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0064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0064B1
KR101740064B1 KR1020110100200A KR20110100200A KR101740064B1 KR 101740064 B1 KR101740064 B1 KR 101740064B1 KR 1020110100200 A KR1020110100200 A KR 1020110100200A KR 20110100200 A KR20110100200 A KR 20110100200A KR 101740064 B1 KR101740064 B1 KR 101740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housing
holder
sub
sub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0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6754A (ko
Inventor
시게토 가타오카
도시후미 미야모토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36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01R13/5208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having at least two cable receiving open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로킹 스트립(59)의 전단부들은 그 길이 방향으로 서로 편위되어 있다. 서브 하우징(31)의 로킹부 수용부(37)의 전단부들은 그 길이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홀더(50)가 서브 하우징(31)에 대하여 정상 장착 자세를 취하면, 각 로킹 스트립(59)이 탄성 동작을 실행할 때에, 모든 로킹부(60)가 각각 대응 로킹부 수용부(37)에 감합된다. 이로써, 홀더(50)는 서브 하우징(31)에 의해 유지된다. 홀더(50)가 서브 하우징(31)에 대하여 부정확한 장착 자세를 취하면, 로킹부(60) 중 적어도 하나는 대응 로킹부 수용부(37)에 감합될 수 없다. 이로써, 홀더(50)가 서브 하우징(3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커넥터가 일본 특허 공개 제2003-7758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커넥터는 단자 피팅이 각각 삽입될 수 있는 캐비티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집합적 고무 스토퍼가 하우징의 후단부에 배치된 오목 수납부 내측에 수납되고, 홀더가 후방으로부터 하우징 상에 장착되어 집합적 고무 스토퍼를 하우징 상에 유지한다. 전선 밀착 구멍이 집합적 고무 스토퍼에 관통 형성되고, 각 단자 피팅에 접속된 전선이 각각 전선 밀착 구멍을 통해 액밀식으로 삽입된다.
전선 삽입 구멍이 홀더에 관통 형성되고, 전선이 각 전선 삽입 구멍을 자유 이동 가능한 상태로 통과한다. 2개의 로킹 스트립이 홀더 상에서 전방으로 돌출하고, 각 로킹 스트립의 전단부 근처에 로크가 형성된다. 로크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하우징의 외면에 로크 수용부가 형성된다.
홀더를 커넥터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로크는 각각 대응 로크 수용부와 간섭한다. 이에 따라, 양 로킹 스트립이 외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홀더가 커넥터에 정확하게 장착되어 있으면, 양 로킹 스트립은 원래의 상태로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로크가 대응 로크 수용부에 감합되어, 홀더를 하우징 상에 유지한다.
홀더의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리브가 돌출하고, 오목 수납부의 내면에 리브 수용부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홀더가 정확한 장착 자세로 있으면, 리브는 리브 수용부에 감합되어, 홀더를 하우징 상에 장착할 수 있다. 한편, 홀더가 부정확한 장착 자세로 있으면, 리브가 리브 수용부에 감합되지 않으므로, 홀더를 하우징 상에 장착하는 동작이 정지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3-77583호 공보
부정확한 방위로 있는 홀더의 리브에 의해, 홀더를 오목한 수납부 내를 관통하여 부정확한 자세로 정상 장착 위치에 도달시키기에 충분하게 오목 수납부의 벽이 부풀어 오를 수 있다. 따라서 홀더가 부정확한 장착 자세로 하우징에 의해 유지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상황을 고려하여 개발된 것으로, 홀더가 하우징에 오장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자 피팅을 수용하는 캐비티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의 후단부에 집합적 고무 스토퍼가 배치되고, 이 고무 스토퍼에는 전선 밀착 구멍이 마련된다. 각 단자 피팅에 접속된 전선은 전선 밀착 구멍을 액밀식으로 관통한다. 하우징 상에 장착된 홀더에 의해, 집합적 고무 스토퍼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홀더는 전선이 자유 이동 가능한 상태로 삽입될 수 있는 전선 삽입 구멍을 갖는다. 홀더로부터 전방으로 로킹 스트립이 돌출한다. 각 로킹 스트립의 전단부에 로크가 형성되고 대응 로크 수용부가 하우징에 형성된다. 홀더의 로킹 스트립의 전단부들은 그 길이 방향으로 서로 편위되어 있고, 하우징의 로크 수용부의 전단부들은 길이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있다. 홀더가 하우징에 대하여 정상 장착 자세로 있으면, 로킹 스트립이 탄성적으로 복원된 후에 모든 로크가 로크 수용부에 각각 감합되어, 홀더가 하우징에 대하여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홀더가 하우징에 대하여 부정확한 장착 자세로 있으면, 로크 중 적어도 하나가 대응 로크 수용부에 갑합될 수 없어, 홀더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를 하우징 상에 정확한 장착 자세로 유지할 수 없으므로, 하우징 상에 잘못 장착되는 일이 없다.
