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78357A1 -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 우산 - Google Patents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78357A1
WO2017078357A1 PCT/KR2016/012417 KR2016012417W WO2017078357A1 WO 2017078357 A1 WO2017078357 A1 WO 2017078357A1 KR 2016012417 W KR2016012417 W KR 2016012417W WO 2017078357 A1 WO2017078357 A1 WO 201707835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mbrella
frame
coupled
handl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241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민시
Original Assignee
정민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15609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50142647A/ko
Application filed by 정민시 filed Critical 정민시
Publication of WO201707835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7835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7/00Other sticks, e.g. of cranked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1/00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 A45B11/02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attached to the body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nshade adjustment umbrella that can be mounted on the upper body mounting crad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by binding the sunshade controllable to the upper body mounting cradle to effectively cope with various changing climates during outdoor work. It relates to a sunshade adjustable umbrella that can be mounted on the upper body mounting cradle.
  • the umbrella was inefficient when performing outdoor work that requires the use of both hands by the user holding the umbrella handle with one hand to prevent rain from fitting in the rain.
  • the umbrella stand of the applicant No. 10-2014-0146251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can fasten the umbrella to the umbrella mounting body and the umbrella mounting body which can be worn using the user's arms when working outdoors in the rain.
  • the umbrella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umbrella mounting body so that the user can use both hands freely by carrying the umbrella attached to the umbrella mounting body.
  • the existing invention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umbrella mounting portion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umbrella mounting body, when mounting the umbrella, the umbrella mounting body was inevitably needed.
  • each component of the cradle is independently coupled to support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umbrella, but vulnerable to the left and right shake of the cradle, it was necessary to compensate for this.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mbrella handle divided into an upper handle and a lower handle to insert one end of the umbrella stand, the umbrella handle is the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nt No. 10-2014-0146251 It was able to act as an umbrella mounting part of the umbrella stand.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djust the sunshade by easily mounting the umbrella portion on the accessory design or interior wall, such as a mannequin without the umbrella mounting portion, and can be combined with the mounting portion of the umbrella during outdoor work to awning To provide a sunshade adjustable umbrella that can be mounted on the cradl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nshade adjustment umbrella that can be mounted on the upper mounting crad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in rainy weather without holding the umbrella and can be adjusted in all directions can effectively respond to the outdoor environment
  • a sunshade adjustable umbrella that can be mounted on the upper body mounting cradle.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nshade control umbrella that can be mounted on the upper body mounting cradle that can be firmly bound to the body in response to the body condition of the wearer and the load of the umbrella.
  • Umbrella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anopy An umbrella stand having a locking ball coupled to or formed at the top of the canopy and the bottom thereof;
  • An umbrella handle part having an upper handle for inserting a locking ball at the bottom of the umbrella stand and a lower handle pivotally engaged with the upper handle; Is configured, the locking ball is inserted into the upper handle and the lower handle is fastened with the upper handle, is solved by providing a car shade control umbrella that can be mounted on the upper mounting bracket that can secure the adjusted shade of the umbrella stand.
  • the moun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parallel front frames having an insertion portion integrally formed so that the umbrella portion can be mounted; Two bent top frames coupled to each top frame by a hinge; A rear frame coupled through a hinge between the upper frame; It is solved by providing a sunshade control umbrella that can be mounted on the upper body mounting bracket that can be worn regardless of the user's body shape.
  • the bel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front frame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trol unit or the second control unit for tightly fixed to the upper body to adjust the left and right intervals between the front frame; It is solved by providing a sunshade control umbrella that can be mounted on the upper body mounting bracket that can be efficiently respond to the body siz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nshade control umbrella that can be mounted on the upper mounting bracket, the umbrella handle portion of the umbrella portion is divided into the upper handle and the lower handle, the handle of the umbrella through the upper handle is inserted, the lower handle is the upper handle Rotational fastening can be fixed to the locking ball of the umbrella stand with the sunshade can be adjusted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adjusted freely.
  •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segment is formed in a segment, the belt portion is provided separately, when the user wears the upper body mount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achieve a solid wear corresponding to the user's body size, umbrella handle umbrella section It can be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by using a par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mprove the work efficiency in that it does not have to grip the umbrella during outdoor work.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erted into the upper mounting mounting portion inside the coat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tilized in the X peninsula shoulder strap X peninsula in the industrial field.
