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322Y1 - 셔츠 고정 넥타이 - Google Patents

셔츠 고정 넥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322Y1
KR200481322Y1 KR2020150000492U KR20150000492U KR200481322Y1 KR 200481322 Y1 KR200481322 Y1 KR 200481322Y1 KR 2020150000492 U KR2020150000492 U KR 2020150000492U KR 20150000492 U KR20150000492 U KR 20150000492U KR 200481322 Y1 KR200481322 Y1 KR 2004813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shirt
fastening means
necktie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4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655U (ko
Inventor
이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러브리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러브리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러브리월드
Priority to KR20201500004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322Y1/ko
Publication of KR201600026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6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3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3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03Neckties provided with holding devices, e.g. button holes or loops for securing them to a shirt or for holding the two ends of the neckti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셔츠 고정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서, 넥타이(100)의 대검(110) 후면 중심선(120)에서 고정박음선(121) 이하에 트임부(130)를 형성하여 안감(140)이 자연스럽게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트임부(130)의 양측에는 암·수 형태의 제1체결수단(131)과 제2체결수단(132)을 구비하여 트임부(13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상기 제1체결수단(131)은 셔츠의 단추(210)에 결합하여 넥타이(100)를 셔츠(200)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더욱 아름답고 실용적인 넥타이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셔츠 고정 넥타이{NECKTIE WHICH FIXED ON SHIRTS}
본 고안은 셔츠 고정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넥타이의 대검 후면에서 트임부를 형성하고 별도의 체결수단을 구비하여 트임부가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고 아울러 체결수단이 셔츠의 단추에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넥타이의 안감이 자연스럽게 노출되는 미적인 효과와 함께 넥타이가 셔츠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셔츠 고정 넥타이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넥타이는 양복과 함께 입는 셔츠의 칼라 아래로 둘러 매듭을 짓고 여분을 아래로 늘어뜨리는 직물 띠 형태의 장식물이다. 주로 남성복장에 함께 사용되나 오늘날에는 여성의 액세서리용으로도 활용되는 등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넥타이의 기원은 17세기 프랑스에 파병된 크로아티아 병사들이 목에 감은 스카프, 즉 크라바트(Cravat)가 프랑스 상류사회에서 유행되어 현재의 넥타이로 발전하게 되었다는 설이 유력하다. 초기의 크라바트는 부드럽고 얇은 천을 스카프 모양으로 만들어 목에 감고 여분으로 매듭을 지어 칼라를 장식하였다. 크라바트는 당시 남성복의 스타일에 잘 조화를 이루면서 넥클로스(Neckcloth)로 일반화되었고 19세기 초부터 넥타이라는 말로 사용되었다. 넥타이는 너비, 길이, 매듭법, 소재 등이 점차 다양해지면서 단순히 목에 맨 스카프 형태에서 매듭을 더욱 강조하는 나비넥타이가 등장하고 이어서 오늘날 주류를 이루는 띠 형태의 포 인 핸드(Four in hand) 넥타이가 등장하기에 이르렀다.
일반적인 넥타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자락이 뒷자락보다 넓은 형태를 이루는데 셔츠의 앞부분을 장식하는 앞자락의 대검(10)과, 셔츠 칼라의 아래에서 목덜미를 두르는 중검(20)과, 앞자락의 뒷부분에 남는 좁은 자락의 소검(30)으로 구성된다. 넥타이의 뒷면에는 심지 및 안감(40)이 덧대어져 넥타이 형상을 잡아주고 양측면이 중심으로 접혀 넥타이의 길이를 따라 공그리기(Slip-stitch)된 솔기(50)가 형성된다. 따라서 대검(10)과 소검(20)의 양단에는 모서리가 접히면서 안감(40)의 일부가 노출되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통상적인 넥타이의 총 길이는 150cm 내외에서 형성되는데 셔츠 앞 부분을 장식하는 대검의 길이는 매듭 법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개는 허리벨트의 버클 중심까지 늘어뜨려지도록 매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착용자가 허리를 숙이거나 뛰는 등의 동작상태, 혹은 바람이 부는 날씨 등의 경우에 넥타이의 대검과 소검 부분이 제자리를 이탈하여 예기치 않은 불편함이 초래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인지하여 넥타이를 착용자의 몸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액세서리인 넥타이핀이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368683호의 넥타이핀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소정 길이를 갖는 장식대의 어느 일측단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지지편을 형성하고 그 지지편의 끝단에 지지대를 회동 가능하게 핀으로 결합함과 동시에 스프링에 의해 상기 장식대의 뒷면으로 탄력 지지되게 설치한 넥타이핀 본체와, 상기 장식대의 전방으로 설치되고 전면으로는 소정 형상의 모양이 표현된 장식물, 및 상기 장식물을 장식대로부터 교체 설치할 수 있게 그 장식물을 장식대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 탈부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등록실용신안 제 20 - 0368683 - 0000 호 등록실용신안 제 20 - 0082858 - 0000 호 등록실용신안 제 20 - 0442587 - 0000 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셔츠 고정용 넥타이핀은 스프링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본체를 이용해 셔츠의 솔기와 넥타이를 함께 집어주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넥타이핀은 크기가 작은 액세서리 형태이므로 착용자의 움직임이나 주변 상황에 따라 쉽게 탈락하여 분실 및 파손의 