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277Y1 - 클립식 넥타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클립식 넥타이 고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6277Y1 KR200456277Y1 KR2020100013072U KR20100013072U KR200456277Y1 KR 200456277 Y1 KR200456277 Y1 KR 200456277Y1 KR 2020100013072 U KR2020100013072 U KR 2020100013072U KR 20100013072 U KR20100013072 U KR 20100013072U KR 200456277 Y1 KR200456277 Y1 KR 20045627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ip
- tie
- fixed shaft
- button
- fixing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6—Neckties with knot, bow or like tied by the user
- A41D25/10—Means for holding the knot,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03—Neckties provided with holding devices, e.g. button holes or loops for securing them to a shirt or for holding the two ends of the necktie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6/00—Retainers or tethers for neckties, cravats, neckerchiefs, or the like, e.g. tie-clips, spring clips with attached tie-tethers, woggles, pins with associated sheathing members tetherable to clot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클립식 넥타이 고정장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 내부에 스프링이 장착된 클립을 설치하여 와이셔츠 단추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클립식 넥타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넥타이를 와이셔츠 단추에 끼웠을 때, 와이셔츠 몸체의 각도가 일반 매듭식 와이셔츠 매듭부의 각도와 유사해지기 때문에, 일반 넥타이를 맨 것과 동일한 외형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넥타이를 와이셔츠 단추에 끼웠을 때, 와이셔츠 몸체의 각도가 일반 매듭식 와이셔츠 매듭부의 각도와 유사해지기 때문에, 일반 넥타이를 맨 것과 동일한 외형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클립식 넥타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 내부에 스프링이 장착된 클립을 설치하여 와이셔츠 단추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클립식 넥타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개개인의 생활경제가 향상됨에 따라 식생활이나 주거생활 못지 않게 의상에 대한 관심도 고조되면서 다양한 종류의 의복용품들이 만들어져 사용되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의상에 있어서 많은 액세서리가 사용되고 있는데, 그 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의상용 액세서리로 넥타이가 있다.
넥타이는 정장 착용시 주로 착용되는 의상용 액세서리로서, 천으로 만들어져 와이셔츠 등의 셔츠 깃 아래로 목에 둘러 전면 목부분에서 매듭을 메어 앞으로 늘어뜨려 착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넥타이는 정장 착용시 분위기 연출을 위해 직장인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교복에도 착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통상의 넥타이는 그 착용방법에 있어 매듭을 묶어야 하고, 매듭을 묶는 방법이 다소 복잡하고 번거로워 시간적 소모도 많고 특히 학생들의 경우에 그 사용상의 불편함이 상당히 크다. 즉, 시간을 다투는 현대인에게 일일이 매듭을 묶어 사용하여야 하는 넥타이는 그 사용이나 시간을 절약하는데 있어 상당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목줄을 미리 묶어놓은 상태로 사용하는 자동넥타이와, 넥타이 몸체 안쪽에 클립을 형성하여 와이셔츠에 바로 끼울 수 있도록 하는 넥타이가 개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걸이식 넥타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기술의 넥타이(10)는, 소정의 길이와 매듭(11)이 만들어지고, 매듭(11)의 후면에 걸이부재(20)가 부착되며, 매듭(11)의 상단 양측에 소정길이의 연장부(12)(12')가 형성된다.
걸이부재(20)는 중앙에 걸이홈이 형성되고 상단에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며, 하단에 손잡이부가 일체로 형성된 양 집게편과, 양 집게편이 축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스프링이 구비된다. 그리고, 스프링의 양단을 고정하도록 양 집게편의 손잡이부에 고정홈이 형성되며, 축에 부착편이 설치되고 부착편의 양단에는 고정공이 형성된다.
걸이부재는 그 부착편을 사용하여 넥타이의 매듭(11)상에 재봉 등의 방법으로 고정설치되거나 스냅단추를 이용하여 부착고정된다. 그런 상태에서 넥타이(10)를 착용코자 할 경우에는 먼저 걸이부재(20)의 양 집게편을 벌려 윗단추에 건다.
