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4125B1 - 압연 뱅크 제어가 가능한 고무피딩장치 - Google Patents

압연 뱅크 제어가 가능한 고무피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4125B1
KR101694125B1 KR1020140131630A KR20140131630A KR101694125B1 KR 101694125 B1 KR101694125 B1 KR 101694125B1 KR 1020140131630 A KR1020140131630 A KR 1020140131630A KR 20140131630 A KR20140131630 A KR 20140131630A KR 101694125 B1 KR101694125 B1 KR 101694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ing
compound material
rubber
rubber compound
b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1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8482A (ko
Inventor
김준모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1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4125B1/ko
Publication of KR20160038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5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7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딩시 투입되는 고무의 온도를 제어하고 고무 피딩 시 뱅크량이 부족한 구간에만 고무 투입을 위해 컷팅 방식으로 뱅크 형성 양을 균일하게 함으로써 최적으로 뱅크량을 제어할 수 있는 고무피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피딩하는 고무 컴파운드 재료를 압연하기 위하여 간극을 가지는 한쌍의 압연롤; 상기 압연롤의 주위에 배치되어 압연되는 고무 컴파운드 재료의 뱅크량을 감지하는 뱅크감지센서; 상기 압연롤에 고무 컴파운드 재료를 피딩하는 서비서; 상기 서비서를 상기 압연롤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윙구동부; 상기 서비서 위에 설치되어 고무컴파운드 재료의 피딩을 강제로 차단하는 차단커터; 및 상기 뱅크감지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윙구동부와 상기 차단커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압연 뱅크 제어가 가능한 고무피딩장치{Rubber feeding device with controlling calendering bank}
본 발명은 압연 뱅크 제어가 가능한 고무피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딩시 투입되는 고무의 온도를 제어하고 고무 피딩 시 뱅크량이 부족한 구간에만 고무 투입을 위해 컷팅 방식으로 뱅크 형성 양을 균일하게 함으로써 최적으로 뱅크량을 제어할 수 있는 고무피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 제조공정 중에는 중간재료로 사용하기 위해 고무, 충진제, 가류제 등과 같은 여러가지 재료를 혼합시키는 혼합공정이 있다.
이러한 혼합공정에 사용하는 밀링장치는 균일한 토핑 게이지를 얻기 위해서는 균일한 뱅크 형성, 뱅크 체류시간이 매우 중요한 파라미터로 작용한다. 기존의 압연롤에 고무를 피딩하는 방법은 피딩 컨베이어를 이용한 연속 투입 방식인데, 모든 작업은 수동으로 진행되고 이를 자동으로 개선한 기술이 한국특허 제10-1271030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한국특허 제10-1271030호에서는 고무온도가 높거나 낮은 경우에 이를 제한할 방법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 연속적인 고무 투입으로 인해 뱅크량 많은 곳(높이가 높은 곳)까지 영향을 주어 실제 뱅크 제어가 곤란한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한국특허 제10-1271030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딩시 투입되는 고무의 온도를 제어하고 고무 피딩 시 뱅크량이 부족한 구간에만 고무 투입을 위해 컷팅 방식으로 뱅크 형성 양을 균일하게 함으로써 최적으로 뱅크량을 제어할 수 있는 고무피딩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피딩하는 고무 컴파운드 재료를 압연하기 위하여 간극을 가지는 한쌍의 압연롤; 상기 압연롤의 주위에 배치되어 압연되는 고무 컴파운드 재료의 뱅크량을 감지하는 뱅크감지센서; 상기 압연롤에 고무 컴파운드 재료를 피딩하는 서비서; 상기 서비서를 상기 압연롤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윙구동부; 상기 서비서 위에 설치되어 고무컴파운드 재료의 피딩을 강제로 차단하는 차단커터; 및 상기 뱅크감지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윙구동부와 상기 차단커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고무피딩장치이다.
상기 서비서에는 고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는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비서는 상기 압연롤에 재료를 피딩하는 피딩컨베이어와, 상기 피딩컨베이어의 하부에 배치되는 고무를 회송하는 회수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피딩컨베이어는 복수의 컨베이어유니트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컨베이어 중 하나의 컨베이어유니트는 회전조인트에 의해 상기 회수컨베이어를 향해 고무 컴파운드 재료를 공급하도록 회전가능하며, 상기 회전조인트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무 뱅크량의 자동 조절이 가능한 고무 피딩장치에 대해 일정한 온도의 고무투입이 가능하여 보다 균일한 압연 토핑이 가능하며, 또한 기존 고무피딩 방식의 문제점인 자동 피딩 시 연속 공급 방식으로 인해 좌우이동 시 뱅크량이 높은 구간까지 고무가 투입되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일정한 뱅크 유지 및 이로 인한 균일한 압연물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연 뱅크 제어가 가능한 고무피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무피딩장치의 단면도이며, 고무 컴파운드 재료가 압연롤을 향해 공급되고 있는 상태이다.