우려가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다수의 특허문헌과 같이 넥타이에 고정된 줄과 연결된 넥타이핀이나 셔츠 단추에 고정되는 넥타이핀 등이 개발되고 있으나 종래에 비해 제작비용의 상승을 초래함과 아울러, 특히 넥타이핀은 장식의 목적 역시 강하여 고급 액세서리로 인식되므로 별도 구입에 따른 불편함과 비용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넥타이(100)의 대검(110) 후면 중심선(120)에서 고정박음선(121) 이하에 트임부(130)를 형성하여 안감(140)이 자연스럽게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트임부(130)의 양측에는 암·수 형태의 제1체결수단(131)과 제2체결수단(132)을 구비하여 트임부(13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상기 제1체결수단(131)은 셔츠의 단추(210)에 결합하여 넥타이(100)를 셔츠(200)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기존의 넥타이와는 차별하여 넥타이의 대검 후면에서 트임부를 형성하고 체결수단을 구비하여 트임부가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넥타이의 겉감에 못지않은 색다른 심미감을 표현할 수 있는 안감이 자연스럽게 노출되어 미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아울러, 넥타이의 체결수단을 셔츠 단추에 선택적으로 체결함에 따라 넥타이를 셔츠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넥타이핀에 비해 탈락 및 분실, 파손의 우려를 배제하고 별도의 구입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착용자에게 더욱 아름답고 실용적인 넥타이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삭제
도 1은 본 고안의 셔츠 고정 넥타이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셔츠 고정 넥타이(a)와 종래의 일반 넥타이(b)의 비교도.
도 3은 본 고안의 셔츠 고정 넥타이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예시도.
도 4는 종래의 일반 넥타이의 형태를 나타낸 구성도.
이하, 본 고안의 셔츠 고정 넥타이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셔츠 고정 넥타이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셔츠 고정 넥타이(a)와 종래의 일반 넥타이(b)의 비교도, 도 3은 본 고안의 셔츠 고정 넥타이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예시도, 도 4는 종래의 일반 넥타이의 형태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되는 셔츠 고정 넥타이는 넥타이(100)의 대검(110) 후면 중심선(120)에서 고정박음선(121) 이하에 트임부(130)를 형성하고, 상기 트임부(130)의 양측에는 암·수 형태의 제1체결수단(131)과 제2체결수단(132)을 구비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트임부(130)는 종래의 일반적인 넥타이와는 차별되는 구성으로서 대검(110) 후면에서 공그리기로 박음 처리된 중심선(120) 상에서 일정 길이를 박음 처리하지 않고 트이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넥타이(100)는 착용시 대검(110) 및 소검이 아래로 길게 늘어지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겉면뿐만 아니라 후면 역시 상대방에게 쉽게 노출될 수도 있으므로 안감(140) 역시 원단의 소재를 종래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합성수지를 대체하여 겉면과 동일한 수준으로 구비하여 후면의 노출시 더욱 아름다운 형상을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셔츠 고정 넥타이(a)는 상기 고정박음선(121)을 종래 넥타이(b)보다 일정 높이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중심선(120)이 말단에서부터 고정박음선(121)까지 트이도록 처리된 트임부(130)를 형성한다.
상기 트임부(130)에는 착용자의 의지에 따라서 개폐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체결수단(131) 및 제2체결수단(132)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체결수단(131)과 제2체결수단(132)은 암·수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호 체결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단추, 스냅, 벨크로 등을 이용하여 트임부(130)의 좌우 양측에 부착하여 착용자가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트임부(130)의 일측에 고리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단추(210)를 부착하여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나 상술하였듯 다양한 체결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제1체결수단(131)은 착용자가 입은 셔츠(200)에 결합하여 넥타이(100)를 셔츠(200)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이 셔츠(200)의 단추(210)는 일반적으로 단추구멍에 끼우는 형태의 플라스틱 단추가 주로 이용되므로 상기 제1체결수단(131)은 트임부(13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리 형태로 구비하여 셔츠 단추(210)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체결수단(132)은 셔츠 단추(210)와 마찬가지로 고리에 끼워지는 단추로 구비하여 제1체결수단(131)이 제2체결수단(132) 또는 셔츠 단추(210)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셔츠(200)의 종류나 넥타이(100)의 매듭 방법 등에 따라 제1체결수단(131)과 셔츠 단추(210)가 마주하게 되는 높이는 상이할 수 있으므로 제1체결수단(131)을 신축 가능한 형태로 구성하면 넥타이(100)를 셔츠(200)에 고정하는 과정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셔츠 고정 넥타이를 사용하여 착용자는 셔츠(200)의 칼라 아래에 둘러 매듭하여 착용하고, 경우에 따라 상기 대검(110) 후면의 제1체결수단(131) 및 제2체결수단(132)을 체결하여 트임부(130)가 개방되지 않도록 착용하거나 체결하지 않고 트임부(130)가 개방되도록 하여 대검(110) 후면의 안감(140)이 자연스럽게 노출되도록 표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체결수단(131)을 셔츠(200)의 단추(210)에 체결하여 넥타이(100)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셔츠(200)에 고정해줄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셔츠 고정 넥타이는 트임부(130)의 개방을 통해 넥타이(100)의 후면이 더욱 아름답게 노출되는 미적인 효과와 함께 별도의 고정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넥타이(100)가 셔츠(2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넥타이(100)가 제자리를 이탈함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100: 넥타이
110: 대검
120: 중심선
121: 고정박음선
130: 트임부
131: 제1체결수단
132: 제2체결수단
140: 안감
150: 소검
200: 셔츠
210: 셔츠 단추

