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250B1 - 펌프 용적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펌프 용적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250B1
KR101702250B1 KR1020157015495A KR20157015495A KR101702250B1 KR 101702250 B1 KR101702250 B1 KR 101702250B1 KR 1020157015495 A KR1020157015495 A KR 1020157015495A KR 20157015495 A KR20157015495 A KR 20157015495A KR 101702250 B1 KR101702250 B1 KR 101702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pump
tilting
horsepower control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5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4982A (ko
Inventor
데츠야 이와나지
Original Assignee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84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4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0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1/12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1/26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0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1/12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1/26Control
    • F04B1/30Control of machines or pumps with rotary cylinder blocks
    • F04B1/32Control of machines or pumps with rotary cylinder block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1/324Control of machines or pumps with rotary cylinder block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by changing the inclination of the swash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0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1/12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1/2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rotary cylinder block
    • F04B1/2014Details or component parts
    • F04B1/2078Swash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02Hydraulic systems to change the pump deliv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8Regulating by delivery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5/00Fluid parameters
    • F04B2205/06Pressure in a (hydraulic)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펌프 용적 제어 장치는, 틸팅 피스톤과, 스풀이 이동함으로써 틸팅 구동압을 조절하는 펌프 용적 전환 밸브와, 틸팅각에 따라 스풀을 가압하는 유량 제어 스프링과, 펌프 토출압에 따라 이동하는 마력 제어 피스톤과, 틸팅각에 따라 마력 제어 피스톤을 가압하는 마력 제어 스프링을 구비한다. 유량 제어 상태에서는, 유량 제어 신호압에 의해 스풀에 작용하는 힘에 따라 스풀이 이동함으로써 틸팅 구동압이 조절되고, 마력 제어 상태에서는, 펌프 토출압에 의해 마력 제어 피스톤에 작용하는 힘에 따라 스풀이 이동함으로써 틸팅 구동압이 조절된다.

Description

펌프 용적 제어 장치{PUMP VOLUME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가변 용적 펌프의 펌프 용적을 제어하는 펌프 용적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압 셔블 등의 작업기에 탑재되는 유압 기기의 압력원으로서, 엔진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가변 용적 펌프를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JP10-281073A는, 가변 용적 펌프의 펌프 용적을 조절하는 경사판과, 경사판을 틸팅시키는 틸팅 피스톤과, 틸팅 피스톤에 유도되는 틸팅 구동압을 조절하는 전기 제어 레귤레이터를 구비하는 펌프 용적 제어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전기 제어 레귤레이터는, 스풀이 이동함으로써 틸팅 피스톤에 유도되는 틸팅 구동압을 조절하는 서보 전환 밸브와, 스풀을 유량 제어측 레버를 통해 이동시키는 유량 제어용 피스톤과, 스풀을 마력 제어측 레버를 통해 이동시키는 마력 제어용 피스톤을 구비한다.
통상의 운전 시에는, 제어 신호에 따라 이동하는 유량 제어용 피스톤의 작동에 의해 스풀이 유량 제어측 레버를 통해 이동함으로써 펌프의 유량 제어가 행해진다.
제어계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펌프의 부하가 상승하여 펌프의 입력 동력이 엔진 등의 구동력을 상회할 것 같이 된 경우에는, 펌프 토출압에 따라 이동하는 마력 제어용 피스톤의 작동에 의해 스풀이 마력 제어측 레버를 통해 이동함으로써 펌프의 유량 제어가 행해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펌프 용적 제어 장치에서는, 유량 제어용 피스톤 및 마력 제어용 피스톤의 움직임이 유량 제어측 레버 또는 마력 제어측 레버를 통해 서보 전환 밸브의 스풀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링크 기구의 덜걱거림이나 마찰에 기인하는 전달 지연에 의해 서보 전환 밸브의 작동 응답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펌프 용적을 적확하게 제어하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변 용적 펌프의 펌프 용적을 적확하게 제어 가능한 펌프 용적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어느 형태에 의하면, 경사판의 틸팅각에 따라 펌프의 펌프 용적을 변화시키는 펌프 용적 제어 장치이며, 틸팅 구동압이 높아질수록 펌프 용적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경사판을 틸팅시키는 틸팅 피스톤과, 스풀이 이동함으로써 틸팅 구동압을 조절하는 펌프 용적 전환 밸브와, 경사판의 틸팅각에 따라 스풀을 가압하는 유량 제어 스프링과, 펌프의 펌프 토출압에 따라 이동하는 마력 제어 피스톤과, 경사판의 틸팅각에 따라 마력 제어 피스톤을 가압하는 마력 제어 스프링을 구비하고, 마력 제어 피스톤과 스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유량 제어 상태에서는, 유량 제어 신호압에 의해 스풀에 작용하는 힘에 따라 스풀이 이동함으로써 틸팅 구동압이 조절되고, 마력 제어 피스톤과 스풀이 접촉하는 마력 제어 상태에서는, 펌프 토출압에 의해 마력 제어 피스톤에 작용하는 힘에 따라 스풀이 이동함으로써 틸팅 구동압이 조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펌프 용적 제어 장치의 유압 회로도이다.
도 2는 가변 용적 펌프 및 펌프 용적 제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스탠바이 상태에 있어서의 펌프 용적 제어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유량 제어 상태에 있어서의 펌프 용적 제어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마력 제어 상태에 있어서의 펌프 용적 제어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유량 제어 신호압과 제어 유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8은 펌프 토출압과 제어 유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펌프 용적 제어 장치의 유압 회로도이다.
도 10은 유량 제어 신호압과 제어 유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펌프 용적 제어 장치의 유압 회로도이다. 펌프 용적 제어 장치(10)는 유압 셔블에 탑재되는 유압 기기의 압력원에 설치된다. 펌프 용적 제어 장치(10)는 가변 용적 펌프(100)(이하,「펌프(100)」라고 칭함)의 펌프 용적(펌프 배수 용적)을 제어한다.
펌프(100)는 탱크(101)의 작동유를 흡입 통로(103)를 통하여 흡입하고, 펌프 토출압 P에 가압한 작동유를 토출 통로(104)에 토출한다. 토출 통로(104)를 통하여 보내지는 작동유는, 유압 셔블의 붐을 구동하는 유압 실린더(도시 생략)에 공급된다.
또한, 작동유는, 붐으로 한정되지 않고, 아암 또는 버킷 등을 구동하는 유압 실린더나 주행, 선회 등을 구동하는 유압 모터에 공급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작동 유체로서 작동유를 사용하지만, 작동유 대신에, 예를 들어 수용성 대체액 등을 사용해도 된다.
펌프(100)는 엔진(109)에 의해 구동되는 경사판식 피스톤 펌프이다. 펌프(100)는 경사판(15)의 틸팅각에 따라 펌프 용적을 변경 가능하다.
