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67226A1 - 셀카용 휴대폰 고정대 - Google Patents

셀카용 휴대폰 고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67226A1
WO2021167226A1 PCT/KR2020/018752 KR2020018752W WO2021167226A1 WO 2021167226 A1 WO2021167226 A1 WO 2021167226A1 KR 2020018752 W KR2020018752 W KR 2020018752W WO 2021167226 A1 WO2021167226 A1 WO 202116722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ixing band
mobile phone
fixing
band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875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김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수 filed Critical 김민수
Priority to JP2022544674A priority Critical patent/JP7292522B2/ja
Priority to US17/801,137 priority patent/US20230072993A1/en
Priority to CN202080094953.2A priority patent/CN115053509A/zh
Publication of WO202116722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6722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with ball-j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태엽이 장착되는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전면에 볼 조인트로 연결되는 헤드부(20)와; 상기 태엽과 연결되어, 상기 바디(10)의 측면을 통하여 상기 바디(10)의 내부에서 인출 및 인입되는 고정밴드(40)와; 일단이 상기 바디(10)의 전면 상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밴드(40)의 단부와 연결되는 상부 고정밴드(40-1)와; 일단이 상기 바디(10)의 전면 하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밴드(40)의 단부와 연결되는 하부 고정밴드(40-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상부 고정밴드(40-1)와 상기 하부 고정밴드(40-2) 각각이 상기 바디(10)의 상측과 하측을 각각 당겨서 지지함으로써 상기 바디(10)를 상기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셀카용 휴대폰 고정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셀카용 휴대폰 고정대
본 발명은 휴대폰 고정대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셀프 카메라 촬영을 위하여 휴대폰을 벽체나 기둥 등에 쉽게 고정시키기 위한 장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의 카메라 성능이 좋아지면서 디지털 카메라와 유사한 성능과 기능을 보유하게 되어, 여행시 또는 평상시에도 별도의 카메라를 지참하지 않고 스마트폰만으로 사진 촬영을 하여 보관하거나 사진촬영 즉시 각종 SNS에 업로드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때 스마트폰으로는 타인의 도움이 없이 혼자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거나 단체사진을 촬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으로 구성되어 접고 펼 수 있는 소위 "셀카봉(셀프 카메라용 거치봉)"이 고안되어 이를 이용하여 타인의 도움없이 셀프 카메라(이하 "셀카"라 함)를 촬영하는 방법이 전세계적으로 널리 보편화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셀카봉이 다단으로 구성되어 이를 접어서 부피를 쉽게 줄일 수 있었지만, 그래도 들고 다니기에 부피가 상당히 큰 불편함이 있었으며, 다단으로 펼 수 있다고 하여도 그 길이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셀카봉을 길게 핀 상태에서 팔을 뻗어 들고 있는 경우 무게의 부담 때문에 팔이 떨려서 사진이 흔들려서 찍히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20-0481747호에서 개시된 바와 같은 셀카봉용 삼각대가 고안되기도 하였는데(도 10 참조), 셀카봉에 결합시켜 상기 셀카봉을 지면에 세울 수 있도록 구성한 제품이다. 이 경우, 휴대폰의 흔들림이 없어서 선명한 사진을 얻을 수는 있을 지라도 다양한 각도의 사진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아래에서 위쪽으로 찍는 사진 밖에 얻을 수 없으며 지면에 세외두고 촬영하는 것이므로 넘어져서 스마트폰이 파손될 위험을 안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을 철로 구성된 벽체나 기둥 등에 손쉽게 간단히 부착하거나 나무 기둥 등과 같은 물체에 손쉽고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대를 통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편하게 셀카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 고정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에 태엽이 장착되는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전면에 볼 조인트로 연결되어 자유로이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헤드부(20)와; 상기 헤드부(20)에 구비되며, 자석으로 구성되어 휴대폰을 부착, 고정시키는 휴대폰 부착판(21)과; 상기 태엽과 연결되어, 상기 바디(10)의 측면을 통하여 상기 바디(10)의 내부에서 인출 및 인입되며, 소정의 폭을 갖는 밴드형으로 구성되고, 탄성체로 형성되는 고정밴드(40)와; 일단이 상기 바디(10)의 전면 상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밴드(40)의 단부와 연결되며, 소정의 폭을 갖는 밴드형으로 구성되는 상부 고정밴드(40-1)와; 일단이 상기 바디(10)의 전면 하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밴드(40)의 단부와 연결되며, 소정의 폭을 갖는 밴드형으로 구성되는 하부 고정밴드(40-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고정밴드(40)의 임의 부분을 잡아 당겨서 상기 바디(10)를 고정시킬 구조물에 둘러 감아서 고정시킬 때, 상기 상부 고정밴드(40-1)와 상기 하부 고정밴드(40-2) 각각이 상기 바디(10)의 상측과 하측을 각각 당겨서 지지함으로써 상기 바디(10)를 상기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용 휴대폰 고정대를 제안한다.
