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4137B1 -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또는 상인방 시공하는 방법 및 그제품 - Google Patents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또는 상인방 시공하는 방법 및 그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4137B1
KR100504137B1 KR1020040082315A KR20040082315A KR100504137B1 KR 100504137 B1 KR100504137 B1 KR 100504137B1 KR 1020040082315 A KR1020040082315 A KR 1020040082315A KR 20040082315 A KR20040082315 A KR 20040082315A KR 100504137 B1 KR100504137 B1 KR 100504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d steel
red
red brick
brick
lint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2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용현
강명국
Original Assignee
고용현
강명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용현, 강명국 filed Critical 고용현
Priority to KR1020040082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41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1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1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54Tie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및 상인방을 시공하기 위한 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L자형강을 준비하고, L자형강을 바닥에 세로방향으로 세우고, 가운데에 3개 내지 5개의 구멍이 뚫린 적벽돌을 L자형강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L자형강에 붙여 쌓되, 적벽돌의 구멍 중 어떤 하나의 구멍에 철봉을 끼워넣고, 적벽돌을 조적하는 중에 L자형강에 대응하는 벽돌고정공에 대응하도록 연결클립의 일단부를 끼워 넣어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적벽돌 사이사이에 모르타르를 바르면서 L자형강의 길이에 맞춰 적벽돌을 조적한 후 모르타르를 양생시켜 얻어진 적벽돌로 구성되며, 각 세대의 창호길이 또는 개구부의 길이에 맞춰 평평한 바닥에서 앵글에 벽돌과 모르타르를 깔아서 고정시켜 시공을 한 후 일정기간의 양생기간을 거쳐서 적벽돌을 시공하는 동시에 앵글을 설치한 이후 양생된 적벽돌을 나사 체결만으로 시공할 수 있으므로 매우 간편하게 빠르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또는 상인방 시공하는 방법 및 그 제품{CONSTRUCTION METHOD FOR THE UPPER PART OF APERTURE OR THE UPPER CROSSPIECE WITH RED BLICK AND MANUFACTURED GOODS}
본 발명은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또는 상인방을 시공하는 방법 및 그 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등으로 축조된 건축물의 창호 등의 개구부 또는 상인방에 적벽돌을 시공시에 보다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는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및 상인방 시공하는 방법 및 그 제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개구부 및 창호(2) 높이까지 1차 조적작업을 한다.
적벽돌 상인방(4)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창호(2) 또는 개구부에 목재 및 철재를 사용하여 버팀목을 설치하여야 한다.
버팀목을 설치한 다음에는 L자형강을 적벽돌의 적합한 줄눈에 맞추어서 설치한다.
L자형강을 설치한 후 적벽돌을 버팀목 위에 한 장 한 장 모르타르를 발라가며 4-5 장의 적벽돌을 쌓은 후 철봉과 연결크립을 끼워서 L자형강에 고정시키고 L자형강을 다시 콘크리트벽에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창호(2) 넓이만큼 반복시공한다.
상인방(4)에 적벽돌을 쌓은 후 모르타르가 양생이 완료되면 하부 버팀목을 제거한다.
이와 같은 방법은 창호(2) 등의 상인방(4) 또는 개구부의 상부에 적벽돌을 지지시키고 다시 그 위에 적벽돌을 쌓아 올려 건축물의 상인방(4) 또는 개구부가 그 위로 조적되는 적벽돌의 하중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만약 창호(2)의 가로 길이가 2.7m라고 가정하고, L자형강의 크기가 1m라고 가정하면, 2개의 L자형강 밑에 시공된 2m길이에 대응하는 적벽돌은 L자형강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나머지 대략 0.5m의 길이로 L자형강을 자르거나, 또는 0.5의 규격으로 나온 L자형강을 대고 그 밑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적벽돌을 시공하여 지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인방(4) 또는 개구부의 틈에 적벽돌을 끼워 넣으면서 다시 모르타르를 양생시킨다. 또한, 창호 또는 개구부의 끝부분에 가면, 창호 또는 개구부의 테두리 벽면 내로 벽돌을 삽입하여야 하지만, 대략 0.2m의 길이에 해당하는 부분은 이전에 조적한 다른 적벽돌과 창호 또는 개구부의 테두리 벽면에 부딪혀 다른 벽돌을 철봉에 관통시킬 수 없기 때문에, 적벽돌이 L자형강에 의해 지지받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즉, 대략 3개 정도의 적벽돌은 모르타르에 의해 이전에 조적된 옆여 있는 적벽돌에 부착만 될 뿐 L자형강에 의해 지지되지 못하는 것이다.
