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727B1 - 지지바 위치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지지바 위치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727B1
KR101697727B1 KR1020150141666A KR20150141666A KR101697727B1 KR 101697727 B1 KR101697727 B1 KR 101697727B1 KR 1020150141666 A KR1020150141666 A KR 1020150141666A KR 20150141666 A KR20150141666 A KR 20150141666A KR 101697727 B1 KR101697727 B1 KR 101697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r
engaging
bracket
base
sli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은데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은데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은데코
Priority to KR1020150141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7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E04F13/0808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adjustable in several directions one of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17U- or C-shaped brackets and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바 위치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벽면에 일 면이 밀착되게 고정되는 베이스와; 일 측이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벽면을 마감하기 위한 마감재를 지지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지지바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지지바를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켜 상기 지지바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바 위치조절장치는 제1결합브라켓의 고정플레이트와 제2결합브라켓의 고정플레이트 사이에 지지바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결합브라켓 및 제2결합브라켓을 동시에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좌우방향으로 지지바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바를 고정플레이트를 따라 벽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을 이동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전후방향으로 지지바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지바 위치조절장치는 벽면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 즉, 전후방향으로 지지바의 위치조절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벽면에 대하여 평행한 좌우측 방향으로 지지바의 위치조절 또한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벽면 마감 시공시 줄 맞춤 또는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지지바 위치조절장치{POSITION ADJUSTING DEVICE OF SUPPORT BAR}
본 발명은 지지바 위치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벽면을 마감처리 하기 위한 마감재가 설치되는 지지바의 위치를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지바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지지바 위치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내외장재로서 석고보드나 흡음재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석고보드나 흡음재 등은 방음이나, 방습 등의 목적뿐만 아니라 미관상의 이유로 자주 사용된다. 상술한 석고보드나 흡음재 설치를 위해서는 벽체 틀을 건축물의 내외 일정 부분에 설치하게 된다. 이때 설치되는 벽체 틀의 경우에는 벽체에 완전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석고보드나 흡음재의 경우에는 사전에 일정한 크기를 가지며 제작되는데, 석고보드나 흡음재를 완전 고정된 벽체에 고정 및 배치하는 과정에서 적절히 정렬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석고보드나 흡음재의 크기와 벽체 틀의 배열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벽체를 다시 설치해야 한다. 벽체를 다시 설치하기 위해서는 고정된 벽체 틀을 벽체로부터 분리시킨 후 다시 설치해야 번거로움이 있다. 최초 작업시 벽체 틀을 정밀하게 설치하는 경우 이러한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으나, 벽체 틀의 설치 과정에서 다양한 이유로 정밀한 시공이 어렵거나 또는 설치 과정에서 판재들의 정확한 정렬을 위하여 벽체 틀 조정이 요구될 수 있다.
이러한 벽체 틀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종래에는 벽체 틀을 벽체로부터 해체하고, 정렬에 따른 위치 조정을 수행한 후 다시 정렬해야 하는 등의 작업을 되풀이 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판재 설치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적절한 정렬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KR 20-1999-007866 U KR 10-2003-0025795 A KR 10-2011-0043113 A KR 10-0914169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벽체 틀을 고정시킨 상태에서도 필요에 따라 설치된 판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경량벽체 틀 및 이를 이용한 판재 설치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지바 위치조절장치는 벽면에 일 면이 밀착되게 고정되는 베이스와; 일 측이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벽면을 마감하기 위한 마감재를 지지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지지바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지지바를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켜 상기 지지바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의 좌우 폭 방향 길이중심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된 제1결합슬릿부 및 제2결합슬릿부와, 일 측이 상기 제1결합슬릿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 측은 상기 지지바에 결합되는 제1결합브라켓과, 일 측이 상기 제2결합슬릿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 측은 상기 