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6227B1 - 밀폐형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모듈 - Google Patents

밀폐형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6227B1
KR101576227B1 KR1020140020747A KR20140020747A KR101576227B1 KR 101576227 B1 KR101576227 B1 KR 101576227B1 KR 1020140020747 A KR1020140020747 A KR 1020140020747A KR 20140020747 A KR20140020747 A KR 20140020747A KR 101576227 B1 KR101576227 B1 KR 101576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discharge
opening
tube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0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9167A (ko
Inventor
백희종
Original Assignee
(주)인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아 filed Critical (주)인아
Priority to KR1020140020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6227B1/ko
Publication of KR20150099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9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4Provisions for readily assembling or disasse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조립체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밀폐형 압축기의 실린더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의 흡입구 및 토출구로의 냉매가스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유닛과, 밸브유닛과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는 토출공간이 형성되는 커버부재와, 커버부재의 토출공간에 설치되며, 냉매가스가 커버부재 외부로 토출되도록 토출관과 연결되어 압축기에 의해 냉매가스의 압축시 토출맥동을 감소시키는 맥동저감튜브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모듈은 커버부재 내부에 설치된 맥동저감튜브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기 압축기의 펌핑에 따른 토출맥동을 감소시켜 압축기의 작동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밀폐형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모듈{Valve assembly module of hermetic compressor}
본 발명은 밀폐형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압축기의 펌핑시 발생하는 냉매가스의 토출맥동을 감소시키는 밀폐형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 사이클은 압축기(compressor)의 작동에 의해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스(refrigerant gas)를 응축기(condenser)에서 액화시킨 후에, 팽창밸브(expansion valve)를 통하여 증발기(evaporator)에서 기화시킴으로써 냉매의 기화열에 의해 냉각작용을 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냉동 사이클의 구성 중에 압축기는, 증발기에서 액상의 냉매가 증발되면서 주위의 열을 빼앗아 냉각시킨 후 유입되는 기체 상태의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주로 밀폐형 압축기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밀폐형 압축기는 밀폐된 케이싱의 내부에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부와 그 전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가 함께 구비되어 주로 냉장고나 에어콘 등의 냉동시스템에 적용되고 있다.
상기 밀폐형 압축기는 압축된 냉매의 토출방식에 따라서는 토출밸브의 설계가 압축기 효율을 높이는데 중요한 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 예컨대, 왕복동식 압축기 또는 로터리 압축기의 경우는 압축실의 일측에 토출구가 형성되고, 그 토출구의 출구측에 일단이 고정된 리드형 토출밸브 조립체가 설치되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8881호에는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밸브 조립체는 중앙부에 흡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에 토출홀이 관통된 상부가 상기 흡입홀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밸브플레이트와, 상기 밸브플레이트의 토출홀에 밀착되도록 밸브플레이트의 상부 내에 구비되는 토출 밸브와, 상기 토출 밸브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밸브플레이트의 상부 내에 구비되어 상기 토출 밸브의 개방 정도를 구속하는 밸브 스프링과, 상기 밸브 스프링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밸브플레이트의 상부 내에 구비되어 상기 밸브 스프링을 고정시키는 스토퍼와, 상기 밸브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부에 냉매 흡입 및 토출을 위한 공간을 각각 형성하는 토출머플러커버를 구비한다.
그러나, 상기 밸브조립체는 상기 압축기에서 응축기로 기체 상태의 냉매를 토출할 때 발생하는 맥동 성분을 저감시킬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냉매의 토출맥동에 의해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상기 압축기의 펌핑에 따른 토출맥동을 감소시키는 커버부재 내부에 설치된 맥동저감튜브가 마련된 밀폐형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모듈은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모듈은 밀폐형 압축기의 실린더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의 흡입구 및 토출구로의 냉매가스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유닛과, 상기 밸브유닛과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는 토출공간이 형성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토출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냉매가스가 상기 커버부재 외부로 토출되도록 토출관과 연결되어 상기 압축기의 펌핑에 따른 토출맥동을 감소시키는 맥동저감튜브를 구비한다.
