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854B1 - 감속기의 베어링 예압 기구 - Google Patents

감속기의 베어링 예압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854B1
KR101697854B1 KR1020150034621A KR20150034621A KR101697854B1 KR 101697854 B1 KR101697854 B1 KR 101697854B1 KR 1020150034621 A KR1020150034621 A KR 1020150034621A KR 20150034621 A KR20150034621 A KR 20150034621A KR 101697854 B1 KR101697854 B1 KR 101697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casing
groove
bearing
bear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7666A (ko
Inventor
노부유키 히시다
Original Assignee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07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5/00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adjustable for wear or play
    • F16C25/06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5/08Ball or roller bearings self-adjusting
    • F16C25/083Ball or roller bearings self-adjusting with resilient means acting axially on a race ring to preload the b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with two central gears coupled by intermeshing orbital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61/00Apparatus or articles in engineering in general
    • F16C2361/61Toothed gear systems, e.g. support of pinion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61/00Apparatus or articles in engineering in general
    • F16C2361/65Gear shifting, change speed gear, gear box
    • F16H2057/02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Retarders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 케이싱을 종래보다도 소직경화할 수 있는 감속기의 베어링 예압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외주에 단차부(16)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 케이싱(2)과, 한 쌍의 베어링(11a, 11b)으로서 형성됨과 함께, 상기 단차부(16)에 일단부측(41)이 결합되는 베어링 유닛(4)과, 고정 케이싱(2)의 외주이며, 베어링 유닛(4)의 타단부측(42)이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홈(5)과, 홈(5)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베어링 유닛(4)에 예압을 부여한 상태에서 상기 베어링 유닛(4)의 타단부측(42)의 위치를 규정하는 복수로 분할된 링(6)과, 한 쌍의 베어링(11a, 11b)의 사이에 끼움 지지되고, 고정 케이싱(2)에 대해 상기 한 쌍의 베어링(11a, 11b)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케이싱(3)을 구비하는 베어링 예압 기구(1)이다. 복수로 분할된 링(6)의 내주측의 양단부(21)가 각각의 양단부에 접근할수록 상기 링(6)의 직경 방향 치수가 작아지도록 절결되어 있다.

Description

감속기의 베어링 예압 기구{BEARING PRELOAD APPARATUS OF SPEED REDUCER}
본 발명은 감속기에 사용되고, 고정 케이싱에 대해 회전 케이싱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에 예압을 부여하는 감속기의 베어링 예압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베어링 예압 기구에 관한 기술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베어링 예압 기구는, 예압을 부여하여 베어링을 고정하기 위한 링에, 홈(고정 케이싱의 외주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측에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도입부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그 얇게 형성된 도입부로부터 링을 홈에 삽입해 감으로써, 베어링에 부여하는 예압을 서서히 발생시키면서 최종적인 예압 상태까지 용이하게 이행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베어링 예압 기구를 구성하는 부품으로서, 부품 개수 삭감을 위해 링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간이한 수단에 의해 베어링에 예압을 부여할 수 있고, 그 결과, 조립 공정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일본 특허 제4694899호 공보
여기서, 상기한 베어링 예압 기구는, 종래보다도 매우 간이한 수단에 의해 베어링에 예압을 서서히 부여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그러나, 이 베어링 예압 기구에는, 별도의 관점에서의 해결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하, 설명한다.
