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0571B1 - 손목 착용장치 - Google Patents

손목 착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0571B1
KR101020571B1 KR1020090014904A KR20090014904A KR101020571B1 KR 101020571 B1 KR101020571 B1 KR 101020571B1 KR 1020090014904 A KR1020090014904 A KR 1020090014904A KR 20090014904 A KR20090014904 A KR 20090014904A KR 101020571 B1 KR101020571 B1 KR 101020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st
wire
housing
concave groove
high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4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5882A (ko
Inventor
송민기
Original Assignee
송민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민기 filed Critical 송민기
Priority to KR1020090014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0571B1/ko
Publication of KR20100095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5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0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0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1/00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2C-spring-type bracelets or wrist-watch holder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5/00Time pieces of which the indicating means or cases provoke special effects, e.g. aesthetic effects
    • G04B45/0076Decoration of the case and of parts thereof, e.g. as a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목 시계 또는 휴대폰과 같은 소형기기들을 손목에 쉽게 착용하기 위한 손목 착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손목위에 올려지는 하우징의 내부 원형 공간 중앙에 와이어가 감겨서 보관되는 고정보빈과, 와이어를 직선적으로 안내하도록 회전하는 회전보빈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보빈에는 손목 시계 또는 휴대폰과 같은 소형기기가 그 상부측에 고정되고, 와이어는 고정보빈에 감겨서 보관되며, 회전보빈의 둘레를 거쳐서 직선이동으로 안내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와이어를 고정보빈으로부터 회전보빈을 통해 풀어서 하우징의 외측에서 사용자의 손목에 감은 다음, 와이어의 끝단을 고정보빈의 상부 모서리에 감아 고정시켜 손목에 소형기기를 착용하도록 사용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손목 시계 또는 휴대폰과 같은 소형기기들을 손목에 착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목 굵기에 따른 별도의 밴드 길이조정이 불필요하고, 와이어를 손목에 감아서 쉽게 소형기기들을 손목에 착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손목 시계, 휴대폰 장착기기, 손목 착용장치, 와이어, 고정보빈, 회전보빈

Description

손목 착용장치{APPARATUS FOR WEARING INSTRUMENTS ON THE WRIST}
본 발명은 손목 시계 또는 휴대폰과 같은 소형기기들을 손목에 쉽게 착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내장된 와이어를 풀어서 손목에 감고, 와이어 끝단이 풀리지 않도록 걸림 홈에 고정시켜 쉽게 소형기기를 손목에 착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길이 조정이 불필요하여 사용하기 편리한 손목 착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 생활에 있어서 손목 시계 또는 휴대폰등의 소형기기들은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으로 되어 있다. 요즘은 휴대폰에 시간 표시 기능을 내장하여 손목 시계 기능을 대신하도록 된 제품이 일반적이어서 별도의 손목 시계가 불필요한 경우가 있으나, 아직도 손목 시계는 그 사용상의 편리함으로 인하여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손목 시계(1)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브멘트를 내장한 본체부(10)가 상부에 위치되어 시간을 외부로 표시하고, 상기 본체부(10)의 하부에는 이와 같은 본체부(10)를 사용자의 손목에 고정하기 위한 밴드부(20)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밴드부(20)를 손목에 감아서 손목 시계(1)를 착용하여 시간을 알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휴대폰의 경우에도 사용상의 편리함으로 인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휴대폰을 주머니, 가방 또는 핸드백 등에 넣어 다니다가 전화가 오거나 휴대폰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에 쥐고 통화한다.
한편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종종 사무실이나 가정에 놓아두는데, 이와 같은 경우 휴대폰을 분실하기 쉽다.
