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9877B1 -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9877B1
KR101689877B1 KR1020140113485A KR20140113485A KR101689877B1 KR 101689877 B1 KR101689877 B1 KR 101689877B1 KR 1020140113485 A KR1020140113485 A KR 1020140113485A KR 20140113485 A KR20140113485 A KR 20140113485A KR 101689877 B1 KR101689877 B1 KR 101689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tide
amino acid
weight
lys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3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5951A (ko
Inventor
성민규
최원석
전선재
정영필
Original Assignee
(주)셀아이콘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셀아이콘랩 filed Critical (주)셀아이콘랩
Priority to KR1020140113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877B1/ko
Publication of KR20160025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8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6Tri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피부 보습력을 발휘하고 피부 가려움증을 완화시키는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피부의 보습력이 떨어지는 것을 억제하고 피부 가려움증 완화에 탁월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본 발명은 우수한 피부 보습력을 발휘하고 피부 가려움증을 완화시키는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 피부염은 심한 가려움증(소양감)을 수반하는 재발성의 만성 피부염으로, 현재 전세계 인구의 10 내지 20%가 고통받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최근 환경오염에 의해 공기 매개성 알러지 원인 물질의 증가 등의 요인에 의하여 그 발병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이다. 상기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은 현재까지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지만 유전적인 소인, 면역계 이상, 정상인에 비해 쉽게 가려움증을 느끼는 특성,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에 의한 감염 및 정서적 환경적인 요인 등이 서로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하기 위하여, 보습 및 피부장벽을 복구하는 세라마이드의 지질복합체를 적용하거나 (한국공개특허 제2001-0044622호), 가려움증을 치료하기 위해 항스타민제의 경구 복용, 항염증을 위한 스테로이드제제의 적용 등의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피부 면역상태 개선을 위해 올리고당을 적용하는 방법 (한국공개특허 제2000-0029754호) 등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국소 및 전신약제, 예를 들면 스테로이드, 항히스타민제, 면역 억제제 등의 경구 투여로 인한 졸림, 면역력 저하 및 국소 투여에 따른 피부에 대한 안전성 저하,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배합시의 안정성 등의 문제점이 있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은 피부 보습력 저하 및 심한 가려움증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와 같이 자꾸 긁다 보면 상처가 나게 되고, 이로 인해 세균감염 및 외부 알러젠에 의한 2차 감염이 발생하여 T-세포 및 대식세포와 같은 면역세포들이 활성화되어 TNF-alpha를 비롯한 여러 싸이토카인과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히스타민, 뉴로펩타이드 등이 분비되어 염증 및 가려움증을 일으켜 다시 긁게 되어 아토피 피부염 증상이 증폭되는 현상이 반복되어 더욱 더 심각한 상태로 발전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62214호에는 한방추출물, 허브추출물, 곡물추출물을 알칼리수로 농축하고 발효시켜 제공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기능성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898182호에는 알로에, 어성초, 산국, 감잎, 민들레, 당귀를 발효시켜 제공되는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조성물들은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개선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며, 피부 보습력이 우수하고 가려움증 완화 효과가 있는 물질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01-0044622호 한국공개특허 제2000-0029754호 한국공개특허 제2011-62214호 한국등록특허 제89818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 및 보완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우수한 피부 보습력을 발휘하고 피부 가려움증을 완화시키는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은 펩타이드와 아미노산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펩타이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머(dimer)형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화학식 1]