펌프 용적 제어 장치(10)는 경사판(15)의 틸팅각을 바꾸는 틸팅 피스톤(16)과, 틸팅 피스톤(16)에 유도되는 틸팅 구동압 Pc를 조절하는 레귤레이터(30)를 구비한다.
유압 셔블에 탑재되는 컨트롤러(도시 생략)는 오퍼레이터의 레버 조작량에 기초하는 조작 신호를 수신하고, 이 조작 신호에 따라 유압 회로에 설치되는 전자기 비례 제어 밸브(도시 생략) 등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파일럿 유압으로서의 유량 제어 신호압 Pi를 조절한다. 유량 제어 신호압 Pi는, 펌프 용적 제어 신호 통로(108)를 통하여 레귤레이터(30)에 유도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기 비례 제어 밸브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유량 제어 신호압 Pi를 조절하고 있지만, 오퍼레이터의 레버 조작량을 파일럿 밸브 등에 의해 직접 파일럿 유압으로 하여 유량 제어 신호압 Pi를 조절해도 된다.
레귤레이터(30)에는, 다른 신호압으로서 펌프(100)의 펌프 토출압 P가 유도된다. 레귤레이터(30)는 펌프 토출압 P에 따라 유량 제어 상태와 마력 제어 상태로 전환된다. 레귤레이터(30)는 펌프 토출압 P가 설정값보다 낮은 경우에 유량 제어 상태로 되고, 펌프 토출압 P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 마력 제어 상태로 된다.
유량 제어 상태에서는, 레귤레이터(30)는 유량 제어 신호압 Pi에 따라 틸팅 피스톤(16)에 유도되는 틸팅 구동압 Pc를 조절한다.
마력 제어 상태에서는, 레귤레이터(30)는 펌프 토출압 P에 따라 틸팅 피스톤(16)에 유도되는 틸팅 구동압 Pc를 조절한다.
유압 셔블의 컨트롤러는, 운전 모드가 고부하 모드와 저부하 모드로 전환된다. 고부하 모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펌프(100)의 부하를 높게 하기 위해 마력 제어 신호압 Ppw가 높게 조절된다. 저부하 모드에서는 펌프(100)의 부하를 낮게 하기 위해 마력 제어 신호압 Ppw가 낮게 조절된다. 레귤레이터(30)에는, 마력 제어 신호 통로(107)를 통하여 마력 제어 신호압 Ppw가 유도된다. 컨트롤러는, 운전 모드에 따라 유압 회로에 설치되는 전자기 밸브(도시 생략)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마력 제어 신호압 Ppw를 고부하 모드용 신호압과 저부하 모드용 신호압으로 전환한다.
도 2는 펌프(100) 및 펌프 용적 제어 장치(10)의 단면도이다.
펌프(100)는 엔진(109)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실린더 블럭(12)과, 실린더 블럭(12)에 설치되는 복수의 실린더(14) 내를 왕복 이동하는 피스톤(13)과, 피스톤(13)이 추종하는 경사판(15)을 구비한다.
실린더 블럭(12)에는 샤프트(1)가 고정된다. 샤프트(1)의 선단부는 펌프 하우징(17)에 베어링(2)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샤프트(1)의 중앙부는 펌프 커버(19)에 베어링(3)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엔진(109)의 동력은 샤프트(1)의 기단부(1A)에 전달된다.
경사판(15)은 펌프 하우징(17)에 틸팅 베어링(9)을 통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경사판(15)의 틸팅각이 변화되면, 피스톤(13)의 실린더(14)에 대한 스트로크량이 변화되어, 펌프 용적이 변화된다.
경사판(15)의 요동 중심축(S)은 실린더 블럭(12)의 회전축(C)에 대해 오프셋하여 배치된다. 이에 의해, 경사판(15)은 각 피스톤(13)으로부터 받는 반력을 합한 힘에 의해 틸팅각이 커지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즉, 요동 중심축(S)을 회전축(C)에 대해 오프셋시키는 것이, 경사판(15)을 틸팅 방향으로 가압하는 틸팅 가압 기구와 같이 작용한다.
또한, 경사판(15)과 펌프 하우징(17) 사이에 스프링이나 피스톤을 개재 장착하여 틸팅 가압 기구로 해도 된다.
틸팅 피스톤(16)은 펌프 하우징(17)에 형성되는 틸팅 실린더(18)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틸팅 피스톤(16) 및 틸팅 실린더(18)는 실린더 블럭(12)의 회전축(C) 및 후술하는 스풀 축(O)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틸팅 피스톤(16)의 선단은, 슈(8)를 통해 경사판(15)의 돌출부(16A)에 미끄럼 접촉한다. 틸팅 피스톤(16)과 틸팅 실린더(18) 사이에는 틸팅 구동압실(6)이 구획된다. 틸팅 피스톤(16)은 레귤레이터(30)로부터 틸팅 구동압실(6)로 유도되는 틸팅 구동압 Pc가 높아지는 데에 수반하여 도 1에 있어서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슈(8)를 통해 경사판(15)을 틸팅각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틸팅시킨다.
펌프 하우징(17)에는 틸팅 실린더(18) 내에 돌출되는 플러그(7)가 나사 결합되어 설치된다. 플러그(7)는 선단면이 틸팅 피스톤(16)의 기단부에 접촉함으로써, 경사판(15)의 최대 틸팅각을 규정한다.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귤레이터(30)는 펌프 하우징(17)에 설치되는 레귤레이터 하우징(29)을 구비한다.
레귤레이터 하우징(29)의 내부에는, 펌프 용적 전환 밸브(40), 유량 제어 스프링(49), 마력 제어 피스톤(60), 마력 제어 스프링(31, 32), 로드(35) 등이, 펌프 용적 전환 밸브(40)의 스풀(41)의 스풀 축(O) 방향으로 배열되어 수용된다.
펌프 용적 전환 밸브(40)는 통 형상의 슬리브(50)와, 슬리브(50)에 대해 스풀 축(O)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스풀(41)을 구비한다.
슬리브(50)의 기단부에는 플러그(56)가 나사 결합되어 설치된다. 스풀(41)은 유량 제어 스프링(49)에 의해 플러그(56)를 향하는 방향(도 3에 있어서의 좌측 방향)으로 가압된다. 플러그(56)는 선단면이 스풀(41)의 기단부면에 접촉함으로써, 스풀(41)의 스트로크를 규제한다.
스풀(41)에는, 스풀(41)의 기단부에 개방되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구멍(43)이 형성된다. 축 구멍(43)에는 핀(58)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스풀(41)의 축 구멍(43)과 핀(58)의 선단 사이에는 신호압실(55)이 구획된다. 스풀(41) 및 핀(58)은 기단부가 플러그(56)에 접촉함으로써, 도 2, 도 3에 있어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신호압실(55)에는, 오퍼레이터의 레버 조작량에 따른 유량 제어 신호압 Pi가 펌프 용적 제어 신호 통로(108)(도 1 참조)를 통하여 유도된다.
