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241B1 - 모듈화된 모듈을 갖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 - Google Patents

모듈화된 모듈을 갖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241B1
KR101691241B1 KR1020117019740A KR20117019740A KR101691241B1 KR 101691241 B1 KR101691241 B1 KR 101691241B1 KR 1020117019740 A KR1020117019740 A KR 1020117019740A KR 20117019740 A KR20117019740 A KR 20117019740A KR 101691241 B1 KR101691241 B1 KR 101691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ompressible
modules
cable
submod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9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6635A (ko
Inventor
옌스 안데르손
예니 필립센
울프 힐딩손
크리스테르 룽드보그
스테판 밀톤
로니 페테르손
요르겐 아케손
마츠 에릭손
Original Assignee
록스텍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11577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69124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록스텍 아베 filed Critical 록스텍 아베
Publication of KR20110126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6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8Sealing by means of axial screws compressing a ring or slee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3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fo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4Sealing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13Sealing means for cable 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위치설정을 위한 축방향 홈을 갖는 압축가능 모듈로서, 상기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방향으로 압축가능한 모듈은 상이한 물리적 특성을 갖는 적어도 2개의 모듈 섹션 또는 서브모듈(10, 20, 30, 310, 320, 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가능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듈화된 모듈을 갖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A PIPE OR CABLE LEAD-THROUGH HAVING MODULARIZED MODULES}
본 발명은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위한 밀봉체(seal), 리드 관통체(lead-through) 또는 격벽관통체(transit)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수용될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직경에 맞춰지기 위한 박리가능 시트(peelable sheet)를 갖는, 밀봉체 또는 전이부(transition)의 부분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케이블, 와이어 또는 파이프를 수용하는 복수의 모듈이 내측에 위치하는 프레임을 갖는 케이블 전이부 등이 있다. 모듈은 예를 들어 고무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따라서 압축가능하다. 프레임 내측에서 일반적으로 복수의 모듈은 임의의 종류의 압축 유닛과 함께 하나 이상의 열을 지어 나란히 수용된다. 압축 유닛은, 압축 유닛이 팽창할 때 압축가능 모듈이 케이블, 와이어 또는 파이프 주변에서 압축되는 방식으로 프레임과 모듈 사이에 위치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케이블(cable)"이라는 표현이 주로 사용되지만, 이는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하며,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일반적으로 파이프 또는 와이어도 포함한다는 것을 알 것이다.
다른 형태의 밀봉체, 케이블 전이부, 파이프 관통부 등은 대체로 원통형 형태를 갖고, 벽 또는 벽 내의 개방부 내의 슬리브 내에 수용된다. 목표하는 방식으로 기능하기 위해 밀봉체는 그것이 수용되는 슬리브 또는 벽의 개방부 내로 꼭 맞게 끼워져야(fit snugly) 하고, 밀봉체는 실제 장착 치수에 맞춰질(adapt) 수 있어야 한다. 장착 치수는 슬리브 또는 개방부의 내경에 의해 규정된다. 밀봉체는 압축가능 몸체의 양 단부들의 연결구(fitting)들 사이에 축방향으로 압축되는 원통형 압축가능 몸체를 갖는다. 축방향 압축에 의해 원통형 몸체는 내향과 외향 둘 다로 반경방향으로 팽창될 것이다.
또한, 수용된 파이프, 와이어 또는 케이블은 상이한 외경을 가질 수 있고, 따라서, 모듈은 상이한 외경을 갖는 케이블 또는 파이프에 맞춰질 수 있어야 한다.
상기 두 종류 모두의 밀봉체 또는 전이부는 분전함(cabinet), 기술 방호소(technical shelter), 단자함 및 기계와 같은 많은 상이한 환경에서 밀봉에 사용된다. 이들은 자동차, 통신, 발전 및 배전뿐 아니라 해양 및 근해와 같은 상이한 산업 환경에서 사용된다. 밀봉체 또는 전이부는 유체, 가스, 화재, 설치류, 개미(termite), 먼지, 습기 등에 대해 밀봉할 수 있어야 하며, 물, 압축 공기, 유압 유체 및 조리 가스(cooking gas) 또는 적재물 보유를 위한 와이어와 같은 상이한 가스 또는 액체를 위한 전기, 통신, 컴퓨터 등, 파이프를 위한 케이블 또는 와이어를 수용할 수 있다.