특허문헌 1에는, 2개로 분할된 반으로 나눈 형상의 링을 사용한 실시 형태가 기재되어 있다. 여기서, 감속기를 조립할 때, 이들 링을 각각, 회전 케이싱 중에 넣고, 고정 케이싱의 외주에 형성된 홈에 끼워 넣는 것이지만,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실시 형태의 형상의 링에서는, 링 끼워 넣기 시, 고정 케이싱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링의 튀어나옴 값이 크고, 이것이 원인으로, 회전 케이싱을 소직경화할 수 없다. 이와 같은 과제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베어링 예압 기구에는 남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회전 케이싱을 종래보다도 소직경화할 수 있는 감속기의 베어링 예압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감속기의 베어링 예압 기구는, 외주에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고정 케이싱과, 한 쌍의 베어링으로서 형성됨과 함께, 상기 단차부에 일단부측이 결합되는 베어링 유닛과, 상기 고정 케이싱의 외주이며, 상기 베어링 유닛의 타단부측이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홈과, 상기 홈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상기 베어링 유닛에 예압을 부여한 상태에서 상기 베어링 유닛의 타단부측의 위치를 규정하는 링과, 상기 한 쌍의 베어링 사이에 끼움 지지되고, 상기 고정 케이싱에 대해 상기 한 쌍의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기 회전 케이싱을 구비한다. 상기 링은 복수로 분할되어 있고, 복수로 분할된 상기 링의 내주측의 양단부 부분이, 각각의 양단부에 접근할수록 상기 링의 직경 방향 치수가 작아지도록 절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감속기의 회전 케이싱을 종래보다도 소직경화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케이싱의 두께를 종래보다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기어 전달에 의해 작용하는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고, 회전 케이싱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베어링 예압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감속기의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반원 형상의 링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1의 P부 확대도.
도 5는 도 2의 Q부 확대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감속기의 조립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7은 도 6의 B-B 단면도.
도 8은 종래 기술의 베어링 예압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감속기의 측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하는 종래 기술의 반원 형상의 링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베어링 예압 기구(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일 실시 형태의 베어링 예압 기구(1)는 유압 셔블 등의 건설 차량에 있어서의 주행 구동 장치의 감속기(100)의 베어링 예압 기구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베어링 예압 기구는, 건설 차량용의 감속기로 용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주행 구동용의 감속기로 용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베어링 예압 기구의 구성)
베어링 예압 기구(1)를 구비하는 감속기(100)의 구성을 설명하면서 베어링 예압 기구(1)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속기(100)는 유압 모터 기구(M)가 내부에 배치된 원통 형상의 고정 케이싱(2), 고정 케이싱(2)에 대해 베어링 유닛(4)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원통 형상의 회전 케이싱(3), 회전 케이싱(3)의 내부에 배치된 유성 기어 기구(R)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유압 모터 기구(M)는, 예를 들어 공지의 경사판식 유압 모터로,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로부터 압유가 급배됨으로써 회전한다. 유압 모터 기구(M)의 구체적인 구성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유압 모터 기구(M)에 연결되는 유성 기어 기구(R)도 공지의 감속 기구이다. 이 유성 기어 기구(R)에 관해서는, 그 일 구성 부품이며, 고정 케이싱(2)의 단부(2a)에 스플라인 결합에 의해 연결된 제2 캐리어(57)(캐리어)만을 도 1에 도시하고, 그 외의 구체적인 구성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종래 기술의 감속기(200)를 참조하면서, 유성 기어 기구(R)의 구성에 대해 설명해 둔다. 유성 기어 기구(R)는, 유압 모터 기구(M)의 출력이 입력되는 입력축(51), 제1 태양 기어(52), 제1 유성 기어(53), 제1 캐리어(54), 제2 태양 기어(55), 제2 유성 기어(56) 및 제2 캐리어(57) 등으로 구성된다. 유성 기어 기구(R)는, 유압 모터 기구(M)의 출력을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면서 전달하고, 최종적으로 회전 케이싱(3)을 회전시킴으로써, 당해 회전 케이싱(3)의 플랜지부(14)에 설치된 스프로킷(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비구동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동한다.
도 1로 되돌아온다. 베어링 예압 기구(1)는 고정 케이싱(2)에 대해 회전 케이싱(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베어링 유닛(4)]에 예압을 부여하는 기구로서 구성되어 있고, 고정 케이싱(2)과, 회전 케이싱(3)과, 베어링 유닛(4)과, 홈(5)과, 링(6)과, 제2 캐리어(57)를 구비하고 있다.
