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906B1 - 넥타이 착용 장치 - Google Patents

넥타이 착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906B1
KR101697906B1 KR1020160159709A KR20160159709A KR101697906B1 KR 101697906 B1 KR101697906 B1 KR 101697906B1 KR 1020160159709 A KR1020160159709 A KR 1020160159709A KR 20160159709 A KR20160159709 A KR 20160159709A KR 101697906 B1 KR101697906 B1 KR 101697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tie
necktie
ho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안
Original Assignee
김성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안 filed Critical 김성안
Priority to KR1020160159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9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906B1/ko
Priority to DE212017000165.8U priority patent/DE212017000165U1/de
Priority to US16/304,290 priority patent/US20190082755A1/en
Priority to JP2018600162U priority patent/JP3221852U/ja
Priority to CN201790000888.6U priority patent/CN209609937U/zh
Priority to PCT/KR2017/001996 priority patent/WO201722214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2Neckties with ready-made knot or bow, with or without bands
    • A41D25/022Neckties with ready-made knot or bow, with or without bands with knot simulated by a ring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03Neckties provided with holding devices, e.g. button holes or loops for securing them to a shirt or for holding the two ends of the neckti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2Neckties with ready-made knot or bow, with or without bands
    • A41D25/025Means for forming the knot or bow, e.g. combined with means for holding the ti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8Trimmings; Orn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넥타이 착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인 넥타이와 같이 매듭 방식으로 묶을 필요가 없고 단순히 넥타이를 걸림봉에 걸고 회동 바디를 회동 접철하여 목에 착용하는 방식으로 넥타이를 착용 완료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넥타이를 착용할 수 있고, 넥타이를 풀지 않은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키에 맞추어 넥타이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넥타이와 넥타이 매듭 장식 기능을 하는 커버 바디가 서로 다른 재질 및 문양 등에 의해 이질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질감에 따른 개성있고 새로운 미감을 연출할 수 있는 넥타이 착용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넥타이 착용 장치{Necktie Wea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넥타이 착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넥타이와 같이 매듭 방식으로 묶을 필요가 없고 단순히 넥타이를 걸림봉에 걸고 회동 바디를 회동 접철하여 목에 착용하는 방식으로 넥타이를 착용 완료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넥타이를 착용할 수 있고, 또한, 넥타이와 넥타이 매듭 장식 기능을 하는 커버 바디가 서로 다른 재질 및 문양 등에 의해 이질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질감에 따른 개성있고 새로운 미감을 연출할 수 있는 넥타이 착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개개인의 생활경제가 향상됨에 따라 식생활이나 주거생활 못지 않게 의상에 대한 관심도 고조되면서 다양한 종류의 의복용품들이 만들어져 사용되고, 이러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의상에 있어서 많은 액세서리가 사용되며, 이 가운데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의상용 액세서리로는 넥타이가 있다.
넥타이는 정장 착용시 주로 착용하는 의상용 액세서리로서, 목에 착용할 경우에는 먼저 와이셔츠의 컬러를 살짝 들어올린 상태에서 목에 루프형으로 걸치고 중간부에 매듭을 형성하여 폭이 넓은 부분이 앞으로 보이고 폭이 좁은 부분이 뒤에 감춰지도록 착용한다.
이와 같은 넥타이는 정장 착용시 분위기 연출을 위해 직장인뿐만 아니라 교복을 착용하는 학생들 교복에도 착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통상의 넥타이는 그 착용방법에 있어 매듭을 묶어야 하고, 매듭을 묶는 방법이 다소 복잡하고 번거로워 시간적 소모도 많고 특히 학생들의 경우에 그 사용상의 불편함이 상당히 크다.
