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660B1 - X선 진단 장치 및 x선 가동 조리개 장치 - Google Patents

X선 진단 장치 및 x선 가동 조리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660B1
KR101701660B1 KR1020157019813A KR20157019813A KR101701660B1 KR 101701660 B1 KR101701660 B1 KR 101701660B1 KR 1020157019813 A KR1020157019813 A KR 1020157019813A KR 20157019813 A KR20157019813 A KR 20157019813A KR 101701660 B1 KR101701660 B1 KR 101701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ray
diaphragm
photographing
bla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9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0824A (ko
Inventor
세이이치 니시즈카
야스히로 스가와라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메디칼 시스템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메디칼 시스템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도시바 메디칼 시스템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100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0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208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using a particular type of detector
    • A61B6/4233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using a particular type of detector using matrix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6Diaphragm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KTECHNIQUE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IRRADIATION DEVICES; GAMMA RAY OR X-RAY MICROSCOPES
    • G21K1/00Arrangement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e.g. focusing or moderating
    • G21K1/02Arrangement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e.g. focusing or moderating using diaphragms, collimators
    • G21K1/04Arrangement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e.g. focusing or moderating using diaphragms, collimators using variable diaphragms, shutters, chop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실시 형태에 따른 X선 진단 장치(1)는 X선 초점에 있어서 X선을 발생하는 X선관(131)과, X선관(131)으로부터 발생되고 피검체를 투과한 X선을 검출하는 X선 평면 검출기(153)와, 발생된 X선의 조사 범위를 소정의 방향을 따라서 조사 범위의 양단측으로부터 한정하는 복수의 제1 차폐판과, 조사 범위의 최대 구경에 있어서 소정의 방향을 따른 길이의 중점을 적어도 일부가 넘어서 소정의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차폐판을 갖는 X선 가동 조리개부(13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X선 진단 장치 및 X선 가동 조리개 장치{X-RAY DIAGNOSTIC DEVICE AND X-RAY MOVABLE DIAPHRAGM DEVICE}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긴 촬영에 관한 X선 진단 장치 및 X선 가동 조리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X선 평면 검출기(Flat Panel Detector: 이하, FPD라고 칭한다)를 갖는 X선 진단 장치는, 피검체의 하지 및 전척주를 촬영하는 긴 촬영을 실행하는 경우가 있다. 긴 촬영에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3종류의 촬영 방식이 있다.
도 20에 도시하는 X선관 고정 방식에서는, 긴 촬영의 실행 기간에 걸쳐서 X선관은 고정된다. X선관 고정 방식에 있어서, FPD는, 긴 촬영의 대상 부위의 범위에 걸쳐서 이동된다. 이때, X선 가동 조리개에 있어서의 조리개 개방도는, 이동된 FPD의 영역이 X선 조사 범위에 일치하도록 제어된다. X선관 고정 방식에 있어서의 긴 촬영에 있어서 취득된 복수의 의료용 화상은, 소정의 중첩폭으로 결합된다. 결합된 의료용 화상(이하, 긴 화상이라고 칭한다)에 있어서의 소정의 중첩폭에 있어서의 중첩의 정밀도(이하, 접합 정밀도라고 칭한다)는 후술하는 X선관 이동 방식에 있어서의 접합 정밀도에 비하여 고정밀도가 된다.
X선관 고정 방식에 있어서, X선 가동 조리개는 X선 조사 범위를 장축 방향을 따라 한정하는 복수의 조리개 블레이드(이하, 장축 방향 조리개 블레이드라고 칭한다)를 독립적으로 장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기구(이하, 독립 이동 기구라고 칭한다)를 가질 필요가 있다. 즉, 장축 방향 조리개 블레이드가 연동하여 이동되는 종래형의 X선 가동 조리개로는, X선관 고정 방식을 실행할 수는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독립 이동 기구로는, 최대 조사 영역(최대의 X선 조사 범위)에 있어서의 장축 방향을 따른 길이의 중점을 통과하고 단축 방향을 따른 축(이하, 장축 중심축이라고 칭한다)을 넘어 장축 방향 조리개 블레이드를 이동시킬 수 없다. 이로 인해,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촬영의 촬영 범위가 FPD 2매분이 된다. FPD 2매분의 길이를 초과하는 영역에서, 긴 촬영을 실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장축 중심축을 넘어서 이동 가능한 독립 이동 기구를 갖는 X선 가동 조리개에서는, 장축 방향 조리개 블레이드의 장축 방향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X선 가동 조리개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즉, X선 가동 조리개의 외형을 크게 하지 않고, 장축 방향 조리개 블레이드를, 장축 중심축을 넘어서 이동시킬 수 없어, 촬영 범위가 FPD 2매분에 한정되는 문제가 있다.
도 20에 도시하는 X선관 이동 방식에서는, 장축 방향을 따른 X선관의 이동에 수반하여, FPD는 이동된다. X선관 이동 방식에서는, 임의의 매수(예를 들어, FPD 3매분 등)로 긴 촬영을 실행할 수 있다. 그러나, X선관 이동 방식에서는, X선관의 초점 위치가 이동하기 때문에, 긴 촬영에 의해 촬영된 복수의 의료용 화상에 있어서, 접합 정밀도가 낮다는 문제가 있다. 접합 정밀도의 저하는, 피검체와 FPD 사이의 거리(Patiant Image Distance: 이하, PID라고 칭한다)에 있어서, 각각의 접합면에서 피사체를 투과하는 X선의 방향이 상이한 것에 기인한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X선관 회전 방식에서는, X선관의 회전에 따른 X선 조사 범위의 회전에 수반하여, FPD를 이동시켜서 긴 촬영이 실행된다. X선관 회전 방식은, X선관 이동 방식에 있어서의 접합 정밀도보다 높고, 또한 X선관 고정 방식과 동일 정도의 접합 정밀도를 갖는다. 그러나, 중량물인 X선관을, X선관의 초점을 중심으로 하여, 긴 촬영의 촬영 범위 및 FPD의 이동에 따라서 회전시키는 X선관 회전 기구가 필요해진다. X선 진단 장치에 있어서, X선관 회전 기구의 추가 탑재는,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X선관의 정밀한 회전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긴 촬영을 컴퓨티드 라디오그래피(Computted Radiography: 이하, CR이라고 칭한다) 장치로 실행하는 경우, 피검체를 촬영 후, 휘진성 형광체를 갖는 이메징 플레이트 등의 X선 검출기에 기억된 X선 화상 정보를, 판독기로 판독할 필요가 있다. 즉, CR 장치에 의한 긴 촬영에 있어서는, FPD를 갖는 X선 진단 장치에 비하여, 리얼타임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종래, X선 가동 조리개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전방면 블레이드와 복수의 내측 블레이드를 갖는다. X축 방향으로 병렬된 2매의 전방면 블레이드는, 연동하여 X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된다. 구체적으로는, X축 방향으로 병렬된 2매의 전방면 블레이드는, 조사 범위의 중심을 통과하여 Y축에 평행한 축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이동된다. 또한, Y축 방향으로 병렬된 2매의 전방면 블레이드는, 연동하여 Y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된다. 구체적으로는, Y축 방향으로 병렬된 2매의 전방면 블레이드는, 조사 범위의 중심을 통과하여 X축에 평행한 축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이동된다. 이들 4매의 전방면 블레이드의 이동에 의해, 조리개 동작이 실행된다. 또한, X축 방향으로 병렬된 2매의 내측 블레이드는, X축 방향으로 병렬된 2매의 전방면 블레이드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X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된다. Y축 방향으로 병렬된 2매의 내측 블레이드는, Y축 방향으로 병렬된 2매의 전방면 블레이드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Y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된다. 이에 의해, 내측 블레이드는, 초점에서 발생된 2차 전자에서 유래되는 X선(이하, 초점외 X선이라고 칭한다)을 차폐한다. 이 기구에 의해, 복수의 전방면 블레이드는, 조사 범위의 중심을 넘어서 조사 범위를 좁힐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목적은, 소형화 가능한 X선 가동 조리개를 갖고, 접합 정밀도가 좋은 긴 촬영에 관한 X선 진단 장치 및 X선 가동 조리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X선 진단 장치는, X선 초점에 있어서 X선을 발생하는 X선관과, 상기 X선관으로부터 발생되고, 피검체를 투과한 X선을 검출하는 X선 평면 검출기와, 상기 발생된 X선의 조사 범위를 소정의 방향을 따라서 상기 조사 범위의 양단측으로부터 한정하는 복수의 제1 차폐판과, 상기 조사 범위의 최대 구경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방향을 따른 길이의 중점을 적어도 일부가 넘어서 상기 소정의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차폐판을 갖는 X선 가동 조리개부를 구비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X선 진단 장치의 구성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X선 가동 조리개부의 구성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X선 가동 조리개부에 있어서의 복수의 제1, 제2 조리개 블레이드와 차폐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긴 촬영 처리의 수순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X선 진단 장치의 구성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X선 가동 조리개부의 구성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X선 가동 조리개부에 있어서의 복수의 제1, 제2 조리개 블레이드와 제3 조리개 블레이드의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도 7에 있어서 제1 중심축과 Z축을 따른 단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긴 촬영 처리의 수순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의 긴 촬영 처리에 관한 것으로서, 제1 촬영에 있어서의 제1 내지 제3 조리개 블레이드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의 긴 촬영 처리에 관한 것으로서, 도 10에 있어서의 제1 촬영에 있어서, X선관과 X선 가동 조리개부에 있어서의 제1 내지 제3 조리개 블레이드와, X선 평면 검출기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의 긴 촬영 처리에 관한 것으로서, 제2 촬영에 있어서의 제1 내지 제3 조리개 블레이드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의 긴 촬영 처리에 관한 것으로서, 도 12에 있어서의 제2 촬영에 있어서, X선관과 X선 가동 조리개부에 있어서의 제1 내지 제3 조리개 블레이드와, X선 평면 검출기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의 긴 촬영 처리에 관한 것으로서, 제3 촬영에 있어서의 제1 내지 제3 조리개 블레이드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2 실시 형태의 긴 촬영 처리에 관한 것으로서, 도 14에 있어서의 제3 촬영에 있어서, X선관과 X선 가동 조리개부에 있어서의 제1 내지 제3 조리개 블레이드와, X선 평면 검출기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제2 실시 형태의 긴 촬영 처리에 있어서 촬영 횟수가 2회인 경우로서, 제1 촬영에 있어서의 제1 내지 제3 조리개 블레이드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제2 실시 형태의 긴 촬영 처리에 관한 것으로서, 도 17에 있어서의 제1 촬영에 있어서, X선관과 X선 가동 조리개부에 있어서의 제1 내지 제3 조리개 블레이드와, X선 평면 검출기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제2 실시 형태의 긴 촬영 처리에 있어서 촬영 횟수가 2회인 경우로서, 제2 촬영에 있어서의 제1 내지 제3 조리개 블레이드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제2 실시 형태의 긴 촬영 처리에 관한 것으로서, 도 18에 있어서의 제2 촬영에 있어서, X선관과 X선 가동 조리개부에 있어서의 제1 내지 제3 조리개 블레이드와, X선 평면 검출기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종래의 긴 촬영에 관한 것으로서, 긴 촬영의 복수의 방식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종래의 긴 촬영에 있어서의 X선 가동 조리개에 관한 도면이다.
