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799Y1 -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 Google Patents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799Y1
KR200397799Y1 KR20-2005-0020671U KR20050020671U KR200397799Y1 KR 200397799 Y1 KR200397799 Y1 KR 200397799Y1 KR 20050020671 U KR20050020671 U KR 20050020671U KR 200397799 Y1 KR200397799 Y1 KR 2003977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bracket
exterior
fixtur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06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성
Original Assignee
김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성 filed Critical 김종성
Priority to KR20-2005-00206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7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7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7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51Hooking means on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04F13/085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adjustable in several directions, one of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외벽에 외장재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물의 외벽에 설치 고정되는 브래킷을 통해 외장재의 설치가 용이함과 아울러, 설치된 외장재의 부분적인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한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정넓이로 형성되면서 그 배면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용 앵커볼트가 형성된 외장재를 건축물의 외벽에 시공하기 위한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외벽에 걸어 고정하도록 "ㄴ"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절곡된 수직면에는 체결볼트 결합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종방향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된 수평면의 끝단에는 지지부가 형성된 고정브래킷; 및 상기 외장재의 각 앵커볼트에 결합되어 외장재의 내측면과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어지되, 그 하단에는 상기 고정브래킷의 지지부에 대응되는 걸림부가 형성된 걸림브래킷; 으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BRACKET FOR FACING MATERIAL OF BUILDING}
본 고안은 건축물의 외벽에 외장재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물의 외벽에 설치 고정되는 브래킷을 통해 외장재의 설치가 용이함과 아울러, 설치된 외장재의 부분적인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한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공되는 건축물의 외벽은 콘크리트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콘크리트 구조의 외벽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대리석이나 화강암 또는 인조석 등과 같은 석재의 다양한 외장재가 사용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한편, 상기 외장재를 건물의 외벽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외벽에 일정간격으로 박힌 다수개의 앵커볼트와 상기 각 앵커볼트에 결합되는 고정구로 이루어지는바, 이와 같은 고정구는 상기 외장재의 상단과 하단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즉, 종래 고정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 형상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절곡된 수직면과 수평면에 각각 높이와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종방향 장공(32, 34)이 관통된 고정부재(30),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수평면에 결합되면서 종방향 장공(42)를 통해 전·후간격을 조절하는 한편 그 끝단에 고정핀(44)이 결합되어 그 상측 외장재(20)와 하측 외장재(20)의 걸이홈(26)을 끼워 고정하는 가동부재(4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건축물의 외벽(10) 하부로부터 고정구를 설치함과 동시에 외장재(20)를 쌓아 올리는 구조가 이루어진다. 즉, 하부 고정구의 고정핀(44) 상단에 외장재(20)의 하부 걸이홈(26)을 끼워 고정하고, 이어 상기 외장재(20)의 상측에 또 다른 고정구를 설치하면서 그 고정핀(44)의 하단을 상기 외장재(20)의 상부 걸이홈(26)에 끼워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고정구에 의하면 설치된 각 외장재(20)에 대하여 부분적인 교체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즉, 설치된 외장재(20) 중 일부를 보수하거나 교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외장재(20)를 분리하여야 하나,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외장재(20)의 상부와 하부 걸이홈(26)에 고정핀(44)이 모두 걸린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상·하 걸이홈(26)이 상기 상·하 고정핀(44)으로부터 동시에 빠질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설치된 외장재(20)의 부분적인 보수가 불가능하다.
더구나 기존의 외장재(20)가 파손되어 새로운 외장재(20)를 끼우고자 할 경우에도 부분적으로 새로운 외장재(20)를 끼워 교체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주변의 외장재(20)를 모두 들어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 및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으로는 시공된 건축물에 대하여 외장재의 설치가 보다 간편할 뿐만 아니라, 시공된 외장재에 대하여 부분적인 보수와 교체가 용이하도록 한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정넓이로 형성되면서 그 배면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용 앵커볼트가 형성된 외장재를 건축물의 외벽에 시공하기 위한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외벽에 걸어 고정하도록 "ㄴ"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절곡된 수직면에는 체결볼트 결합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종방향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된 수평면의 끝단에는 지지부가 형성된 고정브래킷; 및 상기 외장재의 각 앵커볼트에 결합되어 외장재의 내측면과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어지되, 그 하단에는 상기 고정브래킷의 지지부에 대응되는 걸림부가 형성된 걸림브래킷; 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브래킷의 지지부는 전·후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브래킷의 걸림부는 상기 지지부에 대응되어 전·후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하향 돌출 형성됨으로서 상호 맞물림 결합된다.