지지바에 결합되는 제2결합브라켓 및 상기 지지바를 상기 제1결합브라켓과 제2결합브라켓 사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결합슬릿부와 제2결합슬릿부에는 각각 상기 베이스의 좌우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결합브라켓과 제2결합브라켓의 일 측이 각각 삽입되는 끼움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결합브라켓 및 제2결합브라켓은 상기 제1결합슬릿부 및 제2결합슬릿부의 끼움슬릿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하는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단부로부터 상기 이동플레이트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되어 상기 지지바의 일 면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에는 상기 벽면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장공 형상의 위치조절구멍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의 일부를 절개하여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각각 절곡하여 형성된 제1결합브라켓 및 제2결합브라켓과, 상기 지지바를 상기 제1결합브라켓과 제2결합브라켓 사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결합브라켓 및 상기 제2결합브라켓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결합브라켓 및 제2결합브라켓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내측으로 소정깊이 인입된 절곡안내부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브라켓 및 제2결합브라켓은 상기 절곡안내부가 형성된 부분을 선택적으로 절곡하여 상기 베이스로부터 돌출되는 길이 및 상기 제1결합브라켓 및 제2결합브라켓 사이에 고정되는 지지바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바 위치조절장치는 제1결합브라켓의 고정플레이트와 제2결합브라켓의 고정플레이트 사이에 지지바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결합브라켓 및 제2결합브라켓을 동시에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좌우방향으로 지지바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바를 고정플레이트를 따라 벽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을 이동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전후방향으로 지지바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지바 위치조절장치는 벽면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 즉, 전후방향으로 지지바의 위치조절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벽면에 대하여 평행한 좌우측 방향으로 지지바의 위치조절 또한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벽면 마감 시공시 줄 맞춤 또는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 위치조절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지바 위치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 위치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지바 위치조절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지지바 위치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지지바 위치조절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 위치조절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바 위치조절장치(1)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지지바 위치조절장치(1)은 베이스(10)와; 결합부(20)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10)는 벽면(W)에 일 면이 밀착되게 고정되는 것으로서, 사각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소정의 두께를 가진다. 상기 베이스(1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할 수 있으며, 별도의 고정볼트 또는 고정피스를 통해 벽면(W)에 고정된다.
상기 결합부(20)는 일 측이 상기 베이스(10)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벽면(W)을 마감하기 위한 마감재를 지지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지지바(B)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10)에 대하여 상기 지지바(B)를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켜 상기 지지바(B)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바(B)는 마감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금속소재의 M-bar 또는 찬넬이나 목재소재의 각목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0)는 상기 베이스(10)의 좌우 폭 방향 길이중심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된 제1결합슬릿부(31) 및 제2결합슬릿부(32)와, 일 측이 상기 제1결합슬릿부(31)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 측은 상기 지지바(B)에 결합되는 제1결합브라켓(41)과, 일 측이 상기 제2결합슬릿부(32)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 측은 상기 지지바(B)에 결합되는 제2결합브라켓(42) 및 상기 지지바(B)를 상기 제1결합브라켓(41)과 제2결합브라켓(42) 사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47)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슬릿부(31)와 제2결합슬릿부(32)에는 각각 상기 베이스(10)의 좌우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결합브라켓(41)과 제2결합브라켓(42)의 일 측이 각각 삽입되는 끼움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결합슬릿부(31) 및 제2결합슬릿부(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일부를 절개 및 전방으로 돌출되게 가압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이와 다르게 내측에 끼움슬릿이 형성된 것을 베이스(10)에 별도로 고정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결합브라켓(41) 및 제2결합브라켓(42)은 상기 제1결합슬릿부(31) 및 제2결합슬릿부(32)의 끼움슬릿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하는 이동플레이트(43)와, 상기 이동플레이트(43)의 단부로부터 상기 이동플레이트(43)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또는 직교하는 방향 즉, 벽면(W)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되어 