[Lys-Thr-X-Lys-Ser-Cys]2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는 [Lys-Thr-Thr-Lys-Ser-Cys]2 (화합물 4, X=트레오닌)이고, 상기 화합물 4에서 [ ]2는 시스테인 잔기인 티올기(-SH)를 환원체 형태(-S-S-)로 변형한 이중체(dimer)를 나타낸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펩타이드와 아미노산의 혼합물은 카퍼트리펩타이드-1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이머형 펩타이드와 카퍼트리펩타이드-1의 사용 비율은 1 : 0.5~30 중량비 범위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아미노산은 알라닌(Alanine), 아르기닌(Arginine), 글라이신(Glycine), 라이신(Lysine), 트레오닌(Threonine), 세린(Serine), 및 시스테인(Cyste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펩타이드와 아미노산과의 사용 비율은 1 : 0.5~30 중량비 범위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펩타이드와 아미노산의 혼합물은 다이머형 펩타이드 1 내지 10 중량부; 카퍼트리펩타이드-1 5 내지 30 중량부; 및 아미노산 20 내지 96 중량부; 및 상기 혼합물의 총량이 100 중량부가 되도록 조절하는 잔량의 용매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펩타이드와 아미노산의 혼합물은 당해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 범위로 포함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pH 조절제, 착색제, 착향제, 안료, 향료, 살균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희석제, 계면활성제, 알코올, 중화제, 유연제, 컨디셔닝제 및 부형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유액, 젤, 크림, 에센스, 팩, 앰플, 로션, 세정료, 비누, 바디제품류, 비누, 오일, 립스틱, 스프레이, 파우더 및 파운데이션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높은 안정성과 우수한 콜라겐 합성 촉진 기능을 갖는 다이머(dimer) 형태의 특정 펩타이드 및 아미노산과의 혼합물을 포함함으로써, 피부의 보습력이 떨어지는 것을 억제하고 피부 가려움증 완화에 탁월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우수한 피부 보습력을 발휘하고 피부 가려움증을 개선하기 위해서, 우수한 콜라겐 합성 촉진 기능을 갖는 다이머형 펩타이드와 아미노산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a)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머형 펩타이드 및 (b) 아미노산이 혼합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펩타이드 화합물은 우수한 콜라겐 합성 촉진 기능을 보이므로, 피부 보습과 탄력을 증진시키고 상처를 치유하고 진정시켜 아토피 피부염을 완화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펩타이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된다.
[화학식 1]
[Lys-Thr-X-Lys-Ser-Cys]2
상기 식에서, X는 글루탐산, 아스파트산, 히스티딘, 페닐알라닌, 알라닌, 시스테인, 글라이신, 글루타민, 아스파라긴, 아르기닌, 루이신, 메티오닌, 이소루이신, 세린, 타이로신, 트레오닌, 라이신, 트립토판, 프롤린 및 발린에서 선택되며,
[ ]2는 시스테인 잔기인 티올기(-SH)를 환원체 형태(-S-S-)로 변형한 이중체(dimer)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펩타이드는, 하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로 보다 구체화될 수 있다. 그러나 하기 화학식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2]
[Lys-Thr-Lys-Lys-Ser-Cys]2 (화합물 1, X=라이신)
[화학식 3]
[Lys-Thr-Glu-Lys-Ser-Cys]2 (화합물 2, X=글루탐산)
[화학식 4]
[Lys-Thr-Phe-Lys-Ser-Cys]2 (화합물 3, X = 페닐알라닌)
[화학식 5]
[Lys-Thr-Thr-Lys-Ser-Cys]2 (화합물 4, X=트레오닌)
[화학식 6]
[Lys-Thr-Ala-Lys-Ser-Cys]2 (화합물 5, X=알라닌)
상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 ]2는 시스테인 잔기인 티올기(-SH)를 환원체 형태(-S-S-)로 변형한 이중체(dimer)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는 화학식 1의 펩타이드의 시스테인(펩타이드 말단에 위치한 시스테인) 잔기인 티올기(-SH)를 환원체 형태(-S-S-)로 변형한 이중체(dimer)이므로, 기존 펩타이드 조성물에 비해 사용상의 안전성 및 안정성이 높다.
본 발명에 따라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펩타이드 화합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펩타이드 합성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체상 폴리머 지체를 이용하여 합성하는 고체상 펩타이드 합성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을 통해 제조된 펩타이드의 α-아미노기는 산 또는 염기 민감성 작용기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이때의 아미노산의 보호기는 펩타이드 축합반응 조건에서 안정한 성질을 가져야만 하고, 연장되는 펩타이드 사슬의 파괴 없이 또는 거기에 함유된 임의의 키랄 센터의 라세미체화 없이 용이하게 제거 가능한 성질을 가져야만 한다. 따라서, 적합한 보호기들로는 9-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보닐(Fmoc), t-부톡시카보닐(Boc), 벤질옥시카보닐(Cbz), 비페닐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 t-아밀옥시카보닐, 이소보르닐옥시카보닐, (α,α)-디메틸-3,5-디메톡시벤질옥시카보닐, O-니트로페닐설페닐, 2-시아노-t-부틸옥시카보닐 등일 수 있으며, 이러한 목적으로 당업계에 알려진 적합한 다른 보호기들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사용 가능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9-플루오로에닐메톡시카보닐(9-fluorenylmethoxy carbonyl, Fmoc)을 아미노산 보호기로 사용하는 고체상 펩타이드 합성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펩타이드의 함량은 당해 펩타이드 및 아미노산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10 중량부 범위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범위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펩타이드의 일 성분으로서, 카퍼트리펩타이드-1을 더 포함한다.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은 생체 내에 존재하는 면역 관련 단백질과 세포 간극 (ECM) 구성 단백질들이 피부상처 이후 분해되면서 발생하는 트리펩타이드에 혈액 내의 구리 이온이 결합하여 생성되는 것으로서, 세포재생과 상처치유의 과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펩타이드이다.
