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2536A - 탈부착식 넥타이 - Google Patents

탈부착식 넥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2536A
KR20110042536A KR1020090099250A KR20090099250A KR20110042536A KR 20110042536 A KR20110042536 A KR 20110042536A KR 1020090099250 A KR1020090099250 A KR 1020090099250A KR 20090099250 A KR20090099250 A KR 20090099250A KR 20110042536 A KR20110042536 A KR 20110042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neck
connection portion
colla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2193B1 (ko
Inventor
최보규
Original Assignee
최보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보규 filed Critical 최보규
Priority to KR1020090099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2193B1/ko
Publication of KR20110042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6Neckties with knot, bow or like tied by the user
    • A41D25/14Means for forming and holding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05Neckties made of different s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2Neckties with ready-made knot or bow, with or without bands
    • A41D25/022Neckties with ready-made knot or bow, with or without bands with knot simulated by a ring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2Neckties with ready-made knot or bow, with or without bands
    • A41D25/025Means for forming the knot or bow, e.g. combined with means for holding the ti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부착식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의 목에 거는 목줄의 길이조절 및 고정시키는 목줄 연결부와, 상기 목줄 연결부와 연결되어 다양한 형태, 재질로 형성된 타이를 고정하는 타이 연결부와, 상기 목줄 연결부에 결합되어 타이 연결부와 목줄 연결부의 전면에 구비되어 외관을 수려하게 하는 매듭부로 구성됨으로써, 넥타이를 목에 멜 수 있는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여 넥타이를 쉽게 착용할 수 있고, 상기 매듭부에 매듭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매듭을 형성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해소되는 특징이 있다.
넥타이, 탈부착식, 매듭, 잠금장치, 힌지, 목줄

