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222144A1 - 넥타이 착용 장치 - Google Patents

넥타이 착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222144A1
WO2017222144A1 PCT/KR2017/001996 KR2017001996W WO2017222144A1 WO 2017222144 A1 WO2017222144 A1 WO 2017222144A1 KR 2017001996 W KR2017001996 W KR 2017001996W WO 2017222144 A1 WO2017222144 A1 WO 201722214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ie
cover
main body
ho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199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성안
Original Assignee
김성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7774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681872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15970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697906B1/ko
Application filed by 김성안 filed Critical 김성안
Priority to US16/304,29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90082755A1/en
Priority to CN201790000888.6U priority patent/CN209609937U/zh
Priority to JP2018600162U priority patent/JP3221852U/ja
Priority to DE212017000165.8U priority patent/DE212017000165U1/de
Publication of WO201722214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22214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2Neckties with ready-made knot or bow, with or without bands
    • A41D25/022Neckties with ready-made knot or bow, with or without bands with knot simulated by a ring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2Neckties with ready-made knot or bow, with or without bands
    • A41D25/027Means for holding the neckti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2Neckties with ready-made knot or bow, with or without bands
    • A41D25/04Bands; Fastening devices for the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8Trimmings; Orname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e wearing device. More specifically, it is not necessary to tie in a knot like a general tie, so that the user can wear the tie conveniently and quickly. Also, the body part that functions as the tie knot decoration can have a heterogeneity by the tie and different materials and patterns. By doing so, it relates to a device for wearing a tie that can produce a unique new sense of aesthetics.
  • Tie is a garment accessory that is mainly worn when wearing a suit.When wearing it on the neck, the collar of the shirt is first lifted slightly while the neck is looped and a knot is formed in the middle to show the wide part in front. Wear it so that the narrow part is hidden behind.
  • Such a tie is being worn not only for office workers but also for school uniforms for school uniforms to create an atmosphere when wearing a suit.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tie in a knot-like manner like a general tie, but simply by hanging the tie on the hanging rod and fold the rotating body to wear the neck It is to provide a tie wearing device that can complete wearing the tie can be worn very quickly and quickly.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ie wearing device that can produce a unique and new aesthetic according to the heterogeneity by allowing the cover body having a tie and tie knot decoration function to have a heterogeneous feeling by different materials and pattern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the inner configuration so that the tie looks rich at the interface portion where the tie i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inner space of the wearing device, so that the outer shape and aesthetics of the tie are enriched like the tie-type ti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ie wearing device that can further enhance the decorative effec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asily and quickly adjust the length of the neck portion of the fixing straps and to easily and conveniently adjust the length of the tie according to the user's height, the convenience of use is further improved and various It is to provide a tie wearing device that can be applied to the user smoothly.
  •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convexly curved shape toward the front so as to form a concave tie receiving space in the rear, the tie receiving space is the main body is mounted to the hanging rod so that the tie is supported and suspended;
  • a pivoting body coupled to the main body so as to be pivotally rotatable and formed to pressurize and fix the tie disposed in the tie accommodating space while pivotally pivoted to the main body;
  • a cover body coupled to the main body to surround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front surface of which a decorative color or pattern is formed;
  • a fixing band coupled to the main body to fix the main body to the neck of the user.
  • the main body and the rotating body may be formed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in a state where the cover body is coupled to the main body.
  •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rear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may be formed to form an inclined surface in the form that the thickness decreases toward the lower end.
  • fixing band insertion holes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fixing strap can be penetrated through the tie receiving space from the outside while the cover body is coupled.
  • a fixing band guide hole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guide an arrangement state of the fixing band inserted through the fixing band insertion hole from the outside.
  • the front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is formed with a pressing protrusion so as to press and fix the tie
  • the pressing protrusion is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in a state where the rotating body is pivotally folded to the main body It is formed in a convexly curved shape toward the front to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tie may be pressure-fixed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pressing projection and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 the tie wear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length fixing means that can be fixed by adjusting the operating length of the fixing strap.
  • a discharg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pivot body so that both ends of the fixing band inserted into the tie receiving space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length fixing means includes a fixing band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through hole.
  • the through hole may be configured to be pressurized and fixed by moving in a shifting direction.
  • the first plate comprising a top cover and a front cover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top cover and gradually narrowing in width and having a tie-knot shape convex i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 Body A lower cover hinged to the upper cover of the first plate body and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to cover the front cover, and a lower cover protruding in the second direction from the rear cover, wherein the lower cover A second plate body defining an interior space for receiving a tie passing through a tie hole between the front cover and the front cover;
  •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rear cover, protruding toward the front cover, providing elastic forc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thir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and contacting the tie; ;
  • First and second locking jaw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tie wearing device the first and second neck hole which is disposed through the front cov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third direction adjacent to the upper cover;
  • And disposed on the lower cover may further comprise a necklin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length adjusting unit.
  • the neck adjusting portion the elastic member for fixing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by the elastic force; And a button to release the length adjustment part by applying a force to the elastic member.
  • first and second plate bodies may comprise metal.
  • tie hole may exten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 the cover body to function as a tie and tie knot decoration to have a heterogeneous feeling by different materials and pattern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duce a unique and new aesthetic according to the heterogeneity.
  • 1 to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tie wea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evice for wearing a ti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ie wea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ength fixing means of the tie wea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ie is worn using a tie wea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ie wear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econd plate body when the tie wearing device of FIG. 8 is opened;
  •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10;
  • FIG. 13 is a side view seen from the direction A of FIG. 10;
  • FIG. 14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length adjusting unit for the tie wearing device of FIG. 8.
  • FIG. 1 to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tie wea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tie wea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ie wea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structure for the length fixing means of the tie wea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ie is worn using a tie wea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ie wearing device as a device that can be easily worn without tying the tie in a knot method, the main body 200, the rotation body 300, the cover body 100, and fix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elt (400).
  • the main body 200 is formed in a convexly curved shape toward the front to form a concave tie receiving space 201 in the rear, so that the tie 10 is supported and suspended in the tie receiving space (201).
  • Hanging rod 210 is mounted.
  • the locking rod 210 is mounted to traverse the tie accommodation space 20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disposed to be deflected on the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 Rotating body 300 is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main body 200. That is, the hinge shaft coupling part 25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200, and the hinge shaft 30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rotation body 300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shaft coupling part 250. And pivotally coupled to the main body 200 via the hinge shaft 301.
  • a coupling protrusion 31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rotating body 300 so that the rotating body 300 can be fixed in a pivoting state, an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200, the coupling protrusion ( A coupling hole 220 into which the 310 may be inserted and engaged is formed, and the rotation body 300 is fixed in a folded state by the mutual engagement structure of the coupling protrusion 310 and the coupling hole 220.
