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861B1 - 단자 금구 및 커넥터 - Google Patents

단자 금구 및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861B1
KR101690861B1 KR1020150033072A KR20150033072A KR101690861B1 KR 101690861 B1 KR101690861 B1 KR 101690861B1 KR 1020150033072 A KR1020150033072 A KR 1020150033072A KR 20150033072 A KR20150033072 A KR 20150033072A KR 101690861 B1 KR101690861 B1 KR 101690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ilizer
connector housing
cavity
end port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7629A (ko
Inventor
노리히토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07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2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position or shape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단자 금구의 역삽입 방지 기능을 지장없이 발휘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단자 금구(10)의 본체부(11)에는, 전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스태빌라이저가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스태빌라이저는, 전단부가 전후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솟아 있는 제1 스태빌라이저(26)와, 전단부가 후퇴하듯이 경사진 제2 스태빌라이저(33)를 갖고 있다. 제2 스태빌라이저(33)의 전단부[제2 규제부(38)]는, 부정확한 삽입 자세를 취했을 때에 제1 스태빌라이저(26)에 선행하여 커넥터 하우징(60)에 대향하는 벽면(안내면(65))에 접촉하도록, 제1 스태빌라이저(26)보다 전방에 전단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Description

단자 금구 및 커넥터{TERMINAL FITTING AND CONNECTOR}
본 발명은, 단자 금구 및 단자 금구를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단자 금구는, 커넥터 하우징의 캐비티에 후방으로부터 삽입되는 것으로, 캐비티의 내벽에 형성된 랜스에 탄성적으로 고정되는 본체부(각통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쌍의 스태빌라이저가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스태빌라이저는, 커넥터 하우징에서의 캐비티와 연통하는 안내홈에 진입하여 단자 금구의 삽입 동작을 안내하는 한편, 본체부의 삽입 자세가 부정확한 경우에는, 전단부가 커넥터 하우징의 대향하는 벽면에 접촉함으로써 단자 금구의 그 이상의 삽입 동작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스태빌라이저의 전단부는, 전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솟아 있는 면으로서 구성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22213호 공보
그런데, 본체부의 삽입 자세가 부정확할 때, 단자 금구를 커넥터 하우징의 캐비티에 무리하게 넣으려고 하면, 스태빌라이저의 전단부가 커넥터 하우징의 대향하는 벽면을 깎게 되어, 커넥터 하우징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한편, 스태빌라이저의 전단부가 이와 달리 돌출단 방향으로 후퇴하는 사면형의 형태라면, 커넥터 하우징의 대향하는 벽면을 깎아낼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그런데 이 경우, 스태빌라이저의 사면형의 전단부가 커넥터 하우징의 대향하는 벽면을 슬라이딩할 가능성이 있어, 부정확한 자세를 취한 단자 금구의 삽입 동작을 정지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 단자 금구의 역삽입 방지 기능이 지장 없이 발휘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커넥터 하우징의 캐비티에 후방으로부터 삽입되는 통형상의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에는 전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스태빌라이저가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스태빌라이저가 각각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서의 상기 캐비티와 연통하는 안내홈에 진입함으로써, 상기 캐비티에 대한 삽입 동작이 안내되는 한편, 삽입 자세가 부정확한 경우에는, 상기 스태빌라이저의 전단부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대향하는 벽면에 접촉함으로써 그 이상의 삽입 동작이 규제되는 단자 금구로서, 상기 복수의 스태빌라이저는, 전단부가 전후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솟아 있는 제1 스태빌라이저과, 전단부가 후퇴하듯이 경사진 제2 스태빌라이저를 가지며, 상기 제2 스태빌라이저의 전단부는, 부정확한 삽입 자세를 취했을 때에 상기 제1 스태빌라이저에 선행하여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대향하는 벽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1 스태빌라이저보다 전방에 전단부 위치가 설정되어 있는 점에 특징을 갖는다.