즉, 걸이부재(20)의 양 손잡이부를 누르게 되면 양 집게편은 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단이 벌어지게 되고, 그러면 그 벌어진 입구로 단추를 끼운 후 손잡이부의 누름력을 해제한다. 그러면 단추의 실은 걸이부재(20)의 걸이홈에 위치되고 양 집게편의 상단에 형성된 이탈방지턱에 의해 이탈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넥타이(10)의 걸이부재(20)는 지면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서있는 상태가 되는데, 와이셔츠 단추가 부착된 각도는 수직이 아니라 사람의 턱에서 목으로 내려가면서 몸통과 가까워지는 각도가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수직으로 서있는 걸이부재(20)와 비스듬히 기울어져 있는 단추와의 각도 차이로 인하여 넥타이(10)를 착용했을 때, 몸에 잘 밀착되지 않아서 모양이 예쁘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가운데 대략 V자로 꺾인 클립을 부드러운 재질의 몸체 내부에 장착하고, 외부를 원단으로 재봉하면서 클립의 맞물림부가 상기 몸체의 상부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와이셔츠 단추에 클립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클립식 넥타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원단으로 봉제된 넥타이의 내부에 설치되어 와이셔츠 최상단의 단추에 상기 넥타이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로서, 넥타이를 맸을 때 형성되는 역삼각형 매듭부의 형상과 유사하게 앞쪽은 볼록하고 뒤쪽은 오목하게 형성되며, 오목한 내측면에는 고정축(104)이 돌출 형성되며, 하단부 중심에는 위쪽으로 들어간 개구부(102a)가 형성되는 연질의 몸체(102)와; 좌우 한 쌍의 팔의 중앙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판이 각각 형성되며, 좌우의 판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구멍에는 상기 고정축(104)이 끼워지며, 상기 고정축(104)을 중심으로 스프링(110)이 개재된 상태에서 연결되는 클립(106)과; 상기 클립(106)이 상기 고정축(104)에 장착된 상태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고정축(104)에 형성된 구멍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나사(108);를 포함하며, 상기 클립(106)은 손잡이부(106a)와 이빨부(106b)로 구성되며, 상기 스프링(110)은 좌우 두 개의 손잡이부(106a)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부(106a)와 상기 이빨부(106b)는 역 V자로 꺾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102)는 연질의 실리콘이나 우레탄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부(106a)와 상기 이빨부(106b)가 이루는 각도는 90도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넥타이를 와이셔츠 단추에 끼웠을 때, 와이셔츠 몸체의 각도가 일반 매듭식 와이셔츠 매듭부의 각도와 유사해지기 때문에, 일반 넥타이를 맨 것과 동일한 외형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원단의 재봉선 내부에 들어가는 몸체를 실리콘이나 우레탄과 같이 탄성이 있고 부드러운 소재로 제작함으로써 넥타이를 만졌을 때, 일반적인 매듭식 넥타이를 맨 것과 같은 느낌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넥타이를 맨 상태에서 넥타이 끝부분이 기계장치에 걸리거나 타인이 세게 당겼을 때, 넥타이가 몸에서 분리될 수 있으므로, 넥타이가 기계장치에 말려들어감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걸이식 넥타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의 전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의 후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클립이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고정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클립의 측면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클립이 단추에 물린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다른 방식에 따른 클립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의 전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의 후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클립이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고정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클립의 측면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클립이 단추에 물린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다른 방식에 따른 클립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클립식 넥타이 고정장치"(이하, '고정장치'라 함)를 설명한다.
도 2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의 전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의 후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클립이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고정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클립의 측면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고정장치(100)는 도 2a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넥타이 매듭부의 형상과 유사한 모양의 몸체(102)와, 몸체(102) 내부에 장착되는 클립(106)으로 이루어진다.
몸체(102)는 넥타이를 맸을 때 일반적으로 제일 위쪽에 형성되는 역삼각형 매듭부의 형상과 유사하게 앞쪽은 볼록하고 뒤쪽은 오목하게 형성함으로써 자연스러운 연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몸체(102)는 연질의 재질로 제작함으로써 봉제가 완료된 넥타이의 매듭부를 만졌을 때 일반적인 넥타이를 맨 것과 같은 효과를 준다. 몸체(102)의 재질로는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지만, 연질의 실리콘이나 우레탄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몸체(102)의 하단부 중심에는 위쪽으로 약간 들어간 개구부(102a)가 형성되는데, 이 개구부(102a)는 고정장치(100) 바깥에 넥타이 원단을 봉제할 때, 다양한 모양을 만들어주기 위해 사용된다.
클립(106)은 몸체(102)의 오목한 부분에 들어가는데, 클립(106)의 끝에 형성된 이빨부(106b)가 와이셔츠 맨 위에 있는 단추에 맞물리면서 넥타이가 고정된다.
