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4943Y1 - 가동편이 구비된 웨일러클램프 - Google Patents

가동편이 구비된 웨일러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4943Y1
KR200414943Y1 KR2020060002426U KR20060002426U KR200414943Y1 KR 200414943 Y1 KR200414943 Y1 KR 200414943Y1 KR 2020060002426 U KR2020060002426 U KR 2020060002426U KR 20060002426 U KR20060002426 U KR 20060002426U KR 200414943 Y1 KR200414943 Y1 KR 2004149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piece
support piece
piece
support
vertic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24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충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스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스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스폼
Priority to KR20200600024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49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49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49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5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wedge-shap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결된 다수 개의 거푸집패널의 평탄도를 잡기위하여 거푸집널의 이면에 설치되는 웨일러를 거치하고 고정하는 것으로서, 수평부 및 수직부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ㄴ'자 형태를 이루되, 상기 수직부의 내측단면은 상기 수평부의 내측단면과 둔각을 이루고 있는 지지편; 및, 상기 지지편의 수직부에 슬라이딩운동을 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수평부와 직각을 이루는 가동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지편은, 상기 수직부 내측단면과 평행하도록 상기 수직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절개홈; 및, 상기 수평부의 일측단부에 형성되어 거푸집패널의 리브에 고정시 사용되는 결합공;이 구비되고, 상기 가동편은 상기 제1절개홈에 삽결되도록 돌출된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편이 구비된 웨일러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지지편, 가동편, 제1절개홈, 결합공, 가이드부