가령 본체부의 삽입 자세가 부정확한 경우에, 단자 금구를 캐비티에 넣으면, 제2 스태빌라이저의 전단부가 커넥터 하우징의 대향하는 벽면에 접촉하여, 단자 금구의 삽입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제2 스태빌라이저의 전단부가 후퇴하듯이 경사진 형태이기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의 대향하는 벽면이 손상될 우려는 적다. 만약, 제2 스태빌라이저의 전단부가 커넥터 하우징의 대향하는 벽면을 슬라이딩하려 해도, 계속해서 제1 스태빌라이저의 전단부가 커넥터 하우징의 대향하는 벽면에 접촉함으로써, 부정확한 자세를 취한 단자 금구의 삽입 동작이 확실하게 정지된다. 제1 스태빌라이저의 전단부는 전후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솟아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단자 금구의 삽입 동작을 정지시키는 신뢰성이 높다. 이 경우에, 제2 스태빌라이저의 전단부가 제1 스태빌라이저에 선행하여 커넥터 하우징의 대향하는 벽면을 접촉함으로써, 커넥터 하우징에 대한 제1 스태빌라이저의 접촉력(충격력)이 저감되기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의 대향하는 벽면이 손상될 우려는 적다. 따라서,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단자 금구의 역삽입 방지 기능이 지장 없이 발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자 금구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단자 금구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단자 금구의 주요부의 확대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단자 금구의 주요부의 확대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단자 금구의 주요부의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단자 금구의 전개도이다.
도 8은 제2 스태빌라이저가 커넥터 하우징의 대향하는 사면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이하에 나타낸다.
상기 제1 스태빌라이저는, 상기 본체부에 칼집을 넣어 형성한 판조각 부분을 일으켜 세우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제1 스태빌라이저의 전단부는, 상기 판조각 부분의 판두께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제1 스태빌라이저의 전단부를 전후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솟아 있는 형태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태빌라이저의 후단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캐비티에 형성된 랜스와 접촉하여 상기 캐비티로부터 빠지는 것을 규제하는 랜스 받침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제1 스태빌라이저가 랜스 받침부로서의 기능을 겸용하기 때문에, 전용의 랜스 받침부가 별도로 설치되는 경우에 비하여, 전체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단자 금구를 구비한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캐비티의 후방부는, 전방부보다 직경이 큰 고무 마개 수용부로서 구성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캐비티는, 상기 후방부로부터 상기 전방부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형의 안내면이 되고, 상기 본체부가 부정확한 삽입 자세를 취하는 경우에 상기 안내면에 상기 스태빌라이저의 전단부가 접촉한다. 안내면이 후방부로부터 전방부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형의 형태가 되기 때문에, 제2 스태빌라이저의 전단부가 안내면을 슬라이딩하여, 부정확한 자세를 취한 단자 금구의 삽입 동작을 정지시킬 수 없을 우려가 비교적 높다. 그러한 점에서, 본 구성에 의하면, 제1 스태빌라이저의 전단부가 안내면과 접촉함으로써, 부정확한 자세를 취한 단자 금구의 삽입 동작을 확실하게 정지 시킬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1∼도 8에 의해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른 단자 금구(10)는, 도전성의 금속판을 굽힘 가공 등을 하여 일체로 성형되며,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긴 형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단자 금구(10)는, 도 8에 나타내는 커넥터 하우징(60)의 캐비티(61)에 후방(도 8의 우측)으로부터 삽입되며, 캐비티(61)에 빠짐 방지 상태로 유지된다.
커넥터 하우징(60)는 합성 수지제이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캐비티(61)를 갖고 있다. 캐비티(61)는, 전방측에 위치하는 전방부(62)와, 후방측에 위치하고 전방부(62)보다 직경이 큰 후방부(63)와, 후방부(63)와 전방부(62)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64)로 이루어진다. 캐비티(61)의 전방부(62)는, 단면이 대략 사각형이며, 단자 금구(10)의 후술하는 본체부(11)가 감합되어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캐비티(61)의 전방부(62)에는, 단자 금구(1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도시하지 않은 랜스가 휨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캐비티(61)의 후방부(63)는, 전방부(62)보다 직경이 크고 단면이 원형이며, 단자 금구(10)에 접속된 후술하는 고무 마개가 감합되어 삽입될 수 있는 고무 마개 수용부(67)로 되어 있다. 캐비티(61)의 중간부(64)는, 후방부(63)로부터 전방부(62)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형의 안내면(65)[커넥터 하우징(60)의 대향하는 벽면]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60)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캐비티(61)의 전방부(62)와 연통하는 2개의 안내홈(66)(하나만 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안내홈(66)은 모두 캐비티(61)를 향해 개구된 단면이 대략 사각형이며, 배면에서 봤을 때 후방부(63)의 폭 내에 들어가는 범위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한 것은 도시하지 않지만, 2개의 안내홈(66) 중, 하나의 안내홈(66)은, 후술하는 제1 스태빌라이저(26)가 진입 가능하도록 캐비티(61)의 상벽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안내홈(66)은, 후술하는 제2 스태빌라이저(33)가 진입 가능하도록 캐비티(61)의 일측벽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 금구(10)는, 본체부(11)와, 본체부(11)의 후방으로 이어지는 와이어 배럴부(12)와, 와이어 배럴부(12)의 후방으로 이어지는 인슐레이션 배럴부(13)를 구비하고 있다. 와이어 배럴부(12)는, 도시하지 않은 전선의 단말부에 있어서 피복의 제거에 의해 노출되는 심선부에 대해 압착에 의해 접속되고, 인슐레이션 배럴부(13)는, 전선의 단말부의 피복 바깥에 끼워진 도시하지 않은 고무 마개에 대해 압착에 의해 접속된다. 고무 마개는, 전선의 외측 둘레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됨과 함께, 단자 금구(10)가 캐비티(61)에 정규 삽입된 상태에서 고무 마개 수용부(67)의 내측 둘레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된다. 이에 따라, 커넥터 하우징(60)과 전선 사이가 액밀 상태로 시일되도록 되어 있다.