전술한 두 형태 모두의 단일 케이블 등을 수용하는 케이블은 종종 내측에 한 묶음(pack)의 박리가능 층 또는 시트를 갖는다. 층 또는 시트는 상기 부분의 내경이 상기 부분 내에 수용된 케이블의 외경에 맞춰질 때까지 박리된다. 시트들은 함께 지지하기(stay) 위해 서로에 대해 충분히 강하게 접착되고, 동시에 시트가 적층체(stack)로부터 하나 하나 또는 복수의 시트가 함께 박리될 수 있게 충분히 느슨하게 접착된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외측에 박리가능 층 또는 시트가 존재하여, 예를 들어 원형 밀봉체의 외부 치수가 특정 개방부 또는 슬리브에 맞춰질 수 있게 한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층을 포함하는 상이한 부분들의 정확한 형상과 형태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층의 묶음은 원형이 아닌 다른 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전술된 바로부터 상이한 요구사항의 조합의 이론적 개수가 방대하다는 것이 명백하다. 또한, 대부분의 밀봉 시스템은 인증 기관으로부터의 승인을 필요로 하며, 이는 중요한 안전성 이슈이지만, 또한 특정 응용을 위한 맞춤형 밀봉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시간 낭비가 된다.
본 발명은 케이블 격벽관통체 또는 파이프 관통부의 리드 관통체 또는 밀봉을 위한 모듈화된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전술한 문제점과 다른 문제점에 해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프레임 내에 배열되는 압축가능 밀봉 모듈을 제공하며, 모듈은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수용하기 위한 길이 방향으로 관통 구멍을 갖는다. 압축가능 밀봉 모듈은 상이한 특성을 갖고 단부에서 단부로 결합된 적어도 2개의 서브모듈(submodul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적어도 하나의 서브모듈은 다양한 케이블 또는 파이프 직경에 맞춰지기 위해 제거될 수 있는 재료로 된 제거가능 시트를 구비한 관통 구멍을 갖는다.
본 발명이 갖는 중요 장점은 "출시 시간(time to market)"을 단축한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맞춤형 밀봉 모듈을 생산하는 덜 비싼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생산 방법을 합리화한다. 이에 대한 해법은 각 서브모듈이 예를 들어 화재 방지, 밀봉 능력 등에 대한 관련 인증 기관에 의해 승인될 수 있다는 것이다. 소비자가 예를 들어 임의의 내폭발성(explosion resistance) 및 임의의 전자기적 교란을 차단하는 능력과 같은 특정 특성을 갖는 밀봉 모듈을 갖기 원할 때, 예를 들어 케이블 스크린(cable screen)을 접지시킴으로써 원치 않는 전자기장을 방지하는 서브모듈과 같이 개별 특성을 갖는 서브모듈을 골라서 이들을 조합하는 것이 가능해질 것이다. 소비자에게 인증된 해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시간은 서브모듈을 결합하고 모듈을 배송하는 데 걸리는 시간일 것이다. 이는, 새로운 모듈을 설계하여 상업성이 있기 전에 인증 기관의 승인을 받기 위해 시험을 거치고 평가되어야하는 다른 방식과 비교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은 생산 공정 전체에 걸쳐 전파되어, 더 빠르고 덜 비싼 제품 개발과, 더 단축된 생산 시간과, 더 짧은 리드 타임과, 더 낮은 생산 비용으로 이어진다. 전술한 예시는 설치 시간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추가적인 이점을 갖는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압축가능 모듈은 3개의 서브모듈을 포함하며, 2개의 동일한 모듈이 특정 특성을 갖는 제3 모듈을 샌드위치한다. 이러한 제3 서브모듈은 내화성, 내폭발성, 전자기 교란에 대한 차폐 등을 제공할 수 있다. 2개의 샌드위치하는 서브모듈들은 표준 설계를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하나의 서브모듈은 차폐 특성을 제공하도록 전도성 재료로 설계된다. 상기 재료는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합성 또는 자연 고무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서브모듈은 다양한 케이블 또는 파이프 직경에 맞춰지기 위한 재료의 박리가능 시트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스크린을 구비한 전기적 케이블은 케이블의 벗겨진 부분이 전도성 모듈과 접촉하게 되도록 압축가능 모듈 내에 배열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전기적 퍼텐셜은 시스템 내에서 평형을 이루고 접지에 연결된다. 또한, 전도성 서브모듈은 패러데이 쉴드(Faraday sheild)로서 기능하고 전자기 교란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것이다.
