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6853B1 - 천장 판넬 및 설치 부재와 이를 이용한 천장 판넬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천장 판넬 및 설치 부재와 이를 이용한 천장 판넬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6853B1
KR100546853B1 KR1020040017443A KR20040017443A KR100546853B1 KR 100546853 B1 KR100546853 B1 KR 100546853B1 KR 1020040017443 A KR1020040017443 A KR 1020040017443A KR 20040017443 A KR20040017443 A KR 20040017443A KR 100546853 B1 KR100546853 B1 KR 100546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panel
fixing
fram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7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2301A (ko
Inventor
장상철
Original Assignee
장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상철 filed Critical 장상철
Priority to KR1020040017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6853B1/ko
Publication of KR20050092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2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6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6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5/00Hand cutting tools involving disc blades, e.g. motor-driven
    • B26B25/002Motor-driven knives with a rotating annular blad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천장 판넬 및 이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 후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천장 판넬 및 그 설치 부재와 이를 이용한 천장 판넬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천장 판넬은 양 단부가 상방으로 굽혀진 외장판의 내부에 보온재를 적층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장판의 양 단부에 상방으로 절곡된 부분을 내측으로 굽혀 결합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결합홈부의 상단을 외부를 향해 절곡하여 절곡 결합부를 형성하여 구성되며,
그 조립체는 상기 판넬들의 사이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판넬들을 결합시키며, 상기 절곡 결합부의 홈에 끼워지는 판넬 걸림깃과, 판넬들 사이의 결합홈부에 삽입되는 걸림 확개부로 구성된 판넬 결합구와 ; 벽에 고정 설치되어 천장 판넬의 양단을 지지하는 단부 프레임과 ; 상기 단부 프레임의 저면에 설치되어 단부 프레임의 상부에 올려진 판넬을 고정시키는 고정나사를 덮어 가려주는 단부 커버를 포함함하여 구성된다.
천장 판넬, 프레임, 프레임, 커버, 고정구

Description

천장 판넬 및 설치 부재와 이를 이용한 천장 판넬 시공 방법{A ceiling panel and ceiling panel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판넬과 설치 부재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판넬 설치 부재 중 중단 프레임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판넬이 설치된 상태에서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판넬 설치 부재 중 단부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단부 프레임 20 : 단부 커버
40 : 천장 부착구 50 : 프레임 고정구
60 : 중단 프레임 70 : 중단 커버
80 : 판넬 결합구 90 : 판넬
본 발명은 천장 판넬 및 그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정 판넬을 용이하고 간편하게 설치하되, 중단을 결합하기 위한 연결핀을 사용하지 않음으로 시공이 간편하고 설치 후 어느 하나만을 용이하게 분해 조립할 수 있어 보수가 용이한 천장 판넬 및 그 설치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천장 판넬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보다 아름답고 실용적인 건축 구조물이 지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우수한 건축물이 지어질 수 있는 이유는 건축 자재의 개발에 있다 할 것이다.
많은 종류의 건축 자재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으며, 이러한 건축 자재 중 천장에 시공되는 천장 판넬은 긴 판체의 양단을 프레임로 고정시켜 설치하고 있다.
이렇게 설치된 천장 판넬은 그 중단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핀으로 서로 다른 천장 판넬과 연결시켰다.
그러나 이와 같이 그 중단을 연결핀으로 연결하여 시공된 천장 판넬 중 손상된 어느 하나의 천장 판넬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연결핀을 제거한 후 손상된 천장 판넬을 제고하고 새로운 천장 판넬을 설치하여야 하나 한번 고정된 연결핀은 천장의 내부에 숨어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가 어려워 어느 하나의 천장 판넬만을 분리할 수 없었다.