펌프 용적 제어 신호 통로(108)는 레귤레이터 하우징(29)의 포트(28)와 슬리브(50)의 신호압 포트(53)와 스풀(41)의 배압 포트(44)에 의해 구성된다. 레귤레이터 하우징(29)의 포트(28)에는, 이것에 접속하는 배관(도시 생략)을 통하여 유량 제어 신호압 Pi가 유도된다.
슬리브(50)와 스풀(41)의 기단부와 플러그(56) 사이에는 배압실(57)이 구획된다. 배압실(57)은 배압 포트(54)를 통하여 펌프(100)의 레귤레이터 하우징(29) 내의 중앙실(21)에 연통된다. 중앙실(21)은 드레인 통로(도시 생략)를 통하여 탱크(101)(도 1 참조)와 연통하고 있다. 배압실(57)이 탱크(101)에 연통하고 있음으로써, 스풀(41)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슬리브(50)에는, 틸팅 피스톤(16)의 틸팅 구동압실(6)(도 2 참조)에 연통하는 틸팅 구동압 포트(52)와, 원압 통로(105)(도 1 참조)에 통하는 원압 포트(51)가 형성된다. 원압 포트(51)에는 원압 통로(105)(도 1 참조)를 통하여 펌프 토출압 P가 원압으로서 유도된다.
스풀(41)에는, 레귤레이터 하우징(29) 내의 중앙실(21)을 통하여 탱크(101)에 연통하는 탱크 포트(48)가 형성된다.
스풀(41)의 외주에는 환 형상으로 돌출되는 랜드부(47)가 형성된다. 랜드부(47)가 스풀 축(O) 방향으로 이동하면, 틸팅 구동압 포트(52)에 대해 원압 포트(51)와 탱크 포트(48)가 선택적으로 연통한다. 이에 의해, 틸팅 구동압 포트(52)에 발생하는 틸팅 구동압 Pc가 조절된다.
스풀(41)이 유량 제어 스프링(49)에 가압되어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원압 포트(51)와 틸팅 구동압 포트(52)가 연통하고, 원압 통로(105)로부터 유도되는 펌프 토출압 P에 의해 틸팅 구동압 포트(52)의 틸팅 구동압 Pc가 상승한다. 틸팅 피스톤(16)은 틸팅 구동압 Pc가 상승하는 데에 따라 경사판(15)을 틸팅각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틸팅시킨다. 이에 의해, 펌프 용적이 감소한다.
유량 제어 신호압 Pi가 높아지는 데에 수반하여, 스풀(41)이 도 2, 도 3에 있어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탱크 포트(48)와 틸팅 구동압 포트(52)가 연통하고, 탱크 통로(106)를 통하여 탱크 포트(48)에 유도되는 탱크압 Pt에 의해 틸팅 구동압 포트(52)에 유도되는 틸팅 구동압 Pc가 저하된다. 틸팅 피스톤(16)은 틸팅 구동압 Pc가 저하되는 데에 따라 경사판(15)을 틸팅각이 커지는 방향으로 틸팅시킨다. 이에 의해, 펌프 용적이 증대된다.
슬리브(50)는 레귤레이터 하우징(29) 내에 스풀 축(O)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슬리브(50)의 위치는, 스풀 축(O)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다.
펌프 용적 전환 조절부 기구(59)는, 슬리브(50)의 기단부 외주에 형성되는 나사부(64)와, 나사부(64)에 나사 결합되는 커버(45) 및 풀림 방지용의 너트(46)를 구비한다. 커버(45)는 레귤레이터 하우징(29)의 개구 단부에 접촉하도록 고정된다.
펌프 용적 전환 조절부 기구(59)는 커버(45)에 대한 슬리브(50)의 나사 결합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슬리브(50)를 펌프 하우징(17)에 대해 스풀 축(O)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유량 제어 스프링(49)의 스프링 하중이 바뀌고, 유량 제어 신호압 Pi에 따라 스풀(41)이 포지션 a, b(도 1)로 전환되는 타이밍이 조정된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레귤레이터 하우징(29)과 슬리브(50)는, 일체 형성해도 된다.
스풀(41)은 슬리브(50)의 개구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선단부를 갖고, 선단부에 스풀측 스프링 수용부(42)가 설치된다. 코일 형상의 유량 제어 스프링(49)의 일단부는, 스풀측 스프링 수용부(42)에 착석한다.
레귤레이터 하우징(29) 내에는, 로드(35)가 설치된다. 로드(35)의 외주면에는, 통 형상의 리테이너(25)가 외주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리테이너(25)에는 축 구멍(26)이 스풀 축(O) 상에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원기둥 형상의 로드(35)는 그 외주면이 리테이너(25)의 축 구멍(26)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리테이너(25)에는 리테이너측 스프링 수용부(24)가 설치된다. 리테이너측 스프링 수용부(24)에는, 유량 제어 스프링(49)의 일단부가 착석한다. 유량 제어 스프링(49)은 스풀측 스프링 수용부(42)와 리테이너측 스프링 수용부(24) 사이에 압축되어 개재 장착된다.
리테이너(25)에는, 링크(71)가 고정된다. 링크(71)는 리테이너(25)와 틸팅 피스톤(16)을 연결하는 부재이며, 레귤레이터 하우징(29) 내부터 펌프 하우징(17) 내까지 걸쳐 설치된다. 링크(71)의 일단부는, 리테이너(25)의 외주에 끼워 맞추어져 결합된다. 링크(71)의 타단부는, 틸팅 피스톤(16)의 외주 홈에 끼워 맞추어져 결합된다.
링크(71) 및 틸팅 피스톤(16)은 경사판(15)이 틸팅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스풀 축(O) 방향으로 리테이너(25)를 이동시키는 리테이너 이동 기구(70)를 구성한다.
또한, 리테이너 이동 기구(70)는 상술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리테이너(25)를 틸팅 피스톤(16)을 통하지 않고 경사판(15)과 연동시키는 구조이어도 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펌프 하우징(17)에는, 링크(71)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72)가 설치된다. 로드 형상의 가이드(72)의 기단부는 펌프 하우징(17)에 고정되고, 가이드(72)의 선단부는 링크(71)의 구멍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가이드(72)는 스풀 축(O)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링크(71)는 가이드(72)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리테이너(25), 유량 제어 스프링(49) 및 마력 제어 스프링(31, 32)의 스풀 축(0)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레귤레이터(30)는 펌프(100)의 펌프 토출압 P에 따라 스풀(41)을 스풀 축(O) 방향으로 이동하여 틸팅 구동압 Pc를 조절함으로써, 펌프(100)의 부하를 억제하는 마력 제어를 행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귤레이터(30)는 펌프 토출압 P에 따라 스풀 축(O) 방향으로 이동하는 마력 제어 피스톤(60)과, 경사판(15)의 틸팅각에 따라 마력 제어 피스톤(60)을 스풀 축(O) 방향으로 가압하는 마력 제어 스프링(31, 32)과, 마력 제어 피스톤(60)과 스풀(41) 사이에 설치되는 로드(35)를 구비한다.