이러한 카퍼트리펩타이드-1은 피부 재생능력이 뛰어나 상처 치유 촉진, 피부 탄력을 강화하며, 피하지방층을 증가시켜 피부의 노화현상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여, 피부결 개선, 보습 또는 자극완화 등의 다양한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개선 효능을 나타낸다.
상기 카퍼트리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서열은 글라이신을 아미노 말단기로 시작하여 히스티딘, 라이신 순서의 트리펩타이드가 구리 이온과 배위결합된 형태(Copper-Gly-His-Lys)로서,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3개의 펩타이드(글라이신-히스티틴-라이신)가 연결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퍼트리펩타이드-1은 당 업계에 공지된 펩타이드 합성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펩타이드와 마찬가지로 9-플루오로에닐메톡시카보닐(9-fluorenylmethoxy carbonyl, Fmoc)을 아미노산 보호기로 사용하는 고체상 펩타이드 합성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카퍼트리펩타이드-1의 함량은 당 분야에 공지된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일례로 당해 펩타이드 및 아미노산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30 중량부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다이머형 펩타이드와 카퍼트리펩타이드-1의 사용 비율은 1 : 0.5~30 중량비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펩타이드들 이외에, 본 발명은 당 업계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펩타이드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함량 역시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펩타이드 화합물에 대한 상세한 구성 및 그 제조방법은, 본 출원인에 의해 기출원된 한국특허출원 제2013-0108860호 "콜라겐 합성 촉진 펩타이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개시된 전문을 본원의 참고자료로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아미노산(b)은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아미노산 성분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아미노산은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어 보습, 세포 증식, 콜라겐 합성 증진, 피부 탄력 및 피부 주름 개선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은 D-형, 또는 L-형의 모든 천연 아미노산 또는 비천연 아미노산을 모두 포함한다. 사용 가능한 아미노산의 비제한적인 예를 들면, 알라닌(Alanine), 아르기닌(Arginine), 글라이신(Glycine), 라이신(Lysine), 트레오닌(Threonine), 세린(Serine), 시스테인(Cysteine) 또는 이들의 1종 이상 혼합물 등이 있다.
상기 아미노산의 함량은 당해 펩타이드 및 아미노산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20 내지 96 중량부 범위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술한 혼합물에서, 상기 펩타이드와 아미노산과의 사용 비율은 1 : 0.5~30 중량비 범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 2 ~10 중량비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에 따르면, 상기 펩타이드와 아미노산의 혼합물은 다이머형 펩타이드 1 내지 10 중량부; 카퍼트리펩타이드-1 5 내지 30 중량부; 및 아미노산 20 내지 96 중량부; 및 상기 혼합물의 총량이 100 중량부가 되도록 조절하는 잔량의 용매를 포함하는 조성일 수 있다. 이때 용매는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용매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정제수)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펩타이드와 아미노산의 혼합물은 당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펩타이드 및 아미노산 혼합물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에 해당될 경우, 아토피 완화 및 개선 효과를 유의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한다. 예컨대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pH 조절제, 착색제, 착향제, 안료, 향료, 살균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희석제, 계면활성제, 알코올, 중화제, 유연제, 컨디셔닝제, 부형제, 무기염류, 합성 고분자 물질 등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와 담체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이들의 함량은 최종 제품의 용도 및 그 사용목적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담체로는 정제수, 일가 알코올류(에탄올 또는 프로필알코올), 다가알코올류(글리세롤, 1,3-부티렌글리콜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고급지방산류(팔미틸산 또는 리놀렌산), 유지류(소맥 배아유, 동백기름, 호호바유, 올리브유, 스쿠알렌, 해바라기유, 마카데미아땅콩유, 아보가드유, 또는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 가능한 