본 발명의 압축가능 모듈은 프레임 내에, 또는 범위를 정하는 구조물 내의 개방부 내에 직접적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구조물 내의 개방부의 에지는 프레임을 구성할 것이다. 몇몇의 압축가능 모듈은 본 출원인의 몇몇 출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하나의 개방부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압축가능 모듈은 개방부 내에 배열된다. 따라서, 모듈은 개별 모듈들 사이에, 그리고 단일 모듈과 내부에 배열된 케이블 또는 파이프 사이에 긴밀하게 끼워지도록 압축된다. 본 출원인은 압축을 달성하기 위해 2개의 주요 전략을 사용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전략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전략은 압축 유닛을 모듈과 함께 프레임의 제약 안에 배열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압축 유닛은 기계적으로 팽창되고, 압축가능 모듈을 압축한다. 이러한 형태의 압축 유닛은 본 출원인의 몇몇 출원에 설명된다. 제2 전략은 2개의 압축 플레이트들 사이에 탄성 몸체를 배열하는 것과, 탄성 몸체 내의 개방부 내에 압축가능 모듈을 배열하는 것을 포함한다. 압축 플레이트에 의한 탄성 몸체의 압축은 탄성 몸체를 팽창하게 할 것이며, 탄성 몸체는 팽창함에 따라 압축가능 모듈을 압축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전략은 본 출원인의 몇몇 출원에 설명된다. 압축 유닛의 다른 예시가 존재하며, 본 발명은 명백히 임의의 특정 형태의 압축 유닛에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생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축가능 모듈(1)의 하부 반부를 도시한다. 이러한 예시적 실시예에서 각 서브모듈(10, 20, 30)은 2개의 베이스 부분(이들 중 하부만 도시됨)(11, 21, 31)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부분은 압축가능 모듈(1) 내에 배열될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직경에 맞춰지도록 그의 홈 내에 배열된 재료의 박리가능 층(2)을 갖는다. 실제적인 예시에서 동일한 모듈 반부가 첫번째 것과 반대되는 관계로 배열된다. 다른 예시에서 중간의 서브모듈(20)은 박리가능 층을 가질 수 없고, 중앙 서브모듈(20)을 샌드위치하는 서브모듈(10, 30)도 그러할 수 있다. 또한, 모듈을 형성하는 서브모듈의 개수는 변할 수 있지만, 발명적 장점을 얻기 위해서 서브모듈의 개수는 적어도 2개이다. 또한, 서브모듈의 종방향 크기는 변할 수 있다. 오늘날 모듈이 배열되는 프레임은 (그것이 배열되는 구조물에 대체로 직교하는) 특정 종방향 연장부(extension)를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제약 안에서라도, 서브모듈의 종방향 크기는 변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거의 프레임의 표준화된 종방향 연장부로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술한 예시는 도 2를 참조하여 도시된다. 본 명세서에서 모듈 길이의 2/3는 가스 밀봉 밀봉체와 트랙션 릴리프(traction relief)를 제공하는 서브모듈(310)이 차지하고, 1/6은 전자기 교란에 대한 차폐를 제공하는 서브모듈(320)에 의해, 그리고 나머지 1/6은 내화성을 제공하는 서브모듈(330)이 차지한다.
개별 서브모듈은 인접 서브모듈에 고정식으로 또는 해제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고정식 부착은 안전성을 이유로 더 적합할 수 있으나, 해제가능 부착이 더 적절할 수 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해제가능 부착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설부 및 홈 배열이다. 고정식 부착은 접착제, 용접, 플러그 등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프레임을 포함하는 다른 시스템은 본 출원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고 "밀봉 시스템(Sealing System)"으로 명명된 동시에 출원된 출원에 설명된다. 이 출원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서 포함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밀봉체, 리드 관통체 또는 격벽관통체는, 본 출원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고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의 윤활(Lubrication of a Pipe or Cable Lead-Through)"로 명명된 동시에 출원된 출원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윤활을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이 출원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서 포함된다.
모듈의 다른 실시예는, 본 출원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고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의 편심 부분(Eccentric Part of a Pipe or Cable Lead-Through)", "양 측부 상에 홈을 갖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의 모듈(A Module of a Pipe or Cable Lead-Through having Grooves on Opposite Sides)",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 블록(Pipe or Cable Lead- Through Blocks)", "교번하는 형상을 갖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의 모듈(Modules of a Pipe or Cable Lead-Through having Alternating Geometry)", "치수결정 기능을 갖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A Pipe or Cable Lead-Through having Modules with a Dimensioning Function)" 및 "교번하는 형상의 층을 갖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A Pipe or Cable Lead-Through having Layers of Alternating Geometry)"로 명명된 동시에 출원된 출원에서 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모듈은 본 출원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고 "서로 붙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의 모듈(Modules of Pipe or Cable Lead-Through Sticking Together)"로 명명된 동시에 출원된 출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서로 붙는 모듈 반부들의 적층체(stack)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출원들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서 포함된다.
시트는 많은 상이한 방식으로 상이한 특징부를 갖게 배열될 수 있으며, 이들은 본 출원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고 "상호연결된 층을 갖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A Pipe or Cable Lead-Through having Interconnected Layers)", "상이한 두께의 층을 갖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A Pipe or Cable Lead-Through having Layers of Different Thickness)", "압축을 표시하는 부분을 갖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A Pipe or Cable Lead-Through having a Part Indicating Compression)",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의 층들 사이의 밀착(Cohering Between Layers of a Pipe or Cable Lead-Through)" 및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의 층의 식별(Identification of Layers of a Pipe or Cable Lead-Through)"로 명명된 동시에 출원된 출원에 반영된다. 이러한 출원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서 포함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조 공장에서 특정 전이부 또는 밀봉체에 관한 시방서가 접수된다. 서브모듈은 시방서를 만족시키도록 조립되고, 서브모듈은 공정 내에서 결합되고 진행된다. 각 서브모듈에 대한 또는 조립된 모듈에 대한 승인 서류는 전체로서 후속적으로 배송될 모듈에 합해질 수 있다.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제안된 서브모듈의 목록을 이하에서 찾을 수 있다. 목록은 총망라된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융통성을 나타낸다.