몸체(102)와 클립(106)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데, 몸체(102)의 오목한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축(104)에 클립(106)의 중앙부가 끼워진다. 클립(106)은 좌우 한 쌍의 팔이 가운데 회전축을 중심으로 스프링(110)이 개재된 상태에서 연결되는데, 사용자가 클립(102)의 아래쪽인 손잡이부(106a)를 가운데로 누르면 위쪽의 이빨부(106b)가 벌어지면서 단추(200)가 두 개의 팔 사이로 들어가게 되고, 다시 손잡이부(106a)를 놓으면 이빨부(106b)가 스프링(110)의 탄성력에 의해 닫히면서 단추(200)를 고정시키게 된다.
좌우측 두 개의 팔이 서로 회전하는 회전 중심축에 몸체(102)의 고정축(104)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몸체(102)의 가운데를 중심으로 클립(106)의 양팔이 서로 회전하게 된다.
두 개의 팔의 중앙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판이 각각 형성되며, 좌우의 판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구멍에는 고정축(104)이 끼워진다. 클립(106)을 고정축(104)에 끼운 후, 고정축(104)에 고정나사(108)를 끼워서 클립(106)이 고정축(104)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고정축(104)에 형성된 구멍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클립(106)을 구성하는 두 개의 팔의 일측 말단, 즉 이빨부(106b)는 단추(200)를 고정하고 있는 실을 잡아서 넥타이가 사용자의 와이셔츠에 고정되도록 하는데, 이빨부(106b)에서 실을 잡는 부분에는 서로 맞물리는 형상의 이빨이 다수 형성되어 있어서 넥타이가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해준다.
그리고 클립(106)을 구성하는 두 개의 팔은 전체적으로 V자 형상이 되도록 절곡 형성한다. 즉, 손잡이부(106a)와 이빨부(106b) 사이의 각도(A)가 예각이 되도록 한다. 도 5에서와 같이 클립(106)의 형상이 90도 이상으로 꺾인 V자가 되도록 함으로써 넥타이가 자연스러운 각도로 부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와이셔츠를 입고 목 단추를 다 채웠을 때, 목 단추가 수직 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 이상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클립(106)에서 단추가 물리는 부분을 큰 각도로 꺾어주어야만 고정장치(100)가 정상적으로 서 있을 수 있다.
도 6은 클립이 단추에 물린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클립(106)의 이빨부(106b)의 각도가 단추(200)의 각도와 유사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장치(100)의 몸체(102)도 자연스러운 상태가 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고안의 고정장치(100)는 넥타이를 묶었을 때 생기는 역삼각형의 매듭모양으로 봉제된 원단 내부에 들어가 있다. 그리고 원단 중에서 고정장치(100)의 몸체(102) 상측을 감싸는 부분의 원단에는 절개선이 형성되어 있는데, 절개선 밑에는 클립(106)의 이빨부(106b)가 위치하므로, 절개선을 통해서 이빨부(106b)가 보인다. 사용자가 고정장치(100)의 상측을 감싸고 있는 원단에 있는 절개선 안으로 와이셔츠의 최상단 단추(200)를 집어넣고, 두 개의 이빨부(106b) 사이에 단추(200)를 삽입하면 외부에서는 봉제된 원단만 보이게 되므로 다른 사람들에게는 일반적인 넥타이를 착용한 것과 동일하게 보인다.
