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026B1 - 적층 세라믹 콘덴서 제조용 가열박리형 점착시트 - Google Patents

적층 세라믹 콘덴서 제조용 가열박리형 점착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026B1
KR101693026B1 KR1020160085720A KR20160085720A KR101693026B1 KR 101693026 B1 KR101693026 B1 KR 101693026B1 KR 1020160085720 A KR1020160085720 A KR 1020160085720A KR 20160085720 A KR20160085720 A KR 20160085720A KR 101693026 B1 KR101693026 B1 KR 101693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sensitive adhesive
pressure
hea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5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호
서영옥
Original Assignee
(주) 화인테크놀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화인테크놀리지 filed Critical (주) 화인테크놀리지
Priority to KR1020160085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026B1/ko
Priority to CN201680086956.5A priority patent/CN109312197B/zh
Priority to PCT/KR2016/007756 priority patent/WO201800879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09J7/0225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09J7/0235
    • C09J7/026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dhesive Tapes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Ceramic Capacitor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제조 시 적층 세라믹 콘덴서 바(bar)를 점착시트에 고정시키고, 칩의 크기로 절단 가공 후 가열하여 점착시트로부터 피착제인 적층 세라믹 콘덴서 칩을 쉽게 박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 제조용 가열박리형 점착시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세라믹 콘덴서 제조용 가열박리형 점착시트는 점착층이 제1 점착층과 제2 발포점착층으로 이루어진 2중 구조로서, 제1 점착층에 무기필러를 적용하여 압축변형율 조절을 통해 가열발포 후 표면이 균일하고 매끄러우며, 일부 발포 셀의 과발포가 없게 하고 적층 세라믹 콘덴서 바(bar)를 칩(chip) 크기로 절단 시 칼날에 점착제가 묻어남을 방지하고, 또한 제2 발포점착층에 의해 칩(chip)의 절단 시 80~85℃의 고온에서의 높은 점착력을 구현하여 칩(chip)의 밀림현상을 방지하고, 발포제 분산도 및 분산안정성을 확보하여 발포 후 피착제인 칩(chip)의 박리력을 향상시키고, 발포 후 피착제에 잔여물이 오염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적층 세라믹 콘덴서 제조용 가열박리형 점착시트{Heat-peelable adhesive sheet for manufacturing multilayer ceramic condenser}
본 발명은 적층 세라믹 콘덴서 제조용 가열박리형 점착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제조 시 적층 세라믹 콘덴서 바(bar)를 점착시트에 고정시키고, 칩의 크기로 절단 가공 후 가열하여 점착시트로부터 피착제인 적층 세라믹 콘덴서 칩을 쉽게 박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 제조용 가열박리형 점착시트에 관한 것이다.
적층 세라믹 콘덴서 칩(MLCC; Multi-Layer ceramic capacitors chip)은 모바일 기기, 컴퓨터, 디지털카메라, 디지털TV 등 모든 전자제품에 공통적으로 들어가는 핵심부품으로, 전자제품에서 필요로 하는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정류를 하거나 소량의 전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제품으로, 적층 세라믹 콘덴서 칩(MLCC)과 같은 전자부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가열박리형 점착시트가 사용되며, 가열박리형 점착시트는 '발포점착 테이프'라고도 한다.
가열박리형 점착시트(발포점착 테이프)의 발포 과정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 필름층(2a)와 발포체(5)가 혼합된 점착제층(2b)으로 이루어진 가열박리형 점착시트(2)에 적층 세라믹 콘덴서 바인 피착제(1)를 점착시키고, 가열박리형 점착시트(2)를 가열시키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체(5)가 가열되어 발포되면서 가열박리형 점착시트(2)가 발포되는 원리이다.