  • the rotation body 300 is formed to press-fix the tie 10 disposed in the tie accommodation space 201 in a state where the pivot body 300 is pivotally folded to the main body 200. More specifically, the pressing body 32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300 to press-fix the tie 10 in a state where the rotating body 300 is pivotally folded to the main body 200. , The pressing protrusion 320 is positioned such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pressing protrusion 320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2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P) while the rotating body 300 is pivotally pivoted on the main body 200. So as to be convexly curved forward.
  • the tie 10 disposed in the tie accommodating space 201 is disposed between the front face of the pressing protrusion 320 and the rear face of the main body 200 as the pivot body 300 pivots on the main body 200. At close intervals P, the pressing protrusion 320 is pressed closely and fixed.
  • the cover body 10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00 to surround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200, the front surface of the cover body 100 may be formed a separate writing color or pattern (N2). .
  • the main body 200 and the rotating body 300 is formed so that the cover body 100 is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200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 the cover body 100 is formed with a separate color or pattern (N2) to have a decorative function, the cover body 100 is formed so that both the main body 200 and the rotating body 300 is wrapped to the outside Only the cover body 100 is exposed to the naked eye.
  • the cover body 10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tie knot so that the cover body 100 may be visible from the outside like a tie knot while the tie 10 is worn.
  • the decorative pattern N2 of the cover body 100 and the decorative pattern N1 of the tie 10 may be formed differently (see FIG. 7), and in this case, the knot portion of the tie 10 (ie, Cover body portion) can produce a different aesthetic than the tie 10, it can exhibit a more personal and stylish aesthetic.
  • the cover body 100 may be fixedly coupled in the form of being bond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200, the main body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create another aesthetic by replacing the cover body 100 separately It may be coupled detachably to (200).
  • the fixing belt 40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00 to fix the main body 200 to the user's neck.
  • the fixing belt 400 may be formed in a band shape of a simple fabric material or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such as an elastic material.
  • the rotating body 300 is rotated to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200 to the rear side to tie Opening the receiving space 201, and in this state, the tie 10 is supported and suspended by the catching rod 210 over the middle section of the tie 10 to the catching rod 210 of the main body 200. .
  • the tie 10 is maintained in a suspended s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its own weight, as shown by the dotted line in FIG.
  • the rear surface of the tie receiving space 201 of the main body 200 forms a convexly curved shape forward, and correspondingly, the front surface of the pressing protrusion 320 of the pivoting body 300 is also convex forward. Since the curved shape is formed, the tie 10 is pressed tightly in the spaced interval P therebetween to form a curved shape convex forward. That is, the tie 10 is a portion that is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200 to form a convexly curved convex forward shape similar to the shape when the tie is tied in a knot method, wearing a more rich and stylish tie It can be effective.
  • the tie 10 is in the process of being pressed closely by the pressing protrusion 320 of the rotation body 300. Since the width direction center part of 10 moves to the front side, the effect which looks abundant with respect to the exposed part of the tie 10 can be further doubled.
  •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rear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0 is formed to form an inclined surface 202 in a form of decreasing thickness toward the bottom, through which the tie 10 is externally exposed from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200. At the exposed interface portion may further protrude forward of the tie 10, thereby doubling the effect of abundance on the exposed portion of the tie 10 once more.
  • the tie 10 can be fixed only by rotating the folding body 300 in a state where the tie 10 is fastened to the catching rod 210.
  • the fixing band 400 is wound around the neck. Wearing the tie may be completed by fixing the body 200.
  • the cover body 100 and the tie 10 having a tie knot decoration function may have a heterogeneity, resulting in heterogeneity. Can produce a new and unique aesthetic.
  • the fixing strap 40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00 to fix the main body 200 to the neck by winding the fixing belt 400 around the neck, both ends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200 from the outside It may be mounted in a form that is inserted through the space.
  • the fixing band 400 is inserted into the tie accommodation space 201 from the outside in the state where the cover body 100 is coupled to the upper both side ends of the main body 200.
  • Fixing band insertion hole 230 is formed.
  • the fixing band insertion hole 230 is formed in the main body 200 so as not to be exposed in front of the cover body 100.
  • the fixing belt 400 penetrated and inserted into the tie receiving space 201 of the main body 200 from the outside may not normally operate due to twisting inside the tie receiving space 201 or interference with other members.
  • the fixing strap 400 should be disposed to be movable through the fixing strap insertion hole 230 so as to adjust the length to be wound around the neck. If this occurs, such a problem may occur.
  • the fixing band guide hole 24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200 to guide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fixing band 400 inserted through the fixing band insertion hole 230 from the outside.
  • the fixing band guide hole 240 may be formed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fixing band inserting hole 230, and the fixing band 400 is disposed in such a manner as to pass through the fixing band guide hole 240.
  •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fixing belt 400 is fixedly guided through the fixing belt guide hole 240.
  • the tie wearing device 20 further includes a length fixing means 500 that can be fixed by adjusting the operating length of the fixing belt 400.
  • the fixing belt 400 is to fix the main body 200 to the neck by winding the neck, not only the thickness of the neck according to the user, but also loosen and tighten the fixing belt 400 during the tie wearing process. In order to use it as necessary to adjust the fixed length of the fixing belt 400 is fixed.
  • both ends of the fixing belt 400 inserted into the tie receiving space 201 are inserted into the rotation body 300 so that the discharge through hole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330 is formed.
  • the length fixing means 500 is a moving block 510 and a moving block 510 in which a locking through hole 511 is formed so that the fixing band 400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discharge through hole 330 is inserted therethrough.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lastic member 520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moving block 510 to elastically mov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through-hole 330.
  • the insertion guide groove 340 is formed in the rotational body 300 so that the moving block 510 is inserted and elastically moved, and each of the discharge guide grooves 340 is discharged on both sides.
  • the through hole 330 is formed.
  • An elastic member 520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guide groove 340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move the moving block 510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insertion guide groove 340.
  • the moving block 510 is provided with a locking through hole 511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scharge through hole 330.
  • the fixing band 400 passes through the one side discharge through hole 330 of the insertion guide groove 340 through the locking through hole 511 of the moving block 510, as shown in Figure 6, again The other side of the insertion guide groove 340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hole 33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fixing force for fixing the fixing belt 400 is genera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520 to elastically move the moving block 510.
  • the moving block 510 is pressed in a direction that resists the elastic force, based on the direction shown in FIG.
  • the pressing state to the fixing belt 400 can be released, and in this state the fixing band ( The length of the neck can be adjusted by freely moving 400).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ie wear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when the second plate body in the tie wearing device of Figure 8,
  •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10
  • FIG. 13 is a side view viewed from the direction A of FIG. 10
  • FIG. 14 is a view of the tie wearing device of FIG. 8. It is an enlarged view which shows a length adjustment part.
  • a tie wearing apparatus may include a first plate body 1000, a second plate body 2000,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3000 and 3100, First and second locking jaws (4000, 4100), and tie support bar (5000).
  • the tie wear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first and second collar holes 6100 and 6120, a collar 6000, and a collar adjuster 6600.
  • the first plate body 1000 may include an upper cover 1100 and a front cover 1200.