이와 같이 종래의 휴대폰은 주머니, 가방 또는 핸드백 속에 넣어 다니기 때문에 전화가 오면 휴대폰을 급히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이와 같이 급하게 휴대폰을 찾다 보니 휴대폰을 떨어트리거나 하여 고장이 발생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야외에서 작업을 하거나 레저, 스포츠 등을 즐기고 있는 경우에는, 전화가 오면 야외작업이나 레저 스포츠 등을 잠시 중단하고 전화통화를 하여야 하므로 사용상 번거롭고, 사무중인 경우에는 양손으로 컴퓨터를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화 통화하기 어려운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손목에 휴대폰을 착용하기 위한 휴대폰 장착장치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허 제 10-0795156호의 "휴대폰 착용기기"로 제안되어 사용상 편리함을 얻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폰 착용기기(50)는 휴대폰(60)을 고정하기 위한 휴대폰 장착부(70)를 상부측에 형성하고, 그 하부측으로는 복수의 밴드부(80)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손목 시계(1)나 휴대폰 착용기기(50)들은 모두 손목 시계와 휴대폰들을 손목에 착용하기 위하여 각각 밴드부(20)(80)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밴드부(20)(80)는 사용자의 손목 굵기에 따라서 그 길이를 조절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손목 굵기가 너무 가늘거나 굵은 사람의 경우에는 상기 밴드부(20)(80)에 이미 마련되어 있는 구멍을 이용하지 못하게 되어 새롭게 밴드부(20)(80)에 구멍을 뚫고서 걸이핀(미 도시)을 고정하여 손목에 착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손목 시계 또는 휴대폰과 같은 소형기기들을 손목에 착용하되, 손목 굵기에 따른 별도의 밴드 길이조정이 불필요하고, 와이어를 손목에 감아 쉽게 소형기기들을 손목에 착용할 수 있어서 사용상 편리함을 크게 개선한 손목 착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착용장치는, 소형기기들을 손목에 착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손목위에 올려지는 바닥판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는 원형벽을 돌출시켜 내부에 원형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원형벽의 일측으로는 복수의 출입 구멍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원형 공간 중앙에 직립하여 세워진 축의 상단에 하면이 고정되고, 상부면에는 소형기기가 장착되며, 그 테두리에는 오목홈이 형성되어 와이어가 감겨서 보관되는 고정보빈; 상기 하우징의 축 중간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테두리에는 오목홈이 형성되며, 상기 오목홈에 와이어가 감겨 안내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를 직선적으로 이동시키는 회전보빈; 및 상기 고정보빈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보빈의 오목홈에 감겨서 보관되며, 그 중간부분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된 하부측 회전보빈의 둘레에 감겨서 직선이동으로 안내되고, 그 타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직경이 확대된 돌출부의 자유 단부를 형성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를 상부측 고정보빈의 오목홈으로부터 풀어서 하우징의 외측에서 사용자의 손목에 감은 다음, 그 자유단부를 상기 고정보빈의 상부 모서리에 감아 고정시켜 손목에 소형기기를 착용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본 발명은 손목 시계 또는 휴대폰과 같은 소형기기들을 손목에 착용하되, 손목 굵기에 따른 별도의 밴드 길이조정이 불필요하고, 와이어를 손목에 감아서 쉽게 소형기기들을 손목에 착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보빈은 오목홈의 상,하부 테두리에 각각 하향으로 휘어진 단턱부를 형성하여 상기 오목홈의 상부측으로는 와이어가 벗어남을 방지하고, 오목홈의 하부측으로는 와이어가 쉽게 벗겨지도록 유도하며, 상기 오목홈의 상부 테두리에는 그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걸림 홈들을 다수 형성하여 와이어가 감겨 고정되는 한편, 하부면에는 너트가 압입되고, 하우징의 축에 나사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와이어를 고정보빈에 감거나 푸는 과정에서 오목홈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게 되며, 와이어의 자유단부를 쉽게 고정보빈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보빈은 오목홈의 상부 테두리에 하향으로 휘어진 단턱부를 형성하여 와이어가 회전보빈의 오목홈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와이어는 회전보빈에 안정된 상태로 감기게 되어 회전보빈의 회전작동중에 오목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직선 안내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이어는 그 자유단부에 형성된 돌출부의 직경이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출입 구멍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의 자유단부는 하우징의 외측에 위치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와이어는 그 자유단부가 하우징의 외측에 위치되어 하우징으로부터 와이어를 쉽게 당겨 인출할 수 있고, 사용상의 편리함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착용장치는 고정보빈상에 손목 시계 또는 휴대폰과 같은 소형기기들을 장착한 상태에서 와이어를 고정보빈으로부터 풀어서 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시키고, 손목에 감은 다음, 와이어의 자유단부를 상기 고정보빈의 상부 테두리에 마련된 걸림홈에 감아서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목 굵기가 작거나 큰 경우에도 종래와 같이 손목 굵기에 따른 별도의 밴드 길이조정이 불필요하고, 와이어를 손목에 감아서 쉽게 손목 시계 또는 휴대폰과 같은 소형기기들을 손목에 착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 