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683Y1 - 넥타이핀 - Google Patents

넥타이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683Y1
KR200368683Y1 KR20-2004-0020948U KR20040020948U KR200368683Y1 KR 200368683 Y1 KR200368683 Y1 KR 200368683Y1 KR 20040020948 U KR20040020948 U KR 20040020948U KR 200368683 Y1 KR200368683 Y1 KR 2003686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nament
decoration
tie
tie pin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09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하균
Original Assignee
박하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하균 filed Critical 박하균
Priority to KR20-2004-00209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6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6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6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6/00Retainers or tethers for neckties, cravats, neckerchiefs, or the like, e.g. tie-clips, spring clips with attached tie-tethers, woggles, pins with associated sheathing members tetherable to clothing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넥타이핀의 전면에 장식물을 교체할 수 있게 구성함에 의해 하나의 넥타이핀으로 여러 개의 넥타이핀의 사용 효과를 얻을 수 있음에 의해 실증 나지 않게 함은 물론 가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넥타이핀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넥타이를 와이셔츠에 고정할 수 있게 한 넥타이핀에 있어서, 소정 길이를 갖는 장식대의 어느 일측단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지지편을 형성하고 그 지지편의 끝단에 지지대를 회동 가능하게 핀으로 결합함과 동시에 스프링에 의해 상기 장식대의 뒷면으로 탄력 지지되게 설치한 넥타이핀 본체; 상기 장식대의 전방으로 설치되고 전면으로는 소정 형상의 모양이 표현된 장식물; 및 상기 장식물을 장식대로부터 교체 설치할 수 있게 그 장식물을 장식대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 탈부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넥타이핀{a necktie pin}
본 고안은 넥타이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넥타이핀의 전방으로 여러 장식물을 교체하여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하나의 넥타이핀으로 여러 디자인을 갖게 하여 실증을 느끼지 않도록 함은 물론 가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넥타이핀은 넥타이를 와이셔츠에 고정시키기 위한 금속제 장신구로써, 이러한 넥타이핀을 사용하게 되면 양복상의를 벗고 고개를 숙이면 넥타이가 아래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고, 또 손을 씻거나 세수할 때 넥타이가 물에 젖는 것을 방지하며, 넥타이에 음식물이 묻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바람이 불 경우에 넥타이가 얼굴 쪽으로 날리지 않게 하는 편리한 점이 있다.
이와 같은 넥타이핀은 통상 장식물을 갖는 장식대의 어느 일측단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지지편을 형성하고 그 지지편의 끝단에 지지대를 회동 가능하게 핀으로 결합함과 동시에 스프링에 의해 상기 장식대의 뒷면으로 탄력 지지되게 설치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넥타이핀은 상기 장식대에 구비된 장식물의 형상 모양에 따라 넥타이핀의 디자인이 결정되는 것으로, 종래의 넥타이핀은 상기 장식물이 장식대에 일체로 구성됨에 의해 하나의 넥타이핀만을 계속 착용할 경우 금방 실증을 느끼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여러 개의 넥타이핀을 준비하기에는 소비자들이 구입에 따른 가격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넥타이핀의 전면에 장식물을 교체할 수 있게 구성함에 의해 하나의 넥타이핀으로 여러 개의 넥타이핀의 사용 효과를 얻을 수 있음에 의해 실증 나지 않게 함은 물론 가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넥타이핀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핀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핀의 요부 구성에 대한 제1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핀의 요부 구성에 대한 제2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표시에 대한 제2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핀에 탈부착되는 장식물의 변형 예를 나타낸 넥타이핀의 분리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넥타이핀 110 - 넥타이핀 본체
112 - 장식대 114 - 지지대
