 기어판(18)의 제1 내향 톱니(37)로부터 분리되어, 기어판(18)과 가동판(14)이 함께 제1 회전축(62)을 중심으로 제2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도록 하고, 이로써 시트 등받이가 전방으로 선회될 수 있도록 한다. 시트 등받이를 진입 용이 위치에 봉쇄하기 위해 멈춤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시트 등받이는 편평 절첩 위치까지 전방으로 선회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예시의 방식으로 설명하긴 했지만, 사용된 용어들은 제한이 아니라 설명을 위한 것이 되도록 의도되어 있다. 이상의 설시에 비추어 많은 변경과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명시된 바와 달리 실시될 수 있다.

Claims (14)

  1. 시트 등받이가 복수의 눕힘 착석 위치와 절첩 위치 사이에서 선회 이동할 수 있도록 시트 쿠션에 시트 등받이를 작동적으로 결합시키는 디스크 리클라이너이며,
    시트 쿠션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고정판과,
    시트 등받이에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복수의 내향 톱니를 포함하는 가동판과,
    상기 고정판과 상기 가동판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의 외향 톱니를 포함하는 기어판과,
    상기 고정판에 작동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기어판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기어판과 상기 고정판을 함께 결합시켜 상기 고정판에 대한 상기 기어판의 회전 이동을 방지하는 제1 위치와, 상기 기어판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기 기어판과 상기 고정판을 분리시켜 상기 고정판에 대한 상기 기어판과 상기 가동판의 회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와,
    상기 제1 위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를 유지하기 위해 제1 방향으로 편향되는 캠과,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캠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캠에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해제 샤프트와,
    공동 회전을 위해 상기 캠에 결합되고, 시트 등받이가 절첩 위치로 선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상기 해제 샤프트의 회전에 응하여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를 이동시키는 멈춤쇠 해제판과,
    공동으로 작용하고, 상기 가동판의 상기 내향 톱니가 결합 지점에서 상기 기어판의 상기 외향 톱니와 맞물림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가동판과 상기 기어판 사이에서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캠 구동기와 한 쌍의 웨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가 상기 기어판과 결합되는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의 상기 캠 구동기의 회전은, 상기 한 쌍의 웨지를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방향으로 압박하고, 이로써 상기 결합 지점을 변위시켜 상기 기어판과 상기 고정판에 대한 상기 가동판의 요동 회전 이동을 야기함으로써 복수의 눕힘 착석 위치 사이에서 시트 등받이를 선회식으로 조절하는
    디스크 리클라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제1 중앙 보어와, 상기 기어판에 대면하는 내면과 외면을 포함하는 디스크 리클라이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판은 상기 고정판의 상기 제1 중앙 보어와 동축으로 배열되는 제2 중앙보어와, 상기 고정판에 대면하는 제1 면 및 대향하는 제2 면과, 상기 외향 톱니에 대향하는 복수의 원주방향 내향 톱니를 포함하는 디스크 리클라이너.
  4.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멈춤쇠는 상기 가동판에 대한 회전을 위해 상기 기어판과 상기 고정판을 함께 잠금식으로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기어판의 상기 내향 톱니와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톱니를 포함하는 디스크 리클라이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상기 캠의 회전에 응하여, 상기 멈춤쇠와 결합되어 상기 멈춤쇠를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기어판의 상기 내향 톱니와 결합되는 상기 제1 위치로 가동하기 위한 복수의 방사상 돌출 로브를 포함하는 디스크 리클라이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쇠는 축방향으로 융기된 핍을 포함하고, 상기 멈춤쇠 해제판은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상기 해제 샤프트의 회전에 응하여, 상기 핍과 결합되어 상기 멈춤쇠를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기어판으로부터 해제되는 상기 제2 위치로 가동하도록 형상화된 내측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디스크 리클라이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샤프트와 상기 캠을 상기 제1 방향으로 편향시키고 상기 멈춤쇠를 상기 제1 위치로 편향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판과 상기 해제 샤프트 사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버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는 디스크 리클라이너.