하나 이상의 천장 판넬을 분리한다 하더라도 새로운 천장 판넬을 설치할 경우 그 중단을 기 설치된 다른 천장 판넬과 연결시킬 수 없어 중단이 아래로 쳐져 미간을 해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며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천장 판넬의 중단을 서로 다른 천장 판넬과 결합하기 위한 연결핀을 사용하지 않음으로 시공이 간편하고, 설치 후 어느 하나만을 용이하게 분해 조립할 수 있어 보수가 용이한 천장 판넬 및 그 설치 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장용 판넬에 있어서, 양 단부가 상방으로 굽혀진 외장판의 내부에 보온재를 적층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장판의 양 단부에 상방으로 절곡된 부분을 내측으로 굽혀 결합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결합홈부의 상단을 외부를 향해 절곡하여 절곡 결합부를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판넬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양 가장자리에 결합홈부와 절곡 결합부를 갖는 천장 판넬을 설치하는 천장 판넬 설치 부재에 있어서, 상기 판넬들의 사이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판넬들을 결합시키며, 상기 절곡 결합부의 홈에 끼워지는 판넬 걸림깃과, 판넬들 사이의 결합홈부에 삽입되는 걸림 확개부로 구성된 판넬 결합구와 ; 벽에 고정 설치되어 천장 판넬의 양단을 지지하는 단부 프레임과 ; 상기 단부 프레임의 저면에 설치되어 단부 프레임의 상부에 올려진 판넬을 고정시키는 고정나사를 덮어 가려주는 단부 커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형 천장 판넬 설치 부재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판넬 및 그 설치 부재의 일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판넬과 설치 부재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판넬 설치 부재 중 중단 프레임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판넬이 설치된 상태에서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판넬 설치 부재 중 단부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장용 판넬은 그 양 단부에 결합홈부(91a)와 절곡 결합부(9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홈부(91a)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을 이루는 판체의 양단에 상방으로 굽혀진 부분의 중단을 판넬의 내측을 향하도록 굽혀 형성된 것으로 서로 다른 판넬(90)과 결합되었을 때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즉, 상기 서로 다른 판넬들(10)의 양 단부가 면접되면 결합홈부(91a)끼라 만나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판넬 결합구(80)의 걸림 확개부(81)가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홈부(91a)는 그 단면의 "
Figure 112004010675872-pat00001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일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반구형 또는 사각형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명형은 당업자간에는 쉽게 이해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 략하며, 이러한 일예가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결합홈부(91a)의 상단은 판넬의 바깥쪽을 향해 절곡하되 그 단부를 180°이상 절곡시켜 그 단면의 "
Figure 112004010675872-pat00002
"형상으로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판넬(90)의 서로 대향되는 면은 상기한 바와 같이 판넬 결합구(80)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판넬 결합구(8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판넬의 양단부에 형성된 결합홈부(91a)와 동일한 형상이 서로 대칭을 이루게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 확개부(81)와, 상기 걸림 확개부(81)가 결합홈부(91a)사이에 RL워질 수 있도록 일측 판넬(90)의 가장자기에 고정시키기 위한 판넬 걸림깃(82)으로 이루어진다.
즉, 판넬 걸림깃(82)을 판넬의 가장자리에 걸면 걸림 확개부(81)는 판넬(90)에 형성된 결합홈부(91a)에 놓여지게 되고 다른 판넬(90)을 기 시공된 판넬측으로 밀면 이 판넬에 형성된 결합홈부(91a)가 상기 걸림 확개부(81)에 대면되어 걸림으로 판넬의 중단이 아래로 쳐지지 않게 된다.
상기 판넬(90)의 양단은 단부 프레임(100에 의해 벽면에 고정 지지된다.
상기 단부 프레임(10)은 긴 막대 형상으로서, "」"형상으로 절곡되어 수직으로 벽고정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판넬이 지지되는 수평부분의 저면에는 하나 이상의 커버 고정편(12, 13)이 형성되어 있어 단부 커버(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단부 프레임(10)의 저면에 설치되는 단부 커버(20)는 그 일측 단부에 단부 프레임(10)을 가리기 위한 수직 가림편(21)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 고정편(12, 13)에 대향되는 부분에는 프레임 고정편(22, 2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고정편들(12, 13, 22, 23)의 측벽에는 요철(凹凸) 형상으로 고정돌기(13a, 23a)들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돌기가 다른 것의 돌기들 사이에 끼이게 되어 단부 커버(20)가 단부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천장 판넬 및 그 설치부재는 천장의 길이가 짧을 경우에 사용된 것들로서 천장의 길이가 길러 하나 이상의 천장 판넬(90)을 이어서 시공할 경우에는 중단 프레임(60)을 더 설치한다.
상기 중단 프레임(60)은 수평을 이루는 판체의 상부면에는 하나 이상의 천장 고정편(61)을 형성하고 그 저면에는 하나 이상의 커버 고정편(62a, 63a)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단 프레임(6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천장 고정편(61)을 형성함으로서 보다 견고하게 천장에 고정될 수 있게 하였으며, 상기 천장 고정편(61)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단 프레임(60)을 천장에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프레임 고정구(50)가 사용된다.
