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3571A - 천장몰딩용 연결기구 - Google Patents

천장몰딩용 연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3571A
KR20210003571A KR1020190079541A KR20190079541A KR20210003571A KR 20210003571 A KR20210003571 A KR 20210003571A KR 1020190079541 A KR1020190079541 A KR 1020190079541A KR 20190079541 A KR20190079541 A KR 20190079541A KR 20210003571 A KR20210003571 A KR 20210003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molding member
ceiling
seating portion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0590B1 (ko
Inventor
고진권
Original Assignee
고진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진권 filed Critical 고진권
Priority to KR1020190079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590B1/ko
Publication of KR20210003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19/043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between ceiling and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19/0495Plinths fixed around wall openings or around corners of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인접하는 벽면과 천장 사이의 모서리를 각각 마감하는 몰딩부재 간의 서로 인접하는 끝단을 커버하고 연결하여 몰딩부재 간의 서로 인접하는 끝단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고 몰딩부재의 길이를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천장몰딩용 연결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천장(10)과 제1벽면(2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벽면(20)과 천장(10) 사이의 모서리를 커버하기 위한 일정길이를 갖는 제1몰딩부재(100)와, 상기 제1벽면(20)과 인접한 제2벽면(30)과 천장(1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벽면(30)과 천장(10) 사이의 모서리를 커버하기 위한 일정길이를 갖는 제2몰딩부재(200)와, 상기 제1몰딩부재(100)와 상기 제2몰딩부재(200)를 연결하면서 상기 제1몰딩부재(100)와 상기 제2몰딩부재(200)의 길이를 가변시키기 위한 코너연결부재(400)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연결부재(400)는, 상기 제2몰딩부재(200)와 인접한 상기 제1몰딩부재(100)의 길이방향 일측에 안착하기 위한 제1안착부(410)와, 상기 제1안착부(410)와 직교되어 연결되면서 상기 제1몰딩부재(100)와 인접한 상기 제2몰딩부재(200)의 길이방향 일측에 안착하기 위한 제2안착부(420)와, 상기 제1안착부(410)와 상기 제2안착부(420)의 각 폭방향 양측이 상기 제1몰딩부재(100)와 상기 제2몰딩부재(200)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몰딩부재(100)와 상기 제2몰딩부재(2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몰딩부재(100)와 상기 제2몰딩부재(200)에 각각 걸림되기 위한 절곡부(440)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천장몰딩용 연결기구{CONNECTION APPARATUS FOR CEILING MOLDING}
본 발명은 천장몰딩용 연결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인접하는 벽면과 천장 사이의 모서리를 각각 마감하는 몰딩부재 간의 서로 인접하는 끝단을 커버하고 연결하여 몰딩부재 간의 서로 인접하는 끝단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고 몰딩부재의 길이를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천장몰딩용 연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면이나 천장 등이 서로 인접한 모서리를 마감하기 위해 몰딩을 사용한다.
이러한 몰딩은 천장판, 내장판(內裝板) 등의 이음매를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띠 모양의 부재이며, 건축이나 공예에서 벽면과 벽면 사이의 모서리나 창틀이나 가구의 테두리를 장식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몰딩은 벽면과 천장 사이, 벽면과 바닥 사이, 벽면과 벽면 사이, 벽과 문을 이어주는 부분 등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모서리 부분이 깔끔하게 이어지지 않으면서 외부로 노출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몰딩은 가장 흔하게 사용되고 가격이 저렴한 랩핑과 수명이 긴 우레탄, 욕실이나 화장실에 주로 이용되는 PVC 등이 있다.