하우징의 로크 수용부로부터 후방에 벽이 형성될 수도 있다. 홀더가 하우징에 대하여 부정확한 장착 자세로 있으면, 홀더가 하우징에 대하여 소정의 정상 장착 위치로 가압될 때에 로킹 스트립 중 적어도 하나가 벽 위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조작자는 홀더가 부정확한 장착 자세로 있는 것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하우징의 로크 수용부부터 전방에 벽이 형성될 수도 있고, 벽 위에 배치된 로킹 스트립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벽으로부터 돌출한다. 이에 따라라, 조작자는 홀더가 부정확한 장착 자세로 있는 것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홀더가 하우징에 오장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커넥터의 후면도이다.
도 2는 본체 하우징의 후면도이다.
도 3은 본체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서브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홀더의 후면도이다.
도 6은 홀더의 측면도이다.
도 7은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8은 홀더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서브 하우징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서브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서브 하우징의 후면도이다.
도 12는 서브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부정확한 자세를 갖는 홀더가 서브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전선 커버가 하우징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전선 커버가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하우징의 주요부의 단면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하우징(10), 서브 커넥터(30) 및 전선 커버(70)를 구비한다. 서브 커넥터(30)는 서브 하우징(31), 집합적 고무 스토퍼(40) 및 홀더(50)를 구비한다.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도시 생략)에 감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대 하우징에 감합되는 하우징(10)의 단부를 전방으로 지칭하고, 도 1의 방위를 기초로 상하 방향을 참조한다.
하우징(10)은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큰 사각형 박스의 형태를 갖는다. 하우징(10)의 내측에 복수의 수납 오목부(11)가 상하 방향으로 3단으로, 폭 방향으로 복수의 열로 형성된다. 수납 오목부(11)의 후단은 하우징(10)의 후면에서 개방되고, 수납 오목부(11)의 개방부는 상이하게 구성된다. 서브 커넥터(30)는 내부에 수납된 후단으로부터 수납 오목부(11) 내로 삽입될 수 있다. 각 수납 오목부(11)의 개방 가장자리는 폭 방향으로 양 단부에서 상부 및 하부 코너의 구성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수납 오목부(11)의 개방 가장자리의 상부 및 하부 코너 중 하나는 곡률반경이 큰 제1 만곡면(12)을 갖는 반면에, 상부 및 하부 코너 중 다른 하나는 곡률반경이 작은 제2 만곡면(13)을 갖는다.
탄성 변형 가능한 하우징 로크(14; 도 2 참조)가 각 수납 오목부(11)의 폭 방향 양 측면에 형성된다. 전방 벽(15)이 각 수납 오목부(11; 도 3 참조)의 전단부를 폐쇄한다. 폭 방향으로 각 수납 오목부(11)의 양측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전방 벽(15)에 창(16)이 개구된다. 수납 오목부(11)의 전방으로부터 창(16)을 통하여 각 하우징 로크(14)의 전단 부분을 볼 수 있다. 전방 벽(16)을 관통하여 탭 삽입 구멍(17)이 개구되어 있다. 상대 커넥터에 장착된 상대 단자 피팅의 수형 탭(도시 생략)이 전방으로부터 각 탭 삽입 구멍(17)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수납 오목부(11)와는 별개로 폭 방향으로 하우징(10)의 하단 부분의 일측에 캐비티(19)의 그룹(18)이 형성된다. 캐비티(19)는 그룹(18)으로 일렬로 형성되고, 큰 단자 피팅(도시 생략)이 후방으로부터 캐비티(19)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둘레벽(20)이 수납 오목부(11)를 둘러싸고, 각 수납 오목부(11)의 둘레벽(20)의 후면을 잘라냄으로써 리브 수용 홈(21)이 형성된다. 리브 수용 홈(21)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이다. 리브 수용 홈(21)은 대응 수납 오목부(11)에 개구되고, 수납 오목부(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하부 열의 수납 오목부(11)에 개구된 리브 수용 홈(21)은, 하나의 리브 수용 홈(21)을 제외하고 중간 열의 수납 오목부(11)에도 개구된다. 중간열의 수납 오목부(11)에 개구된 리브 수용 홈(21)은 상부 열의 수납 오목부(11)에도 개구된다. 상부 열의 수납 오목부(11)에 개구된 리브 수용 홈(21)은 하우징(10)의 상면에도 개구된다.