상기 프레임 고정구(5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으로 형성된 판체형상의 수평 고정판(54)와 상기 수평 고정판(54)와 수직을 이루고 아래를 향해 연장된 수직 고정판(5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 고정판(54)에는 두 개의 볼트 관 통공(52, 5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트 관통공(52, 53)은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으로 길게 형성되어 이를 관통하여 천장 또는 또 다른 고정 수단에 조여 고정되는 볼트나 못 등이 관통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형성함으로서 프레임 고정구(50)의 고정 위치를 수평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수직 고정판(51)에는 다수의 핀 관통공(51a)이 형성되어 여기에 고정되는 중단 프레임(60)의 고정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프레임 고정구(50)는 천장에 직접 고정할 수 있으나 또 다른 고정 수단인 천장 고정구(40)를 먼저 천장에 고정 설치한 후 상기 천장 고정구(4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천장 고정구(4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을 이루는 판체의 양단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부분에 볼트 구멍(42, 43)을 형성하고 그 중앙에 길게 측방으로 연장된 고정공(41)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공(41)을 측방으로 길게 형성한 것은 상기 프레임 고정구(50)의 수평 고정판(54)에 형성한 볼트 구멍(52, 53)과 마찬가지로 천장 고정구(40)의 고정 위치를 시공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판넬 및 이를 설치하는 설치 부재를 이용하여 판넬을 시공하는 과정을 약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천장 판넬을 시공하고자 하는 공간의 길이와 넓이를 측정하고 천장 판 넬을 설치하고자 하는 벽면에 천장 판넬을 설치할 위치를 표시한다.
표시된 위치에 단부 프레임(10)을 앙카 볼트나 나사, 못 등의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고정된 단부 프레임(10)의 수평으로 연장된 부분에 판넬(90)의 단부를 올려놓고 그 아래로부터 나사를 조여 판넬(90)의 단부를 단부 프레임(10)에 고정시킨다.
단부 프레임(10)의 저면에 형성된 커버 고정편(12, 13)에 대향되게 단부 커버(20)에 형성된 프레임 고정편(22, 23)을 정렬한 후 단부 커버(20)의 저면에 압력을 가하여 커버 고정편(12, 13)에 프레임 고정편(22, 23)이 걸리게 하여 단부 커버(20)의 일측에 형성된 수직 가림편(21)이 단부 프레임(10)을 가려 보이지 않게 함으로서 천장 판넬의 시공이 종료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천장 판넬의 시공시 천장의 넓이가 길어 하나의 천장 판넬만으로 시공이 불가능 할 경우 즉, 여러 개의 판넬(10)을 이어 시공할 경우에는 서로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판넬과 판넬 사이에 중단 프레임(60)을 설치하여 판넬(10)의 일측 단부를 고정시킨다.
중단 프레임(60)을 설치하는 방법은 먼저, 프레임 고정구(50)를 천장에 고정시키는 것부터 시작되며, 이때 프레임 고정구(50)를 직접 천장에 고정시키거나 또다른 고정 수단인 천장 부착구(40)을 먼저 천장에 설치한 후 프레임 고정구(50)를 설치한다.
천장 부착구(4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그 중단 부분에 길게 형성된 고정공(41)을 관통시켜 못이나 앙카 볼트 등을 천장에 고정시킨다.
이때 못이나 앙카 볼트의 고정위치는 가능한 중단 프레임이 고정된 위치에 인접되게 함이 바람직하나 다소 그 위치를 벗어난다 하더라도 고정공(41)이 길게 형성됨으로 천장 부착구(4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천장에 부착된 천장 부착구(40)에 형성된 볼트 구멍(42, 43)에 프레임 고정구(50)의 수평 고정판(54)에 길게 형성된 볼트 관통공(52, 53)이 대향되게 한 후 고정볼트를 조인다.