본체부(11)는 대략 각통형을 이루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벽을 구성하는 베이스벽(14)과, 베이스벽(14)의 폭방향 양쪽 단부로부터 서 있는 한쌍의 측벽(15)과, 양 측벽(15) 중 한쪽 측벽(15A)의 상단으로부터 다른쪽 측벽(15B)에 가설되는 제1 가설벽(16)과, 다른쪽 측벽(15B)의 상단으로부터 한쪽 측벽(15A)에 가설되고, 제1 가설벽(16)의 상면을 덮도록 제1 가설벽(16)에 겹쳐지는 제2 가설벽(17)을 갖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1) 내에는, 베이스벽(14)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되접히는 띠판형의 탄성 접촉편(18)이 설치되어 있다. 탄성 접촉편(18)은, 베이스벽(14)의 전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베이스벽(14)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휨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탄성 접촉편(18)에는, 엠보스형의 접점부(19)가 상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제1 가설벽(16)에는, 탄성 접촉편(18)과 대향하는 위치에, 편평한 사다리꼴의 받침부(20)가 하측으로 팽창하여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60)이 도시하지 않은 상대 커넥터 하우징에 감합되면, 상대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된 도시하지 않은 상대 단자 금구의 수형 태브가 본체부(11) 내에 삽입되고, 수형 태브가 탄성 접촉편(18)을 휘어지게 하면서 접점부(19)와 받침부(20) 사이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지지되는 것에 의해, 양 단자 금구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11) 내에는, 베이스벽(14)으로부터 일으켜 세워져 비스듬히 전방으로 돌출된 띠판형의 보조편(21)이 설치되어 있다. 보조편(21)이 탄성 접촉편(18)에 아래쪽에서 접촉함으로써, 탄성 접촉편(18)이 과도하게 휘어지는 것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도 2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1) 중, 한쪽 측벽(15A)과 제1 가설벽(16)의 연결 부분이 되는 모서리부에는, 전후 한쌍의 슬릿형의 고정 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가설벽(17)의 선단부에는, 양 고정 구멍(22)과 대응하는 위치에 전후 한쌍의 고정편(23)이 설치되어 있다. 양 고정편(23)이 절곡에 의해 양 고정 구멍(22)에 진입하여 고정됨으로써, 본체부(11)의 통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가설벽(17)에는, 전후 방향에 관해 양 고정편(23) 사이에 개구 구멍(24)이 전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 금구(10)를 평면에서 보면, 개구 구멍(24)을 통해서 제1 가설벽(16)의 상면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가설벽(17)의 후단 가장자리에는, 이 후단 가장자리의 폭방향 대략 중앙부를 위쪽으로 팽창시킨 단면이 대략 U자형인 고정 돌기부(25)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 돌기부(25)의 후측 가장자리는, 전후 방향에 관해 본체부(11)의 후단과 대략 동일 위치에 설치되며, 커넥터 하우징(60)에 도시하지 않은 리테이너가 장착되었을 때에, 리테이너에 고정되어 단자 금구(10)가 캐비티(61)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가설벽(17)에서의 개구 구멍(24)을 사이에 두고 전후 양측의 부분 중, 전방측의 부분에는, 개구 구멍(24)을 향하는 위치에, 제1 스태빌라이저(26)가 위쪽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스태빌라이저(26)는, 제2 가설벽(17)의 폭방향 대략 중앙부에 개구 구멍(24)의 전단과 대략 평행한 칼집(27)을 넣음으로써 그 칼집(27)과 개구 구멍(24)의 전단 사이에 형성되는 판조각 부분(28)을 위쪽으로 튀어 나오게 함으로써 대략 도어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스태빌라이저(26)는, 폭방향 중앙부에서 대략 폭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제1 꼭대기부(29)와, 폭방향 양단부에서 제1 꼭대기부(29)를 향해 경사져 이어지는 한쌍의 제1 베이스부(30)로 이루어진다. 