  8. 제7항에 있어서, 기어판의 제2 중앙 보어에 억지끼움되는 외면과, 내면을 갖는 마찰링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웨지는 상기 마찰링의 상기 내면에 안착되는 디스크 리클라이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캠 구동기는 둘레에 부분적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에 의해 축방향으로 분리되는 제1 칼라 및 제2 칼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칼라는 상기 가동판의 제3 중앙 보어 내부에 배치되고 제2 칼라는 상기 한 쌍의 웨지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크 리클라이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캠 구동기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 리클라이너는 상기 기어판에 대한 상기 가동판의 상기 요동 회전 이동을 야기하는 상기 제1 및 제2 방향으로의 상기 캠 구동기의 회전을 가동하기 위해 상기 중앙 개구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 샤프트를 포함하는 디스크 리클라이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웨지는, 이격되어 대면하는 협폭 단부들과, 대향하여 이격된 광폭 단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캠 구동기는 상기 구동 샤프트와 상기 캠 구동기의 회전에 응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방향으로 상기 웨지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제2 칼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웨지의 상기 이격된 협폭 단부들 사이에 안착되는 궁형 구동 세그먼트를 가지는 디스크 리클라이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방향으로 상기 캠 구동기의 회전을 저지하기 위해 상기 웨지의 상기 이격된 광폭 단부들 사이에 안착되는 웨지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는 디스크 리클라이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샤프트는 제1 회전축을 한정하는 상기 고정판의 상기 제1 중앙 보어와 상기 기어판의 상기 제2 중앙 보어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디스크 리클라이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샤프트는 상기 제1 회전축으로부터 오프셋되는 제2 회전축을 한정하는 상기 가동판의 상기 제3 중앙 보어와 상기 캠 구동기의 상기 중앙 개구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디스크 리클라이너.
KR1020147028188A 2012-04-12 2013-04-11 신속 조절식 연속 결합 리클라이너 KR201500080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23197P 2012-04-12 2012-04-12
US61/623,197 2012-04-12
PCT/CA2013/000348 WO2013152433A1 (en) 2012-04-12 2013-04-11 Quick adjust continuously engaged recl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063A true KR20150008063A (ko) 2015-01-21

Family

ID=49326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8188A KR20150008063A (ko) 2012-04-12 2013-04-11 신속 조절식 연속 결합 리클라이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87781B2 (ko)
EP (1) EP2836392B1 (ko)
KR (1) KR20150008063A (ko)
CN (1) CN104284801B (ko)
CA (1) CA2869816C (ko)
WO (1) WO201315243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4964A1 (ko) * 2015-12-03 2017-06-08 주식회사 서연씨엔에프 보조캠을 갖는 차량시트용 리클라이너
KR102427808B1 (ko) * 2021-03-16 2022-08-01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시트 리클라이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21585A1 (en) * 2014-05-12 2015-11-12 Lear Corporation Recliner Mechanism
FR3032398B1 (fr) * 2015-02-06 2017-02-17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Ensemble d’articulation debrayable pour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US9731633B2 (en) * 2015-07-21 2017-08-15 Lear Corporation Recliner mechanism
US10220729B2 (en) 2015-09-24 2019-03-05 Faurecia Automotive Seating, Llc Seat position-sensing system
EP3442825B1 (en) 2016-04-11 2021-04-07 Faurecia Automotive Seating, LLC Recliner for a vehicle seat
US10351020B2 (en) * 2016-09-29 2019-07-16 Faurecia Automotive Seating, Llc Recliner for a vehicle seat
JP6807708B2 (ja) * 2016-10-31 2021-01-06 株式会社Tf−Metal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US10421375B2 (en) * 2016-11-17 2019-09-24 Shiroki Corporation Reclining device
US10414296B2 (en) 2016-12-12 2019-09-17 Faurecia Automotive Seating, Llc Recliner for a vehicle seat