  • the umbrella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sually adjust the angle of the umbrella handle portion, can be used by some polio disabled people, can be easily coupled to props such as wheelchairs, mannequins, etc. Furthermore, by installing on the interior wall in the industrial site, It can maximize the utilization in that it can plan interior decoration.
  • 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umbrella portion of the car shade control umbrella that can be mounted on the upper body mounting cradle.
  •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umbrella handle portion of the sunshade adjustable umbrella that can be mounted on the upper body mounting cradle.
  • Figure 3 is an illustration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sunshade adjustment umbrella that can be mounted on the upper body mounting cradle.
  • Figure 4 is a detailed view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sunshade adjustment umbrella that can be mounted on the upper body mounting cradle.
  • 5 and 6 is an embodiment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sunshade adjustment umbrella that can be mounted on the upper mounting cradle.
  • Figure 7 is a detailed exploded view of the umbrella portion of the car shade control umbrella that can be mounted on the upper body mounting cradle.
  • Figure 8 is an embodiment of the umbrella portion of the sunshade adjustment umbrella that can be mounted on the upper body mounting cradle.
  • FIG. 9 is an exemplary view of the sunshade adjustment umbrella that can be mounted on the upper body mounting cradle.
  • Figure 10 is for the mounting portion of the sunshade adjustment umbrella that can be mounted on the upper body mounting cradle.
  • 11 is an embodiment of the sunshade adjustment umbrella that can be mounted on the upper body mounting cradl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nshade adjustment umbrella that can be mounted on the upper body mounting cradle,
  • Umbrella unit 120 the umbrella unit 100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umbrella stand canopy 110, which can block the rain in the rain, can be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umbrella stand, consisting of an umbrella handle unit 130 having upper and lower handles (131,132) Wow;
  • Two parallel front frames 210 so that the umbrella unit 100 can be mounted, two bent top frames 220 coupled to the top of each front frame through a hinge 250, respectively
  • Mounting unit 200 consisting of a rear frame 270 is coupled through a hinge between the upper frame of the;
  • a belt unit 260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front frame to be worn according to a user's body shap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nshade adjustment umbrella that can be mounted on an upper body mounting base that can easily adjust the sunshade by rotating in all directions so as to respond to various changing outdoor climates.
  • Umbrella portion 100 is composed of a canopy 110 and the umbrella handle 130 which is coupled to,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ends of the umbrella stand 120 and the umbrella stand is spherical locking ball 121 is formed at one end.
  • the umbrella handle portion includes an upper handle 131 having a through hole 131 a and a rotating coupling part 131 b formed on an inner wall of the lower end of the through hole; A main body portion 133 and a lower handle 132 having a protrusion inserting portion 134 protrudingly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Consists of.
  • the protruding insertion portion 134 of the lower handle has a rotational fastening portion 134a formed at its lower end; With a depressed hemispherical volcano government (134b) that can be fixed to the top of the umbrella ball hanging ball; It is comprised,
  • Umbrella stop ball 121 penetrates one end of the through hole 131a of the upper handle 131, and the lower handle 132 protruding insertion portion 134 is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upper handle through hole 131a and then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 the upper and lower handles 131 and 132 may be coupled by using the rotation fastening part 134a of the part 134 and the rotation coupling part 131b of the through hole, and the locking ball 121 of the umbrella stand 120 is a protrusion insertion part. It is possible to adjust and fix the sunshade of the umbrella stand 120 by the Volgo government 134b.
  • the mounting portion 200 includes a front frame 210 of the second stage that the plate-shaped insertion portion 211 is integrally formed on the front; Two bent segmented top frames 220 coupled to the hinges 250 at the top of each front frame; A rear frame 270 that can be coupled to a rear hinge between each upper frame; Consists of.
  • the rear frame 270 is each rear side frame 230; A rear center frame 240 coupled between the rear side frames; Can be configured.
  • the rear side frame 230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rear side frame is coupled to the upper frame 220 and the hinge, the pin fastening portion 231, the pin fastener 232 is formed;
  • a slider insertion portion 233 formed at the other end of one side coupled to the upper frame 220 by a hinge; Consists of.