또한, 몰딩은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10776호(등록일자: 2009년 10월 22일)에 기재된 바와 같이, 욕실 또는 주방에 설치되는 구조물과 욕실 또는 주방의 바닥, 천장, 벽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의 틈새에 삽입되고 양측에 돌기가 다수개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삽입부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하 양단부위가 구조물과 욕실 또는 주방의 바닥, 천장, 벽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하나에 각각 밀착되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밀착부와, 상기 삽입부와 밀착부를 연결하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연장부가 일체로 형성된 몰딩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공개실용신안과 같은 몰딩을 이용하여 벽면과 천장 사이 등을 연결할 때 서로 인접하는 몰딩이 이어져 보일 수 있도록 상기 몰딩의 끝단면이 서로 접촉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몰딩의 끝단을 정확히 45°로 절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상기 몰딩의 끝단이 정확히 45°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서로 인접시킬 경우에는 몰딩 간의 사이가 벌어져 이물질이 유입되기 쉬워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외관상 미려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한 몰딩의 끝단면 사이가 이격될 경우에는 새로운 몰딩을 추가로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자재비용이 증가하면서 외관상 미려하지 못하게 되고, 상기 몰딩의 끝단면을 서로 정확하게 인접시키기 위한 작업시간이 증가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벽면과 천장 사이에 설치되는 몰딩 간을 연결시키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서로 인접하는 벽면과 천장 사이의 모서리를 각각 마감하는 몰딩부재 간의 서로 인접하는 끝단을 커버하고 길이를 가변시켜 연결할 수 있는 천장몰딩용 연결기구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벽면과 천장 사이의 모서리에 몰딩부재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몰딩부재 간의 서로 인접한 끝단에 설치할 수 있는 천장몰딩용 연결기구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벽면과 천장 사이의 모서리 각도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천장몰딩용 연결기구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천장몰딩용 연결기구는, 천장(10)과 제1벽면(2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벽면(20)과 천장(10) 사이의 모서리를 커버하기 위한 일정길이를 갖는 제1몰딩부재(100)와, 상기 제1벽면(20)과 인접한 제2벽면(30)과 천장(1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벽면(30)과 천장(10) 사이의 모서리를 커버하기 위한 일정길이를 갖는 제2몰딩부재(200)와, 상기 제1몰딩부재(100)와 상기 제2몰딩부재(200)를 연결하면서 상기 제1몰딩부재(100)와 상기 제2몰딩부재(200)의 길이를 가변시키기 위한 코너연결부재(400)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연결부재(400)는, 상기 제2몰딩부재(200)와 인접한 상기 제1몰딩부재(100)의 길이방향 일측에 안착하기 위한 제1안착부(410)와, 상기 제1안착부(410)와 직교되어 연결되면서 상기 제1몰딩부재(100)와 인접한 상기 제2몰딩부재(200)의 길이방향 일측에 안착하기 위한 제2안착부(420)와, 상기 제1안착부(410)와 상기 제2안착부(420)의 각 폭방향 양측이 상기 제1몰딩부재(100)와 상기 제2몰딩부재(200)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몰딩부재(100)와 상기 제2몰딩부재(2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몰딩부재(100)와 상기 제2몰딩부재(200)에 각각 걸림되기 위한 절곡부(44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벽면(20)과 제2벽면(30) 사이의 모서리를 커버하도록 일정길이를 갖는 제3몰딩부재(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너연결부재(400)는, 상기 제1안착부(410)와 상기 제2안착부(42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3몰딩부재(300)의 길이방향 일측에 안착되기 위한 제3안착부(430)를 포함하며, 상기 제3안착부(430)의 폭방향 양측은, 상기 제3안착부(430)가 상기 제3몰딩부재(3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3몰딩부재(300)에 걸림되기 위해 상기 제3몰딩부재(300)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44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너연결부재(400)는, 상기 제1안착부(410)와 상기 제2안착부(420)의 폭방향 일측의 절곡부(440)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1안착부(410)와 상기 제2안착부(420) 사이가 절개되어 상기 제1벽면(20)과 상기 제2벽면(30) 사이의 각도에 따라 상기 제1안착부(410)와 상기 제2안착부(420) 사이를 이격시키기 위한 절개부(45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너연결부재(400)는, 상기 제1안착부(410)와 상기 제2안착부(420)의 이격된 공간부를 가리기 위한 보강부재(5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500)는, 상기 코너연결부재(400)의 제1안착부(410)에 위치되기 위한 제1보강부(510)와, 상기 제1보강부(510)와 연결되어 상기 