로드(35)는 그 선단이 간극(39)을 갖고 스풀(41)의 선단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로드(35)의 기단부에는, 환 형상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38)가 형성된다. 플랜지부(38)와 리테이너(25) 사이에는, 마력 제어 스프링(31, 32)이 개재 장착된다.
마력 제어 스프링(31, 32)은, 서로 선재의 권취 직경이 다른 코일 형상으로 형성된다. 권취 직경이 큰 마력 제어 스프링(31)의 내측에 권취 직경이 작은 마력 제어 스프링(32)이 배치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판(15)의 틸팅각이 최대로 된 상태에서는, 권취 직경이 큰 마력 제어 스프링(31)은 리테이너(25)와 로드(35) 사이에 압축되고, 권취 직경이 작은 마력 제어 스프링(32)은 일단부가 리테이너(25)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경사판(15)의 틸팅각이 소정값보다 작아지면, 마력 제어 스프링(32)의 양단부가 리테이너(25)와 로드(35)에 접촉하여 압축된다. 이에 의해, 마력 제어 피스톤(60)에 부여되는 마력 제어 스프링(31, 32)의 스프링력이 단계적으로 높아진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리테이너(25)와 로드(35) 사이에 1개 또는 3개 이상의 마력 제어 스프링을 설치해도 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귤레이터 하우징(29)에는, 마력 제어 스프링(31)의 스프링 하중을 조정하는 조절부 스프링(82) 및 마력 제어 조절부 기구(83)가 설치된다.
코일 형상의 조절부 스프링(82)은 로드(35)에 연결되는 조절부 링크(81)와, 조절부 링크(81)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조절부 로드(84) 사이에 압축되어 개재 장착된다.
레귤레이터 하우징(29)의 일단부를 폐색하는 커버(86)에는, 조절부 스크류(85)가 나사 결합되어 설치된다. 조절부 스크류(85)는 조절부 로드(84)의 기단부에 접촉한다. 조절부 스크류(85)에는 풀림 방지용 너트(87)가 체결된다.
조절부 스프링(82), 조절부 로드(84) 및 조절부 스크류(85)는 동일 축상에 배치된다.
또한, 조절부 로드(84)와 조절부 스크류(85)는, 일체 형성해도 된다.
커버(86)에 대한 조절부 스크류(85)의 나사 결합 위치를 바꿔서 조절부 스프링(82)의 스프링 하중을 조절함으로써, 로드(35)가 스풀 축(O) 방향으로 이동하여, 마력 제어 스프링(31)의 스프링 하중이 조절된다.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귤레이터 하우징(29) 내에는 통 형상의 마력 제어 실린더(76)가 설치된다. 마력 제어 실린더(76)에는, 마력 제어 피스톤(60)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레귤레이터 하우징(29)과 마력 제어 실린더(76)는, 일체 형성해도 된다.
마력 제어 실린더(76)로부터 돌출되는 마력 제어 피스톤(60)의 선단면은, 로드(35)의 기단부면에 접촉한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로드(35)를 마력 제어 피스톤(60)과 일체 형성해도 된다.
마력 제어 피스톤(60)에는 축 구멍(62)이 형성되고, 축 구멍(62)에는 핀(61)이 삽입된다. 축 구멍(62) 내에는 핀(61)의 선단면에 의해 제1 압력실(63)이 구획된다. 제1 압력실(63)은 마력 제어 피스톤(60)의 통과 구멍(67)과, 마력 제어 실린더(76)의 통과 구멍(77)과, 레귤레이터 하우징(29)의 통과 구멍(27)(도 2 참조)을 통하여 토출 통로(104)(도 1 참조)에 연통하고 있다. 제1 압력실(63)에는, 토출 통로(104)를 통하여 펌프 토출압 P가 유도된다.
펌프 토출압 P가 상승하는 데에 수반하여, 마력 제어 피스톤(60)은 도 2, 도 3에 있어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마력 제어 스프링(31, 32)의 스프링력이 커진다.
마력 제어 피스톤(60)의 외주에는, 환 형상의 단차부(65)가 형성된다. 단차부(65)와 마력 제어 실린더(76) 사이에는 제2 압력실(66)이 구획된다.
제2 압력실(66)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의 지령에 의해 운전 모드를 전환하는 마력 제어 신호압 Ppw가 마력 제어 신호 통로(107)(도 1 참조)를 통하여 유도된다. 마력 제어 신호 통로(107)는 레귤레이터 하우징(29)의 통과 구멍(22)과, 마력 제어 실린더(76)의 통과 구멍(78)에 의해 구성된다.
마력 제어 신호압 Ppw가 상승하면, 마력 제어 피스톤(60)은 도 2, 도 3에 있어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마력 제어 스프링(31, 32)의 스프링력이 작아진다.
스풀(41)과 리테이너(25)와 로드(35)와 마력 제어 피스톤(60)은, 스풀 축(0) 상에 배열되도록 배치된다. 이에 의해, 로드(35)의 양단부에는, 스풀(41)과 마력 제어 피스톤(60)으로부터의 힘이 동일 축상에 작용한다.
또한, 상술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로드(35)를 레귤레이터 하우징(29)을 따라 안내하는 기구를 설치하고, 로드(35)를 스풀 축(O)으로부터 오프셋시켜 배치해도 된다.
이어서, 펌프 용적 제어 장치(1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도 5를 참조하여, 유량 제어 상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유량 제어 상태에서는, 스풀(41)과 로드(35) 사이에 간극(39)이 있고, 유량 제어 신호압 Pi에 의해 스풀(41)에 작용하는 힘과 유량 제어 스프링(49)의 스프링력이 균형이 잡히도록 스풀(41)이 이동함으로써, 틸팅 구동압실(6)에 유도되는 틸팅 구동압 Pc가 조절된다.
도 2, 도 3은 유압 셔블의 엔진(109)의 운전이 정지된 펌프(100)의 정지 상태를 도시한다. 정지 상태에서는, 유량 제어 신호압 Pi가 낮기 때문에, 스풀(41)은 유량 제어 스프링(49)의 스프링력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원압 포트(51)와 틸팅 구동압 포트(52)가 연통한다. 이때, 펌프(100)의 운전은 정지하고 있으므로, 펌프 토출압 P는 대략 제로이다. 따라서, 틸팅 피스톤(16)이 플러그(7)에 접촉하고, 경사판(15)이 최대 틸팅각 위치에 보유 지지된다.