이때, 상기 바디(10)의 후면에는, 상기 바디(10)의 중앙 부위를 제외한 영역에 상기 바디(10)의 테두리를 따라 자석(31)이 구비되되, 복수개의 자석이 상기 바디(10)의 테두리를 따라 나란히 배치되거나, 혹은 상기 바디(10)의 테두리와 동심 구조의 링 형상의 자석이 상기 바디(10)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디(10)에는 상기 고정밴드(40)가 출입하는 부분의 반대쪽에 걸이부(11)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밴드(40)를 걸어 체결하되, 상기 걸이부(11)는 돌출형성되며, 상기 고정밴드(40)를 상기 걸이부(11)에 걸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걸이부(11)는 요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밴드(40)에는 막대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밴드(40) 상에서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 체결구(41)를 구비하여, 상기 체결구(41)를 상기 걸이부(11)에 삽입 장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휴대폰 부착판(21)에 휴대폰의 양단을 잡아서 고정하는 그립부재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바디(10)의 일측에는 브레이크(12)가 구비되어, 필요시 상기 브레이크(12)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태엽에 의한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고정밴드(4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바디 뒷면의 자석에 의해 철판으로된 판이나 기둥 등에 간단히 부착하거나, 나무나 기타 구조물에 길이를 자유로이 연장할 수 있는 고정밴드로 묶어 고정하여 위치를 손쉽게 확보할 수 있는 셀카용 휴대폰 고정대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팔 힘에 의지하지 않고 손쉽게 셀카를 촬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핸드폰의 크기와 무게에 구애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는 우수한 지지력을 갖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와 상관없이 어떠한 구조물에도 부착,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인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그리고 휴대폰과 피사체의 거리에 구애받지 않고 셀카 촬영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고정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고정대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고정대의 자석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부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9는 종래 셀카봉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종래 셀카봉용 삼각대를 보여주는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자명한 사항, 그리고 각 실시예에서 중복 적용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고정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고정대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고정대의 자석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부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9는 종래 셀카봉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종래 셀카봉용 삼각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셀카봉을 잡고 팔을 뻗어 휴대폰으로 셀프 카메라(셀카)를 촬영하거나 바닥에 휴대폰용 삼각대를 설치하여 셀카를 촬영하던 것을, 셀카봉이나 삼각대를 이용하지 않고 주변의 구조물에 손쉽게 부착하여 다양한 각도로 힘들이지 않고 편하게 셀카를 촬영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셀카용 휴대폰 고정대에 대한 일 실시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바디(10), 헤드부(20), 휴대폰 부착판(21), 고정밴드(40), 상부 고정밴드(40-1) 및 하부 고정밴드(4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디(10)는 내부에 태엽(미도시)이 구비되며, 상기 태엽의 끝단에 상기 고정밴드(40)가 연결된다. 상기 태엽의 힘으로 인해 상기 고정밴드(40)가 상기 바디(10) 내측으로 당겨지는 힘을 받아, 항상 상기 바디(10) 내측으로 말려 들어가게 된다. 즉, 사용자가 본 발명 휴대폰 고정대를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밴드(40)을 잡아 당겨서 고정시키고 사용 후 상기 고정밴드(40)를 놓으면 상기 태엽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밴드(40)가 당겨져서 상기 바디(10) 내부로 당겨 들어가게 된다.
