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862B1 - 압축기 - Google Patents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862B1
KR101690862B1 KR1020150038705A KR20150038705A KR101690862B1 KR 101690862 B1 KR101690862 B1 KR 101690862B1 KR 1020150038705 A KR1020150038705 A KR 1020150038705A KR 20150038705 A KR20150038705 A KR 20150038705A KR 101690862 B1 KR101690862 B1 KR 101690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valve
communication hole
space
sectional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2817A (ko
Inventor
히사야 곤도
아이 사에키
야스시 스즈키
히로유키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150112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2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04B39/1066Valv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2Cylinder bl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09Controlled pressure
    • F04B2027/1813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22Valve-controlled fluid connection
    • F04B2027/1827Valve-controlled fluid connection between crankcase and discharge chamber

Abstract

리어 하우징(5)은 수용실(5c)로부터 밸브 형성 플레이트(2)의 연통 구멍(2h)을 향해 연장되는 제1 통로(5d)를 갖는다. 실린더 블럭(1)은 외부 기기에 접속되는 접속부(1f)와, 접속부를 향해 개방되는 출구 공간(1e)과, 출구 공간으로부터 밸브 형성 플레이트의 연통 구멍(2h)을 향해 연장되는 제2 통로(1d)를 갖는다. 토출 통로(6s)는 토출실(5b), 수용실(5c), 제1 통로(5d), 연통 구멍(2h), 제2 통로(1d) 및 출구 공간(1e)을 포함한다. 연통 구멍(2h)의 유로 단면적(S3)은 제1 통로의 유로 단면적(S1) 및 제2 통로의 유로 단면적(S5) 중 적어도 한쪽보다도 크다. 토출 통로를 설계하는 데 있어서의 높은 자유도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압축기 {COMPRESSOR}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압축기는, 실린더 블럭, 프론트 하우징, 리어 하우징 및 밸브 형성 플레이트 등을 구비한다. 밸브 형성 플레이트는, 실린더 블럭과 리어 하우징 사이에 개재된다. 실린더 블럭은, 실린더 보어 내에 압축실을 형성한다. 리어 하우징은, 압축실 내에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실과, 역지 밸브를 수용하고 역지 밸브를 통해 토출실에 연통하는 수용실을 형성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46218호 공보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압축기는, 압축실 내에서 압축된 냉매를 외부 기기(예를 들어 응축기)에 송출하기 위한 토출 통로를 구비한다. 동 공보에 개시된 압축기에 있어서는, 흡입 밸브, 밸브판, 토출 밸브 및 리테이너에 의해 밸브 형성 플레이트가 형성되고, 리어 하우징, 밸브 형성 플레이트 및 실린더 블럭에 의해 토출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리어 하우징, 밸브 형성 플레이트 및 실린더 블럭에 의해 토출 통로를 형성하는 경우, 밸브 형성 플레이트에는, 토출 통로의 일부로서 기능하는 연통 구멍이 형성된다. 리어 하우징에는, 역지 밸브를 수용하는 수용실과 밸브 형성 플레이트에 형성된 연통 구멍을 연통시키는 통로가 설치된다. 실린더 블럭에는, 외부 기기(예를 들어 응축기)에 접속되는 접속부가 설치되고, 또한 이 접속부와 밸브 형성 플레이트에 형성된 연통 구멍을 연통시키는 다른 통로가 설치된다.
종래, 이들 통로의 설계상의 자유도를 높이는 것이 어려웠다. 즉, 종래의 압축기에 있어서는, 밸브 형성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연통 구멍의 크기(유로 단면적)가 작았기 때문에, 이들 통로를 그 작은 연통 구멍에 연통시키는 것이 가능한 이들 통로의 설치 범위(설치 각도 및 설치 위치 등)가 한정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토출 통로를 설계하는 데 있어서의 높은 자유도를 얻는 것이 가능한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압축기는, 압축실 및 토출 통로를 갖고, 상기 압축실 내에서 압축한 냉매를 상기 토출 통로를 통하여 외부 기기에 송출하는 압축기이며, 상기 압축실을 형성하는 실린더 블럭과, 상기 압축실 내에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실과, 역지 밸브를 수용하고 상기 역지 밸브를 통해 상기 토출실에 연통하는 수용실을 형성하는 리어 하우징과, 상기 실린더 블럭과 상기 리어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토출 통로의 일부인 연통 구멍을 갖는 밸브 