도 3은 도 1의 고무피딩장치의 단면도이며, 고무 컴파운드 재료가 회송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피딩장치를 지시한다. 상기 고무피딩장치(100)는 피딩하는 고무 컴파운드 재료(20)를 압연하기 위하여 간극을 가지는 한쌍의 압연롤(10)과, 상기 압연롤(10)의 주위에 배치되어 압연되는 고무 컴파운드 재료(20)의 뱅크량을 감지하는 뱅크감지센서(122)와, 상기 압연롤에 고무 컴파운드 재료(20)를 피딩하는 서비서(102)와, 상기 서비서(102)를 상기 압연롤(10)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윙구동부(미도시)와, 상기 서비서(102) 위에 설치되어 고무 컴파운드 재료(20)의 피딩을 강제로 차단하는 차단커터(118)와, 상기 뱅크감지센서(122)로부터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윙구동부와 상기 차단커터(118)를 제어하는 제어부(1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압연롤(10)은 도시되지 않은 동력원에 의해 구동되어 고무 컴파운드 재료(20)를 압연하여 고무시트(24)를 형성하며, 공지의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뱅크감지센서(122)는 뱅크여부를 측정하며, 과도한 뱅크량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24)에 신호를 공급한다.
상기 서비서(102)는 고무 컴파운드 재료(20)를 공급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고무 컴파운드 재료(20)를 회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서비서(102)는 도시되지 않은 스윙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압연롤(10)의 폭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스윙구동부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서비서(102)는 고무 컴파운드 재료(20)를 공급하기 위해 피딩컨베이어를 가진다. 또, 상기 스윙구동부(미도시)에 의한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해 피딩컨베이어를 지지하는 피딩컨베이어프레임(110)이 설치될 수 있다. 또, 상기 피딩컨베이어는 복수의 컨베이어유니트(104,106,108)들로 구성되어, 이 중 하나의 컨베이어유니트(106)가 회전운동에 의해 하측에 위치하는 회수컨베이어(114)를 향해 고무 컴파운드 재료(20)를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유니트(106)에는 회전조인트(112)가 연결되며, 상기 회전조인트(112)는 도시되지 않은 회전구동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력으로 상기 컨베이어유니트(106)의 회전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회수컨베이어(114)는 상기 컨베이어유니트(104,106,108)들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구동부(미도시)에 의한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해 상기 회수컨베이어(114)를 지지하는 회수컨베이어프레임(116)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유니트(106)의 회전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연롤(10)을 향하여 고무 컴파운드 재료(20)를 공급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수컨베이어(114)를 경유하여 다시 도시되지 않은 고무 컴파운드 공급원으로 회송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무 컴파운드 재료(20)의 이동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서비서(102)에는 고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120)가 설치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120)는 상기 제어부(124)에 연결된다. 상기 온도감지센서(120)에 의해 상기 고무 컴파운드 재료(20)를 측정하여, 설계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적정온도범위보다 낮거나 높은 경우에는 상기 컨베이어유니트(106)를 회전시켜 상기 회수컨베이어(114)로 고무 컴파운드 재료(20)를 회송시키고, 상기 고무 컴파운드 재료(20)의 온도가 적정온도범위 내이면, 상기 압연롤(10)을 향해 고무 컴파운드 재료(20)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비서(102)는 피딩컨베이어만으로 구성되고, 고무 컴파운드 재료의 회송은 상기 피딩컨베이어의 역전으로 구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서비서(102) 상에는 고무 컴파운드 재료(20)가 지나쳐서 뱅크량이 상기 스윙구동부에 의하여도 제어가 어려운 경우에는 상기 서비서(102)의 컨베이어유니트(104,106,108)들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차단커터(118)로 강제로 고무 컴파운드 재료(20)의 이송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차단커터(118) 역시, 상기 서비서(102)의 스윙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무피딩장치는, 적정온도의 고무 컴파운드를 뱅크량이 적정량을 유지하도록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압연롤 20: 고무 컴파운드 재료
22: 뱅크 24: 고무시트
100: 고무피딩장치 102: 서비서
104,106,108: 컨베이어유니트 110: 피딩컨베이어프레임
112: 회전조인트 114: 회수컨베이어
116: 회수컨베이어프레임 118: 차단커터
120: 온도감지센서 122: 뱅크감지센서
124: 제어부