  • the front cover 1200 extends from the upper cover 1100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gradually narrows in width, and the tie convex tie in the second direction D2 intersects with the first direction D1. It may have a shape.
  • the first plate body 1000 may include a metal.
  • the first plate body 1000 may include brass.
  • the second plate body 2000 may include a rear cover 2100 and a lower cover 2200, and a tie passing through a tie hole 2060 provided between the lower cover 2200 and the front cover 1200.
  • An internal space 2040 may be provided to accommodate 10.
  • the rear cover 2100 is hinged to the upper cover 1100 of the first plate body 1000 and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D1.
  • the lower cover 2200 may protrude from the rear cover 2100 in the second direction D2, and the lower cover 2200 may not contact the front cover 1200 and the tie hole 2060 may be a lower cover ( 2200 and the front cover 1200 may be defined.
  • the tie hole 2060 may extend along an inn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1200.
  • the second plate body 2000 may include a metal.
  • the second plate body 2000 may comprise brass.
  •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3000 and 3100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2020 of the rear cover 2100.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3000 and 3100 may protrude toward the front cover 1200 to provide an elastic force.
  •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3000 and 31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thir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D1 and D2 and may contact the tie 10. As shown in FIG. 12, the first elastic member 3000 may generate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hird direction D3 to closely contact the tie 10 to the first locking step 4000.
  • the second elastic member 3100 may generate an elastic force in the third direction D3 to close the tie 10 to the second locking jaw 4100.
  •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3000 and 31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intermediate member 3050, and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3000 and 3100 and the intermediate member 3050 may be integrally formed.
  •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may be leaf springs formed integrally.
  • the intermediate member 3050 may be coupled to the back cover 2100 through the support member 2050.
  • the height of the support member 2050 may be adjusted to adjust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3000 and 3100.
  •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jaws 4000 and 4100 may extend along the first direction D1 and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1020 of the front cover 1200.
  •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jaws 4000 and 41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third direction D3.
  •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jaws 4000 and 4100 may contact the tie 10 by the elastic force and the friction force provided by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3000 and 3100 to fix the tie 10. have.
  • the tie support bar 5000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1020 of the front cover 1200 and extends in the third direction D3, and the tie 10 passing through the tie hole 2060 is connected to the tie support bar 5000. It can be wound up and passed through the tie hole 2060 again.
  • the first and second collar holes 6100 and 6200 may pass through the front cover 1200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third direction D3, and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upper cover 1100.
  • the first and second collar holes 6100 and 6200 may extend along the third direction D3, respectively, and the neck string 60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pass through.
  • the neckline 6000 may include a fixing part 6300, a necklace part 6400, and a length adjusting part 6500.
  • the fixing part 6300 may be fixed to the first collar hole 6100 and disposed in the internal space 2040.
  • the fixing part 6300 may have a knot shape and may be disposed in the internal space 2040 to provide a role of fixing the collar 6000 to the first collar hole 6100.
  • the necklace part 6400 may extend from the fixing part 6300 and pass through the first collar hole 6100 to extend on the upper cover 1100 to pass through the second collar hole 6200.
  • the necklace unit 6400 may provide a role of tying the tie wearing device to the neck of a user.
  • the length adjusting part 6500 may pass through the third collar hole 2300 provided in the lower cover 2200 after passing through the internal space 2040.
  • the length adjusting unit 6500 may be adjusted in length by the collar adjusting unit 66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neckline adjusting part 6600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cover 2200 to adjust the length of the length adjusting part 6500. As shown in FIG. 14, the neckline adjusting part 6600 applies a force to the elastic member 6640 and the elastic member 6640 to fix the length adjusting part 6500 by elastic force to release the fixing of the length adjusting part 6500. May include a button 6620.
  • the button 6620 may protrude to the back cover 2100, extend along the lower cover 2200, and apply a force to the elastic member 6640 to release the length adjustment part 6500.
  • the elastic member 6640 extends along the lower cover 2200, and may push the length adjusting part 6500 in the direction of the rear cover 2100 to fix the length adjusting part 6500 to the third collar hole 2300. .
  • the tie 10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3000 and 3100 and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jaws 4000 and 4100 through the tie hole 2060 to contact the tie support bar. After changing the direction by winding (5000), the contac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3000, 3100) and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jaws (4000, 4100) interposed again, and then tie the hole ( 2060).
  • the tie wearing device may include a tie support bar 5000,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3000 and 3100, and first and second locking jaws 4000 and 4100.
  • the tie 10 can be easily worn.
  • the tie 10 since the tie 10 is fixed by the friction force and the elastic for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3000 and 3100 and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jaws 4000 and 4100, the tie 10 may be fix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securely fixed to the tie wearing device.
  • the tie wearing device may include metal to give gold shine.
  • the first and second plate bodies 1000 and 2000 of the tie wearing device may include brass. Through this, the tie wearing device may exhibit a luxurious aesthetic.
  • the tie wearing device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length of the neckline 6000 by one button by using the neckline adjusting unit 6600 to add conveni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넥타이 착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인 넥타이와 같이 매듭 방식으로 묶을 필요가 없어 편리하고 신속하게 넥타이를 착용할 수 있고, 또한, 넥타이 매듭 장식 기능을 하는 바디 부분을 넥타이와 서로 다른 재질 및 문양 등에 의해 이질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질감에 따른 개성있고 새로운 미감을 연출할 수 있는 넥타이 착용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넥타이 착용 장치
본 발명은 넥타이 착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넥타이와 같이 매듭 방식으로 묶을 필요가 없어 편리하고 신속하게 넥타이를 착용할 수 있고, 또한, 넥타이 매듭 장식 기능을 하는 바디 부분을 넥타이와 서로 다른 재질 및 문양 등에 의해 이질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질감에 따른 개성있고 새로운 미감을 연출할 수 있는 넥타이 착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개개인의 생활경제가 향상됨에 따라 식생활이나 주거생활 못지 않게 의상에 대한 관심도 고조되면서 다양한 종류의 의복용품들이 만들어져 사용되고, 이러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의상에 있어서 많은 액세서리가 사용되며, 이 가운데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의상용 액세서리로는 넥타이가 있다.
넥타이는 정장 착용시 주로 착용하는 의상용 액세서리로서, 목에 착용할 경우에는 먼저 와이셔츠의 컬러를 살짝 들어올린 상태에서 목에 루프형으로 걸치고 중간부에 매듭을 형성하여 폭이 넓은 부분이 앞으로 보이고 폭이 좁은 부분이 뒤에 감춰지도록 착용한다.
이와 같은 넥타이는 정장 착용시 분위기 연출을 위해 직장인뿐만 아니라 교복을 착용하는 학생들 교복에도 착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통상의 넥타이는 그 착용방법에 있어 매듭을 묶어야 하고, 매듭을 묶는 방법이 다소 복잡하고 번거로워 시간적 소모도 많고 특히 학생들의 경우에 그 사용상의 불편함이 상당히 크다.