상기 맥동저감튜브는 일단부가 상기 토출관에 연결된 메인관부와, 상기 메인관부의 타단부에 상기 토출공간의 내측으로 연장되데,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게 형성된 만곡관부를 구비한다.
상기 맥동저감튜브는 일단부가 상기 토출관에 연결된 메인관부와, 상기 메인관부의 타단부에 상기 토출공간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메인관부의 내경보다 더 작은 내경을 갖는 연장관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밸브유닛은 상기 실린더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커버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토출구에 연통되는 연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연통구에 이격된 위치에 상기 맥동저감튜브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마련된 밸브플레이트와, 상기 밸브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연통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플레이트와 커버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맥동저감튜브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가 마련된 커버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삽입구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상기 맥동저감튜브가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구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부는 일단이 상기 토출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밸브플레이트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토출구를 덮도록 상기 토출구에 인접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냉매가스의 토출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개폐밸브와, 상기 개폐밸브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밸브의 타단이 상기 토출구를 덮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개폐밸브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밸브의 최대 변위량을 제한하는 밸브스토퍼를 구비한다.
한편, 밸브스토퍼는 일단이 상기 개폐밸브의 타단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개폐밸브의 일단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커버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모듈은 커버부재 내부에 설치된 맥동저감튜브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기 압축기의 펌핑에 따른 토출맥동을 감소시켜 압축기의 작동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하고, 밸브스토퍼와 고정용 리벳을 일체화하여 재료비와 조립공수를 단출할 수 있는 원가저감의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밸브조립체 모듈이 설치된 밀폐형 압축기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밸브 조립체 모듈에 대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밸브 조립체 모듈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밸브 조립체 모듈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밸브 조립체 모듈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밸브 조립체 모듈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모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모듈(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밀폐형 압축기(10)는 압력용기(11) 내부에 모터(1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크랭크축(13)과, 크랭크축(13)의 편심된 위치에 연결되어 크랭크축(13)의 회전에 의해 실린더(14) 내부를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15)이 커넥팅 로드(16)의 선단에 설치되고, 실린더(14)의 전면에는 냉매의 유입 및 토출을 위한 밸브 조립체 모듈(100)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모듈(100)은 밀폐형 압축기(10)의 실린더(14)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10)의 흡입구 및 토출구로의 냉매가스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유닛(200)과, 상기 밸브유닛(200)과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는 토출공간(303)이 형성되는 커버부재(300)와, 상기 커버부재(300)의 토출공간(303)에 설치되며, 상기 냉매가스가 상기 커버부재(300) 외부로 토출되도록 토출관과 연결되어 상기 압축기(10)의 펌핑에 따른 토출맥동을 감소시키는 맥동저감튜브(400)와, 커버부재(300) 및 밸브유닛(200) 사이에 설치되는 커버플레이트(500)를 구비한다.
밸브유닛(200)은 상기 실린더(14)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커버부재(300)에 결합되며, 압축된 냉매가스가 토출되는 실린더(14)의 토출구에 연통되는 연통구(214)가 형성되고, 상기 연통구(214)에 이격된 위치에 상기 맥동저감튜브(400)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마련된 밸브플레이트(210)와, 상기 밸브플레이트(210)와 실린더(14) 사이에 형성되어 밸브플레이트(210)의 흡입홀(212)을 개폐하는 흡입밸브(220)와, 상기 밸브플레이트(210)에 설치되어 상기 연통구(214)를 개폐하는 개폐부(230)를 구비한다.
