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0946Y1 - 선반받침용 브라켓과 지주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선반받침용 브라켓과 지주의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946Y1
KR200180946Y1 KR2019970028434U KR19970028434U KR200180946Y1 KR 200180946 Y1 KR200180946 Y1 KR 200180946Y1 KR 2019970028434 U KR2019970028434 U KR 2019970028434U KR 19970028434 U KR19970028434 U KR 19970028434U KR 200180946 Y1 KR200180946 Y1 KR 2001809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upport
shelf
fastening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84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5210U (ko
Inventor
이판술
Original Assignee
이판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판술 filed Critical 이판술
Priority to KR20199700284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946Y1/ko
Publication of KR199900152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2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9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9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3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 A47B57/3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the grooved or notched parts being the side walls or uprights thems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4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screwbolts as connect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1Cantilever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33Hollow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66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with longitudinal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03Adjustable furniture jointing
    • A47B2230/0018Screws or bolts sliding in sectional grooves
    • A47B2230/0022Screws or bolts sliding in sectional grooves with tighte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7Releasable locking means or connectors for fastening together parts of furniture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선반 받침용 브라켓과 지주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다수의 체결공이 상하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지주에 한쌍의 삽지구가 후미에 형성된 브라켓을 끼워 결합하는 종래의 것은 지주의 체결공 폭과 브라켓의 삽지구 두께차이로 인한 유격으로 인해 브라켓이 좌우로 흔들려서 선반이 견고하게 설치되지 못하고 브라켓의 상하 높이조절이 세밀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를 시정하고자 지주(100)는 체결면에 길다란 가이드 홈부(110)를 형성하고, 브라켓(200)은 후미를 타발하여 볼트 삽입공(211)이 형성된 지지부(210)를 브라켓(200)의 길이방향과 직각이 되게 비틀은 상태에서 머리부(221)가 지지부(210)후면으로 돌출되게 볼트(220)와 너트(230)를 체결하여 너트(230)를 풀고 조임에 따라 브라켓(200)이 지주의 가이드 홈부(110) 어느 위치에서나 신속 견고하게 고정되어 선반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면서도 생산 및 설치시의 작업능률을 높힐 수 있어 원가절감의 효과가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반 받침용 브라켓과 지주의 체결구조
본 고안은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선반 받침용 브라켓과 지주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히는 지주에 결합된 선반 받침용 브라켓이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 브라켓위에 설치되는 선반이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선반 받침용 브라켓과 지주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선반을 설치할 때에는 다수의 체결공이 위에서 아래를 향해 일직선의 소정 간격으로 뚫려있는 지주와; 상기 체결공중 2개의 체결공에 동시 끼워질 수 있도록 후미에 한쌍의 상하 삽지구가 형성된 브라켓을 사용하여 선반을 조립식으로 설치하고 있다.
이때 상기 지주는 체결공이 한 방향으로만 형성된 것을 사용하기도 하고, 또는 체결공이 사방에 형성된 지주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상기 지주중 체결공이 한방향으로만 형성된 지주는 주로 벽에 선반을 설치할 때 사용하고, 체결공이 사방에 형성된 지주는 선반을 지주 사방에 설치할 때나 또는 원형의 진열용 선반을 설치할 때 주로 사용한다.