  • the rear center frame 240 coupled between the rear side frame 230 includes pin fastening protrusions 241 formed at both ends thereof; A slider 242 integrally formed to be inserted into or separated from the slider insertion portion 233; Consists of. That is, the rear center frame 240 may be coupled by fastening the rotation pin 235 to the pin fastening protrusion 241 at both ends of the rear center frame and the pin fastening part 231 of the rear side frame, and at both ends of the rear center frame.
  • the molded slider 242 is inserted into or separated from the slider inserting portion 233 formed on the rear side frame 230 so as to achieve stable rotation about the rotating pin 235.
  • the hinge is not limited to the form shown in the drawings and may be manufactured in a configuration that can have a variety of rotation axis, which is obvious from the known technique will not be separately described.
  • Insertion portion 211 is formed with a fastening button fixing groove 211a, when the insertion portion 211 of the front frame is inserted into the binding hole 133a of the lower handle of the umbrella portion, the binding hole 133a
  • the fastening button fixing groove 211a By fixing the fastening button to the fastening button fixing groove 211a by using the fastening button 133b installed to penetrate through, the umbrella part 100 is fixed to the mounting part 200 and mounted.
  • the belt part 260 may be inserted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front cradle 210, and the length of the belt part may be adjusted so as to flexibly correspond to different user's bodies so as to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user's body and the mounting part.
  • the first control unit can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frame and the second control unit is mad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mounting portion on the body and the length adjustment of the belt portion is obvious from the known technology, so not separately installed do.
  • Umbrella unit 100 is provided with an umbrella handle 130 for coupling with the catching ball 121 of the umbrella stand 120, inserting the catch of the umbrella stand 121 in the upper handle through-hole (131a),
  • the lower handle 132 By rotationally coupling the lower handle 132, by using the ball fixing portion 134b formed in the protrusion insertion portion 134 of the lower handle 132, it is manufactured to adjust or fix the sunshade of the umbrella stand, Insert the insertion part 211 of the front frame of the mounting portion 200 into the binding hole 133a in which the fastening button 133b is installed on the lower handle 132, and the fastening button 133b is connected to the fastening button of the insertion part 211.
  • the umbrella unit 100 may be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200.
  • the mounting portion 200 may be manufactured by combining the front frame 210, the top frame 220 and the rear frame 270, moreover, the rear frame is the rear side frame 230 and the rear center frame 240 It can be composed of).
  • the rear side frame 23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frame with the hinge 250, and the rear center frame may be coupled between the rear side frame to be segmented.
  • the front frame and the top frame can also be manufactured in a segmented form, which can effectively cope with the body size of the wearer, and can be worn by attaching the umbrella stand to the cloth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loth, bag or belt. I was.
  • the spacing interval of the upper frame 220 that spans the front frame and the shoulder on the front of the body can be extended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wearer body, between the rear side frame 230 Using the rear center frame 240 is coupled to the rotating pin 235, was produced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wearer body.
  • the mounting portion can be inserted into the garment, the bag or made integrally and can be worn as a garment.
  • a belt portion that is installed through the bottom of the front frame to be worn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hape, so that the mounting portion can be fixed in accordance with the wearer body size.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우산대, 우산대 상단에 설치되어 우천시 강우를 차단할 수 있는 캐노피, 우산대 하단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하부손잡이를 구비한 우산손잡이부로 구성된 우산부와; 상기 우산부가 거치될 수 있도록 2기의 전면프레임, 상기 각각의 전면프레임 상단에 경첩을 통해 결합되는 2기의 상면프레임, 상기 각각의 상면프레임 사이에 결합되는 후면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는 거치부와;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착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프레임 하단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벨트부를; 구비하고 있어 다양하게 변화하는 실외 기후에 대응할 수 있도록 차양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우산부의 우산손잡이부를 이용하여 거치부에 결합될 수 있어, 실외작업시 우산부를 파지하지 아니하여 된다는 점에서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 우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 우산
본 발명은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실외 작업 시 다양하게 변화하는 기후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상체착용 거치부에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부를 결속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 우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우천 시 비가 몸에 맞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한 손으로 우산손잡이를 파지하여 차양함으로써 양손을 사용해야 하는 실외작업 수행시 비효율적이었다.