특히, 매듭이 묶이는 위치에 따라 노출부가 길어지거나 목걸이부가 길어지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이와 같은 길이의 불안정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넥타이를 여러 번 다시 묶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넥타이를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넥타이 착용 장치가 개발되고 있는데, 사용상 불편함이 있거나 넥타이가 이탈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인 넥타이와 같이 매듭 방식으로 묶을 필요가 없고 단순히 넥타이를 걸림봉에 걸고 회동 바디를 회동 접철하여 목에 착용하는 방식으로 넥타이를 착용 완료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넥타이를 착용할 수 있는 넥타이 착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넥타이와 넥타이 매듭 장식 기능을 하는 커버 바디가 서로 다른 재질 및 문양 등에 의해 이질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질감에 따른 개성있고 새로운 미감을 연출할 수 있는 넥타이 착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넥타이가 착용 장치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경계면 부위에서 넥타이가 풍성하게 보이도록 내부 구성을 형성함으로써, 매듭 방식의 넥타이와 마찬가지로 넥타이의 외부 형상 및 미감을 풍성한 형태로 연출할 수 있어 장식 효과를 더욱 배가시킬 수 있는 넥타이 착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띠의 목에 감는 부분의 길이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키에 맞추어 넥타이 길이를 용이하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이 더욱 향상되고 다양한 사용자에게 원활하게 적용할 수 있는 넥타이 착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후방에 오목한 형태의 넥타이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넥타이 수용 공간에는 넥타이가 지지되어 현수될 수 있도록 걸림봉이 장착되는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에 회동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메인 바디에 회동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넥타이 수용 공간에 배치된 넥타이를 가압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회동 바디; 상기 메인 바디의 전방면을 감싸도록 상기 메인 바디에 결합되며, 전방면에는 장식용 색상 또는 문양이 형성되는 커버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를 사용자의 목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바디에 결합되는 고정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착용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커버 바디가 상기 메인 바디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바디 및 회동 바디가 전방을 향해 외부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바디의 후방 내측면 하단부는 하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작아지는 형태로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바디의 상단 양측단부에는 상기 커버 바디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띠가 외부로부터 상기 넥타이 수용 공간으로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띠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바디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띠 삽입홀을 통해 외부로부터 관통 삽입된 고정띠의 배치 상태를 가이드하도록 고정띠 가이드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 바디의 전방면에는 상기 넥타이를 가압 고정할 수 있도록 가압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 돌출부는 상기 회동 바디가 상기 메인 바디에 회동 접철된 상태에서 전방면이 상기 메인 바디의 후방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넥타이는 상기 가압 돌출부의 전방면과 상기 메인 바디의 후방면 사이에서 가압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넥타이 착용 장치는, 상기 고정띠의 작동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길이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 바디에는 상기 넥타이 수용 공간으로 삽입된 고정띠의 양끝단부가 관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 고정 수단은, 상기 배출 관통홀을 통과한 고정띠가 삽입 관통하도록 걸림 관통홀이 형성되는 이동 블록; 및 상기 이동 블록이 상기 배출 관통홀의 길이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탄성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 블록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띠는 상기 이동 블록이 탄성 이동함에 따라 상기 배출 관통홀과 걸림 관통홀이 어긋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가압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부 덮개, 및 상기 상부 덮개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점차 폭이 좁아지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볼록한 넥타이 매듭 형상을 갖는 전면 덮개를 포함하는 제1 판 몸체; 상기 제1 판 몸체의 상기 상부 덮개와 힌지 결합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면 덮개를 커버하는 뒷면 덮개, 및 상기 뒷면 덮개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하는 하부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덮개와 상기 전면 덮개 사이의 넥타이 홀을 통과하는 넥타이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2 판 몸체; 상기 뒷면 덮개의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 덮개를 향하여 돌출되며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상기 넥타이와 접촉하는 제1 및 제2 탄성 부재들; 상기 제1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며 상기 전면 덮개의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탄성 부재들이 제공하는 상기 탄성력 및 마찰력에 의해 상기 넥타이와 접촉하여 상기 넥타이를 고정시키며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제1 및 제2 걸림턱들; 및 상기 전면 덮개의 상기 내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넥타이 홀을 통과한 상기 넥타이가 감겨서 상기 넥타이 홀을 다시 통과할 수 있는 넥타이 지지바를 포함하는 넥타이 착용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넥타이 착용 장치는, 상기 전면 덮개를 각각 관통하며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상기 상부 덮개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목줄 홀들; 상기 제1 목줄 홀에 고정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목줄 홀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 덮개 상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 목줄 홀을 통과하는 목걸이부, 및 상기 내부 공간을 지나 상기 하부 덮개에 구비된 제3 목줄 홀을 통과하는 길이 조정부를 포함하는 목줄; 및 상기 하부 덮개에 배치되어, 상기 길이 조정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목줄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줄 조절부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길이 조정부를 고정시키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에 힘을 가하여 상기 길이 조정부의 고정을 풀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판 몸체들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넥타이 홀은 상기 전면 덮개의 상기 내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적인 넥타이와 같이 매듭 방식으로 묶을 필요가 없고 단순히 넥타이를 걸림봉에 걸고 회동 바디를 회동 접철하여 목에 착용하는 방식으로 넥타이를 착용 완료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넥타이를 착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넥타이와 넥타이 매듭 장식 기능을 하는 커버 바디가 서로 다른 재질 및 문양 등에 의해 이질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질감에 따른 개성있고 새로운 미감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넥타이가 착용 장치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경계면 부위에서 넥타이가 풍성하게 보이도록 내부 구성을 형성함으로써, 매듭 방식의 넥타이와 마찬가지로 넥타이의 외부 형상 및 미감을 풍성한 형태로 연출할 수 있어 장식 효과를 더욱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띠의 목에 감는 부분의 길이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이 더욱 향상되고 다양한 사용자에게 원활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착용 장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착용 장치의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착용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착용 장치의 길이 고정 수단에 대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착용 장치를 이용하여 넥타이를 착용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착용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넥타이 착용 장치에서 제2 판 몸체를 열었을 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도 8의 넥타이 착용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I-I'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3은 도 10의 A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14는 도 8의 넥타이 착용 장치에 대한 길이 조정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착용 장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착용 장치의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착용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착용 장치의 길이 고정 수단에 대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착용 장치를 이용하여 넥타이를 착용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착용 장치는 넥타이를 매듭 방식으로 묶지 않고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메인 바디(200)와, 회동 바디(300)와, 커버 바디(100)와, 고정띠(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인 바디(200)는 후방에 오목한 형태의 넥타이 수용 공간(201)이 형성되도록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진 형태로 형성되며, 넥타이 수용 공간(201)에는 넥타이(10)가 지지되어 현수될 수 있도록 걸림봉(210)이 장착된다. 걸림봉(210)은 넥타이 수용 공간(201)을 수평 방향으로 횡단하도록 장착되며, 전후 방향에 대한 중심부를 기준으로 후방측에 편향되게 배치된다.