상기 고정밴드(40)는 일단이 상기 태엽과 연결되며,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고정대를 나무, 가로등 또는 기타 구조물에 묶어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고정밴드(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폭을 가진 밴드의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밴드(40)은 탄성이 없는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고무밴드와 같이 소정의 탄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탄성체로 구성되어야 본 발명의 목적을 안정적으로 구현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고정밴드(40-1)는 상기 고정밴드(4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며, 일단은 상기 바디(10)의 전면 상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밴드(40)의 단부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하부 고정밴드(40-2) 역시 상기 고정밴드(4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며, 일단은 상기 바디(10)의 전면 하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밴드(40)의 단부에 연결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고정밴드(40-1)의 타단과 상기 하부 고정밴드(40-2)의 타단과 상기 고정밴드(40)의 단부가 서로 만나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상부 고정밴드(40-1)와 상기 하부 고정밴드(40-2)는 상기 고정밴드(40)와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상부 고정밴드(40-1)와 상기 하부 고정밴드(40-2)는 비탄성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고정밴드(40-1)와 상기 하부 고정밴드(40-2) 각각의 일단은 상기 바디(10)의 전면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고정되는데, 그 고정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접착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으며, 상기 바디(10)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장될 수도 있으며, 상기 바디(10)의 전면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에 터미널(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고정밴드(40-1)와 상기 하부 고정밴드(40-2) 각각의 일단이 상기 터미널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터미널 역시 그 구성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상부 고정밴드(40-1)와 상기 하부 고정밴드(40-2) 각각이 상기 각 터미널에 고정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터미널을 후술할 걸이부(11)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상부 고정밴드(40-1)와 상기 하부 고정밴드(40-2) 각각의 일단 위에 상기 터미널을 눌러 나사 등의 체결수단으로고정시키는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도 1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위와 같이 구성된 상기 고정밴드(40)의 중간 부분을 잡아 당겨서 상기 바디(10)에 구비되는 걸이부(11)에 걸어서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걸이부(11)는, 상기 고정밴드(40)가 상기 바디(10)에서 출입하는 출입구 부분의 반대쪽에 돌출되어 구비되어, 상기 고정밴드(40)를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상기 고정밴드(40)가 안전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걸이부(11)는 ㄱ자 형상으로 꺾여 절곡된 고리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에서 다른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밴드(40)의 중간 부분을 잡아 당겨서 상기 헤드부(20)를 통과시켜 후술할 볼 조인트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고정대를 나무기둥 등과 같은 구조물(90)에 고정 설치하여 사용하는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고정대를 상기 고정밴드(40)를 이용하여 구조물(90)에 고정시킬 때, 상기 상부 고정밴드(40-1)와 상기 하부 고정밴드(40-2)가 상기 바디(10)의 전면 상측과 하측에 각각 고정되어 당겨짐으로써, 상기 바디(10)를 상부와 하부에 두 개의 밴드로 감아서 고정시키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구조물(90)에도 상기 고정밴드(40)가 두 겹으로 감겨서 당겨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상기 바디(10)와 상기 구조물(90)을 소정의 폭을 가진 밴드로 상측과 하측을 각각 감아서 2개의 밴드로 고정시킴으로써, 하나의 밴드나 하나의 와이어로 감아서 고정하는 경우와는 그 지지력이 확연하게 차이가 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바디(10)의 헤드부(20)에 휴대폰(100)을 장착하여 상기 구조물(90)에 설치할 때, 만일 상기 상부 고정밴드(40-1)와 상기 하부 고정밴드(40-2) 없이 상기 바디(10)의 측면에서 출입되는 상기 고정밴드(40)의 단부를 당겨서 한 줄로만 감아서 고정하게 되는 경우, 상기 고정밴드(40)는 바디(10)의 중심부를 지나는 선상에서 고정되며, 상기 헤드부(20)에 장착된 상기 휴대폰(100)은 상기 바디(10)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위치하게 되므로 그 무게중심이 전방으로 이동해 있어서 상기 휴대폰(100)의 무게로 인한 토크 때문에 상기 바디(10)가 상기 구조물(90)에 밀착되어 고정되지 못하고 전방으로 기울어져 뒤집어지는 결과가 야기된다. 따라서, 가는 와이어나 한겹의 밴드로는 위와 같이 상기 바디(10)를 안정적으로 튼튼하게 지탱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위와 같이 상기 휴대폰(100)의 무게로 인한 토크때문에 뒤집히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바디(10)의 상, 하부를 모두 밴드로 감아 고정시키는 효과와 상기 구조물(90)을 두 겹으로 튼튼하게 감는 효과를 주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제안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밴드(40)를 돌출된 상기 걸이부(11)에 거는 구성 대신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밴드(40)에는 긴 막대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밴드(40) 상에서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는 체결구(41)를 구비하고, 상기 걸이부(11)는 막대형상의 상기 체결구(41)가 적절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입구가 좁은 요홈부로 형성되는 슬롯형으로 구비되어, 막대형상의 상기 체결구(41)가 상기 걸이부(11)에 슬라이드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체결구(41)는 배낭 등에서 밴드형 끈을 조이거나 풀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부품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체결구(41)는 고리 형상의 링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롯형 걸이부(11) 대신 상기 ㄱ자 고리형 걸이부(11)를 구비하여, 상기 체결구(41)의 링을 상기 ㄱ자 고리형 걸이부(11)에 걸어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체결구(41)의 링은 탄성이 있는 재질의 링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탄성이 없는 일반 금속링이나 플라스틱 링이 사용될 수도 있다.