계면활성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등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는 알킬벤젠설폰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황산 에스테르염, 알킬황산 에스테르염, 올레핀설폰산염, 알킬인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인산염, 디알킬설포석신산염, 지방산염 등을 들 수 있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 에스테르, 다가 알콜지방산 부분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다가 알콜지방산 부분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3급 지방족 아민염, 알킬트리메틸암모늄 할라이드, 디알킬디메틸암모늄할라이드 등을 들 수 있고, 양쪽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아미드베타인형, 이미다졸리늄베타인형, 설포베타인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보습제로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부제로서는, 벤조산, 데하이드로아세트산, 파라옥시벤조산에스테르(파라옥시벤조산메틸, 파라옥시벤조산부틸 등), 페녹시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방지제로서는, 아스코르브산, BHA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외에도, 자외선 흡수제, 소염제 및 청량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화장수, 유액, 젤, 크림, 에센스, 팩, 앰플, 로션, 세정료, 비누, 바디제품류, 비누, 오일, 립스틱, 스프레이, 파우더 및 파운데이션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스킨), 수렴화장수, 영양 화장수 (밀크로션), 영양 크림, 맛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매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정해지지 않은 기간 동안에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연령, 피부상태 또는 피부타입, 펩타이드의 농도에 따라 사용량, 사용횟수 및 기간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콜라겐 합성 촉진 기능을 보이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펩타이드, 카퍼트리펩타이드-1과 아미노산의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므로, 피부 보습과 탄력을 증진시키고 세포 증식, 콜라겐 합성 증진, 피부 탄력 및 피부 주름 개선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피부 보습력을 극대화하고 피부 가려움증을 완화하면서 상처를 치유 및 진정시켜 피부건조증 개선, 아토피 개선, 보습력 향상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하기 표 3~4, 및 6 참고).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재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아미노산, 알라닌, 아르기닌, 글라이신, 라이신, 트레오닌, 세린, 시스테인은 시그마-알드리치(Sigma-Aldrich)사에서 모두 구입하였다.
또한 화합물 1 내지 5의 펩타이드는 본 출원인에 의해 기출원된 한국특허출원 제2013-0108860호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각각 합성하였으며, 카퍼트리펩타이드-1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3개의 펩타이드(글라이신-히스티틴-라이신)가 연결된 것 으로서, 고체상 폴리머 지체를 이용하여 합성하는 고체상 펩타이드 합성방법을 이용하여 본 출원인이 직접 합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와 아미노산의 혼합물에서, 펩타이드, 카퍼트리펩타이드-1 및 각 아미노산의 구성 범주는 하기 표 1에서 제시한 바와 같다.
Figure 112014082432659-pat00001
<실시예 1~5 : 펩타이드 및 아미노산 혼합물의 제조>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5의 펩타이드와 아미노산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제수 100 ml 에 화합물 1~5의 펩타이드 5.0g, 카퍼트리펩타이드-1 5.0g, 알라닌 10.0g, 아르기닌 5.0g, 글라이신 5.0g, 라이신 1.0g, 트레오닌 1.0g, 세린 1.0g, 시스테인 1.0g을 용해시키고 상온 교반하여 실시예 1~5의 펩타이드와 아미노산의 혼합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Figure 112014082432659-pat00002
실험예 1 : 펩타이드 및 아미노산 혼합물의 보습실험
완전 건조된 CaCl2를 흡습제로 사용하여 데시케이터 안에 담은 후, 디쉬에 정제수, 히알루론산, 및 상기 실시예 1~5에 제조된 펩타이드와 아미노산의 혼합물을 각각 5g씩 저울에 달아 상대습도 50%, 35℃의 데시케이터에서 24시간 동안 각 시료의 무게를 4회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표시하였다. 그 중 높은 보습력을 가진 실시예 5개를 선택하였다.
Figure 112014082432659-pat00003
실험예 2 : 펩타이드 및 아미노산 혼합물의 항염증 실험
본 발명의 펩타이드와 아미노산의 혼합물에 대한 항염증 효과를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료를 적용하기 전에 마우스의 귀를 에탄올로 깨끗하게 세척한 후 마우스 좌측귀를 대조부위, 우측귀를 시험부위로 하여, 시료 20 ㎕를 1일 1회씩 4일간 지속적으로 도포하였다. 마지막 도포 1시간 후에 좌측귀에 에탄올을, 우측귀에는 아라키돈산 (Arachidonic acid)을 2㎎/ear을 도포하고, 1시간 후 양쪽 귀의 부종(ear edema) 정도를 마이크로미터로 3회씩 반복 측정하였다.