상기 지주중 사방에 체결공이 형성된 지주를 예를들어 설명하면 종래에는 도 1 에서와 같이 지주(10)와 브라켓(11)을 사용하여 조립식 선반을 설치할 때에는 먼저 지주(1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지주(10)의 체결공(11)중 선반을 설치하고자 하는 높이의 체결공(11)에 브라켓(20) 후미의 상하 삽지구(21)를 동시에 끼운 후 브라켓(20)을 아래로 내리 눌르면 체결공(11)에 끼워진 삽지구(21)가 체결공(11) 하부의 단턱부에 걸리면서 브라켓(20)이 지주(10)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브라켓(20)의 삽지구(21)를 지주(10)의 체결공(11)에 끼울 때 체결공(11)과 삽지구(21)가 너무 타이트하면 브라켓(20)의 삽지구(21)를 체결공(11)에 끼우기가 힘들므로 체결공(11)의 폭을 삽지구(21)의 두께에 비해 약간 여유있는 크기로 형성하였으며, 이로인해 종래에는 브라켓(20)을 지주(10)에 끼워 체결하였을 때 삽지구(21)와 체결공(11) 사이의 유격으로 인해 도 2 에서와 같이 브라켓(20)이 지주(10)에서 좌, 우로 유동됨에 따라 브라켓(20)위에 조립된 선반이 견고하게 설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것은 지주(10)의 상하 체결공(11) 간격에 의해서만 브라켓(2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선반을 설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선반의 높낮이를 보다 세밀하게 조절할 수가 없었으며, 사방의 체결공(11)중 어느 한쪽의 체결공이 잘못 뚫리게 되면 사방에 체결되는 브라켓(20)의 높낮이가 서로 상이하여 선반이 뛰뚱거리게 설치됨에 따라 지주(10) 전체를 사용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사방에 체결공(11)이 형성되는 지주(10)를 만들 때 사방의 체결공(11) 위치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함은 물론 숙련된 기술을 필요로 하므로 생산성이 상당히 저조하면서도 불량 발생률이 높아 원가상승의 요인이 많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지주에 결합되는 선반 받침용 브라켓이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 브라켓위에 설치되는 선반이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면서도 선반의 높낮이를 보다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고, 지주의 불량률 발생이 별로 없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선반 받침용 브라켓과 지주의 체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지주의 경우 브라켓이 체결되는 각 면에는 위에서 아래까지 양단에 걸림단이 있는 길다란 가이드 홈부를 형성하고, 브라켓은 볼트 삽입공이 형성된 지지부를 후미에 타발한 후 상기 지지부를 브라켓의 길이방향과 직각이 되게 비틀은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홈부에 끼워져 이동될 수 있는 크기의 볼트를 상기 볼트 삽입공에 끼우고 너트로 체결하여 선반 받침용 브라켓과 지주의 체결구조를 구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기 브라켓의 볼트 머리부를 지주의 가이드 홈부에 끼워 이동시키면서 적당한 위치에서 너트를 조이면 브라켓의 지지부와 볼트 머리부가 가이드 홈부 양단의 걸림단 전후면에 강한 압력으로 밀착되면서 브라켓이 고정됨에 따라 브라켓이 좌우로 유동될 우려가 없는 것이며, 지주의 가이드 홈부를 따라 어느 위치에서나 브라켓을 고정시킬 수 있어 선반의 높낮이 조절이 보다 세밀하고, 지주의 생산 및 설치시의 숙련된 기술이 없더라도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어 원가를 상당히 절감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다.
제1도는 종래 지주와 브라켓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서 도시된 종래 지주와 브라켓의 결합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이 실시된 지주와 브라켓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브라켓만을 분해하여 예시한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지주와 브라켓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지주 110 : 가이드홈부
111 : 걸림단 200 : 브라켓
210 : 지지부 211 : 삽입공
220 : 볼트 221 : 머리부
230 : 너트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기술구성 및 작용을 바람직한 실시 예로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고안이 실시된 지주와 브라켓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의 브라켓만을 분해하여 예시한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지주(100)의 경우 브라켓(200)이 끼워지는 체결면의 위에서 아래까지 양단에 걸림단(111)이 있는 길다란 가이드 홈부(11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브라켓(200)의 경우에는 후미를 타발하여 볼트 삽입공(211)이 형성된 지지부(210)를 형성한 다음 상기 지지부(210)를 브라켓(200)의 길이방향과 직각이 되게 비틀은 상태에서 삽입공(211)을 통해 볼트(220)와 너트(230)를 체결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 는 본 고안이 실시된 지주와 브라켓이 결합된 상태의 요부 평단면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지지부(210)의 삽입공(211)에 끼워져 후면으로 돌출되는 볼트(220)의 머리부(221)는 상기 가이드 홈부(110)에 끼워져 이동이 가능하면서도 가이드 홈부(110)의 양측 걸림단(111)에 걸릴 수 있는 크기이어야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상기 브라켓(200)을 지주(100)에 체결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브라켓(200)의 지지부(210)에 