하우징(10)의 후면의 상단 및 하단 각각에는 2개의 요홈(22)이 형성된다. 각 요홈(22)은 리브 수용 홈(21)보다 좁은 폭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폭 방향으로 하우징(10)의 하부 부분의 일측의 요홈(22)은 캐비티(19)의 각 그룹(18)의 하단을 따라 배치되는 반면에, 나머지 요홈(22)은, 폭 방향으로 상부 열의 양측 및 리브 수용 홈(21)이 개구되지 않은 폭 방향으로 하부 열의 타측에 배치된 수납 오목부(11)에 개구된다.
수납 오목부(11)의 리브 수용 홈(21) 및 그 요홈(22)의 위치는 각 수납 오목부(11)에서 상이하다. 하우징(10)의 양측의 요홈(22)은 폭 방향으로 하우징(10)의 중심에 대하여 거의 대칭으로 배치된다.
요홈(22)의 중심부에 보다 인접한 위치에서 하우징(10)의 상면 및 하면에서 2개의 커버 로크(23)가 돌출한다. 전선 커버(70)가 각 커버 로크(23)에 탄성적으로 로크될 수 있다.
서브 커넥터(30)는 수납 오목부(11)에 각각 끼워지도록 상이한 형상을 갖는다. 각 서브 커넥터(30)는 합성수지제의 서브 하우징(31)을 구비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하우징(31)의 내측에 가로 열로 캐비티(32)가 형성되고, 후방으로부터 각 캐비티(32) 내로 단자 피팅(100)이 삽입될 수 있다. 단자 피팅(100)은 전선(200)의 단부에 접속된다. 단자 피팅(100)이 각 캐비티(32)에 삽입될 때에 전선(200)은 서브 커넥터(3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인출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하우징(31)의 하면 상에서 폭 방향으로 장착 구멍(33)이 연장되고 모든 캐비티(32)와 연통한다. 장착 구멍(33) 내로 리테이너(300)가 삽입된다. 리테이너(300)는, 장착 구멍(33) 내로 깊이 삽입된 임시 로킹 위치와 장착 구멍(33) 내로 얕게 삽입된 메인 로킹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리테이너(300)는 임시 로킹 위치에서 캐비티(32)로부터 오프셋되어 단자 피팅을 캐비티(32)에 대하여 삽입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리테이너(300)는 메인 로킹 위치에서 캐비티(32) 내로 이동하여 단자 피팅이 캐비티(32)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서브 하우징(31)의 각 측면에 가이드 홈(34)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서브 하우징(31)의 전단부 근방에서 각 가이드 홈(34)의 내측에 로킹 돌기(35)가 형성된다. 로킹 돌기(35)는 상하 2개의 부분으로 분리되고, 로킹 돌기(35)의 두 부분 사이에 지그 삽입 홈(36)이 형성된다. 하우징 로크(14)는 서브 커넥터(30)를 수납 오목부(11)의 내측에 수납하는 과정에서 전방으로부터 가이드 홈(34) 내로 삽입되어, 서브 하우징(31)이 수납 오목부(11) 내에 소정 깊이로 수납되어 있을 때 로킹 돌기(35)를 탄성적으로 로크한다. 이에 따라, 서브 커넥터(30)가 수납 오목부(11) 내에 확실하게 유지된다. 하우징(10)의 창(16)을 통하여 지그 삽입 홈(36) 내로 지그(도시 생략)를 이동시켜, 지그의 전단부가 하우징 로크(14)를 로킹 해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 하우징(31)이 수납 오목부(11)로부터 후방으로 당겨질 수 있다.
폭 방향으로 서브 하우징(31)의 각 측면에 오목하게 로킹부 수용부(37)가 형성되고 서브 하우징(31)의 상면 및 하면에 개구된다. 상부 및 하부 벽(38)이 가이드 홈(34)을 서로 구획하고, 절결되어 로킹부 수용부(37)를 형성한다. 로킹부 수용부(37)는 개구 부분의 구조를 서로 상이하게 함으로써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로킹부 수용부(37)의 후단부들은 서브 하우징(31)의 길이 방향으로 동일 위치에 배치되고, 로킹부 수용부(37)의 전단부들은 길이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다. 하나의 로크 수용부(37A)는 다른 로크 수용부(37B)보다 큰 개구 치수를 갖는다. 로크 수용부(37A)의 전단부는 장착 구멍(33)의 바로 후방에 위치 결정된다(도 4 참조).
로크 수용부(37B)의 바로 전방의 위치에서 가이드 홈(34)으로부터 전방 벽(38B; 도 4 참조)이 돌출한다. 전방 벽(38B)의 돌출 거리는 로킹 돌기(35)의 돌출 거리와 거의 동일하다. 지그 삽입 홈(36)이 전방 벽(38B)의 전방에 위치 결정된다. 전방 벽(38B)의 전면은 지그 삽입 홈(36)을 형성하는 슬라이드 다이에 의해 형성된다.