형성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리어 하우징은, 상기 수용실로부터 상기 밸브 형성 플레이트의 상기 연통 구멍을 향해 연장되는 제1 통로를 갖고, 상기 실린더 블럭은, 상기 외부 기기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를 향해 개방되는 출구 공간과, 상기 출구 공간으로부터 상기 밸브 형성 플레이트의 상기 연통 구멍을 향해 연장되는 제2 통로를 갖고, 상기 토출 통로는, 상기 토출실, 상기 수용실, 상기 제1 통로, 상기 연통 구멍, 상기 제2 통로 및 상기 출구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연통 구멍의 유로 단면적은, 상기 제1 통로의 유로 단면적 및 상기 제2 통로의 유로 단면적 중 적어도 한쪽보다도 크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이해되는 본 발명에 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압축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압축기의 토출 밸브 및 토출 통로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압축기의 실린더 블럭, 밸브 형성 플레이트 및 리어 하우징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압축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저면도.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압축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압축기의 토출 통로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압축기의 토출 통로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압축기의 토출 통로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본 발명에 기초한 실시 형태에 대해,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개수 및 양 등에 언급하는 경우, 특별히 기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반드시 그 개수 및 양 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동일한 부품 및 상당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제1 실시 형태]
[압축기(100)]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압축기(10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압축기(100)는 용량 가변형의 경사판식 압축기이다. 상세는 후술되지만, 압축기(100)는 압축실(1r) 및 토출 통로(6s)를 갖고, 압축실(1r) 내에서 압축한 냉매를, 토출 통로(6s)를 통하여 외부 기기(응축기 등)에 송출한다. 압축기(100)가 예를 들어 차량용의 공조 장치에 사용되는 경우, 압축실(1r)은 토출 통로(6s)를 통하여 응축기에 접속되고, 응축기는 팽창 밸브를 통하여 증발기에 접속되고, 증발기는 흡입실[흡입실(5a)]에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압축기(100)는 실린더 블럭(1), 프론트 하우징(3), 리어 하우징(5) 및 밸브 형성 플레이트(2)를 구비한다. 실린더 블럭(1)의 전단부에 프론트 하우징(3)이 접합되고, 실린더 블럭(1)의 후단부에 밸브 형성 플레이트(2)를 통해 리어 하우징(5)이 접합된다.
실린더 블럭(1)의 내측에는, 복수의 실린더 보어(1b)가 형성된다. 실린더 블럭(1)과 프론트 하우징(3)에 의해, 크랭크실(9)이 형성된다. 실린더 블럭(1)은 축 구멍(1h)을 갖고, 프론트 하우징(3)은 축 구멍(3h)을 갖는다. 축 구멍(1h, 3h)은, 축봉 장치(9a) 및 베어링 장치(9b, 9c)를 통해 구동축(6)을 지지한다. 프론트 하우징(3)에는, 베어링 장치(3b)를 통해 풀리(6m)가 설치된다. 풀리(6m)는 구동축(6)에 고정되고, 풀리(6m)에는 차량의 엔진 또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6n)가 권취된다.
크랭크실(9) 내에는, 러그 플레이트(9f) 및 경사판(7)이 설치된다. 러그 플레이트(9f)는 구동축(6)에 압입되고, 경사판(7)은 구동축(6)에 삽입 관통된다. 러그 플레이트(9f)와 프론트 하우징(3) 사이에는, 베어링 장치(9d, 9e)가 설치된다. 러그 플레이트(9f)와 경사판(7) 사이에는, 경사각 축소 스프링(8a)이 설치된다. 러그 플레이트(9f)와 경사판(7)은, 링크 기구(7c)에 의해 접속된다.
구동축(6)에는, 서클립(6a)이 고정된다. 서클립(6a)과 경사판(7) 사이에는, 복귀 스프링(8b)이 설치된다. 복수의 실린더 보어(1b) 내에는, 피스톤(1p)이 하나씩 수납된다. 각 피스톤(1p)과 경사판(7) 사이에는, 한 쌍의 슈(7a, 7b)가 설치된다. 경사판(7)의 요동은, 슈(7a, 7b)에 의해 각 피스톤(1p)의 왕복 이동으로 변환된다.
밸브 형성 플레이트(2)는 실린더 블럭(1)의 후방측의 단부면과 리어 하우징(5)의 전방측의 단부면 사이에 개재된다. 실린더 블럭(1)의 실린더 보어(1b)는 피스톤(1p)과 밸브 형성 플레이트(2) 사이에 압축실(1r)을 형성한다. 밸브 형성 플레이트(2)는 흡입 밸브, 밸브판, 토출 밸브 및 리테이너 등을 포함하고, 전체적으로 대략 판 형상의 형상을 갖는다. 상세는 후술되지만, 밸브 형성 플레이트(2)는 토출 포트(2p)(도 2 참조) 및 도시하지 않은 흡입 포트를 갖고, 밸브 형성 플레이트(2)의 외주 부분[도 3에 도시하는 팽출부(2t)]에는, 토출 통로(6s)의 일부인 연통 구멍(2h)(도 3도 참조)이 형성된다.