JP2018166556A (ja) * 2017-03-29 2018-11-01 株式会社Tf−Metal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US10342349B2 (en) 2017-03-29 2019-07-09 Lear Corporation Recliner mechanism having a pawl spring cartridge
US10611273B2 (en) 2017-10-09 2020-04-07 Faurecia Automotive Seating, Llc Recliner system for a vehicle seat
KR102021903B1 (ko) * 2017-12-26 2019-09-17 현대트랜시스(주) 차량의 시트 리클라이너
KR102110168B1 (ko) 2018-05-02 2020-05-14 현대트랜시스(주) 차량의 시트 리클라이너
KR102070021B1 (ko) * 2018-05-02 2020-01-29 현대트랜시스(주) 차량의 시트 리클라이너
KR102070022B1 (ko) 2018-05-02 2020-01-29 현대트랜시스(주) 차량의 시트 리클라이너
US11124093B2 (en) 2018-08-08 2021-09-21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Recliner mechanism for seat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11260777B2 (en) * 2018-08-29 2022-03-01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Recliner heart for seat recliner assembly
US10787102B2 (en) * 2018-09-10 2020-09-29 Lear Corporation Recliner mechanism
CN109398172B (zh) * 2018-12-10 2024-05-07 湖北航嘉麦格纳座椅系统有限公司 调角器以及调角器的复合棘轮、成型方法
US11142103B2 (en) * 2019-01-17 2021-10-12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Cross member for seat recliner assembly
US11364577B2 (en) 2019-02-11 2022-06-21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Recliner mechanism for seat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11845367B2 (en) 2019-04-18 2023-12-19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Recliner heart having lubricant member
DE102019113248A1 (de) * 2019-05-20 2020-11-26 Hettich Franke Gmbh & Co. Kg Schwenkbeschlag und Möbel
DE202019103034U1 (de) 2019-05-29 2019-06-07 Faurecia Automotive Seating, Llc Rast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CN114340944B (zh) * 2019-06-19 2023-08-15 麦格纳座椅公司 自偏置斜椅器串扰管联接器
US11052797B2 (en) 2019-08-09 2021-07-06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Recliner heart for seat assembly
US11192473B2 (en) 2019-08-30 2021-12-07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Release handle for recliner mechanism of vehicle seat
US11607976B2 (en) 2020-03-06 2023-03-21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Recliner mechanism having bracket
US11766957B2 (en) 2021-02-16 2023-09-26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Release mechanism for seat recliner assembly
US11897372B2 (en) 2021-05-06 2024-02-13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Recliner heart having biasing members
US11850975B2 (en) 2021-06-11 2023-12-26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Vehicle seat recliner mechanism with welded spring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63291B1 (fr) * 1997-05-15 1999-08-06 Cesa Articulation pour sie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et siege muni de cette articulation
US6883869B2 (en) * 2003-03-10 2005-04-26 Porter Group, Llc Vehicle seat back recliner
JP4903584B2 (ja) * 2004-01-07 2012-03-28 アイエフビー・オートモーティブ・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自動車シート用ツインリクライナ
JP4189760B2 (ja) * 2004-07-28 2008-12-0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リクライニング装置
CA2506040C (en) * 2005-05-02 2014-02-18 Intier Automotive Inc. A vehicle seat and a disc recliner therefor
EP1731353B1 (en) * 2005-06-09 2011-08-17 FUJI KIKO Co., Ltd. Seat reclining apparatus
DE102005046806B3 (de) * 2005-09-30 2007-04-19 Keiper Gmbh & Co.Kg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05046807B3 (de) * 2005-09-30 2006-11-02 Keiper Gmbh & Co.Kg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JP4922627B2 (ja) * 2006-02-28 2012-04-25 富士機工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EP2121375B1 (en) * 2007-01-17 2014-05-07 Intier Automotive Inc. Disc recliner assembly with biased synchronization