제1 스태빌라이저(26)의 전단부는, 일으켜 세워진 판조각 부분(28)의 판두께면으로 구성되며, 단자 금구(10)의 삽입 자세가 부정확한 경우에 단자 금구(10)의 삽입 동작을 규제할 수 있는 제1 규제부(31)로 되어 있다. 제1 규제부(31)는, 정면에서 볼 때에는 제1 꼭대기부(29)로부터 양쪽 제1 베이스부(30)에 걸쳐서 대략 사다리꼴로 이어지는 형태이며, 도 2∼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에는 전후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이 되는 위쪽으로 대략 수직으로 솟아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스태빌라이저(26)의 후단부는, 배면에서 볼 때에는 제1 꼭대기부(29)로부터 양쪽 제1 베이스부(30)에 걸쳐서 대략 사다리꼴로 이어지는 형태이며, 측면에서 볼 때에는 전후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이 되는 위쪽으로 대략 수직으로 솟아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제1 스태빌라이저(26)의 후단부는, 랜스와 탄성적으로 고정 가능한 랜스 받침부(32)로서 구성된다.
또한, 도 3∼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1)의 양 측벽(15) 중, 다른쪽 측벽(15B)에는, 전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본체부(11)의 둘레 방향]으로 제1 스태빌라이저(26)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 스태빌라이저(33)가 측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스태빌라이저(33)는, 다른쪽 측벽(15B)의 높이 방향 대략 중앙부에 대략 평행하게 넣은 2개의 대향 칼집(34) 사이에 형성되는 띠판 부분(35)을 측방으로 튀어 나오게 함으로써 대략 도어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스태빌라이저(33)는, 전후 방향 중앙부에서 대략 전후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제2 꼭대기부(36)와, 전후 방향 양단부에서 제2 꼭대기부(36)를 향하여 경사져 이어진 한쌍의 제2 베이스부(37)로 이루어진다. 제2 스태빌라이저(33)의 제2 베이스부(37)의 전단부는, 일으켜 세워진 띠판 부분(35)의 판면으로 구성되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점차 후퇴하듯이 경사진 테이퍼형의 제2 규제부(38)로서 구성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스태빌라이저(33)의 제2 규제부(38)는, 단자 금구(10)의 삽입 자세가 부정확한 경우에 단자 금구(10)의 삽입 동작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2 스태빌라이저(33)의 제2 베이스부(37)의 후단부는, 마찬가지로 일으켜 세워진 띠판 부분(35)의 판면으로 구성되며, 평면에서 볼 때 점차 앞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진 테이퍼형의 사면(39)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전후 방향에 대한 제2 규제부(38)의 경사 각도는, 전후 방향에 대한 사면(39)의 경사 각도보다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스태빌라이저(26)와 제2 스태빌라이저(33)는 전후 방향에 관해 서로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세하게는, 제2 스태빌라이저(33)의 전후 방향의 길이 범위에 들어가는 위치에 제1 스태빌라이저(26)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스태빌라이저(33)의 제2 규제부(38)의 전단은, 제1 스태빌라이저(26)의 제1 규제부(31)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스태빌라이저(33)의 제2 규제부(38) 전체가, 제1 스태빌라이저(26)의 제1 규제부(31)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다음으로, 커넥터 하우징(60)에 대한 단자 금구(10)의 조립 양태를 설명한다.