도 4는 유압 셔블의 엔진(109)이 운전되고, 펌프(100)가 작동하고 있는 경우이며 붐을 구동하는 유압 실린더가 정지하고 있는 펌프(100)의 스탠바이 상태를 도시한다. 스탠바이 상태에서는, 신호압실(55)에 유도되는 유량 제어 신호압 Pi가 낮게 조절되므로, 원압 포트(51)와 틸팅 구동압 포트(52)는 연통한 상태이다. 펌프(100)의 운전에 수반하여 원압 통로(105)로부터 유도되는 펌프 토출압 P가 높아지므로, 틸팅 구동압 포트(52)로부터 틸팅 구동압실(6)에 유도되는 틸팅 구동압 Pc가 상승한다. 그 결과, 틸팅 구동압 Pc를 받는 틸팅 피스톤(16)은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경사판(15)이 화살표 C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틸팅하고, 경사판(15)이 스토퍼(5)에 접촉하는 최소 틸팅각 위치에 보유 지지된다.
도 5는 펌프(100)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에 의해 유압 실린더가 신축 작동하는 펌프(100)의 유량 제어 상태를 나타낸다. 유량 제어 상태에서는, 오퍼레이터의 레버 조작에 기초하여 신호압실(55)에 유도되는 유량 제어 신호압 Pi가 상승한다. 유량 제어 신호압 Pi가 상승하면, 스풀(41)은 유량 제어 스프링(49)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탱크 포트(48)와 틸팅 구동압 포트(52)가 연통한다. 이에 의해, 틸팅 구동압 포트(52)로부터 틸팅 구동압실(6)에 유도되는 틸팅 구동압 Pc가 낮아진다. 그 결과, 틸팅 구동압 Pc를 받는 틸팅 피스톤(16)은 도 5에 화살표 D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경사판(15)이 화살표 E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틸팅하고, 틸팅 피스톤(16)이 플러그(7)에 접촉하는 최대 틸팅각 위치를 향하여 이동한다. 이때, 틸팅 피스톤(16)에 연결된 링크(71)가 도 5에 있어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리테이너(25)도 모두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유량 제어 스프링(49)이 압축된다. 유량 제어 스프링(49)의 스프링력과 스풀(41)이 받는 유량 제어 신호압 Pi가 균형이 잡히도록 리테이너(25) 및 틸팅 피스톤(16)이 이동함으로써 경사판(15)이 틸팅하고, 경사판(15)의 틸팅각에 따라 펌프 용적이 제어된다.
도 7은 유량 제어 상태에 있어서 유량 제어 신호압 Pi와 펌프(100)로부터 유압 실린더(도시 생략)에 공급되는 제어 유량 Q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유량 제어 상태에서는, 유량 제어 신호압 Pi가 상승하는 데에 수반하여 제어 유량 Q가 서서히 상승하는 정유량 제어가 행해진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판(15)이 스토퍼(5)에 접촉하는 스탠바이 상태는, 도 7의 특성도에 있어서 유량 제어 신호압 Pi가 최저 설정값으로 되는 점 L에 상당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틸팅 피스톤(16)이 플러그(7)에 접촉하여 최대 틸팅각 위치로 되는 유량 제어 상태는, 도 7의 특성도에 있어서 유량 제어 신호압 Pi가 최대 설정값까지 높아지는 점 H에 상당한다.
펌프 용적 제어 장치(10)는 스풀(41)과 로드(35) 사이에 간극(39)이 생기는 유량 제어 상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량 제어 신호압 Pi가 높아질수록 제어 유량 Q가 증가하도록, 펌프(100)로부터 유압 실린더로 공급되는 작동유의 제어 유량 Q를 조정한다.
펌프(100)의 펌프 토출압 P(부하)가 설정값보다 상승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압력실(63)에서 펌프 토출압 P를 받는 마력 제어 피스톤(60)이 스풀(4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6은 마력 제어 피스톤(60)이 이동하여 로드(35)의 선단이 스풀(41)에 접촉한 마력 제어 상태를 도시한다.
마력 제어 상태에서는, 유량 제어 신호압 Pi와, 펌프 토출압 P에 기초하는 신호압과, 유량 제어 스프링(49)의 스프링력과, 마력 제어 스프링(31, 32)의 스프링력 등이 균형이 잡히도록, 마력 제어 피스톤(60)과 로드(35)와 스풀(41)이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도 6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펌프 토출압 P가 더 상승하면, 마력 제어 피스톤(60)이 로드(35)를 통해 스풀(41)을 밀음으로써, 스풀(41)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탱크 포트(48)와 틸팅 구동압 포트(52)가 연통한 상태로부터 원압 포트(51)와 틸팅 구동압 포트(52)가 연통한 상태로 전환된다. 이에 의해, 틸팅 구동압 Pc가 상승하고, 틸팅 피스톤(16)이 플러그(7)로부터 이격되어 틸팅각을 작게 하는 화살표 F로 나타내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틸팅 피스톤(16)에 연결된 링크(71)는 도 6에 있어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리테이너(25)도 모두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유량 제어 스프링(49)이 신장됨과 함께, 마력 제어 스프링(31, 32)이 압축된다. 강제적으로 스풀(41)을 이동시킴으로써, 틸팅 피스톤(16)이 화살표 F 방향으로 이동하고, 경사판(15)이 화살표 G 방향으로 이동하여 펌프 용적이 감소한다.
도 8은 마력 제어 상태에 있어서 펌프 토출압 P와 펌프(100)로부터 유압 실린더로 공급되는 제어 유량 Q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마력 제어 상태에서는, 펌프 토출압 P가 상승하는 데에 수반하여 제어 유량 Q가 감소하는 등 마력 특성(펌프 토출압 P와 제어 유량 Q의 곱이 대략 일정한 특성)이 얻어진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상태는, 도 8의 특성도에 있어서 제어 유량 Q가 최대값으로 되는 점 J에 상당한다.
또한, 컨트롤러의 지령에 기초하여 마력 제어 피스톤(60)에 유도되는 마력 제어 신호압 Ppw는, 고부하 모드에서 높게 조절되는 한편, 저부하 모드에서 낮게 조절된다. 저부하 모드에서 제2 압력실(66)에 유도되는 마력 제어 신호압 Ppw가 낮게 조절되면, 마력 제어 피스톤(60)이 로드(35) 및 스풀(41)과 함께 도 6에 있어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틸팅 구동압 Pc가 높아진다. 이에 의해, 펌프 용적이 감소하여, 펌프(100)의 부하가 낮아진다.
도 8에 있어서, 실선은 고부하 모드의 특성을 나타내고, 파선은 저부하 모드의 특성을 나타낸다. 저부하 모드에서는, 고부하 모드에 비해 펌프 토출압 P가 낮아짐과 함께, 제어 유량 Q가 감소하여, 펌프(100)의 부하(일률)가 낮아진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를 발휘한다.
펌프 용적 제어 장치(10)의 레귤레이터(30)는 스풀(41)이 스풀 축(O)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틸팅 구동압 Pc를 조절하는 펌프 용적 전환 밸브(40)와, 경사판(15)의 틸팅각에 따라 스풀(41)을 스풀 축(O) 방향으로 가압하는 유량 제어 스프링(49)과, 펌프 토출압 P에 따라 스풀 축(O) 방향으로 이동하는 마력 제어 피스톤(60)과, 경사판(15)의 틸팅각에 따라 마력 제어 피스톤(60)을 스풀 축(O) 방향으로 가압하는 마력 제어 스프링(31, 32)과, 마력 제어 피스톤(60)과 스풀(41)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39)을 구비한다.