따라서, 대략 맨 끝의 3개 정도의 적벽돌은 L자형강에 의해 지지받지 못하므로, 밑에 설치된 버팀목을 제거하게 되면, 그 상태로는 그 상부로 조적된 적벽돌을 지지못하게 될 수도 있으므로, 부실공사의 우려가 있다.
또한, 이와같은 공법은 적벽돌을 철봉에 끼워넣은 상태로 모르타르로 적벽돌 사이를 붙이기 때문에 중력에 의해 벽돌이 하부로 쳐지게 되어 시공 후에 벽돌들이 서로 약간 어긋나 미관상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높은 곳에 설치된 곳에 시공하는 경우에는 사다리 등의 기구를 이용하여 작업하여야 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및 상인방 시공하는 방법 및 그 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등으로 축조된 건축물의 창호 등의 개구부 또는 상인방에 적벽돌을 시공시에 보다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는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및 상인방 시공하는 방법 및 그 제품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및 상인방을 시공하기 위한 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L자형강을 준비하고, L자형강을 바닥에 세로방향으로 세우고, 가운데에 3개 내지 5개의 구멍이 뚫린 적벽돌을 L자형강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L자형강에 붙여 쌓되, 적벽돌의 구멍 중 어떤 하나의 구멍에 철봉을 끼워넣고, 적벽돌을 조적하는 중에 L자형강에 대응하는 벽돌고정공에 대응하도록 연결클립의 일단부를 끼워 넣어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적벽돌 사이사이에 모르타르를 바르면서 L자형강의 길이에 맞춰 적벽돌을 조적한 후 모르타르를 양생시켜 얻어진 적벽돌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실시예1>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및 상인방 시공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및 상인방 시공하는 제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및 상인방 시공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먼저, L자형강(12)을 준비한다(단계 102). L자형강(12)은 그 규격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략 0.5m 내지 1.0m의 규격을 갖는다. 이와 같은 규격을 갖는 L자형강(12)은 두 개의 철재 판재의 단부가 직각으로 붙은 형태인 L자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쪽 판재에는 적벽돌(14)을 지지하기 위해 적벽돌(14)의 구멍(24)에 삽입되는 철봉(16)과 연결된 연결클립(18)을 고정시키기 위해 길게 타원형의 구멍인 벽돌고정공(26)이 수개 존재한다. 연결클립(16)의 철봉(18)과 삽입되는 부분의 반대편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타원형의 구멍이 수 개라고 표현하였지만, 대략 적벽돌(14)의 수에 맞추어 2개 내지 6개의 벽돌고정공(26)을 갖게 되다. L자형강(12)의 타면에는 콘크리트벽(20)에 고정시키기 위해 제작된 앵커볼트(28)를 조립하기 위한 길게 형성된 타원형의 체결공(30)이 수개 형성되어 있다. 체결공(30)도 벽돌고정공(26)과 마찬가지로 타원형의 구멍이 2개 내지 6개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L자형강(12)을 바닥에 세로방향으로 세우고, 가운데에 3개 내지 5개의 구멍이(24) 뚫린 적벽돌(14)을 L자형강(12)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L자형강(12)에 붙여 쌓는다(단계 104).