도 22는 종래의 긴 촬영에 있어서의 X선 가동 조리개에 관한 도면이다.
도 23은 종래의 X선 가동 조리개에 관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X선 진단 장치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대략 동일한 기능 및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 설명은 필요한 경우에만 행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X선 진단 장치(1)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본 X선 진단 장치(1)는 고전압 발생부(11), X선관(131)과 X선 가동 조리개부(133)와 조리개 블레이드 배치부(135)와 개방도 정보 표시부(137)를 지지하는 지지 기구(13), 천장판(151)과 X선 평면 검출기(Flat Panel Detector: 이하, FPD라고 칭한다)(153)와 검출기 이동부(155)를 갖는 침대(15), 위치 결정부(17), 개방도 정보 발생부(18), 화상 처리부(19), 기억부(21), 표시부(23), 입력부(25), 제어부(27)를 갖는다.
고전압 발생부(11)는 후술하는 X선관(131)에 공급하는 관전류와, X선관(131)에 인가하는 관전압을 발생시킨다. 고전압 발생부(11)는 X선 촬영 및 X선 투시에 각각 적합한 관전류를 X선관(131)에 공급하고, X선 촬영 및 X선 투시 각각에 각각 적합한 관전압을 X선관(131)에 인가한다. 구체적으로는, 고전압 발생부(11)는 후술하는 제어부(27)에 의한 제어 하에, X선 촬영 조건에 따른 관전압과 관전류를 발생한다. 예를 들어, 피검체 P의 하지 및 척주를 촬영하는 긴 촬영에 있어서, 후술하는 입력부(25)에 있어서의 촬영 스위치가 조작자에 의해 눌러지면, 긴 촬영의 조건에 따른 관전압을 X선관(131)에 인가하고, X선 촬영 조건에 따른 관전류를 X선관(131)에 공급한다.
지지 기구(13)는 후술하는 X선관(131), X선 가동 조리개부(133), 조리개 블레이드 배치부(135), 개방도 정보 표시부(137) 등을, 후술하는 직교 3축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지지 기구(13)는 X선관(131)에 있어서의 X선 발생의 초점과 후술하는 FPD(153) 사이의 거리(선원 수상면간 거리(Source Image Distance: 이하, SID라고 칭한다))를 변경 가능하게, X선관(131)과 X선 가동 조리개부(133)와 조리개 블레이드 배치부(135)와 개방도 정보 표시부(137) 등을 지지한다. 지지 기구(13)는 후술하는 위치 결정부(17)에 의해 결정된 관구 위치에 X선관(131)을 배치시킨다. 지지 기구(13)는 후술하는 긴 촬영에 있어서, 관구 위치에 배치된 X선관(131)을 고정한다.
X선관(131)은 고전압 발생부(11)로부터 공급된 관전류와, 고전압 발생부(11)에 의해 인가된 관전압에 기초하여, X선 발생의 초점(이하, 관구 초점이라고 칭한다)에서 X선을 발생한다. 관구 초점 근방에서는, 관구 초점에서 발생된 2차 전자에서 유래되는 X선(이하, 초점외 X선이라고 칭한다)이 발생한다. 이하, 관구 초점과 초점외 X선의 발생에 기인하는 점(이하, 초점외 X선 발생 점이라고 칭한다)을 합쳐서 X선 초점이라고 칭한다. 발생된 X선은, X선관(131)에 있어서의 X선 방사창으로부터 방사된다. 이하, 관구 초점을 통과하여, 후술하는 FPD(153)에 수직인 축을 Z축으로 한다. Z축에 수직이며, 후술하는 천장판(151)의 장축 방향(이하, 제1 방향이라고 칭한다)을 X축이라고 한다. Z축과 X축에 수직인 축(천장판(151)의 단축 방향: 이하, 제2 방향이라고 칭한다)을 Y축으로 한다.
X선 가동 조리개부(133)는 X선관(131)과 후술하는 천장판(151)에 설치된 FPD(153) 사이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X선 가동 조리개부(133)는 X선관(131)에 있어서의 X선 방사창의 전방면에 설치된다. X선 가동 조리개부(133)는 조사 영역 한정기라고도 칭해진다. X선 가동 조리개부(133)는 X선관(131)에서 발생된 X선을, 조작자가 원하는 촬영 부위 이외에 불필요한 피폭을 시키지 않기 위해서, 최대 구경의 조사 범위(이하, 최대 조사 범위라고 칭한다)를 소정의 조사 범위로 좁힌다.
X선 가동 조리개부(133)는 제1 방향(소정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복수의 제1 조리개 블레이드와,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복수의 제2 조리개 블레이드와, 초점외 X선을 차폐하는 차폐부를 갖는다. 초점외 X선은, 예를 들어, 제1, 제2 조리개 블레이드로 끼워진 영역의 외부에 있어서의 X선이다. 제1, 제2 조리개 블레이드 각각은, X선관(131)에 의해 발생된 X선을 차폐하는 납을 포함한다. 도 2는, X선 가동 조리개부(133)의 구성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복수의 제1 조리개 블레이드(1331)(제1 조리개 블레이드 a, 제1 조리개 블레이드 b)는 최대 조사 범위에서 제1 방향을 따른 길이의 중점을 넘어서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제2 조리개 블레이드(1333)(제2 조리개 블레이드 a, 제2 조리개 블레이드 b)는 최대 조사 범위에서 제2 방향을 따른 길이의 중점을 넘어서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도 된다.
차폐부(1335)는 제1 조리개 블레이드(1331)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차폐 블레이드(1337)와, 제2 조리개 블레이드(1333)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 차폐 블레이드(1339)를 갖는다. 차폐부(1335)는 제1, 제2 조리개 블레이드에 대하여 X선 초점측의 위치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차폐부(1335)는 X선 초점과, 제1 조리개 블레이드 사이에 설치된다. 차폐부(1335)는 복수의 제1 차폐 블레이드(1337)(제1 차폐 블레이드 a, 제1 차폐 블레이드 b)와, 복수의 제2 차폐 블레이드(1339)(제2 차폐 블레이드 a, 제2 차폐 블레이드 b)와, 복수의 제1 이동 기구(1341)(제1 이동 기구 a, 제1 이동 기구 b)와, 복수의 제2 이동 기구(1343)(제2 이동 기구 a, 제2 이동 기구 b)를 갖는다. 제1, 제2 차폐 블레이드 각각은, 초점외 X선을 차폐하는 납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1 차폐 블레이드(1337)와, 복수의 제2 차폐 블레이드(1339)는, 최대 조사 범위 중 소정의 조사 범위를 제외한 범위에 있어서의 초점외 X선을 차폐하는 사이즈와 구조를 갖는다. 제1 이동 기구 a는, 제1 조리개 블레이드 a의 이동에 연동하여, 제1 차폐 블레이드 a를 이동시킨다. 제1 이동 기구 b는, 제1 조리개 블레이드 b의 이동에 연동하여, 제1 차폐 블레이드 b를 이동시킨다. 제2 이동 기구 a는, 제2 조리개 블레이드 a의 이동에 연동하여, 제2 차폐 블레이드 a를 이동시킨다. 제2 이동 기구 b는, 제2 조리개 블레이드 b의 이동에 연동하여, 제2 차폐 블레이드 b를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제1 이동 기구(1341)와 제2 이동 기구(1343)는, 예를 들어, X선 초점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회전 부분을 갖는다. 또한, 제1 이동 기구(1341)와 제2 이동 기구(1343)는, 각각 대응하는 차폐 블레이드를, 예를 들어, 모터 구동에 의해 이동시켜도 된다.
제1 차폐 블레이드(1337)는 예를 들어, 샤프트를 통하여, 제1 조리개 블레이드(1331)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제1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2 차폐 블레이드(1339)는 예를 들어, 샤프트를 통하여, 제2 조리개 블레이드(1333)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제2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 차폐 블레이드(1337)는 복수의 제1 차폐판이다. 복수의 제1 차폐판은, 최대 조사 범위를 소정의 방향을 따라서 조사 범위의 양단측으로부터 한정한다. 제1 조리개 블레이드(1331)는 제2 차폐판이다. 제2 차폐판은, 조사 범위의 최대 구경(최대 조사 범위의 구경)에 있어서 소정의 방향을 따른 길이의 중점을, 적어도 일부가 넘어서 소정의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제1 차폐 블레이드(1337)는 제1 차폐 블레이드(1337)를 포함하는 평면에 있어서의 제1 중심축을 넘어서, 제1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해도 된다. 또한, 제2 차폐 블레이드(1339)는 제2 차폐 블레이드(1339)를 포함하는 평면에 있어서의 제2 중심축을 넘어서, 제2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해도 된다. 또한, 차폐부(1335)는 제1 차폐 블레이드(1337)와 제1 조리개 블레이드(1331) 사이에, 초점외 X선을 차폐하는 도시하지 않은 제3 차폐 블레이드를 더 갖고 있어도 된다.
X선 가동 조리개부(133)는 피검체 P에의 피폭선량의 저감 및 화질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이용 X선 추 내에 삽입되는 복수의 필터(이하, 부가 필터라고 칭한다)를 갖는다. 부가 필터는, X선 필터, 여과판, 빔 필터, 선질 필터, 또는 빔 스펙토그램 필터라고도 불린다.
조리개 블레이드 배치부(135)는 긴 촬영에 있어서의 복수의 촬영 각각에 따라 후술하는 위치 결정부(17)에 의해 결정된 제1, 제2 블레이드 위치에, 복수의 제1 조리개 블레이드(1331), 복수의 제2 조리개 블레이드(1333)를 각각 배치한다. 구체적으로는, 조리개 블레이드 배치부(135)는 위치 결정부(17)에 의해 결정된 제1 블레이드 위치에 복수의 제1 조리개 블레이드(1331)를 배치시키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제1 조리개 블레이드 이동 기구를 갖는다. 제1 조리개 블레이드 이동 기구는, 복수의 제1 조리개 블레이드(1331) 각각을, 중점을 통과하여 제2 방향을 따른 축(이하, 제1 중심축이라고 칭한다)을 넘어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조리개 블레이드 배치부(135)는 위치 결정부(17)에 의해 결정된 제2 블레이드 위치에 복수의 제2 조리개 블레이드(1333)를 배치시키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제2 조리개 블레이드 이동 기구를 갖는다. 제2 조리개 블레이드 이동 기구는, 복수의 제2 조리개 블레이드(1333) 각각을, 제2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제2 조리개 블레이드 이동 기구는, 복수의 제2 조리개 블레이드(1333) 각각을, 중점을 통과하여 제1 방향을 따른 축(이하, 제2 중심축이라고 칭한다)을 넘어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해도 된다.