집합적 고무 스토퍼(40)는 서브 하우징(31)의 후방에 배치되고, 실리콘 고무와 같은 고무로 제조되고 폭 방향으로 좁은 본체(41; 도 4 참조)를 갖는다. 본체(41)는 서브 하우징(31)의 후면에 밀착된다. 캐비티(32)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본체(41)에 전선 밀착 구멍(42)이 형성된다. 단자 피팅에 각각 접속된 전선(200)이 각 전선 밀착 구멍(42)에 액밀식으로 삽입된다. 각 전선 밀착 구멍(42)의 내면에 원주 방향으로 내주 립(43)이 형성된다. 각 내주 립(43)은 전선(200)의 외면과 탄성적으로 밀착된다. 본체(41)의 외면에 원주 방향으로 외주 립(44)이 형성된다. 각 외주 립(44)은 수납 오목부(11)의 내벽과 탄성적으로 밀착된다.
폭 방향으로 집합적 고무 스토퍼(40)의 양 단부에 로킹 스트립 삽입 구멍(45)이 형성된다. 각 로킹 스트립 삽입 구멍(45)은 원형 단면을 갖고, 전선 밀착 구멍(42)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각 로킹 스트립 삽입 구멍(45)의 내면에 원주 방향으로 내주 립(46)이 형성된다.
홀더(50)는, 집합적 고무 스토퍼(40)가 서브 하우징(31)과 홀더(50) 사이에 있도록 서브 하우징(31)의 후방에 배치된다. 홀더(50)는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캡 형상을 갖는다. 홀더(50)는 서브 하우징(31)을 넘어서 돌출하도록 서브 하우징(31)보다 약간 크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50)는 폭 방향으로 좁은 본체(51)를 갖고, 이 본체(51)의 둘레로부터 전방으로 튜브(52)가 돌출한다. 홀더(50)의 내측에 고무 스토퍼 수납부(53)가 형성되어 집합적 고무 스토퍼(40)를 수용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52)의 외면 상에서 리브(54)가 돌출하고 튜브(52)의 전단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후방으로 연장된다. 각 리브(54)는 요홈(22)의 대응 리브 수용 홈(21)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리브(54)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는 서브 커넥터(30)마다 상이하다.
본체(51)의 외부 가장자리의 구조는 수납 오목부(11)의 구조와 대응한다. 본체(51)의 외면의 상부 및 하부 코너 중 하나가 수납 오목부(11)의 제1 만곡면(12)에 대응하는 제3 만곡면(55)으로 설정되는 한편, 상기 상부 및 하부 코너 중 다른 하나가 수납 오목부(11)의 제2 만곡면(13)에 대응하는 제4 만곡면(56)으로 설정된다.
캐비티(32) 및 전선 밀착 구멍(4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51)를 통하여 전선 삽입 구멍(57)이 연장된다. 단자 피팅(100)에 접속된 전선(200)은 전선 삽입 구멍(57)을 통하여 자유 이동 상태로 삽입된다.
본체(51)의 전방면에 형성된 후육부(58)가 튜브(52) 내로 돌출하고 각 전선 삽입 구멍(57)이 상기 후육부(58)를 관통한다. 전선 삽입 구멍(57)의 양측에서 후육부(58)의 전방면으로부터 로킹 스트립(59)이 돌출한다. 로킹 스트립(59)은 각주형이며, 각 로킹 스트립 삽입 구멍(45)에 감합될 수 있다. 각 로킹 스트립(59)은, 로킹 스트립(59)과 후육부(58)가 결합되는 피벗 점을 중심으로 내외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로킹 스트립(59)의 내면에 로킹부(60)가 형성된다.
로킹부(60)의 전방면에 테이퍼진 가이드면(61)이 형성된다. 로킹부(60)의 후방면에 오버행 구조를 갖는 로킹면(62; 도 7 참조)이 형성된다. 로킹면(62)은 로킹 스트립(59)의 내면을 잘라 냄으로써 오목부(63)를 형성할 때에 형성된다.
로킹 스트립(59)의 전단부들은 홀더(5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변위되어 있다. 이 경우에, 로킹 스트립(59A)의 전단부는 다른 로킹 스트립(59B)의 전단부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로킹 스트립(59A, 59B)의 로킹부(60)의 후단부들은 홀더(50)의 길이 방향으로 동일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로킹 스트립(59A)의 로킹부(60)의 길이 방향의 돌출 길이는 로킹 스트립(59B)의 로킹부(60)의 돌출 길이보다 길다.