적벽돌(14)의 구멍(24)이 상부를 향하도록 하나 놓고, 적벽돌(14)의 3개 또는 5개의 구멍(24) 중 어떤 하나의 구멍(24)에 철봉(16)을 끼워넣는다(단계 106). 그리고, 모르타르(22)를 바르고 다른 적벽돌(14)을 조적시킨다(단계 108).
이와 같이, 적벽돌(14)을 조적하는 중에 철봉(16)에 연결클립(18)의 일단부를 L자형강(12)의 벽돌고정공(26)에 대응하도록 끼워 넣어 적벽돌(14)과 적벽돌(14)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단계 110), 모르타르(22)를 바르고 적벽돌(14)의 대응하는 구멍(24)과 동일한 위치에 있는 구멍(24)을 철봉(16)에 대해 관통시켜 적벽돌(14)이 나란하게 정렬되도록 쌓아 나간다(단계 112). 이와 같이 대략 L자형강(12)의 길이에 맞춰 7개 내지 17개의 벽돌을 쌓아 L자형강(14)의 길이에 맞춘다(단계 114).
그리고, 철봉(16)과 연결된 연결클립(18)의 반대편을 L자형강(12)에 와셔와 암나사를 이용하여 적벽돌(14)과 L자형강(12)을 고정시킨다(단계 116).
이와 같이 제작된 적벽돌(14)이 붙은 L자형강(12)은 모르타르(22)가 굳어질 때까지 양생시켜 모르타르(22)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며(단계 118), 또한, L자형강(12)의 가로방향으로 적벽돌(14)이 지지력을 충분히 갖도록 한다.
이와 같이 양생된 적벽돌(14)이 붙은 L자형강(12)의 반대편 판재를 콘크리트벽(20)에 부착시킨다(단계 120).
이 때, 체결공(30)에는 미리 드릴 등으로 콘크리트벽(20)의 대응하는 부분에 구멍을 뚫고 앵커볼트(28)를 콘크리트벽(20)의 구멍에 박아 벽에 고정시킨다.
고정시킨 앵커볼트(28)는 대응하는 체결공(30)에 삽입된다.
그리고, 적벽돌(14)이 붙은 L자형강(12)을 앵커볼트(28)의 돌출된 부분에 삽입하고, 다시 와셔와 암나사로 앵커볼트(28)의 돌출된 부분을 고정시켜, 적벽돌(14)과 L자형강(12)이 콘크리트벽(20)에 고정되도록 한다.
<실시예2>
도 2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보면, 적벽돌(14)의 구멍이 하늘을 향하도록 배치하고, 적벽돌(14)의 3개 또는 5개의 구멍(24) 중 어떤 하나의 구멍(24)에 철봉(16)을 끼워넣는다(단계 202). 그리고, 모르타르(22)를 적벽돌(14)의 상부에 바르고 다른 적벽돌(14)을 조적시킨다(단계 204).
상기 적벽돌(14)을 조적하는 중에 철봉(16)에 끼워 연결클립(18)을 적벽돌(14)과 적벽돌(14) 사이에 설치하되 연결클립(18)의 위치는 L자형강(14)의 벽돌고정공(26)에 대응하여 맞춰 설치하고(단계 206), 모르타르(22)를 바르고 적벽돌(14)을 최초에 대응하는 적벽돌(14)의 관통한 구멍(24)과 동일한 위치에 있는 구멍(24)을 철봉(16)에 대해 관통시켜 적벽돌(14)이 나란하게 정렬되도록 쌓아 나간다. 이와 같이 대략 L자형강(12)의 길이에 맞춰 7개 내지 17개의 벽돌을 쌓아 L자형강(12)의 길이에 맞춘다(단계 208).
이와 같이 연결클립(18)과 철봉(16) 및 모르타르(22)에 의해 한 몸체가된 적벽돌(14)을 모르타르(22)가 굳어질 때까지 양생시켜(단계 210), 모르타르(22)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여 가로방향으로 충분한 지지강도를 갖도록 한다.