조리개 블레이드 배치부(135)는 후술하는 입력부(25)를 통한 소정의 조작을 계기로 하여, 제1 중심축에 대하여 비대칭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 조리개 블레이드(1331)를 제1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적인 위치에 배치한다. 또한, 조리개 블레이드 배치부(135)는 후술하는 긴 촬영의 종료를 계기로 하여, 제1 중심축에 대하여 비대칭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 조리개 블레이드(1331)를 제1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적인 위치에 배치해도 된다. 또한, 조리개 블레이드 배치부(135)는 최대 조사 범위를 이동 한계로 하여, 제1 조리개 블레이드(1331) 및 제2 조리개 블레이드(1333)의 배치를 제한하는 기능을 갖는다. 조리개 블레이드 배치부(135)는 후술하는 위치 결정부(17)에 의해 결정된 제2 차폐판의 위치에 제2 차폐판을 긴 촬영의 촬영마다 배치한다.
도 3은, X선 가동 조리개부(133)에 있어서의 복수의 제1, 제2 조리개 블레이드와 차폐부(1335)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조리개 블레이드(1331)는 제1 조리개 블레이드 a와 제1 조리개 블레이드 b를 포함한다. 제1 조리개 블레이드 a 및 제1 조리개 블레이드 b는, 각각 제1 중심축을 넘어서 이동 가능하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2 조리개 블레이드(1333)는 제2 조리개 블레이드 a와 제2 조리개 블레이드 b를 포함한다. 제2 조리개 블레이드 a 및 제2 조리개 블레이드 b는, 각각 제2 중심축을 넘어서 이동 가능해도 된다. 도 3에 있어서, X선 초점이 점이 아니고 크기를 갖고 있는(원형 형상) 것은, X선 초점이 관구 초점과 초점외 X선 발생점을 갖고 있는 것에 기인한다.
제1 차폐 블레이드 a는, 제1 이동 기구 a를 통하여, 제1 조리개 블레이드 a의 이동에 연동하여, 초점외 X선을 차폐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제1 차폐 블레이드 b는, 제1 이동 기구 b를 통하여, 제1 조리개 블레이드 b의 이동에 연동하여, 초점외 X선을 차폐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제2 차폐 블레이드 a는, 제2 이동 기구 a를 통하여, 제2 조리개 블레이드 a의 이동에 연동하여, 초점외 X선을 차폐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제2 차폐 블레이드 b는, 제2 이동 기구 b를 통하여, 제2 조리개 블레이드 b의 이동에 연동하여, 초점외 X선을 차폐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개방도 정보 표시부(137)는 후술하는 개방도 정보 발생부(18)에 의해 발생된 개방도 정보를 표시한다. 개방도 정보란, 예를 들어, 도 3에 있어서의 한정된 조사 범위에 대응하는 시야 사이즈이다. 개방도 정보 표시부(137)는 예를 들어, 시야 사이즈에 관한 종횡의 사이즈를 표시한다. 이때, 표시되는 사이즈의 단위는, 센티미터, 인치 등 중 어느 단위여도 된다.
침대(15)는 피검체 P를 적재하는 천장판(151)(와위 테이블이라고도 한다)과, 긴 촬영에 있어서 후술하는 X선 평면 검출기(153)를 이동시키는 검출기 이동부(155)를 갖는다. 또한, 침대(15)는 투시 침대여도 된다. 천장판(151)에는 피검체 P가 적재된다.
FPD(153)는, X선관(131)에 대향하여, 후술하는 천장판(151) 내에 설치된다. FPD(153)는, 천장판(151)에 적재된 피검체 P를 투과한 X선을 검출한다. FPD(153)는, 복수의 반도체 검출 소자를 갖는다. 반도체 검출 소자에는, 직접 변환형과 간접 변환형이 있다. 직접 변환형이란, 입사 X선을 직접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형식이다. 간접 변환형이란, 입사 X선을 형광체로 광으로 변환하고, 그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형식이다. X선의 입사에 따라 복수의 반도체 검출 소자에서 발생된 전기 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Analog to Digital converter: 이하, A/D 변환기라고 칭한다)로 출력된다. A/D 변환기는, 전기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A/D 변환기는, 디지털 데이터를, 도시하지 않은 전처리부로 출력한다.
도시하지 않은 전처리부는, FPD(153)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데이터에 대하여 전처리를 실행한다. 전처리란, FPD(153)에 있어서의 채널 간의 감도 불균일의 보정 및 금속 등의 X선 강흡수체에 의한 극단적인 신호의 저하 또는 데이터의 탈락에 관한 보정 등이다. 전처리된 디지털 데이터는, 후술하는 화상 처리부(19)로 출력된다.
검출기 이동부(155)는 후술하는 위치 결정부(17)에 의해 결정된 검출기 위치로 FPD(153)를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검출기 이동부(155)는 긴 촬영에 있어서의 촬영 횟수에 따른 복수의 검출기 위치로 촬영마다 FPD(153)를 이동시킨다.
위치 결정부(17)는 긴 촬영에 있어서의 촬영 길이와 SID에 기초하여, 긴 촬영에 있어서의 복수회의 촬영 각각에 따른 제1 블레이드 위치와, 제2 블레이드 위치와, 검출기 위치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위치 결정부(17)는 후술하는 입력부(25)를 통한 입력된 촬영 길이와 FPD(153)의 제1 방향의 길이에 기초하여, 긴 촬영에 관한 촬영 횟수를 결정한다. 위치 결정부(17)는 SID와 피검체에 관한 긴 촬영에 있어서의 촬영 길이에 기초하여, 긴 촬영에 있어서의 복수회의 촬영 각각에 따라 제2 차폐판의 위치를 결정한다.
이하,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촬영 횟수는 3회인 것으로 한다. 위치 결정부(17)는 긴 촬영에 있어서의 촬영 횟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촬영 각각에 대응하는 FPD(153)의 검출기 위치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위치 결정부(17)는 제1 방향을 따른 소정의 중첩폭을 갖도록, 3회의 촬영 횟수에 각각 대응하는 3군데의 검출기 위치를 결정한다. 소정의 중첩폭이란, 예를 들어, 긴 촬영에 의해 발생된 복수의 의료용 화상을 제1 방향을 따라서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폭(접착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폭)이다. 위치 결정부(17)는 결정한 복수의 검출기 위치를 검출기 이동부(155)로 출력한다.
위치 결정부(17)는 예를 들어, 긴 촬영에 있어서의 2회째의 촬영에 있어서의 FPD의 중심 위치(이하, FPD 중심 위치라고 칭한다)와, Z축에 기초하여, X선관(131)의 위치(이하, 관구 위치라고 칭한다)를 결정한다. 관구 위치는, FPD 중심 위치를 통해 Z축에 평행한 선분 상에 관구 초점이 배치되는 위치이다. 위치 결정부(17)는 관구 위치를 지지 기구(13)로 출력한다. 위치 결정부(17)는 관구 위치와 FPD 중심 위치에 기초하여, SID를 결정한다.
또한, 촬영 횟수가 짝수(예를 들어, 2n: n은 자연수)일 경우, 위치 결정부(17)는 n회째의 촬영에 대응하는 배치 위치와 n+1회째의 촬영에 대응하는 배치 위치 사이의 중점 위치를 FPD 중심 위치로서 결정한다. 또한, 촬영 횟수가 홀수(예를 들어, 2n+1: n은 자연수)일 경우, 위치 결정부(17)는 n회째의 촬영에 있어서의 검출기 위치의 중심 위치를, FPD 중심 위치로서 결정한다.
위치 결정부(17)는 긴 촬영에 있어서의 1회째의 촬영(이하, 제1 촬영이라고 칭한다)에 대응하는 검출기 위치(이하, 제1 검출기 위치라고 칭한다)와 SID에 기초하여, 제1 촬영에 있어서의 제1 블레이드 위치, 제2 블레이드 위치를 결정한다. 위치 결정부(17)는 긴 촬영에 있어서의 2회째의 촬영(이하, 제2 촬영이라고 칭한다)에 대응하는 검출기 위치(이하, 제2 검출기 위치라고 칭한다)와 SID에 기초하여, 제2 촬영에 있어서의 제1 블레이드 위치, 제2 블레이드 위치를 결정한다. 위치 결정부(17)는 긴 촬영에 있어서의 3회째의 촬영(이하, 제3 촬영이라고 칭한다)에 대응하는 검출기 위치(이하, 제3 검출기 위치라고 칭한다)와 SID에 기초하여, 제3 촬영에 있어서의 제1 블레이드 위치, 제2 블레이드 위치를 결정한다. 위치 결정부(17)는 복수의 촬영 각각에 따른 제1 블레이드 위치와 제2 블레이드 위치를 조리개 블레이드 배치부(135)와 후술하는 개방도 정보 발생부(18)로 출력한다.
또한, 위치 결정부(17)는 제1 내지 제3 검출기 위치와, 제1, 제2 블레이드 위치를 후술하는 기억부(21)로 출력해도 된다. 또한, 복수의 촬영 각각에 있어서, SID가 변화하는 경우, 위치 결정부(17)는 SID의 변화에 맞춰서, 제1, 제2 블레이드 위치 즉 조리개의 개방도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위치 결정부(17)는 SID의 변화 및 조리개의 개방도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3 검출기 위치를 결정한다. 제1 촬영 및 제3 촬영에 있어서의 제1 블레이드 위치는, 제1 중심축에 대하여 비대칭적이 된다. 또한, 제2 촬영에 있어서의 제1 블레이드 위치는, 제1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적이 된다.
개방도 정보 발생부(18)는 제1 블레이드 위치와 제2 블레이드 위치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3 촬영 각각에 대응하는 개방도 정보를 발생한다. 개방도 정보 발생부(18)는 발생한 개방도 정보를 개방도 정보 표시부(137)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개방도 정보 발생부(18)는 제1 차폐판 및 제2 차폐판의 위치와 X선 초점 사이의 거리와, SID와, X선 가동 조리개부(133)에 있어서의 한정된 조사 범위의 구경에 기초하여, FPD(153) 상에 있어서의 X선의 조사 범위를 계산한다. X선 가동 조리개부(133)에 있어서의 조리개의 구경이란, X선 가동 조리개부(133)에 있어서, 제1 조리개 블레이드(1331), 제2 조리개 블레이드(1333), 차폐부(1335)에 의해 한정된 조리개의 구경에 대응한다. 개방도 정보 발생부(18)는 계산한 조사 범위에 대응하는 시야 사이즈를 개방도 정보로 하여, 개방도 정보 표시부(137)로 출력한다.
화상 처리부(19)는 도시하지 않은 전처리부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데이터에 기초하여, 의료용 화상을 처리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처리부(19)는 긴 촬영에 있어서의 복수회의 촬영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의료용 화상을 처리한다. 화상 처리부(19)는 긴 촬영에 관한 복수의 의료용 화상을, 제1 방향으로 연결한 긴 화상을 발생한다. 화상 처리부(19)는 발생한 긴 화상을 후술하는 표시부(23)로 출력한다.