Description

탈부착식 넥타이{Necktie}
본 발명은 탈부착식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의 목에 거는 목줄의 길이조절 및 고정시키는 목줄 연결부와, 상기 목줄 연결부와 연결되어 다양한 형태, 재질로 형성된 타이를 고정하는 타이 연결부와, 상기 목줄 연결부에 결합되어 타이 연결부와 목줄 연결부의 전면에 구비되어 외관을 수려하게 하는 매듭부로 구성됨으로써, 넥타이를 목에 멜 수 있는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여 넥타이를 쉽게 착용할 수 있고, 상기 매듭부에 매듭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매듭을 형성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해소되는 탈부착식 넥타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넥타이는 정장시에 많이 착용하게 되는바, 착용자의 와이셔츠 칼라 밑으로 하여 목에 걸어서 적당한 길이로 조절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즉, 길이가 긴 1개의 넥타이는 착용시 착용자의 목에 걸리는 목걸이부와, 착용자의 앞에 적당한 길이로 늘어지는 노출부와, 목걸이부와 노출부를 매듭지어 길이를 조절하는 매듭부로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넥타이를 착용하고자 할 때, 목걸이부를 착용자의 목에 걸 은 다음, 통상 넥타이 매는 방법으로 잘 알려진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매듭을 지어 매듭부를 형성하고, 이렇게 매듭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하부로 늘어져 노출되는 나머지 부분이 노출부로 나타나게 된다.
이때, 노출부의 길이가 적절한 길이를 유지하도록 넥타이를 조절하게 되는 바, 이 노출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한번에 이루어지면 좋겠으나, 실상 쉽지 않은 작업이라 여러 번에 걸쳐 넥타이를 풀었다 다시 매었다 하면서 넥타이의 노출부 길이를 조절해야 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바쁜 출근 시간에 넥타이 매는 시간으로 인해 시간에 쫓기는 경우가 있어 넥타이 착용에 따르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람의 목에 거는 목줄의 길이조절 및 고정시키는 목줄 연결부와, 상기 목줄 연결부와 연결되어 다양한 형태, 재질로 형성된 타이를 고정하는 타이 연결부와, 상기 목줄 연결부에 결합되어 타이 연결부와 목줄 연결부의 전면에 구비되어 외관을 수려하게 하는 매듭부로 구성됨으로써, 넥타이를 목에 멜 수 있는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여 넥타이를 쉽게 착용할 수 있고, 상기 매듭부에 매듭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매듭을 형성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해소되는 탈부착식 넥타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탈부착식 넥타이에 있어서,
사람의 목에 걸 수 있는 목줄이 고리 형태로 삽입되도록 일단면에 두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목줄의 길이조절 및 고정하기 위해 측면부에 잠금장치가 설치되며, 상측면에 다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하측면에 다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목줄 연결부와;
상기 목줄 연결부의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상측면에 다수개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내부에 타이의 끝단부가 삽입되어 맞물려 타이를 고정하는 타이 연결부와;
상기 타이 연결부와 목줄 연결부의 전면에 구비되어 외관을 수려하게 하도록 다양한 매듭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목줄 연결부의 걸림홈에 걸리도록 상측부에 직각으로 걸림부가 형성되는 매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넥타이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탈부착식 넥타이는 사람의 목에 거는 목줄의 길이조절 및 고정시키는 목줄 연결부와, 상기 목줄 연결부와 연결되어 다양한 형태, 재질로 형성된 타이를 고정하는 타이 연결부와, 상기 목줄 연결부에 결합되어 타이 연결부와 목줄 연결부의 전면에 구비되어 외관을 수려하게 하는 매듭부로 구성됨으로써, 넥타이를 목에 멜 수 있는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여 넥타이를 쉽게 착용할 수 있고, 상기 매듭부에 매듭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매듭을 형성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탈부착식 넥타이에 있어서,
사람의 목에 걸 수 있는 목줄이 고리 형태로 삽입되도록 일단면에 두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목줄의 길이조절 및 고정하기 위해 측면부에 잠금장치가 설치되며, 상측면에 다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하측면에 다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목줄 연결부와;
상기 목줄 연결부의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상측면에 다수개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내부에 타이의 끝단부가 삽입되어 맞물려 타이를 고정하는 타이 연결부와;
상기 타이 연결부와 목줄 연결부의 전면에 구비되어 외관을 수려하게 하도록 다양한 매듭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목줄 연결부의 걸림홈에 걸리도록 상측부에 직각으로 걸림부가 형성되는 매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넥타이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넥타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줄 연결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 연결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타이 연결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탈부착식 넥타이(70)는 목줄 연결부(10)와, 타이 연결부(30)와, 매듭부(40)로 구성된다.
상기 목줄 연결부(10)는 도 1을 참고하여, 사람의 목에 걸 수 있는 목줄(50)이 고리 형태로 삽입되도록 일단면을 관통하는 두 개의 관통홀(1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1)에 삽입된 목줄(50)의 길이조절 및 고정하기 위해 목줄 연결부(10)의 측면부에 목줄(50)을 압박하는 잠금장치(2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목줄 연결부(10)의 상측면에는 매듭부(40)가 연결되도록 다수개의 걸림홈(12)이 형성되고, 상기 목줄 연결부(10)의 하측면에는 타이 연결부(30)와 연결되도록 다수개의 결합홈(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잠금장치(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박부(21)와, 버튼부(22)로 구성되는데, 상기 압박부(21)는 목줄 연결부(10)의 내부에 구비되어 관통홀(11)에 삽입된 목줄(50)을 스프링(23)에 의해 평상시 압박하여 목줄(50)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또한, 상기 버튼부(22)는 압박부(21)의 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면서 목줄 연결부(10)의 측면부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목줄(50)의 길이 조절시, 버튼부(22)를 목줄 연결부(10)의 내측으로 눌러 관통홀(11)을 압박하는 압박부(21)을 열어주어 목줄(50)이 관통홀(11)을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눌렀던 버튼부(22)를 놓으면 스프링(23)에 의해 다시 목줄 연결부(10)의 측면부로 돌출되면서 압박부(21)에 의해 목줄(50)이 압박되어 고정된다.
상기 타이 연결부(30)는 도 2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31)와, 결합부(32)와, 잠금돌기(33)로 구성되는데, 상기 몸체(31)는 목줄 연결부(10)의 결합홈(13)에 삽입되도록 상측면에 다수개의 결합돌기(34)가 형성되고, 내부에 타이(60)의 끝단부가 삽입되어 맞물려 타이(60)를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32)는 도 4를 참고하여, 몸체(31)의 후면부에 힌지(35)에 의해 결합되어 회동되고, 상기 결합부(32)와 몸체(31) 사이에 타이(6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에 삽입된 타이(60)의 끝단부를 결합부(32)가 몸체(31)와 밀접하게 접촉(닫힘)하면서 압박과 동시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부(32)와 몸체(31)가 접촉되는 면은 도 5를 참고하여, 타이(60)를 꽉 맞물어서 빠지지 않도록 단면상 요철부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잠금돌기(33)는 힌지(35)가 설치된 몸체(31)의 반대측 일단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32)가 타이(60)를 맞물린 상태로 열리지 않고 고정되도록 직각으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잠금돌기(33)는 결합부(32)가 공간부를 닫을 때, 즉, 결합부(32)와 몸체(31)가 접촉시, 상기 결합부(32)의 일측과 접촉되는 잠금돌기(33)의 끝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32)가 미끄러지듯이 용이하게 몸체(31)에 접촉되고, 반대로 상기 결합부(32)가 몸체(31)에 접촉 후, 잠금돌기(33)에서 손쉽게 벗어나지 못하도록 결합부(32)가 지지되는 잠금돌기(33)의 일단면이 직각으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기술한 타이(60)는 다양한 모양의 형태와 실크, 가죽, 인조가죽, 비닐 등의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고, 수려한 외관을 위하여 보석, 금속, 칠보 등으로 디자인되어 있다.
상기 매듭부(40)는 도 2를 참고하여, 타이 연결부(30)와 목줄 연결부(10)의 전면에 구비되어 외관을 수려하게 하도록 다양한 매듭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매듭부(40)의 후면 상단부에 직각으로 걸림부(41)가 형성되어 상기 목줄 연결부(10)의 걸림홈(12)에 걸어 타이 연결부(30)와 목줄 연결부(10)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매듭부(40)도 타이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매듭 형태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고, 수려한 외관을 위하여 보석, 금속, 칠보 등으로 디자인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넥타이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넥타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줄 연결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 연결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타이 연결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목줄 연결부 11 : 관통홀
12 : 걸림홈 13 : 결합홈
20 : 잠금장치 21 : 압박부
22 : 버튼부 23 : 스프링
30 : 타이 연결부 31 : 몸체
32 : 결합부 33 : 잠금돌기
34 : 결합돌기 35 : 힌지
40 : 매듭부 41 : 걸림부
50 : 목줄 60 : 타이
70 : 넥타이