- 설비에 추적성을 제공하기 위해 모듈 내에 RFID를 포함한다. RFID 태그는 중앙 서브모듈 내에 포함될 수 있다.
- 플라스틱 튜빙이 사용되는 설비 내에서 중앙 서브모듈은 열 팽창가능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과도한 열이 있는 경우에 플라스틱 모듈은 녹거나 변형되고, 이는 누출 또는 화재가 번지는 위험을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고의 경우에 열 팽창가능 재료는 팽창하여 플라스틱 튜빙의 변형에 의해 생성되는 임의의 공간(void)을 채울 것이다.
- 중앙 서브모듈은 물과 접촉할 때 팽창하는 재료, 바람직하게는 고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해결방법은 향상된 밀봉을 제공할 것이다.
- 중앙 서브모듈은 전류 전도하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모듈을 통해 케이블 리드의 스크린을 접지시키고 전자기 방사선에 대해 차폐하는 것과 같은 몇몇 목적에 도움이 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종래 기술의 해결방법과 비교했을 때 본 실시예는 특히, 중앙 서브모듈이 재료의 박리가능 층을 구비할 때 설치 시간의 현저한 감소를 제공할 수 있다.
- 중앙 서브모듈은 더 큰 내화성을 갖는 재료를 구비할 수 있다. 중앙 서브모듈을 샌드위치하는 서브모듈은 밀봉 특성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중앙 서브모듈은 내화성과 같은 다른 인자에 최적화될 수 있다.
- 하나의 서브모듈은 특정 주파수 및/또는 크기를 갖는 발진(oscillation)을 흡수하도록 구성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서브모듈은 예를 들어 많은 선박 설비에서 또는 풍력 터빈 등에서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 중 하나는, 케이블이나 다른 서비스(service)와 접촉하는, 서브모듈의 접촉 표면이 입상 조직을 갖는 것을 포함한다. 접촉 표면은 심지어 몇몇의 개별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입상 표면 또는 돌출부는 서브모듈의 베이스 재료보다 더 연성이고/더 탄성적인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진동을 흡수하거나 감쇄시키는 능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관련 실시예에서, 재료의 박리가능 층의 위치에 배열된 부분과 같은 서브모듈의 일부, 또는 실제 전체 서브모듈은 이러한 더 연성이고/더 탄성적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진동을 흡수하고/감쇄시키도록 잘 구성된 것과는 별도로, 이러한 실시예는 또한 예를 들어 비원형 단면을 갖는 케이블에 잘 맞춰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아이디어는 종래 기술의 모든 압축가능 밀봉 모듈에 제공될 수 있는 특징부에 대한 특정 서브모듈의 실시예로부터 일반화될 수 있으며, 즉, 본 출원의 의도된 범주의 범위를 넘어 독립형 특징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진동을 댐핑하는 능력이 밀봉 특성에 앞서 우선시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진동을 댐핑하는 것에 관련된 주요 장점은 압축가능 모듈의 수명뿐 아니라 내부에 삽입된 서비스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는 것이다.
- 측정 센서는 중앙 서브모듈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센서는 모듈의 성능을 관리하도록 온라인으로 계속적으로 모니터링될 수 있다. 측정 센서는 온도 센서, 압력 센서, 가스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밀봉 모듈은 쉘 내부에 배열된 밀봉 재료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쉘은 압축될 때 제어된 방식으로 파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밀봉 재료는 방출되고 케이블(또는 다른 서비스)과 밀봉 모듈 사이의 모든 공간을 완전히 채울 수 있으며, 따라서 개선된 밀봉체의 효과를 낸다. 이는 특히 불규칙하거나 복잡한 형상을 갖는 서비스에 대해 유용하다. 전형적인 재료는 실리콘기반 물질(silicone-based substance), 아교 물질(glue substance) 또는 목적에 적합한 다른 점성 물질(viscous substance)을 포함할 수 있다.
