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9731A - 넥타이 장신구 - Google Patents

넥타이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9731A
KR20140039731A KR1020120106316A KR20120106316A KR20140039731A KR 20140039731 A KR20140039731 A KR 20140039731A KR 1020120106316 A KR1020120106316 A KR 1020120106316A KR 20120106316 A KR20120106316 A KR 20120106316A KR 20140039731 A KR20140039731 A KR 20140039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t
tie
plate portion
front decorative
decorativ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미
Original Assignee
김보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미 filed Critical 김보미
Priority to KR1020120106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9731A/ko
Publication of KR20140039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7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2Neckties with ready-made knot or bow, with or without bands
    • A41D25/025Means for forming the knot or bow, e.g. combined with means for holding the ti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6/00Retainers or tethers for neckties, cravats, neckerchiefs, or the like, e.g. tie-clips, spring clips with attached tie-tethers, woggles, pins with associated sheathing members tetherable to clothing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넥타이의 매듭부에 탈착식으로 장착함으로써, 넥타이를 여러 가지 다양한 패션으로 장식할 수 있는 넥타이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1)는, 넥타이(2)의 매듭부(3)를 분리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감싸서 상기 매듭부(3)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도록 복원성 있는 탄성소재로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매듭부(3)의 전면 형상에 대응하는 상변은 넓고 하변은 좁은 정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되 상기 매듭부(3)의 전면 윤곽에 대응하게 전방으로 볼록하게 굴곡진 전방장식판부(10), 및 상기 전방장식판부(10)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후방으로 만곡하여 상기 매듭부(3)의 후면 양측을 탄성적으로 감싸는 측후방가압판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넥타이 장신구{Decoration Apparatus for Necktie}
본 발명은 장신구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넥타이의 매듭부에 탈착식으로 장착함으로써, 넥타이를 여러 가지 다양한 패션으로 장식할 수 있는 넥타이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양복, 특히 남성 양복의 대표적인 장식의 하나인 넥타이는, 나비넥타이, 스카프넥타이 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지만, 포인핸드타이(Four in hand tie)라고 불리는 띠형 넥타이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띠형 넥타이는 천 등으로 만든 긴 띠 형상의 넥타이로서, 예를 들어 와이셔츠의 깃 둘레를 감아 매듭을 짓고 나머지의 여분을 앞으로 길게 늘어뜨린 넥타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는 띠형 넥타이를 넥타이라고 약칭한다.
도5는 맨 상태의 넥타이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넥타이(100)는, 목의 둘레를 감는 목띠부(110), 아래로 길게 늘어지는 검부(120: 대검 및 소검) 및 목띠부(110)와 검부(120) 사이에 매듭지어진 매듭부(130)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잘 매어진 매듭부(130)는 상변이 길고 하변이 짧은 정사다리꼴 형상이고, 보기 좋은 매듭부(130)를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넥타이 매는법(매듭을 만드는 법)이 알려져 있다.
넥타이 착용시에 가장 신경을 쓰는 것은 보기 좋게 매듭부(130)를 만드는 것이며, 이로 인해 넥타이 매기를 어려워하거나 넥타이 착용에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되기도 한다.
이런 불편을 줄이기 위해, 띠형 넥타이 중에는 매듭부를 미리 만들어서 착용자가 일일이 매듭을 지을 필요 없이 목에 걸어 목띠부를 조임으로써 바로 착용할 수 있게 한 간편 방식의 넥타이도 개발되어 있다.