회동 바디(300)는 일단이 메인 바디(200)의 일단에 회동 접철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메인 바디(200)의 일측단부에는 힌지축 결합부(250)가 형성되고, 회동 바디(300)의 일단에는 힌지축 결합부(25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힌지축(301)이 형성되어 힌지축(301)을 통해 메인 바디(200)에 회동 접철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회동 바디(300)가 회동 접철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회동 바디(300)의 일측에는 결합 돌기(310)가 형성되고, 메인 바디(200)의 일측에는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 돌기(310)가 삽입 맞물림될 수 있는 결합홀(220)이 형성되며, 결합 돌기(310)과 결합홀(220)의 상호 맞물림 구조에 의해 회동 바디(300)가 접철된 상태에서 위치 고정된다.
이러한 회동 바디(300)는 메인 바디(200)에 회동 접철된 상태에서 넥타이 수용 공간(201)에 배치된 넥타이(10)를 가압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회동 바디(300)의 전방면 일측에는 회동 바디(300)가 메인 바디(200)에 회동 접철된 상태에서 넥타이(10)를 가압 고정할 수 있도록 가압 돌출부(320)가 형성되며, 가압 돌출부(320)는 회동 바디(300)가 메인 바디(200)에 회동 접철된 상태에서 가압 돌출부(320)의 전방면이 메인 바디(200)의 후방면과 일정 간격(P)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진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넥타이 수용 공간(201)에 배치된 넥타이(10)는 회동 바디(300)가 메인 바디(200)에 회동 접철됨에 따라 가압 돌출부(320)의 전방면과 메인 바디(200)의 후방면 사이의 간격(P)에서 가압 돌출부(320)에 의해 밀착 가압되며 위치 고정된다.
커버 바디(100)는 메인 바디(200)의 전방면을 감싸도록 메인 바디(200)에 결합되며, 커버 바디(100)의 전방면에는 별도의 작식용 색상 또는 문양(N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 바디(100)가 메인 바디(200)의 전방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메인 바디(200) 및 회동 바디(300)가 전방을 향해 외부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커버 바디(100)는 장식 기능을 갖도록 별도의 색상 또는 문양(N2)이 형성되며, 이러한 커버 바디(100)에 의해 메인 바디(200) 및 회동 바디(300)가 모두 감싸지도록 형성되어 외부에는 커버 바디(100)만 육안 노출된다.
또한, 커버 바디(100)는 넥타이 매듭 형태로 형성되어 넥타이(10)를 착용한 상태에서 넥타이 매듭처럼 외부에서 보이게 할 수 있다. 이때, 커버 바디(100)의 장식 문양(N2)과 넥타이(10)의 장식 문양(N1)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도 7 참조), 이 경우, 넥타이(10)의 매듭 부분(즉, 커버 바디 부분)이 넥타이(10)와는 또 다른 미감을 연출할 수 있어 좀더 개성있고 멋스러운 미감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커버 바디(100)는 메인 바디(200)의 전방면에 접합되는 형태로 고정 결합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커버 바디(100)만을 별도로 교체하여 편리하게 또 다른 미감을 연출할 수 있도록 메인 바디(2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고정띠(400)는 메인 바디(200)를 사용자의 목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메인 바디(200)에 결합되는데, 단순한 직물 재질의 띠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탄성 재질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넥타이 착용 장치(20)를 통해 넥타이(10)를 착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5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회동 바디(300)를 메인 바디(200)로부터 후방측으로 이탈되도록 회전시켜 넥타이 수용 공간(201)을 개방시키고, 이 상태에서 메인 바디(200)의 걸림봉(210)에 넥타이(10)의 중간 구간을 걸쳐 넥타이(10)가 걸림봉(210)에 의해 지지되어 현수되도록 한다. 이때, 넥타이(10)는 도 5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자중에 의해 수직한 방향으로 현수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회동 바디(300)를 메인 바디(200)에 접촉하도록 회동 접철시키면, 회동 바디(300)의 가압 돌출부(320)가 전방측으로 이동하며 수직 현수된 넥타이(10)를 전방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회동 바디(300)가 회동 접철 완료되면, 가압 돌출부(320)와 메인 바디(200)에는 이격 간격(P)가 존재하게 되고, 넥타이(10)는 가압 돌출부(320)에 의해 가압되며 이격 간격(P) 사이 공간에서 가압 돌출부(320)에 의해 밀착 가압되어 위치 고정된다.
이때, 메인 바디(200)의 넥타이 수용 공간(201)을 이루는 후방면은 전방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형상을 이루고, 이에 대응하여 회동 바디(300)의 가압 돌출부(320) 전방면 또한 전방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형상을 이루므로, 그 사이 이격 간격(P)에서 넥타이(10)가 밀착 가압되며 전방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형상을 이루게 된다. 즉, 넥타이(10)는 메인 바디(200)의 하부측으로 노출되는 부위가 넥타이를 매듭 방식으로 묶었을 때의 형상과 유사하게 전방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형상을 이루게 되므로, 더욱 풍성하고 멋스러운 넥타이 착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바디(200)의 걸림봉(210)이 전후 방향 중심부로부터 후방측으로 편향되게 위치하기 때문에, 넥타이(10)가 회동 바디(300)의 가압 돌출부(320)에 의해 밀착 가압되는 과정에서 넥타이(10)의 폭방향 중심부가 전방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넥타이(10)의 노출 부위에 대해 풍성하게 보이는 효과를 더욱 배가시킬 수 있다.
아울러, 메인 바디(200)의 후방 내측면 하단부는 하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작아지는 형태로 경사면(202)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이를 통해 넥타이(10)가 메인 바디(200)의 하단으로부터 외부 노출되는 과정에서 그 노출 경계면 부위에서 넥타이(10)의 전방으로 더 돌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넥타이(10)의 노출 부위에 대해 풍성하게 보이는 효과를 한번 더 배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넥타이(10)를 걸림봉(210)에 건 상태로 회동 바디(300)를 회동 접철시키는 동작 만으로 넥타이(10)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고정띠(400)를 목에 감아 메인 바디(200)를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넥타이 착용을 완료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넥타이와 같이 매듭 방식으로 묶을 필요가 없어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넥타이를 착용할 수 있으며, 특히, 넥타이 매듭 장식 기능을 하는 커버 바디(100)와 넥타이(10)가 이질감을 가질 수 있어 이질감에 따른 새롭고 개성있는 미감을 연출할 수 있다.