항염 효과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처리군을 기준으로 부종 억제 정도로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억제율(%) = A-B/A ×100
A: 대조군 귀의 평균 두께 (아라키돈산 처리 귀의 두께 - 비처리 귀의 두께)
B: 시료도포군 귀의 두께 (시료처리 귀의 두께 - 비처리 귀의 두께)
Figure 112014082432659-pat00004
< 제조예 1 : 펩타이드 및 아미노산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
상기 실험예 1 내지 5에서 피부 보습효과 및 항염증 효과가 우수한 실시예 4를 기준으로 하기 표 5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참고로, 비교예 1은 현재 화장품 업계에서 아토피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화장료 조성물의 대표적인 예이다.
Figure 112014082432659-pat00005
실험예 3: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개선효과 시험
상기 제조예 1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피부 도포시, 아토피 치유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5~30세의 아토피 환자로서, 2년 이상 아토피 피부염을 앓고 있는 환자 중 20여 명에 대하여 아토피 개선효과를 조사하였다. 매일 저녁 세정 후, 피부에 1일 2회씩 4주 동안 실시예 4 및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환부에 도포한 후, 가려움증 정도 및 아토피 피부염의 정도를 문진 및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가려움증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 정도를 뚜렷한 효과, 효과 있음, 차이 없음의 3단계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4082432659-pat00006
상기 표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조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피시험자 20명 중에서 아토피 피부염 개선 및 가려움증이 개선된 비율이 각각 75%, 85%로 우수하였으며, 피부 내에서 어떤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펩타이드 및 아미노산 혼합물은 안전하고 효과가 매우 뛰어난 아토피 피부염 및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임을 알 수 있었다.
이하, 상기한 시험예들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펩타이드 및 아미노산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하기의 제형예들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 유연화장수 제조
하기 표 7에 나타난 조성에 따라 통상의 방법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4082432659-pat00007
제형예 2: 영양화장수 제조
하기 표 8에 나타난 조성에 따라 통상의 방법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4082432659-pat00008
제형예 3: 영양크림
하기 표 9에 나타난 조성에 따라 통상의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4082432659-pat00009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Cellicon Lab Inc. <120> COSMETIC COMPOSITION F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130> SP14-0258 <140> 10-2014-0113485 <141> 2014-08-28 <160> 21 <170> KopatentIn 2.0 <210> 1 <211> 3 <212> PRT <213> Tripeptide <400> 1 Gly His Lys 1 <210> 2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2 Lys Thr Glu Lys Ser Cys 1 5 <210> 3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3 Lys Thr Asp Lys Ser Cys 1 5 <210> 4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4 Lys Thr His Lys Ser Cys 1 5 <210> 5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5 Lys Thr Phe Lys Ser Cys 1 5 <210> 6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6 Lys Thr Ala Lys Ser Cys 1 5 <210> 7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7 Lys Thr Cys Lys Ser Cys 1 5 <210> 8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8 Lys Thr Gly Lys Ser Cys 1 5 <210> 9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9 Lys Thr Gln Lys Ser Cys 1 5 <210> 10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10 Lys Thr Asn Lys Ser Cys 1 5 <210> 11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11 Lys Thr Arg Lys Ser Cys 1 5 <210> 12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12 Lys Thr Leu Lys Ser Cys 1 5 <210> 13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13 Lys Thr Met Lys Ser Cys 1 5 <210> 14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14 Lys Thr Ile Lys Ser Cys 1 5 <210> 15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15 Lys Thr Ser Lys Ser Cys 1 5 <210> 16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16 Lys Thr Tyr Lys Ser Cys 1 5 <210> 17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17 Lys Thr Thr Lys Ser Cys 1 5 <210> 18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18 Lys Thr Lys Lys Ser Cys 1 5 <210> 19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19 Lys Thr Trp Lys Ser Cys 1 5 <210> 20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20 Lys Thr Pro Lys Ser Cys 1 5 <210> 21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21 Lys Thr Val Lys Ser Cys 1 5

Claims (8)

  1. 펩타이드와 아미노산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펩타이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머(dimer)형 펩타이드를 포함하며,
    [화학식 1]
    [Lys-Thr-X-Lys-Ser-Cys]2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는 [Lys-Thr-Thr-Lys-Ser-Cys]2 (화합물 4, X=트레오닌)이고, 상기 화합물 4에서 [ ]2는 시스테인 잔기인 티올기(-SH)를 환원체 형태(-S-S-)로 변형한 이중체(dimer)를 나타내며,