코너연결부재(400)의 제2안착부(420)에 위치되기 위한 제2보강부(520)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인접하는 벽면과 천장 사이의 모서리를 각각 마감하는 몰딩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몰딩부재의 끝단을 커버하고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음으로써 상기 몰딩부재의 끝단을 45°로 정확하게 절단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켜 신속하고 깔끔하게 작업자의 작업과정과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몰딩부재 간의 이격된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상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벽면과 천장 사이의 모서리에 몰딩부재가 설치된 상태에서도 서로 인접한 몰딩부재를 연결하기 위해 설치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벽면과 천장 사이의 모서리 각도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음으로 인해 각 모서리의 각도별로 제품을 제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천장몰딩용 연결기구,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천장몰딩용 연결기구의 제1몰딩부재,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천장몰딩용 연결기구의 코너연결부재,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천장몰딩용 연결기구의 코너연결부재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천장몰딩용 연결기구의 코너연결부재,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천장몰딩용 연결기구의 보강부재,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천장몰딩용 연결기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천장몰딩용 연결기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천장몰딩용 연결기구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천장몰딩용 연결기구의 제1몰딩부재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천장몰딩용 연결기구의 코너연결부재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천장몰딩용 연결기구의 코너연결부재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천장몰딩용 연결기구의 코너연결부재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천장몰딩용 연결기구의 보강부재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천장몰딩용 연결기구이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의한 천장몰딩용 연결기구는, 상기 도 1내 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10)과 제1벽면(2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벽면(20)과 천장(10) 사이의 모서리를 커버하기 위한 제1몰딩부재(100)와, 상기 제1벽면(20)과 인접한 제2벽면(30)과 천장(1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벽면(30)과 천장(10) 사이의 모서리를 커버하기 위한 제2몰딩부재(200)와, 상기 제1몰딩부재(100)와 상기 제2몰딩부재(200)를 연결하면서 상기 제1몰딩부재(100)와 상기 제2몰딩부재(200)의 길이를 가변시키기 위한 코너연결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몰딩부재(100)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10)과 제1벽면(20) 사이의 모서리를 커버하기 위해 상기 천장(10)과 제1벽면(20) 사이의 모서리를 따라 일정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몰딩부재(100)는 일정길이의 제1본체부(110)와, 상기 제1본체부(110)의 폭방향 양측에서 연장된 한쌍의 제1연장면부(12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본체부(110)는, 단면상 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면상 'ㄱ'자형상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면부(120)는, 상기 제1본체부(110)의 폭방향 양측에서 상기 천장(10)과 상기 제1벽면(2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천장(10)과 상기 제1벽면(20)에 각각 밀착된다. 이때, 상기 제1연장면부(120)는 실리콘 등과 같은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천장(10)과 상기 제1벽면(20)에 각각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연장면부(12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본체부(110)가 상기 천장(10)과 상기 제1벽면(20)의 모서리에 위치된 상기 제1본체부(11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1몰딩부재(100)는 상기 제1본체부(110)의 폭방향 일측에 형성된 상기 제1연장면부(120)의 일측이 상기 천장(10)과 밀착되고, 상기 제1본체부(110)의 폭방향 타측에 형성된 상기 제1연장면부(120)의 타측이 상기 제1벽면(20)과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천장(10)과 제1벽면(20) 사이의 모시리에 상기 제1본체부(110)가 위치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몰딩부재(200)는, 상기 천장(10)과 제2벽면(30) 사이의 모서리를 따라 커버하기 위해 일정길이의 제2본체부(210)와, 상기 제2본체부(210)의 폭방향 양측에서 연장된 한쌍의 제2연장면부(22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본체부(210)는, 