이때에도 고정볼트를 완전히 조이지 않은 상태에서 프레임 고정구(50)를 측방으로 이동시켜 프레임 고정구(5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에서 프레임 고정구(50)나 천장 부착구(40)의 위치 조절은 어느 한방향 측 판넬(10)의 길이 방향으로만 조절이 되며 판넬의 폭 방향으로의 조절은 하지 않아도 중단 프레임을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중단 프레임(60)은 길게 형성되어 있고 그것을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의 판넬의 폭 방향의 위치는 다소 변경된다 하더라도 판넬을 고정시키는 데 하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형 천장 판넬 및 이를 시공하기 위한 설치 부재는 서로 다른 천장 판넬이 견고하게 결합되되 서로 분리가 용이하게 될 수 있게 하여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설치 후 어느 하나만을 용이하게 분 해 조립할 수 있어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천장 판넬의 저면을 판넬 지지 프레임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서 호형 판넬의 시공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프레임에 천장 판넬의 양단을 나사로 고정함으로서 천장 판넬이 프레임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프레임에 나사를 고정시키기 위한 관통공을 커버로 막아줌으로서 외관이 미려하게 천장 판넬을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천장용 판넬에 있어서,
    양 단부가 상방으로 굽혀진 외장판(91)의 내부에 보온재(92)를 적층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장판(91)의 양 단부에 상방으로 절곡된 부분을 내측으로 굽혀 결합홈부(91a)를 형성하며, 상기 결합홈부(91a)의 상단을 외부를 향해 절곡하여 절곡 결합부(91b)를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판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부(91a)는 그 단면의 "
    Figure 112004010675872-pat00003
    "형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판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결합부(91b)는 그 단면의 "
    Figure 112004010675872-pat00004
    "형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판넬.
  4. 양 가장자리에 결합홈부와 절곡 결합부를 갖는 천장 판넬을 설치하는 천장 판넬 설치 부재에 있어서,
    상기 판넬들의 사이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판넬들을 결합시키며, 상기 절곡 결합부(91b)의 홈에 끼워지는 판넬 걸림깃(82)과, 판넬들 사이의 결합홈부(91a)에 삽입되는 걸림 확개부(81)로 구성된 판넬 결합구(80)와 ;
    벽에 고정 설치되어 천장 판넬의 양단을 지지하는 단부 프레임(10)과 ;
    상기 단부 프레임(10)의 저면에 설치되어 단부 프레임(10)의 상부에 올려진 판넬을 고정시키는 고정나사를 덮어 가려주는 단부 커버(2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형 천장 판넬 설치 부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프레임(10)은 긴 막대 형상으로서, "」"형상으로 절곡되어 수직으로 벽고정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판넬이 지지되는 수평부분의 저면에는 하나 이상의 커버 고정편(12, 13)이 형성되어 있어 단부 커버(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단부 프레임(10)의 저면에 설치되는 단부 커버(20)의 일측 단부에는 단부 프레임(10)을 가리기 위한 수직 가림편(21)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 고정편(12, 13)에 대향되는 부분에는 프레임 고정편(22, 2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고정편들(12, 13, 22, 23)들의 측벽에는 서로 치합되어 단부 커버(20)가 단부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돌기(13a, 23a)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형 천장 판넬 설치 부재.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 판넬 설치 부재는 긴 천장에 판넬이 시공될 때 천장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어 판넬의 단부를 지지하는 중단 프레임(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중단 프레임(60)은 수평을 이루는 판체의 상부면에는 하나 이상의 천장 고정편(61)을 형성하고 그 저면에는 하나 이상의 커버 고정 편(62a, 63a)을 형성하여 구성되어 중단 커버(70)가 설치되며,
    상기 중단 프레임(60)의 저면에 설치되는 중단 커버(70)의 양 단부에는 중단 프레임(60)을 가리기 위한 수직 가림편(72, 73)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 고정편(62a, 63a)에 대향되는 부분에는 프레임 고정편(72a, 73a)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고정편들(62a, 63a, 72a, 73a)들의 측벽에는 서로 치합되어 중단 커버(70)가 중단 프레임(6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홈(62b, 63b)와 고정돌기(72b, 73b)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형 천장 판넬 설치 부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 프레임(60)은 프레임 고정구(50)에 의해 천장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 고정구(50)는 천장에 고정되는 천장 부착구(40)와, 상기 천장 부착구(40)에 볼트 조임되며,
    상기 천장 부착구(40)는 고정되는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중단에 길게 고정공(41)이 형성되고, 양 단부와 인접하여 각각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구멍(42, 4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 고정구(50)는 상기 천장 부착구(40)에 대향되는 판체의 저면에 하나 이상의 수직 고정판(51)을 형성하고 각각의 수직 고정판(51)에 다수의 핀 관통공(51a)이 형성되고, 천장 부착구와 대향되는 판체에는 상기 천장 부착구에 형성된 볼트 구멍에 각각 대향되는 볼트 관통공(52, 53)이 길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형 천장 판넬 설치 부재.