넥타이의 패션은, 넥타이의 원단에 적용된 디자인에 의해 기본적으로 결정되지만, 넥타이-핀으로 대표되는 각종 액세서리를 부착함으로써 장식을 부가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배경 하에서 넥타이의 매듭부를 넥타이의 장식에 활용하고자 하는 제안이 있었으며, 그 예로서는 대한민국 특허 제10-0702215호의 넥타이 매듭부의 삽입식 장신구(2007. 03. 26. 등록),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62650호의 넥타이 매듭커버(1998. 11. 16. 공개),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3337호의 넥타이 매듭용 장신구(2011. 04. 15. 등록)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넥타이의 매듭부에 적용되는 넥타이 장신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넥타이의 매듭부에 매우 간편하게 탈착식으로 장착하여 넥타이를 장식할 수 있으면서도,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한 넥타이용 장신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넥타이 장신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넥타이 장신구는, 넥타이의 매듭부를 분리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감싸서 상기 매듭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복원성 있는 탄성소재로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장신구는, 상기 매듭부의 전면 형상에 대응하는 상변은 넓고 하변은 좁은 정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되 상기 매듭부의 전면 윤곽에 대응하게 전방으로 볼록하게 굴곡진 전방장식판부, 및 상기 전방장식판부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후방으로 만곡하여 상기 매듭부의 후면 양측을 탄성적으로 감싸는 측후방가압판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넥타이 장신구는 상기 전방장식판부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전방장식판부와 평행하게 내측으로 꺾여서 상기 매듭부의 상단에 걸리는 클립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방장식판부와 상기 측후방가압판부는 탄성을 가지는 금속판 또는 플라스틱합성수지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방장식판부와 상기 측후방가압판부의 적어도 외면은 천 또는 가죽으로 형성된 마감재로 피복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방장식판부의 전면에는 장식물이 부착되어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넥타이 장신구는, 복원성 있는 탄성을 가지는 상기 측후방가압판부를 벌려 상기 매듭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하여 상기 전방장식판부와 상기 측후방가압판부의 복원성 있는 탄성을 이용해 상기 매듭부를 감싸 고정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클립부를 상기 매듭부의 상단에 걸어 고정하고, 손으로 상기 측후방가압판부를 벌려 상기 매듭부로부터 분리하는 구조이므로, 상기 매듭부에 대한 장착과 분리가 매우 편리하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넥타이 장신구는, 넥타이의 패션에 어울리도록 상기 전방장식판부의 전면에 적용된 디자인, 부가적으로 상기 마감재 또는 상기 장식물에 의해, 넥타이의 상기 매듭부를 장식할 수 있음에 따라, 넥타이의 패션을 착용자의 취향에 맞게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넥타이 장신구는, 넥타이의 상기 매듭부를 감싸주게 됨에 따라, 상기 매듭부가 보기 좋지 않게 매듭지어져도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함으로, 넥타이를 정확하게 매는 것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장신구의 사용상태도,
도2와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장신구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장신구의 단면도,
도5는 일반적인 띠형 넥타이의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넥타이 장신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에 따른 넥타이 장신구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넥타이 장신구(1)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한 넥타이(2)의 매듭부(3)에 장착함으로써 넥타이(2)를 장식하는 장신구이다.
본 발명에 따른 넥타이 장신구(1)는, 예를 들어 금속판이나 플라스틱합성수지판 등과 같이 소재 자체에 정해진 형상으로 복원하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장신구(1)는, 이런 복원성 있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매듭부(3)를 탄성적으로 감쌈으로써 매듭부(3)에 장착 및 고정하며, 손으로 상기 탄성력을 극복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장신구(1)를 당겨서 그 형상을 변형시킴으로써 매듭부(3)로부터 이탈시키는 방식으로 매듭부(3)로부터 분리한다. 외력이 사라진 분리된 본 발명의 장신구(1)는 소재 자체의 탄성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한다.
본 발명의 장신구(1)는 전방장식판부(10) 및 측후방가압판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장식판부(10)는 본 발명의 장신구(1)를 매듭부(3)에 장착하였을 때 타인의 시야에 주도적으로 노출되어 장식 기능을 실현하는 부분으로서, 일반적인 매듭부(3)의 전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 즉 상변은 넓고 하변은 좁은 바람직하게 정사다리꼴 형상으로서, 매듭부(3)의 전면 윤곽에 대응하게 전방으로 약간 볼록하게 굴곡진 형상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방장식판부(10)가 '정사다리꼴'이라고 하는 것은 기하학적으로 정확한 정사다리꼴이라는 것이 아니라 이에 근접한 형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측후방가압판부(20)는 매듭부(3)의 측면과 후면의 일부를 감쌀 정도만큼 전방장식판부(10)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매듭부(3)의 측면을 지나 후방으로 만곡되어 있음으로써 매듭부(3)의 측면을 돌아 후면 양측을 탄성적으로 감싸는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잘 매어진 매듭부(3)에서 그 후방의 상부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은 높고 중앙이 조금 낮은 형상인바, 도3에 도시된 구체예의 경우, 양측의 측후방가압판부(20)의 상단은 매듭부(3)의 후방 상부에 대응하여 중앙 쪽이 낮게 경사져 있다.