기억부(21)는 화상 처리부(19)에 의해 발생된 여러가지 의료용 화상, 긴 화상, 본 X선 진단 장치(1)의 제어 프로그램, 진단 프로토콜, 후술하는 입력부(25)로부터 보내져 오는 조작자의 지시, 촬영 조건, 투시 조건 등의 각종 데이터군, 긴 촬영에 있어서의 복수의 촬영 횟수에 따른 복수의 검출기 위치 및 복수의 블레이드 위치, SID 등을 기억한다. 또한, 기억부(21)는 제1 내지 제3 검출기 위치 각각과 SID에 대한 제1, 제2 블레이드 위치 각각의 대응표를 기억해도 된다. 이 경우, 위치 결정부(17)는 제1 내지 제3 검출기 위치 각각과 SID와 대응표에 기초하여, 제1, 제2 블레이드 위치가 결정된다.
또한, 기억부(21)는 X선 긴 촬영 프로그램을 기억해도 된다. X선 긴 촬영 프로그램이란, 본 X선 진단 장치(1)에 탑재된 컴퓨터에, SID와 긴 촬영의 촬영 길이에 기초하여 제1, 제2 블레이드 위치와 제1 내지 제3 검출기 위치를 결정시키고, 결정된 제1, 제2 블레이드 위치에 제1, 제2 조리개 블레이드를, 긴 촬영의 촬영마다 각각 배치시키고, 결정된 제1 내지 제3 검출기 위치에 FPD(153)를, 긴 촬영의 촬영마다 이동시키는 프로그램이다.
표시부(23)는 화상 처리부(19)에 의해 발생된 의료용 화상 및 긴 화상을 표시한다. 표시부(23)는 긴 촬영에 있어서의 촬영 범위, 촬영 길이, 촬영 매수 등의 긴 촬영 조건, SID, X선 촬영의 촬영 조건, X선 투시의 투시 조건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
입력부(25)는 긴 촬영에 있어서의 촬영 범위, 촬영 길이, 촬영 매수 등의 긴 촬영 조건, SID, X선 촬영의 촬영 조건, X선 투시의 투시 조건 등을 입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입력부(25)는 조작자로부터의 각종 지시·명령·정보·선택·설정을 본 X선 진단 장치(1)에 도입한다. 입력부(25)는 도시하지 않지만, 관심 영역의 설정 등을 행하기 위한 트랙볼, 긴 촬영의 실행 및 촬영 개시의 계기가 되는 스위치 버튼, 마우스, 키보드 등을 갖는다. 입력부(25)는 표시 화면 상에 표시되는 커서의 좌표를 검출하고, 검출한 좌표를 후술하는 제어부(27)로 출력한다. 또한, 입력부(25)는 표시 화면을 덮도록 설치된 터치 패널이어도 된다. 이 경우, 입력부(25)는 전자기 유도식, 전자기 변형식, 감압식 등의 좌표 판독 원리로 터치 지시된 좌표를 검출하고, 검출한 좌표를 제어부(27)로 출력한다.
또한, 입력부(25)는 제1 중심축에 대하여 비대칭적으로 배치된 제1 조리개 블레이드를, 제1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시키기 위한 버튼(이하, 대칭 배치 버튼이라고 칭한다)을 갖는다. 대칭 배치 버튼이 눌러지면, 입력부(25)는 제1 조리개 블레이드를 제1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시키기 위한 신호를, 조리개 블레이드 배치부(135)로 출력한다.
제어부(27)는 도시하지 않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메모리를 구비한다. 제어부(27)는 입력부(25)로부터 보내져 오는 조작자의 지시, 촬영 조건, 투시 조건 등에 따라, X선 촬영 예비 투시를 실행하기 위해서, 본 X선 진단 장치(1)에 있어서의 각 부를 제어한다. 제어부(27)는 입력부(25)로부터 보내져 오는 조작자의 지시, 긴 촬영 조건에 따라, 긴 촬영을 실행하기 위해서, 본 X선 진단 장치(1)에 있어서의 각 부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입력부(25)에 있어서의 긴 촬영의 실행에 관한 스위치 버튼이 조작자에 의해 눌러지고, 긴 촬영의 촬영 범위(촬영 길이), SID 등의 긴 촬영 조건이 입력되면, 제어부(27)는 제1, 제2 블레이드 위치 및 제1 내지 제3 검출기 위치를 긴 촬영에 있어서의 복수의 촬영에 따라서 결정하기 위해서, 위치 결정부(17)를 제어한다. 제어부(27)는 긴 촬영의 개시 전에, 관구 위치에 X선관(131)을 배치시키기 위하여 지지 기구(13)를 제어한다. 제어부(27)는 긴 촬영에 있어서의 촬영마다, 제1 내지 제3 검출기 위치로 FPD(153)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검출기 이동부(155)를 제어한다. 제어부(27)는 긴 촬영에 있어서의 촬영마다, 제1, 제2 블레이드 위치에 제1, 제2 조리개 블레이드를 각각 배치시키기 위해서, 조리개 블레이드 배치부(135)를 제어한다.
(긴 촬영 기능)
긴 촬영 기능이란, X선관(131)을 이동시키지 않고, 제1, 제2 조리개 블레이드의 배치와 FPD(153)의 이동에 의해, 긴 촬영을 실행하는 기능이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긴 촬영에 있어서의 촬영 길이와 SID에 기초하여, 긴 촬영에 있어서의 복수의 촬영 각각에 있어서의 제1, 제2 블레이드 위치와, 제1 내지 제3 검출기 위치가 결정된다. 계속해서, 긴 촬영에 있어서의 복수의 촬영마다, 제1, 제2 블레이드 위치로 제1, 제2 조리개 블레이드가 각각 이동된다. 제1 차폐 블레이드는, 제1 이동 기구를 통하여, 제1 조리개 블레이드의 이동에 연동하여, 초점외 X선을 차폐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제2 차폐 블레이드는, 제2 이동 기구를 통하여, 제2 조리개 블레이드의 이동에 연동하여, 초점외 X선을 차폐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긴 촬영에 있어서의 복수의 촬영마다, 제1 내지 제3 검출기 위치로 FPD(153)가 이동된다. FPD(153)의 이동, 제1, 제2 조리개 블레이드의 배치, 제1, 제2 차폐 블레이드의 이동이 완료되면, 피검체 P에 대한 촬영이 반복된다.
이하, 긴 촬영 기능에 관한 처리(이하, 긴 촬영 처리라고 칭한다)에 대하여 설명한다. 긴 촬영 처리는, 검사의 목적에 따라, 예를 들어, 피검체 P의 척주 또는 하지를 촬영 대상으로 하여 실행된다.
도 4는, 긴 촬영 처리의 수순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입력부(25)를 통하여 긴 촬영이 입력된다(스텝 Sa1). 긴 촬영의 입력이란, 예를 들어, 입력부(25)에 있어서의 긴 촬영 버튼의 누름이다. 입력부(25)를 통하여, 긴 촬영 조건(예를 들어, 긴 촬영의 촬영 길이, SID 등)이 입력된다. 입력된 긴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긴 촬영에 있어서의 촬영 횟수가 결정된다(스텝 Sa2).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촬영 횟수는 3회로 하여 설명한다. SID와 촬영 횟수에 기초하여, FPD(153)에 관한 제1 내지 제3 검출기 위치와, 제1, 제2 블레이드 위치를 촬영 횟수에 각각 대응지어서 결정된다(스텝 Sa3). 또한, 제1, 제2 블레이드 위치, 즉 조리개의 개방도는, FPD(153)의 이동 후에 결정되어도 된다.
제1, 제2 블레이드 위치와 제1 내지 제3 검출기 위치의 결정 후, 긴 촬영이 개시된다(스텝 Sa4). 긴 촬영의 개시는, 예를 들어, 입력부(25)에 있어서의 촬영 개시 버튼의 누름이다. 촬영 개시 버튼의 누름을 계기로 하여, 지지 기구(13)에 의해, X선관(131)이 관구 위치로 이동된다. 또한, X선관(131)의 관구 위치로의 이동은, 조작자에 의해 실행되어도 된다. 제1 촬영에 관한 제1 검출기 위치로 FPD(153)가 이동된다(스텝 Sa5).
촬영 개시 버튼의 누름을 계기로 하여, 제1 촬영에 관한 제1, 제2 블레이드 위치로, 제1, 제2 조리개 블레이드가 각각 이동된다(스텝 Sa6). 이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2매의 제1 조리개 블레이드(1331) 중 한쪽 제1 조리개 블레이드(예를 들어, 제1 조리개 블레이드 a)는 제1 블레이드 위치(제1 조리개 블레이드 a의 이동 한계 지점)로 이동된다. 또한, 2매의 제1 조리개 블레이드(1331) 중 다른쪽 제1 조리개 블레이드(예를 들어, 제1 조리개 블레이드 b)는 제1 중심축을 넘어서, 제1 블레이드 위치(제1 조리개 블레이드 b의 이동 한계 지점)로 이동된다.
제1 블레이드 위치로의 제1 조리개 블레이드(1331)의 이동에 연동하여, 제1 차폐 블레이드(1337)가 이동된다(스텝 Sa7). 제2 블레이드 위치로의 제2 조리개 블레이드(1333)의 이동에 연동하여, 제2 차폐 블레이드(1339)가 이동된다(스텝 Sa8). 스텝 Sa7 및 스텝 Sa8에 있어서의 처리에 의해, 제1, 제2 차폐 블레이드는, 초점외 X선을 차폐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제1, 제2 조리개 블레이드의 배치와 FPD(153)의 이동이 완료되면, 고전압 발생부(11)로부터 관전압의 인가 및 관전류의 공급을 받은 X선관(131)에 의해 X선이 발생된다. 이에 의해, 제1 촬영이 실행된다(스텝 Sa9). 결정된 촬영 횟수와 동일한 횟수의 촬영이 종료될 때까지, 스텝 Sa5 내지 스텝 Sa9의 처리가 반복된다(스텝 Sa10).
구체적으로는, 제1 촬영이 종료되면, 제2 촬영에 관한 제2 검출기 위치로 FPD(153)가 이동된다(스텝 Sa5). 제2 촬영에 관한 제1, 제2 블레이드 위치로, 제1, 제2 조리개 블레이드가 각각 이동된다(스텝 Sa6). 이때, 제1 블레이드 위치는, 제1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적인 위치가 된다. 제1 블레이드 위치로의 제1 조리개 블레이드(1331)의 이동에 연동하여, 제1 차폐 블레이드(1337)가 이동된다(스텝 Sa7). 제2 블레이드 위치로의 제2 조리개 블레이드(1333)의 이동에 연동하여, 제2 차폐 블레이드(1339)가 이동된다(스텝 Sa8). 제1, 제2 조리개 블레이드의 배치와 FPD(153)의 이동이 완료되면, 제2 촬영이 실행된다(스텝 Sa9).