리어 하우징(5) 내에는, 흡입실(5a), 토출실(5b) 및 수용실(5c)이 형성된다. 흡입실(5a)은 밸브 형성 플레이트(2)에 관통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흡입 포트를 통하여, 실린더 보어(1b) 내의 압축실(1r)과 연통한다. 크랭크실(9)과 흡입실(5a)은, 통로(4a)에 의해 접속된다. 크랭크실(9)과 토출실(5b)은, 통로(4b, 4c)에 의해 접속된다.
리어 하우징(5) 내에는, 용량 제어 밸브(4g)가 수납된다. 용량 제어 밸브(4g)는 통로(4b, 4c)에 연통하고, 검압 통로(4d)에 의해 흡입실(5a)에도 연통한다. 용량 제어 밸브(4g)는 검압 통로(4d)에 의해 검압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 차압 등에 기초하여, 통로(4b, 4c)를 개폐한다. 토출실(5b) 내의 고압의 냉매 가스는, 통로(4b, 4c)를 통하여 크랭크실(9)에 공급된다. 크랭크실(9) 내의 압력이 원하는 값으로 조정됨으로써, 경사판(7)의 경사각이 변화되고, 원하는 토출 용량으로 변경된다.
리어 하우징(5) 내의 토출실(5b)은 밸브 형성 플레이트(2)에 관통 설치된 토출 포트(2p)(도 2 참조)를 통하여, 실린더 보어(1b) 내의 압축실(1r)과 연통한다. 수용실(5c)은 토출실(5b)에 인접하도록 형성되고, 역지 밸브(10)를 수용한다. 수용실(5c)[수용실(5c) 중 역지 밸브(10)보다도 하류측의 부분]은 역지 밸브(10)를 통해 토출실(5b)에 연통한다.
[역지 밸브(10)]
도 2는 역지 밸브(10) 및 토출 통로(6s)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역지 밸브(10)는 밸브 시트(11), 밸브체(12), 밸브 하우징(13) 및 스프링(14)을 구비하고, 수용실(5c) 내에 압입된다. 밸브 시트(11)는 밸브 구멍(11h)을 갖는다. 밸브체(12)는 밸브 하우징(13) 내에서 밸브 시트(11)와 분리 접촉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밸브 구멍(11h)을 개폐한다.
밸브 하우징(13)은 밸브체(12)를 밸브 폐쇄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14)을 수용한다. 밸브 하우징(13)의 측벽에는, 연통 창(15)이 형성된다. 밸브 개방 시, 밸브 구멍(11h)으로부터의 냉매는, 연통 창(15)을 통하여 수용실(5c)[수용실(5c) 중 역지 밸브(10)보다도 하류측의 부분] 내에 흘러나온다.
[토출 통로(6s)]
도 3은 실린더 블럭(1), 밸브 형성 플레이트(2) 및 리어 하우징(5)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시상의 편의를 위해, 도 3에 도시하는 밸브 형성 플레이트(2)는 1매의 평판 형상을 갖고 있지만, 실제로는, 밸브 형성 플레이트(2)는 흡입 밸브, 밸브판, 토출 밸브 및 리테이너 등을 포함한다(도 2 참조).
[제1 통로(5d) 및 제1 공간(5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리어 하우징(5)은 외주면(5s)을 갖는다. 리어 하우징(5)에는, 외측 방향(직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팽출하는 형상을 갖는 팽출부(5t)가 형성된다. 팽출부(5t)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는, 리어 하우징(5)의 외주면(5s)은 외측 방향(직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볼록 형상으로 팽출하는 형상을 갖는다. 팽출부(5t)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있어서는, 리어 하우징(5)의 외주면(5s)은 원통 형상의 형상을 갖는다.
팽출부(5t)는 리어 하우징(5)의 일부분이며, 리어 하우징(5) 중 토출실(5b) 및 수용실(5c)을 형성하고 있는 부분과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팽출부(5t)의 내측에는, 제1 통로(5d) 및 제1 공간(5e)이 형성된다. 리어 하우징(5) 중 토출실(5b) 및 수용실(5c)을 형성하고 있는 부분과, 리어 하우징(5) 중 제1 통로(5d) 및 제1 공간(5e)을 형성하고 있는 부분은, 서로 동일한 부재(알루미늄계의 금속 등)로 구성된다.
제1 통로(5d) 및 제1 공간(5e)은 서로 연통하고, 냉매가 흐르는 방향에 있어서 제1 공간(5e)은 제1 통로(5d)의 하류에 위치한다. 제1 통로(5d)는 예를 들어 원기둥 형상의 형상을 갖고, 후술하는 밸브 형성 플레이트(2)의 연통 구멍(2h)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향하여 연장된다. 제1 통로(5d)의 상류 단부(m1)(도 2)는 수용실(5c)을 향하여 개방되고, 제1 통로(5d)의 하류 단부(m2)(도 2)는 제1 공간(5e)을 향하여 개방된다.