위에서 언급된 상기 체결부(41)와 상기 걸이부(11)의 구조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 체결부(41)를 상기 바디(10)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이라면, 벨크로 테이프나 단추형 등 기타 어떠한 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바디(10)의 일측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12)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밴드(40)는 상기 바디(10)의 내부에 구비되는 태엽에 연결되어 상기 바디(10)의 내측으로 잡아 당겨지게 되는데, 상기 상부 고정밴드(40-1)의 타단과 상기 하부 고정밴드(40-2)의 타단이 만나 연결되는 상기 고정밴드(40)의 단부가 상기 바디(10)의 측면에 걸리어 상기 바디(10)의 내부로 더 이상 들어가지 못하게 구성된다.
사용자가 본 발명 휴대폰 고정대를 사용할 때, 상기 휴대폰 고정대를 원하는 구조물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정밴드(40)을 잡아 당겨서 상기 걸이부(11) 또는 상기 볼 조인트에 걸기 위한 작업을 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태엽의 탄성력 때문에 상기 고정밴드(40)를 구조물에 감아 걸기 위한 작업이 어려울 때가 있다. 이에 상기 고정밴드(40)를 소정 길이 만큼 미리 꺼내어 놓고 상기 브레이크(12)를 작동시켜서 상기 고정밴드(40)가 상기 바디(10) 내부로 감겨 들어가지 않도록 고정시켜 작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12)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자에서 사용되고 있는 브레이크가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헤드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에 볼 조인트로 연결되어 상기 헤드부(20)가 상기 바디(10)에 대하여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상기 볼 조인트는, 볼(50)이 상기 바디(10)에 고정되고 상기 헤드부(20) 내부에 볼(50)이 삽입되어, 상기 헤드부(20)만 볼(50)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볼(50)이 상기 헤드부(20)에 고정되고 상기 바디(10) 내부에 상기 볼(50)이 삽입되어, 상기 헤드부(20)와 고정 연결된 상기 볼(50)이 상기 바디(10)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헤드부(20)는 휴대폰(100)이 부착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휴대폰(100)을 상기 헤드부(20)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휴대폰 부착판(21)이 구비된다. 상기 휴대폰 부착판(21)은 자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헤드부(20)의 전면에 부착될 수도 있으며, 상기 헤드부(20)의 내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휴대폰(100)의 후면에 금속판을 부착시키거나 휴대폰 케이스의 후면에 금속판을 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휴대폰 부착판(21)이 구비된 상기 헤드부(20)에 상기 휴대폰 후면의 금속판을 가까이 가져갈 경우 자력에 의해 상기 휴대폰이 상기 헤드부(20)에 부착된다.