또한, 상기 고정브래킷의 지지부와 상기 걸림브래킷의 걸림부는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 일정간격 유동이 가능하도록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가 도시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의 설치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의 부분 탈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건물의 외벽(1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래킷(100)과 상기 외장재(20)의 앵커볼트에 결합되는 걸림브래킷(20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건축 외장재용 브래킷이 설치되는 건물 외벽의 구조를 살펴보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10)에 단열을 위한 단열재(12)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단열재 사이에는 고정브래킷(100)을 결합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14)이 설치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14)에 고정브래킷(1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각 걸림브래킷(200)에 의해 외장재(20)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연속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건물 외벽의 구성은 최선의 형태로서 설명되었을 뿐 단열재와 프레임이 설치되는 외벽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외장재(20)는 브래킷의 특성에 따라 앵커볼트(22)나 걸이홈(26)이 각각 선택적으로 형성되는데,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외장재(20)는 그 배면 상부와 하부 양측에 각각 앵커볼트(22)가 결합됨과 아울러, 각 앵커볼트(22)의 단부에 고정너트(24)가 결합된 것으로 제공된다.
이에, 상기 고정브래킷(100)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외벽(10)에 형성된 앵커볼트나 프레임(14)과 결합된 상태에서 그 위에 상기 걸림브래킷(200)을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ㄴ" 형상으로 형성되는바, 상기 절곡된 수직면에는 체결볼트(B) 결합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종방향 장공(120)이 형성되고, 절곡된 수평면의 끝단에는 상기 걸림브래킷(200)을 결합시 좌·우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지지부(14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종방향 장공(120)과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지지부(140)에 의해 상기 고정브래킷(100)의 상단에 결합되는 걸림브래킷(200)의 위치를 상·하·좌·우 간편하게 조절한다.
한편, 상기 고정브래킷(100)의 지지부(140)는 상기 걸림브래킷(200)의 걸림부(220)와 결합시 상호 대칭되어 맞물리도록 일정간격으로 전·후 한 쌍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브래킷(200)은 상기 외장재(20) 배면에 형성된 상부와 하부 양측의 앵커볼트(22)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단부를 마감너트(24)로 조여 고정하게 된다.
즉, 상기 걸림브래킷(200)은 외장재(20)의 각 앵커볼트(22)에 결합되어 외장재(20)의 내측면과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으로서, 그 각각의 하단에는 상기 고정브래킷(100)의 지지부(140)에 대응되는 걸림부(2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220)는 앞서 설명된 지지부(140)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서 외장재(20)를 설치시 좌·우 설치거리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고정브래킷(100)의 지지부(140)와 상기 걸림브래킷(200)의 걸림부(220)는 상호 맞물린 상태로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 일정간격 유동이 가능하도록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브래킷(100)과 걸림브래킷(200)의 상호 결합되는 지지부(140)와 걸림부(220)의 높이는 시공되는 상·하 외장재(20) 사이의 간격보다 낮게 형성된다.
아울러,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래킷(100)의 지지부(140)는 전·후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브래킷(200)의 걸림부(220)는 상기 지지부(140)에 대응되어 전·후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하향 돌출 형성됨으로서 상호 맞물림 결합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각 브래킷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외장재(20)의 설치가 용이하기 때문에 작업이 보다 효율적이다.
즉, 각 외장재(20)를 설치하는 작업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먼저 건물 외벽(10)의 프레임(14)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브래킷(100)을 설치하고, 상기 각 외장재(20)의 배면에 형성된 각 앵커볼트(22)에는 걸림브래킷(200)을 결합 고정한다.
이어, 상기 외장재(20)의 앵커볼트(22)에 결합된 걸림브래킷(200)의 걸림부(220)와 고정브래킷(100)의 지지부(140)가 상·하 일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외장재(20)를 놓으면 자체 하중에 의해 걸림브래킷(200)의 걸림부(220)가 고정브래킷(100)의 지지부(140)와 맞물려 결합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140)와 걸림부(220)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서 좌·우 외장재 사이의 간격이 유동적으로 조절 가능하다.
이와 같이 고정브래킷(100)에 대하여 걸림브래킷(200)을 걸어 외장재(20)를 설치한 후에는 각 외장재(20) 사이에 마감몰드를 채워 넣음으로서 설치가 완료된다.
한편, 상기 외장재(20)에 대하여 부분적인 파손이나 보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해당 외장재(20)의 테두리에 마감된 마감몰드를 제거한 상태에서 해당 외장재(20)의 하단에 지렛대 등을 놓고 간편하게 들어 올림으로서 부분적인 외장재(20)의 교체가 가능하다.