상기와 같은 가열박리형 점착시트(발포점착 테이프)의 발포원리를 이용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 칩을 제조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 세라믹 콘덴서 바(bar)(1)를 가열박리형 점착시트(2)에 점착시킨 후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기(3)를 사용하여 적층 세라믹 콘덴서 바(bar)(1)를 칩(chip)의 형태로 커팅한 다음 가열시키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박리형 점착시트(2)의 가열 발포제가 함유된 점착층이 가열하여 발포 내지 팽창되고 가열 팽창성 점착층의 표면이 요철 상으로 변화되면서 적층 세라믹 콘덴서 바와의 점착 면적이 감소하여 점착력이 감소하고, 피착체인 적층 세라믹 콘덴서 바(1)가 칩(4)으로 쉽게 분리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가열박리형 점착시트는 전자 부품의 가공이나 반도체용 부품 가공시 그 부품을 지지 고정해주고 가공이 끝난 후 가열에 의해서 쉽게 박리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가열박리형 점착시트에 대한 특허기술들을 살펴보면, 특허문헌 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가열 박리형 점착 시트에 관한 것으로, 가열 박리형 점착 시트(1)는 기재(2), 열 팽창성 점착층(3), 세퍼레이터(박리 라이너)층(4)으로 구성된 구조이고, 특허문헌 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열 박리형 점착 시트에 관한 것으로, 지지 기재(1), 참조 부호 2가 고무상 유기 탄성층(2), 열 팽창성 점착제층(3), 이형 필름층(4)의 순으로 적층된 구조이다.
한편, 본 출원인은 전자 부품의 가공이나 반도체용 부품 가공시 그 부품을 지지 고정해주고 가공이 끝난 후 가열에 의해서 쉽게 박리가 되는 점착필름을 개발하여 특허문헌 3으로 등록시킨 바가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가열 박리형 점착 시트는 발포점착층인 단층(one layer) 구조에서는 점착력과 발포성능을 우수하게 설계하여도 가열발포 후 표면이 균일하지 않거나 또는 매끄럽지 못하고, 일부 발포 셀의 과발포로 인해 칩(chip)에 점착제가 묻어 오염되거나 또는 낮은 수율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칩(chip)의 크기로 절단 시 칼날에 점착제가 묻어나 칩(chip) 오염과 작업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1 :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26594호(2006년 12월 07일 공개) 가열 박리형 점착 시트 및 상기 가열 박리형 점착 시트를 사용한 피착체의 가공 방법. 특허문헌 2 :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09293호(2014년 09월 15일 공개) 열 박리형 점착 시트. 특허문헌 3 :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328236호(2002년 02월 27일 공개) 가열 박리형 점착제 및 점착필름.
상기에서 설명드린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가열박리형 점착시트는 점착층이 제1 점착층과 제2 발포점착층으로 이루어진 2중 구조로서, 제1 점착층에 무기필러를 적용하여 압축변형율 조절을 통해 가열발포 후 표면이 균일하고 매끄러우며, 일부 발포 셀의 과발포가 없게 하고 적층 세라믹 콘덴서 바(bar)를 칩(chip) 크기로 절단 시 칼날에 점착제가 묻어남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 제조용 가열박리형 점착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2 발포점착층에 의해 칩(chip)의 절단 시 80~85℃의 고온에서의 높은 점착력을 구현하여 칩(chip)의 밀림현상을 방지하고, 발포제 분산도 및 분산안정성을 확보하여 발포 후 피착제인 칩(chip)의 박리력을 향상시키고, 발포 후 피착제에 잔여물이 오염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 제조용 가열박리형 점착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재 필름층과, 상기 기재 필름층의 상부에 형성시킨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의 상부에 형성시킨 이형필름층으로 적층되고, 상기 점착층은 제1 점착층 및 제2 발포점착층으로 적층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 제조용 가열박리형 점착시트를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점착층은 연질 점착층으로, 점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기필러 30~60 중량부, 경화제 0.5~5 중량부 및 용매 10~60 중량부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시키고, 상기 제2 발포점착층은 경질 발포점착층으로, 점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 15~40 중량부, 경화제 0.5~5 중량부 및 용매 10~60 중량부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무기필러는 실리카, 알루미나, 황산바륨, 탈크, 탄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질화붕소, 붕산알루미늄, 티탄산바륨, 티탄산칼슘, 티탄산마그네슘, 티탄산비스무스, 산화티탄, 지르콘산바륨, 지르콘산칼슘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재 필름층 및 이형 필름층은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티렌테레프탈레이트, 에틸비닐아세테이트, 에틸비닐알콜,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타디엔 및 에틸렌-부텐, 에틸렌-프로필렌-부타디엔의 공중합체 또는 폴리스틸렌 수지 중에서 선택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세라믹 콘덴서 제조용 가열박리형 점착시트는 점착층이 제1 점착층과 제2 발포점착층으로 이루어진 2중 구조로서, 제1 점착층에 무기필러를 적용하여 압축변형율 조절을 통해 가열발포 후 표면이 균일하고 매끄러우며, 일부 발포 셀의 과발포가 없게 하고 적층 세라믹 콘덴서 바(bar)를 칩(chip) 크기로 절단 시 칼날에 점착제가 묻어남을 방지하고, 또한 제2 발포점착층에 의해 칩(chip)의 절단 시 80~85℃의 고온에서의 높은 점착력을 구현하여 칩(chip)의 밀림현상을 방지하고, 발포제 분산도 및 분산안정성을 확보하여 발포 후 피착제인 칩(chip)의 박리력을 향상시키고, 발포 후 피착제에 잔여물이 오염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가열 박리형 점착 시트의 발포과정을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 칩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