120 - 장식물 130 - 탈부착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넥타이를 와이셔츠에 고정할 수 있게 한 넥타이핀에 있어서, 소정 길이를 갖는 장식대의 어느 일측단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지지편을 형성하고 그 지지편의 끝단에 지지대를 회동 가능하게 핀으로 결합함과 동시에 스프링에 의해 상기 장식대의 뒷면으로 탄력 지지되게 설치한 넥타이핀 본체; 상기 장식대의 전방으로 설치되고 전면으로는 소정 형상의 모양이 표현된 장식물; 및 상기 장식물을 장식대로부터 교체 설치할 수 있게 그 장식물을 장식대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 탈부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부착수단은 장식대와 장식물의 대면 부위에 서로 끼움될 수 있는 돌부와 홈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돌부와 홈부 중 어느 하나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의 내부에는 자석을 내장하여 탈부착 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부착수단은 장식물의 이면으로 돌출 형성한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이 삽입되게 상기 장식대에 관통 형성한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을 통해 결합된 나사축에 결합되어 상기 장식물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식대와 장식물의 대면 부위에 서로 결합될 수 있게 셋팅돌기와 셋팅홈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핀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I-I선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핀(100)은 넥타이를 와이셔츠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넥타이핀 본체(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넥타이핀 본체(110)는 소정 길이를 갖으며 장식대(112)와 상기 장식대(112)의 어느 일측단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지지편(116) 및 상기 지지편(116)의 끝단에 핀(118)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핀으로 결합되고 스프링(119)에 의해 상기 장식대(112)의 뒷면으로 탄력 지지되게 설치한 지지대(114)로 이루어진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핀(100)은 장식물(12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장식물(120)은 상기 장식대(112)의 전방으로 설치되어 넥타이핀의 디자인을 미려하기 하기 위한 것으로, 그 전면으로는 소정 형상의 모양이 표현된다. 즉, 상기 장식물(120)의 전면에 귀금속과 같은 보석류를 이용하여 형상 모양을 표현할 수 있고, 또 여타 다른 소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다자인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장식물(120)에 의해 넥타이핀의 디자인이 결정될 수 있으며, 그 장식물(120)의 교체에 따라 서로 다른 디자인을 갖는 넥타이핀을 구성할 수 있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핀(100)은 상기 장식물(120)을 장식대(112)에 교체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탈부착수단(130)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탈부착수단(130)에 의해 상기 장식물(120)을 장식대(112)에 결합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핀의 요부 구성인 탈부착수단에 대한 제1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탈부착수단(130)은 장식대(112)와 장식물(120)의 대면 부위에 서로 끼움될 수 있는 돌부(132a)와 홈부(132b)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돌부(132a)와 홈부(132b) 중 어느 하나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의 내부에는 자석(134)을 내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3에 나타낸 탈부착수단(130)은 상기 돌부(132a)가 장식물(120)의 이면에 형성되고, 상기 홈부(132b)가 장식대(112)의 전면에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고, 상기 자석(134)은 상기 장식대(112)에 내장된 것을 표현한 것으로, 상기 돌부(132a)와 상기 홈부(132b)의 위치를 바꾸어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돌부(132a)의 외경과 상기 홈부(132b)의 내경에는 서로 대응하는 곡선부(132c)를 더 형성하여 상기 돌부(132a)와 홈부(132b)가 끼움 결합된 후 쉽게 빠지지 않게 함이 좋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수단(130)은 상기 돌부(132a)와 홈부(132b)가 서로 끼움되어 결합되고 그 결합된 상태에서 자석(134)에 의해 고정됨에 의해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부(132a)와 홈부(132b)의 끼움 결합에 의해 상기 장식물(120)이 장식대(112)에 설치된 상태에서 그 장식물(120)이 회전되지 않게 하기 위해 상기 장식대(112)와 장식물(120)의 대면 부위에는 서로 결합될 수 있는 셋팅돌기(142)와 셋팅홈(144)를 더 형성함이 좋다.
이러한 셋팅돌기(142)와 셋팅홈(144)은 상기 장식물(120)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함이 좋으며, 그 개수는 다수개를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셋팅돌기(142)와 셋팅홈(144)에 의해 상기 장식물(120)이 장식대(112)에 설치된 상태에서 회동되지 않게 함에 의해 상기 장식물(120)의 전면으로 표현된 형상 모양을 상하기준이 있을 경우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설치한 후 장식물이 회전되지 않게 함에 의해 항상 정확한 장식물의 설치를 꾀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핀의 요부 구성인 탈부착수단에 대한 제2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표시에 대한 제2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탈부착수단(130)에 대한 제2실시예는, 상기 장식물(120)의 이면으로 나사축(136a)을 돌출 형성하고, 그 나사축(136a)이 삽입되게 상기 장식대(112)에 삽입공(136b)을 관통 형성하며, 상기 삽입공(136b)을 통해 결합된 나사축(136a)에 결합되어 장식물(120)을 고정하는 고정구(138)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나사축(136a)과 고정구(138)에는 서로 대응하는 나사부를 형성하여 고정 할 수 있게 함이 좋다.