커넥터 하우징(60)의 캐비티(61)에 후방으로부터 단자 금구(10)를 삽입한다. 단자 금구(10)의 캐비티(61)에 대한 삽입 과정에서는, 제2 스태빌라이저(33)의 제2 규제부(38)가 안내홈(66)에 삽입되고, 약간 지연되어 제1 스태빌라이저(26)의 제1 규제부(31)가 안내홈(66)에 삽입된다. 또한, 단자 금구(10)의 삽입 동작이 계속되면, 제1 스태빌라이저(26)와 제2 스태빌라이저(33)가 각각 대응하는 안내홈(66)의 홈면을 슬라이딩하여, 단자 금구(10)의 삽입 동작이 안내된다. 단자 금구(10)가 캐비티(61)에 정규 삽입되면, 본체부(11)의 랜스 받침부(32)에 랜스가 탄성적으로 고정되고, 이것에 의해 단자 금구(10)가 캐비티(61)에 빠짐 방지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단자 금구(10)가 정규의 삽입 자세를 취하지 않고, 예컨대 본체부(11)가 상하 반전되는 등의 부정확한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 과정에서 제2 스태빌라이저(33)의 제2 규제부(38)가 안내홈(66)에 삽입되지 않고 커넥터 하우징(60)의 안내면(65)에 접촉하여, 단자 금구(10)의 더 이상의 삽입 동작이 규제된다. 이 때문에, 단자 금구(10)의 삽입 동작이 규제됨으로써, 단자 금구(10)의 삽입 자세가 부정확하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부정확한 자세의 단자 금구(10)가 캐비티(61)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제2 스태빌라이저(33)의 제2 규제부(38)가 테이퍼형으로 경사진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60)의 안내면(65)이 손상될 우려가 적다.
이와 같이, 제2 스태빌라이저(33)의 제2 규제부(38)가 커넥터 하우징(60)의 안내면(65)에 접촉함으로써, 단자 금구(10)의 삽입 동작이 정지되면, 단자 금구(10)의 역삽입 방지 기능으로서 특별히 문제가 없다. 그러나, 커넥터 하우징(60)의 안내면(65)이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형의 형태이기 때문에, 제2 스태빌라이저(33)의 제2 규제부(38)가 안내면(65)을 슬라이딩하여 단자 금구(10)의 삽입 동작이 정지되지 않는 우려도 있을 수 있다.
그러한 점에서, 본 실시예의 경우, 만약 제2 스태빌라이저(33)의 제2 규제부(38)가 안내면(65)을 슬라이딩하더라도, 그 직후에 제1 스태빌라이저(26)의 제1 규제부(31)가 안내면(65)에 접촉함으로써, 단자 금구(10)의 더 이상의 삽입 동작이 규제된다. 이때, 제1 스태빌라이저(26)의 제1 규제부(31)가 전후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솟아 있는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 금구(10)의 삽입 동작을 확실히 정지시킬 가능성이 더 높다. 따라서, 부정확한 자세를 취한 단자 금구(10)가 캐비티(61)에 삽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더구나, 이 경우, 커넥터 하우징(60)에 대한 제1 스태빌라이저(26)의 접촉력(충격력)은, 제2 스태빌라이저(33)의 제2 규제부(38)가 제1 규제부(31)보다 먼저 안내면(65)에 접촉하고 있는 것에 의해 작게 억제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커넥터 하우징(60)의 안내면(65)이 손상될 우려가 적다. 그 결과,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단자 금구(10)의 역삽입 방지 기능이 지장 없이 발휘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스태빌라이저(26)가 본체부(11)에 넣은 칼집(27) 사이의 판조각 부분(28)을 일으켜 세우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제1 스태빌라이저(26)의 제1 규제부(31)가 판조각 부분(28)의 판두께면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후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솟아 있는 형태로 제1 규제부(31)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1 스태빌라이저(26)가 랜스 받침부(32)로서의 기능을 겸하기 때문에, 전용의 랜스 받침부(32)가 별도로 설치되는 경우에 비하여, 전체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커넥터 하우징(60)의 캐비티(61)의 후방부(63)가 전방부(62)보다 직경이 큰 고무 마개 수용부(67)로서 구성되며, 커넥터 하우징(60)의 캐비티(61)의 중간부(64)가 후방부(63)로부터 전방부(62)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형의 안내면(65)이 되기 때문에, 제2 스태빌라이저(33)의 제2 규제부(38)가 안내면(65)을 슬라이딩하여, 부정확한 자세를 취한 단자 금구(10)의 삽입 동작을 정지시킬 수 없을 우려가 비교적 높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스태빌라이저(26)의 제1 규제부(31)가 안내면(65)과 접촉함으로써, 부정확한 자세를 취한 단자 금구(10)의 삽입 동작을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단자 금구(10)의 역삽입을 방지하는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이상의 기재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다음과 같은 양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스태빌라이저가 접촉 가능한 커넥터 하우징의 대향하는 벽면은, 상기 안내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커넥터 하우징의 후면에서의 캐비티의 개구 가장자리부이어도 좋다.