한편, 콘크리트벽(20)에는 L자형강(12)과 대응하는 부분의 콘크리트벽(20)에 구멍을 뚫고 앵커볼트(28)를 콘크리트벽(20)의 구멍에 박아 벽에 고정시킨다(단계 212).
고정시킨 앵커볼트(28)가 반대편 부분에 대응하는 L자형강(12)의 체결공(30)에 삽입되도록 한다(단계 214). 이 때 앵커볼트(28)의 반대편 부분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L자형강(12)이 앵커볼트(28)의 돌출된 부분에 의해 삽입되도록 한 후에 다시 와셔와 암나사로 앵커볼트(28)의 돌출된 부분을 고정시켜 L자형강(12)이 앵커볼트(28)에 의해 콘크리트벽(20)에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단계 216).
이와 같이 콘크리트벽(20)에 L자형강(12)을 부착시켜 고정시킨 상태에서 연결클립(16)과 철봉(18) 및 모르타르(22)에 의해 한 몸체가된 적벽돌(14)에 있는 연결클립(16)의 돌출된 부분을 L자형강(12)의 콘크리트벽(20)에 고정시킨 면의 밑면에 있는 벽돌고정공(26)에 삽입되도록 하고 와셔와 암나사로 연결클립(16)을 고정시킨다(단계 218).
<실시예3>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및 상인방 시공하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도 5에 따른 적벽돌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먼저, L자형강(12)을 준비한다(단계 302). L자형강(12)은 그 규격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략 0.5m 내지 1.0m의 규격을 갖는다. 이와 같은 규격을 갖는 L자형강(12)에 맞추어 적벽돌(14)의 규격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7개 내지 17개의 적벽돌(14)을 모르타르(22)와 함께 조적한 높이와 대응하는 대략 0.5m 내지 1.0m의 길이를 갖는 통짜 적벽돌(32)을 제조하여 이를 준비한다(단계 304).
통자 적벽돌(32)의 사이사이에는 홈의 형태로 줄눈(34)을 형성한다. 또한, 통자 적벽돌(32)은 제조시에 철봉(18)을 길이방향으로 끼우고 철봉(18)과 고리로 연결된 연결클립(16)을 같이 구성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한다. 즉, 철봉(18)과 연결클립(16)은 통짜 적벽돌(32)에 매립되어 구성된다. 통자 적벽돌(32)의 연결클립(16)은 L자형강(12)의 벽돌고정공(26)에 맞추어 구성한다.
한편, L자형강(12)의 체결공에는(30) 미리 드릴 등으로 콘크리트벽(20)의 대응하는 부분에 구멍을 뚫고 앵커볼트(28)를 곤크리트벽(20)의 대응하는 구멍에 박아 콘크리트벽(20)에 고정시킨다(단계 306).
고정시킨 앵커볼트(28)가 대응하는 L자형강(12)의 체결공(30)에 삽입된다(단계 308).
L자형강(12)을 앵커볼트(28)의 돌출된 부분에 삽입한 후에 다시 와셔와 암나사로 앵커볼트(28)의 돌출된 부분을 고정시켜 L자형강(12)이 콘크리트벽(20)에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단계 310).
이와 같이 콘크리트벽(20)에 L자형강(12)을 부착시켜 고정시킨 상태에서 통자 적벽돌(32)의 연결클립(16)의 돌출된 부분을 L자형강(12)의 콘크리트벽(20)에 고정시킨 면의 밑면에 있는 벽돌고정공(26)에 삽입하고 와셔와 암나사로 고정시킨다(단계 312).