    상기 펩타이드와 아미노산과의 사용 비율은 1 : 0.5~30 중량비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와 아미노산의 혼합물은 카퍼트리펩타이드-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머형 펩타이드와 카퍼트리펩타이드-1의 사용 비율은 1 : 0.5~30 중량비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은 알라닌(Alanine), 아르기닌(Arginine), 글라이신(Glycine), 라이신(Lysine), 트레오닌(Threonine), 세린(Serine), 및 시스테인(Cyste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와 아미노산의 혼합물은
    다이머형 펩타이드 1 내지 10 중량부;
    카퍼트리펩타이드-1 5 내지 30 중량부; 및
    아미노산 20 내지 96 중량부; 및
    상기 혼합물의 총량이 100 중량부가 되도록 조절하는 잔량의 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와 아미노산의 혼합물은 당해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40113485A 2014-08-28 2014-08-28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89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485A KR101689877B1 (ko) 2014-08-28 2014-08-28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485A KR101689877B1 (ko) 2014-08-28 2014-08-28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951A KR20160025951A (ko) 2016-03-09
KR101689877B1 true KR101689877B1 (ko) 2016-12-26

Family

ID=55536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3485A KR101689877B1 (ko) 2014-08-28 2014-08-28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8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249B1 (ko) * 2016-12-05 2019-04-01 주식회사 파마진 사상자 추출물 및 카퍼트리펩타이드-1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103506A2 (ko) * 2017-11-24 2019-05-31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N-아세틸 또는 n-아실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아토피 또는 가려움증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425B1 (ko) 2010-06-25 2011-07-04 주식회사 에코덤 신경교란 진정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자극 완화용 조성물
KR101046426B1 (ko) 2010-06-25 2011-07-04 주식회사 에코덤 항균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51876B1 (fr) 1996-07-31 1998-12-31 Roc Sa Utilisation d'un oligosaccharide comme immunomodulateur, composition dermato-cosmetique et methode de traitement cosmetique
KR100404072B1 (ko) 2001-03-12 2003-11-03 주식회사 두산 광범위 피부질환 치료용 조성물
KR20040040792A (ko) * 2002-11-08 2004-05-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가 결합된 레티놀 유도체 및 이를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98182B1 (ko) 2007-11-13 2009-05-19 소석현 화장료 조성물
KR20110062214A (ko) 2009-12-03 2011-06-10 지승미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기능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244149B1 (ko) * 2011-01-28 2013-03-15 (주)와이즈덤레버러토리 줄기세포 증식 촉진 기능을 갖는 피부 미백용 펩타이드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425B1 (ko) 2010-06-25 2011-07-04 주식회사 에코덤 신경교란 진정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자극 완화용 조성물
KR101046426B1 (ko) 2010-06-25 2011-07-04 주식회사 에코덤 항균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951A (ko)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6952B1 (ko) 주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44275B1 (ko) 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KR102015173B1 (ko)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93252B1 (ko) 4-히드록시 치환기를 가지는 신규의 신나모일 펩타이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89877B1 (ko)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89875B1 (ko) 펩타이드와 아미노산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89878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89876B1 (ko) 펩타이드와 아미노산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7647B1 (ko) 알부틴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45830B1 (ko) 밀싹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25952A (ko)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8308462A (ja) 皮膚外用組成物
JP2022550991A (ja) 皮膚及びその付属器の、ペプチドに基づいた化粧品又は皮膚科学的な処置
KR100713557B1 (ko) 상지 추출물 및 헥사노일트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07392B1 (ko) 유기산-올리고펩타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099097B1 (ko) 터치아핀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42150B1 (ko) 호랑이 유래 성장호르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43001B1 (ko) 키토산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45188B1 (ko) 효과적인 피부재생 및 안티에이징을 위한 미세침, 저분자 펩티드,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마이크로 앤 리커버리 화장료 조성물
KR102120619B1 (ko) 겐티스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세포 재생용 조성물
KR101210727B1 (ko) 식물 당단백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
KR20170126316A (ko) 인삼잎을 부틸렌글리콜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f1 및 f2중 적어도 하나가 강화된 인삼잎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2255912B1 (ko) 피토킬레틴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08302B1 (ko) 황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1957380B1 (ko) 동물성 오일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또는 수분 개선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