- 모듈은 향상된 내폭발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분리된 모듈들 사이 그리고 모듈과 프레임 및/또는 지지(stay) 플레이트 사이의 결합 세기를 향상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향상된 결합 세기는 기계적 수단 및/또는 접착제,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 추가적인 목적으로 감음, 화학적 저항성, 및 설치류 및 개미에 대한 보호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물질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것과 관련된 실시예에서, 하나 또는 몇몇의 서브모듈은 실리콘, 플루오르 고무(Fluor rubber) 또는 니트릴 고무, 또는 유사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개미에 대한 보호를 증가시키는 실시예는, 금속 메쉬와 같은 개미의 공격을 견디는 재료 또는 살충제로 만들어진 임베드된 미세 메쉬형 스크린(embedded fine-meshed screen)을 갖는 서브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선 예시에서 변경된 특성을 구비한 것은 중앙 서브모듈이다. 그 이유는 변경된 특성을 갖는 중앙 서브모듈이 2개의 서브모듈들, 바람직하게는 인증된 서브모듈들 사이에 샌드위치되는 제품이 현재 예상되는 상업적 제품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서브모듈의 개수는 2개 이상일 수 있고, 변경된 특성을 갖는 모듈은 특정 응용에 적합하다면 다른 방식으로 위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특히 복수의 광학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광학 케이블과 같은,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케이블에 매우 적합하다. 제1 서브모듈(미도시)은 케이블(또는 다른 서비스)의 외경으로 치수설정될 수 있는 하나의 단일 개방부를 갖고, 반면 제2 모듈(630)은 광학 섬유(또는 다른 내부 와이어 또는 서비스)의 직경 및 개수와 관련된 크기와 개수로 치수설정된 몇몇의 개방부(632)를 갖는다. 이러한 방식에서, "종래의(conventional)" 제1 형태 및 제2 형태(630)의 모듈을 포함하는 모듈은 하중 보유뿐 아니라 밀봉을 제공할 것이다. 도 6은 예시적인 도면을 나타낼 뿐이며, 특히, 실제 제품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실제 제품은 스케일과 구조가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서브모듈(630)은 달리 홈 내에 배열된 박리가능 층의 적층체를 본질적으로 원통형인 몸체(634)로 대체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원통형 몸체(634)는 개방부(632)와, 원통형 몸체(634)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전체적으로 개방부(632)로 연장되는 슬릿(636)을 가짐으로써, 개별 와이어는 적합한 개방부(632) 내의 위치 내로 활주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세트의 슬릿(636)은 제1 세트의 개방부(632)를 원통형 몸체(634)의 외부 표면과 연결시키고, 제2 세트의 슬릿은 제1 세트의 개방부와 제2 세트의 개방부 등을 연결시킨다. 본 출원인은 일 단부에 케이블을 위한 하나 이상의 개방부를 포함하고, 타 단부에 각 케이블 내측의 와이어/섬유를 위한 복수의 개방부를 포함하는 모듈을 예상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실시예는, 일 단부에 서비스를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개수의 개방부를 갖고, 타 단부에 서비스를 위한 2개 이상의, 제2 개수의 개방부를 가지며, 제2 개수가 제1 개수를 초과하는 밀봉 모듈에 의해 나타내질 수 있다. 이는 상이한 개수의 개방부를 갖는 서브모듈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으나, 특별히 설계된 단일 밀봉 모듈로 달성될 수도 있다.
도 7의 분해 사시도는 진동의 흡수/감쇄를 위해 구성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관련 서브모듈(730)은 모듈의 베이스 부분(734)과 선택적인 재료의 박리가능 층의 적층체(736) 사이에 리브 인레이(ribbed inlay: 732)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리브 인레이(732)는, 모듈의 베이스 부분(734)보다 더 연성이고 또한 적층체(736) 내의 박리가능 시트보다 더 연성인 재료로 설계될 수 있다. 특히, 리브 인레이의 연장부와 리브(rib)의 개수뿐 아니라 연성/탄성은 특정 주파수 및/또는 진폭을 갖는 진동에 대해 치수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더 효과적으로 진동을 흡수/감쇄할 것이다. 재료의 박리가능 층의 적층체 내측의 리브 인레이의 배열은, 진동 댐핑을 위한 (본 명세서에서) 전술한 해결방법과 비교했을 때 더 융통성 있는 해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고 모듈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리브를 갖는 본 실시예의 리브 인레이는 밀봉성(sealability)을 보장하는 점에서 유리한 특징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당업자는 돌출부(즉, 리브)가 개별적으로 돌출된 재료의 도트(dot)와 같은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심지어 대응하는 탄성을 갖는 중실 인레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또한 서브모듈뿐 아니라 개별 모듈을 위한 독립 특징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특히, 전술한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 따르거나 그들을 조합하면, 최외측 서브모듈은 밀봉 서브모듈, 즉, 임의의 유체, 가스, 먼지, 습기 등에 대해 밀봉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서브모듈일 수 있다.