한편, 고정띠(400)는 고정띠(400)를 목에 감는 방식으로 메인 바디(200)를 목에 고정시키도록 메인 바디(200)에 결합되는데, 양단부가 외부로부터 메인 바디(200)의 내부 공간으로 관통 삽입되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바디(200)의 상단 양측단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바디(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띠(400)가 외부로부터 넥타이 수용 공간(201)으로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띠 삽입홀(230)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띠 삽입홀(230)은 커버 바디(100)의 전방에 노출되지 않도록 메인 바디(200)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외부로부터 메인 바디(200)의 넥타이 수용 공간(201)으로 관통 삽입된 고정띠(400)는 넥타이 수용 공간(201) 내부에서 서로 꼬이거나 다른 부재와의 간섭으로 인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띠(400)는 목에 감기 위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띠 삽입홀(230)을 통과하며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야 하는데, 내부의 넥타이 수용 공간(201)에서 서로 꼬이거나 간섭이 발생하면 이러한 이동이 불가능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메인 바디(200)의 일측에는 고정띠 삽입홀(230)을 통해 외부로부터 관통 삽입된 고정띠(400)의 배치 상태를 가이드하도록 고정띠 가이드홀(2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띠 가이드홀(240)은 고정띠 삽입홀(230)과 인접한 부위에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띠(400)는 고정띠 가이드홀(240)을 관통하여 통과하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이에 따라 고정띠(400)의 배치 상태가 고정띠 가이드홀(240)을 통해 고정 가이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착용 장치(20)는 고정띠(400)의 작동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길이 고정 수단(500)을 더 포함한다.
즉, 고정띠(400)는 목에 감는 방식으로 메인 바디(200)를 목에 고정시키게 되는데, 사용자에 따라 목의 두께가 다를 뿐만 아니라 넥타이 착용 과정에서 고정띠(400)를 느슨하게 했다가 조이는 방식으로 사용하기 위해 고정띠(400)의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시키는 기능이 필요하다.
이러한 고정띠(400)에 대한 길이 조절 및 고정 기능을 위해 먼저, 회동 바디(300)에는 넥타이 수용 공간(201)으로 삽입된 고정띠(400)의 양끝단부가 관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 관통홀(330)이 형성된다. 또한, 길이 고정 수단(500)은, 이러한 배출 관통홀(330)을 통과한 고정띠(400)가 삽입 관통하도록 걸림 관통홀(511)이 형성되는 이동 블록(510)과, 이동 블록(510)이 배출 관통홀(330)의 길이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탄성 이동하도록 이동 블록(510)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회동 바디(300)에는 이동 블록(510)이 삽입되어 탄성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 가이드홈(340)이 형성되고, 이러한 삽입 가이드홈(340)을 중심으로 양측편에 각각 배출 관통홀(330)이 형성된다. 삽입 가이드홈(340)의 바닥면에 탄성 부재(520)가 배치되어 이동 블록(510)이 삽입 가이드홈(340)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가한다. 이동 블록(510)에는 배출 관통홀(330)과 평행한 방향으로 걸림 관통홀(511)이 형성된다.
이때, 고정띠(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가이드홈(340)의 일측편 배출 관통홀(330)을 통과하여 이동 블록(510)의 걸림 관통홀(511)을 관통하고, 다시 삽입 가이드홈(340)의 타측편 배출 관통홀(330)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배치 구조에서, 이동 블록(510)이 탄성 부재(520)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탄성 이동하게 되면, 배출 관통홀(330)과 걸림 관통홀(511)은 서로 어긋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배출 관통홀(330)과 걸림 관통홀(511)이 서로 어긋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면, 배출 관통홀(330)과 걸림 관통홀(511)을 동시에 관통하는 고정띠(400)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고정띠(400)는 이러한 가압에 의해 위치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고정띠(400)를 위치 고정하는 고정력은 이동 블록(510)을 탄성 이동시키는 탄성 부재(520)의 탄성력에 의해 발생한다.
따라서, 고정띠(400)가 가압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띠(400)를 길이 조절을 위해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이동 블록(510)을 탄성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도 6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배출 관통홀(330)과 걸림 관통홀(511)의 어긋남 상태를 다시 동일 직선상으로 위치시킴으로써 고정띠(400)에 대한 가압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고정띠(400)를 자유롭게 이동시켜 목에 감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착용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넥타이 착용 장치에서 제2 판 몸체를 열었을 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도 8의 넥타이 착용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I-I'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0의 A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14는 도 8의 넥타이 착용 장치에 대한 길이 조정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8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넥타이 착용 장치는 제1 판 몸체(1000), 제2 판 몸체(2000), 제1 및 제2 탄성 부재들(3000, 3100), 제1 및 제2 걸림턱들(4000, 4100), 및 넥타이 지지바(5000)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넥타이 착용 장치는 제1 및 제2 목줄 홀들(6100, 6120), 목줄(6000), 및 목줄 조절부(6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판 몸체(1000)는 상부 덮개(1100), 및 전면 덮개(12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덮개(1200)는 상부 덮개(1100)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면서 점차 폭이 좁아지고,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볼록한 넥타이 매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판 몸체(1000)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판 몸체(1000)는 황동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판 몸체(2000)는 뒷면 덮개(2100), 및 하부 덮개(2200)를 포함할 수 있고, 하부 덮개(2200)와 전면 덮개(1200) 사이에 구비된 넥타이 홀(2060)을 통과하는 넥타이(10)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2040)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뒷면 덮개(2100)는 제1 판 몸체(1000)의 상부 덮개(1100)와 힌지 결합하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덮개(2200)는 뒷면 덮개(2100)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돌출할 수 있으며, 하부 덮개(2200)는 전면 덮개(1200)와 접촉하지 않고 넥타이 홀(2060)은 하부 덮개(2200) 및 전면 덮개(120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넥타이 홀(2060)은 전면 덮개(1200)의 내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판 몸체(2000)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판 몸체(2000)는 황동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탄성부재들(3000, 3100)은 뒷면 덮개(2100)의 내면(202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탄성부재들(3000, 3100)은 전면 덮개(1200)를 향하여 돌출되며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탄성부재들(3000, 3100)은 제1 및 제2 방향들(D1, D2)과 교차하는 제3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넥타이(10)와 접촉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탄성 부재(3000)는 제3 방향(D3)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켜, 넥타이(10)를 제1 걸림턱(4000)에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탄성 부재(3100)는 제3 방향(D3)으로 탄성력을 발생시켜, 넥타이(10)를 제2 걸림턱(4100)에 밀착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탄성 부재들(3000, 3100)은 중간 부재(305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탄성 부재들(3000, 3100), 및 중간 부재(305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탄성 부재들은 일체로 형성되는 판 스프링일 수 있다.
중간 부재(3050)는 지지 부재(2050)를 통하여 뒷면 덮개(2100)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 부재(2050)의 높이를 조절하여 제1 및 제2 탄성 부재들(3000, 31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걸림턱들(4000, 4100)은 제1 방향(D1)을 따라 각각 연장되며 전면 덮개(1200)의 내면(10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걸림턱들(4000, 4100)은 제3 방향(D3)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걸림턱들(4000, 4100)은 제1 및 제2 탄성 부재들(3000, 3100)이 제공하는 탄성력 및 마찰력에 의해 넥타이(10)와 접촉하여 넥타이(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넥타이 지지바(5000)는 전면 덮개(1200)의 내면(1020)에 결합되며 제3 방향(D3)으로 연장되고, 넥타이 홀(2060)을 통과한 넥타이(10)가 넥타이 지지바(5000)에 의해 감겨 넥타이 홀(2060)을 다시 통과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목줄 홀들(6100, 6200)은 전면 덮개(1200)를 각각 관통하며 제3 방향(D3)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상부 덮개(110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목줄 홀들(6100, 6200)은 각각 제3 방향(D3)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목줄(6000)이 통과할 수 있다.