이에 대하여,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출원번호 제10-2014-0146251호의 우산거치대는 우천 중 실외 작업 시 사용자의 양팔을 이용하여 착용할 수 있는 우산장착본체와 상기 우산장착본체에 우산을 체결할 수 있도록 우산장착본체의 전면 일측에 우산장착부가 구비되어 있어 우산을 우산장착본체에 결합시켜 휴대함으로써, 사용자가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에 관하여 게재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은 우산장착본체의 전면에 우산장착부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어, 우산을 거치할 때, 필연적으로 우산장착본체가 필요하였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거치대 각각의 구성요소는 독립적으로 결합되어 있어, 우산의 상하 움직임을 지탱할 수 있었으나, 거치부의 좌우 흔들림에 대해서는 취약하여,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였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우산부의 우산대 일단을 삽결할 수 있도록 상부손잡이 및 하부손잡이로 구분된 우산손잡이부를 구비하여, 우산손잡이부가 상기 본 출원인의 발명 출원번호 제10-2014-0146251호 우산거치대의 우산장착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본 발명은 상기의 우산장착부 없이도 우산부를 마네킹과 같은 소품 디자인 혹은 인테리어 벽면에 용이하게 거치하여 차양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실외 작업시에는 우산부를 거치부에 결합하여 차양할 수 있는 상체착용 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 우산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체착용 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우천작업 시 우산을 파지하지 아니하고 휴대할 수 있으며 전 방향으로 차양각 조절이 가능하여 실외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 우산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거치부 착용자의 신체 조건 및 우산부의 하중에 대응하여 신체에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는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 우산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우산부는 캐노피와; 상단에 상기 캐노피 및 하단에 걸림볼이 결합 혹은 형성되어 있는 우산대와; 상기 우산대 하단의 걸림볼이 삽입될 수 있는 상부손잡이 및 상기 상부손잡이와 회동체결되는 하부손잡이를 구비하고 있는 우산손잡이부로; 구성되어, 상기 걸림볼이 상부손잡이에 삽입되고 하부손잡이가 상부손잡이와 체결되면서, 우산대의 조절된 차양각을 고정시킬 수 있는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우산을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거치부는 상기 우산부가 거치될 수 있도록 삽결부가 일체성형되어 있는 2기의 평행한 전면프레임과; 상기 각각의 전면프레임 상단에 경첩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2기의 굽은형 상면프레임과; 상기 각각의 상면프레임 사이에 경첩을 통해 결합되는 후면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체형을 불문하고 착용될 수 있는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 우산을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벨트부는 상기 전면프레임 하단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전면프레임간 좌우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제1조절부 또는 상체에 밀착 고정시키는 제2조절부 중 1이상으로; 구성되어 있어 신체사이즈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 우산을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은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우산부의 우산손잡이부가 상부손잡이 및 하부손잡이로 구분되며, 상부손잡이에 우산대의 걸림볼이 관통, 삽입되고 하부손잡이가 상부손잡이에 회동체결됨으로써 차양각이 조절된 우산대의 걸림볼을 고정시킬 수 있어 차양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치부가 분절형으로 제작되어 있으며, 벨트부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상체착용 거치부를 착용할 시, 사용자의 신체사이즈에 대응하여 견고한 착용을 도모할 수 있으며, 우산부의 우산손잡이부를 이용하여 거치부에 결합될 수 있어, 실외작업시 우산부를 파지하지 아니하여 된다는 점에서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체착용 거치부를 피복 내부에 삽입할 수 있으며, 산업현장에서는 X반도 어깨끈에 삽입하여 우산거치 X반도로 활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우산부는 평상시 우산손잡이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일부 소아마비 장애인이 사용할 수 있으며, 휠체어, 마네킹과 같은 소품 전시물 등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고 더욱이, 산업 현장에서 인테리어 벽면에 설치하여, 인테리어 치장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활용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1은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 우산의 우산부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는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 우산의 우산손잡이부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3은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 우산의 거치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는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 우산의 거치부에 세부도이다.
도 5 및 도6은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 우산의 거치부에 대한 실시도이다.