특히, 매듭이 묶이는 위치에 따라 노출부가 길어지거나 목걸이부가 길어지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이와 같은 길이의 불안정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넥타이를 여러 번 다시 묶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넥타이를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넥타이 착용 장치가 개발되고 있는데, 사용상 불편함이 있거나 넥타이가 이탈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828991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인 넥타이와 같이 매듭 방식으로 묶을 필요가 없고 단순히 넥타이를 걸림봉에 걸고 회동 바디를 회동 접철하여 목에 착용하는 방식으로 넥타이를 착용 완료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넥타이를 착용할 수 있는 넥타이 착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넥타이와 넥타이 매듭 장식 기능을 하는 커버 바디가 서로 다른 재질 및 문양 등에 의해 이질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질감에 따른 개성있고 새로운 미감을 연출할 수 있는 넥타이 착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넥타이가 착용 장치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경계면 부위에서 넥타이가 풍성하게 보이도록 내부 구성을 형성함으로써, 매듭 방식의 넥타이와 마찬가지로 넥타이의 외부 형상 및 미감을 풍성한 형태로 연출할 수 있어 장식 효과를 더욱 배가시킬 수 있는 넥타이 착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띠의 목에 감는 부분의 길이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키에 맞추어 넥타이 길이를 용이하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이 더욱 향상되고 다양한 사용자에게 원활하게 적용할 수 있는 넥타이 착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후방에 오목한 형태의 넥타이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넥타이 수용 공간에는 넥타이가 지지되어 현수될 수 있도록 걸림봉이 장착되는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에 회동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메인 바디에 회동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넥타이 수용 공간에 배치된 넥타이를 가압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회동 바디; 상기 메인 바디의 전방면을 감싸도록 상기 메인 바디에 결합되며, 전방면에는 장식용 색상 또는 문양이 형성되는 커버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를 사용자의 목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바디에 결합되는 고정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착용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커버 바디가 상기 메인 바디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바디 및 회동 바디가 전방을 향해 외부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바디의 후방 내측면 하단부는 하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작아지는 형태로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바디의 상단 양측단부에는 상기 커버 바디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띠가 외부로부터 상기 넥타이 수용 공간으로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띠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바디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띠 삽입홀을 통해 외부로부터 관통 삽입된 고정띠의 배치 상태를 가이드하도록 고정띠 가이드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 바디의 전방면에는 상기 넥타이를 가압 고정할 수 있도록 가압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 돌출부는 상기 회동 바디가 상기 메인 바디에 회동 접철된 상태에서 전방면이 상기 메인 바디의 후방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넥타이는 상기 가압 돌출부의 전방면과 상기 메인 바디의 후방면 사이에서 가압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넥타이 착용 장치는, 상기 고정띠의 작동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길이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 바디에는 상기 넥타이 수용 공간으로 삽입된 고정띠의 양끝단부가 관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 고정 수단은, 상기 배출 관통홀을 통과한 고정띠가 삽입 관통하도록 걸림 관통홀이 형성되는 이동 블록; 및 상기 이동 블록이 상기 배출 관통홀의 길이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탄성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 블록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띠는 상기 이동 블록이 탄성 이동함에 따라 상기 배출 관통홀과 걸림 관통홀이 어긋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가압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적인 넥타이와 같이 매듭 방식으로 묶을 필요가 없고 단순히 넥타이를 걸림봉에 걸고 회동 바디를 회동 접철하여 목에 착용하는 방식으로 넥타이를 착용 완료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넥타이를 착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넥타이와 넥타이 매듭 장식 기능을 하는 커버 바디가 서로 다른 재질 및 문양 등에 의해 이질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질감에 따른 개성있고 새로운 미감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넥타이가 착용 장치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경계면 부위에서 넥타이가 풍성하게 보이도록 내부 구성을 형성함으로써, 매듭 방식의 넥타이와 마찬가지로 넥타이의 외부 형상 및 미감을 풍성한 형태로 연출할 수 있어 장식 효과를 더욱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띠의 목에 감는 부분의 길이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이 더욱 향상되고 다양한 사용자에게 원활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착용 장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착용 장치의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착용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착용 장치의 길이 고정 수단에 대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착용 장치를 이용하여 넥타이를 착용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착용 장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착용 장치의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착용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착용 장치의 길이 고정 수단에 대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착용 장치를 이용하여 넥타이를 착용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착용 장치는 넥타이를 매듭 방식으로 묶지 않고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메인 바디(200)와, 회동 바디(300)와, 커버 바디(100)와, 고정띠(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인 바디(200)는 후방에 오목한 형태의 넥타이 수용 공간(201)이 형성되도록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진 형태로 형성되며, 넥타이 수용 공간(201)에는 넥타이(10)가 지지되어 현수될 수 있도록 걸림봉(210)이 장착된다. 걸림봉(210)은 넥타이 수용 공간(201)을 수평 방향으로 횡단하도록 장착되며, 전후 방향에 대한 중심부를 기준으로 후방측에 편향되게 배치된다.