Description

가동편이 구비된 웨일러클램프{Waler Clamp with Movable Supporter}
도1은 종래의 웨일러 시공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2는 본 고안인 가동편이 구비된 웨일러클램프의 구체적 실시예이다.
도3은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를 구성하는 (a)지지편 및 (b)가동편을 도시하고 있다.
도4는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지지편
110:수직부 111:제1절개홈
120:수평부 121:결합공
130:리브지지부
200:가동편
210:가이드부
220:제2절개홈
230:고정볼트
10:거푸집패널
11:거푸집널 12:리브
본 고안은 연결된 다수 개의 거푸집패널의 평탄도를 잡기 위하여 거푸집널의 이면에 설치되는 원형 또는 각형 파이프( 웨일러 )를 거치하고 고정하는 것으로서, 지지편 및 상기 지지편의 수직부에 슬라이딩운동을 하도록 결합되는 가동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웨일러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다수 개의 거푸집패널의 평탄도를 잡기 위하여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일러의 단면 형상에 따라 각형 또는 원형의 후크형 지지편을 각각 사용하였으며,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널의 이면에 후크형 지지편을 설치하고 각형 또는 원형 웨일러를 후크형지지편에 거치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후크형 지지편에 따라 거치될 수 있는 각형 또는 원형 웨일러의 규격 및 종류가 결정되는 바, 다른 규격 및 종류의 웨일러를 함께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후크형 지지편이 선택되면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각형 또는 원형 웨일러의 규격 및 종류가 하나로 한정되어 다양한 규격 및 종류의 웨일러를 함께 사용할 수 없으며, 웨일러의 규격 및 종류가 달라지면 별도의 후크형 지지편을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둘째, 모든 제품은 제작 과정에서 어느 정도의 공차를 가지게 되는 바, 거치된 각형 또는 원형 웨일러는 후크형 지지편에 거치된 상태에서 어느 정도의 유격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러한 유격이 존재하는 경우 거푸집패널의 평탄도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셋째, 상기한 바와 같은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크형 지지편과 거푸집패널의 이면에 구비된 리브 단부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큰 규격의 웨일러를 억지로 끼워 넣어서 거치시킬 경우에는 평탄도는 만족시킬 수 있을지 몰라도 작업이 매우 어렵고 작업 완료 후 해체시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공기가 연장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규격 및 종류의 각형 또는 원형 웨일러를 사용할 수 있는 웨일러클램프를 제공함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거푸집패널의 평탄도를 유지할 수 있는 웨일러클램프를 제공함을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평탄도를 유지함은 물론 거푸집패널의 해체작업도 용이한 웨일러클램프를 제공함을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고안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연결된 다수 개의 거푸집패널의 평탄도를 잡기위하여 거푸집널의 이면에 설치되는 원형 또는 각형 파이프(웨일러)를 거치하고 고정하는 것으로서, 수평부 및 수직부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ㄴ'자 형태를 이루되, 상기 수직부의 내측단면은 상기 수평부의 내측단면과 둔각을 이루고 있는 지지편; 및, 상기 지지편의 수직부에 슬라이딩운동을 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수평부와 직각을 이루는 가동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지편은 상기 수직부 내측단면과 평행하도록 상기 수직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절개홈; 및, 상기 수평부의 일측단부에 형성되어 거푸집패널의 리브에 고정시 사용되는 결합공;이 구비되고, 상기 가동편은 상기 제1절개홈에 삽결되도록 돌출된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지지편(100), 및 지지편(100)의 수직부(110)에 슬라이딩운동을 하도록 결합되는 가동편(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편(100)은 도2 및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120) 및 수직부(110)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ㄴ'자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수직부(110)의 내측단면은 수평부(120)의 내측단면과 둔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지지편(100)은 수직부(110)의 내측단면과 평행하도록 수직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제1절개홈(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평부(120)에는 거푸집널(11)과 함께 거푸집패널(10)을 구성하는 리브(12)에 고정시 사용되는 결합공(121)이 일측 에 형성된다.
지지편(100)에는 결합공(121)과 함께 리브지지부(130)를 구비하고 있다.
리브지지부(130)는 결합공(121)에서 거푸집패널(10)의 리브(12) 단부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어 결합공(121)을 이용하여 지지편(100)과 리브(12)를 결합하게 되면 리브지지부(130)가 리브(12)의 단부를 지지하게 된다.
즉, 리브지지부(130)가 구비됨으로써, 지지편(100)과 리브(12)는 하나의 결합공(121)만을 이용하더라도 지지편(100)의 회동을 방지하여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편(100)은 수직부(110) 및 수평부(120)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ㄴ'자 형을 이루고 있으며, 여기에 제1절개홈(111), 결합공(121) 및 리브지지부(130)가 구비됨을 알 수 있다.
가동편(20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편(100)의 수평부(120)와 직각을 이루고 있으며, 지지편(100)의 수직부(110)에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가동편(200)은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편(100)의 제1절개홈(111)에 삽결되도록 돌출된 가이드부(21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가동편(200)에는 지지편(100)에 구비된 제1절개홈(111)과 평행하게 절개된 제2절개홈(220)이 구비되어 있다.
고정볼트(230)는 도2 및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편(200)의 가이드부 (210)가 지지편(100)의 제1절개홈(111)에 삽결된 상태에서 가동편(200)의 제2절개홈(220)을 통과하여 지지편(100)에 체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동편(200)은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편(100)과 결합되는 바, 가동편(200)은 수직부(110)의 내측단면과 평행하도록 수직부(1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절개홈(111)을 따라 상하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수평부(120)의 내측단면과 수직부(110)의 내측단면은 둔각을 이루고 있어 가동편(200)이 하향 이동을 할 경우 가동편(200)은 수평방향으로도 어느 정도 이동을 하게 되어 수평부(120) 리브지지부(130) 방향으로 접근하게 된다.
도4(a)에는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를 이용하여 각형 파이프를 거푸집패널(10)의 이면에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고, 도4(b)에는 원형 파이프가 설치된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인 웨일러클램프의 결합공(121)과 거푸집패널(10)의 리브(12)를 관통하는 결합핀을 체결하여 웨일러클램프를 거푸집패널(10)의 이면에 설치한다.
이와 같이 웨일러클램프를 설치하면 리브지지부(130)가 리브(12)의 단면을 지지하여 웨일러클램프가 회동하지 않고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가동편(200)은 수평부(120)의 내측단면과 수직을 유지하면서 상하로 슬라이딩운동을 하게 되는데, 가동편(200)이 상하로 이동하는 가이드역할을 하는 제1절개홈(111) 및 제2절개홈(220)이 수평부(120)의 내측단면과 둔각을 이루고 있는 바, 가동편(200)이 상향 이동을 하게 되면 리브(12)와 가동편(200) 의 거리가 멀어지고, 가동편(200)이 하향 이동을 하게 되면 리브(12)와 가동편(200)의 거리가 가까와진다.
다시 말하면, 가동편(200)이 상향 이동을 하게 되면 각형 웨일러가 거치되는 공간의 폭이 넓어지고, 가동편(200)이 하향 이동을 하게 되면 각형 웨일러가 거치되는 공간의 폭이 좁아진다. 즉, 설치되는 각형 웨일러의 규격에 따라 설치공간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각형 웨일러와 가동편(200) 및 리브(12)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각형 웨일러를 가동편(200), 지지편(100)의 수평부(120) 및 리브(12) 사이의 공간에 거치하면 각형 웨일러의 규격에 따라 가동편(200)의 위치가 결정되어 각형 웨일러와 가동편(200) 사이 또는 각형 웨일러와 리브(12)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지 않고,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바, 결과적으로 거푸집패널(10)의 평탄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4(b)에는 원형 웨일러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각형 웨일러와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거치된 웨일러를 해체하기 위하여 웨일러를 상향이동하면 가동편(200)이 약간 상향 이동을 하면서 웨일러가 거치된 공간이 넓어져 해체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규격 및 종류의 각형 또는 원형 웨일러를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웨일러가 거치되는 공간의 폭이 조절되는 바, 웨일러의 규격 및 종류에 따라 각각의 웨일러클램프를 구비할 필요가 없이 하나의 웨일러클램프로 다양한 형태의 웨일러를 거치할 수 있다.
둘째, 거푸집패널의 평탄도를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가동편이 구비되어 거치된 웨일러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유격을 방지하여 거푸집패널의 평탄도를 유지할 수 있다.
셋째, 평탄도를 유지함은 물론 거푸집패널의 해체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거치된 웨일러를 해체하기 위하여 웨일러를 상향이동하면 가동편이 약간 상향 이동을 하면서 웨일러가 거치된 공간이 넓어져 해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Claims (3)