도 4는 도 1의 P부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케이싱(2)은 그 단부(2a)가 회전 케이싱(3)의 원통 형상의 개구에 삽입된 상태로 배치된다. 고정 케이싱(2)의 외주에는, 그 전체 둘레에 걸쳐 연장되도록 형성된 단차부(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 케이싱(2)의 단부(2a)에는, 제2 유성 기어(56)(도 8 참조)를 보유 지지하는 제2 캐리어(57)의 단부(57a)가 스플라인 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단부(57a)는 제2 캐리어(57)가 고정 케이싱(2)의 단부(2a)에 외부 삽입 보유 지지되었을 때에, 링(6)의 외주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베어링 유닛(4)은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베어링(11a, 11b)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베어링 유닛(4)은 고정 케이싱(2)의 단차부(16)에 일단부측(41)이 결합되도록,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쪽의 베어링(11b)의 이너 레이스(12b)의 측면이 고정 케이싱(2)의 단차부(16)에 조정용의 링 형상의 심(20)을 통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4 참조). 또한, 심(20)은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즉, 베어링 유닛(4)의 일단부측(41)과 고정 케이싱(2)의 단차부(16)가 직접 결합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5)은 고정 케이싱(2)의 외주이며, 베어링 유닛(4)의 타단부측(42)[다른 쪽의 베어링(11a)의 이너 레이스(12a)의 측면]이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고정 케이싱(2)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홈(5)에 있어서의 베어링 유닛(4)측의 단부면(5a)은 고정 케이싱(2)의 단차부(16)로부터의 거리가, 베어링 유닛(4) 자체의 폭과 심(20)의 두께를 합계한 치수[보다 명확하게는, 링(6)이 홈(5)에 끼워 넣어져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베어링 유닛(4)의 일단부측(41)과 타단부측(42) 사이의 거리{링(6)이 홈(5)에 끼워 넣어져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베어링 유닛(4) 자체의 폭}와 심(20)의 두께를 합계한 치수]보다도 짧게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심(20)을 배치한 경우 및 배치하지 않았던 경우의 양쪽 모두를 표현하기 위해, 심(20)을 배치한 경우에는 당해 심(20)을 베어링 유닛(4)의 일 구성 요소로서 파악하고, 베어링 유닛(4) 자체의 폭과 심(20)의 두께를 합계한 치수를, 「베어링 유닛(4)의 폭」이라고 정의한다.
회전 케이싱(3)은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 유닛(4)의 한 쌍의 베어링(11a, 11b)의 사이에 끼움 지지되어 있고, 이에 의해, 고정 케이싱(2)에 대해 이 한 쌍의 베어링(11a, 11b)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회전 케이싱(3)의 내주에는, 한 쌍의 베어링(11a 및 11b)에 끼움 지지되는 부분으로서, 둘레 방향에 걸쳐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15)는 베어링(11a)의 아우터 레이스(13a)와 베어링(11b)의 아우터 레이스(13b) 사이에서 끼움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링>
링(6)은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케이싱(2)의 외주에 형성된 홈(5)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베어링 유닛(4)에 예압을 부여한 상태에서 당해 베어링 유닛(4)의 타단부측(42)의 위치를 규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 링(6)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로 분할된 형태의 것이고, 서로 동일 형상 또한 동일 치수의 반원 형상의 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3은 2개로 분할된 반원 형상의 편측의 링(6)의 단품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6)은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 및 소정의 직경 방향의 폭을 갖는 반원 형상의 금속제의 링이다. 링(6)의 양측면(22)은 당해 링(6)을 홈(5)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베어링 유닛(4)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의 방향[감속기(100)의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에 대해 수직한 면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링(6)이 각각, 홈(5)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양쪽의 링(6)이 베어링 유닛(4)으로부터의 하중을 받아 한 쌍의 베어링(11a, 11b)을 예압 상태로 보유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링(6)은 그 내주측의 양쪽의 단부(21) 부분이, 각각의 양단부에 접근할수록, 당해 링(6)의 직경 방향 치수가 작아지도록 절결되어 있다. 그 절결면(21a)은 링(6)의 양측면(22)에 대해 직각의 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링(6) 장착 시의 링(6)의 이동 방향 C(세트 방향)에 대한 절결면(21a)의 경사 각도 α는 30°이하로 된다. 또한, 경사 각도 α의 하한값은 1°정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경사 각도 α=약 30°로 여겨지고 있다.