회동 바디(300)는 일단이 메인 바디(200)의 일단에 회동 접철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메인 바디(200)의 일측단부에는 힌지축 결합부(250)가 형성되고, 회동 바디(300)의 일단에는 힌지축 결합부(25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힌지축(301)이 형성되어 힌지축(301)을 통해 메인 바디(200)에 회동 접철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회동 바디(300)가 회동 접철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회동 바디(300)의 일측에는 결합 돌기(310)가 형성되고, 메인 바디(200)의 일측에는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 돌기(310)가 삽입 맞물림될 수 있는 결합홀(220)이 형성되며, 결합 돌기(310)과 결합홀(220)의 상호 맞물림 구조에 의해 회동 바디(300)가 접철된 상태에서 위치 고정된다.
이러한 회동 바디(300)는 메인 바디(200)에 회동 접철된 상태에서 넥타이 수용 공간(201)에 배치된 넥타이(10)를 가압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회동 바디(300)의 전방면 일측에는 회동 바디(300)가 메인 바디(200)에 회동 접철된 상태에서 넥타이(10)를 가압 고정할 수 있도록 가압 돌출부(320)가 형성되며, 가압 돌출부(320)는 회동 바디(300)가 메인 바디(200)에 회동 접철된 상태에서 가압 돌출부(320)의 전방면이 메인 바디(200)의 후방면과 일정 간격(P)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진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넥타이 수용 공간(201)에 배치된 넥타이(10)는 회동 바디(300)가 메인 바디(200)에 회동 접철됨에 따라 가압 돌출부(320)의 전방면과 메인 바디(200)의 후방면 사이의 간격(P)에서 가압 돌출부(320)에 의해 밀착 가압되며 위치 고정된다.
커버 바디(100)는 메인 바디(200)의 전방면을 감싸도록 메인 바디(200)에 결합되며, 커버 바디(100)의 전방면에는 별도의 작식용 색상 또는 문양(N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 바디(100)가 메인 바디(200)의 전방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메인 바디(200) 및 회동 바디(300)가 전방을 향해 외부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커버 바디(100)는 장식 기능을 갖도록 별도의 색상 또는 문양(N2)이 형성되며, 이러한 커버 바디(100)에 의해 메인 바디(200) 및 회동 바디(300)가 모두 감싸지도록 형성되어 외부에는 커버 바디(100)만 육안 노출된다.
또한, 커버 바디(100)는 넥타이 매듭 형태로 형성되어 넥타이(10)를 착용한 상태에서 넥타이 매듭처럼 외부에서 보이게 할 수 있다. 이때, 커버 바디(100)의 장식 문양(N2)과 넥타이(10)의 장식 문양(N1)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도 7 참조), 이 경우, 넥타이(10)의 매듭 부분(즉, 커버 바디 부분)이 넥타이(10)와는 또 다른 미감을 연출할 수 있어 좀더 개성있고 멋스러운 미감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커버 바디(100)는 메인 바디(200)의 전방면에 접합되는 형태로 고정 결합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커버 바디(100)만을 별도로 교체하여 편리하게 또 다른 미감을 연출할 수 있도록 메인 바디(2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고정띠(400)는 메인 바디(200)를 사용자의 목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메인 바디(200)에 결합되는데, 단순한 직물 재질의 띠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탄성 재질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넥타이 착용 장치(20)를 통해 넥타이(10)를 착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5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회동 바디(300)를 메인 바디(200)로부터 후방측으로 이탈되도록 회전시켜 넥타이 수용 공간(201)을 개방시키고, 이 상태에서 메인 바디(200)의 걸림봉(210)에 넥타이(10)의 중간 구간을 걸쳐 넥타이(10)가 걸림봉(210)에 의해 지지되어 현수되도록 한다. 이때, 넥타이(10)는 도 5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자중에 의해 수직한 방향으로 현수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회동 바디(300)를 메인 바디(200)에 접촉하도록 회동 접철시키면, 회동 바디(300)의 가압 돌출부(320)가 전방측으로 이동하며 수직 현수된 넥타이(10)를 전방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회동 바디(300)가 회동 접철 완료되면, 가압 돌출부(320)와 메인 바디(200)에는 이격 간격(P)가 존재하게 되고, 넥타이(10)는 가압 돌출부(320)에 의해 가압되며 이격 간격(P) 사이 공간에서 가압 돌출부(320)에 의해 밀착 가압되어 위치 고정된다.