제2 촬영이 종료되면, 제3 촬영에 관한 제3 검출기 위치로 FPD(153)가 이동된다(스텝 Sa5). 제3 촬영에 관한 제1, 제2 블레이드 위치로, 제1, 제2 조리개 블레이드가 각각 이동된다(스텝 Sa6). 이때, 2매의 제1 조리개 블레이드(1331) 중 한쪽 제1 조리개 블레이드(예를 들어, 제1 조리개 블레이드 a)는 제1 중심축을 넘어서, 제1 블레이드 위치(제1 조리개 블레이드 a의 이동 한계 지점)로 이동된다. 또한, 2매의 제1 조리개 블레이드(1331) 중 다른쪽 제1 조리개 블레이드(예를 들어, 제1 조리개 블레이드 b)는 제1 블레이드 위치(제1 조리개 블레이드 b의 이동 한계 지점)로 이동된다. 제1 블레이드 위치로의 제1 조리개 블레이드(1331)의 이동에 연동하여, 제1 차폐 블레이드(1337)가 이동된다(스텝 Sa7). 제2 블레이드 위치로의 제2 조리개 블레이드(1333)의 이동에 연동하여, 제2 차폐 블레이드(1339)가 이동된다(스텝 Sa8). 제1, 제2 조리개 블레이드의 이동과 FPD(153)의 이동이 완료되면, 제3 촬영이 실행된다(스텝 Sa9). X선관(131)은 제1 촬영으로부터 제3 촬영에 걸쳐서, 관구 위치에 고정된 채이다. 제3 촬영의 완료를 계기로 하여, 제1 조리개 블레이드(1331)는 제1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적인 위치로 이동된다.
제1 내지 제3 촬영에 각각 대응하는 제1 내지 제3 의료용 화상이 발생된다. 제1 내지 제3 의료용 화상을, 제1 방향(장축 방향)을 따라 소정의 중첩폭으로 결합한 긴 화상이 발생된다(스텝 Sa11). 발생된 긴 화상이 표시부(23)에 표시된다(스텝 Sa12). 또한, 긴 촬영에 있어서의 촬영 횟수가 2회일 경우, 스텝 Sa5 내지 스텝 Sa9에 관한 반복은 2회가 된다.
(변형예)
본 실시 형태와의 차이는, 침대(15) 대신 촬영대(16)가 사용되고 있는 것에 있다. 즉, 본 변형예에서는, 피검체 P는 선 자세로 촬영대에 적재된다. 도 5는, 본 변형예에 관한 X선 진단 장치의 구성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검출기 이동부(155)는 촬영대(16)에 탑재된다. 검출기 이동부(155)는 X선 평면 검출기(153)를 X축을 따른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긴 촬영 기능은, 본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 설명한 구성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X선 진단 장치(1)에 의하면, 제1 중심축을 넘어서 이동 가능한 제1 조리개 블레이드(1331)를 사용하여, X선관(131)을 고정한 채로, X선의 조사 범위를, 긴 촬영에 있어서의 복수의 촬영 각각에 대응한 X선의 조사 범위로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본 X선 진단 장치(1)에 의하면, X선 가동 조리개부(133)에 있어서의 차폐부(1335)에 설치된 제1, 제2 차폐 블레이드를, 제1, 제2 조리개 블레이드와 각각 연동하여 독립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긴 촬영에 있어서, 조작자에 의한 조작 없이 초점외 X선을 차폐할 수 있다. 이것으로부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X선 진단 장치(1)에 의하면, 초점외 X선에 의한 피검체 P에 대한 피폭을 저감하고, 긴 촬영에 있어서 발생된 복수의 의료용 화상의 결합(접합)에 있어서, 기하학적인 어긋남이 없고 접합 정밀도가 좋은 긴 화상을 발생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X선 진단 장치(1)에 의하면, 새로운 조사 영역 제한 기구를 부가하지 않고, 또한 X선 가동 조리개부(133)를 제1 방향으로 크게 하지 않고, 소형이고 또한 경량인 X선 가동 조리개부(133)에 의해, 긴 촬영에 있어서의 촬영 횟수 및 SID에 따라, X선의 조사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긴 촬영에 있어서, 중량물인 X선관(131)을 회전시킬 필요가 없다. 이러한 점에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X선 진단 장치(1)에 의하면, 소형이고 또한 경량이며 제어도 용이한 X선 가동 조리개부(133)를 갖고, 접합 정밀도가 좋은 긴 화상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X선 진단 장치(1)에 의하면, 조사 영역의 중심을 넘어서 조리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X선 초점에 가까운 위치에 제1, 제2 차폐 블레이드를 설치하고, 제1, 제2 조리개 블레이드의 이동에 연동하여 제1, 제2 차폐 블레이드를 이동시킴으로써, 초점외 X선을 차폐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의 X선 진단 장치(1)에 의하면, X선 가동 조리개부(133)는 보다 소형의 형상을 갖고, 조리개 제어가 보다 간편한 것이 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로서, X선 진단 장치(1)의 기술적 사상을 X선 가동 조리개 장치로 실현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 1, 도 5의 구성도에 있어서의 일점쇄선 내의 구성 요소를 갖는 것이 된다. X선 가동 조리개 장치(3)에 있어서의 긴 촬영 처리는, 이하와 같이 된다.
먼저, 피검체 P에 관한 긴 촬영에 있어서의 촬영 길이와 SID에 기초하여, 제1, 제2 블레이드 위치가 결정된다. 긴 촬영이 개시되면, 긴 촬영에 있어서의 복수회의 촬영 각각에 따라 제1, 제2 조리개 블레이드는, 제1, 제2 블레이드 위치로 각각 이동된다. 제1, 제2 조리개 블레이드의 이동에 연동하여, 제1, 제2 차폐 블레이드가 이동된다.
계속해서, 피검체 P가 촬영된다. 촬영 횟수와 동일한 횟수의 촬영이 종료될 때까지, 복수회의 촬영에 따른 제1, 제2 블레이드 위치로의 제1, 제2 조리개 블레이드의 이동 및 제1, 제2 차폐 블레이드의 이동과, 피검체 P에 대한 촬영이 반복된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X선 가동 조리개 장치(3)에 의하면, 긴 촬영에 있어서, 초점외 X선을 차폐하고, 소형이고 또한 경량이며 제어도 용이한 X선 가동 조리개 장치(3)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소형화 가능한 X선 가동 조리개를 갖고, 접합 정밀도가 좋은 긴 촬영에 관한 X선 진단 장치(1) 및 X선 가동 조리개 장치(3)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X선관(131)을 이동시키지 않고, 피검체에 대한 X선 촬영에 있어서, X선의 폭사(曝射)가 부적합한 영역(예를 들어 생식 기능에 관한 영역)을 차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작자에게 대한 부담이 경감되어, 진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X선 진단 장치를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X선 진단 장치(1)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대략 동일한 기능 및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 설명은 필요한 경우에만 행한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X선 진단 장치(1)에 있어서의 X선 가동 조리개부(133)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X선 가동 조리개부(133)는 제1 방향(소정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복수의 제1 조리개 블레이드(1351)(제1 차폐판)와,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복수의 제2 조리개 블레이드(1353)와, 최대 조사 범위에서 제1 방향을 따른 길이의 중점을 넘어서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3 조리개 블레이드(1355)(제2 차폐판)를 갖는다. 제1 내지 제3 조리개 블레이드 각각은, X선관(131)에 의해 발생된 X선을 차폐하는 납을 포함한다.
조리개 블레이드 배치부(135)는 긴 촬영에 있어서의 복수의 촬영 각각에 따라 위치 결정부(17)에 의해 결정된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 위치에, 복수의 제1 조리개 블레이드(1351), 복수의 제2 조리개 블레이드(1353) 및 제3 조리개 블레이드(1353)를 각각 배치한다. 구체적으로는, 조리개 블레이드 배치부(135)는 위치 결정부(17)에 의해 결정된 제1 블레이드 위치에 복수의 제1 조리개 블레이드(1351)를 배치시키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제1 조리개 블레이드 이동 기구를 갖는다. 제1 조리개 블레이드 이동 기구는, 제1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제1 조리개 블레이드(1351) 각각을, 슬라이드시켜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1 조리개 블레이드 이동 기구는, 제1 중심축을 넘어서 이동할 수 없도록, 복수의 제1 조리개 블레이드(1351) 각각의 이동을 제한한다.
조리개 블레이드 배치부(135)는 위치 결정부(17)에 의해 결정된 제2 블레이드 위치에 복수의 제2 조리개 블레이드(1353)를 배치시키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제2 조리개 블레이드 이동 기구를 갖는다. 제2 조리개 블레이드 이동 기구는, 제2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제2 조리개 블레이드(1353) 각각을 슬라이드시켜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2 조리개 블레이드 이동 기구는, 제2 중심축을 넘어서 이동할 수 없도록, 복수의 제2 조리개 블레이드(1353) 각각의 이동을 제한한다.
조리개 블레이드 배치부(135)는 위치 결정부(17)에 의해 결정된 제3 블레이드 위치에 제3 조리개 블레이드를 배치시키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제3 조리개 블레이드 이동 기구를 갖는다. 제3 조리개 블레이드 이동 기구는, 제1 중심축을 넘어서 제3 조리개 블레이드(1355)를 슬라이드시켜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조리개 블레이드 배치부(135)는 위치 결정부(17)에 의해 결정된 제2 차폐판의 위치에 제2 차폐판을 긴 촬영의 촬영마다 배치한다.
제1 조리개 블레이드(1331)는 복수의 제1 차폐판이다. 복수의 제1 차폐판은, 최대 조사 범위를 소정의 방향을 따라서 조사 범위의 양단측으로부터 한정한다. 제3 조리개 블레이드(1355)는 제2 차폐판이다. 제2 차폐판은, 조사 범위의 최대 구경(최대 조사 범위의 구경)에 있어서 소정의 방향을 따른 길이의 중점을, 적어도 일부가 넘어서 소정의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다.
도 7은, 복수의 제1 조리개 블레이드(1351)와, 복수의 제2 조리개 블레이드(1353)와, 제3 조리개 블레이드(1355)의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조리개 블레이드(1351)는 제1 조리개 블레이드 a와 제1 조리개 블레이드 b를 갖는다. 제1 조리개 블레이드 a 및 제1 조리개 블레이드 b는, 각각 제1 중심축을 넘어서 이동할 수 없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2 조리개 블레이드(1353)는 제2 조리개 블레이드 a와 제2 조리개 블레이드 b를 갖는다. 제2 조리개 블레이드 a 및 제2 조리개 블레이드 b는, 각각 제2 중심축을 넘어서 이동할 수 없다. 제3 조리개 블레이드(1355)는 제1 중심축을 넘어서 제1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다.
도 8은, 도 7에 있어서 제1 중심축과 Z축을 따른 단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조리개 블레이드는, Z축을 따른 적층 구조를 갖는다.