전술한 실시예3에서는 통자 적벽돌(32)을 콘크리트벽(20)에 부착된 L자형강(12)에 부착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그러나 당업자가 주지하는 바와 같이 통자 적벽돌(32)에 L자형강(12)을 부착한 상태로 콘크리트벽(20)에 붙여 시공할 수도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4>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벽돌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먼저, L자형강(12)을 준비한다(단계 402). L자형강(12)은 그 규격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략 0.5m 내지 1.0m의 규격을 갖는다. 이와 같은 규격을 갖는 L자형강(12)에 맞추어 적벽돌(14)의 규격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7개 내지 17개의 적벽돌(14)을 모르타르(22)와 함께 조적한 높이와 대응하는 대략 0.5m 내지 1.0m의 길이를 갖는 통짜 적벽돌(38)을 제조하여 이를 준비한다(단계 404).
통자 적벽돌(38)의 사이사이에는 홈의 형태로 줄눈(40)을 형성한다. 또한, 통자 적벽돌(38)은 제조시에 철봉(18)을 길이방향으로 끼우고 철봉(18)과 고리로 연결된 체결암나사(36)을 같이 구성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한다. 즉, 철봉(18)과 연결된 체결암나사(36)가 통짜 적벽돌(38)에 매립되어 구성된다. 통자 적벽돌(38)의 체결암나사(36)의 위치는 L자형강(12)의 벽돌고정공(26)에 맞추어 구성한다.
한편, L자형강(12)의 체결공에는(30) 미리 드릴 등으로 콘크리트벽(20)의 대응하는 부분에 구멍을 뚫고 앵커볼트(28)를 곤크리트벽(20)의 대응하는 구멍에 박아 콘크리트벽(20)에 고정시킨다(단계 406).
고정시킨 앵커볼트(28)가 대응하는 L자형강(12)의 체결공(30)에 삽입된다(단계 408).
L자형강(12)을 앵커볼트(28)의 돌출된 부분에 삽입한 후에 다시 와셔와 암나사로 앵커볼트(28)의 돌출된 부분을 고정시켜 L자형강(12)이 콘크리트벽(20)에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단계 410).
이와 같이 콘크리트벽(20)에 L자형강(12)을 부착시켜 고정시킨 상태에서 통자 적벽돌(38)의 체결암나사(36)가 밑으로 가도록 하고, 그 위로는 L자형강(12)의 벽돌고정공(26)을 관통하여 와셔와 나사 또는 볼트를 그 상부에서 체결암나사(36)에 체결하여 콘트리트벽(20), L자형강(12) 및 통자 적벽돌(38)을 상호 고정시킨다(단계 412).
전술한 실시예4에서는 통자 적벽돌(38)을 콘크리트벽(20)에 부착된 L자형강(12)에 부착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그러나 당업자가 주지하는 바와 같이 통자 적벽돌(38)에 L자형강(12)을 부착한 상태로 콘크리트벽(20)에 붙여 시공할 수도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각 세대의 창호길이 또는 개구부의 길이에 맞춰 평평한 바닥에서 앵글에 벽돌과 모르타르를 깔아서 고정시켜 시공을 한 후 일정기간의 양생기간을 거쳐서 적벽돌을 시공하는 동시에 앵글을 설치한 이후 양생된 적벽돌을 나사 체결만으로 시공할 수 있으므로 매우 간편하고 빠르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평지에서 벽돌을 쌓으면서 시공할 수 있으므로 숙련공이 아니더라고, 벽돌을 바르게 정렬하며 조적이 가능하며 불필요한 노무비가 불필요하므로, 기존방법에서 시공하는 중간에 받침용 목재 및 철파이프의 설치 및 해체 등의 불필요한 자재 및 노무비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창호 또는 상인방 또는 개구부는 고도가 높은 곳이 많아 작업시 항시 위험이 따르지만, 본 발명은 높은 지역이 아닌 바닥에서 제작해서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능률 향상과 벨뉴엔지니어링(Value Engineering : VE)기법에도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상인방이 시공되는 상태를 나타내어 보여 주기 위한 창호 위에 상인방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및 상인방 시공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및 상인방 시공하는 제품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및 상인방 시공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및 상인방 시공하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도 5에 따른 적벽돌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벽돌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2 : L자형강 14 : 적벽돌