도 5는 도 2의 Q부 확대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절결된 링(6)의 양단부 부분의 내주면측의 선단(21b)이, 당해 링(6)을 홈(5)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홈(5) 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링(6)을 홈(5)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고정 케이싱(2)의 단부(2a)의 외주에 형성된 스플라인의 정상부끼리를 연결하는 선(31b)보다도 홈 바닥측에 링(6)의 선단(21b)이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링(6)의 선단(21b)은, 스플라인의 골부끼리를 연결하는 선(31a) 상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링(6)의 양단부 부분의 내주면측의 선단(21b)이 홈(5) 내에 위치한다는 것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고정 케이싱(2)의 외주에 형성된 스플라인의 정상부끼리를 연결하는 선(31b)을 링(6)의 선단(21b)이 직경 방향 외측으로 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또한, 링의 전체 둘레에서 하중을 받도록 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경사 각도 α를 확보한 후에, 고정 케이싱(2)의 외주에 형성된 스플라인의 골부끼리를 연결하는 선(31a)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 링(6)의 선단(21b)을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본 실시 형태와 같이, 스플라인의 골부끼리를 연결하는 선(31a) 상에 링(6)의 선단(21b)을 위치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링(6)의 내주면측은, 그 양단부(21) 부분을 제외하여 전체 둘레에 걸쳐 양면 모두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테이퍼면(22a)]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5)에 끼워 넣어진 상태의 링(6)의 당해 테이퍼면(22a)이 대향하는, 홈(5)의 바닥의 양쪽 코너(5b)에는 R이 형성되어 있다[홈(5)의 바닥의 양쪽 코너(5b)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종래 기술의 링>
비교를 위해, 종래 기술의 링에 대해 설명해 둔다. 도 8은 종래 기술의 베어링 예압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감속기(200)의 측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하는 종래 기술의 반원 형상의 링(5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링(6)은 상기한 바와 같이, 그 내주측의 양쪽의 단부(21) 부분이, 각각의 양단부에 접근할수록, 당해 링(6)의 직경 방향 치수가 작아지도록 절결되어 있지만, 비교예의 링(50)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양단부가 절결되어 있지 않다.
(고정 케이싱에 대한 회전 케이싱의 조립)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감속기(100)의 조립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B-B 단면도이다. 고정 케이싱(2)에 대해 회전 케이싱(3)을 조립할 때, 고정 케이싱(2)에 형성된 홈(5)에 링(6)을 끼워 넣기 직전의 링(6)의 상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케이싱(3)의 내주면에 링(6)의 외주면이 접촉하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링(6)을 세트 방향 C[감속기(100)의 중심축을 향하는 방향]로 이동시킴으로써, 고정 케이싱(2)에 형성한 홈(5)에 링(6)을 끼워 넣는다. 링(6)은 비스듬히 커트되어 이루어지는 그 내주측의 양단부(21)의 절결면(21a)이 최초로 고정 케이싱(2)에 접촉하고, 이 절결면(21a)으로부터 홈(5)에 끼워 넣는다. 링(6)의 내주측의 양단부(21)가 비스듬히 커트되어 있음으로써, 링 끼워 넣기 시[도 7 중 상측의 링(6)의 상태], 고정 케이싱(2)에 링(6)을 종래보다도 접근시킨 상태로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5)에 있어서의 베어링 유닛(4)측의 단부면(5a)과, 고정 케이싱(2)의 단차부(16) 사이의 거리가, 링(6)이 홈(5)에 끼워 넣어져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베어링 유닛(4) 자체의 폭과 심(20)의 두께를 합계한 치수[링(6)이 홈(5)에 끼워 넣어져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베어링 유닛(4)의 폭]보다도 짧기 때문에, 링(6)을 홈(5)에 끼워 넣음으로써, 베어링 유닛(4)[한 쌍의 베어링(11a, 11b)]에 예압이 부여된다. 이에 의해, 당해 베어링 유닛(4)[한 쌍의 베어링(11a, 11b)]에 의해, 고정 케이싱(2)에 대해 회전 케이싱(3)이 회전 가능하게, 또한 견고하게 지지된다.