리어 하우징(5) 중 제1 공간(5e)을 형성하고 있는 부분은,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형상을 갖는다. 제1 공간(5e)은 리어 하우징(5) 중 밸브 형성 플레이트(2)에 접합되는 단부면(5j)(도 3)의 일부에 절삭 가공 등을 실시함으로써,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다. 리어 하우징(5) 및 밸브 형성 플레이트(2) 등이 분해된 상태(도 3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단부면(5j)에 있어서 제1 공간(5e)은 개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공간(5e)은 화살표 AR1 방향(도 3)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고, 제1 공간(5e)의 유로 단면적 S2(도 2)은 제1 통로(5d)의 유로 단면적 S1(도 2)보다도 크다. 화살표 AR1 방향이란, 리어 하우징(5)의 원주 방향에 상당한다.
[연통 구멍(2h)]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형성 플레이트(2)는 원반부(2s)(원 형상의 부분)와, 원반부(2s)의 외주연으로부터 외측 방향(직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팽출하는 형상을 갖는 팽출부(2t)(다른 팽출부)를 포함하고 있다. 팽출부(2t)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는, 밸브 형성 플레이트(2)의 외주연은, 외측 방향(직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볼록 형상으로 팽출하는 형상을 갖는다. 팽출부(2t)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있어서는, 밸브 형성 플레이트(2)의 외주연은, 원 형상의 형상을 갖는다.
팽출부(2t)의 내측에는, 연통 구멍(2h)이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통 구멍(2h)은 화살표 AR2 방향(도 3)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공간을 형성한다. 화살표 AR2 방향이란, 밸브 형성 플레이트(2)의 원주 방향에 상당한다. 연통 구멍(2h)과 제1 공간(5e)은, 대략 동일한 외측 테두리 형상을 갖고, 연통 구멍(2h)의 유로 단면적 S3(도 2)은 제1 공간(5e)의 유로 단면적 S2(도 2)와 대략 동일하다. 즉, 연통 구멍(2h)의 유로 단면적 S3은, 제1 통로(5d)의 유로 단면적 S1보다도 크다.
[제2 공간(1c), 제2 통로(1d) 및 출구 공간(1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실린더 블럭(1)은 외주면(1s)을 갖는다. 실린더 블럭(1)에는, 외측 방향(직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팽출하는 형상을 갖는 팽출부(1t)와, 팽출부(1t)보다도 더 외측을 향하여 팽출하는 팽출부(1u)가 형성된다. 팽출부(1t, 1u)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는, 실린더 블럭(1)의 외주면(1s)은 외측 방향(직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볼록 형상으로 팽출하는 형상을 갖는다. 팽출부(1t, 1u)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있어서는, 실린더 블럭(1)의 외주면(1s)은 원통 형상의 형상을 갖는다.
팽출부(1t, 1u)는, 실린더 블럭(1)의 일부분이며, 실린더 블럭(1) 중 실린더 보어(1b)를 형성하고 있는 부분과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실린더 블럭(1)의 팽출부(1t)의 내측에는, 제2 공간(1c) 및 제2 통로(1d)가 형성된다. 팽출부(1u)의 내측에는, 출구 공간(1e)이 형성된다. 실린더 블럭(1) 중 실린더 보어(1b)를 형성하고 있는 부분과, 실린더 블럭(1) 중 제2 공간(1c), 제2 통로(1d) 및 출구 공간(1e)을 형성하고 있는 부분은, 서로 동일한 부재(알루미늄계의 금속 등)로 구성된다.
제2 공간(1c), 제2 통로(1d) 및 출구 공간(1e)은 서로 연통한다. 냉매가 흐르는 방향에 있어서 제2 공간(1c)은 제2 통로(1d)의 상류에 위치하고, 출구 공간(1e)은 제2 통로(1d)의 하류에 위치한다. 제2 통로(1d) 및 출구 공간(1e)은 예를 들어 원기둥 형상의 형상을 갖는다. 제2 통로(1d)는 출구 공간(1e)으로부터 밸브 형성 플레이트(2)의 연통 구멍(2h)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향하여 연장된다. 제2 통로(1d)의 상류 단부(n1)(도 2)는 제2 공간(1c)을 향하여 개방되고, 제2 통로(1d)의 하류 단부(n2)(도 2)는 출구 공간(1e)을 향하여 개방된다. 출구 공간(1e)의 하류 단부는, 접속부(1f)를 향하여 개방된다. 접속부(1f)는 응축기 등의 외부 기기(20)(도 2)에 접속되는 부위이다.