  8. 천장 판넬 시공 방법에 있어서,
    천장 판넬을 설치하고자 하는 벽면에 천장 판넬을 설치할 위치를 표시하고, 단부 프레임(10)을 앙카 볼트나 나사, 못 등의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단계와 ;
    고정된 단부 프레임(10)의 수평으로 연장된 부분에 판넬(90)의 단부를 올려놓고 그 아래로부터 나사를 조여 판넬(90)의 단부를 단부 프레임(10)에 고정시키는 단계와 ;
    단부 프레임(10)의 저면에 형성된 커버 고정편(12, 13)에 대향되게 단부 커버(20)에 형성된 프레임 고정편(22, 23)을 정렬한 후 단부 커버(20)의 저면에 압력을 가하여 커버 고정편(12, 13)에 프레임 고정편(22, 23)이 걸리게 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판넬의 시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 판넬 시공 과정은 천장의 길이가 길어 하나 이상의 판넬(10)을 길이 방향으로 연장 설치할 경우에는 서로 다른 판넬(10)들이 길이 방향으로 만나는 단부에 중단 프레임 설치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천장 판넬 시공 단계는 고정 수단으로 천장 부착구(40)를 천장에 가(假) 고정한 후, 천장 부착구의 위치를 조절하고 최종적으로 고정시키는 단계와 ;
    천장에 고정된 천장 부착구(40)에 형성된 볼트 구멍(42, 43)에 프레임 고정구(50)의 수평 고정판(54)에 형성된 볼트 관통공(52, 53)을 통과한 고정볼트를 조 이되 완전히 조이지 않고 가(假) 고정시키는 단계와 ;
    가(假) 고정된 프레임 고정구(50)의 고정위치를 조절한 후 고정볼트를 완전히 조여 프레임 고정구(50)를 완전히 고정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판넬 시공 방법.
KR1020040017443A 2004-03-15 2004-03-15 천장 판넬 및 설치 부재와 이를 이용한 천장 판넬 시공 방법 KR100546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443A KR100546853B1 (ko) 2004-03-15 2004-03-15 천장 판넬 및 설치 부재와 이를 이용한 천장 판넬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443A KR100546853B1 (ko) 2004-03-15 2004-03-15 천장 판넬 및 설치 부재와 이를 이용한 천장 판넬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2301A KR20050092301A (ko) 2005-09-21
KR100546853B1 true KR100546853B1 (ko) 2006-01-25

Family

ID=37273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7443A KR100546853B1 (ko) 2004-03-15 2004-03-15 천장 판넬 및 설치 부재와 이를 이용한 천장 판넬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685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2301A (ko) 2005-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5238B1 (ko) 건축물 내외장재 및 트러스 프로파일 고정용 브라켓
KR101251700B1 (ko) 채널형 클립이 적용되는 테크 자재의 결합 시스템
US20200291659A1 (en) Profile element and facade system with profile element
KR20140100815A (ko) 건축용 외장패널 고정 구조체
KR20060066705A (ko)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US20150218795A1 (en) Divider wall connection systems and methods
KR100546853B1 (ko) 천장 판넬 및 설치 부재와 이를 이용한 천장 판넬 시공 방법
KR100749904B1 (ko) 천장 판넬 및 설치 부재와 이를 이용한 천장 판넬 시공 방법
KR20190064814A (ko) 댐핑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장치 및 그 시공방법
EP2920378B1 (en) Selectively adjustable architectural wall
JP2008008112A (ja) 間仕切壁
WO2023054015A1 (ja) パネル設置構造
WO2023053832A1 (ja) パネル装置
JP2006200164A (ja) 軽金属製手摺
KR102582701B1 (ko) 일방향 설치가 가능한 칸막이벽 내진 보강용 전도방지구
KR100504137B1 (ko)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또는 상인방 시공하는 방법 및 그제품
WO2023054014A1 (ja) パネル装置及びこれの設置構造
KR200207355Y1 (ko) 천정부재의 조립성을 향상한 행거 구조물
JP5440475B2 (ja) 出隅用パネル取付金具及び出隅用パネル取付構造
KR200419372Y1 (ko) 냉동고 경량철골 천장틀 현가장치
KR100955106B1 (ko) 노출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노출 콘크리트 패널 시공 조립체
JP3054035U (ja) 吊足場
KR101783798B1 (ko) 건축물 천장판넬 설치부재
CA2333813A1 (en) Suspended ceiling assembly
JP2023050773A (ja) パネ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