Claims (3)

  1. 피딩하는 고무 컴파운드 재료를 압연하기 위하여 간극을 가지는 한 쌍의 압연롤;
    상기 압연롤의 주위에 배치되어 압연되는 고무 컴파운드 재료의 뱅크량을 감지하는 뱅크감지센서;
    상기 압연롤에 고무 컴파운드 재료를 피딩하는 서비서;
    상기 서비서를 상기 압연롤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윙구동부;
    상기 서비서 위에 설치되어 고무컴파운드 재료의 피딩을 강제로 차단하는 차단커터; 및
    상기 뱅크감지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윙구동부와 상기 차단커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서는,
    상기 압연롤에 재료를 피딩하는 피딩컨베이어와, 상기 피딩컨베이어의 하부에 배치되는 고무를 회송하는 회수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피딩컨베이어는,
    복수의 컨베이어유니트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컨베이어 중 하나의 컨베이어유니트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회전조인트에 의해 상기 회수컨베이어를 향해 고무 컴파운드 재료를 공급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서비서는,
    고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는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고무 컴파운드 재료를 측정하여, 기설정된 적정온도범위보다 낮거나 높은 경우에는 상기 컨베이어유니트를 회전시켜 상기 회수컨베이어로 고무 컴파운드 재료를 회송시키고,
    상기 고무 컴파운드 재료의 온도가 기설정된 적정온도범위 내이면 상기 압연롤을 향해 고무 컴파운드 재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피딩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40131630A 2014-09-30 2014-09-30 압연 뱅크 제어가 가능한 고무피딩장치 KR101694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630A KR101694125B1 (ko) 2014-09-30 2014-09-30 압연 뱅크 제어가 가능한 고무피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630A KR101694125B1 (ko) 2014-09-30 2014-09-30 압연 뱅크 제어가 가능한 고무피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482A KR20160038482A (ko) 2016-04-07
KR101694125B1 true KR101694125B1 (ko) 2017-01-09

Family

ID=55789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1630A KR101694125B1 (ko) 2014-09-30 2014-09-30 압연 뱅크 제어가 가능한 고무피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412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5701A (ja) 2003-10-27 2005-05-19 Yokohama Rubber Co Ltd:The 可塑性材料の混練方法及び装置
JP2006116726A (ja) * 2004-10-19 2006-05-11 Yokohama Rubber Co Ltd:The ゴム材料の混練り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装置
KR101271030B1 (ko) * 2010-12-07 2013-06-0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고무 뱅크량의 자동 조절이 가능한 고무 피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0875A (ja) * 1992-12-03 1994-06-21 Sumitomo Rubber Ind Ltd カレンダーのバンクコントロール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5701A (ja) 2003-10-27 2005-05-19 Yokohama Rubber Co Ltd:The 可塑性材料の混練方法及び装置
JP2006116726A (ja) * 2004-10-19 2006-05-11 Yokohama Rubber Co Ltd:The ゴム材料の混練り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装置
KR101271030B1 (ko) * 2010-12-07 2013-06-0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고무 뱅크량의 자동 조절이 가능한 고무 피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482A (ko) 201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3758B1 (ko) 슬리터 리와인더
KR101792230B1 (ko) 혼합실이 구비된 pvc필름 제조장치
CN104118002B (zh) 一种管材切割装置
KR101849009B1 (ko) 타이어 트레드 재단장치
KR101076687B1 (ko) 합성수지의 믹싱장치
US20180037346A1 (en) Device for Continuous Compensation of Stretching of Film During Drawing Applicable on Packaging Machines
KR101801112B1 (ko) 정밀 성형 및 정량 이송가능한 고무 절단 시스템
KR101694125B1 (ko) 압연 뱅크 제어가 가능한 고무피딩장치
JP5196999B2 (ja) ゴムをゴム消費装置に給送する方法及びゴムをゴム消費装置に給送する設備
KR101243205B1 (ko) 포지셔너 횡형 이동 동조장치
CN207240323U (zh) 用于乳胶片材在线裁边的自动纠偏装置
CN206795962U (zh) 一种胎面定长裁断检测装置
KR20170109868A (ko) 커팅롤러와 이를 이용한 커팅 장치 및 시트 커팅방법
JP3695495B2 (ja) カレンダ設備の異物混入シート排出方法および装置
CN212948788U (zh) 供胶摆臂设备
KR101277241B1 (ko) 제철원료의 슬라이딩 분배장치
JP3840327B2 (ja) ゴムシート成形用ロールのプッシャー装置
WO2015159801A1 (ja) タイヤ構成部材の供給装置、及び、タイヤ構成部材の供給方法
KR100982380B1 (ko) 재단 조인트 제거유닛을 구비한 카카스 공급장치
KR100460390B1 (ko) 조인트 분산이 용이한 타이어 반제품 절단장치
KR20150002168U (ko) 원단 재단장치
KR101629196B1 (ko) 타이어용 반제품 압연물 시트의 접합장치
JP2016221687A (ja) シート材の製造方法
KR100980815B1 (ko) 고무 뱅크량 감지를 통한 본체롤의 믹싱고무 공급량 제어방법
CN215790993U (zh) 一种开炼机边料自动切割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