16 : 철봉 18 : 연결클립
20 : 콘크리트벽 22 : 모르타르
24 : 구멍 26 : 벽돌고정공
28 : 앵커볼트 30 : 체결공
32, 36 : 통짜 적벽돌 34, 40: 줄눈
38 : 체결암나사

Claims (8)

  1.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및 상인방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L자형강(12)을 준비하고, 상기 L자형강(12)을 바닥에 세로방향으로 세운 후에 가운데에 3개 내지 5개의 구멍이(24) 뚫린 적벽돌(14)을 상기 L자형강(12)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L자형강(12)에 붙여 쌓는 제1 단계와;
    상기 적벽돌(14)의 구멍(24) 중 어떤 하나의 구멍(24)에 철봉(16)을 끼워넣고, 상기 적벽돌(14)을 조적하는 중에 철봉(16)에 연결클립(18)이 L자형강(12)에 있는 벽돌고정공(26)에 대응하는 위치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는 제2 단계와;
    상기 L자형강(12)의 길이에 맞춰 적벽돌(14)의 쌓은 길이가 상기 L자형강(14)의 길이에 맞추는 제3 단계와;
    상기 철봉(16)과 연결된 상기 연결클립(18)의 반대편을 L자형강(12)에 와셔와 암나사를 이용하여 적벽돌(14)과 L자형강(12)을 고정시키는 제4 단계와;
    상기 적벽돌(14)이 붙은 상기 L자형강(12)은 모르타르(22)가 굳어질 때까지 양생시키는 제5 단계와;
    이와 같이 양생된 상기 적벽돌(14)이 붙은 상기 L자형강(12)의 반대편 판재를 콘크리트벽(20)에 부착시키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및 상인방 시공하는 방법.
  2.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및 상인방을 시공하기 위한 제품에 있어서,
    L자형강(12)을 준비하고, 상기 L자형강(12)을 바닥에 세로방향으로 세우고, 가운데에 3개 내지 5개의 구멍이(24) 뚫린 적벽돌(14)을 L자형강(12)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L자형강(12)에 붙여 쌓되, 상기 적벽돌(14)의 구멍(24) 중 어떤 하나의 구멍(24)에 철봉(16)을 끼워넣고, 적벽돌(14)을 조적하는 중에 L자형강(12)에 대응하는 벽돌고정공(26)에 대응하도록 연결클립(18)의 일단부를 끼워 넣어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상기 적벽돌(14) 사이사이에 모르타르(22)를 바르면서 상기 L자형강(12)의 길이에 맞춰 적벽돌(14)의 조적한 후 상기 모르타르(22)를 양생시켜 얻어진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및 상인방을 시공하기 위한 제품.
  3.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및 상인방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벽돌(14)의 3개 또는 5개의 구멍(24) 중 어떤 하나의 구멍(24)에 철봉(16)을 끼워넣고 모르타르(22)를 발라 적벽돌(14)을 조적시키는 제1 단계와;
    상기 적벽돌(14)을 조적하는 중에 철봉(16)에 끼워 연결클립(18)을 적벽돌(14)과 적벽돌(14) 사이에 설치하되, 연결클립(18)의 위치는 L자형강(14)의 벽돌고정공(26)에 대응하여 맞춰 설치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모르타르(22)를 바르고 적벽돌(14)을 최초에 대응하는 적벽돌(14)의 관통한 구멍(24)과 동일한 위치에 있는 구멍(24)을 철봉(16)에 대해 관통시켜 적벽돌(14)이 나란하게 정렬되도록 쌓아 나가 L자형강(12)의 길이에 맞추는 제3 단계와;
    연결클립(18)과 철봉(16) 및 모르타르(22)에 의해 한 몸체가된 적벽돌(14)을 모르타르(22)가 굳어질 때까지 양생시키는 제4 단계와;