  1. 연결된 다수 개의 거푸집패널의 평탄도를 잡기위하여 거푸집널의 이면에 설치되는 웨일러를 거치하고 고정하는 것으로서,
    수평부 및 수직부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ㄴ'자 형태를 이루되, 상기 수직부의 내측단면은 상기 수평부의 내측단면과 둔각을 이루고 있는 지지편; 및,
    상기 지지편의 수직부에 슬라이딩운동을 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수평부와 직각을 이루는 가동편;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지편은,
    상기 수직부 내측단면과 평행하도록 상기 수직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절개홈; 및,
    상기 수평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거푸집패널의 리브에 고정시 사용되는 결합공;이 구비되고,
    상기 가동편은,
    상기 제1절개홈에 삽결되도록 돌출된 가이드부;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편이 구비된 웨일러클램프.
  2. 제1항에서,
    상기 가동편은,
    상기 제1절개홈과 평행하게 절개된 제2절개홈;이 구비되고,
    상기 가동편의 가이드부가 상기 지지편의 제1절개홈에 삽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절개홈을 통과하여 상기 지지편에 체결되는 고정볼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편이 구비된 웨일러클램프.
  3. 제2항에서,
    상기 지지편은,
    상기 결합공에서 거푸집패널의 리브 단부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거푸집패널의 리브 단부를 지지하도록 돌출된 리브지지부;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편이 구비된 웨일러클램프.
KR2020060002426U 2006-01-26 2006-01-26 가동편이 구비된 웨일러클램프 KR2004149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426U KR200414943Y1 (ko) 2006-01-26 2006-01-26 가동편이 구비된 웨일러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426U KR200414943Y1 (ko) 2006-01-26 2006-01-26 가동편이 구비된 웨일러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4943Y1 true KR200414943Y1 (ko) 2006-04-27

Family

ID=41764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426U KR200414943Y1 (ko) 2006-01-26 2006-01-26 가동편이 구비된 웨일러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494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737Y1 (ko) 2008-04-28 2010-05-11 배용웅 거푸집의 사각파이프 고정구
KR200458475Y1 (ko) 2011-10-25 2012-02-22 김종호 웨일러 클램프
CN105908971A (zh) * 2016-04-29 2016-08-31 晟通科技集团有限公司 方通扣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737Y1 (ko) 2008-04-28 2010-05-11 배용웅 거푸집의 사각파이프 고정구
KR200458475Y1 (ko) 2011-10-25 2012-02-22 김종호 웨일러 클램프
CN105908971A (zh) * 2016-04-29 2016-08-31 晟通科技集团有限公司 方通扣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0804B1 (en) Cladding attachment system
KR100949707B1 (ko)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KR200414943Y1 (ko) 가동편이 구비된 웨일러클램프
AU2017327416A1 (en) Wall securing assembly for securing an elevator component
US9181713B1 (en) Siding attachment system
KR101753700B1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KR20170003860U (ko) 집기의 부재 결합구조
CN210622188U (zh) 一种可拆卸快速安装的装置
KR20170000820A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KR200469168Y1 (ko)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의 사이드 타이
JP6553889B2 (ja) 板材の取付構造
KR200397799Y1 (ko)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KR200335574Y1 (ko) 거푸집 패널 설치용 고정핀
KR20180034009A (ko) 건축용 서포트 파이프
KR200324097Y1 (ko) 천정 모서리마감구조
KR100424429B1 (ko) 클린룸의 천정에 천정패널을 고정시키기 위한 채널
KR20170027218A (ko) 결합용 홈볼트
JP6635416B2 (ja) レール支持用ブラケット、レール装置およびアウトセット戸装置
US20170067253A1 (en) Suspended ceiling system
KR200180946Y1 (ko) 선반받침용 브라켓과 지주의 체결구조
EP2309073A1 (en) Wall cladding assembly and wall cladding element
KR20110027465A (ko) 탄성고정형 패널
KR200428252Y1 (ko) 통로용 거푸집장치
JP2630915B2 (ja) 器具取付具
KR20130113720A (ko) 경량벽체틀 및 이를 이용한 판재 설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