(작용·효과)
본 발명의 베어링 예압 기구에서는, 고정 케이싱의 외주에 형성된 홈에 끼워 넣어지는 링이 복수로 분할되고(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2개로 분할되어 있지만, 3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있어도 됨), 복수로 분할된 링의 내주측의 양단부 부분이, 각각의 양단부에 접근할수록 당해 링의 직경 방향 치수가 작아지도록 절결되어 있다. 비교예로서 도 9에 도시한 종래 기술의 링(50)은 그 양단부 부분이 절결되어 있지 않다. 이 경우, 고정 케이싱(2)과 회전 케이싱(3) 사이의 링 내장 스페이스가 커져 버린다[고정 케이싱(2)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링(50)의 튀어나옴 값이 크다]. 한편, 본 발명의 베어링 예압 기구에 관한 링에 의하면, 그 내주측의 양단부 부분이, 각각의 양단부에 접근할수록 당해 링의 직경 방향 치수가 작아지도록 절결되어 있기 때문에, 그 절결면으로부터 홈에 끼워 넣는 것으로 되어, 고정 케이싱(2)과 회전 케이싱(3) 사이의 링 내장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고정 케이싱(2)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링(6)의 튀어나옴 값이 작다]. 그 결과, 회전 케이싱을 종래보다도 소직경화할 수 있다[도 1의 회전 케이싱(3)의 D부와 도 8의 회전 케이싱(3)의 D부를 비교 참조]. 또한, 회전 케이싱의 두께를 종래보다도 크게 할 수 있으므로[도 1의 회전 케이싱(3)의 E부와 도 8의 회전 케이싱(3)의 E부를 비교 참조], 기어 전달에 의해 회전 케이싱에 작용하는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고, 회전 케이싱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절결된 링(6)의 양단부 부분의 내주면측의 선단(21b)을, 당해 링(6)을 홈(5)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홈(5) 내에 위치시키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링을 절결하였다고 해도, 종래와 마찬가지로, 링의 전체 둘레에서 하중을 받을 수 있으므로, 베어링 유닛의 자세가 보다 안정된다.
여기서, 링(6)의 양단부 부분의 절결면(21a)은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비스듬히 곧지는 않고, 고정 케이싱(2)의 단부(2a) 중, 홈(5)보다도 유성 기어 기구(R)측의 부분의 외형 형상을 따른(외형 형상에 맞는) 원호 형상의 면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 말하면, 고정 케이싱(2)의 단부(2a)의 외주에 형성된 스플라인의 정상부끼리를 연결하는 선(31b)[원(31b)]을 따른(맞는) 원호 형상의 면으로 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링(6) 양쪽 선단에의 하중의 부하 부분을 저감시키는 일 없이, 링(6)의 튀어나옴 값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로 분할된 링(6)을 홈(5)에 끼워 넣은 상태에 있어서, 링(6)의 단부면끼리의 사이에 간극 S가 있지만, 링(6)의 단부면끼리를, 당해 링(6)을 홈(5)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접촉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서로의 링(6)에 의해 서로의 링(6)의 이동이 규제되므로 링(6)의 고정이 보다 안정된다. 그 결과, 베어링 유닛(4)의 자세가 보다 안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링(6)의 내주면측이 양면 모두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테이퍼면(22a)]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홈(5)의 바닥의 양쪽 코너(5b)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링(6)의 내주면측을 양면 모두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테이퍼면(22a)]으로 함으로써, 홈(5)의 바닥의 양쪽 코너(5b)의 R을 크게 할 수 있어, 당해 양쪽 코너(5b)에의 응력 집중을 완화할 수 있다.
1 : 베어링 예압 기구
2 : 고정 케이싱
3 : 회전 케이싱
4 : 베어링 유닛
5 : 홈
6 : 링
11a, 11b : 한 쌍의 베어링
16 : 단차부(고정 케이싱의 외주에 형성된 단차부)
100 : 감속기

Claims (4)

  1. 감속기에 사용되고, 고정 케이싱에 대해 회전 케이싱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에 예압을 부여하는 감속기의 베어링 예압 기구이며,
    외주에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고정 케이싱과,
    한 쌍의 베어링으로서 형성됨과 함께, 상기 단차부에 일단부측이 결합되는 베어링 유닛과,
    상기 고정 케이싱의 외주이며, 상기 베어링 유닛의 타단부측이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홈과,
    상기 홈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상기 베어링 유닛에 예압을 부여한 상태에서 당해 베어링 유닛의 타단부측의 위치를 규정하는 링과,
    상기 한 쌍의 베어링 사이에 끼움 지지되고, 상기 고정 케이싱에 대해 당해 한 쌍의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기 회전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링은 복수로 분할되어 있고,
    복수로 분할된 상기 링의 내주측의 양단부 부분이, 각각의 양단부에 접근할수록 상기 링의 직경 방향 치수가 작아지도록 절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의 베어링 예압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절결된 상기 링의 양단부 부분의 내주면측의 선단이, 당해 링을 상기 홈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홈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의 베어링 예압 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수로 분할된 상기 링의 단부면끼리가, 당해 링을 상기 홈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의 베어링 예압 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의 내주면측이 양면 모두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의 바닥의 양쪽 코너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의 베어링 예압 기구.