상기 볼 조인트의 작용에 의해, 사용자가 상기 휴대폰(100)을 손으로 움직이면서 손쉽게 상기 휴대폰의 각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대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10)의 뒷면에 자석(31)을 구비하여,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고정대를 자석이 붙는 소재의 구조물(90)에 쉽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고정밴드(40)을 사용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고정대를 자력으로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아주 손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등산시의 경우와 같이 자석이 부착될 수 있는 구조물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밴드(40)을 사용하여 구조물(90)에 부착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자석(31)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네오디움 자석 등 다양한 자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자석(31)은 상기 바디(10) 후면에 장착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의 후면에 별도의 고정판(30)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판(30)에 장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에서는 상기 자석(31)이 상기 고정판(30)에 구비되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는데, 도 4의 (a)에서는 복수개의 자석(31)이 상기 고정판(30)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4의 (b)에서는 도넛과 같은 링 형상의 자석(31)이 상기 고정판(30)의 테두리의 형상을 따라 상기 고정판(30)과 동심 구조로 배치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물론, 상기 자석(31)은 상기 고정판(30)에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상기 자석(31)이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방식으로 상기 바디(10)의 후면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의 (a) 및 (b)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자석(31)은 상기 바디(10) 혹은 고정판(30)의 중앙 부분에는 배치되지 않는 것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중 하나이다. 상기 바디(10)의 내부에는 태엽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태엽은 상기 바디(10)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자석(31)이 상기 바디(10) 혹은 고정판(30)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는 경우, 금속으로 된 상기 태엽이 상기 자석(31)의 자력때문에 제대로 움직이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태엽이 제대로 동작하기 위하여는 상기 자석(31)이 상기 바디(10) 혹은 고정판(30)의 중앙 부분을 제외한 테두리 부분쪽에 배치되어야 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 또는 상기 고정판(30)의 후면에는 오목한 홈부(3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고정대를 구조물(90)에 설치할 때, 상기 바디(10) 또는 상기 고정판(30)의 후면에 오목한 홈부(32)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구조물(90)과의 밀착력을 더욱 높여, 더욱 견고한 장착이 가능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고정대를 나무기둥 등과 같은 구조물(90)에 고정 설치하여 사용할 때, 크기가 너무 크거나 장식물을 많이 부착하여 중량이 큰 휴대폰(100)인 경우, 상기 구조물(90)에 고정하여도 앞으로 기울어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바디(10)의 후면에 지지판(6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60)은 상기 휴대폰(100)의 중량에 의해 아래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이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아니라,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수평한 구조물(90)에 장착되는 경우에 대비하여 좌우로 길게 형성된 지지판(60)도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자 형태의 지지판(60)이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지지판(60)은 자석에 잘 부착되며 강도가 높은 소재의 것이 바람직하며,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상기 바디(10)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상기 바디(10) 또는 상기 고정판(30)의 뒷면 또는 상기 지지판(60)의 뒷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패드 또는 실리콘 패드가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헤드부(20)에는, 도 9에 나타나 있는 도면 부호 300과 같이 휴대폰(100)을 잡아 고정시키는 그립부재(300)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그립부재(300)의 후면에 금속판을 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휴대폰 부착판(21)이 구비된 상기 헤드부(20)에 상기 그립부재(300) 후면의 금속판을 가까이 가져갈 경우 자력에 의해 상기 그립부재(300)가 상기 헤드부(20)에 부착되어 사용된다. 