도 3은 종래의 특허문헌 1에 따른 가열 박리형 점착 시트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의 특허문헌 2에 따른 가열 박리형 점착 시트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세라믹 콘덴서 제조용 가열박리형 점착시트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세라믹 콘덴서 제조용 가열박리형 점착시트의 발포 전후의 SEM 사진(배율 60배)
도 7은 종래의 적층 세라믹 콘덴서 제조용 가열박리형 점착시트의 발포 전후의 SEM 사진(배율 60배)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세라믹 콘덴서 제조용 가열박리형 점착시트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 설명하되,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적층 세라믹 콘덴서 제조용 가열박리형 점착시트(이하, '가열박리형 점착시트'라 한다)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서, 기재 필름층(10)과, 상기 기재 필름층의 상부에 형성시킨 점착층(20) 및, 상기 점착층의 상부에 형성시킨 이형필름층(30)으로 적층되고, 상기 점착층(20)은 제1 점착층(20a) 및 제2 발포점착층(20b)으로 적층된 구조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열박리형 점착시트를 구성하는 적층 구조에서 각 적층체 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의 내용과 같다.
(1) 기재 필름층(Base film layer)
기재 필름층(10)은 제1 점착층과 제2 발포점착층의 지지체 역할 및 적층 세라믹 콘덴서 바(BAR)를 칩(chip) 크기로 절단 시 절단용 척 테이블(Chuck table)에서의 착·탈착력을 용이하게 구현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층으로,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 구체적으로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에틸비닐아세테이트, 에틸비닐알콜,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타디엔 및 에틸렌-부텐, 에틸렌-프로필렌-부타디엔의 공중합체 또는 폴리스틸렌 수지 중에서 선택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밖에도 종이, 부직포, 금속박 등도 사용될 수 있다.
(2) 점착층(Adhesive layer)
점착층은 점착력 구현과 피착제와의 부착력 기능을 하며, 제1 점착층(20a) 및 제2 발포점착층(20b)으로 적층된 2중 점착층 구조이다.
제1 점착층(20a)은 연질 점착층으로, 가열발포 후 점착시트의 표면조도가 평탄하고 매끈하게 해주고, 피착제(MLCC BAR)와의 접착시 피착제의 단차충격의 완충 으로 피착제와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고, 적층 세라믹 콘덴서 바(bar)를 칩(chip) 크기로 절단 시 칼날에 점착제가 묻어남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층이다.
상기 제1 점착층(20a)을 형성시키는 제1 점착조성물은 점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기필러 30~60 중량부, 경화제 0.5~5 중량부 및 용매 10~60 중량부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시킨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제1 점착조성물에 안료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제1 점착조성물의 구성성분을 성분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의 내용과 같다.
점착 수지는 구체적으로 폴리우레탄수지, 폴리올레핀계수지, 우레탄아크릴레이트수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수지, 에폭시수지(Bis-A, F 또는 cresol novolac type),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실록산공중합수지,에폭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수지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무기필러는 압축변형율 조절을 통해 가열발포 후 표면이 균일하고 매끄러우며, 일부 발포 셀의 과발포가 없게 하고 적층 세라믹 콘덴서 바(bar)를 칩(chip) 크기로 절단 시 칼날에 점착제가 묻어남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며, 무기필러의 혼합량은 점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6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필러의 혼합량이 상기에서 한정한 범위 미만이 될 경우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무기필러의 기능이 저하할 우려가 있고, 상기에서 한정한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유동성(흐름성)의 저하로 필름화 시 코팅품질 문제를 야기할 우려가 있다.