Claims (3)

  1. 탈부착식 넥타이(70)에 있어서,
    사람의 목에 걸 수 있는 목줄(50)이 고리 형태로 삽입되도록 일단면에 두 개의 관통홀(11)이 형성되고, 상기 목줄(50)의 길이조절 및 고정하기 위해 측면부에 잠금장치(20)가 설치되며, 상측면에 다수개의 걸림홈(12)이 형성되고, 하측면에 다수개의 결합홈(13)이 형성되는 목줄 연결부(10)와;
    상기 목줄 연결부(10)의 결합홈(13)에 삽입되도록 상측면에 다수개의 결합돌기(34)가 형성되고, 내부에 타이(60)의 끝단부가 삽입되어 맞물려 타이(60)를 고정하는 타이 연결부(30)와;
    상기 타이 연결부(30)와 목줄 연결부(10)의 전면에 구비되어 외관을 수려하게 하도록 다양한 매듭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목줄 연결부(10)의 걸림홈(12)에 걸리도록 상측부에 직각으로 걸림부(41)가 형성되는 매듭부(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넥타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20)는,
    상기 목줄 연결부(10)의 내부에 구비되어 관통홀(11)에 삽입된 목줄(50)을 스프링(23)에 의해 압박하여 고정하는 압박부(21)와;
    상기 압박부(21)의 측면에 형성되어 목줄 연결부(10)의 측면부에 돌출 형성 되고, 상기 목줄(50)의 길이 조절시, 목줄 연결부(10)의 내측으로 눌러 관통홀(11)에 압박된 목줄(50)을 풀어주는 버튼부(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넥타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 연결부(30)는,
    상측면에 다수개의 결합돌기(34)가 형성되는 몸체(31)와;
    상기 몸체(31)의 후면부에 힌지(35)에 의해 회동되어 타이(6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 삽입된 타이(60)의 끝단부를 압박하여 고정시키는 결합부(32)와;
    상기 힌지(35)가 설치된 몸체(31)의 반대측 일단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32)가 타이(60)를 맞물린 상태로 고정되도록 직각으로 돌출 형성되고, 끝단부의 일단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32)가 미끄러지듯이 용이하게 공간부를 닫을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결합부(32)가 손쉽게 열리지 못하도록 결합부(32)가 지지되는 일단면이 직각으로 형성되는 잠금돌기(33);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넥타이.
KR1020090099250A 2009-10-19 2009-10-19 탈부착식 넥타이 KR101042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250A KR101042193B1 (ko) 2009-10-19 2009-10-19 탈부착식 넥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250A KR101042193B1 (ko) 2009-10-19 2009-10-19 탈부착식 넥타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536A true KR20110042536A (ko) 2011-04-27
KR101042193B1 KR101042193B1 (ko) 2011-06-20