도3에 도시된 구체예의 경우에, 매듭부(3)를 감싼 상태에서 양측의 측후방가압판부(20)는 매듭부(3)의 후면 중심선(3a: 도1 참조)에 대해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마주하고 있지만, 양측의 측후방가압판부(20)를 서로 맞닿을 정도까지 연장하는 것도 배제되지 아니한다. 또한 도시된 구체예에서, 양측의 측후방가압판부(20)의 하단은 매듭부(3)와 검부(4)의 경계를 감싸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측후방가압판부(20)는 전방장식판부(10)와 협력하여 매듭부(3)의 측면을 감싸고 매듭부(3)의 후면 양측을 탄성적으로 감쌈으로써 본 발명의 장신구(1)를 매듭부(3)에 탄성적으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매듭부(3)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1)는, 양측의 측후방가압판부(20)와 전방장식판부(10)가 협력하여 매듭부(3)를 탄성적으로 감쌈으로써 매듭부(3)에 장착하는 것이므로, 손으로 측후방가압판부(20)를 벌려 매듭부(3)의 둘레를 감싸게 하는 것만으로 매우 용이하고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고, 또한 측후방가압판부(20)가 벌여질 정도의 힘으로 당기는 것만으로 매듭부(3)로부터 용이하고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신구(1)는 자체의 형상과 탄성만으로도 매듭부(3)에 안전하게 장착할 수 있지만, 보다 안전하게 매듭부(3)에 장착할 수 있도록 클립부(30)를 더 형성할 수 있다.
클립부(30)는 전방장식판부(10)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연장하여 전방장식판부(10)와 평행하게 내측으로 꺾인 형상이며, 매듭부(3)의 상단에 걸림으로써 핀과 같은 작용으로 본 발명의 장신구(1)를 매듭부(3)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클립부(30)를 추가한 본 발명의 장신구(1)는 그 자체의 형상과 탄성 및 클립부(30)의 협력으로 매듭부(3)에 장착된 상태를 보다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신구(1)는 그 재질이 자체에 탄성을 가질 수 있는 예를 들어 금속판이나 플라스틱합성수지판이고, 이런 금속판 등의 재질은 일반적인 넥타이의 소재인 천과 어울리지 않을 수 있는 바,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전방장식판부(10)와 측후방가압판부(20)의 적어도 외면은 천이나 가죽과 같이 넥타이의 소재와 어울리는 마감재(40)로 피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신구(1)에 있어서 넥타이에 장식적 요소를 가하는 부분은, 타인의 시야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전방장식판부(10)인바, 기본적으로는 넥타이에 어울리는 각종 디자인을 전방장식판부(10)의 전면에 적용함으로써, 매듭부(3)의 장식을 통해 넥타이를 장식하게 된다.
전방장식판부(10)에 적용할 수 있는 장식으로서는 전방장식판부(10)의 자체에 가해진 고급스러운 색상의 코팅이나 인쇄 등의 디자인과 전술한 마감재(40)의 디자인에 더하여, 예를 들어 인조보석과 같은 각종 장식물(50)을 전방장식판부(10)의 전면에 부착하여 실현할 수 있다.
장식물(50)을 부착하는 경우, 전방장식판부(10)에 자석(51)을 부착하고 코팅이나 마감재(40)의 적용으로 자석(51)이 노출되게 한 상태에서, 장식물(50)을 자석(51)에 자력으로 탈착식으로 부착할 수도 있으며, 이런 자석(51)을 이용한 탈착식 부착을 적용하면 하나의 장신구(1)에 대해 다양한 장식물(50)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넥타이 장신구(1)는, 전방장식판부(10)의 전면에 적용된 디자인, 상기 마감재(40) 및 상기 장식물(50)의 조합에 의해 넥타이(2)의 매듭부(3)를 다양하게 장식할 수 있음에 따라, 하나의 넥타이에 서로 다른 장신구(1)를 적용하거나 하나의 장신구(1)를 여러 가지 넥타이에 적용함으로써 넥타이의 장식적인 효과를 더욱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넥타이 장신구(1)는, 장착된 상태에서 매듭부(3)를 감싸주게 됨에 따라, 매듭부(3)가 보기 좋지 않게 매듭진 상태라도 매듭부(3)는 노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장신구(1)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넥타이를 정확하게 매는 것에 관한 부담을 덜 수 있다.