Claims (14)

  1. 케이블 입구 또는 파이프 관통부를 위한 압축가능 모듈(1)이며, 케이블 입구 또는 파이프 관통부는, 벽의 개방부 내에 직접적으로 또는 프레임 내에 위치되고, 개방부 또는 프레임 내의 적어도 하나의 압축 유닛과 하나 이상의 모듈에 의해 차단부가 형성되고, 압축가능 모듈은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위치설정을 위한 축방향 홈을 갖는, 압축가능 모듈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방향으로 압축가능한 모듈(1)은, 상이한 물리적 특성을 갖는 적어도 2개의 서브모듈(10, 20, 30, 310, 320, 330)을 포함하고, 각각의 서브모듈은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위치설정을 위한 축방향 홈을 갖고, 최외측 서브모듈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는 밀봉 서브모듈이고, 서브모듈은 단부에서 단부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가능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모듈은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직경에 맞춰지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박리가능 층(2)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박리가능 층은 모듈의 홈 내에 위치되는
    압축가능 모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브모듈(10, 20, 30, 310, 320, 330)은 상호연결된
    압축가능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서브모듈(10, 20, 30, 310, 320, 330)은, 해제가능하게 또는 고정식으로 상호연결되도록 접착제, 용접, 스냅-인(snap-in) 등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상호연결되는
    압축가능 모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물리적 특성은, 전기 전도도, 내화성, 내폭발성(explosion resistance), 감음(sound attenuation), 압축성, 진동을 흡수하는 능력, 상이한 화학물질에 견디는 능력, 및 설치류 또는 개미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하는
    압축가능 모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3개의 서브모듈(10, 20, 30, 310, 320, 330)을 포함하는
    압축가능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최외측 서브모듈들은 동일한
    압축가능 모듈.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가능 모듈은, 조립되었을 때 상기 압축가능 모듈을 형성하는 2개의 베이스 부분(11, 21, 31)을 포함하는
    압축가능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가능 모듈은, 일 단부에 서비스를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개수의 개방부와, 타 단부에 서비스를 위한 2개 이상의, 제2 개수의 개방부를 갖고, 제2 개수는 제1 개수를 초과하는
    압축가능 모듈.
  10. 제8항에 있어서,
    하나의 서브모듈은, 내부에 배열된 서비스에 접촉되도록 위치된 재료로서 압축가능 모듈의 베이스 부분보다 더 연성이고 더 탄성적인 재료를 포함하는
    압축가능 모듈.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리가능 층과 서브모듈 사이에서 상기 홈 내에 인레이(inlay)가 배열되고, 상기 인레이는 서브모듈보다 더 큰 탄성을 갖는
    압축가능 모듈.
  12. 케이블 입구 또는 파이프 관통부를 위한 프레임을 포함하는 밀봉 시스템이며,
    상기 프레임은 프레임 내에 수용된 각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둘러싸는 압축가능 모듈을 수용하고, 상기 압축가능 모듈은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모듈인
    밀봉 시스템.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압축가능 모듈을 제조하는 방법이며,
    제1 특성을 갖는 제1 서브모듈과 제2 특성을 갖는 제2 서브모듈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서브모듈을 결합하는 단계 전에 실행되는,
    - 제조된 모듈에 대한 요구사항의 시방서를 접수하는 단계와,
    - 상이한 특성을 갖는 적어도 2개의 서브모듈을 선정함으로써, 몇몇의 미리 제조된 서브모듈들 중에서 상기 시방서를 만족하는 것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17019740A 2009-02-04 2010-02-02 모듈화된 모듈을 갖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 KR1016912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950037-2 2009-02-04
SE0950037A SE533744C2 (sv) 2009-02-04 2009-02-04 Rör- eller kabelgenomföring med modulariserade moduler
PCT/EP2010/051230 WO2010089286A2 (en) 2009-02-04 2010-02-02 A pipe or cable lead-through having modularized modu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635A KR20110126635A (ko) 2011-11-23
KR101691241B1 true KR101691241B1 (ko) 2016-12-29

Family

ID=42115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9740A KR101691241B1 (ko) 2009-02-04 2010-02-02 모듈화된 모듈을 갖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8806713B2 (ko)
EP (1) EP2394339B1 (ko)
JP (1) JP3177341U (ko)
KR (1) KR101691241B1 (ko)
CN (2) CN102308449B (ko)
AU (1) AU2010211103B2 (ko)
BR (1) BRMU9002615Y1 (ko)
CA (1) CA2749818A1 (ko)
ES (1) ES2626432T3 (ko)
MY (1) MY179082A (ko)
RU (1) RU2539965C2 (ko)
SE (1) SE533744C2 (ko)
SG (1) SG173124A1 (ko)
WO (1) WO201008928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33744C2 (sv) * 2009-02-04 2010-12-21 Roxtec Ab Rör- eller kabelgenomföring med modulariserade moduler
SE534991C2 (sv) * 2010-07-14 2012-03-06 Mora Contract Mfg Ab Tätningsmodul för tätning kring en långsträckt ledning
MX2013002847A (es) * 2010-09-17 2013-06-18 Roxtec Ab Conector modular para cables o tubos y un sistema que comprende este conector modular.