마력 제어 피스톤(60)과 스풀(41) 사이에 간극(39)이 형성되는 유량 제어 상태에서는, 유량 제어 신호압 Pi에 의해 스풀(41)에 작용하는 힘에 따라 스풀(41)이 이동함으로써 틸팅 구동압 Pc가 조절된다. 이에 의해, 오퍼레이터의 레버 조작량에 따라 유압 실린더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제어 유량 Q를 제어할 수 있다.
마력 제어 피스톤(60)과 스풀(41) 사이에 간극(39)이 형성되지 않고, 스풀(41)이 마력 제어 피스톤(60)과 접촉하는 마력 제어 상태에서는, 펌프 토출압 P에 의해 마력 제어 피스톤(60)에 작용하는 힘에 따라 스풀(41)이 이동함으로써 틸팅 구동압 Pc가 조절된다. 따라서, 펌프(100)의 부하가 과대해져 엔진(109)의 운전이 정지하는 엔진 정지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력 제어 상태에서는, 스풀(41)은 마력 제어 피스톤(60)에 밀려 이동한다. 마력 제어 피스톤(60)과 스풀(41)은, 회전 결합부 등을 갖지 않기 때문에, 덜걱거림이나 마찰에 기인하는 전달 지연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펌프 용적 전환 밸브(40)의 작동 응답성을 향상시켜, 펌프 용적의 제어 오차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레귤레이터(30)에서는, 스풀(41)과 마력 제어 피스톤(60) 사이에 로드(35)가 설치되므로, 마력 제어 상태에서는, 스풀(41)이 로드(35)를 통해 마력 제어 피스톤(60)에 밀려 이동한다.
또한, 레귤레이터(30)에서는, 스풀(41)과 로드(35)와 마력 제어 피스톤(60)이 동일 축상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스풀(41)과 로드(35)와 마력 제어 피스톤(60)이 동일 축상에 배열되어 이동하므로, 스풀(41), 로드(35) 및 마력 제어 피스톤(60)이 원활하게 이동하여, 펌프 용적 전환 밸브(40)의 작동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풀(41)은 유량 제어 상태에서는 유량 제어 신호압 Pi가 높아지는 데에 수반하여 틸팅 구동압 Pc를 낮게 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마력 제어 상태에서는 펌프 토출압 P가 높아지는 데에 수반하여 틸팅 구동압 Pc를 높이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유량 제어 상태에서는 유량 제어 신호압 Pi가 높아지는 데에 수반하여 펌프 용적을 증대시키는 정유량 제어가 행해진다. 한편, 마력 제어 상태에서는 펌프 토출압 P가 높아지는 데에 수반하여 펌프 용적을 감소시키는 마력 제어가 행해진다.
또한, 레귤레이터(30)는 로드(35)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테이너(25)와, 경사판(15)이 틸팅하는 동작에 의해 리테이너(25)를 이동시키는 리테이너 이동 기구(70)를 구비한다. 마력 제어 스프링(31, 32)은 리테이너(25)와 로드(35) 사이에 개재 장착되고, 유량 제어 스프링(49)은 스풀(41)과 리테이너(25) 사이에 개재 장착된다.
이에 의해, 경사판(15)이 틸팅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리테이너(25)가 이동하고, 리테이너(25)를 통해 마력 제어 스프링(31, 32)이 신축함과 함께, 유량 제어 스프링(49)이 신축한다. 이에 의해, 유량 제어 상태에서는, 로드(35)가 스풀(41)에 대해 간극(39)을 갖고 배치되므로, 유량 제어 스프링(49)의 스프링력과 유량 제어 신호압 Pi에 의해 스풀(41)이 받는 힘이 균형이 잡히도록 틸팅 구동압 Pc가 조절되고, 유량 제어 신호압 Pi가 상승하는 데에 수반하여 펌프 용적을 증대시키는 정유량 제어가 행해진다. 한편, 마력 제어 상태에서는, 로드(35)가 스풀(41)에 접촉하고, 강제적으로 스풀(41)을 밀음으로써 틸팅 구동압 Pc가 조절된다.
또한, 리테이너 이동 기구(70)는 틸팅 피스톤(16)과 리테이너(25)를 연결하는 링크(71)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틸팅 피스톤(16)의 움직임이 링크(71)를 통해 리테이너(25)에 전달되므로, 리테이너 이동 기구(70)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링크(71)는 틸팅 피스톤(16)과 리테이너(25)의 위치 관계를 고정하고, 회전 결합부 등을 갖지 않기 때문에, 덜걱거림이나 마찰에 기인하는 전달 지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펌프 용적 전환 밸브(40)의 작동 응답성을 향상시켜, 펌프 용적의 제어 오차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 이동 기구(70)는, 링크(71)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72)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링크(71)가 가이드(72)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링크(71) 및 리테이너(25)가 가이드(72)를 따라 이동하여, 리테이너(25) 및 로드(35)의 스풀 축(0)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레귤레이터(30)는 마력 제어 스프링(31, 32)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로드(35)를 가압하는 조절부 스프링(82)과, 조절부 스프링(82)의 스프링력을 조정하는 마력 제어 조절부 기구(83)를 구비한다.
마력 제어 조절부 기구(83)에 의해 조절부 스프링(82)의 스프링력이 조절되므로, 로드(35)를 통해 마력 제어 스프링(31, 32)의 스프링력이 조절되고, 가변 용적 펌프(100)의 부하가 조정된다.
또한, 레귤레이터(30)는 마력 제어 피스톤(60)에 의해 구획되고 펌프 토출압 P가 유도되는 제1 압력실(63)과, 마력 제어 피스톤(60)에 의해 구획되고 마력 제어 신호압 Ppw가 유도되는 제2 압력실(66)을 구비한다. 마력 제어 상태에서는, 마력 제어 신호압 Ppw가 상승하는 데에 수반하여 마력 제어 피스톤(60)이 스풀(41)을 틸팅 구동압 Pc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마력 제어 피스톤(60)은 펌프 토출압 P 및 마력 제어 신호압 Ppw로부터 마력 제어 피스톤(60)이 받는 힘과 마력 제어 스프링(31, 32)의 스프링력이 균형이 잡히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마력 제어 신호압 Ppw에 따라 가변 용적 펌프(100)의 부하가 조정된다.
또한, 펌프 용적 전환 밸브(40)는 스풀(41)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리브(50)와, 슬리브(50)의 위치를 스풀 축(O) 방향에 대해 조정하는 펌프 용적 전환 조절부 기구(59)를 구비한다.