도 7은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 우산의 우산부에 대한 세부분해도이다.
도 8은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 우산의 우산부에 대한 실시도이다.
도 9는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 우산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 우산의 거치부에 대한 것이다.
도 11은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 우산에 대한 실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우산대(120), 우산대 상단에 설치되어 우천시 강우를 차단할 수 있는 캐노피(110), 우산대 하단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하부손잡이(131,132)를 구비한 우산손잡이부(130)로 구성된 우산부(100)와; 상기 우산부(100)가 거치될 수 있도록 2기의 평행한 전면프레임(210), 상기 각각의 전면프레임 상단에 경첩(250)을 통해 결합되는 2기의 굽은형 상면프레임(220), 상기 각각의 상면프레임 사이에 경첩을 통해 결합되는 후면프레임(270)으로 구성되어 있는 거치부(200)과;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착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프레임 하단에 설치되는 벨트부(260)를; 구비하고 있어 다양하게 변화하는 실외 기후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전방향으로 회동하여 차양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 우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우산부(100)는 구형의 걸림볼(121)이 일단에 성형되어 있는 우산대(120)와 우산대의 양단에 각각 결합, 설치되는 캐노피(110) 및 우산손잡이부(1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우산손잡이부는 관통구(131a) 및 관통구 하단 내벽에 회동결합부(131b)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손잡이(131)와; 본체부(133) 및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돌출삽입부(134)가 돌출 성형된 하부손잡이(13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손잡이(132)의 본체부(133)는 그 본체부에 천공된 결속구(133a)와; 결속구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는 체결버튼(133b)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손잡이의 돌출삽입부(134)는 그 하단에 형성된 회동체결부(134a)와; 상면에 우산대의 걸림볼을 고정할 수 있는 함몰된 반구형 볼고정부(134b)로; 구성되어 있어,
우산대의 걸림볼(121)이 상부손잡이(131)의 관통구(131a) 일단으로 관통하고, 하부손잡이(132) 돌출삽입부(134)가 상부손잡이 관통구(131a) 타단으로 삽입된 후 돌출삽입부(134)의 회동체결부(134a) 및 관통구의 회동결합부(131b)를 이용하여 상하부손잡이(131, 132)가 결합될 수 있으며, 우산대(120)의 걸림볼(121)은 돌출삽입부(134)의 볼고정부(134b)에 의하여 우산대(120)의 차양각을 조절하고 고정할 수 있다.
즉, 차양각을 조절할 때에는, 하부손잡이(132)를 상부손잡이(131)로부터 분리한 후 우산대의 차양각을 조절하고 하부손잡이를 상부손잡이에 회동체결하여, 우산대의 걸림볼(121)이 볼고정부(134b)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거치부(200)는 판형태의 삽결부(211)가 전면에 일체 형성되어 있는 2기 전면프레임(210)과; 상기 각각의 전면프레임 상단에 경첩(250)으로 결합되는 2기의 굽은 분절형 상면프레임(220)과; 상기 각각의 상면프레임의 사이 후면에 경첩으로 결합될 수 있는 후면프레임(27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후면프레임(270)은 각각의 후면사이드프레임(230)과; 상기 후면사이드프레임사이에 결합되는 후면중앙프레임(2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사이드프레임(230)은 후면사이드프레임이 상면프레임(220)과 경첩으로 결합된 일측의 타단에 성형되어 있으며 핀체결구(232)가 형성된 핀체결부(231)와; 상면프레임(220)과 경첩으로 결합된 일측의 타단에 형성된 슬라이더삽결부(23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후면사이드프레임(230) 사이에 결합되는 후면중앙프레임(240)은 그 양단에 형성된 핀체결돌출부(241)와; 상기 슬라이더삽결부(233)에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더(242)로; 구성되어 있다. 즉, 후면중앙프레임(240)은 후면중앙프레임 양단의 핀체결돌출부(241)와 후면사이드프레임의 핀체결부(231)에 회전핀(235)을 체결하여 결합할 수 있으며 후면중앙프레임의 양단에 성형된 슬라이더(242)가 후면사이드프레임(230)에 형성된 슬라이더삽결부(233)에 삽입되거나 분리됨으로써 회전핀(235)을 축으로 한 안정적인 회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상기 경첩은 도면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회전축을 가질 수 있는 구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기술로부터의 유추가 자명하므로 별도로 설시하지 아니하기로 한다.