(2) 단자 금구의 삽입 자세가 부정확할 때에, 제2 스태빌라이저의 제2 규제부가 제 1 스태빌라이저에 선행하여 커넥터 하우징의 대향하는 벽면에 접촉하는 것이라면, 제2 스태빌라이저의 제2 규제부의 후단은, 제1 스태빌라이저의 제1 규제부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3) 본체부에는, 제1 스태빌라이저 및 제2 스태빌라이저를 포함하는 3개 이상의 스태빌라이저가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4) 인슐레이션 배럴부는, 고무 마개가 아니라 전선의 단말부의 피복에 대해 압착에 의해 접속되는 것이어도 좋다.
10 : 단자 금구
11 : 본체부
26 : 제1 스태빌라이저
27 : 칼집
28 : 판조각 부분
31 : 제1 규제부(제1 스태빌라이저의 전단부)
32 : 랜스 받침부
33 : 제2 스태빌라이저
38 : 제2 규제부(제2 스태빌라이저의 전단부)
60 : 커넥터 하우징
61 : 캐비티
62 : 전방부
63 : 후방부
65 : 안내면
66 : 안내홈
67 : 고무 마개 수용부

Claims (4)

  1. 커넥터 하우징의 캐비티에 후방으로부터 삽입되는 통형상의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에는 전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스태빌라이저가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스태빌라이저가 각각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서의 상기 캐비티와 연통하는 안내홈에 진입함으로써, 상기 캐비티에 대한 삽입 동작이 안내되는 한편, 삽입 자세가 부정확한 경우에는, 상기 스태빌라이저의 전단부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대향하는 벽면에 접촉함으로써 그 이상의 삽입 동작이 규제되는 것인 단자 금구로서,
    상기 복수의 스태빌라이저는, 전단부가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솟아 있는 제1 스태빌라이저와, 전단부가 후퇴하듯이 경사진 제2 스태빌라이저를 가지며,
    상기 제2 스태빌라이저의 전단부는, 부정확한 삽입 자세를 취했을 때에 상기 제1 스태빌라이저에 선행하여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대향하는 벽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1 스태빌라이저보다 전방에 전단부 위치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금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태빌라이저는, 상기 본체부에 칼집을 넣어 형성한 판조각 부분을 일으켜 세우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제1 스태빌라이저의 전단부는, 상기 판조각 부분의 판두께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금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태빌라이저의 후단부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캐비티에 형성된 랜스와 접촉하여 상기 캐비티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규제하는 랜스 받침부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금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단자 금구를 구비한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캐비티의 후방부는, 전방부보다 직경이 큰 고무 마개 수용부로서 구성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캐비티는, 상기 후방부로부터 상기 전방부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형의 안내면이 되고, 상기 본체부가 부정확한 삽입 자세를 취하는 경우에 상기 안내면에 상기 스태빌라이저의 전단부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50033072A 2014-03-13 2015-03-10 단자 금구 및 커넥터 KR1016908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50508A JP6132207B2 (ja) 2014-03-13 2014-03-13 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JPJP-P-2014-050508 2014-03-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629A KR20150107629A (ko) 2015-09-23
KR101690861B1 true KR101690861B1 (ko) 2016-12-28

Family

ID=54069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072A KR101690861B1 (ko) 2014-03-13 2015-03-10 단자 금구 및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70854B2 (ko)
JP (1) JP6132207B2 (ko)
KR (1) KR101690861B1 (ko)
CN (1) CN1049169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60545A (ja) * 2013-02-19 2014-09-04 Sumitomo Wiring Syst Ltd 雌端子金具
JP2014170709A (ja) * 2013-03-05 2014-09-18 Sumitomo Wiring Syst Ltd 雌端子金具
CN105284010B (zh) 2013-06-07 2019-06-21 安费诺富加宜(亚洲)私人有限公司 线缆连接器
US10230189B2 (en) * 2013-12-03 2019-03-12 Amphenol Fci Asia Pte Ltd Connector and pin receiving contact for such a connector
JP6132207B2 (ja) * 2014-03-13 2017-05-24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JP5895973B2 (ja) * 2014-06-12 2016-03-30 第一精工株式会社 導電端子
JP6563272B2 (ja) * 2015-08-04 2019-08-2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端子
US9780477B1 (en) * 2016-06-01 2017-10-03 Lear Corporation Box terminal with insertion limiter
JP6776098B2 (ja) * 2016-11-14 2020-10-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および電気コネクタ
DE102016125764A1 (de) * 2016-12-28 2018-06-28 Lear Corporation Zweistückige elektrische clean-body-anschlussbuchse