PL2492565T3 (pl) * 2011-02-22 2013-12-31 Hauff Technik Gmbh & Co Kg Przepust kablowy wyposażony w pakiet warstw
FR3002483B1 (fr) * 2013-02-25 2016-03-11 Daniel Andre Gastel Procede d'obtention d'une cale pelable tridimensionnelle et cale pelable tridimensionnelle ainsi obtenue
US9415561B2 (en) * 2013-12-30 2016-08-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st-formed successively peelable coextruded polymer film
JP6082120B2 (ja) * 2014-05-15 2017-02-15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保持具
EA028158B1 (ru) * 2014-09-19 2017-10-31 Андрей Валентинович Пакулин Кабельный зажим и приёмный несущий элемент кабельного зажима
SE540543C2 (en) * 2015-03-03 2018-09-25 Roxtec Ab An inspection system for cable, pipe or wire transits
SE538955C2 (en) * 2015-05-04 2017-03-07 Roxtec Ab Wedge comprising a handle
JP6235530B2 (ja) * 2015-05-27 2017-11-22 エスペック株式会社 環境試験装置に用いられる栓体、及び、これを用いた環境試験装置
SE539904C2 (en) 2015-12-18 2018-01-09 Roxtec Ab Module of a seal or transition
SE539578C2 (en) * 2016-04-05 2017-10-17 Mct Brattberg Ab Insert half, and insert block comprising two of said insert halves
DE202016106929U1 (de) * 2016-12-13 2018-03-14 Doyma Gmbh & Co Dichtungs- und/oder Brandschutzvorrichtung
SE540656C2 (en) * 2017-05-09 2018-10-09 Roxtec Ab A monitoring system for cable, pipe or wire transits, and a transit guard unit for use therein
IT201700106475A1 (it) * 2017-09-22 2019-03-22 Wallmax S R L Modulo passacavi e sistema passacavi
WO2019116223A1 (en) * 2017-12-12 2019-06-20 Wallmax S.R.L. Cable transit module
CN108895211A (zh) * 2018-06-20 2018-11-27 南京汇龙橡胶制品有限公司 一种橡胶密封堵
JP2020191694A (ja) * 2019-05-17 2020-11-2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区画貫通構造、その施工方法、及び区画貫通構造キット
SE543754C2 (en) 2019-11-26 2021-07-13 Roxtec Ab Seal with different compressions
NL2024763B1 (en) * 2020-01-27 2021-09-09 Engie Ventures & Integrated Solutions B V Wall feedthrough fitting monitoring device
CH717235A2 (de) * 2020-03-17 2021-09-30 Agro Ag Kabeleinführung.
CN111864666A (zh) * 2020-08-07 2020-10-30 上海贝思特管业有限公司 一种耐热耐磨高韧性自定位pvc管
SE545523C2 (en) * 2021-06-30 2023-10-10 Roxtec Ab A sealing module for a cable or pipe and transit systems comprising such a sealing module
CN113437712B (zh) * 2021-08-05 2022-02-18 上海交通大学 基于压力补偿的模块化多线缆过孔绝缘密封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40399A1 (en) 2007-05-16 2008-11-20 Roxtec Ab Seal with fire pro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1344A (en) 1976-06-23 1977-12-06 General Signal Corporation Fitting for penetration through fire rated barriers
NO159759C (no) * 1985-08-12 1989-02-01 Norsk Kabelfabrikk A S Fremgangsm te til fremstilling av gass- og vanntettgjennomfoeringer og kabelgjennomfoering fremstilt ved fremgangsm ten.
GB8528808D0 (en) 1985-11-22 1985-12-24 Raychem Ltd Electrically conductive composite material
DE8707566U1 (ko) * 1987-05-26 1987-07-16 Poloplast Kunststoffwerk Der Eternit-Werke Ludwig Hatschek Und Der Durit-Werke Kern & Co., Leonding, At
DE8707556U1 (ko) 1987-05-26 1987-07-23 Kaiser Gmbh & Co Kg, 5885 Schalksmuehle, De
DE3809885C1 (ko) 1988-03-24 1989-05-03 Plastoform Gmbh & Co Kg, 4973 Vlotho, De
NL8901597A (nl) * 1989-06-23 1991-01-16 Pidou Bv Doorvoerinrichting.
DE8913702U1 (ko) * 1989-11-20 1990-02-08 Wolff, Anton, Dipl.-Ing., 3492 Brakel, De
DE4036792C1 (ko) 1990-11-19 1991-12-19 Dmt Marinetechnik Gmbh, 2000 Hamburg, De
GB2250996A (en) 1990-12-19 1992-06-24 Lycab Limited Composite material
JPH0753014B2 (ja) 1991-04-19 1995-06-05 シーアイ化成株式会社 ケーブル等の管路の止水方法と構造
DE4305071A1 (de) 1992-09-29 1994-08-25 Klein Guenther Industriebedarf Packsystem für die Durchführung von Kabeln durch Schirmwände
FR2731308B1 (fr) * 1995-03-01 1997-05-30 France Telecom Ensemble modulaire incluant deux circuits electroniques a relier electriquement pour la transmission d'un signal hyperfrequence
DE29520734U1 (de) 1995-04-13 1996-03-21 Hiendl Helmut Wanddurchführung, insbesondere Mauerdurchführung für Rohre, Leitungen o.dgl. Anschlüsse sowie Dichtungsmaterial
DE19601288C2 (de) 1995-05-10 1998-02-26 Dsi Rohrleitungsbau Zubehoer Vorrichtung zum Abdichten eines von einem inneren und einem äußeren Körper begrenzten Ringraumes
JP2710767B2 (ja) 1995-10-11 1998-02-10 北川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保持器
DE19715885C2 (de) 1997-04-16 2003-11-27 Hauff Technik Gmbh & Co Kg Dichteinrichtung zum dichten Durchführen mindestens einer in einem Schutzrohr angeordneten Medienleitung durch eine Wandöffnung
SE510210C2 (sv) 1997-08-22 1999-05-03 Roxtec Ab Tätningsanordning vid kabel- och rörgenomföringar
NL1008787C2 (nl) 1998-04-02 1999-10-05 R & H Systems B V Methode voor het doorvoeren van elektrische kabels.