펌프 용적 전환 조절부 기구(59)에 의해 슬리브(50)의 위치가 조정됨으로써, 유량 제어 스프링(49)의 스프링 하중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유량 제어 신호압 Pi에 따라 틸팅 구동압 Pc가 증감하는 타이밍을 조정할 수 있다.
이어서,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펌프 용적 제어 장치의 유압 회로도이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1 실시 형태의 펌프 용적 제어 장치(10)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펌프 용적 제어 장치(10)는 유량 제어 상태에 있어서, 유량 제어 신호압 Pi가 높아지는 데에 비례하여 제어 유량 Q가 상승하는 정유량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펌프 용적 제어 장치(10)는 유량 제어 상태에 있어서, 유량 제어 신호압 Pi가 높아지는 데에 비례하여 제어 유량 Q가 감소하는 부유량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다.
레귤레이터(30)는 스풀(41)에 연결되는 스풀측 스프링 수용부(90)와, 리테이너(25)에 연결되는 리테이너측 스프링 수용부(91)를 구비한다. 리테이너측 스프링 수용부(91)는 연장 부재(92)를 통해 스풀측 스프링 수용부(90)보다 슬리브(50)(도 3)에 근접하는 측에 배치된다. 유량 제어 스프링(49)은 리테이너측 스프링 수용부(91)와 스풀측 스프링 수용부(90) 사이에 압축되어 개재 장착되고, 스풀(41)을 틸팅 구동압 Pc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스풀(41)에 유도되는 유량 제어 신호압 Pi는, 유량 제어 스프링(49)에 저항하여 스풀(41)을 틸팅 구동압 Pc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유량 제어 신호압 Pi가 낮은 상태에서는, 스풀(41)은 유량 제어 스프링(49)의 스프링력에 의해 틸팅 구동압 Pc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틸팅 구동압 Pc를 받는 틸팅 피스톤(16)은 경사판(15)을 최대 틸팅각으로 보유 지지하고, 펌프 용적은 최대로 된다.
유량 제어 신호압 Pi가 높아지면, 스풀(41)은 유량 제어 스프링(49)에 저항하여 틸팅 구동압 Pc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틸팅 구동압 Pc를 받는 틸팅 피스톤(16)은 경사판(15)을 틸팅각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틸팅시키고, 펌프 용적은 감소한다.
도 10은, 스풀(41)이 로드(35)와의 사이에 간극(39)을 갖고 이동하는 유량 제어 상태에 있어서, 유량 제어 신호압 Pi와 펌프(100)로부터 유압 실린더로 공급되는 제어 유량 Q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이때, 유량 제어 신호압 Pi가 낮은 값으로부터 높아지는 데에 수반하여 제어 유량 Q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부유량 제어가 행해진다.
한편, 펌프(100)의 구동 부하(펌프 토출압 P)가 설정값보다 높아지면, 제1 압력실(63)에서 펌프 토출압 P를 받는 마력 제어 피스톤(60)이 이동한다. 로드(35)가 스풀(41)에 접촉하면, 제어 상태가 유량 제어 상태로부터 마력 제어 상태로 전환된다. 마력 제어 상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펌프 토출압 P가 높아지는 데에 수반하여 펌프 용적을 감소시키는 마력 제어가 행해진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를 발휘한다.
스풀(41)은 유량 제어 상태에서는 유량 제어 신호압 Pi가 높아지는 데에 수반하여 틸팅 구동압 Pc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마력 제어 상태에서는 펌프 토출압 P가 높아지는 데에 수반하여 틸팅 구동압 Pc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유량 제어 상태에서는 유량 제어 신호압 Pi가 높아지는 데에 수반하여 펌프 용적을 감소시키는 부유량 제어가 행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상기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적용예의 하나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상기 실시 형태의 구체적 구성으로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펌프(100)로서 경사판식 피스톤 펌프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가변 용적 펌프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유압 셔블의 압력원에 설치되는 펌프 용적 제어 장치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기계, 설비 등에 설치되는 펌프 용적 제어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원은, 2013년 3월 28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3-070059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Claims (11)

  1. 경사판의 틸팅각에 따라 펌프의 펌프 용적을 변화시키는 펌프 용적 제어 장치이며,
    틸팅 구동압이 높아질수록 펌프 용적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상기 경사판을 틸팅시키는 틸팅 피스톤과,
    스풀이 이동함으로써 틸팅 구동압을 조절하는 펌프 용적 전환 밸브와,
    상기 경사판의 틸팅각에 따라 상기 스풀을 가압하는 유량 제어 스프링과,
    상기 펌프의 펌프 토출압에 따라 이동하는 마력 제어 피스톤과,
    상기 경사판의 틸팅각에 따라 상기 마력 제어 피스톤을 가압하는 마력 제어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마력 제어 피스톤과 상기 스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유량 제어 상태에서는, 유량 제어 신호압에 의해 상기 스풀에 작용하는 힘에 따라 상기 스풀이 이동함으로써 틸팅 구동압이 조절되고,
    상기 마력 제어 피스톤과 상기 스풀이 접촉하는 마력 제어 상태에서는, 펌프 토출압에 의해 상기 마력 제어 피스톤에 작용하는 힘에 따라 상기 스풀이 이동함으로써 틸팅 구동압이 조절되는, 펌프 용적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력 제어 피스톤과 상기 스풀 사이에 로드가 설치되는, 펌프 용적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과 상기 로드와 상기 마력 제어 피스톤은, 동일 축상에 배치되는, 펌프 용적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은, 상기 유량 제어 상태에서는 유량 제어 신호압이 높아지는 데에 수반하여 틸팅 구동압이 낮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마력 제어 상태에서는 펌프 토출압이 높아지는 데에 수반하여 틸팅 구동압이 높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펌프 용적 제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에 대해 상기 로드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테이너와,
    상기 경사판이 틸팅하는 데에 따라 상기 리테이너를 이동시키는 리테이너 이동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마력 제어 스프링은, 상기 리테이너와 상기 로드 사이에 개재 장착되고,
    상기 유량 제어 스프링은, 상기 스풀과 상기 리테이너 사이에 개재 장착되는, 펌프 용적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이동 기구는, 상기 틸팅 피스톤과 상기 리테이너를 연결하는 링크를 갖는, 펌프 용적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이동 기구는, 상기 링크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를 갖는, 펌프 용적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력 제어 스프링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조절부 스프링과,
    상기 조절부 스프링의 스프링력을 조정하는 마력 제어 조절부 기구를 더 구비하는, 펌프 용적 제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력 제어 피스톤에 의해 구획되고 펌프 토출압이 유도되는 제1 압력실과,
    상기 마력 제어 피스톤에 의해 구획되고 마력 제어 신호압이 유도되는 제2 압력실을 더 구비하고,
    상기 마력 제어 상태에서는 마력 제어 신호압이 높아지는 데에 수반하여 상기 마력 제어 피스톤이 상기 스풀을 틸팅 구동압이 낮아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펌프 용적 제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용적 전환 밸브는, 상기 스풀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위치를 조정하는 펌프 용적 전환 조절부 기구를 갖는, 펌프 용적 제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은, 상기 유량 제어 상태에서는 유량 제어 신호압이 높아지는 데에 수반하여 틸팅 구동압이 높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마력 제어 상태에서는 펌프 토출압이 높아지는 데에 수반하여 틸팅 구동압이 높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펌프 용적 제어 장치.