JP6821807B2 (ja) 2017-01-23 2021-01-27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電気端子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6543284B2 (ja) * 2017-02-10 2019-07-10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雌型コンタクト、及び、コンタクトの嵌合構造
CN110431715B (zh) * 2017-03-22 2022-02-11 赫斯曼汽车有限公司 用于插接连接器的接触元件
JP2019133759A (ja) * 2018-01-29 2019-08-0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9153502A (ja) * 2018-03-05 2019-09-1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TW201941505A (zh) 2018-03-16 2019-10-16 美商Fci美國有限責任公司 高密度電連接器
JP7256961B2 (ja) * 2019-09-17 2023-04-1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端子金具
JP7435362B2 (ja) * 2020-08-25 2024-02-21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および連鎖端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8330A (ja) 2003-11-21 2005-06-16 Smk Corp コネクタソケット
JP2009117244A (ja) 2007-11-08 2009-05-28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2348A (ja) * 1995-10-04 1997-04-1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3062928B2 (ja) * 1996-04-26 2000-07-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ンタクト
US5928034A (en) * 1996-07-30 1999-07-27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with terminal locking and locking assurance features
JP3440719B2 (ja) * 1996-11-08 2003-08-25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逆挿入防止構造
JPH11219744A (ja) * 1997-11-25 1999-08-10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及び防水コネクタ
JP4075825B2 (ja) * 2004-02-26 2008-04-16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金具
US7377820B2 (en) * 2004-11-19 2008-05-27 J.S.T. Corporation Terminal having a protrusion for preventing incorrect insertion
JP2006179362A (ja) * 2004-12-24 2006-07-06 Jst Mfg Co Ltd 接続端子およびそれを備えたコネクタ
JP2007141509A (ja) * 2005-11-15 2007-06-07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JP2009117112A (ja) * 2007-11-05 2009-05-28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US20100317212A1 (en) * 2009-06-15 2010-12-1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nd cap assembly for a light tube
JP5396310B2 (ja) * 2010-03-01 2014-01-2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510010B2 (ja) * 2010-04-07 2014-06-04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2012174432A (ja) * 2011-02-18 2012-09-10 Yazaki Corp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5772468B2 (ja) * 2011-10-06 2015-09-0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132207B2 (ja) * 2014-03-13 2017-05-24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8330A (ja) 2003-11-21 2005-06-16 Smk Corp コネクタソケット
JP2009117244A (ja) 2007-11-08 2009-05-28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32207B2 (ja) 2017-05-24
KR20150107629A (ko) 2015-09-23
CN104916994B (zh) 2017-11-17
CN104916994A (zh) 2015-09-16
US9570854B2 (en) 2017-02-14
JP2015176670A (ja) 2015-10-05
US20150263456A1 (en) 2015-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0861B1 (ko) 단자 금구 및 커넥터
KR101631792B1 (ko) 커넥터
JP6119670B2 (ja) コネクタ
KR101738396B1 (ko) 커넥터 단자
US8210873B2 (en) Connector
US6227915B1 (en) Female terminal fitting
KR20160140957A (ko) 커넥터
JP6150172B2 (ja) コネクタ
KR101740064B1 (ko) 커넥터
KR101797825B1 (ko) 커넥터
US9099812B2 (en) Connector
JP2015170489A (ja) コネクタ
KR102119085B1 (ko) 커넥터
US11031718B2 (en) Connector with a housing having a locking lance with a restricting portion to restrict outward deformation of the locking lance
JP5787230B2 (ja) コネクタ
KR101676941B1 (ko) 커넥터
JP6119671B2 (ja) コネクタ
KR101723298B1 (ko) 커넥터 하우징
KR101690801B1 (ko) 커넥터
JP7202531B2 (ja) コネクタ
JP6004279B2 (ja) コネクタ
KR20150115640A (ko) 커넥터
CN107681335B (zh) 电连接器
KR20190105500A (ko) 커넥터
KR101805990B1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