로킹 스트립(59A)의 로킹부(60)는 하나의 로크 수용부(37A)에 감합되는 사이즈로 구성되고, 로킹 스트립(59B)의 로킹부(60)는 다른 로크 수용부(37B)에 감합되는 사이즈로 구성된다. 따라서 로킹 스트립(59A)의 로킹부(60)는 다른 로크 수용부(37B)에 감합될 수 없고, 다른 로킹 스트립(59B)의 로킹부(60)는 상기 하나의 로크 수용부(37A)에 감합될 수 없다.
전선 커버(70)는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캡 형상을 갖는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 커버(70)는 하우징(10)의 후방면에 대향하는 후방판(71)을 구비하고, 이 후방판(71)의 양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으로 2개의 측판(72)이 돌출한다. 폭 방향으로 전선 커버(70)의 일측은 측판(72)에 의해 폐쇄되고, 폭 방향으로 전선 커버(70)의 타측은 개구되어 있다. 전선 커버(70)는 서브 커넥터(30)의 후방면으로부터 인출된 전선(200)을 덮는 상태로 하우징(10)에 장착된다. 전선 커버(70)가 하우징(10)에 장착되면, 전선(200)은 후방판(71)에 의해 전선 커버(70)의 폭 방향 일측으로 강제로 구부러지고, 전선 커버(70)의 외측으로 인출된다.
전선 커버(70)의 폭 방향으로 각 측판(72)의 전방 가장자리로부터 로킹 레그(73)가 돌출한다. 각 로킹 레그(73)는 각 측판(72)의 전방 가장자리에서 개구된 한 쌍의 슬릿(74)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게 형성된다. 각 로킹 레그(73)에 로킹 구멍(75)이 형성된다. 로킹 레그(73)보다 전선 커버(70)의 양 단부에 근접한 위치에서 각 측판(72)의 전방 가장자리로부터 2개의 돌출 스트립(77)이 돌출한다. 각 돌출 스트립(77)은 대략 사각형의 판이다. 각 돌출 스트립(77)의 전단부는 로킹 레그(73)의 전단부와 거의 일치한다. 돌출 스트립(77)은 로킹 레그(73)보다 두껍고, 실질적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없다. 돌출 스트립(77)을 측판(72)의 내측에 위치시키고 돌출 스트립(77)을 로킹 레그(73)로부터 측판(72)의 두께 방향으로 변위시킴으로써, 돌출 스트립(77)이 전선 커버(7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서브 커넥터(30)의 후방면으로부터 인출된 전선(200)은 집합적 고무 스토퍼(40)의 전선 밀착 구멍(42) 및 홀더(50)의 전선 삽입 구멍(57) 내로 삽입된다. 그 후, 집합적 고무 스토퍼(40)가 홀더(50)의 고무 스토퍼 수납부(53)의 내측에 수납된 상태로 홀더(50)가 서브 하우징(31)에 장착된다. 홀더(50)를 서브 하우징(31)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로킹부(60)의 가이드면(61)은 가이드 홈(34)의 내면 상에서 벽(39)과 접촉한다. 그 결과, 로킹 스트립(59)이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50)가 서브 하우징(31)에 적절하게 장착된 때에, 로킹 스트립(59)은 원래의 상태로 탄성적으로 복원된다. 그 결과, 로크는 대응 로킹부 수용부(37)에 감합되고, 로킹부(60)의 로킹면(62)은 로킹부 수용부(37)의 후방 가장자리에 로크되어 서브 하우징(31)에 의해 홀더(50)를 유지한다. 이 때에, 집합적 고무 스토퍼(40)의 전방면은 서브 하우징(31)의 후방면과 밀착되고, 집합적 고무 스토퍼(40)의 후방면은 홀더(50)의 후육부(58)의 전방면과 밀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홀더(50)가 서브 하우징(31)에 대하여 적절한 장착 자세를 취할 때, 하나의 로킹 스트립(59A)의 로킹부(60)가 하나의 로크 수용부(37A)에 감합되고, 다른 로킹 스트립(59B)의 로킹부(60)는 다른 로크 수용부(37B)에 감합된다. 한편, 홀더(50)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하우징(31)에 대하여 부정확한 자세(전도된 자세)를 취하면, 다른 로킹 스트립(59B)의 로킹부(60)는 다른 로크 수용부(37B)에 감합되지만, 하나의 로킹 스트립(59A)의 로킹부(60)는 다른 로크 수용부(37B)에 감합될 수 없고 벽(39) 위에 배치된다.