본 조성물에서 사용하는 무기필러는 구체적으로 실리카, 알루미나, 황산바륨, 탈크, 탄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질화붕소, 붕산알루미늄, 티탄산바륨, 티탄산칼슘, 티탄산마그네슘, 티탄산비스무스, 산화티탄, 지르콘산바륨, 지르콘산칼슘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조성물에서 사용하는 경화제는 점착제인 주제와 반응하여 점착특성을 촉진 또는 조정하는 물질로 사용하며, 경화제의 혼합량은 점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5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제의 혼합량이 상기에서 한정한 범위 미만이 될 경우에는 제1 점착층이 제대로 경화하지 않을 우려가 있고, 상기에서 한정한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경화에 의해 점착제층이 경질화되어 제1 점착제층의 기능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상기 경화제는 구체적으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 구체적으로는 2,4-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3-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의 화합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용매는 배합 시 점도 조절 및 희석제로 사용하며, 점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60 중량부를 혼합한다. 용매의 혼합량이 상기에서 한정한 범위 미만이 될 경우에는 유동성(흐름성)의 저하로 필름화 시 코팅품질의 문제를 야기할 우려가 있고, 상기에서 한정한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낮은 고형분(Solid content)으로 유동성이 커서 도막 두께확보에 대한 우려가 있다.
본 조성물에 사용하는 용매는 구체적으로 톨루엔, 시클로헥산, 살리실산메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아밀, 이소프로필알코올,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에틸케톤, 디부틸프탈레이트, 크실렌 또는 벤젠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제1 점착조성물에 안료를 혼합할 수 있다. 본 조성물에 사용하는 안료는 반도체웨이퍼의 취급시 눈의 피로도와 주위 안정감을 위하여 청색 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청색 안료 이외의 연청색 안료 또는 기타 색상의 안료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청색 안료로는 프탈로시아닌블루, 코발트블루, 군청 등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안료의 첨가량은 아크릴 공중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안료 0.1~2.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안료의 첨가량은 상기에서 한정한 범위에만 반드시 제한되지 아니하고 제조자의 필요에 의하거나 또는 수요자의 요구에 의해 적절히 조정되어 질 수 있다.
한편, 제2 발포점착층(20b)은 경질 발포점착층으로, 높은 점착력을 가지면서 우수한 가열박리성과 균일하고 매끄러운 표면형성 및 피착제(MLCC, BAR)의 절단공정 시 고온접착력 구현으로 칩(chip)의 밀림현상을 방지하여 절단 칩의 모양이 일정하게 하는 기능을 하는 층이다.
상기 제2 발포점착층(20b)을 형성시키는 제2 발포점착조성물은 점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 15~40 중량부, 경화제 0.5~5 중량부 및 용매 10~60 중량부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시킨다.
상기 제2 발포점착조성물의 구성성분을 성분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의 내용과 같다.
제2 발포점착조성물에서 점착 수지와 경화제 및 용매는 상기 제1 점착조성물에서 사용하는 화합물들과 동일한 화합물을 사용하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발포제는 사용 온도에 맞게 발포되는 입자의 크기가 3㎛~50㎛인 미소구화 발포체로서 가열 후 피착제 간의 박리를 위한 기능을 하며, 발포제의 혼합량은 점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4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제의 혼합량이 상기에서 한정한 범위 미만이 될 경우에는 발포체가 제대로 발포되지 아니하여 적층 세라믹 콘덴서 바(bar)로부터 칩(chip)이 제대로 분리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상기에서 한정한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발포되어 피착제에 접착성분이 전사 될 우려가 있다.
(3) 이형 필름층(Release film layer)
이형 필름층(30)은 가열박리형 점착시트를 보호하기 위한 기능을 하는 층으로, 기재 필름층과 동일한 소재를 사용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박리형 점착시트는 기재 필름층(10), 제1 점착층, 제2 발포점착층(20b) 및 이형 필름층(30)의 두께가 각각 50~100㎛, 10~100㎛, 30~70㎛, 20~40㎛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각 적층체의 두께는 상기에서 한정한 범위에만 반드시 제한되지 아니하고 제조자의 필요 또는 수요자의 요구에 의해 적절히 조정되어 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세라믹 콘덴서 제조용 가열박리형 점착시트를 아래 실시 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1. 가열박리형 점착시트의 제조
(실시 예 1)
50㎛의 두께의 PET 소재의 기재 필름층(10)과, 상기 기재 필름층의 상부에 형성시킨 10㎛ 두께의 제1 점착층(20a) 및 30㎛ 두께의 제2 발포점착층(20b)과 20㎛ 두께의 PET 소재의 이형필름층(30)으로 적층시켜 가열박리형 점착시트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1 점착층(20a)은 점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기필러인 수산화알루미늄 30 중량부, 경화제인 2,4-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0.5 중량부 및 용매인 에틸아세테이트 10 중량부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시켰으며, 제2 발포점착층(20b)은 점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입자의 크기가 3㎛~50㎛인 미소구화 발포체(악조노벨社 제품) 15 중량부, 경화제인 1,4-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0.5 중량부 및 용매인 에틸아세테이트 10 중량부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시켰다.