삽결부(211)는 체결버튼고정홈(211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우산부의 하부손잡이의 결속구(133a)에 전면프레임의 삽결부(211)가 삽입되어 거치될 때, 결속구(133a)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는 체결버튼(133b)을 이용하여 체결버튼고정홈(211a)에 체결버튼을 고정시킴으로써, 우산부(100)를 거치부(200)에 고정하여 거치한다.
상기 체결버튼고정홈에 체결버튼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은 공지된 기술로부터의 유추가 자명하므로 별도로 설시하지 아니하기로 한다.
상기 벨트부(260)는 전면거치대(210)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삽결될 수 있으며, 각기 상이한 사용자의 신체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사용자의 신체와 거치부의 이격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벨트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제1조절부(261) 또는 제2조절부(262) 중 1이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조절부는 전면프레임간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제2조절부는 신체에 거치부를 밀착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으며 벨트부의 길이 조절은 공지된 기술로부터의 유추가 자명하므로 별도로 설시하지 아니하기로 한다.
실시예로는,
우산부(100)는 우산대(120)의 걸림볼(121)과 결합하기 위한 우산손잡이부(130)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부손잡이 관통구(131a)에 우산대의 걸림볼(121)을 삽입하고, 하부손잡이(132)를 회동결합함으로써, 하부손잡이(132)의 돌출삽입부(134)에 형성되어 있는 볼고정부(134b)를 이용하여, 우산대의 차양각을 조절하거나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으며, 하부손잡이(132)에 체결버튼(133b)이 설치된 결속구(133a)에 거치부(200)의 전면프레임의 삽결부(211)를 삽입하고 체결버튼(133b)을 삽결부(211)의 체결버튼고정홈(211a)에 고정함으로써 우산부(100)를 거치부(200)에 거치할 수 있다.
또한, 거치부(200)는 전면프레임(210), 상면프레임(220) 및 후면프레임(270)을 결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더욱이, 후면프레임은 후면사이드프레임(230)과 후면중앙프레임(2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후면사이드프레임(230)을 경첩(250)으로 상면프레임에 결합하고, 후면사이드프레임 사이에 후면중앙프레임을 결합하여 분절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전면프레임과 상면프레임 또한, 분절형으로 제작될 수 있어, 착용자의 신체사이즈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피복, 가방 또는 벨트의 형태에 따라 우산거치대를 피복에 결합하여 착용할 수 있어 그 활용성을 극대화시켰다.
경첩(250)을 이용한 결합을 통하여, 착용자 몸체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도록 신체의 전면에 전면프레임과 어깨에 걸쳐지는 상면프레임(220)의 이격간격이 확장될 수 있으며, 후면사이드프레임(230)사이에 회전핀(235)으로 결합되는 후면중앙프레임(240)을 이용하여, 착용자 몸체 너비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또한, 거치부는 의복, 가방에 삽결되거나 일체로 제작되어 의복과 같이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착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프레임 하단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벨트부를 구비하고 있어, 거치부를 착용자 몸체사이즈에 대응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당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자명함으로 상기한 실시 예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부호의 명칭]
100. 우산부
110. 캐노피
120. 우산대
121. 걸림볼
130. 우산손잡이부
131. 상부손잡이
131a. 관통구
131b. 회동결합부
132. 하부손잡이
133. 본체부
133a.결속구
133b.체결버튼
134. 돌출삽입부
134a.회동체결부
134b.볼고정부
200. 거치부
210. 전면프레임
211. 삽결부
211a. 체결버튼고정홈
220. 상면프레임
230. 후면사이드프레임
231. 핀체결부
232. 핀체결구
233. 슬라이더삽결부
235. 회전핀
240. 후면중앙프레임
241. 핀체결돌출부
242. 슬라이더
250. 경첩
260. 벨트부
261. 제1조절부
262. 제2조절부
270. 후면프레임
280. 의복

Claims (13)

  1.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 우산에 있어서,
    구형의 걸림볼이 일단에 성형되어 있는 우산대와; 상기 우산대의 걸림볼이 성형되어 있는 일단의 타단에 설치되는 캐노피와; 상기 걸림볼이 관통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관통구가 천공되어 있는 상부손잡이와; 본체부로부터 상향 돌출된 돌출삽입부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손잡이에 회동체결되는 하부손잡이로; 구성되어 있어, 걸림볼이 상부손잡이를 관통하고 상기 상부손잡이에 하부손잡이가 회동체결되어 우산손잡이부로 조립되며 우산손잡이부, 우산대 및 캐노피가 우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 우산.