홀더(50)가 서브 하우징(31)에 대하여 부정확한 자세를 취하면, 하나의 로킹 스트립(59A)의 로킹부(60)는 벽(38B)과 간섭한다. 이에 따라, 로킹 스트립(59A)이 전방으로 더욱 압박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홀더(50)는 하나의 로킹 스트립(59A)의 측면에서 서브 하우징(31)에 로크되지 않고, 서브 하우징(31)으로부터의 분리가 허용된다. 홀더(50)가 서브 하우징(31)에 대하여 부정확한 자세를 취하면, 홀더(50)는 미고정 상태로 있으며, 하나의 로킹 스트립(59A)의 전방 코너가 서브 하우징(31)의 외면을 넘어서 돌출하는 상태로, 서브 하우징(31)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이 상태를 시각적으로 검사함으로써, 조작자는 홀더(50)가 부정확한 자세로 있다는 것을 용이하면서도 확실하게 알 수 있다.
서브 커넥터(30)는 홀더(50)를 서브 하우징(31) 상에 장착함으로써 구성된다. 그 후, 서브 커넥터(30)가 대응 수납 오목부(11) 내에 수납된다. 서브 커넥터(30)는 주로, 리브(54)를 대응 리브 수용 홈(21) 또는 요홈(22) 내로 삽입함으로써 잘못된 수납 오목부(11)의 내측에 수용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54)는 간극 없이 리브 수용 홈(21) 내로 감합되거나, 요홈(22) 내측의 리브(54)들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두고 요홈(22)의 폭 방향 단부에 삽입된다.
서브 커넥터(30)가 정확한 자세로 대응 수납 오목부(11) 내에 수납되면, 홀더(50)의 본체(51)가 수납 오목부(11)의 내측에 감합되고, 제3 및 제4 만곡면(55, 56)은 각각 제1 및 제2 만곡면(12, 13)을 따라 배치된다. 한편, 조작자가 서브 커넥터(30)를 뒤집힌 자세로 대응 수납 오목부(11) 내로 삽입하고자 하면, 제4 만곡면(56)이 제1 만곡면(12)과 간섭하여 뒤집힌 서브 커넥터(30)가 수납 오목부(11) 내로 더 이상 삽입되는 것을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4 만곡면(12, 13, 55, 56)은 역삽입 방지부로서 기능하여, 서브 커넥터(30)가 뒤집힌 상태로 수납 오목부(11) 내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 후,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 커버(70)가 후방으로부터 하우징(10) 상에 장착된다. 전선 커버(70)가 하우징(10) 상에 장착되면, 대응 커버 로킹부(23)가 각 로킹 레그(73)의 로킹 구멍(75)에 탄성적으로 감합된다. 이에 따라, 전선 커버(70)가 하우징(10)에 의해 유지된다. 전선 커버(70)가 하우징(10) 상에 장착되면, 돌출 스트립(77)이 대응 요홈(22) 내로 삽입된다. 이 경우에, 돌출 스트립(77)은 각각 수납 오목부(11)와 연통하는 요홈(22) 내측에 있고, 돌출 스트립(77) 및 리브(54)는 나란히 배치된다(도 15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 각 돌출 스트립(77)은 리브(54)들 사이의 간극에 배치된다. 돌출 스트립(77)을 요홈(22) 내로 각각 삽입함으로써, 전선 커버(70)의 측판(72)은 탄성적으로 외측으로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돌출 스트립(77)은 전선 커버(7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수납 오목부(11)에 대응하는 서브 커넥터(30)와 상이한 다른 서브 커넥터(30B)가 수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하우징(10)의 폭방향 중앙부의 상부 열의 수납 오목부(11B)에 수납되어야 하는 서브 커넥터(30B)는 폭방향으로 하우징(10)의 측면의 상부의 열의 수납 오목부(11A)에 수납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요홈(22)이 폭 방향으로 좁아서, 다른 서브 커넥터(30B)의 리브(54)가 요홈(22) 내로 삽입되기 때문이다.