상기 지지바(B)의 일 면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44)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플레이트(44)에는 상기 벽면(W)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장공 형상의 위치조절구멍(45)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결합브라켓(41) 및 제2결합브라켓(42)은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결합부(20)는 상기 제1결합슬릿부(31) 및 제2결합슬릿부(32)에 대하여 상기 제1결합브라켓(41) 및 제2결합브라켓(42)의 이동플레이트(43) 각각을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플레이트(43)에 간섭된 상태를 해제시키거나, 이동 불가능하게 이동플레이트(43)에 간섭되는 단속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속부재는 상기 제1결합슬릿부(31) 및 제2결합슬릿부(32)의 외측으로부터 이동플레이트(43)를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피스가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바 위치조절장치(1)은 상기 제1결합브라켓(41)의 고정플레이트(44)와 상기 제2결합브라켓(42)의 고정플레이트(44) 사이에 지지바(B)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브라켓(41) 및 제2결합브라켓(42)을 동시에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좌우방향으로 지지바(B)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바(B)를 고정플레이트(44)를 따라 벽면(W)과 가까워지는 방향을 이동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전후방향으로 지지바(B)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 위치조절장치(2)이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 위치조절장치(2)은 베이스(10)와; 결합부(120)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1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지지바 위치조절장치(1)의 베이스(10) 동일한 구조를 적용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결합부(120)는 상기 베이스(10)의 일부를 절개하여 상기 베이스(10)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각각 절곡하여 형성된 제1결합브라켓(141) 및 제2결합브라켓(142)과, 상기 지지바(B)를 상기 제1결합브라켓(141)과 제2결합브라켓(142) 사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47)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결합부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브라켓(141)과 제2결합브라켓(142)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절곡안내부(149)들을 형성한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1결합브라켓(141) 및 상기 제2결합브라켓(142)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결합브라켓(141) 및 제2결합브라켓(142)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내측으로 소정깊이 인입된 절곡안내부(149)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곡안내부(149)는 제1결합브라켓(141) 및 제2결합브라켓(142)을 용이하게 절곡할 수 있도록 제1결합브라켓(141) 및 제2결합브라켓(142)의 가장자리를 일부분 제거하여 형성하며, 서로 마주하는 변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곡안내부(149)는 제1결합브라켓(141) 및 제2결합브라켓(142)의 절곡 위치를 다양하게 할 수 있도록 되도록 촘촘한 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결합브라켓(141) 및 제2결합브라켓(142)은 상기 절곡안내부(149)가 형성된 부분을 선택적으로 절곡시킴으로써 상기 베이스(10)로부터 돌출되는 길이 및 상기 제1결합브라켓(141) 및 제2결합브라켓(142) 사이에 고정되는 지지바(B)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곡안내부(149)를 통해서 두께나 폭 등이 서로 다른 지지바(B)를 상기 제1결합브라켓(141) 및 제2결합브라켓(142) 사이에 지지바(B)를 안정적으로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결합브라켓(141) 및 제2결합브라켓(142)의 절곡 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절곡안내부(149)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브라켓(141) 및 제2결합브라켓(142)의 형성을 위해 상기 베이스(10)의 일부를 절개하는 절개선을 형성할 때,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이와 다르게 상기 제1결합브라켓(141) 및 제2결합브라켓(142)의 가장자리에 별도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바 위치조절장치(1)은 벽면(W)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 즉, 전후방향으로 지지바(B)의 위치조절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벽면(W)에 대하여 평행한 좌우측 방향으로 지지바(B)의 위치조절 또한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벽면(W) 마감 시공시 줄 맞춤 또는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지지바 위치조절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베이스
20 : 결합부
31 : 제1결합슬릿부
32 : 제2결합슬릿부
41 : 제1결합브라켓
42 : 제2결합브라켓
43 : 이동플레이트
44 : 고정플레이트
45 : 위치조절구멍
47 : 고정부재
149 : 절곡안내부
B : 지지바
W : 벽면

Claims (5)

  1. 벽면에 일 면이 밀착되게 고정되는 베이스와;