  2. 제 1항에 있어서,
    돌출삽입부는 그 상면에 우산대의 걸림볼을 고정할 수 있는 함몰된 반구형 볼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우산.
  3. 제 1항에 있어서,
    상부손잡이 관통구 하단 내벽에 형성된 회동결합부와;
    하부손잡이 돌출삽입부 하단에 형성된 회동체결부를; 더 포함하여, 하부손잡이가 상부손잡이에 결합될 때, 상기 회동결합부 및 회동체결부를 이용하여 회동결합함으로써 우산손잡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우산.
  4.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 우산에 있어서,
    2기의 전면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 상단에 결합되는 2기의 상면프레임과;
    상기 각각의 상면프레임의 사이 후면에 결합될 수 있는 후면프레임으로; 구성되어 분절형 거치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우산
  5. 제 4항에 있어서,
    후면프레임은 각각의 상면프레임사이에 결합할 수 있는 후면사이드프레임과;
    상기 후면사이드프레임사이에 결합되는 후면중앙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우산.
  6. 제 5항에 있어서,
    후면사이드프레임은 상면프레임과 결합된 일측의 타단에 성형되어 있고 핀체결구가 형성된 핀체결부 및 상면프레임과 결합된 일측의 타단에 형성된 슬라이더삽결부로 구성되며,
    후면중앙프레임은 그 양단에 형성된 핀체결돌출부 및 상기 슬라이더삽결부에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더로 구성되며,
    상기 핀체결돌출부와 핀체결부에 체결되는 회전핀을 더 포함하여,
    후면중앙프레임의 양단에 성형된 슬라이더가 후면사이드프레임에 형성된 슬라이더삽결부에 삽입되거나 분리됨으로써 회전핀을 축으로 한 회전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 우산.
  7. 제 4항에 있어서,
    전면프레임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삽결될 수 있으며, 각기 상이한 사용자의 신체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사용자의 신체와 거치부의 이격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전면프레임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제1조절부 또는 신체에 거치부를 밀착할 수 있는 제2조절부 중 1이상으로 구성된 벨트부를; 더 포함하여 벨트부의 길이와 전면프레임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우산.
  8. 제 4항에 있어서,
    상면프레임과 후면프레임은 분절형으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우산.
  9.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 우산에 있어서,
    구형의 걸림볼이 일단에 성형되어 있는 우산대, 상기 우산대의 걸림볼이 성형되어 있는 일단의 타단에 설치되는 캐노피, 상기 걸림볼이 관통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관통구가 천공되어 있는 상부손잡이 및 체결버튼이 설치되어 있는 결속구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로부터 상향 돌출된 돌출삽입부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손잡이에 회동체결되는 하부손잡이로 구성되어 있는 우산부와;
    체결버튼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판형 삽결부가 전면에 일체형성되어 있는 2기의 분절형 전면프레임, 상기 각각의 전면프레임 상단에 결합되는 2기의 분절형 상면프레임, 상기 각각의 상면프레임의 사이 후면에 결합될 수 있는 후면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는 거치부를; 구비하고 있어, 상기 하부손잡이 본체부의 결속구에 삽결부를 삽입하고, 체결버튼 및 체결버튼고정홈을 이용하여 우산부와 거치부를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우산.
  10. 제 9항에 있어서,
    전면프레임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삽결될 수 있으며, 각기 상이한 사용자의 신체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사용자의 신체와 거치부의 이격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전면프레임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제1조절부 또는 신체에 거치부를 밀착할 수 있는 제2조절부 중 1이상으로 구성된 벨트부를; 더 포함하여 벨트부의 길이와 전면프레임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우산.