실린더 블럭(1) 중 제2 공간(1c)을 형성하고 있는 부분은,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형상을 갖는다. 제2 공간(1c)은 실린더 블럭(1) 중 밸브 형성 플레이트(2)에 접합되는 단부면(1j)(도 3)의 일부에 절삭 가공 등을 실시함으로써,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다. 실린더 블럭(1) 및 밸브 형성 플레이트(2) 등이 분해된 상태(도 3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단부면(1j)에 있어서 제2 공간(1c)은 개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공간(1c)은 화살표 AR3 방향(도 3)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고, 제2 공간(1c)의 유로 단면적 S4(도 2)는 제2 통로(1d)의 유로 단면적 S5(도 2)보다도 크다. 화살표 AR3 방향이란, 실린더 블럭(1)의 원주 방향에 상당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공간(1c)의 유로 단면적 S4(도 2)는 연통 구멍(2h)의 유로 단면적 S3(도 2)과 대략 동일하다. 즉, 연통 구멍(2h)의 유로 단면적 S3은, 제2 통로(1d)의 유로 단면적 S5보다도 크다.
실린더 블럭(1) 중 출구 공간(1e)을 형성하고 있는 부분도,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형상을 갖는다. 출구 공간(1e)은 실린더 블럭(1) 중 접속부(1f)를 형성하는 단부면의 일부에 절삭 가공 등을 실시함으로써,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다. 접속부(1f)로부터 외부 기기(20)(배관 등)가 제거된 상태에 있어서는, 접속부(1f)에 있어서 출구 공간(1e)은 개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출구 공간(1e)은 대략 원기둥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고, 출구 공간(1e)의 유로 단면적 S6(도 2)은 제2 통로(1d)의 유로 단면적 S5(도 2)보다도 크다.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토출 통로(6s)는 토출실(5b), 수용실(5c), 제1 통로(5d), 제1 공간(5e), 연통 구멍(2h), 제2 공간(1c), 제2 통로(1d) 및 출구 공간(1e)을 포함한다. 압축기(100)는 압축실(1r) 내에서 압축한 냉매를, 토출 통로(6s)를 통하여 외부 기기(응축기 등)에 송출함으로써, 예를 들어 냉매 회로의 일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작용 및 효과)
도 4는 압축기(100)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저면도이며, 리어 하우징(5)의 측으로부터 압축기(100)를 보았을 때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응축기 등의 외부 기기(20)는 압축기(100)의 접속부(1f)에 배관을 통하여 접속된다. 외부 기기(20)가 설치되는 위치는, 외부 기기(20)의 사양 및 압축기(100) 및 외부 기기(20)가 탑재되는 차량 등의 사양에 따라 변경된다. 본 실시 형태의 압축기(100)는 토출 통로(6s)를 설계하는 데 있어서의 높은 자유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이 사양의 변경에 대해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밸브 형성 플레이트(2)에 형성된 연통 구멍(2h)의 유로 단면적 S3(도 2)은 리어 하우징(5)에 설치된 제1 통로(5d)의 유로 단면적 S1(도 2)보다도 크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통로(5d)를 리어 하우징(5)에 설치할 때에는, 제1 통로(5d)의 하류 단부(m2)(도 2도 참조)의 위치를 화살표 DR1로 나타내는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제1 통로(5d)의 하류 단부(m2)의 위치를 화살표 DR1로 나타내는 범위 내에서 변경하였다고 해도, 제1 통로(5d)의 하류 단부(m2)가 연통 구멍(2h)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한, 제1 통로(5d)는 수용실(5c)과 연통 구멍(2h)을 연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통로(5d)의 하류 단부(m2)의 위치를 화살표 DR1로 나타내는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연통 구멍(2h)에 연통하는 제1 통로(5d)의 설치 범위(설치 각도 및 설치 위치 등)를 확장시킬 수 있어, 토출 통로(6s)를 설계하는 데 있어서의 높은 자유도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밸브 형성 플레이트(2)에 형성된 연통 구멍(2h)의 유로 단면적 S3(도 2)은 실린더 블럭(1)의 팽출부(1t)에 설치된 제2 통로(1d)의 유로 단면적 S5(도 2)보다도 크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통로(1d)를 실린더 블럭(1)에 설치할 때에는, 제2 통로(1d)의 상류 단부(n1)(도 2도 참조)의 위치를 화살표 DR2로 나타내는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제2 통로(1d)의 상류 단부(n1)의 위치를 화살표 DR2로 나타내는 범위 내에서 변경하였다고 해도, 제2 통로(1d)의 상류 단부(n1)가 연통 구멍(2h)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한, 제2 통로(1d)는 연통 구멍(2h)과 출구 공간(1e)[접속부(1f)]을 연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통로(1d)의 상류 단부(n1)의 위치를 화살표 DR2로 