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8991B1 - 넥타이 착용구 - Google Patents

넥타이 착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8991B1
KR100828991B1 KR1020070036942A KR20070036942A KR100828991B1 KR 100828991 B1 KR100828991 B1 KR 100828991B1 KR 1020070036942 A KR1020070036942 A KR 1020070036942A KR 20070036942 A KR20070036942 A KR 20070036942A KR 100828991 B1 KR100828991 B1 KR 100828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spring
main body
kno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6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중
Original Assignee
김윤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중 filed Critical 김윤중
Priority to KR1020070036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89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2Neckties with ready-made knot or bow, with or without bands
    • A41D25/022Neckties with ready-made knot or bow, with or without bands with knot simulated by a ring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2Neckties with ready-made knot or bow, with or without bands
    • A41D25/025Means for forming the knot or bow, e.g. combined with means for holding the ti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6Neckties with knot, bow or like tied by the user
    • A41D25/14Means for forming and holding simultaneous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넥타이 매듭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안쪽에 축에 의해 회동가능토록 결합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넥타이 결합부와, 상기 누름부와 본체의 안쪽 사이에 형성되어 누름부에 탄성이 작용토록 하기 위한 스프링(120)으로 구성하되, 상기 스프링은 누름부의 일측에 형성된 스프링 결합홈과 상기 스프링 결합홈과 대향되도록 본체의 안쪽에 형성된 스프링 결합홈에 양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넥타이 착용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처럼 본 발명은 넥타이를 양면으로 착용 가능하면서 아울러 사람의 신체에 따라 넥타이의 길이조절까지 가능한 효과를 갖는 것이며, 다양한 모양과 색상을 갖는 다수개의 매듭형성용 캡을 사용하게 되면 매번 새로운 넥타이를 차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갖는 것이어서 하나의 넥타이 착용구로 다수개의 넥타이를 구비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넥타이, 착용구