상기 제1본체부(110)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면상 호형상이나 'ㄱ'자형상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면부(220)는, 상기 제2본체부(210)의 폭방향 양측에서 상기 천장(10)과 상기 제2벽면(30)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천장(10)과 상기 제2벽면(30)에 각각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제2본체부(21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2몰딩부재(200)는 상기 제2본체부(210)의 폭방향 일측에 형성된 상기 제2연장면부(220)의 일측이 상기 천장(10)과 밀착되고, 상기 제2본체부(210)의 폭방향 타측에 형성된 상기 제2연장면부(220)의 타측이 상기 제2벽면(30)과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천장(10)과 제2벽면(30) 사이의 모시리에 상기 제2본체부(210)가 위치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몰딩부재(100)와 상기 제2몰딩부재(200)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천장(10)과 상기 제1벽면(20) 사이의 모서리와 상기 천장과 상기 제2벽면(30) 사이의 모서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외관상 미려함 뿐만 아니라 상기 각 모서리에 먼지, 벌레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코너연결부재(400)는, 상기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벽면(20)과 제2벽면(30)의 코너부분에 서로 인접한 제1몰딩부재(100)와 제2몰딩부재(200) 사이가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인접한 제1몰딩부재(100)와 제2몰딩부재(200)를 연결하면서 상기 제1몰딩부재(100)와 상기 제2몰딩부재(200)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 코너연결부재(400)는 상기 제1몰딩부재(100)에 안착되기 위한 제1안착부(410)와, 상기 제1안착부(410)와 직교되어 연결되면서 상기 제2몰딩부재(200)에 안착되기 위한 제2안착부(420)와, 상기 제1안착부(410)와 상기 제2안착부(420)의 폭방향 양측이 상기 제1몰딩부재(100)와 상기 제2몰딩부재(200)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44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안착부(410)는, 상기 제2몰딩부재(200)와 인접한 제1몰딩부재(100)의 길이방향 일측의 제1본체부(110)에 안착되며, 상기 제1몰딩부재(100)의 제1본체부(11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단면상 호형상이나 'ㄱ'자형상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안착부(410)가 상기 제1몰딩부재(100)의 제1본체부(110)에 안착되기 때문에 상기 제1몰딩부재(100)의 길이방향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상기 제1몰딩부재(100)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안착부(420)는, 상기 제1안착부(410)와 직교되게 연결되어 상기 제1몰딩부재(100)와 인접한 제2몰딩부재(200)의 길이방향 일측의 제2본체부(210)에 안착된다.
또한, 상기 제2안착부(420)는 상기 제1안착부(410)와 동일하면서 상기 제2본체부(210)의 형상과 동일하도록 단면상 호형상이나 'ㄱ'자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안착부(420)는 상기 제2몰딩부재(200)의 제2본체부(210)에 안착되어 상기 제2몰딩부재(200)의 길이방향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제2몰딩부재(200)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안착부(410)와 상기 제2안착부(420)에 의해 상기 제1몰딩부재(100)와 상기 제2몰딩부재(200)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음으로 인해 상기 제1벽면(20)과 상기 제2벽면(30)의 길이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안착부(410)와 상기 제2안착부(42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안착부(410)와 상기 제2안착부(420) 사이의 각도는 상기 제1벽면(20)과 상기 제2벽면(30) 사이의 각도에 따라 예각, 둔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안착부(410)와 상기 제2안착부(420)의 각도가 상기 제1벽면(20)과 제2벽면(30) 사이의 각도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몰딩부재(100)와 상기 제2몰딩부재(200)의 이격되어 발생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작업자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절곡부(440)는, 상기 제1몰딩부재(100)의 제1연장면부(120)와 상기 제2몰딩부재(200)의 제2연장면부(220)에 걸림되도록 상기 제1안착부(410)와 상기 제2안착부(420)의 폭방향 양측이 상기 제1몰딩부재(100)와 상기 제2몰딩부재(200) 방향으로 라운드되면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440)는 상기 제1안착부(410)와 상기 제2안착부(420)의 폭방향 일측의 중심부가 일측과 타측보다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절곡부(440)가 상기 제1안착부(410)와 상기 제2안착부(420)의 폭방향 일측의 중심부가 더 넓게 형성됨으로써 추후 상기 제1안착부(410)와 상기 제2안착부(420)를 이격시켜 각도를 조절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절곡부(440)는 상기 제1몰딩부재(100)의 제1연장면부(120)와 상기 제2몰딩부재(200)의 제2연장면부(220)에 따라 양측이 서로 이격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고 있다.