다른 서브 커넥터(30B)가 실수로 수납 오목부(11A) 내에 삽입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상태로 조작자가 전선 커버(70)를 하우징(10)에 장착하고자 할 때에, 돌출 스트립(77)은 다른 서브 커넥터(30B)의 리브(54)[서브 커넥터(30B)의 폭 방향의 중앙부의 리브(54B)]와 간섭한다. 이에 따라, 돌출 스트립(77)을 요홈(22) 내로 추가로 삽입하는 동작이 정지된다. 전선 커버(70)를 하우징(10) 상에 장착하는 동작이 정지되기 때문에, 이에 따라 다른 서브 커넥터(30B)가 잘못된 수납 오목부(11) 내에 수납되는 것이 방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홀더(50)의 로킹 스트립(59)의 전단부들은 그 길이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 있으며, 로킹부 수용부(37)의 전단부들은 그 길이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홀더(50)가 서브 하우징(31)에 대하여 부정확한 장착 자세를 취하면, 하나의 로킹 스트립(59A)의 로킹부(60)는 대응 로크 수용부(37A)에 감합될 수 없다. 이에 따라, 부정확한 장착 자세로 서브 하우징(31)에 의해 유지되지 않고 홀더(50)가 서브 하우징(3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 결과, 홀더(50)가 서브 하우징(31)에 잘못 장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서브 하우징(31)에 대하여 부정확한 자세로 있는 홀더(50)가 정상 장착 위치로 가압되면, 하나의 로킹 스트립(59A)이 서브 하우징(31)의 벽(39) 위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조작자는, 상기 상태를 시각적으로 검사하여 홀더(50)가 부정확한 장착 자세를 취하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벽(39) 위에 배치된 하나의 로킹 스트립(59A)이 다른 벽(38B)으로부터 돌출한다. 이에 따라, 조작자는 홀더(50)가 부정확한 장착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리브(54)를 요홈(22) 내로 각각 삽입함으로써, 서브 커넥터(30)는, 다른 서브 커넥터(30)가 수납되어야 하는 수납 오목부와는 상이한 수납 오목부(11) 내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 조작자가 전선 커버(70)를 하우징(10) 상에 장착하고자 하면, 돌출 스트립(77)이 요홈(22) 내로 삽입된 리브(54)와 간섭한다. 이에 따라, 전선 커버(70)를 하우징(10) 상에 장착하는 동작이 정지된다. 전선 커버(70)를 하우징(10) 상에 장착할 수 없다고 하는 것은, 조작자에게 서브 커넥터(30)가 잘못된 수납 오목부(11) 상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알리는 것이다. 서브 커넥터(30)가 정상 장착 자세를 취할 때, 요홈(22)은 리브(54) 및 돌출 스트립(77)에 대하여 공통으로 사용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10)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홀더(50)의 외면 및 수납 오목부(11)의 내면 상의 제1 내지 제4 만곡면(12, 13, 55, 56)은 역삽입 방지부로서 기능한다. 이에 따라, 뒤집힌 서브 커넥터(30)는 수납 오목부(11) 내로 삽입될 수 없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고로 하는 전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하의 실시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또한 포함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로크 수용부가 돌출 구조를 갖고, 이 로크 수용부에 감합될 수 있는 로킹 스트립이 홈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홀더에 3개 이상의 로킹 스트립이 형성될 수도 있고, 하우징에 3개 이상의 로크 수용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리브는 서브 하우징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Claims (10)

  1. 복수의 단자 수용 캐비티(32)와 복수의 로킹부 수용부(37)를 구비하는 서브 하우징(31);
    상기 서브 하우징(31)의 후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단자 수용 캐비티(32)와 정렬되어 상기 서브 하우징(31)으로부터 연장되는 전선(200)을 액밀식으로 수용하는 복수의 전선 밀착 구멍(42)이 마련된 집합적 고무 스토퍼(40);
    상기 집합적 고무 스토퍼(40)가 서브 하우징(31) 상에 유지되도록 상기 서브 하우징(31) 상에 장착된 홀더(50)로서, 상기 전선(200)이 삽입될 수 있는 전선 삽입 구멍(57)과, 서브 하우징(31)의 로킹부 수용부(37)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홀더(5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로킹 스트립(59)을 구비하고, 각 로킹 스트립(59)은 그 전단부에 로킹부(60)를 구비하는 것인 홀더
    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50)의 로킹 스트립(59)의 전단부들은 홀더(5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편위되어 있고, 상기 서브 하우징(31)의 로킹부 수용부(37)의 전단부들은 서브 하우징(31)의 길이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홀더(50)가 서브 하우징(31)에 대하여 장착 자세로 있으면, 상기 모든 로킹부(60)는 로킹부 수용부(37)에 감합되어 상기 홀더(50)가 서브 하우징(31)에 대하여 로크될 수 있고,
    상기 홀더(50)가 서브 하우징(31)에 대하여 장착 자세로 있지 않으면, 상기 로킹부(60) 중 적어도 하나가 어떠한 로킹부 수용부(37)에도 삽입될 수 없어, 상기 홀더(50)가 서브 하우징(3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하우징(31)의 로킹부 수용부(37)보다 후방의 위치에 벽(3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더(50)가 서브 하우징(31) 상의 완전 장착 위치를 향하여 가압되지만, 서브 하우징(31)에 대하여 장착 자세로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로킹 스트립(59)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벽(38) 위에 배치되는 것인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하우징(31)의 로킹부 수용부(37)보다 전방의 위치에 전방 벽(38B)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50)가 서브 하우징(31) 상의 완전 장착 위치를 향하여 가압되지만, 서브 하우징(31)에 대하여 장착 자세로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로킹 스트립(59)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전방 벽(38)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전방 벽(38B) 위에 배치된 로킹 스트립(59)은 서브 하우징(31)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인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로킹 스트립(59)은 2개의 대향 로킹 스트립(59)을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스트립(59)의 길이는 각각 상이한 것인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스트립(59)의 각 로킹부(60)의 돌출 길이는 동일한 것인 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각 로킹 스트립(59) 상의 상기 로킹부(60)의 길이는 서로 상이한 것인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 수용부(37)의 길이는 각각 상이한 것인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 수용부(37)는 서브 하우징(31)의 후단부로부터 동일한 거리를 두고 있는 로킹면들을 구비하는 것인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스트립(59)은 서로 멀어지게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인 커넥터.