편리함이 크게 개선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착용장치(100)는 손목 시계 또는 휴대폰과 같은 소형기기(P)들을 손목(W)에 쉽게 착용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착용장치(100)는 도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W) 위에 올려지는 바닥판(112)을 구비한 하우징(11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하 우징(110)은 상부 개방형으로서, 상기 바닥판(112)의 상부에는 원형벽(114)을 돌출시켜 내부에 원형공간(116)을 형성하며, 상기 원형벽(114)의 일측으로는 복수의 와이어 출입 구멍(118a)(118b)이 형성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하우징(110)은 금속 및 합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가능하며, 중앙에는 축(124)이 직립하여 세워진 구조이며, 복수의 와이어 출입 구멍(118a)(118b) 중에서 상부측의 출입 구멍(118a)은 와이어(170)를 하우징(110)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하는 유입구멍이고, 하부측의 출입 구멍(118b)은 와이어(170)를 하우징(11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나오도록 하는 배출구멍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원형 공간(116) 중앙에 직립하여 세워진 축(124)의 상단에 하면이 고정되는 고정보빈(13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고정보빈(130)은 그 테두리에 오목홈(132)이 형성되어 와이어(170)가 감겨서 보관되는 실패(Spool)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그 상부면에는 예를 들면 손목 시계(1)의 본체부(10) 또는 휴대폰 장착기기(50)의 휴대폰 장착부(70)와 같은 소형기기(P)가 장착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보빈(130)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소형기기(P)는 상기에서 손목 시계(1)의 본체부(10) 또는 휴대폰 장착기기(50)의 휴대폰 장착부(70)와 같은 기기들을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다른 기기, 예를 들면 나침판, 전자기기, 식별표시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다른 기기들을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소형기기(P)의 종류에는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고정보빈(130)은 하우징(110)의 축(124) 상단에 고정되는 구조 인데, 이는 상기 축(124)의 나사부(124a)에 나사결합하는 너트(136)를 하부면에 압입방식으로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보빈(130)은 하우징(110)의 축(124) 상단에 너트(136)를 통해서 나사결합으로 고정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고정보빈(130)은 오목홈(132)의 상,하부 테두리에 각각 하향으로 휘어진 단턱부(140a)(140b)를 형성하는데, 이와 같은 단턱부(140a)(140b)는 상기 오목홈(132)의 내측에 와이어(170)가 감겨지는 경우, 상부 테두리의 단턱부(140a)가 하향으로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오목홈(132)의 상부측으로는 와이어(170)가 벗어남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보빈(130)의 오목홈(132)으로부터 와이어(170)를 풀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 테두리의 단턱부(140b)가 하향으로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오목홈(132)의 하부측으로는 와이어(170)가 쉽게 벗겨지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고정보빈(130)은 상기 오목홈(132)의 상부 테두리에 그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걸림 홈(144)들을 다수 형성하여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걸림 홈(144)에 와이어(170)가 감겨 고정되는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착용장치(100)는 상기 하우징(110)의 축(124) 중간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전보빈(15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회전보빈(150)은 상기 하우징(110)의 축(124)이 끼워지는 중앙 구멍(152)의 상하부에 각각 슬리브(154a)(154b)를 내장하여 상기 축(124)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보빈(150)은 그 테두리에 오목홈(162)이 형성되는 실패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은 오목홈(162)에 와이어(170)가 2-3회 감겨 안내되 도록 함으로써, 와이어(170)를 당겨서 이동시키는 경우 와이어(170)가 직선적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한다. 이와 같은 회전보빈(150)은 상기 오목홈(132)의 상부 테두리에 하향으로 휘어진 단턱부(164)를 형성하여 와이어(170)가 회전보빈(150)의 오목홈(162)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회전보빈(150)은 오목홈(162)에 와이어(170)가 감겨서 회전하는 경우, 오목홈(162)의 상부 테두리에는 하향으로 휘어진 단턱부(164)를 형성하기 때문에 오목홈(162)의 상부측으로 와이어(170)가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회전보빈(150)의 오목홈(162) 하부 테두리에는 이와 같은 단턱부(164)가 형성되지 않는데, 이는 회전보빈(150)의 오목홈(162) 부분이 하우징(110)의 원형공간(116) 내측에 위치되어 원형벽(114)에 의해서 에워싸이기 때문에 하부측으로 와이어(170)가 이탈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고정보빈(130)과 회전보빈(150)에 각각 감기는 와이어(170)를 포함하는데, 이와 같은 와이어(170)는 상기 고정보빈(130)에 일측 단부(172a)가 고정되고, 일정길이의 와이어(170)가 상기 고정보빈(130)의 오목홈(132)에 감겨서 보관된다.