나타내는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연통 구멍(2h)에 연통하는 제2 통로(1d)의 설치 범위(설치 각도 및 설치 위치 등)를 확장시킬 수 있어, 토출 통로(6s)를 설계하는 데 있어서의 높은 자유도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출구 공간(1e)의 유로 단면적 S6(도 2)이 제2 통로(1d)의 유로 단면적 S5(도 2)보다도 크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통로(1d)를 실린더 블럭(1)에 설치할 때에는, 제2 통로(1d)의 하류 단부(n2)(도 2도 참조)의 위치를 화살표 DR3으로 나타내는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제2 통로(1d)의 하류 단부(n2)의 위치를 화살표 DR3으로 나타내는 범위 내에서 변경하였다고 해도, 제2 통로(1d)의 하류 단부(n2)가 출구 공간(1e)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한, 제2 통로(1d)는 연통 구멍(2h)과 출구 공간(1e)[접속부(1f)]을 연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통로(1d)의 하류 단부(n2)의 위치를 화살표 DR3으로 나타내는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연통 구멍(2h)에 연통하는 제2 통로(1d)의 설치 범위(설치 각도 및 설치 위치 등)를 확장시킬 수 있고, 출구 공간(1e)에 연통하는 제2 통로(1d)의 설치 범위(설치 각도 및 설치 위치 등)를 확장시킬 수 있어, 토출 통로(6s)를 설계하는 데 있어서의 높은 자유도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접속부(1f)의 위치를 화살표 DR4 방향으로 변경할 필요가 발생한 경우에도, 리어 하우징(5) 및 밸브 형성 플레이트(2)(도시하지 않음)는 도 4에 도시하는 구성과 공통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리어 하우징(5)의 사양에 따라 수용실(5c)의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발생한 경우에도, 실린더 블럭(1) 및 밸브 형성 플레이트(2)(도시하지 않음)는 도 4에 도시하는 구성과 공통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100)에 포함되는 사상을 채용한 경우, 부품의 범용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의 저감도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통 구멍(2h)과 제1 통로(5d) 사이에 제1 공간(5e)(도 2)이 형성된다. 제1 공간(5e)의 유로 단면적 S2(도 2)는 제1 통로(5d)의 유로 단면적 S1(도 2)보다도 크다. 냉매는, 수용실(5c), 제1 통로(5d) 및 제1 공간(5e)을 통과할 때에 수축 및 팽창한다. 따라서, 수용실(5c), 제1 통로(5d) 및 제1 공간(5e)은 머플러실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통 구멍(2h)과 제2 통로(1d) 사이에 제2 공간(1c)(도 2)이 형성되고, 접속부(1f)와 제2 통로(1d) 사이에 출구 공간(1e)(도 2)이 형성된다. 제2 공간(1c)의 유로 단면적 S4(도 2)는 제2 통로(1d)의 유로 단면적 S5(도 2)보다도 크다. 출구 공간(1e)의 유로 단면적 S6(도 2)은 제2 통로(1d)의 유로 단면적 S5(도 2)보다도 크다. 냉매는, 제2 공간(1c), 제2 통로(1d) 및 출구 공간(1e)을 통과할 때에 수축 및 팽창한다. 따라서, 제2 공간(1c), 제2 통로(1d) 및 출구 공간(1e)도, 머플러실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압축기(100)에 외측 방향을 향하여 팽출하는 형상을 갖는 팽출부[팽출부(1t, 2t, 5t)]가 형성되고, 밸브 형성 플레이트(2)에 형성된 연통 구멍(2h)은 이 팽출부 내에 위치하고 있다. 팽출부(1t)는 실린더 블럭(1)과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팽출부(5t)는 리어 하우징(5)과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당해 구성에 의하면, 팽출하는 부분을 구성하는 부재를 별도 설치하여 실린더 블럭(1)이나 리어 하우징(5)에 접합하는 경우에 비해,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6에 도시하는 압축기(101)에 있어서는, 리어 하우징(5)에 제1 공간(5e)(도 2 참조)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실린더 블럭(1)에 제2 공간(1c)(도 2 참조)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리어 하우징(5)에 형성된 제1 통로(5d)는 밸브 형성 플레이트(2)의 연통 구멍(2h)에 직접적으로 연통하고 있고, 실린더 블럭(1)에 형성된 제2 통로(1d)도, 밸브 형성 플레이트(2)의 연통 구멍(2h)에 직접적으로 연통하고 있다.
압축기(101)에 있어서도, 연통 구멍(2h)의 유로 단면적 S3은, 제1 통로(5d)의 유로 단면적 S1보다도 크고, 또한 연통 구멍(2h)의 유로 단면적 S3은, 제2 통로(1d)의 유로 단면적 S5보다도 크다. 당해 구성에 의해서도, 연통 구멍(2h)에 연통하는 제1 통로(5d) 및 제2 통로(1d)의 설치 범위(설치 각도 및 설치 위치 등)를 확장시킬 수 있기 때문에, 토출 통로(6s)를 설계하는 데 있어서의 높은 자유도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당해 제2 실시 형태의 구성 외에,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리어 하우징(5)에 제1 공간(5e)을 형성해도 된다. 당해 제2 실시 형태의 구성 외에,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실린더 블럭(1)에 제2 공간(1c)을 형성해도 된다.