KR1020157015495A 2013-03-28 2014-01-07 펌프 용적 제어 장치 KR1017022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70059 2013-03-28
JP2013070059A JP6111116B2 (ja) 2013-03-28 2013-03-28 ポンプ容積制御装置
PCT/JP2014/050052 WO2014156207A1 (ja) 2013-03-28 2014-01-07 ポンプ容積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982A KR20150084982A (ko) 2015-07-22
KR101702250B1 true KR101702250B1 (ko) 2017-02-03

Family

ID=51623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5495A KR101702250B1 (ko) 2013-03-28 2014-01-07 펌프 용적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45368B2 (ko)
EP (1) EP2933486B1 (ko)
JP (1) JP6111116B2 (ko)
KR (1) KR101702250B1 (ko)
CN (1) CN104870813B (ko)
WO (1) WO20141562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07259A1 (de) * 2014-05-22 2015-11-26 Robert Bosch Gmbh Verstelleinrichtung für eine hydrostatische Kolbenmaschine und hydrostatische Axialkolbenmaschine
FR3030641B1 (fr) * 2014-12-23 2017-01-13 Poclain Hydraulics Ind Dispositif de commutation automatique de cylindree d'une machine a pistons axiaux
KR101836854B1 (ko) * 2015-03-09 2018-03-09 주식회사 두산 가변용량형 유압 펌프의 사판 각도 제어용 서보피스톤
FR3053413B1 (fr) * 2016-06-29 2019-03-29 Airbus Helicopters Double circuit hydraulique a regulation de pression
WO2020195299A1 (ja) * 2019-03-22 2020-10-01 Kyb株式会社 ポンプ容量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D110684A1 (ko) * 1974-03-20 1975-01-05
JPS60128999U (ja) * 1984-02-08 1985-08-2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可変液圧ポンプの容量制御装置
JPH0658111B2 (ja) * 1984-11-30 1994-08-0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可変容量型油圧ポンプの吐出量制御装置
JPS6418975A (en) * 1987-07-15 1989-01-23 Japan Metals & Chem Co Ltd Refractory material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gainst halogen-based flux
JP2801091B2 (ja) * 1991-02-19 1998-09-2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可変容量型油圧ポンプの馬力制御装置
KR950007252B1 (ko) * 1991-11-30 1995-07-07 삼성중공업주식회사 가변용량형 유압펌프의 제어장치
KR950003064B1 (ko) * 1992-05-30 1995-03-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변용량형 유압펌프의 제어장치
JP3747061B2 (ja) * 1993-11-08 2006-02-22 ツェーエルテー・コモン・レイル・テクノロジーズ・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注入比調整ポンプのための制御装置
JP3321278B2 (ja) * 1993-12-24 2002-09-03 日立建機株式会社 油圧ポンプの容量制御装置
JP3868553B2 (ja) * 1996-10-15 2007-01-17 ボッシュ・レックスロス株式会社 可変容量ポンプの容量制御装置
JPH10184556A (ja) 1996-12-20 1998-07-14 Hitachi Constr Mach Co Ltd 油圧ポンプ容量制御装置
JP3080597B2 (ja) 1997-04-08 2000-08-2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ポンプの流量制御装置
US6053707A (en) * 1997-04-16 2000-04-25 Sumitomo Heavy Industries, Ltd. Control device for slanting plate type variable capacity pump
JPH11148463A (ja) * 1997-11-13 1999-06-02 Hitachi Constr Mach Co Ltd 油圧ポンプ容量制御装置
JP4033849B2 (ja) 2004-03-30 2008-01-16 株式会社カワサキプレシジョンマシナリ 可変容量型油圧ポンプ制御装置
JP4851857B2 (ja) * 2006-06-15 2012-01-11 東芝機械株式会社 ポンプ流量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5040316B2 (ja) * 2006-12-18 2012-10-03 株式会社不二越 ピストンポンプ
JP4936984B2 (ja) * 2007-05-11 2012-05-23 カヤバ工業株式会社 油圧回路
US8661804B2 (en) * 2009-12-11 2014-03-04 Caterpillar Inc. Control system for swashplate pump
KR101637571B1 (ko) * 2009-12-23 2016-07-2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유압펌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5918688B2 (ja) * 2012-12-11 2016-05-1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可変容量型ポンプ用レギュレータ
KR101510397B1 (ko) * 2014-11-12 2015-04-09 정옥희 사판식 유압펌프용 레귤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194159A (ja) 2014-10-09
CN104870813B (zh) 2016-12-07
EP2933486B1 (en) 2017-07-05
CN104870813A (zh) 2015-08-26
KR20150084982A (ko) 2015-07-22
US10145368B2 (en) 2018-12-04
JP6111116B2 (ja) 2017-04-05
US20150337813A1 (en) 2015-11-26
EP2933486A4 (en) 2016-08-31
WO2014156207A1 (ja) 2014-10-02
EP2933486A1 (en) 2015-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2250B1 (ko) 펌프 용적 제어 장치
KR101210733B1 (ko) 굴삭기의 유압펌프용 레귤레이터
KR20150003366A (ko) 가변용량형 펌프용 레귤레이터
US20200011308A1 (en) Servo regulator
KR101702253B1 (ko) 펌프 토출 유량 제어 장치
JP6075866B2 (ja) ポンプ制御装置
JP4869118B2 (ja) 馬力制御レギュレータ、馬力制御装置、及び、ピストンポンプ
JP4997162B2 (ja) サーボレギュレータ
JP5204531B2 (ja) サーボレギュレータ
JP6698359B2 (ja) フェールセーフ付油圧システム
JP4917938B2 (ja) 馬力制御レギュレータ、馬力制御装置、及びピストンポンプ
KR102198500B1 (ko) 유압 펌프용 레귤레이터
JP5546736B2 (ja) 斜板式可変容量ピストンポンプの吐出容量調整装置
RU2275531C1 (ru) Аксиально-поршневая гидромашина с регулируемым рабочим объемом
KR20200076421A (ko) 유압 펌프용 레귤레이터
JP2005201076A (ja) 可変容量型油圧ポンプの傾転制御装置
JPH0744772Y2 (ja) 可変容量型油圧ポンプの流量制御装置
KR101003966B1 (ko) 엑시얼 피스톤 펌프의 레귤레이터
JPS58210388A (ja) 可変容量形液圧ポンプ
JP2017172562A (ja) 可変容量型ピストンポンプ
JP2002054552A (ja) 可変容量型油圧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