Description

넥타이 착용구{Wear-device of a necktie}
도 1 - 종래의 넥타이 착용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 본 발명 넥타이 착용구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 - 도 2의 결합 사시도.
도 4 -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 -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6 - 본 발명 넥타이 착용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 -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 -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본체 21: 고정돌기
30: 클립 31: 고정편
32: 힌지 33: 작동편
34: 탄성부재 35: 고정홈
100: 본 발명 넥타이 착용구
110: 본체 111: 축결합홈
112: 스프링 결합홈 120: 스프링
130: 누름부 131: 축
132: 스프링 결합홈 133: 넥타이 결합부
134: 회전부 135: 걸림턱
136: 줄걸이 137: 미끌림방지돌기
140: 매듭형성용 캡 141: 걸림턱
본 발명은 넥타이 착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넥타이를 양면으로 착용 가능하면서 아울러 사람의 신체에 따라 넥타이의 길이조절까지 가능하도록 하는 넥타이 착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넥타이는 목 또는 깃 둘레에 감고 여분을 앞 부분에 늘어뜨리는 띠나 끈 모양의 장식용 부속품으로 남녀 노소를 불문하고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남성복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액세서리이다.
이처럼 상기 넥타이는 대부분의 남성들이 출근시 또는 중요업무를 볼 시에 애용하는 액세서리로 간편하게 착용 가능하도록 다양한 넥타이 착용구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1649호 착용이 간편한 넥타이가 공개되어 있으며, 이는 [청구항 1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넥타이가 감겨지면서 매듭이 형성되는 본체(20)의 배면에는 고정돌기(21)를 형성하고, 와이셔츠의 사이에 끼워지면서 고정되는 클립(30)에는 고정홈(35)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홈(35)이 고정돌기(21)에 삽입되면서 클립(30)과 본체(20)에 고정되는 착용이 간편한 넥타이로 구성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넥타이 착용구는 넥타이를 와이셔츠에서 쉽게 착탈하여 사용할 수 있음으로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넥타이 착용구는 본체(20)에 넥타이를 감아서 매듭을 형성하고 상기 매듭은 클립(30)에 의해서 고정하는 구조를 갖게 되므로 상기 본체에 매듭을 형성하기란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으며 숙달되지 아니한 사람은 넥타이를 매기가 너무 불편하였다.
또한 종래의 넥타이 착용구는 넥타이의 길이를 조절하기 힘든 구조로 인하여 넥타이의 길이에 비해 체형이 큰 사람이나 적은 사람에게는 어울리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착탈이 가능한 넥타이 캡을 형성하고, 사람의 체형에 따라 넥타이의 길이조 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넥타이 착용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넥타이 착용구(100)의 분리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넥타이 매듭형상의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안쪽에 축(131)에 의해 회동(廻動)가능토록 결합되는 누름부(130)와, 상기 누름부(130)의 하부에 형성되는 넥타이 결합부(133)와, 상기 누름부(130)와 본체(110)의 안쪽 사이에 형성되어 누름부(130)에 탄성이 작용토록 하기 위한 스프링(1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스프링(120)은 누름부(130)의 일측에 형성된 스프링 결합홈(132)과 본체(110)의 안쪽 일측, 즉 상기 스프링 결합홈(132)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스프링 결합홈(112)에 양단부가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누름부(130)의 축(131)은 본체(110)의 내측벽 양쪽에 형성된 축결합홈(111)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상기 축(131)은 누름부(130)의 양측에 누름부(130)와 일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나, 상기 누름부(130)에 미도시된 축삽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축삽입공에 역시 비도시된 별도의 봉(棒)을 삽입시켜 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축(131)과 스프링(120)에 의해 누름부(130)와 본체(110)은 일종의 집게와 같은 기능을 하게 되며, 상기 누름부(130)를 누르게 되면 누름부(130)의 하부, 즉 넥타이 결합부(133)는 본체(110)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진다.
쉽게 표현하여 상기 누름부(130)를 누르고 있으면 넥타이 결합부(133)와 본체(110)는 벌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누름부(130)의 양측면 일측에는 줄걸이(136)가 형성되는데, 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넥타이 줄을 걸어두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누름부(130)의 하부에 형성된 넥타이 결합부(133)의 일측에는 미끌림방지돌기(137)가 형성되어 지는데, 이는 상기 넥타이 결합부(133)에 넥타이가 끼워져 결합된 후 상기 넥타이가 넥타이 결합부(133)로부터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미끌림방지돌기(137)에 대향되는 위치, 즉 본체(110)의 하부 내측 일단에는 미끌림방지부(부호 미표시)가 형성되어 지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에 직접 천을 씌우거나 모양을 형성하여 넥타이의 매듭처럼 제작할 수도 있으나, 이는 한가지의 넥타이 매듭형상 밖에 다른 색상이나 모양을 가질 수 없는 것이어서 상기 본체(110)와는 별도로 상기 본체(110)의 외측에 씌워져 결합되는 매듭형성용 캡(14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매듭형성용 캡(140)에는 걸림턱(141)이 형성되어져 본체(110)에 씌워졌을 때 본체(110)에 외측에 걸려 쉽게 빠지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처럼 다양한 모양과 색상을 갖는 다수개의 매듭형성용 캡(140)을 사용하게 되면 매번 새로운 넥타이를 차는 것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넥타이 매듭 아랫부분, 즉 넥타이 하부(A)는 넥타이 결 합부(133)에 끼워져 결합되며, 이때 넥타이 하부(A)의 상단은 넥타이 결합부(133)에 끼울 수 있도록 절개된 상태를 갖는다.
또 상기 넥타이 하부(A)가 끼워져 결합되는 넥타이 결합부(133)는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타원형상으로 구성되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넥타이 결합부(133)에 끼워져 결합된 넥타이 하부(A)는 스프링(120)의 탄력에 의해 넥타이 결합부(133)의 외측을 눌러주는 본체(110)에 의해 넥타이 결합부(133)로부터 쉬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넥타이 결합부(133)의 상하부를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단부에 회전부(134)를 구비할 수도 있는데, 상기 회전부(134)에 의해 분리된 넥타이 결합부(133)의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된다.
이때 넥타이 결합부(133)에 회전부(134)를 형성하는 이유는 넥타이 하부(A)의 하부를 디자인이 각각 다른 양면으로 형성하고 착용자의 선택에 따라 앞면과 뒷면을 번갈아 가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넥타이를 양면으로 착용 가능하면서 아울러 사람의 신체에 따라 넥타이의 길이조절까지 가능한 효과를 갖는 것이며, 다양한 모양과 색상을 갖는 다수개의 매듭형성용 캡을 사용하게 되면 매번 새로운 넥타이를 차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갖는 것이어서 하나의 넥타이 착용구로 다수개의 넥타이를 구비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넥타이 매듭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안쪽에 축에 의해 회동가능토록 결합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넥타이 결합부와, 상기 누름부와 본체의 안쪽 사이에 형성되어 누름부에 탄성이 작용토록 하기 위한 스프링으로 구성하되, 상기 스프링은 누름부의 일측에 형성된 스프링 결합홈과 상기 스프링 결합홈과 대향되도록 본체의 안쪽에 형성된 스프링 결합홈에 양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착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측에 씌워져 결합되는 매듭형성용 캡을 형성하되, 상기 매듭형성용 캡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져 상기 본체의 외측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착용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넥타이 결합부는 상하부가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단부에는 회전부가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회전부에 의해 분리된 넥타이 결합부의 하부가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착용구.
KR1020070036942A 2007-04-16 2007-04-16 넥타이 착용구 KR100828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942A KR100828991B1 (ko) 2007-04-16 2007-04-16 넥타이 착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942A KR100828991B1 (ko) 2007-04-16 2007-04-16 넥타이 착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8991B1 true KR100828991B1 (ko) 2008-05-14