KR1020110100200A 2010-10-08 2011-09-30 커넥터 KR1017400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28898A JP5454445B2 (ja) 2010-10-08 2010-10-08 コネクタ
JPJP-P-2010-228898 2010-10-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754A KR20120036754A (ko) 2012-04-18
KR101740064B1 true KR101740064B1 (ko) 2017-05-25

Family

ID=45925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0200A KR101740064B1 (ko) 2010-10-08 2011-09-30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366473B2 (ko)
JP (1) JP5454445B2 (ko)
KR (1) KR101740064B1 (ko)
CN (1) CN1025701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92468B2 (ja) * 2014-01-31 2018-03-1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9318836B2 (en) * 2014-02-06 2016-04-19 Dai-Ichi Seiko Co., Ltd. Electric connector
JP2016207415A (ja) * 2015-04-21 2016-12-0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15824B2 (ja) * 2016-01-15 2019-05-2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604512B2 (ja) * 2016-02-24 2019-11-1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16108254B9 (de) * 2016-05-03 2018-04-26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Elektrische Steckverbinderbuchse sowie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elektrischen Steckverbinderbuchse
DE102016217456B3 (de) * 2016-09-13 2017-12-21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Anordnung für einen elektrischen Steckverbinder sowie Steckverbinder mit einem Kontaktgehäuse, Umgehäuse und Sicherungselement
JP7447777B2 (ja) * 2020-12-11 2024-03-1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9595A (ja) 2004-08-18 2006-03-02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コネクタ
JP2009117376A (ja) 2009-01-15 2009-05-28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7027Y2 (ko) * 1988-05-06 1991-12-25
JPH067581Y2 (ja) * 1988-05-30 1994-02-23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における端子の二重係止構造
US4900271A (en) * 1989-02-24 1990-02-13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fuel injector and terminals therefor
US5370543A (en) * 1992-07-24 1994-12-06 Fujikura Ltd. Electrical connector
JP2863083B2 (ja) * 1994-04-01 1999-03-03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用防水栓
JP3765510B2 (ja) * 1997-02-10 2006-04-1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EP1024557A1 (en) * 1999-01-29 2000-08-02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 sealing plug for a watertight connector and a watertight connector
JP2002343499A (ja) * 2001-05-14 2002-11-29 Yazaki Corp ホルダ付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4089179B2 (ja) * 2001-06-06 2008-05-2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804491B2 (ja) * 2001-08-22 2006-08-0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3077583A (ja) * 2001-09-04 2003-03-1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4292803B2 (ja) * 2003-01-09 2009-07-08 住友電装株式会社 係止解除用治具
JP4259453B2 (ja) * 2004-10-29 2009-04-30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US7862366B2 (en) * 2008-10-14 2011-01-04 Woodhead Industries,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locking cli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9595A (ja) 2004-08-18 2006-03-02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コネクタ
JP2009117376A (ja) 2009-01-15 2009-05-28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754A (ko) 2012-04-18
US20120088391A1 (en) 2012-04-12
JP5454445B2 (ja) 2014-03-26
CN102570154B (zh) 2014-10-22
CN102570154A (zh) 2012-07-11
US8366473B2 (en) 2013-02-05
JP2012084351A (ja) 201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0064B1 (ko) 커넥터
US9577382B2 (en) Connector
US9407025B2 (en) Connector
US7503791B2 (en) Connector
US8038486B1 (en) Connector
US8366493B2 (en) Connector having a retainer with a plate shaped detection part
US9887490B2 (en) Connector with erroneous arrangement identifying portion
US7722414B2 (en) Connector having separately made lance housing and retainer
US20120322305A1 (en) Waterproof connector
US20140127928A1 (en) Connector
US9362652B2 (en) Connector with at least one detector
US8998626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101690801B1 (ko) 커넥터
JP4475184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US8366472B2 (en) Connector
JP2009110670A (ja) コネクタ
US10511117B2 (en) Connector
EP1916746B1 (en) A connector
JP5471819B2 (ja) コネクタ
JP5067304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