(실시 예 2)
100㎛의 두께의 PET 소재의 기재 필름층(10)과, 상기 기재 필름층의 상부에 형성시킨 100㎛ 두께의 제1 점착층(20a) 및 70㎛ 두께의 제2 발포점착층(20b)과 40㎛ 두께의 PET 소재의 이형필름층(30)으로 적층시켜 가열박리형 점착시트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1 점착층(20a)은 점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기필러인 수산화알루미늄 60 중량부, 경화제인 2,4-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5 중량부 및 용매인 에틸아세테이트 60 중량부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시켰으며, 제2 발포점착층(20b)은 점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입자의 크기가 3㎛~50㎛인 미소구화 발포체(악조노벨社 제품) 40 중량부, 경화제인 1,4-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5 중량부 및 용매인 에틸아세테이트 60 중량부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시켰다.
(비교 예 1)
50㎛의 두께의 PET 소재의 기재 필름층(10)과, 상기 기재 필름층의 상부에 형성시킨 30㎛ 두께의 제2 발포점착층(20b)과 20㎛ 두께의 PET 소재의 이형필름층(30)으로 적층시켜 가열박리형 점착시트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2 발포점착층(20b)은 실시 예 1에서 사용한 조성물과 동일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2 발포점착층을 형성시켰다.
(비교 예 2)
100㎛의 두께의 PET 소재의 기재 필름층(10)과, 상기 기재 필름층의 상부에 형성시킨 70㎛ 두께의 제2 발포점착층(20b)과 40㎛ 두께의 PET 소재의 이형필름층(30)으로 적층시켜 가열박리형 점착시트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2 발포점착층(20b)은 실시 예 2에서 사용한 조성물과 동일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2 발포점착층을 형성시켰다.
2. 가열박리형 점착시트의 평가
상기 1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실시 예 1, 2 및 비교 예 1, 2의 가열박리형 점착시트에 대하여 (1) 발포 전.후 표면 조도 (Roughness) 비교값, (2) 상온 점착력(25℃), (4) 고온 점착력(80℃), (5) MLCC BAR의 칩 스케일(chip scale)로 절단 시 밀림현상, (6) MLCC BAR의 칩 스케일(chip scale)로 절단 후 칩(chip)의 모양 이상발생, (7) 동적점탄성측정(측정장비 : 레오미터)(전단 탄성률)에 대하여 평가한 결과는 아래 표 1의 내용과 같다.
항목 단위 실시 예 비교 예
1 2 1 2
(1) 발포 전.후 표면조도(Ra값) 발포전: 2
발포후: 43
발포전: 2
발포후: 17
발포전: 2
발포후: 63
발포전: 2
발포후: 49
(2) 상온 점착력(25℃) gf/inch 1620 1890 1400 1550
(3) 고온 점착력(80℃) gf/inch 240 260 210 230
(4) MLCC BAR의 칩 스케일로
절단 시 밀림현상 발생률
% 5 0 34 28
(5) MLCC BAR의 칩 스케일로
절단 후 칩의 모양 이상발생
% 0 0 9 5
(6) MLCC BAR의 칩 스케일로
절단 후 가열박리력률
% 98 99 99 99
(7) 전단 탄성률 MPa 2.54×103 3.72×103 4.75×102 7.69×102
(시험방법)
(1) 가열발포 전·후 표면조도(Ra값) 평가
가열박리형 점착시트의 가열발포 후 표면조도 측정을 위해 점착시트 시험편 150mm × 150mm 크기로 이형필름층을 제거하여 준비한 다음 피착제인 적층 세라믹 콘덴서 바(Bar) 일면에 시험편을 2kg의 롤러(Roller)로 2회 반복하여 부착한 뒤 30분간 방치한 후, 박스오븐(Box oven)에 넣어 145℃에서 10분간 방치하여 가열박리 시킨다. 박리된 필름은 상온에서 5분간 방치한 후 표면조도측정기(Surface Roughness Measuring Instrument, KOSAKA社, Surfcorder SE4000)를 이용하여 표면조도를 평가한다.