Family

ID=44047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250A KR101042193B1 (ko) 2009-10-19 2009-10-19 탈부착식 넥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21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9415A (zh) * 2018-09-06 2020-02-18 现代领带有限责任公司 组装式可互换领带
US11000084B2 (en) 2017-11-25 2021-05-11 Modern Tie Llc Modular interchangeable neckti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199597T1 (de) * 1998-08-07 2001-03-15 Ka Te System Ag Vorrichtung zum montieren einer innenbride in einem nicht begehbaren rohr
KR200181983Y1 (ko) 1999-11-20 2000-05-15 정성두 넥타이 조절구
KR100895083B1 (ko) * 2002-09-13 2009-04-28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의 자중으로 작동되는 코일붕괴 방지장치
KR100531366B1 (ko) * 2002-09-17 2005-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홀로그램 패턴 액정을 이용한 평판 표시 소자
KR200424223Y1 (ko) 2006-04-07 2006-08-22 김윤채 분리형 매듭구가 구비된 넥타이
KR200426062Y1 (ko) 2006-06-09 2006-09-19 안동원 넥타이 매듭 장신구
KR100667601B1 (ko) 2006-09-25 2007-01-16 전정일 패션 넥타이 본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00084B2 (en) 2017-11-25 2021-05-11 Modern Tie Llc Modular interchangeable necktie
CN110809415A (zh) * 2018-09-06 2020-02-18 现代领带有限责任公司 组装式可互换领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2193B1 (ko) 2011-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9084B1 (en) Zipper assist device
KR101042193B1 (ko) 탈부착식 넥타이
KR200426062Y1 (ko) 넥타이 매듭 장신구
WO2010072012A1 (zh) 一种领带组件
US20160106249A1 (en) Fashion accessory and method of operating a zipper
KR200453337Y1 (ko) 넥타이 매듭용 장신구
KR101402004B1 (ko) 넥타이 고정구
US10321741B2 (en) Necktie retaining clip
US4143422A (en) String tie and ornamental fastening
KR200458065Y1 (ko) 와이셔츠 깃 고정구
KR101292060B1 (ko) 카라 고정구
KR200457609Y1 (ko) 장신구용 체결구
CN217487837U (zh) 连接手链的横向锁扣以及手链
KR100828991B1 (ko) 넥타이 착용구
KR200415126Y1 (ko) 진주목걸이의 마감구조
KR20220079054A (ko) 마스크 귀걸이끈 걸이대
KR20070112588A (ko) 넥타이의 매듭 장식 구
CN210276174U (zh) 一种首饰连接结构以及首饰
KR200389919Y1 (ko) 끈 길이 조절이 가능한 목걸이
KR200210251Y1 (ko) 목걸이
KR200456277Y1 (ko) 클립식 넥타이 고정장치
KR200229319Y1 (ko) 길이조절되는 목걸이
CN205125295U (zh) 手链
JP3084393U (ja) 数珠型ブレスレッド
KR200286024Y1 (ko) 목걸이의 걸이줄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