또한 이와 같은 와이어(170)는 그 중간부분이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 위치된 하부측 회전보빈(150)의 둘레에 2-3회 감겨지며, 그 타측 단부(172b)는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에서 직경이 확대된 돌출부(175)를 형성하여 자유 단부를 구성하게 된다.
즉 이와 같은 와이어(170)는 고정보빈(130)의 오목홈(132)에 감겨서 보관된 상태에서 고정보빈(130)으로부터 풀려진 다음, 상기 회전보빈(150)의 오목홈(162)을 통해서 직선적으로 안내되어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풀려진다.
그리고 사용후에는 다시 반대방향으로 고정보빈(130)의 오목홈(132)에 감겨서 보관되는데,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와이어(170)는 그 자유단부에 형성된 돌출부(175)의 직경(D)이 상기 하우징(110)에 마련된 출입 구멍(118b)의 직경(d)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170)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돌출부(175)는 항상 하우징(110)의 외측에 위치된다.
한편 상기에서 와이어(170)는 원형 단면 뿐만 아니라, 평편한 납작 단면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손목(W)에 감기는 경우, 손목(W)을 압박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착용장치(100)는 와이어(170)를 상부측 고정보빈(130)의 오목홈(132)으로부터 풀어서 하우징(110)의 외측에서 사용자의 손목(W)에 감은 다음, 그 돌출부(175)가 형성된 자유단부를 상기 고정보빈(130)의 상부 모서리에 마련된 걸림 홈(144)에 감아 고정시켜 손목(W)에 소형기기(P)를 착용하도록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착용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보빈(130)의 오목홈(132)에 감긴 와이어(170)를 풀어서 하우징(110)의 외측에 늘어트린 다음, 와이어(170)의 자유 단부에 마련된 돌출부(175)를 잡아당기게 되면, 와이어(170)는 그 중간 부분이 회전보빈(150)의 오목홈(162) 둘레에 2-3회 감겨 있기 때문에 회전보빈(150)을 회전시키면서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인출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170)를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당긴 다음, 이를 사용자의 손목(W) 주위에 감아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시키게 되는데, 사용자의 손목(W)에는 와이어(170)를 3-4회 감아 돌린 다음, 와이어(170)의 자유단부는 고정보빈(130)의 상부 테두리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 홈(144)에 감아 돌려서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고정보빈(130)은 걸림 홈(144)이 오목하게 상부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돌출부(175)를 잡고서 쉽게 와이어(170)의 자유단부를 감아서 풀리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손목(W)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착용장치(100)를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는, 상기와는 반대로 와이어(170)의 돌출부(175)를 잡고서 고정보빈(130)의 걸림 홈(144)으로부터 와이어(170)의 자유단부를 벗겨내고, 손목(W)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풀어낸 다음, 고정보빈(130)으로부터 회전보빈(150)으로 이어지는 와이어(170)의 중간 부분을 당기게 되면, 회전보빈(150)은 반대로 회전하면서 와이어(170)를 하우징(110)의 내부로 당겨 유입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110)의 내부로 와이어(170)가 유입되고, 와이어(170)의 중간 부분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늘어지게 되면 와이어(170)를 고정보빈(130)의 오목홈(132)에 다수회 감게 되며, 이와 같이 고정보빈(130)에 와이어(170)가 다수 감기게 되면, 와이어(170)의 돌출부(175)는 하우징(110)의 원형벽(114)에 마련된 와이어 출입 구멍(118b)에 걸려서 더 이상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게 되고 이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보빈(130) 상에 손목 시계 또는 휴대폰과 같은 소 형기기(P)들을 장착한 구조이고, 이러한 소형기기(P)를 사용자가 손목(W)에 착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와이어(170)를 고정보빈(130)으로부터 풀고 돌출부(175)를 당겨서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연장시킨 다음, 손목(W)에 감고 상기 와이어(170)의 자유단부를 고정보빈(130)의 상부 테두리에 마련된 걸림 홈(144)에 감아서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손목(W)에 착용한 상태로부터 손목(W)으로부터 벗어서 별도로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와는 반대로 고정보빈(130)측에서 와이어(170)를 당겨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시킨 다음, 고정보빈(130)에 감아서 