KR1020150034621A 2014-03-13 2015-03-12 감속기의 베어링 예압 기구 KR1016978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50192A JP6326252B2 (ja) 2014-03-13 2014-03-13 減速機の軸受予圧機構
JPJP-P-2014-050192 2014-03-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666A KR20150107666A (ko) 2015-09-23
KR101697854B1 true KR101697854B1 (ko) 2017-01-18

Family

ID=54082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621A KR101697854B1 (ko) 2014-03-13 2015-03-12 감속기의 베어링 예압 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326252B2 (ko)
KR (1) KR101697854B1 (ko)
CN (1) CN1049130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44551B2 (ja) * 2019-05-31 2024-03-06 ナブテスコ株式会社 回転機器の軸受組付け部構造
JP7349937B2 (ja) * 2020-03-04 2023-09-25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撓み噛合い式歯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5057A (ja) * 2004-03-18 2005-09-29 Nsk Ltd 止め輪付薄肉転がり軸受
JP2007002895A (ja) * 2005-06-22 2007-01-11 Nabtesco Corp 減速機の軸受予圧機構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0342A (en) * 1974-05-17 1975-11-18 Charles W Warda Bearing locking device
JPS53150349U (ko) * 1977-05-04 1978-11-27
JPH09100820A (ja) * 1995-10-04 1997-04-15 Ntn Corp 軸受内輪固定用止め輪およびこれを用いた軸受固定構造
JP3510726B2 (ja) * 1995-12-25 2004-03-29 Ntn株式会社 ころ軸受
JP5910378B2 (ja) * 2012-07-11 2016-04-27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減速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モータ回転力伝達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5057A (ja) * 2004-03-18 2005-09-29 Nsk Ltd 止め輪付薄肉転がり軸受
JP2007002895A (ja) * 2005-06-22 2007-01-11 Nabtesco Corp 減速機の軸受予圧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13023B (zh) 2017-08-04
JP2015175388A (ja) 2015-10-05
JP6326252B2 (ja) 2018-05-16
CN104913023A (zh) 2015-09-16
KR20150107666A (ko) 201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15509A (zh) 传动装置
JP6767804B2 (ja) 歯車変速機
KR102381750B1 (ko) 감속장치
KR102236715B1 (ko) 기어 전동 장치
JPWO2019058798A1 (ja) 撓み噛合い式歯車装置
KR101697854B1 (ko) 감속기의 베어링 예압 기구
TWI619896B (zh) Bearing and reducer
JP6727034B2 (ja) 歯車減速機
JP2009041674A (ja) 歯車部材、歯車機構、および歯車部材の製造方法
JP4694899B2 (ja) 減速機の軸受予圧機構
KR102262294B1 (ko) 기어 전동 장치
US20170299024A1 (en) Loading cam device and friction roller-type speed reducer
JP7105557B2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JP5849645B2 (ja) 摩擦ローラ式減速機
JP6265061B2 (ja) 遊星ローラ式トラクションドライブ装置
KR100297127B1 (ko) 토크컨버터를위한펌프임펠러
KR20170015193A (ko) 편심 요동형 기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6515447B2 (ja) アイドラプーリ用軸受
JP6343920B2 (ja) ラジアル・スラスト組合せ軸受
CN111720497B (zh) 摆线减速机及其制造方法以及马达单元
JPH0536091Y2 (ko)
JP6713363B2 (ja) 変速機
JP2006118662A (ja) 自在継手
JP5982326B2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JP2024021633A (ja) ボールね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