Family

ID=39650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6942A KR100828991B1 (ko) 2007-04-16 2007-04-16 넥타이 착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89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906B1 (ko) 2016-11-28 2017-01-18 김성안 넥타이 착용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434Y1 (ko) * 1994-08-19 1997-06-24 이병구 넥타이용 버클(Buckle)
KR100286616B1 (ko) 1999-03-18 2001-04-16 김봉우 원터치 착탈가능 넥타이
JP3083581U (ja) * 2001-07-24 2002-02-08 益昌 莊 ネクタイ用位置決め具
US6367127B1 (en) 2000-05-24 2002-04-09 Hsien-Ching Lee Tie clip for neckti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434Y1 (ko) * 1994-08-19 1997-06-24 이병구 넥타이용 버클(Buckle)
KR100286616B1 (ko) 1999-03-18 2001-04-16 김봉우 원터치 착탈가능 넥타이
US6367127B1 (en) 2000-05-24 2002-04-09 Hsien-Ching Lee Tie clip for necktie
JP3083581U (ja) * 2001-07-24 2002-02-08 益昌 莊 ネクタイ用位置決め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906B1 (ko) 2016-11-28 2017-01-18 김성안 넥타이 착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064065A1 (es) Dispositivo de unión de prendas y artículo textil que incluye dicho dispositivo
KR100849675B1 (ko) 바지 밑단의 끌림 방지장치
US20010042259A1 (en) Necktie
KR100828991B1 (ko) 넥타이 착용구
JP4577786B2 (ja) 衣服着用補助具を兼ねたスカーフ
KR200426062Y1 (ko) 넥타이 매듭 장신구
KR200286053Y1 (ko) 넥타이 착용구
KR200373166Y1 (ko) 고름 매듭이 편리한 한복저고리
KR20140039731A (ko) 넥타이 장신구
KR200463940Y1 (ko) 목둘레 조절이 가능한 셔츠
KR101042193B1 (ko) 탈부착식 넥타이
KR20080004053U (ko) 넥타이
US7143482B2 (en) Necktie button for a necktie
JP3214454U (ja) バンド
KR100423789B1 (ko) 넥타이 착용구
KR200348543Y1 (ko) 넥타이 착용구
KR100385753B1 (ko) 매듭지어진 고름을 구비하는 전통한복저고리
KR200222179Y1 (ko) 넥타이 착용구
TW201609030A (zh) 襪子類穿著輔助器
KR101236321B1 (ko) 원터치형 넥타이 매듭구
KR200456277Y1 (ko) 클립식 넥타이 고정장치
KR200398639Y1 (ko) 풀림이 방지되는 지퍼식 매듭 넥타이
JP3195802U (ja) 着脱自在な傘閉じ用バンド体
KR200345235Y1 (ko) 목 목도리
KR200246000Y1 (ko) 넥타이 착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