목줄(6000)은 고정부(6300), 목걸이부(6400), 및 길이 조정부(65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6300)는 제1 목줄 홀(6100)에 고정되며 내부 공간(204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6300)는 매듭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내부 공간(2040)에 배치되어 목줄(6000)을 제1 목줄 홀(61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
목걸이부(6400)는 고정부(6300)로부터 연장되어 제1 목줄 홀(6100)을 통과하여 상부 덮개(1100) 상에서 연장되어 제2 목줄 홀(6200)을 통과할 수 있다. 목걸이부(6400)는 상기 넥타이 착용 장치를 사용자의 목에 매다는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
길이 조정부(6500)는 내부 공간(2040)을 지나 하부 덮개(2200)에 구비된 제3 목줄 홀(2300)을 통과할 수 있다. 길이 조정부(6500)는 후술하는 목줄 조절부(6600)에 의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목줄 조절부(6600)은 하부 덮개(2200)에 배치되어, 길이 조정부(65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줄 조절부(6600)은 탄성력에 의해 길이 조정부(6500)를 고정시키는 탄성 부재(6640) 및 탄성 부재(6640)에 힘을 가하여 길이 조정부(6500)의 고정을 풀 수 있는 버튼(66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6620)은 뒷면 덮개(2100)로 돌출되며 하부 덮개(2200)를 따라 연장되고, 탄성 부재(6640)에 힘을 가하여 길이 조정부(6500)의 고정을 풀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6640)는 하부 덮개(2200)를 따라 연장되며, 길이 조정부(6500)를 뒷면 덮개(2100) 방향으로 밀어 길이 조정부(6500)를 제3 목줄 홀(23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넥타이(10)는 넥타이 홀(2060)을 통과하여 제1 및 제2 탄성부재들(3000, 3100) 과 제1 및 제2 걸림턱들(4000, 4100) 사이에 개재되어 접촉하고, 넥타이 지지바(5000)에 의해 감겨 방향을 바꾼 후, 다시 제1 및 제2 탄성 부재들(3000, 3100)과 제1 및 제2 걸림턱들(4000, 4100) 사이에 개재되어 접촉된 후, 넥타이 홀(2060)을 다시 통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넥타이 착용 장치는 넥타이 지지바(5000) 및 제1 및 제2 탄성 부재들(3000, 3100) 및 제1 및 제2 걸림턱들(4000, 4100)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넥타이(10)를 착용할 수 있다.
특히, 넥타이(10)가 제1 및 제2 탄성 부재들(3000, 3100) 및 제1 및 제2 걸림턱들(4000, 4100) 사이에 마찰력 및 탄성력에 의해 고정되므로, 넥타이(10)가 상기 넥타이 착용 장치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넥타이 착용 장치는 금속을 포함하여, 금 광택을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넥타이 착용 장치의 제1 및 제2 판 몸체들(1000, 2000)은 황동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넥타이 착용 장치는 고급스런 미감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넥타이 착용 장치는 목줄 조절부(6600)를 이용하여 목줄(6000)의 길이를 버튼 하나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편의성을 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후방에 오목한 형태의 넥타이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넥타이 수용 공간에는 넥타이가 지지되어 현수될 수 있도록 걸림봉이 장착되는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에 회동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메인 바디에 회동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넥타이 수용 공간에 배치된 넥타이를 가압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회동 바디;
    상기 메인 바디의 전방면을 감싸도록 상기 메인 바디에 결합되며, 전방면에는 장식용 색상 또는 문양이 형성되는 커버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를 사용자의 목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바디에 결합되는 고정띠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착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바디가 상기 메인 바디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바디 및 회동 바디가 전방을 향해 외부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착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의 후방 내측면 하단부는 하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작아지는 형태로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착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의 상단 양측단부에는 상기 커버 바디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띠가 외부로부터 상기 넥타이 수용 공간으로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띠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착용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띠 삽입홀을 통해 외부로부터 관통 삽입된 고정띠의 배치 상태를 가이드하도록 고정띠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착용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바디의 전방면에는 상기 넥타이를 가압 고정할 수 있도록 가압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 돌출부는
    상기 회동 바디가 상기 메인 바디에 회동 접철된 상태에서 전방면이 상기 메인 바디의 후방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넥타이는 상기 가압 돌출부의 전방면과 상기 메인 바디의 후방면 사이에서 가압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착용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띠의 작동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길이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착용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바디에는 상기 넥타이 수용 공간으로 삽입된 고정띠의 양끝단부가 관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 고정 수단은
    상기 배출 관통홀을 통과한 고정띠가 삽입 관통하도록 걸림 관통홀이 형성되는 이동 블록; 및
    상기 이동 블록이 상기 배출 관통홀의 길이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탄성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 블록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띠는 상기 이동 블록이 탄성 이동함에 따라 상기 배출 관통홀과 걸림 관통홀이 어긋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가압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착용 장치.
  9. 상부 덮개, 및 상기 상부 덮개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점차 폭이 좁아지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볼록한 넥타이 매듭 형상을 갖는 전면 덮개를 포함하는 제1 판 몸체;
    상기 제1 판 몸체의 상기 상부 덮개와 힌지 결합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면 덮개를 커버하는 뒷면 덮개, 및 상기 뒷면 덮개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하는 하부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덮개와 상기 전면 덮개 사이의 넥타이 홀을 통과하는 넥타이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2 판 몸체;
    상기 뒷면 덮개의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 덮개를 향하여 돌출되며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상기 넥타이와 접촉하는 제1 및 제2 탄성 부재들;
    상기 제1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며 상기 전면 덮개의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탄성 부재들이 제공하는 상기 탄성력 및 마찰력에 의해 상기 넥타이와 접촉하여 상기 넥타이를 고정시키며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제1 및 제2 걸림턱들; 및
    상기 전면 덮개의 상기 내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넥타이 홀을 통과한 상기 넥타이가 감겨서 상기 넥타이 홀을 다시 통과할 수 있는 넥타이 지지바를 포함하는 넥타이 착용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덮개를 각각 관통하며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상기 상부 덮개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목줄 홀들;
    상기 제1 목줄 홀에 고정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목줄 홀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 덮개 상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 목줄 홀을 통과하는 목걸이부, 및 상기 내부 공간을 지나 상기 하부 덮개에 구비된 제3 목줄 홀을 통과하는 길이 조정부를 포함하는 목줄; 및
    상기 하부 덮개에 배치되어, 상기 길이 조정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목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착용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목줄 조절부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길이 조정부를 고정시키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에 힘을 가하여 상기 길이 조정부의 고정을 풀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착용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판 몸체들은 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착용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넥타이 홀은 상기 전면 덮개의 상기 내면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착용 장치.