이때, 메인 바디(200)의 넥타이 수용 공간(201)을 이루는 후방면은 전방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형상을 이루고, 이에 대응하여 회동 바디(300)의 가압 돌출부(320) 전방면 또한 전방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형상을 이루므로, 그 사이 이격 간격(P)에서 넥타이(10)가 밀착 가압되며 전방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형상을 이루게 된다. 즉, 넥타이(10)는 메인 바디(200)의 하부측으로 노출되는 부위가 넥타이를 매듭 방식으로 묶었을 때의 형상과 유사하게 전방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형상을 이루게 되므로, 더욱 풍성하고 멋스러운 넥타이 착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바디(200)의 걸림봉(210)이 전후 방향 중심부로부터 후방측으로 편향되게 위치하기 때문에, 넥타이(10)가 회동 바디(300)의 가압 돌출부(320)에 의해 밀착 가압되는 과정에서 넥타이(10)의 폭방향 중심부가 전방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넥타이(10)의 노출 부위에 대해 풍성하게 보이는 효과를 더욱 배가시킬 수 있다.
아울러, 메인 바디(200)의 후방 내측면 하단부는 하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작아지는 형태로 경사면(202)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이를 통해 넥타이(10)가 메인 바디(200)의 하단으로부터 외부 노출되는 과정에서 그 노출 경계면 부위에서 넥타이(10)의 전방으로 더 돌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넥타이(10)의 노출 부위에 대해 풍성하게 보이는 효과를 한번 더 배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넥타이(10)를 걸림봉(210)에 건 상태로 회동 바디(300)를 회동 접철시키는 동작 만으로 넥타이(10)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고정띠(400)를 목에 감아 메인 바디(200)를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넥타이 착용을 완료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넥타이와 같이 매듭 방식으로 묶을 필요가 없어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넥타이를 착용할 수 있으며, 특히, 넥타이 매듭 장식 기능을 하는 커버 바디(100)와 넥타이(10)가 이질감을 가질 수 있어 이질감에 따른 새롭고 개성있는 미감을 연출할 수 있다.
한편, 고정띠(400)는 고정띠(400)를 목에 감는 방식으로 메인 바디(200)를 목에 고정시키도록 메인 바디(200)에 결합되는데, 양단부가 외부로부터 메인 바디(200)의 내부 공간으로 관통 삽입되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바디(200)의 상단 양측단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바디(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띠(400)가 외부로부터 넥타이 수용 공간(201)으로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띠 삽입홀(230)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띠 삽입홀(230)은 커버 바디(100)의 전방에 노출되지 않도록 메인 바디(200)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외부로부터 메인 바디(200)의 넥타이 수용 공간(201)으로 관통 삽입된 고정띠(400)는 넥타이 수용 공간(201) 내부에서 서로 꼬이거나 다른 부재와의 간섭으로 인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띠(400)는 목에 감기 위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띠 삽입홀(230)을 통과하며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야 하는데, 내부의 넥타이 수용 공간(201)에서 서로 꼬이거나 간섭이 발생하면 이러한 이동이 불가능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메인 바디(200)의 일측에는 고정띠 삽입홀(230)을 통해 외부로부터 관통 삽입된 고정띠(400)의 배치 상태를 가이드하도록 고정띠 가이드홀(2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띠 가이드홀(240)은 고정띠 삽입홀(230)과 인접한 부위에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띠(400)는 고정띠 가이드홀(240)을 관통하여 통과하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이에 따라 고정띠(400)의 배치 상태가 고정띠 가이드홀(240)을 통해 고정 가이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착용 장치(20)는 고정띠(400)의 작동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길이 고정 수단(500)을 더 포함한다.