이러한 구조의 탈부착수단(130)에 대한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식물(120)의 이면으로 돌출 형성된 나사축(136a)을 상기 장식대(112)에 관통 형성된 삽입공(136b)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138)로 나사축(136a)에 체결하는 것에 의해 간단하게 장식물(120)을 장식대(112)의 전방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실시예 역시 위에서 설명한 셋팅돌기(142)와 셋팅홈(144)을 더 형성함이 좋고, 그 효과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핀에 탈부착되는 장식물의 변형 예를 나타낸 넥타이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핀(100)의 변형 예에서는 상기 장식물(120)의 형상 모양에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도 6에서는 상기 장식물(120)의 크기를 상기 장식대(112)의 크기에 맞게 형성한 것을 표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장식물(120)을 장식대(112)에 결합하기 위한 탈부착수단(130)은 2개 이상을 설치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장식물(120)의 크기가 길게 형성됨에 의해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 장식물(120)에 대한 크기 및 형상 모양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상기 장식물(120)의 교체 설치에 따라 서로 다른 느낌을 갖는 넥타이핀(100)을 구성할 수 있다고 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넥타이핀의 전면으로 장식물을 교체 설치할 수 있게 구성함에 의해 하나의 넥타이핀으로 서로 다른 느낌의 디자인을 갖는 넥타이핀을 구성할 수 있거 사용상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하나의 넥타이핀으로 여러 개의 넥타이핀 효과를 얻음에 의해 가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넥타이를 와이셔츠에 고정할 수 있게 한 넥타이핀에 있어서,
    소정 길이를 갖는 장식대의 어느 일측단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지지편을 형성하고 그 지지편의 끝단에 지지대를 회동 가능하게 핀으로 결합함과 동시에 스프링에 의해 상기 장식대의 뒷면으로 탄력 지지되게 설치한 넥타이핀 본체;
    상기 장식대의 전방으로 설치되고 전면으로는 소정 형상의 모양이 표현된 장식물; 및
    상기 장식물을 장식대로부터 교체 설치할 수 있게 그 장식물을 장식대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 탈부착수단을 포함하는 넥타이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수단은 장식대와 장식물의 대면 부위에 서로 끼움될 수 있는 돌부와 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부와 홈부 중 어느 하나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다른 하나의 내부에는 자석을 내장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수단은 장식물의 이면으로 돌출 형성한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이 삽입되게 상기 장식대에 관통 형성한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을 통해 결합된 나사축에 체결되어 상기 장식물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핀.
  4.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대와 장식물의 대면 부위에 서로 결합될 수 있게 셋팅돌기와 셋팅홈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핀.
KR20-2004-0020948U 2004-07-22 2004-07-22 넥타이핀 KR2003686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948U KR200368683Y1 (ko) 2004-07-22 2004-07-22 넥타이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948U KR200368683Y1 (ko) 2004-07-22 2004-07-22 넥타이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683Y1 true KR200368683Y1 (ko) 2004-12-03

Family

ID=49441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0948U KR200368683Y1 (ko) 2004-07-22 2004-07-22 넥타이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68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655U (ko) 2015-01-21 2016-07-29 주식회사러브리월드 셔츠 고정 넥타이
KR20190110716A (ko) * 2018-03-21 2019-10-01 현재민 탈부착이 가능한 넥타이핀 전용장식이 구비된 넥타이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655U (ko) 2015-01-21 2016-07-29 주식회사러브리월드 셔츠 고정 넥타이
KR20190110716A (ko) * 2018-03-21 2019-10-01 현재민 탈부착이 가능한 넥타이핀 전용장식이 구비된 넥타이핀
KR102035416B1 (ko) 2018-03-21 2019-10-22 현재민 탈부착이 가능한 넥타이핀 전용장식이 구비된 넥타이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2961A (ko) 장식체 조합형 안경어셈블리
US20050120461A1 (en) Necktie knot simulator
KR200368683Y1 (ko) 넥타이핀
CN108366651B (zh) 包括本体和可逆固定于该本体的装饰件的装饰物
GB2343113A (en) Hair ornament
US7331197B2 (en) Decorative earring sleeve
JP2006333891A (ja) アクセサリ
US7069745B1 (en) Ear adornment
WO2007061261A1 (en) Button cover
CN219613234U (zh) 一种组合式胸针
KR200398397Y1 (ko) 브로치
KR200385575Y1 (ko) 장신구의 보석결합구조
JP3207346U (ja) 衣服装飾装置
CN218650625U (zh) 一种便于更换装饰物的饰品
KR200315007Y1 (ko) 안경다리
KR102187413B1 (ko) 장식구 고정구
JP3147797U (ja) 装身具の装飾体
KR0134998B1 (ko) 장식체가 교체 가능한 장신구
CN210112651U (zh) 一种两用吊坠结构
KR200354328Y1 (ko) 벽시계 프레임의 장식 구조
KR200363083Y1 (ko) 목걸이용 장식구
KR20090002084U (ko) 안경용 장식물의 장착구조
KR100702215B1 (ko) 넥타이 매듭부의 삽입식 장신구
KR200193581Y1 (ko) 장식미를 갖는 목걸이 구조
KR200276911Y1 (ko) 장식용 반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