보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회전보빈(150)은 와이어(170)의 인출시와는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와이어(170)를 직선적으로 안내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는 손목(W) 굵기가 작거나 큰 경우에도, 종래와 같이 손목(W) 굵기에 따른 별도의 밴드 길이조정이 불필요하고, 와이어(170)를 손목(W)에 감아서 쉽게 손목 시계 또는 휴대폰과 같은 소형기기(P)들을 손목(W)에 착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 매우 편리한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라서 손목에 착용하는 소형기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a)도는 손목 시계, b)도는 휴대폰 장착기기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착용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착용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착용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착용장치를 이용하여 소형기기를 손목에 착용한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손목 시계 10..... 본체부
20,80.... 밴드부 50..... 휴대폰 착용기기
60..... 휴대폰 70..... 휴대폰 장착부
100.... 손목 착용장치 110..... 하우징
112.... 바닥판 114..... 원형벽
116.... 원형공간 118a,118b.... 와이어 출입구멍
124.... 축 130.... 고정보빈
132,162.... 오목홈 136.... 너트
140a,140b.... 단턱부 144.... 걸림 홈
150..... 회전보빈 152.... 중앙 구멍
154a,154b.... 슬리브 164.... 단턱부
170.... 와이어 172a.... 와이어 일측 단부
172b.... 와이어 타측 단부 175.... 돌출부
D..... 돌출부의 직경 d..... 출입 구멍의 직경
P.... 소형기기 W..... 손목

Claims (4)

  1. 소형기기(P)들을 손목(W)에 착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손목(W) 위에 올려지는 바닥판(112)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판(112)의 상부에는 원형벽(114)을 돌출시켜 내부에 원형공간(116)을 형성하며, 상기 원형벽(114)의 일측으로는 복수의 출입 구멍(118a)(118b)이 형성된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원형 공간(116) 중앙에 직립하여 세워진 축(124)의 상단에 하면이 고정되고, 상부면에는 소형기기(P)가 장착되며, 그 테두리에는 오목홈(132)이 형성되어 와이어(170)가 감겨서 보관되는 고정보빈(130);
    상기 하우징(110)의 축(124) 중간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테두리에는 오목홈(162)이 형성되며, 상기 오목홈(162)에 와이어(170)가 감겨 안내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170)를 직선적으로 이동시키는 회전보빈(150); 및
    상기 고정보빈(130)에 일측 단부(172a)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보빈(130)의 오목홈(132)에 감겨서 보관되며, 그 중간부분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 위치된 하부측 회전보빈(150)의 둘레에 감겨서 직선이동으로 안내되고, 그 타측 단부(172b)는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에서 직경(D)이 확대된 돌출부(175)의 자유 단부를 형성하는 와이어(170);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170)를 상부측 고정보빈(130)의 오목홈(132)으로부터 풀어서 하우징(110)의 외측에서 사용자의 손목(W)에 감은 다음, 그 자유단부를 상기 고정보빈(130)의 상부 모서리에 감아 고정시켜 손목(W)에 소형기기(P)를 착용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착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보빈(130)은 오목홈(132)의 상,하부 테두리에 각각 하향으로 휘어진 단턱부(140a)(140b)를 형성하여 상기 오목홈(132)의 상부측으로는 와이어(170)가 벗어남을 방지하고, 오목홈(132)의 하부측으로는 와이어(170)가 쉽게 벗겨지도록 유도하며, 상기 오목홈(132)의 상부 테두리에는 그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걸림 홈(144)들을 다수 형성하여 와이어(170)가 감겨 고정되는 한편, 하부면에는 너트(136)가 압입되고, 하우징(110)의 축(124)에 나사결합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착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보빈(150)은 오목홈(162)의 상부 테두리에 하향으로 휘어진 단턱부(164)를 형성하여 와이어(170)가 회전보빈(150)의 오목홈(162)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착용장치(10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170)는 그 자유단부에 형성된 돌출부(175)의 직경(D)이 상기 하우징(110)에 마련된 출입 구멍(118b)의 직경(d)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170)의 돌출부(175)는 하우징(110)의 외측에 위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착용장치.