Claims (2)

  1. 넥타이(100)의 대검(110) 후면 중심선(120)에 형성되는 고정박음선(121)을 기점으로 하측으로 일정 길이의 트임부(130)를 형성하여 넥타이(100)의 안감(140)이 자연스럽게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트임부(130)의 일측에는 암체결구 형태의 제1체결수단(131)을 구비하고, 타측에는 수체결구 형태의 제2체결수단(132)을 구비하여 상호 체결 또는 해제함에 따라 트임부(13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상기 제1체결수단(131)은, 제2체결수단(132) 또는 셔츠 단추(210)에 선택적으로 체결함에 따라 트임부(130)를 개폐하거나 넥타이(100)의 대검(110)을 셔츠(200)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츠 고정 넥타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수단(131)은 트임부(13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타원형의 고리 형태로 구비하고, 제2체결수단(132)은 상기 고리 형태의 제1체결수단(131)에 끼워지는 단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츠 고정 넥타이.
KR2020150000492U 2015-01-21 2015-01-21 셔츠 고정 넥타이 KR2004813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492U KR200481322Y1 (ko) 2015-01-21 2015-01-21 셔츠 고정 넥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492U KR200481322Y1 (ko) 2015-01-21 2015-01-21 셔츠 고정 넥타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655U KR20160002655U (ko) 2016-07-29
KR200481322Y1 true KR200481322Y1 (ko) 2016-09-12

Family

ID=56613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492U KR200481322Y1 (ko) 2015-01-21 2015-01-21 셔츠 고정 넥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322Y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42904A (ja) * 1989-03-10 1990-09-27 Kokusai Chiteki Shiyoshiyuuken Kenkyusho:Kk ネクタイ
JPH0369687U (ko) * 1989-11-14 1991-07-11
KR930004188Y1 (ko) * 1991-02-23 1993-07-07 주식회사 경원세기 공기조화장치의 배관접속구
KR200368683Y1 (ko) 2004-07-22 2004-12-03 박하균 넥타이핀
KR200442587Y1 (ko) 2007-06-26 2008-11-24 채수하 넥타이 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655U (ko) 2016-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6790B2 (en) Pre-tied multi-knotted necktie
US7585004B1 (en) Necktie knot tying tool
US20080301850A1 (en) Pressed leather tie and method
US5983461A (en) Structure of supporter for tie knot of knotting-free necktie
US20150223531A1 (en) Neckwear fastening apparatus
US20140352029A1 (en) Simulated Necktie Knot Device
US2495614A (en) Necktie
KR200481322Y1 (ko) 셔츠 고정 넥타이
US3335427A (en) Removable necktie
US2654095A (en) Cravat
KR20140039731A (ko) 넥타이 장신구
JP2000234207A (ja) 高機能着衣
JP3219245U (ja) ネクタイ固定クリップ
JP3168790U (ja) 着物風エプロン
CN210747448U (zh) 一种领口配饰支架
KR200384181Y1 (ko) 넥타이
CN216493860U (zh) 一种拉链、服装
JP3960529B2 (ja) 女性用簡易和服
JP2018131725A (ja) 上衣の身八つ口の下方において前身頃と後身頃とが離れた二部式着物及び着付け方法
JP3143201U (ja) 和服用帯
KR101686449B1 (ko) 기능성 한복
JP2010106417A (ja) バチ衿型形状の衿芯
KR102051951B1 (ko) 악세서리 부착형 넥타이
JP3126493U (ja) 半衿を着脱自在としたセパレート着物
US10729193B2 (en) Necktie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