  11. 제 4항에 있어서,
    거치부는 의복 또는 배낭에 삽결되거나 의복 또는 배낭과 일체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우산.
  12. 제 9항에 있어서,
    후면프레임은 각각의 상면프레임사이에 결합할 수 있는 후면사이드프레임과;
    상기 후면사이드프레임사이에 결합되는 후면중앙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우산.
  13. 제 12항에 있어서,
    후면사이드프레임은 상면프레임과 결합된 일측의 타단에 성형되어 있고 핀체결구가 형성된 핀체결부 및 상면프레임과 결합된 일측의 타단에 형성된 슬라이더삽결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후면중앙프레임은 그 양단에 형성된 핀체결돌출부 및 상기 슬라이더삽결부에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핀체결돌출부와 핀체결부에 체결되는 회전핀을 더 포함하여,
    후면중앙프레임의 양단에 성형된 슬라이더가 후면사이드프레임에 형성된 슬라이더삽결부에 삽입되거나 분리됨으로써 회전핀을 축으로 한 회전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 우산.
PCT/KR2016/012417 2015-11-06 2016-10-31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 우산 WO201707835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094 2015-11-06
KR1020150156094A KR20150142647A (ko) 2015-11-06 2015-11-06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 및 이를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
KR10-2016-0081926 2016-06-29
KR1020160081926A KR101868685B1 (ko) 2015-11-06 2016-06-29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78357A1 true WO2017078357A1 (ko) 2017-05-11

Family

ID=58662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2417 WO2017078357A1 (ko) 2015-11-06 2016-10-31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707835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6826A (en) * 1958-10-03 1960-03-01 Conrad William Adjustable umbrella holder
KR20050104199A (ko) * 2004-04-28 2005-11-02 권상환 손잡이가 틸팅 된 우산
US7275668B1 (en) * 2003-11-14 2007-10-02 Emmitt Carroll Umbrella/cup holder device
JP2009165787A (ja) * 2008-01-11 2009-07-30 Tsuneo Sakuma 日傘ショルダー器具
KR101482915B1 (ko) * 2014-10-27 2015-01-16 정민시 우산거치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6826A (en) * 1958-10-03 1960-03-01 Conrad William Adjustable umbrella holder
US7275668B1 (en) * 2003-11-14 2007-10-02 Emmitt Carroll Umbrella/cup holder device
KR20050104199A (ko) * 2004-04-28 2005-11-02 권상환 손잡이가 틸팅 된 우산
JP2009165787A (ja) * 2008-01-11 2009-07-30 Tsuneo Sakuma 日傘ショルダー器具
KR101482915B1 (ko) * 2014-10-27 2015-01-16 정민시 우산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43765A1 (ko) 휴대용 전자,전기 기기의 액세서리
WO2016137288A1 (ko)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
WO2016068540A1 (ko) 우산거치대
WO2014209011A1 (ko) 진공 또는 방수 케이스
WO2021015355A1 (ko) 비천공식 커튼 브래킷
WO2020231025A1 (ko) 촬영용 거치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US20110267754A1 (en) Bag computer sliding deployment display panel assembly
WO2013081312A1 (ko) 클립형 상의 빠짐 방지장치
WO2020111694A1 (ko) 마감시트 고정장치
WO2012108644A2 (ko) 분리형 배낭
WO2016076535A1 (ko) 이젤
WO2021096198A1 (ko) 유아용 턱받이
WO2017159905A1 (ko) 타입 가변형 헬멧
WO2018021638A1 (ko) 이물질 유입 방지 유니폼
WO2021167226A1 (ko) 셀카용 휴대폰 고정대
WO2014025132A1 (ko) 접이식 옷걸이
WO2014137146A1 (ko) 휴대기기용 손잡이와 이를 포함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WO2017078357A1 (ko)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 우산
WO2022103066A1 (ko) 통풍 옷걸이
KR101914001B1 (ko)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
WO2016088945A1 (ko) 휴대기기 케이스
WO2019212225A1 (ko) 우산 장착이 가능한 가방
WO2020091374A1 (ko) 차량용 차양 장치
WO2020122527A1 (ko) 차양 복합 배낭
WO2015163717A1 (ko) 우산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6237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6237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