KR1020090014904A 2009-02-23 2009-02-23 손목 착용장치 KR101020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904A KR101020571B1 (ko) 2009-02-23 2009-02-23 손목 착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904A KR101020571B1 (ko) 2009-02-23 2009-02-23 손목 착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882A KR20100095882A (ko) 2010-09-01
KR101020571B1 true KR101020571B1 (ko) 2011-03-09

Family

ID=43003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4904A KR101020571B1 (ko) 2009-02-23 2009-02-23 손목 착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05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452B1 (ko) * 2020-02-19 2020-11-24 김민수 셀카용 휴대폰 고정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00868A1 (en) 2003-04-10 2004-10-14 Woodman Nicholas D. Harness system for attaching camera to user
KR20060100649A (ko) * 2005-03-17 2006-09-21 명성통신 주식회사 코드 및 목걸이 줄 권취 장치
KR100795156B1 (ko) 2006-08-01 2008-01-16 송영길 휴대폰 착용기기
KR200443486Y1 (ko) 2007-04-09 2009-02-18 송민기 휴대폰 착용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00868A1 (en) 2003-04-10 2004-10-14 Woodman Nicholas D. Harness system for attaching camera to user
KR20060100649A (ko) * 2005-03-17 2006-09-21 명성통신 주식회사 코드 및 목걸이 줄 권취 장치
KR100795156B1 (ko) 2006-08-01 2008-01-16 송영길 휴대폰 착용기기
KR200443486Y1 (ko) 2007-04-09 2009-02-18 송민기 휴대폰 착용기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452B1 (ko) * 2020-02-19 2020-11-24 김민수 셀카용 휴대폰 고정대
WO2021167226A1 (ko) * 2020-02-19 2021-08-26 김민수 셀카용 휴대폰 고정대
JP2023518336A (ja) * 2020-02-19 2023-05-01 ミンス キム 自撮り用の携帯電話スタンド
JP7292522B2 (ja) 2020-02-19 2023-06-16 ミンス キム 自撮り用の携帯電話スタン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882A (ko) 201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8255B2 (en) Personal portable device keeper
US4942617A (en) Earphone cord take-up device
US5938137A (en) Cellular phone leash
US6736346B1 (en) Apparatus for winding cord
JP2009066276A5 (ko)
US20080227419A1 (en) Retractable Cell Phone Clip
JP2008098925A (ja) ヘッドホン装置
JP2008288960A (ja) 吊下げ装置
TWI547226B (zh) 保護外殼
KR101020571B1 (ko) 손목 착용장치
KR100651411B1 (ko) 힌지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와치 타입 휴대용 단말기
CN105942691A (zh) 一种耳机线与手机支架一体盒
KR102518814B1 (ko) 안전성이 도모되는 휴대폰 거치겸용 다목적 걸이장치
US20050148313A1 (en) Headset cord retainer
KR20020020328A (ko) 장신용 악세사리 겸 휴대폰용 목걸이줄
KR20040092116A (ko) 이어폰 권취 장치
KR200455688Y1 (ko)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
KR101256657B1 (ko) 휴대폰 지지 장치
JPH0414323A (ja) 携帯無線機
KR101479605B1 (ko) 이어독 이어폰
KR101507395B1 (ko) 슬랩 밴드를 이용한 웨어러블 이어폰
KR102528155B1 (ko)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
CN220421975U (zh) 一种防丢耳机盒及无线耳机套件
CN213308921U (zh) 手摇转经轮
KR100970214B1 (ko) 착용기기가 일체화된 휴대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