밸브플레이트(2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프레스 가공에서 주로 사용되는 냉간압연강판(SPCC)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플레이트(210)는 고정볼트(216)에 의해 압축기의 실린더(14)에 고정될 수 있도록 네 모서리에 각각 제1체결홀(211)이 형성되어 있고, 제1체결홀(211)에 대해 이격된 위치에 맥동저감튜브(400)가 삽입되는 제1삽입구(2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플레이트(210)는 상면 중앙에는 압축기(10)의 내부로 냉매 가스가 유입되는 흡입홀(212)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홀(212)에 인접된 위치에 압축기(10)의 실린더(14)로부터 냉매가스가 토출되는 연통구(2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플레이트(210)는 연통구(21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후술되는 개폐부(230)의 밸브스토퍼(233)가 고정될 수 있도록 리벳(234)이 코깅되는 리벳홀(21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밸브 플레이트에 형성된 흡입홀(212), 연통구(214), 제1체결홀(211) 및 리벳홀(213)은 펀칭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흡입밸브(220)는 밸브플레이트(210)와 실린더(14) 사이에 설치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흡입밸브(220)는 밸브플레이트(210)의 흡입홀(212)에 대향되는 위치에 절개되어 상기 흡입홀(212)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재(2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폐부재(221)는 냉매가스의 흡입방향에 따라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입밸브(220)는 밸브플레이트(210)의 제1체결홀(211)을 관통한 고정볼트(216)가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1체결홀(211)에 대향되는 위치의 네 모서리에 각각 제2체결홀(2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흡입밸브(220)는 밸브플레이트(210)의 연통구(214)에 대향되는 위치에 관통구(223)가 형성되고, 밸브플레이트(210)의 제1삽입구(215)에 대향되는 위치에는 제2삽입구(224)가 형성되어 있다.
개폐부(230)는 일단이 상기 연통구(214)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밸브플레이트(210)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연통구(214)를 덮도록 상기 연통구(214)에 인접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통구(214)를 개폐하도록 상기 냉매가스의 토출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개폐밸브(231)와, 상기 개폐밸브(231)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밸브(231)의 타단이 상기 연통구(214)를 덮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32)와, 상기 개폐밸브(231)의 최대 변위량을 제한하는 밸브스토퍼(233)를 구비한다.
개폐밸브(231)는 타단이 연통구(214)에 연통되는 밸브플레이트(210)의 연통구(214)에 밀착되도록 밸브플레이트(210)의 상면에 일단부가 고정된다. 개폐밸브(231)는 냉매가스의 토출방향에 따라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232)는 개폐밸브(231)의 상측에 설치되며, 소정의 탄성을 갖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된다.
밸브스토퍼(233)는 양단이 각각 밸브플레이트(210)의 리벳홀(213)에 리벳(234)이 코깅되어 밸브플레이트(210)에 고정되되, 일단에 코깅된 리벳(234)은 개폐밸브(231) 및 탄성부재(232)의 일단부를 관통하여 밸브플레이트(21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밸브스토퍼(233)는 개폐밸브(231)의 개폐정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개폐밸브(231)의 타단부에 대향되는 부분이 밸브플레이트(210)의 상면에 대해 상측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커버부재(300)는 밸브플레이트(210)의 상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밸브플레이트(210)의 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커버부재(300)는 밸브플레이트(210)의 흡입홀(212)에 대향되는 위치에 냉매가스 공급관이 결합되어 상기 흡입홀(212)에 연통되는 결합부(30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301)는 상기 냉매가스 공급관이 끼어질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은 냉매가스 공급관이 흡입홀(212)에 연통되도록 하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부재(300)는 밸브플레이트(210)의 연통구(214)에 대향되는 위치에 토출공간(303)이 마련되며, 연통구(214)를 통해 토출공간(303)으로 냉매가스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커버부재(300)는 고정볼트(216)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네모서리에 각각 고정볼트(216)가 관통될 수 있도록 제3체결홀(302)이 형성되어 있다.
맥동저감튜브(400)는 밸브플레이트(210)의 제1삽입구(215) 및 흡입밸브(220)의 제2삽입구(224)에 관통삽입되며, 일단부가 토출관에 연결되는 메인관부(410)와, 상기 메인관부(410)의 타단부에, 토출공간(303)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소정의 곡률을 갖고 만곡되는 만곡관부(420)를 구비한다.