(2) 상온 점착력 평가
JIS Z 0237 (KSA-1107) 표준규격에 의거하여, 시험장소의 온도 23±2℃, 습도 50±5%의 환경에서, 시험판 SUS304 (W50mm × L125mm × T2mm)를 전용 세척 용제인 알코올, 톨루엔 등을 사용하여 표면을 깨끗이 세척하여 준비하고, 시험편(W25mm × L250mm)을 준비하여 점착 면을 아래로 해서 2kg 롤러(Roller)를 이용하여 300mm/min의 속도로 왕복 3회 압착하여 부착시킨다. 부착 후 30분이 경과한 뒤에 인장력 시험기(Adhesion, Release tester, INSTRON MODEL 3343)를 사용하여 시험편과 시험판의 각 끝을 측정기 척(Chuck)으로 고정하고 시험편을 180°당겨 벗김법으로 헤드속도 300±30mm/min.로 당겨 점착력을 평가하였다.
(3) 고온 점착력 평가
JIS Z 0237 (KSA-1107) 표준규격에 의거하여, 시험장소의 온도 23±2℃, 습도 50±5%의 환경에서, 시험판 SUS304 (W50mm × L125mm × T2mm)를 전용 세척 용제인 알코올, 톨루엔 등을 사용하여 표면을 깨끗이 세척하여 준비하고, 시험편(W25mm × L250mm)을 준비하여 점착면을 아래로 해서 2kg 롤러(Roller)를 이용하여 300mm/min의 속도로 왕복 3회 압착하여 부착시킨다. 부착 후 상온에서 30분 방치하고, 인장력 시험기(Adhesion, Release tester, INSTRON MODEL 3343)의 핫플레이트(Hot plate, 80℃)에서 10분간 경과한 뒤 80℃ 상태에서 시험편과 시험판의 각 끝을 측정기 척(Chuck)으로 고정하고 시험편을 180°당겨 벗김법으로 헤드속도 300±30mm/min.로 당겨 고온점착력을 평가하였다.
(4) MLCC BAR의 칩 스케일로 절단 시 밀림현상 평가
적층 세라믹 콘덴서(MLCC) 바(BAR)를 W100mm × L100mm 크기로 준비하고, 가열박리형 점착시트의 이형필름층을 제거하여 점착제층면을 MLCC 바의 한쪽면에 부착시킨다. 부착은 JIS Z 0237 (KSA-1107) 표준규격에 의거하여, 시험장소의 온도 23±2℃, 습도 50±5%의 환경에서, 2kg 롤러(Roller)를 이용하여 300mm/min의 속도로 왕복 3회 압착하여 부착시킨다. 그리고 절단기를 이용하여 0603(W0.6inch x L0.3inch) 칩 크기로 절단한다. 이때 절단기 척 테이블(Chuck table)의 온도는 80℃이며, 절단 속도는 20타/min., 절단기의 칼날 두께는 0.05mm(최대두께)의 조건에서 절단하였다. 절단 후 절단된 칩이 밀려 이웃한 칩과 붙은 개수를 아래의 식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Figure 112016065549998-pat00001
(5) MLCC BAR의 칩 스케일로 절단 후 칩의 모양 이상발생 평가
MLCC BAR의 칩 스케일로 절단 후 칩의 모양 이상발생 평가와 동일하게 하여 절단 후, 절단된 칩의 단면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칩의 모양을 아래의 식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Figure 112016065549998-pat00002
(6) MLCC BAR의 칩 스케일로 절단 후 가열박리력
MLCC BAR의 칩 스케일로 절단 후 가열박리를 위해 박스오븐(Box Oven) 145℃ × 10분간 방치한 뒤 상온에서 가열박리 점착시트를 수직으로 세워 점착시트로부터 칩이 수직으로 흘러내리게 하여 점착시트에서 흘러내리지 않고 붙어서 남아 있는 칩의 개수를 아래의 식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Figure 112016065549998-pat00003
(7) 전단탄성률 평가
기재 및 박리필름을 포함하지 않은 해당 점착제로만 이루어진 점착시트를 0.5~1mm 두께로 제작하여 시편을 준비하여, 써모 피셔 사이언티픽사(ThermoFisher scientific社)의 HAAKE MARS 60 Rheometer를 이용하여 측정조건 50~130℃, 1Hz에서의 전단탄성률을 측정하여, 상온(25℃)의 값으로 평가하였다.