PCT/KR2017/001996 2016-06-22 2017-02-23 넥타이 착용 장치 WO2017222144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304,290 US20190082755A1 (en) 2016-06-22 2017-02-23 Device for putting on necktie
CN201790000888.6U CN209609937U (zh) 2016-06-22 2017-02-23 领带佩戴装置
JP2018600162U JP3221852U (ja) 2016-06-22 2017-02-23 ネクタイ着用装置
DE212017000165.8U DE212017000165U1 (de) 2016-06-22 2017-02-23 Vorrichtung zum Umlegen einer Krawat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742A KR101681872B1 (ko) 2016-06-22 2016-06-22 넥타이 착용구
KR10-2016-0077742 2016-06-22
KR1020160159709A KR101697906B1 (ko) 2016-11-28 2016-11-28 넥타이 착용 장치
KR10-2016-0159709 2016-1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22144A1 true WO2017222144A1 (ko) 2017-12-28

Family

ID=60784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1996 WO2017222144A1 (ko) 2016-06-22 2017-02-23 넥타이 착용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082755A1 (ko)
JP (1) JP3221852U (ko)
CN (1) CN209609937U (ko)
DE (1) DE212017000165U1 (ko)
WO (1) WO2017222144A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5100A (ja) * 1992-06-15 1993-12-27 Arrowhead Tp Ltd ネクタイ・プレッサ
KR960000074Y1 (ko) * 1993-11-02 1996-01-04 윤대원 넥타이 매듭구
KR200227597Y1 (ko) * 2000-12-26 2001-06-15 정성두 넥타이용 매듭구
KR200265816Y1 (ko) * 2001-11-19 2002-02-25 이청림 넥타이 착용구
KR200337520Y1 (ko) * 2003-10-08 2003-12-31 최종인 넥타이 매듭부재
KR200426062Y1 (ko) * 2006-06-09 2006-09-19 안동원 넥타이 매듭 장신구
KR200453337Y1 (ko) * 2010-09-09 2011-04-27 정운섭 넥타이 매듭용 장신구
KR20140039731A (ko) * 2012-09-25 2014-04-02 김보미 넥타이 장신구
KR101681872B1 (ko) * 2016-06-22 2016-12-01 김성안 넥타이 착용구
KR101697906B1 (ko) * 2016-11-28 2017-01-18 김성안 넥타이 착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5614A (en) * 1970-02-23 1973-07-17 C Tsang Tie-knot unit
US4024585A (en) * 1975-09-15 1977-05-24 Jack Steinberg Tie clasp
US4159541A (en) * 1977-07-01 1979-06-26 Ncr Corporation Minimum pin memory device
US4159542A (en) * 1978-02-28 1979-07-03 Pehr Harold T Tie holder
JPH0311207Y2 (ko) * 1986-01-29 1991-03-19
US4912814A (en) * 1988-05-02 1990-04-03 Mckenzie Shirley D Bolo clasp
US5084916A (en) * 1989-05-05 1992-02-04 Austin Joseph R Necktie assembly
US5088120A (en) * 1991-03-26 1992-02-18 Ching Yang Necktie Co., Ltd. Combined and fixed necktie
US6401251B1 (en) * 2001-03-19 2002-06-11 James Paul Fredenberg Combination bolo and fabric tie and method therefor
US6460189B1 (en) * 2001-04-27 2002-10-08 Ryan Scott Welch Pre-knotted necktie clasp assembly
US6412673B1 (en) * 2001-07-06 2002-07-02 Yi Chang Chuang Necktie-setting clip
US8015673B2 (en) * 2008-01-22 2011-09-13 Dean Gould Bolo style clasp with multi-purpose clip
KR101221708B1 (ko) * 2011-06-16 2013-01-11 이기영 넥타이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5100A (ja) * 1992-06-15 1993-12-27 Arrowhead Tp Ltd ネクタイ・プレッサ
KR960000074Y1 (ko) * 1993-11-02 1996-01-04 윤대원 넥타이 매듭구
KR200227597Y1 (ko) * 2000-12-26 2001-06-15 정성두 넥타이용 매듭구
KR200265816Y1 (ko) * 2001-11-19 2002-02-25 이청림 넥타이 착용구
KR200337520Y1 (ko) * 2003-10-08 2003-12-31 최종인 넥타이 매듭부재
KR200426062Y1 (ko) * 2006-06-09 2006-09-19 안동원 넥타이 매듭 장신구
KR200453337Y1 (ko) * 2010-09-09 2011-04-27 정운섭 넥타이 매듭용 장신구
KR20140039731A (ko) * 2012-09-25 2014-04-02 김보미 넥타이 장신구
KR101681872B1 (ko) * 2016-06-22 2016-12-01 김성안 넥타이 착용구
KR101697906B1 (ko) * 2016-11-28 2017-01-18 김성안 넥타이 착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12017000165U1 (de) 2019-01-25
US20190082755A1 (en) 2019-03-21
JP3221852U (ja) 2019-06-27
CN209609937U (zh) 201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38708A (zh) 衣服的调节部件
WO2012108644A2 (ko) 분리형 배낭
WO2014014225A1 (ko) 장신구 고정용 옷핀
WO2016068566A1 (ko)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
WO2011078463A1 (ko) 스탠드형 스팀다리미
WO2020242104A1 (ko) 칼라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의류
WO2013151206A1 (ko) 기능성 키트가 구비된 휴대전화 케이스
WO2017222144A1 (ko) 넥타이 착용 장치
WO2017034305A1 (ko) 변경 가능한 가방
US6205586B1 (en) Necktie assembly
WO2019212225A1 (ko) 우산 장착이 가능한 가방
US20060156518A1 (en) Interchangeable pants closure system
WO2014185670A1 (ko) 우산 고정장치
KR101697906B1 (ko) 넥타이 착용 장치
WO2021137567A1 (ko) 전면 장신구 교체형 가방 및 이에 사용되는 전면 장신구
US6401251B1 (en) Combination bolo and fabric tie and method therefor
WO2014163360A1 (ko) 단추 체인 등의 장신구 탈부착이 가능한 스타일리쉬 의류
WO2018135783A1 (ko) 여성용 의류의 벨트고리 및 그 벨트고리 봉제방법
WO2014098426A1 (ko) 라인조절장치
WO2023200306A1 (ko) 가방
WO2018199411A1 (ko) 다양한 헤어 연출이 가능한 부분 가발
KR20170131316A (ko) 허리 조절기
CN216493860U (zh) 一种拉链、服装
CN213281530U (zh) 一种外套、马甲一体式西装
WO2012150783A2 (ko) 와이셔츠 깃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600162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1555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1555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