상기 절곡부(4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몰딩부재(100)의 제1본체부(110)와 상기 제2몰딩부재(200)의 제2본체부(210)의 폭길이에 따라 이격된 후 다시 복원되도록 하여 상기 제1몰딩부재(100)와 상기 제2몰딩부재(200)에 상기 코너연결부재(400)가 끼워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절곡부(440)로 인해 상기 제1몰딩부재(100)와 상기 제2몰딩부재(200)를 설치한 상태에서도 상기 코너연결부재(400)를 설치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절곡부(44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코너연결부재(400)를 탈부착할 수 있어 재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된 코너연결부재(400)는,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안착부(410)와 상기 제2안착부(420)의 폭방향 일측의 절곡부(440)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1안착부(410)와 상기 제2안착부(420) 사이가 절개되어 절개부(4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450)가 형성되어 상기 제1안착부(410)와 상기 제2안착부(420) 사이를 이격시킬 수 있어 상기 코너연결부재(400)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절개부(45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벽면(20)가 상기 제2벽면(30) 사이의 각도에 따라 상기 제1안착부(410)와 상기 제2안착부(420)를 이격시켜 각도를 변경할 수 있음으로 인해 벽면 간의 각도별로 코너연결부재를 구비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킬 수 있으면서 작업자의 작업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절개부(450)가 형성된 상기 제1안착부(410)와 상기 제2안착부(420)를 이격시켰을 경우에 상기 제1안착부(410)와 상기 제2안착부(420) 사이에 이격된 공간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안착부(410)와 상기 제2안착부(42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로 인해 상기 제1몰딩부재(100)와 상기 제2몰딩부재(20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벌레, 이물질 등이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 제1안착부(410)와 상기 제2안착부(420) 사이의 공간부를 가리기 위해 보강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500)는,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너연결부재(400)의 제1안착부(410)에 위치되기 위한 제1보강부(510)와, 상기 제1보강부(510)와 연결되어 상기 코너연결부재(400)의 제2안착부(420)에 위치되기 위한 제2보강부(520)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부(510)는, 단면상 호형상이나 'ㄱ'자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코너연결부재(400)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부(510)가 단면상 호형상일 경우에는 폭방향 일측이 타측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보강부(510)의 일측은 상기 제2보강부(520)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제1보강부(510)가 단면상 'ㄱ'자 형상일 경우에는 일면이 타면보다 길게 형성되며, 일면이 상기 제2보강부(520) 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부(510)는 상기 제1안착부(410)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안착부(410)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게 된다,
상기 제2보강부(520)는, 단면상 호형상이나 'ㄱ'자로 형성되며, 상기 제1보강부(510)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보강부(520)가 단면상 호형상일 경우에는 폭방향 일측이 타측보다 길게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제1보강부(51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보강부(520)가 단면상 'ㄱ'자 형상일 경우에는 일면이 상기 제1보강부(51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타면보다 길게 형성되고 타면이 상기 제1보강부(510)의 타면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보강부(520)는 상기 제2안착부(420)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2안착부(420)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게 된다.
상기 제2보강부(520)의 돌출된 부분은 상기 제1보강부(510)의 돌출된 부분과 중첩되어 위치되어야 한다.
상기 제1보강부(510)의 일면과 상기 제2보강부(520)의 일면이 서로 중첩됨으로 인해 상기 제1보강부(510)와 상기 제2보강부(520)의 각도가 변경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제1보강부(510)와 상기 제2보강부(52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강부재(500)를 통해 상기 코너연결부재(400)의 제1안착부(410)와 상기 제2안착부(420)가 이격되면 상기 보강부재(500)가 노출되기 때문에 상기 제1안착부(410)와 상기 제2안착부(420) 사이의 공간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상 깔끔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상기 코너연결부재(400)에는, 상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안착부(410)와 상기 제2안착부(42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3안착부(430)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3안착부(430)는, 상기 제1벽면(20)과 제2벽면(30) 사이의 모서리를 커버하도록 일정길이의 제3본체부(310)의 폭방향 양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벽면(20)과 상기 제2벽면(30)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기 위한 한쌍의 제3연장면부(320)가 형성된 제3몰딩부재(300)를 더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제3안착부(430)는 상기 제3몰딩부재(300)의 길이방향 일측의 제3본체부(310)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제3안착부(430)의 폭방향 양측은, 상기 제3안착부(430)가 상기 제3몰딩부재(3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3몰딩부재(300)의 제3연장면부(320)에 걸림되기 위해 상기 제3몰딩부재(300)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440)가 형성된다.
상기 코너연결부재(400)에 상기 제3안착부(430)가 더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몰딩부재(100)와 상기 제2몰딩부재(200)와 상기 제3몰딩부재(300)를 동시에 연결할 수 있어 상기 천장(10)과 상기 제1벽면(20)과 상기 제2벽면(30)의 꼭지점인 코너 부분을 커버하여 외관상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천장몰딩용 연결기구는, 먼저, 상기 천장(10)과 상기 제1벽면(20) 사이의 모서리에 상기 제1몰딩부재(100)를 설치하고, 상기 천장(10)과 상기 제2벽면(30) 사이의 모서리에 상기 제2몰딩부재(200)를 설치한다.