한편, 도 7은 다른 방식에 따른 클립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일반적으로는 와이셔츠를 입을 때, 제일 상단에 있는 목 단추까지 다 잠그지만, 사용자에 따라서는 목 단추를 채우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런 경우에는 단추(200)가 와이셔츠 바깥으로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본 고안의 고정장치(100)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단추(200)를 끝까지 채우지 않은 경우에는 외측의 단추 구멍(30)을 통해 이빨부(106b)를 집어넣은 후, 안쪽에서 단추(200)에 걸어주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추 구멍(30)의 폭이 10㎜ 전후이기 때문에 이빨부(106b)의 폭을 대략 6㎜ 내지 10㎜ 정도로 제작하면 대부분의 와이셔츠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본 고안에서와 같이 손잡이부(106a)와 이빨부(106b)가 서로 예각을 이루면서 꺾어져 있는 상태에서는 단추 구멍(30)으로 넣어서 고정시키기가 더 용이해진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고안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고정장치 102 : 몸체
104 : 고정축 106 : 클립
106a : 손잡이부 106b : 이빨부
108 : 고정나사 110 : 스프링
200 : 단추
104 : 고정축 106 : 클립
106a : 손잡이부 106b : 이빨부
108 : 고정나사 110 : 스프링
200 : 단추
Claims (3)
- 넥타이를 맸을 때 제일 위쪽에 형성되는 역삼각형의 매듭부 형상이며 표면에는 넥타이 형상으로 봉제된 원단이 감싸는 형태로서, 상기 봉제된 원단 내부로 들어온 와이셔츠 최상단의 단추에 상기 봉제된 원단을 고정시키는 고정장치로서,
앞쪽은 볼록하고 뒤쪽은 오목하게 형성되며, 오목한 내측면에는 고정축(104)이 돌출 형성되며, 하단부 중심에는 위쪽으로 들어간 개구부(102a)가 형성되는 연질의 몸체(102)와;
좌우 한 쌍의 팔의 중앙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판이 각각 형성되며, 좌우의 판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구멍에는 상기 고정축(104)이 끼워지며, 상기 고정축(104)을 중심으로 스프링(110)이 개재된 상태에서 연결되는 클립(106)과;
상기 클립(106)이 상기 고정축(104)에 장착된 상태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고정축(104)에 형성된 구멍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나사(108);를 포함하며,
상기 클립(106)은 손잡이부(106a)와 이빨부(106b)로 구성되며, 상기 스프링(110)은 좌우 두 개의 손잡이부(106a)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부(106a)와 상기 이빨부(106b)는 역 V자로 꺾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식 넥타이 고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2)는 연질의 실리콘이나 우레탄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식 넥타이 고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06a)와 상기 이빨부(106b)가 이루는 각도는 90도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식 넥타이 고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13072U KR200456277Y1 (ko) | 2010-12-17 | 2010-12-17 | 클립식 넥타이 고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13072U KR200456277Y1 (ko) | 2010-12-17 | 2010-12-17 | 클립식 넥타이 고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56277Y1 true KR200456277Y1 (ko) | 2011-10-21 |
Family
ID=73079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13072U KR200456277Y1 (ko) | 2010-12-17 | 2010-12-17 | 클립식 넥타이 고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6277Y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86475Y1 (ko) | 1999-12-30 | 2000-06-15 | 김강민 | 넥타이 착용구조 |
KR200413548Y1 (ko) | 2006-01-18 | 2006-04-07 | 태회원 | 자동 잠금장치가 장착된 넥타이 |
KR200435758Y1 (ko) | 2006-09-22 | 2007-02-15 | 김동욱 | 탄성 클립을 구비한 걸이형 넥타이 |
-
2010
- 2010-12-17 KR KR2020100013072U patent/KR20045627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86475Y1 (ko) | 1999-12-30 | 2000-06-15 | 김강민 | 넥타이 착용구조 |
KR200413548Y1 (ko) | 2006-01-18 | 2006-04-07 | 태회원 | 자동 잠금장치가 장착된 넥타이 |
KR200435758Y1 (ko) | 2006-09-22 | 2007-02-15 | 김동욱 | 탄성 클립을 구비한 걸이형 넥타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857167B2 (en) | Necktie restraining device | |
US8393015B2 (en) | Garment weights | |
US20110191940A1 (en) | Scarf Having Bifurcated End Portion | |
US20150223531A1 (en) | Neckwear fastening apparatus | |
KR200426062Y1 (ko) | 넥타이 매듭 장신구 | |
KR200456277Y1 (ko) | 클립식 넥타이 고정장치 | |
US2738513A (en) | Necktie holder | |
KR200435758Y1 (ko) | 탄성 클립을 구비한 걸이형 넥타이 | |
US10321741B2 (en) | Necktie retaining clip | |
KR200463940Y1 (ko) | 목둘레 조절이 가능한 셔츠 | |
KR200458065Y1 (ko) | 와이셔츠 깃 고정구 | |
KR101402004B1 (ko) | 넥타이 고정구 | |
KR200479778Y1 (ko) | 목도리와 겉옷 기능 숄을 갖는 원피스 | |
JP3193819U (ja) | ネックストラップ | |
JP3167220U (ja) | ネクタイ | |
JP3124534U (ja) | 止め具付きレザーフラワーリボン | |
JP2019026994A (ja) | 自転車用レインポンチョおよび保持具 | |
KR20110042536A (ko) | 탈부착식 넥타이 | |
US1958787A (en) | Fastener | |
KR20170111311A (ko) | 장식용 타이캡 | |
KR101686449B1 (ko) | 기능성 한복 | |
JP3084941U (ja) | エプロン | |
JP6308564B2 (ja) | ポーチ | |
JP3066909U (ja) | 生地止め具 | |
JP3156755U (ja) | 衣服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