위치 결정부(17)는 긴 촬영에 있어서의 촬영 길이와 SID에 기초하여, 긴 촬영에 있어서의 복수회의 촬영 각각에 따른 제1 블레이드 위치와, 제2 블레이드 위치와, 제3 블레이드 위치와, 검출기 위치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위치 결정부(17)는 입력부(25)를 통하여 입력된 촬영 길이와 FPD(153)의 제1 방향의 길이에 기초하여, 긴 촬영에 관한 촬영 횟수를 결정한다. 위치 결정부(17)는 SID와 피검체에 관한 긴 촬영에 있어서의 촬영 길이에 기초하여, 긴 촬영에 있어서의 복수회의 촬영 각각에 따라 제2 차폐판의 위치를 결정한다.
이하,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촬영 횟수는, 3회인 것으로 한다. 위치 결정부(17)는 긴 촬영에 있어서의 촬영 횟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촬영 각각에 대응하는 FPD(153)의 검출기 위치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위치 결정부(17)는 제1 방향을 따른 소정의 중첩폭을 갖도록, 3회의 촬영 횟수에 각각 대응하는 3군데의 검출기 위치를 결정한다. 소정의 중첩폭이란, 예를 들어, 긴 촬영에 의해 발생된 복수의 의료용 화상을 제1 방향을 따라서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폭(접착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폭)이다. 위치 결정부(17)는 결정한 복수의 검출기 위치를 검출기 이동부(155)로 출력한다.
위치 결정부(17)는 예를 들어, 긴 촬영에 있어서의 2회째의 촬영에 있어서의 FPD 중심 위치와, Z축에 기초하여, 관구 위치를 결정한다. 관구 위치는, FPD 중심 위치를 통해 Z축에 평행한 선분 상에 관구 초점이 배치되는 위치이다. 위치 결정부(17)는 관구 위치를 지지 기구(13)로 출력한다. 위치 결정부(17)는 관구 위치와 FPD 중심 위치에 기초하여 SID를 결정한다.
또한, 촬영 횟수가 짝수(예를 들어, 2n: n은 자연수)일 경우, 위치 결정부(17)는 n회째의 촬영에 대응하는 배치 위치와 n+1회째의 촬영에 대응하는 배치 위치 사이의 중점 위치를 FPD 중심 위치로서 결정한다. 또한, 촬영 횟수가 홀수(예를 들어, 2n+1: n은 자연수)일 경우, 위치 결정부(17)는 n회째의 촬영에 있어서의 검출기 위치의 중심 위치를 FPD 중심 위치로서 결정한다.
위치 결정부(17)는 긴 촬영에 있어서의 제1 촬영에 대응하는 제1 검출기 위치와 SID에 기초하여, 제1 촬영에 있어서의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 위치를 결정한다. 위치 결정부(17)는 긴 촬영에 있어서의 제2 촬영에 대응하는 제2 검출기 위치와 SID에 기초하여, 제2 촬영에 있어서의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 위치를 결정한다. 위치 결정부(17)는 긴 촬영에 있어서의 제3 촬영에 대응하는 제3 검출기 위치와 SID에 기초하여, 제3 촬영에 있어서의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 위치를 결정한다. 위치 결정부(17)는 복수의 촬영 각각에 따른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 위치를 조리개 블레이드 배치부(135)로 출력한다.
또한, 위치 결정부(17)는 제1 내지 제3 검출기 위치와,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 위치를 후술하는 기억부(21)로 출력해도 된다. 또한, 복수의 촬영 각각에 있어서, SID가 변화하는 경우, 위치 결정부(17)는 SID의 변화에 맞춰서,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 위치 즉 조리개의 개방도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위치 결정부(17)는 SID의 변화 및 조리개의 개방도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3 검출기 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긴 촬영이 2회의 촬영으로 실행될 경우, 위치 결정부(17)는 제3 조리개 블레이드를 조사 범위로부터 퇴피시키기 위한 제3 블레이드 위치를 결정한다.
기억부(21)는 화상 처리부(19)에 의해 발생된 여러가지 의료용 화상, 긴 화상, 본 X선 진단 장치(1)의 제어 프로그램, 진단 프로토콜, 후술하는 입력부(25)로부터 보내져 오는 조작자의 지시, 촬영 조건, 투시 조건 등의 각종 데이터군, 긴 촬영에 있어서의 복수의 촬영 횟수에 따른 복수의 검출기 위치 및 복수의 블레이드 위치, SID 등을 기억한다. 또한, 기억부(21)는 제1 내지 제3 검출기 위치 각각과 SID에 대한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 위치 각각의 대응표를 기억해도 된다. 이 경우, 위치 결정부(17)는 제1 내지 제3 검출기 위치 각각과 SID와 대응표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 위치가 결정된다.
또한, 기억부(21)는 X선 긴 촬영 프로그램을 기억해도 된다. X선 긴 촬영 프로그램이란, 본 X선 진단 장치(1)에 탑재된 컴퓨터에, SID와 긴 촬영의 촬영 길이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 위치와 제1 내지 제3 검출기 위치를 결정시키고, 결정된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 위치 각각에 제1 내지 제3 조리개 블레이드를, 긴 촬영의 촬영마다 각각 배치시키고, 결정된 제1 내지 제3 검출기 위치에 FPD(153)를, 긴 촬영의 촬영마다 이동시키는 프로그램이다.
제어부(27)는 예를 들어, 입력부(25)에 있어서의 긴 촬영의 실행에 관한 스위치 버튼이 조작자에 의해 눌러지고, 긴 촬영의 촬영 범위(촬영 길이), SID 등의 긴 촬영 조건이 입력되면,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 위치 및 제1 내지 제3 검출기 위치를 긴 촬영에 있어서의 복수의 촬영에 따라서 결정하기 위해서, 위치 결정부(17)를 제어한다. 제어부(27)는 긴 촬영의 개시 전에, 관구 위치에 X선관(131)을 배치시키기 위하여 지지 기구(13)를 제어한다. 제어부(27)는 긴 촬영에 있어서의 촬영마다, 제1 내지 제3 검출기 위치로 FPD(153)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검출기 이동부(155)를 제어한다. 제어부(27)는 긴 촬영에 있어서의 촬영마다,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 위치에 제1 내지 제3 조리개 블레이드를 각각 배치시키기 위해서, 조리개 블레이드 배치부(135)를 제어한다.
개방도 정보 발생부(18)는 예를 들어, 제1 차폐판 및 제2 차폐판의 위치와 X선 초점 사이의 거리와, SID와, X선 가동 조리개부(133)에 있어서의 한정된 조사 범위의 구경에 기초하여, FPD(153) 상에 있어서의 X선의 조사 범위를 계산한다. X선 가동 조리개부(133)에 있어서의 조리개의 구경이란, X선 가동 조리개부(133)에 있어서, 제1 조리개 블레이드(1331), 제2 조리개 블레이드(1335), 제3 조리개 블레이드(1355)에 의해 한정된 조리개의 구경에 대응한다. 개방도 정보 발생부(18)는 계산한 조사 범위에 대응하는 시야 사이즈를 개방도 정보로 하고, 개방도 정보 표시부(137)로 출력한다.
(긴 촬영 기능)
긴 촬영 기능이란, X선관(131)을 이동시키지 않고, 제1 내지 제3 조리개 블레이드의 배치와 FPD(153)의 이동에 의해 긴 촬영을 실행하는 기능이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긴 촬영에 있어서의 촬영 길이와 SID에 기초하여, 긴 촬영에 있어서의 복수의 촬영 각각에 있어서의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 위치와, 제1 내지 제3 검출기 위치가 결정된다. 계속해서, 긴 촬영에 있어서의 복수의 촬영마다,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 위치에 제1 내지 제3 조리개 블레이드가 각각 배치된다. 긴 촬영에 있어서의 복수의 촬영마다, 제1 내지 제3 검출기 위치로 FPD(153)가 이동된다. FPD(153)의 이동 및 제1 내지 제3 조리개 블레이드의 배치가 완료되면, 피검체 P에 대한 촬영이 반복된다.
이하, 상기 긴 촬영 기능에 관한 처리(긴 촬영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긴 촬영 처리는, 검사의 목적에 따라, 예를 들어, 피검체 P의 척주 또는 하지를 촬영 대상으로 하여 실행된다.
도 9는, 긴 촬영 처리의 수순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입력부(25)를 통하여 긴 촬영이 입력된다(스텝 Sb1). 긴 촬영의 입력이란, 예를 들어, 입력부(25)에 있어서의 긴 촬영 버튼의 누름이다. 입력부(25)를 통하여, 긴 촬영 조건(예를 들어, 긴 촬영의 촬영 길이, SID 등)이 입력된다. 입력된 긴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긴 촬영에 있어서의 촬영 횟수가 결정된다(스텝 Sb2).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촬영 횟수는 3회로서 설명한다. SID와 촬영 횟수에 기초하여, FPD(153)에 관한 제1 내지 제3 검출기 위치와,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 위치를 촬영 횟수에 각각 대응지어서 결정된다(스텝 Sb3).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 위치와 제1 내지 제3 검출기 위치의 결정 후, 긴 촬영이 개시된다(스텝 Sb4). 긴 촬영의 개시는, 예를 들어, 입력부(25)에 있어서의 촬영 개시 버튼의 누름이다. 촬영 개시 버튼의 누름을 계기로 하여, 지지 기구(13)에 의해, X선관(131)이 관구 위치로 이동된다. 또한, X선관(131)의 관구 위치로의 이동은, 조작자에 의해 실행되어도 된다. 또한,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 위치, 즉 조리개의 개방도는, FPD(153)의 이동 후에 결정되어도 된다. 촬영 개시 버튼의 누름을 계기로 하여, 제1 촬영에 관한 제1 검출기 위치로 FPD(153)가 이동된다(스텝 Sb5). 계속해서, 제1 촬영에 관한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 위치에 제1 내지 제3 조리개 블레이드가 각각 배치된다(스텝 Sb6).
도 10은, 제1 촬영에 있어서의 제1 내지 제3 조리개 블레이드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조리개 블레이드(1355)는 제1 중심축을 넘는 제3 블레이드 위치에 배치된다.
계속해서, 제1 내지 제3 조리개 블레이드의 배치와 FPD(153)의 이동이 완료되면, 고전압 발생부(11)로부터 관전압의 인가 및 관전류의 공급을 받은 X선관(131)에 의해, X선이 발생된다. 이에 의해, 제1 촬영이 실행된다(스텝 Sb7).