    콘크리트벽(20)에는 L자형강(12)과 대응하는 부분의 콘크리트벽(20)에 구멍을 뚫고 앵커볼트(28)를 콘크리트벽(20)의 구멍에 박아 벽에 고정시키고, 상기 앵커볼트(28)의 돌출부분이 L자형강(12)의 체결공(30)에 삽입되도록 하고 와셔와 암나사로 앵커볼트(28)의 돌출된 부분을 고정시켜 L자형강(12)이 상기 콘크리트벽(20)에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연결클립(16)과 상기 철봉(18) 및 상기 모르타르(22)에 의해 한 몸체가된 상기 적벽돌(14)에 있는 연결클립(16)의 돌출된 부분을 L자형강(12)의 콘크리트벽(20)에 고정시킨 면의 밑면에 있는 벽돌고정공(26)에 삽입되도록 하고 와셔와 암나사로 연결클립(16)을 고정시키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및 상인방 시공하는 방법
  4.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및 상인방을 시공하기 위한 제품에 있어서,
    상기 적벽돌(14)의 3개 또는 5개의 구멍(24) 중 어떤 하나에 철봉(16)을 끼워넣고 상기 적벽돌(14)에 모르타르(22)를 바르고 다른 적벽돌(14)을 조적시면서, 상기 철봉(16)에 끼워 연결클립(18)을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L자형강(12)에 형성된 벽돌고정공(26)에 대응하여 맞춰 설치하면서, 상기 L자형강(12)의 길이에 맞춰 적벽돌(14)을 쌓아 L자형강(12)의 길이에 맞추어 정렬하면서 조적한 후 양생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및 상인방을 시공하기 위한 제품.
  5.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및 상인방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L자형강(12)을 준비하고, 상기 L자형강(12)의 길이에 맞추어 통짜 적벽돌(32)을 제조하여 이를 준비하는 제1 단계와;
    콘크리트벽(20)에는 L자형강(12)과 대응하는 부분의 콘크리트벽(20)에 구멍을 뚫고 앵커볼트(28)를 콘크리트벽(20)의 구멍에 박아 벽에 고정시키고, 상기 앵커볼트(28)의 돌출부분이 L자형강(12)의 체결공(30)에 삽입되도록 하고 와셔와 암나사로 앵커볼트(28)의 돌출된 부분을 고정시켜 L자형강(12)이 상기 콘크리트벽(20)에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제2 단계와;
    상기 통자 적벽돌(32)의 연결클립(16)의 돌출된 부분을 L자형강(12)의 콘크리트벽(20)에 고정시킨 면의 밑면에 있는 벽돌고정공(26)에 삽입하고 와셔와 암나사로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및 상인방 시공하는 방법.
  6.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및 상인방을 시공하기 위한 제품에 있어서,
    L자형강(12)의 길이에 맞추어 다수개의 적벽돌(14)을 조적한 높이와 대응하는 높이로 통자 적벽돌(32)을 구성하되, 상기 통자 적벽돌의 사이사이에는 홈의 형태로 줄눈(34)을 형성하고, 상기 통자 적벽돌(32)은 제조시에 철봉(18)을 길이방향으로 끼우고 철봉(18)과 고리로 연결된 연결클립(16)을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및 상인방을 시공하기 위한 제품.
  7.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및 상인방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L자형강(12)을 준비하고, 상기 L자형강(12)의 길이에 맞추어 통짜 적벽돌(36)을 제조하여 이를 준비하는 제1 단계와;
    콘크리트벽(20)에는 L자형강(12)과 대응하는 부분의 콘크리트벽(20)에 구멍을 뚫고 앵커볼트(28)를 콘크리트벽(20)의 구멍에 박아 벽에 고정시키고, 상기 앵커볼트(28)의 돌출부분이 L자형강(12)의 체결공(30)에 삽입되도록 하고 와셔와 암나사로 앵커볼트(28)의 돌출된 부분을 고정시켜 L자형강(12)이 상기 콘크리트벽(20)에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제2 단계와;
    상기 통자 적벽돌(38) 내에 구성된 체결암나사(36)가 L자형강(12)의 대응하는 벽돌고정공(26)의 밑에 배치하고, 와셔와 나사 또는 볼트를 그 상부에서 체결암나사(36)에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및 상인방 시공하는 방법.