상기 그립부재(300)는 셀카봉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은 구조의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고정대에 의하면, 일상 생활 중 또는 레저활동 중에 셀카를 촬영하기 위하여, 본 발명 휴대폰 고정대에 휴대폰(100)을 자석의 힘으로 간단히 부착시키고 주변의 구조물(90)에도 자석의 힘으로 손쉽게 부착하여, 원거리에서 리모콘이나 제스쳐샷으로 셀카를 촬영할 수 있다. 물론, 자석이 부착될 수 없는 구조물(90)의 경우에는 고정밴드(40)를 이용하여 본 발명 휴대폰 고정대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고정밴드(40-1)와 상기 하부 고정밴드(40-2)가 본 발명 휴대폰 고정대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밴드(40)가 두 겹으로 구조물(90)을 감싸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휴대폰(100)의 무게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고정대가 전방으로 기울어져 뒤집어 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Claims (6)

  1. 내부에 태엽이 장착되는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전면에 볼 조인트로 연결되어 자유로이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헤드부(20)와;
    상기 헤드부(20)에 구비되며, 자석으로 구성되어 휴대폰을 부착, 고정시키는 휴대폰 부착판(21)과;
    상기 태엽과 연결되어, 상기 바디(10)의 측면을 통하여 상기 바디(10)의 내부에서 인출 및 인입되며, 소정의 폭을 갖는 밴드형으로 구성되고, 탄성체로 형성되는 고정밴드(40)와;
    일단이 상기 바디(10)의 전면 상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밴드(40)의 단부와 연결되며, 소정의 폭을 갖는 밴드형으로 구성되는 상부 고정밴드(40-1)와;
    일단이 상기 바디(10)의 전면 하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밴드(40)의 단부와 연결되며, 소정의 폭을 갖는 밴드형으로 구성되는 하부 고정밴드(40-2);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고정밴드(40)의 임의 부분을 잡아 당겨서 상기 바디(10)를 고정시킬 구조물에 둘러 감아서 고정시킬 때, 상기 상부 고정밴드(40-1)와 상기 하부 고정밴드(40-2) 각각이 상기 바디(10)의 상측과 하측을 각각 당겨서 지지함으로써 상기 바디(10)를 상기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용 휴대폰 고정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의 후면에는,
    상기 바디(10)의 중앙 부위를 제외한 영역에 상기 바디(10)의 테두리를 따라 자석(31)이 구비되되,
    복수개의 자석이 상기 바디(10)의 테두리를 따라 나란히 배치되거나,
    상기 바디(10)의 테두리와 동심 구조의 링 형상의 자석이 상기 바디(10)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것,
    혹은,
    상기 바디(10)의 후면에는 고정판(30)이 더욱 구비되어,
    상기 고정판(30)의 중앙 부위를 제외한 영역에 상기 고정판(30)의 테두리를 따라 자석(31)이 구비되되,
    복수개의 자석이 상기 고정판(30)의 테두리를 따라 나란히 배치되거나,
    상기 고정판(30)의 테두리와 동심 구조의 링 형상의 자석이 상기 바디(10)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용 휴대폰 고정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에는 상기 고정밴드(40)가 출입하는 부분의 반대쪽에 걸이부(11)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밴드(40)를 걸어 체결하되,
    상기 걸이부(11)는 돌출형성되며, 상기 고정밴드(40)를 상기 걸이부(11)에 걸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걸이부(11)는 요홈부를 구비하는 슬롯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밴드(40)에는 막대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밴드(40) 상에서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 체결구(41)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구(41)가 상기 걸이부(11)에 삽입 장착하도록 구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용 휴대폰 고정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의 후면 또는 상기 고정판(30)의 후면에는,
    오목하게 홈부(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용 휴대폰 고정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부착판(21)에 휴대폰의 양단을 잡아서 고정하는 그립부재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용 휴대폰 고정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의 후면에는,
    오목하게 홈부(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용 휴대폰 고정대.
PCT/KR2020/018752 2020-02-19 2020-12-21 셀카용 휴대폰 고정대 WO2021167226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544674A JP7292522B2 (ja) 2020-02-19 2020-12-21 自撮り用の携帯電話スタンド
US17/801,137 US20230072993A1 (en) 2020-02-19 2020-12-21 Mobile phone fixing stand for selfies
CN202080094953.2A CN115053509A (zh) 2020-02-19 2020-12-21 自拍用手机固定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636 2020-02-19
KR20200020636 2020-02-19
KR10-2020-0078078 2020-06-25
KR1020200078078A KR102182452B1 (ko) 2020-02-19 2020-06-25 셀카용 휴대폰 고정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67226A1 true WO2021167226A1 (ko) 2021-08-26

Family

ID=73679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8752 WO2021167226A1 (ko) 2020-02-19 2020-12-21 셀카용 휴대폰 고정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72993A1 (ko)