도 11은, 도 10에 있어서의 제1 촬영에 있어서, X선관(131)과 X선 가동 조리개부(133)에 있어서의 제1 내지 제3 조리개 블레이드와, FPD(153)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에 있어서의 파선은, 제1 촬영에 있어서의 X선의 조사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 있어서의 화살표는, 후술하는 제2 촬영을 위한 제1 조리개 블레이드 a의 이동 방향과, 제3 조리개 블레이드(1355)의 이동 방향과, FPD(153)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 있어서의 점선은, 제2 촬영에 있어서의 FPD의 위치와 X선의 조사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결정된 촬영 횟수와 동일한 횟수의 촬영이 종료될 때까지, 스텝 Sb5 내지 스텝 Sb7의 처리가 반복된다(스텝 Sb8). 구체적으로는, 제1 촬영이 종료되면, 제2 촬영에 관한 제2 검출기 위치로 FPD(153)가 이동된다(스텝 Sb5). 계속해서, 제2 촬영에 관한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 위치에 제1 내지 제3 조리개 블레이드가 각각 배치된다(스텝 Sb6).
도 12는, 제2 촬영에 있어서의 제1 내지 제3 조리개 블레이드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조리개 블레이드는, 제1 조리개 블레이드 a의 상방에 퇴피된다. 또한, 제3 조리개 블레이드는, 제1 조리개 블레이드 b의 상면측에 퇴피되어도 된다.
제1 내지 제3 조리개 블레이드의 배치와 FPD(153)의 이동이 완료되면, 제2 촬영이 실행된다(스텝 Sb7).
도 13은, 도 12에 있어서의 제2 촬영에 있어서, X선관(131)과 X선 가동 조리개부(133)에 있어서의 제1 내지 제3 조리개 블레이드와, FPD(153)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에 있어서의 파선은, 제2 촬영에 있어서의 X선의 조사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있어서의 화살표는, 후술하는 제3 촬영을 위한 제1 조리개 블레이드 b의 이동 방향과, 제3 조리개 블레이드(1355)의 이동 방향과, FPD(153)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있어서의 점선은, 제3 촬영에 있어서의 FPD의 위치와 X선의 조사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제2 촬영이 종료되면, 제3 촬영에 관한 제3 검출기 위치로 FPD(153)가 이동된다(스텝 Sb5). 계속해서, 제3 촬영에 관한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 위치에 제1 내지 제3 조리개 블레이드가 각각 배치된다(스텝 Sb6).
도 14는, 제3 촬영에 있어서의 제1 내지 제3 조리개 블레이드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조리개 블레이드(1355)는 제1 중심축을 넘는 제3 블레이드 위치에 배치된다.
제1 내지 제3 조리개 블레이드의 배치와 FPD(153)의 이동이 완료되면, 제3 촬영이 실행된다(스텝 Sb7).
도 15는, 도 14에 있어서의 제3 촬영에 있어서, X선관(131)과 X선 가동 조리개부(133)에 있어서의 제1 내지 제3 조리개 블레이드와, FPD(153)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 도 13,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X선관(131)은 제1 촬영으로부터 제3 촬영에 걸쳐서, 관구 위치에 고정된 채이다.
도 10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조리개 블레이드 a와 제1 조리개 블레이드 b에 의해, X선의 조사 범위(조사 영역)를 제한할 수 없는 경우, 제3 조리개 블레이드(1355)에 의해 조사 범위가 한정된다. 또한, 긴 촬영에 있어서의 촬영 매수가 2매일 경우, 제3 조리개 블레이드(1355)는 제1 조리개 블레이드 a 또는 제1 조리개 블레이드 b의 상면측에 배치된다.
제1 내지 제3 촬영에 각각 대응하는 제1 내지 제3 의료용 화상이 발생된다. 제1 내지 제3 의료용 화상을, 제1 방향(장축 방향)을 따라 소정의 중첩폭으로 결합한 긴 화상이 발생된다(스텝 Sb9). 발생된 긴 화상이 표시부(23)에 표시된다(스텝 Sb10).
긴 촬영에 있어서의 촬영 횟수가 2회일 경우, 제1 촬영, 제2 촬영에 있어서의 제1 내지 제3 조리개 블레이드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이하의 도 16 내지 도 19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긴 촬영에 있어서의 촬영 횟수가 2회일 경우에 있어서, 제1 촬영에 있어서의 제1 내지 제3 조리개 블레이드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조리개 블레이드(1355)는 제1 조리개 블레이드 a의 상면측에 배치된다.
도 17은, 도 16에 있어서의 제1 촬영에 있어서, X선관(131)과 X선 가동 조리개부(133)에 있어서의 제1 내지 제3 조리개 블레이드와, FPD(153)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조리개 블레이드(1355)는 제1 조리개 블레이드 a의 상면측에 배치되고, 조사 범위로부터 퇴피된다.
도 18은, 긴 촬영에 있어서의 촬영 횟수가 2회일 경우에 있어서, 제2 촬영에 있어서의 제1 내지 제3 조리개 블레이드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조리개 블레이드(1355)는 제1 조리개 블레이드 a의 상면측에 배치된다.
도 19는, 도 18에 있어서의 제2 촬영에 있어서, X선관(131)과 X선 가동 조리개부(133)에 있어서의 제1 내지 제3 조리개 블레이드와, FPD(153)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조리개 블레이드(1355)는 제1 조리개 블레이드 a의 상면측에 배치되고, 조사 범위로부터 퇴피된다.
(변형예)
제2 실시 형태와의 차이는, 침대(15) 대신 촬영대(16)가 사용되고 있는 것에 있다. 즉, 본 변형예에서는, 피검체 P는 세워진 상태에서 촬영대에 적재된다.
검출기 이동부(155)는 촬영대(16)에 탑재된다. 검출기 이동부(155)는 X선 평면 검출기(153)를 X축을 따른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긴 촬영 기능은,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 설명한 구성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X선 진단 장치(1)에 의하면, 제1 중심축을 넘어서 이동 가능한 제3 조리개 블레이드(1355)를 사용하여, X선관(131)을 고정한 채로, 긴 촬영에 있어서의 복수의 촬영 각각의 X선 조사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즉, 본 X선 진단 장치(1)에 의하면, X선 가동 조리개부(133)의 내부에 설치된 제3 조리개 블레이드를, 제1, 제2 조리개 블레이드와 연동하여 독립적으로 제1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X선 진단 장치(1)에 의하면, 긴 촬영에 있어서 발생된 복수의 의료용 화상의 결합(접합)에 있어서, 기하학적인 어긋남이 없고 접합 정밀도가 좋은 긴 화상을 발생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X선 진단 장치(1)에 의하면, 새로운 조사 영역 제한 기구를 부가하지 않고, 또한 X선 가동 조리개부(133)를 제1 방향으로 크게 하지 않고, 소형이고 또한 경량인 X선 가동 조리개부(133)에 의해, 긴 촬영에 있어서의 촬영 횟수 및 SID에 따라, X선의 조사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긴 촬영에 있어서, 중량물인 X선관(131)을 회전시킬 필요가 없다. 이상으로부터,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X선 진단 장치(1)에 의하면, 소형이고 또한 경량이며 제어도 용이한 X선 가동 조리개부(133)를 갖고, 접합 정밀도가 좋은 긴 화상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로서, 본 X선 진단 장치(1)의 기술적 사상을 X선 가동 조리개 장치로 실현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 1, 도 5의 구성도에 있어서의 일점쇄선 내의 구성 요소를 갖는 것이 된다. X선 가동 조리개 장치(3)에 있어서의 긴 촬영 처리는, 이하와 같이 된다.
먼저, 피검체 P에 관한 긴 촬영에 있어서의 촬영 길이와 SID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3 조리개 블레이드에 각각 대응하는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 위치가 결정된다. 긴 촬영이 개시되면, 긴 촬영에 있어서의 복수회의 촬영 각각에 따라 제1 내지 제3 조리개 블레이드는,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계속해서, 피검체 P가 촬영된다. 촬영 횟수와 동일한 횟수의 촬영이 종료될 때까지, 복수회의 촬영에 따른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 위치로의 제1 내지 제3 조리개 블레이드의 배치와, 피검체 P에 대한 촬영이 반복된다.
이상으로부터,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X선 가동 조리개 장치(3)에 의하면, 긴 촬영에 있어서, 소형이고 또한 경량이며 제어도 용이한 X선 가동 조리개 장치(3)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소형화 가능한 X선 가동 조리개를 갖고, 접합 정밀도가 좋은 긴 촬영에 관한 X선 진단 장치(1) 및 X선 가동 조리개 장치(3)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X선관(131)을 이동시키지 않고, 피검체에 대한 X선 촬영에 있어서, X선의 폭사가 부적합한 영역(예를 들어 생식 기능에 관한 영역)을 차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작자에게 대한 부담이 경감하여, 진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른 각 기능은, 그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워크스테이션 등의 컴퓨터에 인스톨하고, 이들을 메모리 상에서 전개함으로써도 실현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에 그 방법을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은, 자기 디스크(플로피(등록 상표)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 디스크(CD-ROM, DVD 등),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억 매체에 저장하여 반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 그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단계에서는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 요소를 변형시켜서 구체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개시되어 있는 복수의 구성 요소의 적당한 조합에 의해, 여러가지 발명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형태에 나타나는 전체 구성 요소로부터 몇 가지의 구성 요소를 삭제해도 된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에 걸치는 구성 요소를 적절히 조합해도 된다.
1: X선 진단 장치
3: X선 가동 조리개 장치
11: 고전압 발생부
13: 지지 기구
15: 침대
16: 촬영대
17: 위치 결정부
18: 개방도 정보 발생부
19: 화상 처리부
21: 기억부
23: 표시부
25: 입력부
27: 제어부
131: X선관
133: X선 가동 조리개부
135: 조리개 블레이드 배치부
137: 개방도 정보 표시부
151: 천장판
153: X선 평면 검출기(FPD)
155: 검출기 이동부
1331: 제1 조리개 블레이드
1333: 제2 조리개 블레이드
1335: 차폐부
1337: 제1 차폐 블레이드
1339: 제2 차폐 블레이드
1341: 제1 이동 기구
1343: 제2 이동 기구
1351: 제1 조리개 블레이드
1353: 제2 조리개 블레이드
1355: 제3 조리개 블레이드

Claims (13)

  1. X선 초점에 있어서 X선을 발생하는 X선관과,
    상기 X선관으로부터 발생되고, 피검체를 투과한 X선을 검출하는 X선 평면 검출기와,
    상기 발생된 X선의 조사 범위를 소정의 방향을 따라서 상기 조사 범위의 양단측으로부터 한정하는 복수의 제1 차폐판과, 상기 조사 범위의 최대 구경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방향을 따른 길이의 중점을 적어도 일부가 넘어서 상기 소정의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차폐판을 갖는 X선 가동 조리개부
    를 구비하는 X선 진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선 초점과 상기 X선 평면 검출기 사이의 거리와 상기 피검체에 관한 긴 촬영에 있어서의 촬영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긴 촬영에 있어서의 복수회의 촬영 각각에 따라 상기 제2 차폐판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와,
    상기 제2 차폐판의 위치에 상기 제2 차폐판을 상기 촬영마다 배치시키는 조리개 블레이드 배치부
    를 더 구비하는 X선 진단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구경에 대한 상기 제1 차폐판과 상기 제2 차폐판의 위치에 기초하여, 한정된 조사 범위에 대응하는 개방도 정보를 발생하는 개방도 정보 발생부와,
    상기 개방도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더 구비하는 X선 진단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도 정보 발생부는, 상기 제1 차폐판 및 상기 제2 차폐판의 위치와 상기 X선 초점과의 거리와, 상기 X선 초점과 상기 X선 평면 검출기 사이의 거리와, 상기 제1 차폐판 및 상기 제2 차폐판에 의해 한정된 조사 범위의 구경에 기초하여, 상기 X선 평면 검출기 상에 있어서의 조사 범위를, 상기 개방도 정보로서 계산하는 X선 진단 장치.