즉, 상기 외장재(20)를 일정높이 들어 올릴 경우 상기 상·하 걸림브래킷(200)의 걸림부(220)가 고정브래킷(100)의 지지부(140)로부터 이탈됨으로서 외장재(20)의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외장재용 고정구에 의하면 브래킷의 설치와 외장재의 설치가 별도로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서 건축물에 대한 외장재의 시공이 보다 간편하고 요율적일 뿐만 아니라, 시공된 외장재에 대하여 부분적인 보수와 교체가 용이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종래 외장재용 고정구가 도시된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가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가 도시된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의 설치상태가 도시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의 부분 탈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외벽 12: 단열재
14: 프레임 20: 외장재
22: 앵커볼트 24: 고정너트
100: 고정브래킷 120: 장공
140: 지지부 200: 행거브래킷
220: 걸림부 B: 체결볼트

Claims (3)

  1. 일정넓이로 형성되면서 그 배면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용 앵커볼트가 형성된 외장재를 건축물의 외벽에 시공하기 위한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외벽에 걸어 고정하도록 "ㄴ"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절곡된 수직면에는 체결볼트 결합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종방향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된 수평면의 끝단에는 지지부가 형성된 고정브래킷; 및
    상기 외장재의 각 앵커볼트에 결합되어 외장재의 내측면과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어지되, 그 하단에는 상기 고정브래킷의 지지부에 대응되는 걸림부가 형성된 걸림브래킷;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의 지지부는 전·후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브래킷의 걸림부는 상기 지지부에 대응되어 전·후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하향 돌출 형성됨으로서 상호 맞물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의 지지부와 상기 걸림브래킷의 걸림부는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 일정간격 유동이 가능하도록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용 고정구.
KR20-2005-0020671U 2005-07-15 2005-07-15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KR2003977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671U KR200397799Y1 (ko) 2005-07-15 2005-07-15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671U KR200397799Y1 (ko) 2005-07-15 2005-07-15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799Y1 true KR200397799Y1 (ko) 2005-10-10

Family

ID=43698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671U KR200397799Y1 (ko) 2005-07-15 2005-07-15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79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484B1 (ko) 2013-03-26 2014-11-03 박미녀 방부목에 의한 자연석판재의 장착구조 및 그 시공법
KR101565327B1 (ko) * 2015-08-05 2015-11-03 장철 단열재 일체형 경량 석재 패널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244283B1 (ko) * 2020-09-16 2021-04-27 주식회사 에스에스지에너텍 건물 내외장재용 불연성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및 이를 이용한 기계적 결합을 갖는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484B1 (ko) 2013-03-26 2014-11-03 박미녀 방부목에 의한 자연석판재의 장착구조 및 그 시공법
KR101565327B1 (ko) * 2015-08-05 2015-11-03 장철 단열재 일체형 경량 석재 패널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244283B1 (ko) * 2020-09-16 2021-04-27 주식회사 에스에스지에너텍 건물 내외장재용 불연성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및 이를 이용한 기계적 결합을 갖는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0714Y1 (ko) 건물의 외벽재 고정장치
KR102285238B1 (ko) 건축물 내외장재 및 트러스 프로파일 고정용 브라켓
KR100949707B1 (ko)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KR20130045711A (ko) 실내장식용 커튼월 시공장치
KR200397799Y1 (ko)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KR200425807Y1 (ko) 인양형 갱폼
KR101599748B1 (ko) 건식 벽돌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788948B1 (ko)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구
KR101636850B1 (ko) 외부벽돌벽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시공방법
KR200397798Y1 (ko)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KR20180010685A (ko) 투시형 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
WO2014125554A1 (ja) ユニットルーム、床パネル、それらの運搬方法及び設置方法
KR200397800Y1 (ko)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KR200463059Y1 (ko) 거푸집용 보강파이프 고정구
JP5486200B2 (ja) 浴室用吊り架台
KR200437801Y1 (ko) 천장재용 받침틀
KR100747686B1 (ko) 지지파이프 거치대가 구비된 거푸집용 체결부재
KR100781883B1 (ko) 흙막이 장치의 상부 판넬
KR200397585Y1 (ko) 거푸집체결부재의 고정브라켓 장착구
CN208105610U (zh) 石材幕墙连接结构
KR100546853B1 (ko) 천장 판넬 및 설치 부재와 이를 이용한 천장 판넬 시공 방법
CA2333813A1 (en) Suspended ceiling assembly
KR20150070794A (ko) 마감패널용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
KR101030970B1 (ko) 선반 지지용 프레임 구조물
KR100777620B1 (ko)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