[제3 실시 형태]
도 7에 도시하는 압축기(102)에 있어서는, 연통 구멍(2h)의 유로 단면적 S3이 제2 통로(1d)의 유로 단면적 S5보다도 크다고 하는 구성은 채용되지 않는다. 한편으로, 연통 구멍(2h)의 유로 단면적 S3은, 제1 통로(5d)의 유로 단면적 S1보다도 크다. 당해 구성에 의해서도, 연통 구멍(2h)에 연통하는 제1 통로(5d)의 설치 범위(설치 각도 및 설치 위치 등)를 확장시킬 수 있기 때문에, 토출 통로(6s)를 설계하는 데 있어서의 높은 자유도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4 실시 형태]
도 8에 도시하는 압축기(103)에 있어서는, 연통 구멍(2h)의 유로 단면적 S3이 제1 통로(5d)의 유로 단면적 S1보다도 크다고 하는 구성은 채용되지 않는다. 한편으로, 연통 구멍(2h)의 유로 단면적 S3은, 제2 통로(1d)의 유로 단면적 S5보다도 큰, 당해 구성에 의해서도, 연통 구멍(2h)에 연통하는 제2 통로(1d)의 설치 범위(설치 각도 및 설치 위치 등)를 확장시킬 수 있기 때문에, 토출 통로(6s)를 설계하는 데 있어서의 높은 자유도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Claims (6)

  1. 압축실 및 토출 통로를 갖고, 상기 압축실 내에서 압축한 냉매를 상기 토출 통로를 통하여 외부 기기에 송출하는 압축기이며,
    상기 압축실을 형성하는 실린더 블럭과,
    상기 압축실 내에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실과, 역지 밸브를 수용하고 상기 역지 밸브를 통해 상기 토출실에 연통하는 수용실을 형성하는 리어 하우징과,
    상기 실린더 블럭과 상기 리어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토출 통로의 일부인 연통 구멍을 갖는 밸브 형성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리어 하우징은, 상기 수용실로부터 상기 밸브 형성 플레이트의 상기 연통 구멍을 향해 연장되는 제1 통로를 갖고,
    상기 실린더 블럭은, 상기 외부 기기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를 향해 개방되는 출구 공간과, 상기 출구 공간으로부터 상기 밸브 형성 플레이트의 상기 연통 구멍을 향해 연장되는 제2 통로를 갖고,
    상기 토출 통로는 상기 토출실, 상기 수용실, 상기 제1 통로, 상기 연통 구멍, 상기 제2 통로 및 상기 출구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연통 구멍의 유로 단면적은 상기 제1 통로의 유로 단면적 및 상기 제2 통로의 유로 단면적 중 적어도 한쪽보다도 큰,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하우징은, 상기 제1 통로의 하류에 형성되어 상기 연통 구멍에 연통하는 제1 공간을 더 갖고,
    상기 제1 공간의 유로 단면적은 상기 제1 통로의 유로 단면적보다도 큰, 압축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블럭은, 상기 제2 통로의 상류에 형성되어 상기 연통 구멍에 연통하는 제2 공간을 더 갖고,
    상기 제2 공간의 유로 단면적은 상기 제2 통로의 유로 단면적보다도 큰, 압축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공간의 유로 단면적은 상기 제2 통로의 유로 단면적보다도 큰, 압축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블럭 및 상기 리어 하우징 중 적어도 한쪽은, 외측 방향을 향하여 부분적으로 팽출하는 형상을 갖는 팽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통 구멍은, 상기 팽출부 내에 위치하고 있는, 압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형성 플레이트는, 원 형상의 부분과, 그 외주연으로부터 팽출하는 다른 팽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통 구멍은, 상기 다른 팽출부에 형성되는, 압축기.