메인관부(410)는 내부에 냉매가스가 유동하는 내부유로가 마련되며, 흡입밸브(220)의 외측으로 돌출된 일단부는 토출관에 연통되게 연결된다. 만곡관부(420)는 메인관부(410)의 타단에 연장되며, 단부에 상기 내부유로로 냉매가스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형성된다.
압축기(10)로부터 토출된 냉매가스는 커버부재(300)의 토출공간(303)으로 유입되고, 상기 맥동저감튜브(400)를 통해 토출관으로 배출된다. 이때, 맥동저감튜브(400)는 만곡관부(420)가 토출공간(303)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냉매가스가 유동하는 내부유로가 연장되므로 상기 압축기(10)의 펌핑에 따른 토출맥동을 감소시킨다.
한편, 맥동저감튜브(40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토출공간(303) 내에서 내부유로를 보다 확장할 수 있도록 다단으로 만곡되게 형성되거나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커버플레이트(500)는 커버부재(300)와 밸브플레이트(210) 사이에 설치되며, 밸브플레이트(210)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되고, 토출공간(303)에 대응되게 중공(602)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커버플레이트(500)는 네 모서리에 고정볼트(216)가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4체결홀(50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플레이트(500)는 맥동저감튜브(4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510)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510)는 밸브플레이트(210)의 제2삽입구(224)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맥동저감튜브(400)가 관통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결합구(51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커버플레이트(500)와 밸브플레이트(210) 사이에는 개스킷(60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개스킷(600)은 네 모서리에 고정볼트(216)가 관통되게 삽입되도록 제5체결홀(60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스킷(600)은 커버플레이트(500)와 밸브플레이트(210)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탄성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모듈(100)은 커버부재(300) 내부에 설치된 맥동저감튜브(400)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기 압축기(10)의 펌핑에 따른 토출맥동을 감소시켜 압축기(10)의 작동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맥동저감튜브(45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맥동저감튜브(450)는 일단부가 상기 토출관에 연결된 메인관부(451)와, 상기 메인관부(451)의 타단부에 상기 토출공간(303)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관부를 구비한다.
메인관부(451)는 커버플레이트(500)의 결합구(511), 밸브플레이트(210)의 제1삽입구(215) 및 흡입밸브(220)의 제2삽입구(224)에 삽입되며, 타단부는 토출공간(303) 내로 인입되되,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만곡되게 형성된다.
연장관부는 타단부에 연장되며, 메인관부(451)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토출공간(303) 내의 냉매가스는 연장관부로 유입되고, 연장관부를 통과한 냉매가스는 메인관부(451)를 통과하여 토출관으로 배출된다. 이때, 메인관부(451)는 연장관부의 내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갖고 있으므로 냉매가스가 연장관부에서 메인관부(451)로 유입시 확장된 유로로 인해 토출맥동이 감소된다. 따라서, 맥동저감튜브(450)는 전체길이를 보다 짧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폐부(25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개폐부(250)는 밸브스토퍼(251)가 커버플레이트(50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스토퍼(251)는 개폐밸브(231)의 개폐정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개폐밸브(231)의 타단부에 대향되는 부분이 밸브플레이트(210)의 상면에 대해 상측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때, 개폐밸브(231) 및 탄성부재(232)는 커버플레이트(500)의 하면에 형성된 고정돌기에 의해 관통되어 밸브플레이트(210)에 고정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밸브스토퍼(251)가 커버플레이트(500)의 제작시 일체로 형성되므로 밸브스토퍼(251)의 별도 제작에 따른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밸브스토퍼(251)의 조립에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밸브 스토퍼(25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개폐밸브(231)의 타단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커버플레이트(500)에 일체로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개폐밸브(231)의 일단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커버플레이트(500)로부터 분리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밀폐형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모듈
200: 밸브유닛
210: 밸브플레이트
212: 흡입홀
214: 연통구
220: 흡입밸브
221: 개폐부재
223: 관통구
230: 개폐부
231: 개폐밸브
232: 탄성부재
233: 밸브스토퍼
300: 커버부재
303: 토출공간
400: 맥동저감튜브
410: 메인관부
420: 만곡관부
500: 커버플레이트
510: 지지부
511: 결합구
600: 개스킷

Claims (7)

  1. 밀폐형 압축기의 실린더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의 흡입구 및 토출구로의 냉매가스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유닛과;
    상기 밸브유닛과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는 토출공간이 형성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토출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냉매가스가 상기 커버부재 외부로 토출되도록 토출관과 연결되어 상기 압축기에 의해 상기 냉매가스의 압축시 토출맥동을 감소시키는 맥동저감튜브;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유닛은