    일 측이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벽면을 마감하기 위한 마감재를 지지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지지바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지지바를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켜 상기 지지바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의 좌우 폭 방향 길이중심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된 제1결합슬릿부 및 제2결합슬릿부와, 일 측이 상기 제1결합슬릿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 측은 상기 지지바에 결합되는 제1결합브라켓과, 일 측이 상기 제2결합슬릿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 측은 상기 지지바에 결합되는 제2결합브라켓 및 상기 지지바를 상기 제1결합브라켓과 제2결합브라켓 사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결합슬릿부와 제2결합슬릿부에는 각각 상기 베이스의 좌우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결합브라켓과 제2결합브라켓의 일 측이 각각 삽입되는 끼움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바 위치조절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브라켓 및 제2결합브라켓은 상기 제1결합슬릿부 및 제2결합슬릿부의 끼움슬릿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하는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단부로부터 상기 이동플레이트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되어 상기 지지바의 일 면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에는 상기 벽면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장공 형상의 위치조절구멍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바 위치조절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50141666A 2015-10-08 2015-10-08 지지바 위치조절장치 KR101697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666A KR101697727B1 (ko) 2015-10-08 2015-10-08 지지바 위치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666A KR101697727B1 (ko) 2015-10-08 2015-10-08 지지바 위치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727B1 true KR101697727B1 (ko) 2017-01-19

Family

ID=57990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666A KR101697727B1 (ko) 2015-10-08 2015-10-08 지지바 위치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7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421A (ko) * 2018-12-05 2020-06-15 주식회사 케이씨씨 시공이 용이한 차수벽의 프레임 구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176A (ja) * 1992-07-08 1994-02-01 Musoushiya:Kk 壁パネルの貼付け工法および壁パネルの張付け用支持金具
KR20000059928A (ko) 1999-03-10 2000-10-16 고영환 주사용 화살
KR20030025795A (ko) 2002-07-23 2003-03-29 이상욱 화장 패널과 그 제조 방법 및 화장 패널을 갖는 벽면마감용 구조물과 그 시공 방법
KR200410714Y1 (ko) * 2005-12-24 2006-03-08 김근영 건물의 외벽재 고정장치
KR100914169B1 (ko) 2009-04-14 2009-08-28 세보금속스텐(주) 조립식 벽체
KR20110043113A (ko) 2009-10-21 2011-04-27 장강 벽체마감패널과 고정설치브래킷 및 상기 고정설치브래킷을 이용한 벽체마감패널의 설치방법
JP2013002225A (ja) * 2011-06-21 2013-01-07 Panasonic Corp パネル保持装置
JP5215944B2 (ja) * 2009-06-05 2013-06-19 ケイミュー株式会社 棟受け金具及び棟受け金具成形用板材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176A (ja) * 1992-07-08 1994-02-01 Musoushiya:Kk 壁パネルの貼付け工法および壁パネルの張付け用支持金具
KR20000059928A (ko) 1999-03-10 2000-10-16 고영환 주사용 화살
KR20030025795A (ko) 2002-07-23 2003-03-29 이상욱 화장 패널과 그 제조 방법 및 화장 패널을 갖는 벽면마감용 구조물과 그 시공 방법
KR200410714Y1 (ko) * 2005-12-24 2006-03-08 김근영 건물의 외벽재 고정장치
KR100914169B1 (ko) 2009-04-14 2009-08-28 세보금속스텐(주) 조립식 벽체
JP5215944B2 (ja) * 2009-06-05 2013-06-19 ケイミュー株式会社 棟受け金具及び棟受け金具成形用板材
KR20110043113A (ko) 2009-10-21 2011-04-27 장강 벽체마감패널과 고정설치브래킷 및 상기 고정설치브래킷을 이용한 벽체마감패널의 설치방법
JP2013002225A (ja) * 2011-06-21 2013-01-07 Panasonic Corp パネル保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421A (ko) * 2018-12-05 2020-06-15 주식회사 케이씨씨 시공이 용이한 차수벽의 프레임 구조
KR102208068B1 (ko) * 2018-12-05 2021-01-26 주식회사 케이씨씨 시공이 용이한 차수벽의 프레임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6377B1 (en) Electrical box assembly
CA2815622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utlining recessed installation of a component within a surface material
RU2009141992A (ru) Потайная дверная петля
US1814449A (en) Switch box
JP2017511852A (ja) ガイド装置
KR101697727B1 (ko) 지지바 위치조절장치
RU177033U1 (ru) Пластина крепежная
KR200425100Y1 (ko)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KR102055650B1 (ko) 캐리어의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벽체틀
KR20170042968A (ko) 창호 시공 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창호 고정 브래킷 및 그 제조방법
KR101851194B1 (ko) 건물 장식용 알루미늄 스크린 루버
KR200414943Y1 (ko) 가동편이 구비된 웨일러클램프
KR102180397B1 (ko) 문틀 시공장치
KR20170050657A (ko) M-Bar 보조클립 및 이를 사용한 경량벽체틀
US10390613B2 (en) Securement apparatus and methods of using same
RU178920U1 (ru) Рядовой кляммер для крепления облицовочных элементов
EP1726729A1 (en) Partition wall for integrating with concrete floor
KR200487832Y1 (ko) 건축자재 고정장치
KR20170012990A (ko) 건축용 외장재 고정 구조
KR20170018723A (ko) 건축용 외장재 고정 구조
KR20210003571A (ko) 천장몰딩용 연결기구
EP3994317B1 (en) Profile fixing accessory and support system comprising such profile fixing accessory for cladding, elevated floors, lowered ceilings or such
JP7101064B2 (ja) 棚受装置
KR20130113720A (ko) 경량벽체틀 및 이를 이용한 판재 설치 방법
EP3994318B1 (en) Profile fixing accessory and support system comprising such profile fixing accessory for cladding, elevated floors, lowered ceilings or su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