DE10020493A1 (de) 2000-04-26 2001-11-08 Dsi Rohrleitungsbau Zubehoer Vorrichtung zum Abdichten eines von einem inneren und einem äußeren Körper begrenzten Ringraumes
AU2003280024A1 (en) 2002-11-30 2004-06-23 Tyco Electronics Raychem Nv Sealing device
DE10323159A1 (de) 2003-05-22 2004-12-23 Gk-System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bdichtung in Durchbrüchen mit einer elektromagnetischen Abschirmung
SE526574C2 (sv) 2003-06-17 2005-10-11 Roxtec Ab Modul och ram för kabelgenomföringar eller liknande
SE526243C2 (sv) * 2003-12-12 2005-08-02 Roxtec Ab Genomföringsanordning för kablar eller rör
JP2005282763A (ja) 2004-03-30 2005-10-13 C I Kasei Co Ltd 止水パッキン材とこれを用いた管路の止水構造
SE528691C2 (sv) * 2004-12-08 2007-01-23 Roxtec Ab Ram för att ta emot en eller flera elastiska moduler samt komprimeringsförfarande för en eller flera elastiska moduler som bildar kabelgenomföringar, rörgenomföringar eller liknande
SE528689C2 (sv) 2005-05-30 2007-01-23 Roxtec Ab Ram med avskärmning vid kabel- och/eller rörgenomföringar i en vägg eller annan skiljedel
TW200810265A (en) 2006-05-31 2008-02-16 Roxtec Ab A plug unit for a cable entry
WO2008069716A1 (en) * 2006-12-08 2008-06-12 Mct Brattberg Ab Insert block half, and a sealing system comprising said insert block half
SE533744C2 (sv) * 2009-02-04 2010-12-21 Roxtec Ab Rör- eller kabelgenomföring med modulariserade modul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40399A1 (en) 2007-05-16 2008-11-20 Roxtec Ab Seal with fire pro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94339B1 (en) 2017-03-29
BRMU9002615U2 (pt) 2014-06-24
ES2626432T3 (es) 2017-07-25
MY179082A (en) 2020-10-27
AU2010211103B2 (en) 2014-07-10
CA2749818A1 (en) 2010-08-12
SE533744C2 (sv) 2010-12-21
WO2010089286A3 (en) 2011-03-10
CN201844122U (zh) 2011-05-25
US20120266409A1 (en) 2012-10-25
RU2539965C2 (ru) 2015-01-27
CN102308449B (zh) 2014-09-24
JP3177341U (ja) 2012-08-02
KR20110126635A (ko) 2011-11-23
RU2011131141A (ru) 2013-03-10
SE0950037A1 (sv) 2010-08-05
AU2010211103A1 (en) 2011-08-18
EP2394339A2 (en) 2011-12-14
SG173124A1 (en) 2011-08-29
BRMU9002615Y1 (pt) 2018-06-05
CN102308449A (zh) 2012-01-04
US8806713B2 (en) 2014-08-19
WO2010089286A2 (en) 201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241B1 (ko) 모듈화된 모듈을 갖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
KR101774058B1 (ko) 상이한 두께의 층을 갖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
KR101714801B1 (ko)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의 편심 부재
KR101740073B1 (ko) Emc 보호 압축 유닛 및 이러한 압축 유닛을 포함하는 밀봉 시스템
EP1886390B1 (en) Shielded frame
JP6750648B2 (ja) 防爆構造
KR200475438Y1 (ko) 교호식 형상을 갖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스루의 모듈
SG173126A1 (en) Sealing system
EP1820245A1 (en) Frame and method of comprising one or more elastic modules for cable entries, pipe penetrations or the like.
WO2010090587A1 (en) A pipe or cable lead-through having interconnected layers
KR101716910B1 (ko) 함께 부착되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의 모듈
KR20100008059U (ko) 교호식 형상의 층들을 갖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스루
KR20100008061U (ko)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스루의 층들 사이의 결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