    상기 실린더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커버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토출구에 연통되는 연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연통구에 이격된 위치에 상기 맥동저감튜브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마련된 밸브플레이트와,
    상기 밸브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연통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플레이트와 커버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맥동저감튜브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가 마련된 커버플레이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상기 토출공간에 대응되게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중공의 내측으로 인입되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에 인접된 위치에 상기 맥동저감튜브가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구가 마련되고,
    상기 개폐부는
    일단이 상기 연통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밸브플레이트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연통구를 덮도록 상기 연통구에 인접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통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냉매가스의 토출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개폐밸브와,
    상기 개폐밸브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밸브의 타단이 상기 연통구를 덮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개폐밸브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밸브의 최대 변위량을 제한하는 밸브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맥동저감튜브는
    일단부가 상기 토출관에 연결된 메인관부와,
    상기 메인관부의 타단부에 상기 토출공간의 내측으로 연장되되,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게 형성되며, 상기 개폐밸브에 대향되는 상기 밸브스토퍼의 일측의 반대편인 상기 밸브스토퍼의 타측으로 연장된 연장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모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부는 상기 메인관부의 내경보다 더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모듈.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40020747A 2014-02-21 2014-02-21 밀폐형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모듈 KR101576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747A KR101576227B1 (ko) 2014-02-21 2014-02-21 밀폐형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747A KR101576227B1 (ko) 2014-02-21 2014-02-21 밀폐형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9167A KR20150099167A (ko) 2015-08-31
KR101576227B1 true KR101576227B1 (ko) 2015-12-09

Family

ID=54060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0747A KR101576227B1 (ko) 2014-02-21 2014-02-21 밀폐형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622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349Y1 (ko) * 2005-12-29 2006-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어셈블리
KR100936767B1 (ko) * 2003-08-13 2010-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767B1 (ko) * 2003-08-13 2010-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
KR200418349Y1 (ko) * 2005-12-29 2006-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9167A (ko) 2015-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7061B2 (en) Hermetic compressor with internal thermal insulation
CA2069208C (en) Refrigeration compressor having a contoured piston
JP2006057634A (ja) 往復動式圧縮機の冷媒吸入案内構造
EP3039292B1 (en) Thermally improved reciprocating hermetic compressor
WO2009088180A2 (en) Noise reducing device for hermetic type compressor
US20060045762A1 (en) Suction muffler for compressor
US20110103937A1 (en) Discharge valve arrangement for a hermetic compressor
EP3184822B1 (en) Rotary compressor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US20090162215A1 (en) Compressor
KR101576227B1 (ko) 밀폐형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모듈
US8133038B2 (en) Hermetic compressor
KR101587174B1 (ko) 로터리 압축기
KR101587170B1 (ko) 로터리 압축기
US20070264137A1 (en) Hermetic compressor
CN112739912B (zh) 压缩机和使用该压缩机的电子装置
KR100788423B1 (ko) 흡입머플러 및 이를 갖는 압축기
KR102365540B1 (ko) 냉장고 및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방법
JP5595324B2 (ja) 圧縮機
EP4102073A1 (en) Compressor with injection mechanism
KR101263432B1 (ko) 밀폐형 압축기
KR20180037538A (ko) 토출 머플러 및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
EP2013481A1 (en) A compressor
JP2005214068A (ja) 密閉型往復動圧縮機
KR100341420B1 (ko) 저소음형 실린더
JP2015017552A (ja) 気体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