결합되어 있는 너트(230)를 약간 풀어 볼트(220)를 느슨하게 하면 그 볼트(220)의 머리부(221)와 지지부(210) 사이에는 상당한 간격이 벌어지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그 볼트(220)의 머리부(221)를 지주(100)의 가이드 홈부(110)에 끼우면 볼트(220)의 머리부(221)와 지지부(210) 사이에 벌어지는 간격으로 가이드 홈부(110) 양측의 걸림단(111)이 위치되면서 볼트(220)의 머리부(221)가 가이드 홈부(110)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다수개의 브라켓(200)을 지주(100)의 가이드 홈부(110)에 끼운 다음 각각의 브라켓(200)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나서 너트(230)를 조이면 브라켓(200)의 지지부(210)와 볼트(220) 머리부(221)가 가이드 홈부(110) 양단의 걸림단(111) 전후면에 강한 압력으로 밀착됨에 따라 브라켓(200)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고정되는 브라켓(200)의 볼트(220)가 가이드 홈부(110)의 양측 걸림단(111) 내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지지부(210)가 걸림단(111) 외면에 강하게 밀착되어 지지되고 있으므로 브라켓(200)이 좌우로 유동될 우려가 전혀 없는 것이며, 너트(230)를 풀고 조임에 따라 다수개의 브라켓(200)들을 지주(100)의 원하는 위치 어느 곳에나 고정시킬 수 있어 종래의 비해 브라켓(200)의 높낮이를 보다 세밀하게 조절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지주(100)의 가이드 홈부(110)를 따라 브라켓(200)을 이동시켜 어느 위치에서나 브라켓(200)을 신속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선반의 높낮이 조절이 손쉽고 견고하게 설치 가능한 것으로서 숙련된 기술이 없더라도 생산 및 설치시의 작업능률을 높힐 수 있는 것이며, 종래처럼 체결공을 잘못 뚫어 지주(100)를 버리게 되는 일이 없으므로 그만큼 원가절감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양단에 걸림단(111)이 있는 길다른 가이드 홈부(110)가 체결면의 위에서 아래까지 형성된 지주(100)에 브라켓을 체결하고 나사수단으로 고정하는 것에 있어서, 브라켓(200)의 후미를 타발하여 볼트 삽입공(211)이 형성된 지지부(210)를 형성한 다음 상기 지지부(210)를 브라켓(200)의 길이방향과 직각이 되게 비틀은 상태에서 머리부(221)가 지지부(210)후면으로 돌출되게 삽입공(211)으로 볼트(220)와 너트(230)를 체결하고, 상기 볼트(220)의 머리부(221)는 상기 가이드홈부(110)에 끼워져 이동이 가능하면서도 가이드 홈부(110)의 양측 걸림단(111)에 걸릴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선반받침용 브라켓과 지주의 체결구조.
KR2019970028434U 1997-10-14 1997-10-14 선반받침용 브라켓과 지주의 체결구조 KR2001809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434U KR200180946Y1 (ko) 1997-10-14 1997-10-14 선반받침용 브라켓과 지주의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434U KR200180946Y1 (ko) 1997-10-14 1997-10-14 선반받침용 브라켓과 지주의 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210U KR19990015210U (ko) 1999-05-15
KR200180946Y1 true KR200180946Y1 (ko) 2000-05-15

Family

ID=19511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8434U KR200180946Y1 (ko) 1997-10-14 1997-10-14 선반받침용 브라켓과 지주의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94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107B1 (ko) * 2001-10-15 2004-08-09 양경호 상품진열용 지주의 미장마감재
KR100518048B1 (ko) * 2002-06-11 2005-09-28 주식회사 퍼시스 가구의 포스트 및 그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210U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0884B2 (en) Mounting device of sprinkler
EP1750046A2 (en) Device for fixing pipes to supporting structures
US11486434B2 (en) Rail mount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securing devices to a structure
KR102166828B1 (ko) 발판지지대
US4779830A (en) Support system
JPH11174967A (ja) 案内板掛け構造
KR200180946Y1 (ko) 선반받침용 브라켓과 지주의 체결구조
CN216766223U (zh) 一种市政工程钢结构安装结构
KR100358949B1 (ko) 조립용 가구 연결구
KR100686385B1 (ko) 거푸집용 지지대
KR200166400Y1 (ko) 석재판넬의 고정브라켓 및 고정장치
KR20020026107A (ko) 걸림볼트 및 이를 이용한 제품의 설치구조
CN209692296U (zh) 一种新型电缆桥架免焊接支吊架
CN219674099U (zh) 一种防脱落结构的超薄吸顶灯
KR100676507B1 (ko) 연결식 거푸집
CN211341542U (zh) 一种卡扣组件
KR200300646Y1 (ko)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JPH07261A (ja) 什 器
KR200393432Y1 (ko) 거푸집용 지지대
CA2435979A1 (en) Attachment system for bathing enclosure segments
KR200167061Y1 (ko) 조립용가구연결구
CN211649989U (zh) 一种可快速拆装的灯架及灯具系统
CN220981152U (zh) 一种吸顶灯用边框扣件
KR200230595Y1 (ko) 프레스 금형 고정용 클램프
US11241092B1 (en) Modular post assembly for a shelf storage r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