KR1020150038705A 2014-03-27 2015-03-20 압축기 KR1016908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66325A JP6164135B2 (ja) 2014-03-27 2014-03-27 圧縮機
JPJP-P-2014-066325 2014-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817A KR20150112817A (ko) 2015-10-07
KR101690862B1 true KR101690862B1 (ko) 2016-12-28

Family

ID=54067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705A KR101690862B1 (ko) 2014-03-27 2015-03-20 압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10209B2 (ko)
JP (1) JP6164135B2 (ko)
KR (1) KR101690862B1 (ko)
CN (1) CN104948422B (ko)
DE (1) DE102015104619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28003B2 (ja) * 2013-12-26 2017-11-08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流量検出装置及び可変容量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2068A (en) * 1991-05-17 1993-11-16 Millipore Corporation Integrated system for filtering and dispensing fluid having fill, dispense and bubble purge strokes
JP3301570B2 (ja) 1993-12-27 2002-07-1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往復動型圧縮機
JP3588851B2 (ja) * 1995-03-17 2004-11-1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往復動型圧縮機
KR100196247B1 (ko) * 1995-06-09 1999-06-15 이소가이 지세이 가변 용량 압축기
KR100203975B1 (ko) * 1995-10-26 1999-06-15 이소가이 치세이 캠 플레이트식 가변용량 압축기
JPH09287564A (ja) 1996-04-23 1997-11-04 Zexel Corp 往復式圧縮機
JP3697782B2 (ja) 1996-07-08 2005-09-2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のマフラ構造
JPH10281060A (ja) * 1996-12-10 1998-10-20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圧縮機
JP3582284B2 (ja) * 1997-03-13 2004-10-2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冷凍回路及び圧縮機
JP3820766B2 (ja) * 1998-03-06 2006-09-1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
JP2000145653A (ja) * 1998-11-12 2000-05-2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型圧縮機
JP2000346241A (ja) * 1999-06-07 2000-12-15 Toyota Autom Loom Works Ltd 逆止弁
JP4066563B2 (ja) 1999-06-07 2008-03-2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逆止弁
DE10003882C2 (de) * 2000-01-29 2003-10-02 Bitzer Kuehlmaschinenbau Gmbh Kältemittelkompressor
US20040016346A1 (en) * 2002-02-13 2004-01-29 Klockner Khs, Inc. Self-contained beverage proportioner unit
JP4258282B2 (ja) * 2002-08-30 2009-04-3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KR100659570B1 (ko) 2003-02-18 2006-12-19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
JPWO2004088139A1 (ja) 2003-03-28 2006-07-06 株式会社ヴァレオサーマルシステムズ 往復動型圧縮機
EP1671121A4 (en) * 2003-09-29 2007-12-19 Pathwork Diagnost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BIOLOGICAL CHARACTERISTICS
JP2006077731A (ja) 2004-09-13 2006-03-23 Sanden Corp 往復動型圧縮機
JP4799252B2 (ja) * 2006-04-06 2011-10-26 サンデン株式会社 空調装置
KR101165947B1 (ko) 2006-05-01 2012-07-18 한라공조주식회사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JP4695032B2 (ja) * 2006-07-19 2011-06-08 サンデン株式会社 可変容量圧縮機の容量制御弁
JP2009293386A (ja) * 2008-06-02 2009-12-17 Toyota Industries Corp 圧縮機
JP5560580B2 (ja) * 2009-04-10 2014-07-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密閉型圧縮機
JP5325041B2 (ja) * 2009-07-30 2013-10-23 サンデン株式会社 往復動圧縮機
CN202326090U (zh) * 2011-11-16 2012-07-11 上海三电贝洱汽车空调有限公司 压缩机排气消音结构
JP5595458B2 (ja) 2012-09-26 2014-09-24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防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48422A (zh) 2015-09-30
KR20150112817A (ko) 2015-10-07
DE102015104619B4 (de) 2018-11-29
US9810209B2 (en) 2017-11-07
JP2015190334A (ja) 2015-11-02
US20150275885A1 (en) 2015-10-01
DE102015104619A1 (de) 2015-10-01
CN104948422B (zh) 2017-05-03
JP6164135B2 (ja) 2017-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0914B2 (en) Check valve for compressor
JP4330576B2 (ja) 圧縮機
JP5652613B2 (ja) 圧縮機の弁装置
US9488289B2 (en) Variable suction device for an A/C compressor to improve nvh by varying the suction inlet flow area
JP2007162561A (ja) 冷媒圧縮機
JP4606433B2 (ja)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
KR101690862B1 (ko) 압축기
US20090162215A1 (en) Compressor
US11073316B2 (en) Electric compressor
KR20170045589A (ko) 차량용 에어컨 압축기의 토출밸브
JP5783354B2 (ja) 圧縮機
US11732716B2 (en) Modular compressor discharge system
US20090238698A1 (en) Reciprocal Compressor
JP2016102438A (ja) 気体圧縮機
KR102524602B1 (ko) 가변식 압축기용 체크 밸브
JP5920367B2 (ja) 片頭ピストン式可変容量型圧縮機
JP4429827B2 (ja) 逆止弁及び逆止弁を備えた気体圧縮装置
JP6747813B2 (ja) 圧縮機
KR100765664B1 (ko) 자동차용 압축기의 머플러
KR101576227B1 (ko) 밀폐형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모듈
JP6010724B2 (ja) 圧縮機
JP4498988B2 (ja) 開度調整弁
JP2020159351A (ja)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JP2009257149A (ja) 吸入流路変更アダプター
US20060034704A1 (en) Multi-cylinder, reciprocating compressors for air conditioning systems mounted in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