그 후 상기 제1몰딩부재(100)와 상기 제2몰딩부재(200)가 서로 이접한 코너부분에 상기 코너연결부재(40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코너연결부재(400)는 상기 제1안착부(410)가 상기 제1몰딩부재(100)의 제1본체부(110)에 안착되도록 하고, 상기 제2안착부(420)가 상기 제2몰딩부재(200)의 제2본체부(210)에 안착되도록 위치시킨 후 작업자가 압력을 가하게 된다.
상기 코너연결부재(400)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코너연결부재(400)의 절곡부(4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절곡부(440)가 상기 제1몰딩부재(100)의 제1연장면부(120)와 상기 제2몰딩부재(200)의 제2연장면부(220)에 걸림되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몰딩부재(100)와 상기 제2몰딩부재(200)에 상기 코너연결부재(400)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천장(10)과 상기 제1벽면(20) 사이의 모서리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1몰딩부재(100)의 길이를 가변시키고, 상기 천장(10)과 상기 제2벽면(30) 사이의 모서리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2몰딩부재(200)의 길이를 가변시켜 사용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외관상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코너연결부재(400)의 내측에는 상기 보강부재(500)가 위치되어 상기 제1벽면(20)과 상기 제2벽면(30) 사이의 각도에 따라 상기 코너연결부재(400)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코너연결부재(400)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벽면 간의 각도별로 제품을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킬 수 있게 되며,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천장몰딩용 연결기구는 서로 인접하는 벽면과 천장 사이의 모서리를 각각 마감하는 몰딩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몰딩부재의 끝단을 커버하고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음으로써 상기 몰딩부재의 끝단을 45°로 정확하게 절단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켜 작업자의 작업과정과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몰딩부재 간의 이격된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상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벽면과 천장 사이의 모서리에 몰딩부재가 설치된 상태에서도 서로 인접한 몰딩부재를 연결하기 위해 설치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벽면과 천장 사이의 모서리 각도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음으로 인해 각 모서리의 각도별로 제품을 제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킬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천장 20: 제1벽면
30: 제2벽면 100: 제1몰딩부재
110: 제1본체부 120: 제1연장면부
200: 제2몰딩부재 210: 제2본체부
220: 제2연장면부 300: 제3몰딩부재
310: 제3본체부 320: 제3연장면부
400: 코너연결부재 410: 제1안착부
420: 제2안착부 430: 제3안착부
440: 절곡부 450: 절개부
500: 보강부재 510: 제1보강부
520: 제2보강부

Claims (5)

  1. 천장(10)과 제1벽면(2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벽면(20)과 천장(10) 사이의 모서리를 커버하기 위한 일정길이를 갖는 제1몰딩부재(100)와, 상기 제1벽면(20)과 인접한 제2벽면(30)과 천장(1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벽면(30)과 천장(10) 사이의 모서리를 커버하기 위한 일정길이를 갖는 제2몰딩부재(200)와, 상기 제1몰딩부재(100)와 상기 제2몰딩부재(200)를 연결하면서 상기 제1몰딩부재(100)와 상기 제2몰딩부재(200)의 길이를 가변시키기 위한 코너연결부재(400)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연결부재(400)는, 상기 제2몰딩부재(200)와 인접한 상기 제1몰딩부재(100)의 길이방향 일측에 안착하기 위한 제1안착부(410)와, 상기 제1안착부(410)와 직교되어 연결되면서 상기 제1몰딩부재(100)와 인접한 상기 제2몰딩부재(200)의 길이방향 일측에 안착하기 위한 제2안착부(420)와, 상기 제1안착부(410)와 상기 제2안착부(420)의 각 폭방향 양측이 상기 제1몰딩부재(100)와 상기 제2몰딩부재(200)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몰딩부재(100)와 상기 제2몰딩부재(2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몰딩부재(100)와 상기 제2몰딩부재(200)에 각각 걸림되기 위한 절곡부(440)가 형성되는 천장몰딩용 연결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벽면(20)과 제2벽면(30) 사이의 모서리를 커버하도록 일정길이를 갖는 제3몰딩부재(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너연결부재(400)는, 상기 제1안착부(410)와 상기 제2안착부(42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3몰딩부재(300)의 길이방향 일측에 안착되기 위한 제3안착부(430)를 포함하며,
    상기 제3안착부(430)의 폭방향 양측은, 상기 제3안착부(430)가 상기 제3몰딩부재(3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3몰딩부재(300)에 걸림되기 위해 상기 제3몰딩부재(300)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440)가 형성되는 천장몰딩용 연결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너연결부재(400)는, 상기 제1안착부(410)와 상기 제2안착부(420)의 폭방향 일측의 절곡부(440)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1안착부(410)와 상기 제2안착부(420) 사이가 절개되어 상기 제1벽면(20)과 상기 제2벽면(30) 사이의 각도에 따라 상기 제1안착부(410)와 상기 제2안착부(420) 사이를 이격시키기 위한 절개부(450)가 형성되는 천장몰딩용 연결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코너연결부재(400)는, 상기 제1안착부(410)와 상기 제2안착부(420)의 이격된 공간부를 가리기 위한 보강부재(500)를 더 포함하는 천장몰딩용 연결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500)는, 상기 코너연결부재(400)의 제1안착부(410)에 위치되기 위한 제1보강부(510)와, 상기 제1보강부(510)와 연결되어 상기 코너연결부재(400)의 제2안착부(420)에 위치되기 위한 제2보강부(520)로 형성되는 천장몰딩용 연결기구.