즉, 고정띠(400)는 목에 감는 방식으로 메인 바디(200)를 목에 고정시키게 되는데, 사용자에 따라 목의 두께가 다를 뿐만 아니라 넥타이 착용 과정에서 고정띠(400)를 느슨하게 했다가 조이는 방식으로 사용하기 위해 고정띠(400)의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시키는 기능이 필요하다.
이러한 고정띠(400)에 대한 길이 조절 및 고정 기능을 위해 먼저, 회동 바디(300)에는 넥타이 수용 공간(201)으로 삽입된 고정띠(400)의 양끝단부가 관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 관통홀(330)이 형성된다. 또한, 길이 고정 수단(500)은, 이러한 배출 관통홀(330)을 통과한 고정띠(400)가 삽입 관통하도록 걸림 관통홀(511)이 형성되는 이동 블록(510)과, 이동 블록(510)이 배출 관통홀(330)의 길이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탄성 이동하도록 이동 블록(510)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회동 바디(300)에는 이동 블록(510)이 삽입되어 탄성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 가이드홈(340)이 형성되고, 이러한 삽입 가이드홈(340)을 중심으로 양측편에 각각 배출 관통홀(330)이 형성된다. 삽입 가이드홈(340)의 바닥면에 탄성 부재(520)가 배치되어 이동 블록(510)이 삽입 가이드홈(340)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가한다. 이동 블록(510)에는 배출 관통홀(330)과 평행한 방향으로 걸림 관통홀(511)이 형성된다.
이때, 고정띠(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가이드홈(340)의 일측편 배출 관통홀(330)을 통과하여 이동 블록(510)의 걸림 관통홀(511)을 관통하고, 다시 삽입 가이드홈(340)의 타측편 배출 관통홀(330)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배치 구조에서, 이동 블록(510)이 탄성 부재(520)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탄성 이동하게 되면, 배출 관통홀(330)과 걸림 관통홀(511)은 서로 어긋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배출 관통홀(330)과 걸림 관통홀(511)이 서로 어긋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면, 배출 관통홀(330)과 걸림 관통홀(511)을 동시에 관통하는 고정띠(400)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고정띠(400)는 이러한 가압에 의해 위치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고정띠(400)를 위치 고정하는 고정력은 이동 블록(510)을 탄성 이동시키는 탄성 부재(520)의 탄성력에 의해 발생한다.
따라서, 고정띠(400)가 가압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띠(400)를 길이 조절을 위해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이동 블록(510)을 탄성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도 6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배출 관통홀(330)과 걸림 관통홀(511)의 어긋남 상태를 다시 동일 직선상으로 위치시킴으로써 고정띠(400)에 대한 가압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고정띠(400)를 자유롭게 이동시켜 목에 감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넥타이
100: 커버 바디
200: 메인 바디
201: 넥타이 수용 공간 202: 경사면
210: 걸림봉 230: 고정띠 삽입홀
240: 고정띠 가이드홀
300: 회동 바디
320: 가압 돌출부 330: 배출 관통홀
400: 고정띠
500: 길이 고정 수단
510: 이동 블록 511: 걸림 관통홀
520: 탄성 부재

Claims (8)

  1. 후방에 오목한 형태의 넥타이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넥타이 수용 공간에는 넥타이가 지지되어 현수될 수 있도록 걸림봉이 장착되는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에 회동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메인 바디에 회동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넥타이 수용 공간에 배치된 넥타이를 가압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회동 바디;
    상기 메인 바디의 전방면을 감싸도록 상기 메인 바디에 결합되며, 전방면에는 장식용 색상 또는 문양이 형성되는 커버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를 사용자의 목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바디에 결합되는 고정띠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착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바디가 상기 메인 바디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바디 및 회동 바디가 전방을 향해 외부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착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의 후방 내측면 하단부는 하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작아지는 형태로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착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의 상단 양측단부에는 상기 커버 바디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띠가 외부로부터 상기 넥타이 수용 공간으로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띠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착용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띠 삽입홀을 통해 외부로부터 관통 삽입된 고정띠의 배치 상태를 가이드하도록 고정띠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착용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바디의 전방면에는 상기 넥타이를 가압 고정할 수 있도록 가압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 돌출부는
    상기 회동 바디가 상기 메인 바디에 회동 접철된 상태에서 전방면이 상기 메인 바디의 후방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넥타이는 상기 가압 돌출부의 전방면과 상기 메인 바디의 후방면 사이에서 가압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착용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띠의 작동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길이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착용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바디에는 상기 넥타이 수용 공간으로 삽입된 고정띠의 양끝단부가 관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 고정 수단은
    상기 배출 관통홀을 통과한 고정띠가 삽입 관통하도록 걸림 관통홀이 형성되는 이동 블록; 및
    상기 이동 블록이 상기 배출 관통홀의 길이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탄성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 블록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띠는 상기 이동 블록이 탄성 이동함에 따라 상기 배출 관통홀과 걸림 관통홀이 어긋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가압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착용 장치.