상기 [표 1]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실시 예 1, 2의 가열박리형 점착시트는 비교 예 1, 2의 가열박리형 점착시트에 비해 (1) 내지 (6)의 물성평가 항목이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비교 예 1의 가열박리형 점착시트의 경우에는 고온점착력(80℃)과 전단탄성률 값이 낮아 절단 시 칩의 밀림현상 발생과 가열발포 후 표면조도 Ra값이 높게 나타났고, 비교 예 2의 가열박리형 점착시트의 경우에는 전단탄성률 값이 낮아 절단 시 칩의 밀림현상 발생률이 높게 나타났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 1의 적층 세라믹 콘덴서 제조용 가열박리형 점착시트의 발포 전후의 SEM 사진(배율 60배)이고, 도 7은 종래의 비교 예 1의 적층 세라믹 콘덴서 제조용 가열박리형 점착시트의 발포 전후의 SEM 사진(배율 60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 1의 적층 세라믹 콘덴서 제조용 가열박리형 점착시트에서, 도 6a는 사진에 나타나 바와 같이 발포 전의 가열박리형 점착시트로서 표면이 매끈하고 표면조도가 낮게 나타나고, 도 6b는 사진에 나타나 바와 같이 발포 후의 가열박리형 점착시트로서 가열박리 후 표면조도가 낮으면서 발포 셀의 과발포 현상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 예 1의 적층 세라믹 콘덴서 제조용 가열박리형 점착시트에서, 도 7a는 사진에 나타나 바와 같이 발포 전의 가열박리형 점착시트로서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고, 도 7b는 사진에 나타나 바와 같이 발포 후의 가열박리형 점착시트로서 가열박리 후 발포 셀의 과발포 및 표면조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적층 세라믹 콘덴서 제조용 가열박리형 점착시트를 설명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기재 필름층 20 : 점착층
20a : 제1 점착층 20b : 제2 발포점착층
30 : 이형 필름층

Claims (6)

  1. 기재 필름층과,
    상기 기재 필름층의 상부에 형성시킨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의 상부에 형성시킨 이형필름층으로 적층되고,
    상기 점착층은 점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기필러 30~60 중량부, 경화제 0.5~5 중량부 및 용매 10~60 중량부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시킨 연질 점착층인 제1 점착층 및,
    점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 15~40 중량부, 경화제 0.5~5 중량부 및 용매 10~60 중량부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시킨 경질 발포점착층인 제2 발포점착층으로 적층된 구조이되,
    상기 무기필러는 실리카, 알루미나, 황산바륨, 탈크, 탄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질화붕소, 붕산알루미늄, 티탄산바륨, 티탄산칼슘, 티탄산마그네슘, 티탄산비스무스, 산화티탄, 지르콘산바륨, 지르콘산칼슘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사용하고,
    상기 기재 필름층 및 이형필름층은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에틸비닐아세테이트, 에틸비닐알콜,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타디엔 및 에틸렌-부텐, 에틸렌-프로필렌-부타디엔의 공중합체 또는 폴리스틸렌 수지 중에서 선택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 제조용 가열박리형 점착시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085720A 2016-07-06 2016-07-06 적층 세라믹 콘덴서 제조용 가열박리형 점착시트 KR101693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720A KR101693026B1 (ko) 2016-07-06 2016-07-06 적층 세라믹 콘덴서 제조용 가열박리형 점착시트
CN201680086956.5A CN109312197B (zh) 2016-07-06 2016-07-15 层积陶瓷电容器制造用加热剥离型粘结片
PCT/KR2016/007756 WO2018008791A1 (ko) 2016-07-06 2016-07-15 적층 세라믹 콘덴서 제조용 가열박리형 점착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720A KR101693026B1 (ko) 2016-07-06 2016-07-06 적층 세라믹 콘덴서 제조용 가열박리형 점착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3026B1 true KR101693026B1 (ko) 2017-01-05

Family

ID=57835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720A KR101693026B1 (ko) 2016-07-06 2016-07-06 적층 세라믹 콘덴서 제조용 가열박리형 점착시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693026B1 (ko)
CN (1) CN109312197B (ko)
WO (1) WO20180087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83595A (zh) * 2021-09-16 2021-11-02 常州驰科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热减粘胶、热减粘自动剥离保护膜及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981A (ko) 2000-08-14 2000-11-06 서영옥 가열 박리형 점착제 및 점착필름