KR1020190079541A 2019-07-02 2019-07-02 천장몰딩용 연결기구 KR102360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541A KR102360590B1 (ko) 2019-07-02 2019-07-02 천장몰딩용 연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541A KR102360590B1 (ko) 2019-07-02 2019-07-02 천장몰딩용 연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571A true KR20210003571A (ko) 2021-01-12
KR102360590B1 KR102360590B1 (ko) 2022-02-08

Family

ID=74129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541A KR102360590B1 (ko) 2019-07-02 2019-07-02 천장몰딩용 연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5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2180A (ko) * 2022-07-20 2024-01-29 심현주 천장몰딩 모서리 연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7120A (ja) * 1997-02-14 1998-08-25 Dantani Plywood Co Ltd 建築用巾木の角連結部の施工方法及び該施工方法に用いる角連結固定具
KR20100000900U (ko) * 2008-07-18 2010-01-27 박남규 입체 몰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7120A (ja) * 1997-02-14 1998-08-25 Dantani Plywood Co Ltd 建築用巾木の角連結部の施工方法及び該施工方法に用いる角連結固定具
KR20100000900U (ko) * 2008-07-18 2010-01-27 박남규 입체 몰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2180A (ko) * 2022-07-20 2024-01-29 심현주 천장몰딩 모서리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0590B1 (ko)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30053B2 (ja) 改善された窓抱き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2803307A1 (en) Door assembly
KR20210003571A (ko) 천장몰딩용 연결기구
JP2008240468A (ja) コーナー被覆具及びコーナー構造
JP5607674B2 (ja) コーナー被覆具及びコーナー構造
JP2007126922A (ja) 巾木及びその取付構造
BE1017309A6 (nl) Afwerkorgaan voor een kamer.
KR101591896B1 (ko)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는 발코니 리모델링 창호와 그 시공 방법
KR101772001B1 (ko) 화장실용 칸막이패널
JP2006207160A (ja) 屋根用の破風板
JPH042261Y2 (ko)
KR102064633B1 (ko) 개보수 창호용 마감재 조립체
JP5000953B2 (ja) 開口部周り構造、開口部周り施工方法および開口部周り化粧部材
EP2775067B1 (en) Jamb facing profile
KR101995661B1 (ko) 엘리베이터용 도어 및 그의 조립방법
JP2023079251A (ja) 前面板、及び、見切り部材
JP7058423B2 (ja) 継ぎ目部材、それを用いた縁材構造体及び縁材構造体の施工方法
JP3652507B2 (ja) 建物の隙間の目隠し構造およびその目隠し部材
JP6497623B2 (ja) 窓枠及び窓枠の取付構造
JP2003262073A (ja) 見切材および見切材の取付構造
TWM465448U (zh) 對合組立之門框結構
KR200368436Y1 (ko) 조립식 문틀 장식용 마감부재
KR200400647Y1 (ko) 코너 이음 부재
JP2006037368A (ja) 建築用コーナー仕舞部材及びその施工構造
JP2001317139A (ja) パネル連結用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パネル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