부가하여, 본 발명의 장신구에 가해지는 디자인으로서 회사의 로고 등을 적용하게 되면 넥타이를 회사의 유니폼 등에 어울리도록 연출할 수 있다.
1: 본 발명의 장신구
2: 넥타이
3: 매듭부
4: 검부
10: 전방장식판부
20: 측후방가압판부
30: 클립부
40: 마감재
50: 장식물
51: 자석

Claims (4)

  1. 넥타이(2)의 매듭부(3)를 분리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감싸서 상기 매듭부(3)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도록 복원성 있는 탄성소재로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매듭부(3)의 전면 형상에 대응하는 상변은 넓고 하변은 좁은 정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되 상기 매듭부(3)의 전면 윤곽에 대응하게 전방으로 볼록하게 굴곡진 전방장식판부(10), 및 상기 전방장식판부(10)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후방으로 만곡하여 상기 매듭부(3)의 후면 양측을 탄성적으로 감싸는 측후방가압판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장신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장식판부(10)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전방장식판부(10)와 평행하게 내측으로 꺾여서, 상기 매듭부(3)의 상단에 걸리는 클립부(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장신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장식판부(10)와 상기 측후방가압판부(20)는 탄성을 가지는 금속판 또는 플라스틱합성수지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방장식판부(10)와 상기 측후방가압판부(20)의 적어도 외면은 천 또는 가죽으로 형성된 마감재(40)로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장신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장식판부(10)의 전면에 부착된 자석(51)에 자력에 의해 탈착식으로 부착되는 장식물(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장신구.
KR1020120106316A 2012-09-25 2012-09-25 넥타이 장신구 KR201400397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316A KR20140039731A (ko) 2012-09-25 2012-09-25 넥타이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316A KR20140039731A (ko) 2012-09-25 2012-09-25 넥타이 장신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731A true KR20140039731A (ko) 2014-04-02

Family

ID=50650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316A KR20140039731A (ko) 2012-09-25 2012-09-25 넥타이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973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906B1 (ko) * 2016-11-28 2017-01-18 김성안 넥타이 착용 장치
WO2017129845A1 (es) * 2016-01-29 2017-08-03 Juan José Cañizares Verdete Dispositivo para decoración de objetos personales
WO2017222144A1 (ko) * 2016-06-22 2017-12-28 김성안 넥타이 착용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9845A1 (es) * 2016-01-29 2017-08-03 Juan José Cañizares Verdete Dispositivo para decoración de objetos personales
WO2017222144A1 (ko) * 2016-06-22 2017-12-28 김성안 넥타이 착용 장치
KR101697906B1 (ko) * 2016-11-28 2017-01-18 김성안 넥타이 착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5002A (en) Knot cover for ties and scarfs
WO2011055166A8 (en) Ready-to-wear headscarf
US20110055999A1 (en) Scarf allowing changeful styling possibilities
US9826790B2 (en) Pre-tied multi-knotted necktie
US7585004B1 (en) Necktie knot tying tool
KR20140039731A (ko) 넥타이 장신구
US20130042381A1 (en) Convertible garment, method of making convertible garment, kit for making convertible garment, and bands for use therewith
JP3173225U (ja) ネクタイモジュール
US20150223531A1 (en) Neckwear fastening apparatus
US2495614A (en) Necktie
KR20090012902A (ko) 바스트 탑
KR20130071221A (ko) 한복저고리용 고름
KR101191352B1 (ko) 모피 장식물의 제조방법
JP2006280881A (ja) エチケットクリップ
JP2000234207A (ja) 高機能着衣
KR200481322Y1 (ko) 셔츠 고정 넥타이
JP3159483U (ja) ネックカバーおよび衣装セット
CN210747448U (zh) 一种领口配饰支架
KR101686449B1 (ko) 기능성 한복
KR200260775Y1 (ko) 단추 장식용 장식구
KR102051951B1 (ko) 악세서리 부착형 넥타이
JP3178189U (ja) リフォーム着物
CN205180394U (zh) 一种带有可用配饰的衣服
JP3202064U (ja) チョーカー
US9055776B1 (en) Neck tie knot access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