JP (1) JP7292522B2 (ko)
KR (1) KR102182452B1 (ko)
CN (1) CN115053509A (ko)
WO (1) WO20211672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452B1 (ko) * 2020-02-19 2020-11-24 김민수 셀카용 휴대폰 고정대
CN214014288U (zh) * 2020-12-10 2021-08-20 李泳博 一种适用于手机支架的磁吸底座
USD1011807S1 (en) * 2021-06-11 2024-01-23 Nite Ize, Inc. Stand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571B1 (ko) * 2009-02-23 2011-03-09 송민기 손목 착용장치
JP2015155937A (ja) * 2014-02-20 2015-08-27 利和 崎山 電子機器用固定具
KR20180005417A (ko) * 2016-07-06 2018-01-16 장종환 천장 부착형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20180097207A (ko) * 2017-02-23 2018-08-31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주 설치형 관광지 배경 촬영사진 제공시스템
KR101983729B1 (ko) * 2016-08-25 2019-05-29 홍 왕 조절식 전자기기 마운트
KR102182452B1 (ko) * 2020-02-19 2020-11-24 김민수 셀카용 휴대폰 고정대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2137574T3 (en) * 2007-04-17 2016-02-15 Black Rapid Inc Improved system and method for camera transport
CN202955450U (zh) * 2012-12-24 2013-05-29 厦门市爱维达电子有限公司 一种抱杆式通信基站用户外防水电源固定座
CN103248093A (zh) * 2013-05-03 2013-08-14 天津正思信信息技术有限公司 具有固定带的充电器
KR101491500B1 (ko) * 2014-10-10 2015-02-09 주식회사 팝폰 셀프 촬영이 가능한 휴대폰용 거치대
US20160209733A1 (en) * 2015-01-19 2016-07-21 Yoshiko Akai Holder for mobile devices to take self-portraits or selfies remotely
KR200481747Y1 (ko) 2015-02-24 2016-11-04 박범진 셀카봉용 삼각대
CN204887121U (zh) * 2015-08-06 2015-12-16 金珠彩 一种自拍杆
CN205123826U (zh) * 2015-12-01 2016-03-30 陈建辉 一种用于手机支撑的固定架
KR20170004267U (ko) * 2016-06-10 2017-12-20 나영환 다목적 핸드폰 거치대 구조체
JP2018097188A (ja) * 2016-12-14 2018-06-21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グリップベルト及び撮像装置
CN208798029U (zh) * 2018-11-22 2019-04-26 怀宇晨 一种可穿戴式手机支架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571B1 (ko) * 2009-02-23 2011-03-09 송민기 손목 착용장치
JP2015155937A (ja) * 2014-02-20 2015-08-27 利和 崎山 電子機器用固定具
KR20180005417A (ko) * 2016-07-06 2018-01-16 장종환 천장 부착형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101983729B1 (ko) * 2016-08-25 2019-05-29 홍 왕 조절식 전자기기 마운트
KR20180097207A (ko) * 2017-02-23 2018-08-31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주 설치형 관광지 배경 촬영사진 제공시스템
KR102182452B1 (ko) * 2020-02-19 2020-11-24 김민수 셀카용 휴대폰 고정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72993A1 (en) 2023-03-09
JP2023518336A (ja) 2023-05-01
CN115053509A (zh) 2022-09-13
KR102182452B1 (ko) 2020-11-24
JP7292522B2 (ja) 2023-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67226A1 (ko) 셀카용 휴대폰 고정대
US20150034685A1 (en) Electronic product carrier adapted to be hung on a neck
US20130200118A1 (en) Multi-functional holster for electronic device
WO2020231025A1 (ko) 촬영용 거치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CA2109752A1 (en) Non-furling flag mount
KR200479777Y1 (ko) 셀프 촬영용 스마트폰 거치대
WO2021054575A1 (ko) 카메라 가방
KR101914868B1 (ko) 셀카기능을 가지는 등산스틱
CN208764608U (zh) 一种自带便携支撑三脚架的自拍杆
CN106955471B (zh) 带自拍功能的羽毛球系统
KR200489527Y1 (ko) 목걸이형 휴대용 선풍기 거치대
WO2018056685A1 (ko) 골프 스윙자세 촬영용 스마트폰 거치장치
WO2013180331A1 (ko) 카메라 홀더
WO2014036698A1 (zh) 一种摄影帐
CN208901011U (zh) 一种全收纳三脚架自拍杆
US20070090265A1 (en) Easel
KR101308042B1 (ko) 레저용 스틱
CN220966681U (zh) 一种用于个人配件的多用途支架装置
JPH04505875A (ja) ゴルフバッグ用二重ストラップキャリヤ装置
JPS624175Y2 (ko)
CN210034921U (zh) 一种应用于自拍杆的支脚安装结构
CN210783327U (zh) 便携式野外防护蚊帐及其取出机构
WO2015013898A1 (en) Electronic product carrier adapted to be hung on a neck
US20210105989A1 (en) Fish Holding Apparatus
CN215136673U (zh) 一种网宽可调的便携式球网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2008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44674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2008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