KR20060126594A (ko) 2004-03-11 2006-12-0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가열 박리형 점착 시트 및 상기 가열 박리형 점착 시트를사용한 피착체의 가공 방법
JP2007069380A (ja) * 2005-09-05 2007-03-22 Nitto Denko Corp 加熱剥離型粘着シート用セパレータ及びセパレータ付き加熱剥離型粘着シート
JP2009120807A (ja) * 2007-10-22 2009-06-04 Nitto Denko Corp 加熱発泡型再剥離性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KR20100096031A (ko) * 2009-02-23 2010-09-01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세라믹 시트 절단용 열박리형 점착 시트 및 적층 세라믹 시트의 절단 가공 방법
KR20140109293A (ko) 2013-03-04 2014-09-15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열 박리형 점착 시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24320B1 (en) * 2004-03-11 2010-07-21 Nitto Denko Corporation Heat-peel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method of processing adherend with the heat-peel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JP2013079322A (ja) * 2011-10-04 2013-05-02 Nitto Denko Corp 加熱発泡型再剥離性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及び剥離方法
CN105175901A (zh) * 2014-06-19 2015-12-23 王颖 一种抗压缩耐老化的汽车密封条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981A (ko) 2000-08-14 2000-11-06 서영옥 가열 박리형 점착제 및 점착필름
KR20060126594A (ko) 2004-03-11 2006-12-0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가열 박리형 점착 시트 및 상기 가열 박리형 점착 시트를사용한 피착체의 가공 방법
JP2007069380A (ja) * 2005-09-05 2007-03-22 Nitto Denko Corp 加熱剥離型粘着シート用セパレータ及びセパレータ付き加熱剥離型粘着シート
JP2009120807A (ja) * 2007-10-22 2009-06-04 Nitto Denko Corp 加熱発泡型再剥離性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KR20100096031A (ko) * 2009-02-23 2010-09-01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세라믹 시트 절단용 열박리형 점착 시트 및 적층 세라믹 시트의 절단 가공 방법
KR20140109293A (ko) 2013-03-04 2014-09-15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열 박리형 점착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312197A (zh) 2019-02-05
WO2018008791A1 (ko) 2018-01-11
CN109312197B (zh) 202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51425B (en) Heat-peelable adhesive sheet and processing method
JP4588022B2 (ja) 加熱剥離型粘着シートおよび該加熱剥離型粘着シートを用いた被着体の加工方法
EP1883106A2 (en) Method for working object to be worked
KR101987643B1 (ko) 박리성이 우수한 이형 필름
JP5089895B2 (ja) 多層粘着シート、多層粘着シート用の粘着シート、及び多層粘着シートを用いた電子部品の製造方法。
TW200918623A (en) Adhesive agent, adhesion sheet, multilayer adhesion sheet and manufacture process for the electric component
KR20170082489A (ko) 발포수지 기재를 가지는 점착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JP2002088320A (ja) 加熱剥離型粘着テープ・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TWI808170B (zh) 半導體晶片之製造方法
JP2006241387A (ja) 粘着シート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KR20140047619A (ko) 박리 용이성 점착 필름
WO2021117695A1 (ja) 粘着シート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170091578A (ko) 점착 시트, 및 가공물의 제조 방법
JP2023054029A (ja) 粘着シート
JP5599157B2 (ja) 粘着シート
CN113613893B (zh) 粘合片及半导体装置的制造方法
JP2008013590A (ja) 粘着シート
CN113943541A (zh) 粘合带
KR101693026B1 (ko) 적층 세라믹 콘덴서 제조용 가열박리형 점착시트
JP3766304B2 (ja) 加熱剥離型粘着シート
JP5578872B2 (ja) 再剥離性粘着剤組成物、これを用いた再剥離性粘着シート、この粘着シートを用いた積層体、電子部品の製造方法及びこの製造方法を用いて得られた電子部品
TWI759345B (zh) 隱形切割用黏著板片及半導體裝置之製造方法
JP2016199725A (ja) セラミック電子部品製造用の感温性粘着シートおよび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6967908B2 (ja) 感温性粘着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るウエハの製造方法
CN113597458B (zh) 热剥离型粘着胶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