KR1020160159709A 2016-06-22 2016-11-28 넥타이 착용 장치 KR101697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709A KR101697906B1 (ko) 2016-11-28 2016-11-28 넥타이 착용 장치
DE212017000165.8U DE212017000165U1 (de) 2016-06-22 2017-02-23 Vorrichtung zum Umlegen einer Krawatte
US16/304,290 US20190082755A1 (en) 2016-06-22 2017-02-23 Device for putting on necktie
JP2018600162U JP3221852U (ja) 2016-06-22 2017-02-23 ネクタイ着用装置
CN201790000888.6U CN209609937U (zh) 2016-06-22 2017-02-23 领带佩戴装置
PCT/KR2017/001996 WO2017222144A1 (ko) 2016-06-22 2017-02-23 넥타이 착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709A KR101697906B1 (ko) 2016-11-28 2016-11-28 넥타이 착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906B1 true KR101697906B1 (ko) 2017-01-18

Family

ID=57991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709A KR101697906B1 (ko) 2016-06-22 2016-11-28 넥타이 착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9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22144A1 (ko) * 2016-06-22 2017-12-28 김성안 넥타이 착용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5100A (ja) * 1992-06-15 1993-12-27 Arrowhead Tp Ltd ネクタイ・プレッサ
KR200227597Y1 (ko) * 2000-12-26 2001-06-15 정성두 넥타이용 매듭구
KR200337520Y1 (ko) * 2003-10-08 2003-12-31 최종인 넥타이 매듭부재
KR100828991B1 (ko) 2007-04-16 2008-05-14 김윤중 넥타이 착용구
KR20140039731A (ko) * 2012-09-25 2014-04-02 김보미 넥타이 장신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5100A (ja) * 1992-06-15 1993-12-27 Arrowhead Tp Ltd ネクタイ・プレッサ
KR200227597Y1 (ko) * 2000-12-26 2001-06-15 정성두 넥타이용 매듭구
KR200337520Y1 (ko) * 2003-10-08 2003-12-31 최종인 넥타이 매듭부재
KR100828991B1 (ko) 2007-04-16 2008-05-14 김윤중 넥타이 착용구
KR20140039731A (ko) * 2012-09-25 2014-04-02 김보미 넥타이 장신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22144A1 (ko) * 2016-06-22 2017-12-28 김성안 넥타이 착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78486A1 (en) Scarf Securer
KR101697906B1 (ko) 넥타이 착용 장치
US8713713B2 (en) Necktie assembly
KR200426062Y1 (ko) 넥타이 매듭 장신구
US20150223531A1 (en) Neckwear fastening apparatus
US8950016B2 (en) Accessory-retaining neck scarf
AU2008211790A1 (en) Girdle for garments
US2859501A (en) Interchangeable button
JP3221852U (ja) ネクタイ着用装置
JP3220380U (ja) 作り帯
JP6960181B2 (ja) 襟元保持具
US157502A (en) Improvement in neck-tie plates
US1726773A (en) Bracelet
JP3206666U (ja)
KR200458951Y1 (ko) 볼로타이
KR101586826B1 (ko) 고정수단이 구비된 자동넥타이
JP3135004U (ja) 半幅帯
US20130254974A1 (en) Fashion accessory tool
CA2249774C (en) Structure of supporter for tie knot of knotting-free necktie
JP3199928U (ja) ベルトおよびベルト用バックル
US384484A (en) William i
KR200441021Y1 (ko) 벨트용 장신구
KR200305647Y1 (ko) 고리가 다리부에 부착된 바지
JP3124351U (ja) 装飾着物
KR200354847Y1 (ko) 넥타이 매듭 보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