  8.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및 상인방을 시공하기 위한 제품에 있어서,
    L자형강(12)의 길이에 맞추어 다수개의 적벽돌(14)을 조적한 높이와 대응하는 높이로 통자 적벽돌(38)을 구성하되, 상기 통자 적벽돌의 사이사이에는 홈의 형태로 줄눈(40)을 형성하고, 상기 통자 적벽돌(38)은 제조시에 철봉(18)을 길이방향으로 끼우고 철봉(18)과 고리로 연결된 체결암나사(36)가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및 상인방을 시공하기 위한 제품.
KR1020040082315A 2004-10-14 2004-10-14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또는 상인방 시공하는 방법 및 그제품 KR100504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315A KR100504137B1 (ko) 2004-10-14 2004-10-14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또는 상인방 시공하는 방법 및 그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315A KR100504137B1 (ko) 2004-10-14 2004-10-14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또는 상인방 시공하는 방법 및 그제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9138U Division KR200371192Y1 (ko) 2004-10-14 2004-10-14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또는 상인방 시공하기 위한 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4137B1 true KR100504137B1 (ko) 2005-08-03

Family

ID=37303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2315A KR100504137B1 (ko) 2004-10-14 2004-10-14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또는 상인방 시공하는 방법 및 그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41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328B1 (ko) * 2008-05-07 2008-11-06 (주)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창호 프레임 고정 부위를 가진 조적재 조립체.
KR100901261B1 (ko) 2007-07-03 2009-06-08 한가람건설 주식회사 상인방 벽돌 조적용 가설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상인방벽돌 조적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261B1 (ko) 2007-07-03 2009-06-08 한가람건설 주식회사 상인방 벽돌 조적용 가설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상인방벽돌 조적 방법
KR100867328B1 (ko) * 2008-05-07 2008-11-06 (주)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창호 프레임 고정 부위를 가진 조적재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5466B2 (en) Tension reinforcement for concrete
US7908804B2 (en) Structural lintel assembly and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A2511630C (en) Masonry wall system
CA2467932A1 (en) Masonry tie for cavity wall construction
US20120073230A1 (en) Pre-engineered brick panel and methods of making and installing same
JP6625988B2 (ja) メタログ構造物用の補強材
KR100504137B1 (ko)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또는 상인방 시공하는 방법 및 그제품
KR102079964B1 (ko) 개량형 조적지지 보수 보강 구조
EP3179008A1 (en) Brick siding system
KR20070027432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는결속구
KR200371192Y1 (ko)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또는 상인방 시공하기 위한 제품
AU2017265160A1 (en) Modular walling system
JP7339865B2 (ja) 壁パネルの建て込み方法
KR100947410B1 (ko) 콘크리트 벽을 축조하기 위한 가변 길이형 타이
KR101447359B1 (ko) 인서트 채널을 이용한 에이엘씨 외장패널의 종벽 록킹 설치방법
KR101033530B1 (ko) 천장 거푸집 지지용 써포트의 안전키트
KR102505922B1 (ko) 개량형 조적지지 보수 보강 구조
KR0152401B1 (ko) 거푸집 판넬 조립체
US20230003018A1 (en) Modular walling system, components and methods
JP6892991B2 (ja) 壁部材と基礎の接合構造
EP3222790B1 (en) A wall tie, a wall comprising such a wall tie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wall
WO2011041824A1 (en) Building frame assembly
KR100728268B1 (ko) 무지주 지하옹벽 거푸집 패널의 장선과 멍에 연결구조
KR100392031B1 (ko) 건물시공용 철골조와 이를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
KR200304751Y1 (ko) 석고천장재용 형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