CN101677689B (zh) * 2007-05-08 2011-05-11 丰田纺织株式会社 连接装置
KR20090017775A (ko) 2007-08-16 2009-02-19 주식회사다스 시트백의 리클라이닝장치
US7703852B2 (en) * 2007-12-03 2010-04-27 Lear Corporation Heavy duty reclining mechanism for vehicle seats
CA2711966C (en) * 2008-01-17 2016-05-17 Fisher Dynamics Corporation Round recliner mechanism
JP5393990B2 (ja) 2008-04-01 2014-01-22 デルタ工業株式会社 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5167948B2 (ja) * 2008-05-22 2013-03-2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連結装置
US7878593B2 (en) * 2008-06-23 2011-02-01 Lear Corporation Anti back drive device for a seat recliner
JP5125836B2 (ja) * 2008-07-15 2013-01-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1577849B1 (ko) * 2008-08-22 2015-12-15 마그나 시팅 인크. 감소된 백래쉬를 갖는 디스크 리클라이너
DE102009040453A1 (de) * 2009-08-28 2011-03-03 Keiper Gmbh & Co. Kg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09041490A1 (de) * 2009-09-10 2011-03-24 Keiper Gmbh & Co. Kg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09041491B4 (de) * 2009-09-10 2013-04-11 Keiper Gmbh & Co. Kg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DE102009056397B4 (de) * 2009-11-26 2019-03-14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Beschlagsystem für einen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FR2955062B1 (fr) * 2010-01-12 2014-11-28 Faurecia Sieges Automobile Systeme d'articulation et siege de vehicule comportant un tel systeme d'articulation.
KR101107985B1 (ko) 2010-03-10 2012-01-25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EP2664490A4 (en) * 2011-01-14 2018-02-21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Seat reclining device and seat device
EP2753494B1 (en) * 2011-09-08 2016-03-09 Magna Seating Inc. Quick adjust continuously engaged recliner
US8864234B2 (en) * 2012-05-30 2014-10-21 Lear Corporation Discontinuous recliner with movable internal memory stop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4964A1 (ko) * 2015-12-03 2017-06-08 주식회사 서연씨엔에프 보조캠을 갖는 차량시트용 리클라이너
KR102427808B1 (ko) * 2021-03-16 2022-08-01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시트 리클라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87781B2 (en) 2016-07-12
EP2836392A4 (en) 2015-05-06
WO2013152433A1 (en) 2013-10-17
CN104284801B (zh) 2016-09-07
EP2836392B1 (en) 2020-03-04
CA2869816A1 (en) 2013-10-17
US20150069809A1 (en) 2015-03-12
EP2836392A1 (en) 2015-02-18
CN104284801A (zh) 2015-01-14
CA2869816C (en) 2018-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8063A (ko) 신속 조절식 연속 결합 리클라이너
KR20140058605A (ko) 연속적으로 맞물린 리클라이너의 신속 조정
US8746796B2 (en) Anti-backdrive for continuous disc recliner
US7950741B2 (en) Connection devices in vehicle seats
KR100840404B1 (ko) 차량 좌석용 힌지 기구 및 그 힌지 기구를 구비한 좌석
KR101568891B1 (ko) 풀 메모리 아이 디스크
KR20140044331A (ko) 내부 판 스프링을 구비한 디스크 리클라이너
JP3633890B2 (ja) 背当て部の傾斜調節のための係止金具
JP5632019B2 (ja) リクライニング機構
JP2008516651A5 (ko)
JP6760329B2 (ja) 乗物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US10059233B2 (en) Seat adjuster and vehicle seat
KR101073457B1 (ko) 차량용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KR101706336B1 (ko) 차량용 리클라이너
JP3822376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012158279A (ja) 車両用シート
KR101295332B1 (ko) 차량용 리클라이너
JP2010200781A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012214197A (ja) 車両用シートの前倒れ機構
JP2011130981A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BRPI1009393B1 (pt) Reclinador de disco para um assento de veícul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