  5. X선의 조사 범위를 소정의 방향을 따라서 상기 조사 범위의 양단측으로부터 한정하는 복수의 제1 차폐판과,
    상기 조사 범위의 최대 구경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방향을 따른 길이의 중점을 넘어서, 적어도 일부가 넘어서 상기 소정의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차폐판
    을 구비하는 X선 가동 조리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X선 초점과 상기 X선 평면 검출기 사이의 거리와 피검체에 관한 긴 촬영에 있어서의 촬영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긴 촬영에 있어서의 복수회의 촬영 각각에 따라 상기 제2 차폐판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와,
    상기 제2 차폐판의 위치에 상기 제2 차폐판을 상기 촬영마다 배치시키는 조리개 블레이드 배치부
    를 더 구비하는 X선 가동 조리개 장치.
  7. X선 초점에 있어서 X선을 발생하는 X선관과,
    상기 X선관으로부터 발생되고, 피검체를 투과한 X선을 검출하는 X선 평면 검출기와,
    상기 발생된 X선의 조사 범위를 제1 방향에 대하여 한정하고, 상기 조사 범위의 최대 구경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른 길이의 중점을 적어도 일부가 넘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복수의 제1 조리개 블레이드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에 대하여 상기 조사 범위를 한정하는 복수의 제2 조리개 블레이드와, 상기 제1 조리개 블레이드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복수의 제1 차폐 블레이드를 상기 X선 초점측에 배치하고 상기 제2 조리개 블레이드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복수의 제2 차폐 블레이드를 상기 X선 초점측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1, 제2 조리개 블레이드로 끼워진 영역의 외부에 있어서의 상기 X선을 차폐하는 차폐부를 갖는 X선 가동 조리개부
    를 구비하는 X선 진단 장치.
  8. X선을 발생하는 X선관과,
    상기 X선관으로부터 발생되고, 피검체를 투과한 X선을 검출하는 X선 평면 검출기와,
    상기 X선의 조사 범위를 제1 방향에 대하여 한정하고, 각각 독립하여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복수의 제1 조리개 블레이드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에 대하여 상기 조사 범위를 한정하는 복수의 제2 조리개 블레이드와, 상기 조사 범위의 최대 구경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른 길이의 중점을 적어도 일부가 넘어서, 상기 제1, 제2 조리개 블레이드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조사 범위를 더 한정하는 제3 조리개 블레이드를 갖는 X선 가동 조리개부
    를 구비하는 X선 진단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X선관의 초점과 상기 X선 평면 검출기 사이의 거리와, 상기 피검체의 긴 촬영에 있어서의 촬영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긴 촬영에 있어서의 복수회의 촬영 각각에 따라 상기 제1 조리개 블레이드와 상기 제2 조리개 블레이드와 상기 제3 조리개 블레이드에 각각 대응하는 제1 블레이드 위치와 제2 블레이드 위치와 제3 블레이드 위치와, 상기 촬영에 따라서 한정되는 조사 범위에 대응하는 상기 X선 평면 검출기의 검출기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와,
    상기 결정된 제1 블레이드 위치와 제2 블레이드 위치와 제3 블레이드 위치와에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조리개 블레이드를, 상기 촬영마다 각각 배치시키는 조리개 블레이드 배치부와,
    상기 결정된 검출기 위치로 상기 X선 평면 검출기를, 상기 촬영마다 이동시키는 검출기 이동부
    를 더 구비하는 X선 진단 장치.
  10. X선의 조사 범위를 제1 방향에 대하여 한정하고, 상기 조사 범위의 최대 구경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른 길이의 중점을 적어도 일부가 넘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복수의 제1 조리개 블레이드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에 대하여 상기 조사 범위를 한정하는 복수의 제2 조리개 블레이드와,
    상기 제1 조리개 블레이드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복수의 제1 차폐 블레이드를 X선 초점측에 배치하고, 상기 제2 조리개 블레이드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복수의 제2 차폐 블레이드를 X선 초점측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1, 제2 조리개 블레이드로 끼워진 영역의 외부에 있어서의 상기 X선을 차폐하는 차폐부
    를 구비하는 X선 가동 조리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리개 블레이드의 위치와 상기 제2 조리개 블레이드의 위치에 기초하여, 한정된 조사 범위에 대응하는 개방도 정보를 발생하는 개방도 정보 발생부와,
    상기 발생된 개방도 정보를 표시하는 개방도 정보 표시부
    를 더 구비하는 X선 가동 조리개 장치.
  12. 피검체에 대한 X선의 조사 범위를 제1 방향에 대하여 한정하고, 각각 독립하여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복수의 제1 조리개 블레이드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에 대하여 상기 조사 범위를 한정하는 복수의 제2 조리개 블레이드와,
    상기 조사 범위의 최대 구경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른 길이의 중점을 적어도 일부가 넘어서, 상기 제1, 제2 조리개 블레이드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조사 범위를 더 한정하는 제3 조리개 블레이드
    를 구비하는 X선 가동 조리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체에 관한 긴 촬영에 있어서의 촬영 길이와, X선관의 초점과 X선 평면 검출기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긴 촬영에 있어서의 복수회의 촬영 각각에 따라 상기 제1 조리개 블레이드와 상기 제2 조리개 블레이드와 상기 제3 조리개 블레이드에 각각 대응하는 제1 블레이드 위치와 제2 블레이드 위치와 제3 블레이드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와,
    상기 결정된 제1 블레이드 위치와 제2 블레이드 위치와 제3 블레이드 위치에 상기 제1 조리개 블레이드와 상기 제2 조리개 블레이드와 상기 제3 조리개 블레이드를, 상기 촬영마다 각각 배치시키는 조리개 블레이드 배치부
    를 더 구비하는 X선 가동 조리개 장치.
KR1020157019813A 2013-02-12 2014-02-10 X선 진단 장치 및 x선 가동 조리개 장치 KR1017016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24743 2013-02-12
JP2013024743A JP6162421B2 (ja) 2013-02-12 2013-02-12 X線可動絞り装置、およびx線診断装置
PCT/JP2014/053070 WO2014126053A1 (ja) 2013-02-12 2014-02-10 X線診断装置およびx線可動絞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824A KR20150100824A (ko) 2015-09-02
KR101701660B1 true KR101701660B1 (ko) 2017-02-01

Family

ID=51354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9813A KR101701660B1 (ko) 2013-02-12 2014-02-10 X선 진단 장치 및 x선 가동 조리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62421B2 (ko)
KR (1) KR101701660B1 (ko)
CN (1) CN104936527B (ko)
WO (1) WO20141260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7394B2 (ja) * 2016-01-18 2020-04-22 キヤノン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X線診断装置及びx線検出器
JP2017153591A (ja) 2016-02-29 2017-09-07 東芝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X線診断装置
JP6843544B2 (ja) * 2016-08-03 2021-03-17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影装置、放射線撮影システム、放射線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350094A (zh) * 2018-12-07 2019-02-19 余姚德诚科技咨询有限公司 射线影像可用性分析机构
KR102548631B1 (ko) * 2021-09-29 2023-06-27 국립암센터 방사선 조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조사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2992A (ja) 2003-12-29 2005-07-21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コリメータおよびx線照射装置並びにx線撮影装置
JP2006288554A (ja) 2005-04-07 2006-10-26 Toshiba Corp X線診断装置及び画像データ生成方法
JP2009077759A (ja) 2007-09-25 2009-04-16 Toshiba Corp X線診断装置
JP2011019633A (ja) 2009-07-14 2011-02-03 Toshiba Corp X線診断装置及び被曝線量低減用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74761B2 (ja) * 2000-09-08 2010-06-09 株式会社島津製作所 X線透視撮影台
JP2006141904A (ja) * 2004-11-25 2006-06-08 Hitachi Medical Corp X線撮影装置
JP5279672B2 (ja) * 2009-09-28 2013-09-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撮影システム及びその撮影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2992A (ja) 2003-12-29 2005-07-21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コリメータおよびx線照射装置並びにx線撮影装置
JP2006288554A (ja) 2005-04-07 2006-10-26 Toshiba Corp X線診断装置及び画像データ生成方法
JP2009077759A (ja) 2007-09-25 2009-04-16 Toshiba Corp X線診断装置
JP2011019633A (ja) 2009-07-14 2011-02-03 Toshiba Corp X線診断装置及び被曝線量低減用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62421B2 (ja) 2017-07-12
KR20150100824A (ko) 2015-09-02
CN104936527A (zh) 2015-09-23
CN104936527B (zh) 2018-04-17
WO2014126053A1 (ja) 2014-08-21
JP2014151067A (ja) 2014-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47819B2 (ja) X線診断装置、医用画像処理方法および医用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1701660B1 (ko) X선 진단 장치 및 x선 가동 조리개 장치
JP6297307B2 (ja) X線診断装置および線量分布表示方法
US9848840B2 (en) X-ray diagnostic apparatus comprising an X-ray filter movable along an imaging axis of X-rays
JP6109650B2 (ja) X線診断装置、被曝管理装置、散乱線線量分布形成方法、および散乱線線量分布形成プログラム
JP6740060B2 (ja) X線ct装置
JP2015071030A (ja) X線診断装置、および線量分布発生方法
JP5279672B2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及びその撮影制御方法
JP6385750B2 (ja) 医用線量情報管理装置、x線診断装置、および医用線量情報管理方法
WO2014115716A1 (ja) 医用画像診断装置、医用画像処理装置、医用画像処理方法およびガントリ移動位置決定方法
JP7325943B2 (ja) 医用画像診断システム及びパラメータ選択方法
JP6274501B2 (ja) X線診断装置
JP6334853B2 (ja) X線診断装置
JP2014151068A (ja) 医用画像診断装置、ガントリ移動位置決定方法およびガントリ移動位置決定プログラム
JP7055709B2 (ja) X線ct装置及び撮影計画装置
JP2016043018A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6147616B2 (ja) X線診断装置、および長尺撮影用検出器移動装置
JP7199958B2 (ja) アンギオct装置
JP6234719B2 (ja) X線診断装置
JP7140566B2 (ja) X線ct装置及び撮影計画装置
JP7412952B2 (ja) 医用画像診断装置
JP2011101743A (ja) X線コンピュータ断層撮影装置
JP2012165983A (ja) X線撮影装置
JP2016107060A (ja) 線量分布表示装置およびx線診断装置
JP2015144783A (ja) 医用画像診断装置、細胞シート、および細胞シート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